KR102149550B1 -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 Google Patents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550B1
KR102149550B1 KR1020130097504A KR20130097504A KR102149550B1 KR 102149550 B1 KR102149550 B1 KR 102149550B1 KR 1020130097504 A KR1020130097504 A KR 1020130097504A KR 20130097504 A KR20130097504 A KR 20130097504A KR 102149550 B1 KR102149550 B1 KR 102149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terminal
owner
program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971A (ko
Inventor
한정균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투씨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투씨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7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5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dditional secure or trusted devices, e.g. TPM, smartcard, USB or software tok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77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using additional device, e.g. trusted platform module [TPM], smartcard, USB or hardware security module [H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NFC매체를 소유한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매체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와 상기 소유자 측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특정될 사용자 측으로 순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연계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과 통신하여 상기 특정 프로그램을 고유 식별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인식된 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와 상기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인식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구동 중인 상태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를 모두 인증한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매핑 저장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순방향 전달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의 순방향 전달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하며,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순방향 정보 전달과 연계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된다.

Description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Method for Providing Duplex Interchange of Information by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NFC매체를 소유한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매체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와 상기 소유자 측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특정될 사용자 측으로 순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연계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과 통신하여 상기 특정 프로그램을 고유 식별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인식된 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와 상기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인식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구동 중인 상태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를 모두 인증한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매핑 저장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순방향 전달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의 순방향 전달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하며,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순방향 정보 전달과 연계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NFC매체를 단말에 인식시킴으로써 상기 단말에 유발되는 정보 교환 절차는 상기 NFC매체와 관련된 전달정보를 저장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인식한 단말로 상기 서버에 저장된 전달정보를 전달하는 단방향 정보 전달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예를들어, 상품에 부착된 RFID태그를 인식한 단말에 유발되는 정보 교환은 RFID서버로부터 RFID태그를 인식한 단말로 상기 RFID태그와 관련된 전달정보를 단방향 전달하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종래에 NFC매체 인식 이용한 단방향 정보 전달은 그 이전의 단방향 정보 전달에 비해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보 전달의 형태가 단방향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활용 범위가 단순 정보 전달 용도 이외에는 적용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NFC매체를 소유한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매체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와 상기 소유자 측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특정될 사용자 측으로 순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연계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과 통신하여 상기 특정 프로그램을 고유 식별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인식된 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와 상기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인식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구동 중인 상태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를 모두 인증한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매핑 저장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순방향 전달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의 순방향 전달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순방향 정보 전달과 연계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은,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NFC매체를 소유한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매체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와 상기 소유자 측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특정될 사용자 측으로 순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연계 저장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과 통신하여 상기 특정 프로그램을 고유 식별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인식된 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와 상기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인식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구동 중인 상태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를 모두 인증한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매핑 저장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순방향 전달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의 순방향 전달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순방향 정보 전달과 연계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NFC매체에 기록된 고유코드, 상기 NFC매체에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식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인식매체를 통해 NFC매체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사운드 인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운드 인식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사운드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인식매체를 통해 NFC매체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인식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인식매체를 통해 NFC매체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 인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인식매체를 통해 NFC매체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인식된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유 정보는, 무선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후 수행된 하나 이상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이나 결과로서 확인되어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매체에 저장된 정보,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고유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고유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소유자의 명함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명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NFC매체의 소유권을 특정 소유자에게 귀속시킴으로써,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를 불특정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시키는 행위를 기반으로 상기 NFC매체를 소유한 소유자와 상기 NFC매체를 인식한 사용자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상기 소유자와 사용자 사이에 양방향 정보 교환을 제공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NFC 기반 양방향 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과 프로그램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NFC매체의 전자 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소유자의 NFC매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소유자의 NFC매체를 인식할 인식매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소유자에게 귀속된 NFC매체 인식을 기반으로 양방향 정보 대상을 식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양방향 정보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서버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단말 측에 구현되거나, 반대로 단말 측에 구비된 구성부가 서버 측에 구현되는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NFC 기반 양방향 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매체의 소유권을 특정 소유자에게 귀속시킴으로써 불특정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을 통해 상기 귀속된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경우에 상기 NFC매체(300)의 소유자와 상기 프로그램(215)이 구동 중인 무선단말(200)의 사용자를 자동 식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200)과 소유자의 무선단말(200) 사이에 양방향 정보 교환이 수행되도록 처리하는 양방향 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NFC 기반 양방향 정보 교환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NFC 기반 양방향 정보 교환 시스템은,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와 상기 소유자에게 귀속된 NFC매체(300)를 관리하고, 상기 소유자에게 귀속된 NFC매체(300)를 인식하여 지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특정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200)과 통신하는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을 통해 구현된다. 이하, 상기 양방향 정보 교환 시스템이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을 편의상 운영 서버(100)라고 한다. 상기 양방향 정보 교환 시스템이 지정된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기 제휴된 둘 이상의 사업자(예컨대,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 운영사, NFC매체(300) 발급사 등)가 상호 연동하여 운영하는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양방향 정보 교환 시스템을 구현하는 사업자의 종류와 수 또는 특정 서버의 물리적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NFC매체(300)는 특정인, 특정기관, 특정가맹점, 특정기업 중 적어도 하나의 소유자에게 귀속된 상태의 NFC 기능 매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NFC카드, NFC스티커, NFC칩 탑재 도장, NFC칩 탑재 장치, NFC단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매체(300)는 근접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365)와 상기 NFC매체(300) 내에 내장 또는 탑재되는 칩 형태, PLCC 형태, SMD 형태, PCB 형태의 전자 모듈(305)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운영 서버(100)(또는 NFC매체(300)의 관리를 담당하는 사업자 측 서버, 또는 NFC매체(300)의 소유자 관리를 담당하는 사업자 측 서버)는 N(N≥1)개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정보와, 각 소유자에게 귀속된 NFC매체(30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지정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25)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은 NFC매체(300)를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와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사용자 소유 무선통신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자 소유의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은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여 양방향 정보 교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동 중인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식매체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운영 서버(100)(또는 무선단말(200)을 관리하는 사업자 측 서버, 또는 프로그램(215)을 관리하는 사업자 측 서버, 또는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업자 측 서버)는 각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사용자 무선단말(200)을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지정된 네트워크 상의 저장매체(125)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NFC매체(300)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소유자 등록부(105)와, 특정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통해 인식되는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등록/결정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인증 정보 등록부(110)와, 상기 NFC매체(300)에 대응하는 소유자 측으로부터 상기 특정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 측으로 순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순방향 전달정보 등록부(115)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소유자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25)와 인증 정보(또는 공간 인증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25)와 순방향 전달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매체(125)는 운영 서버(1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DB 형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도면1은 편의상 하나의 DB 형태로 구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소유자 등록부(105)는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 측 단말(180)(예컨대, 소유자의 무선단말, 소유자의 유선단말, 소유자가 가맹점인 경우에 CAT, POS 등의 가맹점 단말 등) 또는 운영자 단말을 통해 NFC매체(300)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 상기 소유자 정보는, 상기 NFC매체(300)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식별정보와 상기 소유자 측으로부터 사용자 측으로의 순방향 정보 전달과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측으로부터 소유자 측으로 전달되는 역방향 전달정보를 수신할 소유자 측 단말(180)(또는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상태의 소유자 측 단말(18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110)는 소유자 측 단말(180) 또는 운영자 단말과 연계하여 특정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무선단말(200)을 통해 인식된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절차에 따라 인증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 또는 운영자 단말을 통해 상기 NFC매체(300)에 기록/적용한 후 이를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NFC매체(300)에 구비된 고유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NFC매체(300)에서 일회용코드가 동적 생성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NFC매체(300) 내에서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규칙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인 특정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상기 지정된 공간(예컨대,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와 인접한 장소)에 존재하는지 인증하기 위한 공간 인증 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절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인증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에 기록/적용한 후 이를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NFC매체(300)는 소유자에게 귀속된 NFC매체(300)이고, 소유자가 소유 및 소지하고 있으므로,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인식되려면 소유자와 사용자는 같은 공간에 있어야만 하는데, 상기 공간 인증 정보는 이를 인증하기 위한 정보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간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인 특정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추가(또는 자동) 인식되는 사운드 인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확인된 위치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촬영 및 인식된 이미지 인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정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식한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공간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공간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운드 입력부(208)로 입력되는 사운드를 인식한 사운드 인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는 상기 NFC매체(30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을 통해 출력될 사운드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을 통해 출력되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인식될 사운드 인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사운드 인증 정보를 등록/결정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과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는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사운드 신호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과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는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과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을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과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는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지정된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인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는 상기 신호음의 주파수 대역을 인증하는 인증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특정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의 사운드 패턴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 제1 내지 제5 사운드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공간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공간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측위부(211)를 통해 측위된 위치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은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위치 측위부(211)를 통해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위치를 측위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이 위치해 있어야 하는 위치 정보(예컨대, 소유자의 위치, 소유자 측 단말(180)이 존재하는 위치)를 인증하기 위한 위치 인증 정보를 등록/결정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정보와 비교될 기준 위치, 위치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인증 정보를 등록/결정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소유자의 위치가 가변적이고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이 무선단말이라면, 상기 위치 인증 정보는 상기 소유자 측 무선단말을 통해 측위되어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소유자 측 무선단말로부터 수신된 위치 인증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공간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공간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09)를 통해 촬영되어 입력되는 화상을 인식한 이미지 인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디스플레이와 인쇄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매체를 통해 지정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이미지는 상기 NFC매체(300)를 통해 출력되거나 또는 인자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을 통해 출력될 이미지가 출력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110)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을 통해 출력되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인식될 이미지 인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정보를 등록/결정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인식될 이미지는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예컨대, 1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컬러 코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이미지는 QR코드 방식, 데이터매트릭스 방식, 맥시코드 방식, PDF417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지정된 코드가 2차원 바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인식될 이미지는 지정된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턴 이미지는 로고, 문양, 기호, 사진, 도안 중 지정된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인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매체는 코드 이미지 또는 이미지 패턴을 전자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소유자 측 단말(18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과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고유코드가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는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이미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과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는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이미지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과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을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과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제공될 수 있다. 전자적으로 출력되는 코드 이미지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부호화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는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특정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를 전자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을 통해 출력되는 패턴 이미지에 포함된 패턴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는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 제1 내지 제4 전자적 이미지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는 상기 이미지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매체는 코드 이미지 또는 패턴 이미지가 인쇄된 인쇄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인쇄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쇄매체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가 부호화된 코드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 이미지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는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쇄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쇄매체는 지정된 특정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이미지기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인쇄매체에 인쇄된 패턴 이미지에 지정된 패턴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는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기 위한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공간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공간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송수신될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이미지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근거리에 구비된 근거리장치(예컨대, 무선AP 등)를 인식하고, 상기 근거리장치와 지정된 데이터를 교환하여 상기 근거리장치에 대한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부터 확장되는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과 통신 가능한 소유자 측 단말(18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에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소유자 측 단말(180)을 검출하기 위한 정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정보는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하나 이상의 씨드 값 등)을 저장 또는 유지하고, 상기 코드생성규칙을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여 인증 데이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회용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거리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정보는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인증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및/또는 씨드 값과 매칭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근거리 통신 방식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와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의 메모리에 저장 또는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용코드도 상기 근거리장치를 통해 동적 생성되거나,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와 통신하는 지정된 서버를 통해 동적 생성되어 상기 근거리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증 데이터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정보는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일회용코드와 매칭되는 비교대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장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근거리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인증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데이터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 등록부(115)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과 통신하여 소유자 측으로부터 상기 특정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 측으로 순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가 자신이 지정한 특정 사용자에게 전달할 명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순방향 전달정보가 상기 명함정보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와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매체의 사용자 사이에 교환 가능한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무방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특정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식매체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인식매체 등록부(120)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125)는 운영 서버(100)의 외부에 구현되는 DB 형태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다만 본 도면1은 편의상 하나의 DB 형태로 구현되는 실시 방법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을 통해 무선단말(200)과 프로그램(215)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는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200)의 유효성은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에서 무선단말(200)이 가입된 통신사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는 회원 등록 절차, 프로그램 인증 절차, 무선단말(200) 인증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프로그램(215)과 그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의 조합을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식매체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식매체라 함은, 단지 사용자가 소유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무선단말(200)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할 수 있는 인증된 프로그램(215)이 구비되어 구동 중인 상태의 무선단말(200)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소유/이용하는 무선단말(200)이라고 하더라도,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215)을 구비하고 있음을 확인/인증하기 전까지는 본 발명의 인식매체라고 할 수 없다.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는 상기 회원 등록 절차, 프로그램 인증 절차, 무선단말(200) 인증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또는 상기 지정된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각종 칩, USIM, 메모리부(213), SE(Security Element)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식별 정보,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또는 프로그램(215))에 할당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USIM, 메모리부(213), SE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한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회원 등록 절차, 프로그램 인증 절차, 무선단말(200) 인증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또는 상기 지정된 절차의 결과로서 확인된 정보로서,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증된 프로그램(215)이 구비되어 구동 중인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정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별 정보는, 고유 번호, 고유 코드, 텍스트, 바이너리, 키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식별 정보의 형태나 암호화 상태 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는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증된 프로그램(215)이 구비되어 구동 중인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는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시점에 지정된 회원 가입 절차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와 상기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어 순방향 전달정보가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순방향 전달될 경우에, 상기 순방향의 정보 전달과 연계되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역방향 전달될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사용자 측으로부터 소유자 측으로 전달할 명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역방향 전달정보가 상기 명함정보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매체의 사용자와 상기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 사이에 교환 가능한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역방향의 정보 전달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의 메모리부(213)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를 저장매체(125)에 등록하는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215)이 구동 중인 상태의 무선단말(200)을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30)와,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인식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NFC매체 인증부(135)와, 상기 인식 정보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인증된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식별부(145)와,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고유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식매체 인증부(150)와, 상기 고유 정보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인증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인식매체 또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155)를 구비한다.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은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여 인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자신이 구동 중인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확인된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215)과 운영 서버(100) 사이에 합의된 프로토콜 구조를 통해 동시 또는 순차 전송된다. 상기 정보 수신부(130)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무선단말(200)로부터 지정된 절차에 따라 전송된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NFC매체(300)의 [메모리부(213)]에 저장된 고유코드, 상기 NFC매체(300)에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식 정보가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NFC매체(300)로부터 NFC를 통해 인식되는 정보라면 어떠한 정보라도 무방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에 의해 등록된 식별 정보와 비교 인증 가능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상을 수행하여 예측된 결과를 도출 가능한 정보로서,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을 이용한 회원 등록 절차, 프로그램 인증 절차, 무선단말(200) 인증 절차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 또는 상기 지정된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무선단말(200)의 각종 칩, USIM, 메모리부(213), SE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C매체 인증부(13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인식 정보와 상기 인증 정보 등록부(110)를 통해 등록된 인증 정보를 비교 인증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상을 수행하여 예측된 결과가 도출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를 인증한다.
만약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이 인식한 인식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소유자 식별부(145)는 상기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데 사용된 인증 정보와 매핑된 소유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FC매체(300)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를 식별한다.
상기 인식매체 인증부(1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고유 정보와 상기 인식매체 등록부(120)를 통해 등록된 식별 정보를 비교 인증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상을 수행하여 예측된 결과가 도출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무선단말(200)에 대응하는 인식매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인식매체의 유효성은 인증은,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프로그램(215)이 구동 중인 상태의 무선단말(200)을 인증하는 것으로, 단순히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200)을 인증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이다.
만약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고유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사용자 식별부(155)는 상기 고유 정보를 통해 인증된 인식매체(즉, 특정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 또는 사용자 무선단말(200)에 구동 중인 프로그램(215))를 식별하거나, 또는 상기 인증된 인식매체를 사용 중인 사용자를 식별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시점에 인식된 사운드 인식 정보, 위치 인식 정보, 이미지 인식 정보,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30)와,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공간 인식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처리부(140)를 구비하며, 이 경우에 상기 소유자 식별부(145)는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를 인증한 결과와 상기 공간 인식 정보를 인증한 결과를 결합하여 상기 NFC매체(300)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사운드 인식 정보, 위치 인식 정보, 이미지 인식 정보,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인식 정보를 추가(또는 자동)으로 인식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수행된 동작의 결과로서 상기 공간 인식 정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공간 인식 정보는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의 구동된 상태의 무선단말(200)을 인식매체로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와 함께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거나, 또는 별도의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간 인식 정보가 사운드 인식 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근처에서 발생한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여 사운드 인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사운드 인식 정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사운드 인식 정보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형태의 사운드 신호음(예컨대, 부저 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 제4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 제5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특정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신호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무선단말(200)의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인식하여 사운드 인식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인식된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주파수 대역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DTMF 형태의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DTMF 형태의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음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에 상기 인증 주파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신호음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인증 주파수 정보의 지정된 오차 범위에 포함되는지 확인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에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사운드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패턴화한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 제4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지정된 사운드 패턴(예컨대, 지정된 음성(예: 화자가 발성한 분절음 소리), 음원(예: 악보에 따라 악기를 통해 연주된 음악, 악보에 따라 화자가 발성하는 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운드 패턴)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무선단말(200)의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사운드 패턴을 인식하여 사운드 인식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인식된 사운드 패턴을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주파수 대역을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를 패턴화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일회용코드를 패턴화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패턴에 대응하는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지정된 사운드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에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인식된 사운드 패턴과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의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사운드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사운드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운드 출력 방식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코드는 가청주파수 또는 비가청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에 ‘0’과 ‘1’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부호화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사운드 신호에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가 직접적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될 사운드 신호를 확인하고, 상기 사운드 신호의 엔코딩 규칙과 매칭되는 부호화 규칙에 따라 상기 지정된 코드를 부호화하여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지정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에 엔코딩하여 상기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신호에 엔코딩되는 사운드 확산 코드는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엔코딩되며, 이에 의해 통상의 인간이 인지하는 사운드 인지 능력으로는 상기 지정된 코드가 부호화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인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와 같이 생성된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무선단말(200)의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상기 사운드코드를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운드 입력부(208)는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코덱으로 엔코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음성통화를 위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음성통화에 적합한 코덱을 통해 엔코딩되며, 음성녹음을 위해 상기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음성통화에 적합한 코덱을 통해 엔코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운드 입력부(208)가 지원하는 코덱 중에서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에서 상기 사운드코드를 엔코딩한 규칙과 동일한 규칙의 코덱으로 엔코딩되거나, 또는 최소한 상기 사운드코드가 훼손되지 않는 코덱으로 엔코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버퍼링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지정된 디코딩 규칙에 따라 디코딩하여 상기 부호화 대상 데이터가 부호화된 사운드 확산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운드 확산 코드에 부호화된 코드를 획득하여 사운드 인식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고유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일회용코드를 부호화한 사운드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사운드 인증 정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코드에 부호화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간 인식 정보가 위치 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가 상기 위치 인증 정보의 기준 위치와 지정된 일정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된 위치 정보가 상기 위치 인증 정보의 위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간 인식 정보가 이미지 인식 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카메라부(209)를 통해 이미지 인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미지 인식 정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에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에 지정된 이미지 패턴이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인증 정보에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과 패턴 인증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패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이미지 패턴을 인식하고 상기 패턴 인증 값과 비교하거나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패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공간 인식 정보가 이미지 인식 정보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20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하나 이상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만약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가 암호화된 겨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암호화된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또는 고유코드 및/또는 일회용코드)를 복호화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에 고유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정보에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 인증될 비교대상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의 고유코드와 상기 비교대상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에 일회용코드가 포함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 인증 정보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생성규칙에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처리부(140)는 상기 코드생성규칙에 따라 생성된 비교대상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인식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고유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인증 결과 확인부(160)와, 상기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가 인증된 경우에 상기 인증 정보와 매핑 저장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인식매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순방향 전달하는 순방향 정보 전달부(165)와,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에 대한 순방향 정보 전달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 측 단말(180)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는 역방향 전달정보 확인부(170)와, 상기 확인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역방향 전달하는 역방향 정보 전달부(175)를 구비한다.
상기 인증 결과 확인부(160)는 상기 NFC매체 인증부(135)(또는 NFC매체 인증부(135)와 인증 처리부(140)의 결합)를 통해 수행된 인증 절차의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인식매체 인증부(150)를 통해 수행된 인식매체에 대한 인증 결과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확인 결과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가 모두 인증되었다면, 상기 순방향 정보 전달부(165)는 상기 인증 정보와 매핑 저장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식매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확인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통해 출력되며,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메모리부(213)에 지정된 저장영역(예컨대, 순방향 전달정보가 명함정보인 경우에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주소록, 또는 특정 프로그램(215)의 친구정보 저장영역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 확인부(170)는 상기 인식매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과 연동하여 순방향 정보 전달부(165)에 의해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가 상기 인식매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순방향 전달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에 대한 순방향 정보 전달이 확인되면,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 확인부(170)는 상기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 측 단말(180)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또는 사용자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매체(125)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 확인부(170)는 상기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저장매체(125)로부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를 전달받은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 확인부(170)는 상기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되는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역방향 정보 전달부(175)는 상기 소유자 정보로부터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가 전달된 소유자 측 단말(180)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소유자 측 단말(180)로 상기 확인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역방향 전달한다.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에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를 수신할 프로그램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더라도 푸시 메시지를 통해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역방향 전달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과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특정 소유에게 귀속된 NFC매체(300)를 인식하여 양방향 정보 교환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215)의 기능 구성과 이를 구동하는 무선단말(2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2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제어부(201)와 메모리부(213)와 화면 출력부(204)와 터치 입력부(205)와 키 입력부(206)와 사운드 출력부(207)와 사운드 입력부(208)와 카메라부(209)와 무선망 통신부(2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와 근접 무선 통신부(210)와 위치 측위부(211)와 USIM 리더부(212)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1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무선단말(2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의 근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215) 구성을 본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모리부(213)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13)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2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2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상기 화면 출력부(204)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 자원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투명 재질의 터치패드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화면 출력부(204)를 통해 출력되는 인터페이스 화면과 매핑된 특정 좌표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입력 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터치 입력 값과 인터페이스 화면을 매칭하여 지정된 명령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도출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정전식 터치(Capacitive Touch)를 지원하는 정전식 터치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205)는 상기 화면 출력부(204)와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을 구현한다.
상기 키 입력부(206)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키버튼, 키패드, 키보드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201)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207)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출력 자원에 대응되는 스피커와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구동 모듈은 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사운드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입력 자원에 대응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한다.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부호화한다.
상기 카메라부(209)는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광학부를 통해 상기 CCD에 입력된 비트맵 데이터를 획득한다. 상기 비트맵 데이터는 정지 영상의 이미지 데이터와 동영상 데이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상기 무선단말(200)에 구비되는 통신 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Access Point)에 접속한다.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무선 통신에 접속시키는 통신 구성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1)와 버스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201)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201)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상기 무선단말(2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전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전화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단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에 적용되는 통신 규격은 상기 무선단말(200)이 접속하는 무선망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변형 가능한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가 접속하는 무선망의 종류나 이를 구현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일정 거리 이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공중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와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는 무선AP(Access Point)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모듈로서, 바람직하게 13.56M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반이중 방식 또는 전이중 방식의 근접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와 통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부(211)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 측위모듈로 구성되며, 지구 궤도를 공전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단말(200)의 이동 위치 정보를 산정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위치 측위부(211)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과 연계된 통신망 상의 측위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무선단말(200)과 기지국(또는 접속 포인트) 간 주파수 도달 시간(또는 도달 각)을 이용하여 지상파 측위 방식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하는 지상파 측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SIM 리더부(212)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212)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2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프로그램(215)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의 프로그램(215)이 다운로드되어 상기 메모리부(213)에 저장된다. 상기 다운로드된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되거나, 지정된 절차(예컨대, 메시지 수신 또는 NFC 인식 등)에 따라 사용자 확인 후 또는 자동으로 구동(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어느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자동으로 실행(예컨대, 무선단말(200)의 부팅과 동시에 실행, 또는 무선단말(200)의 스케줄러에 의해 실행)되어 TSR(Terminate and Stay Resident) 형태로 동작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대기화면(또는 배경화면)을 점유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여 무선단말(200)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가입 절차부(220)와, 상기 회원으로 가입된 사용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회원 인증 절차부(225)를 구비한다. 한편 프로그램 인증을 기반으로 회원 인증 없이도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경우에 상기 회원 가입 절차부(220)와 회원 인증 절차부(225)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회원 가입 절차부(220)는 상기 프로그램(215)과 연동하는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회원 가입 절차와 연동하는 프로그램(215) 내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상기 화면 출력부(204)를 통해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사용자 정보(예컨대, 성명, 주민등록번호, IPIN정보 등) 및/또는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또는 회원 계정을 입력받는다. 상기 회원 계정이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정보로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별도의 사용자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접속하는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구비하는데, 상기 회원 가입 절차부(220)는 상기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 및/또는 회원 계정을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회원 가입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가입 절차는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회원 인증 절차부(225)는 지정된 정책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회원이 필요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회원 계정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회원 계정을 전송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회원 인증 절차가 수행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원 인증 절차는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받는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30)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30)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과 전화통화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서 수행하는 프로그램 인증의 단말 측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은 상기 프로그램(215)과 운영 서버(100) 사이에 미리 합의된 암/복호화 통신 과정을 수행되며, 편의상 상기 암/복호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값이 설정된 상태로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30)는 상기 고유 값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고유 값을 기반으로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지정된 키 교환 프로토콜에 따른 키 교환 절차를 거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지정된 절차에 따라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프로그램(2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토큰 값(예컨대, 애플사의 APNS에 의해 할당되는 디바이스 토큰 등)이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30)는 지정된 경로에 따라 상기 토큰 값을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프로그램(215)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을 지정된 해시 알고리즘에 따라 해시하여 해시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해시정보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유효한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30)는 상기 해시정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와 교환된 키 값을 더 이용하여 해시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서가 탑재된 상태로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되거나 또는 프로그램(2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지정된 인증서 발급 또는 로밍 절차에 따라 인증서가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30)는 상기 인증서에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상기 인증서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상기 인증서는 지정된 운영 서버(100)의 인증서이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215)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무선단말(200)은 전화통화망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을 통해 운영 서버(100)로부터 발송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30)는 상기 제1 내지 제5 프로그램 인증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인증 방식을 통해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1 내지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을 수행하는 과정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프로그램 인증 절차부(23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메모리부(213) 또는 SE(Secure Element, 무선단말(2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IC(Integrated Circuit)칩, 외부 메모리(예: SD메모리 등)의 내장 칩 중 적어도 하나의 보안저장영역)에 저장된 고유 정보, 또는 상기 무선단말(200)이 상기 무선망 통신부(203)를 통해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 또는 유지하는 과정에서 통신사 측 자원에 의해 할당된 고유 정보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215)이 지정된 운영 서버(100)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215)이 상기 무선단말(2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상기 고유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식매체로 식별하는 식별 정보로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와 연동하여 지정된 근접 거리 이내로 근접한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NFC매체 인식부(235)와, 상기 인식된 소유자의 NFC매체(300)로부터 지정된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인식 정보 확인부(245)와, 상기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식매체로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확인하는 고유 정보 확인부(250)와,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와 상기 고유 정보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255)를 구비한다.
상기 NFC매체 인식부(23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와 연동하여 지정된 근접 거리 이내로 근접한 NFC매체(300)와 지정된 신호를 교환하여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다. 또는 상기 NFC매체 인식부(23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와 연동하여 지정된 근접 거리 이내로 근접한 NFC매체(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가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인식 정보인지 확인한다.
상기 NFC매체 인식부(235)를 통해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거나, 상기 NFC매체(3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소유자의 NFC매체(300)에 정의된 지정된 구조의 인식 정보로 확인되면, 상기 인식 정보 확인부(24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210)를 통해 근접 위치의 NFC매체(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인식 정보 확인부(245)를 통해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기 전, 중, 후의 지정된 어느 시점에, 상기 고유 정보 확인부(250)는 상기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식매체로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 정보 확인부(25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각종 칩, USIM, 메모리부(213), SE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정보를 고유 정보로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예컨대, 씨드로 이용)하여 지정된 정보 구조의 고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전송부(255)는 상기 인식 정보 확인부(245)를 통해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와 상기 고유 정보 확인부(250)를 통해 확인된 고유 정보를 지정된 절차에 따라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지정된 사운드를 인식하거나, 상기 위치 측위부(211)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인식하거나, 상기 카메라부(209)를 통해 지정된 이미지를 인식하거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지정된 근거리 통신을 인식하는 인식 처리부(240)와, 사운드 인식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인식 정보,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인식 정보를 확인하는 인식 정보 확인부(245)를 구비하며, 상기 정보 전송부(255)는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가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사운드 인식 정보, 위치 정보, 이미지 인식 정보,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인식 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상기 사운드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08)를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5 사운드 출력 방식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 정보 확인부(245)는 상기 사운드 인식의 결과에 해당하는 사운드 인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상기 위치 측위부(211)를 통해 무선단말(200)의 위치를 측위 하도록 처리하고, 사익 인식 정보 확인부(245)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상기 카메라부(209)를 통해 제1 또는 제2 이미지 표시 방식에 따라 표시된 이미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 정보 확인부(245)는 상기 이미지 인식의 결과에 해당하는 이미지 인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경우, 상기 인식 처리부(24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202)를 통해 지정된 근거리장치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 정보 확인부(24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결과에 해당하는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그램(215)은, 상기 운영 서버(100)와 연동하여 순방향 전달정보를 수신하는 순방향 전달정보 수신부(260)와, 상기 수신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출력하거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순방향 전달정보 처리부(265)를 구비하며,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의 수신 결과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부(213)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하는 역방향 정보전달 처리부(270)를 구비한다.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NFC매체(300)의 소유자에 대응하는 순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여 전송하는데,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 수신부(260)는 상기 운영 서버(100)로부터 상기 소유자의 순방향 전달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 처리부(265)는 상기 수신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의 종류와 포맷을 확인한 후 상기 수신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역방향 정보전달 처리부(270)는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의 수신 결과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달한다. 만약 상기 운영 서버(100)의 저장매체(125)에 상기 사용자의 역방향 전달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수신 결과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 측 단말(180)로 역방향 전달한다.
한편 상기 운영 서버(100)의 저장매체(125)에 상기 사용자의 역방향 전달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역방향 정보전달 처리부(270)는 메모리부(213)의 지정된 저장영역으로부터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며,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 측 단말(180)로 역방향 전달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NFC매체(300)의 전자 모듈(305)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NFC매체(300)에 내장 또는 탑재되는 전자 모듈(305)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전자 모듈(305)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모듈(305)은, 제어부(310)와 메모리부(345)를 구비하고, NFC를 처리하는 근접 무선 통신부(340)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60)를 구비하거나, 사용자 조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부(3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10)는 상기 전자 모듈(305)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논리 회로를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제어부(310)가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는 실시예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모듈(305)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315)을 본 제어부(31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전자 모듈(305)의 실시 방법이 본 도면3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도면3에서 프로그램(315)의 구성으로 예시한 구성은 논리 회로의 형태로도 구현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메모리부(345)는 상기 전자 모듈(305)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해 구현되는 프로그램(31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를 비롯하여, 상기 전자 모듈(305)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전자 모듈(305)의 각종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345)는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해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대입할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NFC매체(300)에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일련코드, 상기 NFC매체(300)가 이용되는 공간(예컨대, 상점, 건물, 매장 등)을 식별하는 공간식별코드, 상기 NFC매체(300)가 이용되는 용도를 식별하는 용도식별코드 등을 포함하여 각종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345)는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305) 또는 NFC매체(300)에 고유하게 할당된 ID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는 안테나(365)를 이용하여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한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양방향 근접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는 NFC 규격에 포함되지 않는 RFID 규격(예컨대, ISO 18000 시리즈 규격에 포함된 근접 무선 통신 또는 10m 이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의 반이중 무선 통신을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조작부(350)는 상기 전자 모듈(305)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기(355)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10)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10)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3을 참조하면, 전자 모듈(305)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메모리부(345)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320)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330)를 구비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FC매체(300)와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활성 확인부(335)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부(320)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유코드는 상기 전자 모듈(305)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305)이 상기 NFC매체(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NFC매체(300)에 상기 전자 모듈(305)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NFC매체(300)에 전자 모듈(305)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305)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345)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전자 모듈(305)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305)이 상기 NFC매체(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345)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와 사용자 조작부(3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300)에 상기 전자 모듈(305)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305)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345)에 상기 고유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와 사용자 조작부(3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될 고유코드를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고유코드를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33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식 정보는 1회 전송될 수 있으나, 실시 방법에 따라 1회 전송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식 정보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식 정보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NFC매체(300)와 무선단말(200)과 사이에 인식 정보 교환을 위한 근접 통신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의 무선 주파수 신호와 매칭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 모듈(305)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의 안테나(365)로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크기 또는 변화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 모듈(305)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통신은 상기 NFC매체(300)와 무선단말(200) 사이에 지정된 신호를 교환하는 절차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지정된 신호 교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무선단말(200)과의 지정된 신호 교환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되어 있는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305)에 상기 활성 확인부(33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330)는 상기 활성 확인부(335)를 통해 상기 NFC매체(300)와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통신이 형성되었음이 확인된 이후에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3을 참조하면, 전자 모듈(305)의 프로그램(315)은,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지정된 구조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325)와,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하는 전송부(33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345)에 저장하는 저장부(320)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하는 활성 확인부(335)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전자 모듈(305)이 제작되는 시점, 상기 전자 모듈(305)이 상기 NFC매체(300)에 탑재되는 시점, 상기 NFC매체(300)에 상기 전자 모듈(305)이 탑재된 후 지정된 공간에서 이용되기 위해 초기 설정되는 시점, 상기 NFC매체(300)에 전자 모듈(305)이 탑재되어 이용되는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305)이 제작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345)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된 상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전자 모듈(305)의 제작 공정 중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전자 모듈(305)이 상기 NFC매체(300)에 탑재되는 시점에 상기 메모리부(345)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와 사용자 조작부(3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씨드 저장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300)에 상기 전자 모듈(305)이 탑재된 후 초기 설정되는 시점 또는 상기 전자 모듈(305)이 이용되는 중에 상기 메모리부(345)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이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32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와 사용자 조작부(3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될 정적 씨드 값을 수신 또는 입력받고, 상기 수신 또는 입력된 정적 씨드 값을 상기 메모리부(34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325)는 지정된 코드 생성 규칙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포함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정적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에 대입하여 지정된 구조(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생성 규칙은 시간 동기 방식 코드 생성 규칙과 챌린지-리스폰스 방식 코드 생성 규칙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생성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325)는 상기 전자 모듈(305)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32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를 통해 NFC매체(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무선단말(200) 등)로부터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씨드 값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결정된 씨드 값은 시간 값, 챌린지 값, 동적 생성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확장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값이 동적 생성 값인 경우, 상기 생성부(325)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일회용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없이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그대로 일회용코드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동적 생성 값을 지정된 구조로 가공하여 일회용코드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330)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 상기 인식 정보는 1회 전송될 수 있으나, 실시 방법에 따라 1회 전송 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인식 정보의 전송을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하는 것은, 상기 인식 정보를 인식하는 무선단말(200)로 하여금 상기 인식 정보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NFC매체(300)와 무선단말(200)과 사이에 인식 정보 교환을 위한 근접 통신이 활성화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의 무선 주파수 신호와 매칭되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해 상기 전자 모듈(305)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근접 무선 통신부(340)의 안테나(365)로 수신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의 크기 또는 변화를 인식하여 상기 전자 모듈(305) 주변에 무선 장이 형성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접 통신은 상기 NFC매체(300)와 무선단말(200) 사이에 지정된 신호를 교환하는 절차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무선단말(200)과 지정된 신호 교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활성 확인부(335)는 상기 무선단말(200)과의 지정된 신호 교환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200)에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되어 있는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모듈(305)에 상기 활성 확인부(335)가 구비된 경우, 상기 전송부(330)는 상기 활성 확인부(335)를 통해 상기 NFC매체(300)와 무선단말(200) 사이에 근접 통신이 형성되었음이 확인된 이후에 상기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소유자의 NFC매체(300)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매체(30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와 상기 소유자 측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측으로 순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NFC매체(300)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소유자 측 단말(180)은 NFC매체(300)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정보를 등록 요청하고(400),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부터 소유자 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405). 상기 소유자 정보는, 상기 NFC매체(300)를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식별정보와 상기 소유자 측으로부터 사용자 측으로의 순방향 정보 전달과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측으로부터 소유자 측으로 전달되는 역방향 전달정보를 수신할 소유자 측 단말(180)(또는 특정 프로그램이 구동된 상태의 소유자 측 단말(18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해당 소유자가 소유하고 있는 NFC매체(300)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한 결과로서 상기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등록 요청하고(410),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 정보를 소유자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415).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NFC매체(300)에 구비된 고유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NFC매체(300)에서 일회용코드가 동적 생성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NFC매체(300) 내에서 동적 생성되는 일회용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 정보,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 동적 씨드 값을 결정하는 규칙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소유자의 NFC매체(300)가 인식되는 시점에 사운드, 위치, 이미지, 근거리 통신 중 적어도 하나가 추가(또는 자동) 인식되는 경우,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사운드 인증을 위한 사운드 인증 정보, 위치 인증을 위한 위치 인증 정보, 이미지 인증을 위한 이미지 인증 정보, 근거리 통신 인증을 위한 근거리 통신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공간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등록 요청하고(420),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부터 공간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공간 인증 정보를 소유자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425).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중에서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할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200)로 순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등록 요청하고(43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부터 순방향 전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소유자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435).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할 인식매체 등록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지정된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을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식매체로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식매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무선단말(200)의 사용자이면서 동시에 프로그램(215)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하는 절차를 수행하고(500),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 및 프로그램(215)의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 처리한다(505).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운영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51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제1 내지 제6 프로그램 인증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을 인증 처리한다(515).
만약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프로그램 인증 오류를 제공하고,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을 상기 프로그램 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520).
한편 상기 프로그램(215)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인증된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무선단말(200)을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식매체로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52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미래의 어느 시점에 인식될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에게 역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등록 요청하고(53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역방향 전달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인식매체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또는 사용자 정보)와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25)에 저장한다(535).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소유자에게 귀속된 NFC매체(300) 인식을 기반으로 양방향 정보 대상을 식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프로그램(215)이 구비된 무선단말(200)로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시킴으로써 상기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와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매체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양방향 정보 교환 대상 식별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편의상, 본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은 사운드 인식/인증, 위치 인식/인증, 이미지 인식/인증, 근거리 통신 인식/인증 등은 생략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6을 참조하면,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근접 무선 통신(NFC)을 통해 특정 소유자에게 귀속된 NFC매체(300)를 인식한다(600). 소유자의 NFC매체(300)도 무선단말(200)과의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되는지 인식하고(605), 상기 근접 무선 통신이 활성화됨에 따라 고유코드와 일회용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를 구성하여(610), 근접 무선 통신을 통해 무선단말(200)로 전송한다(615).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를 확인하고(620), 상기 프로그램(215)이 구동된 상태의 무선단말(200)을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하는 인식매체로 식별하기 위한 고유 정보를 확인한 후(625),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로부터 인식된 인식 정보와 상기 인식매체 식별을 위한 고유 정보를 지정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630).
상기 운영 서버(100)는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와 인식매체 식별을 위한 고유 정보를 수신하고(635),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 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인식매체 식별을 위한 고유 정보를 인증한다(640).
만약 상기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 중 어느 하나라도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인증 오류를 전송하고(645), 상기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인증 오류를 수신하여 출력한다(650).
반면 상기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가 인증되면,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인증된 인식 정보에 대응하는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를 식별하고(655),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인증된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식별한다(660).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양방향 정보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식별된 소유자 측과 사용자 측 사이에 양방향 정보 교환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양방향 정보 교환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운영 서버(100)는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식별된 소유자 측의 순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고(700),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소유자의 NFC매체(300)를 인식한 인식매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 상기 확인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순방향 전달한다(705).
상기 인식매체에 대응하는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NFC매체(300)를 소유한 소유자의 순방향 전달정보를 순방향 수신하고(710), 상기 순방향으로 전달된 소유자의 순방향 전달정보를 출력하고,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715).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은 상기 순방향 수신 결과를 운영 서버(100)로 전송하거나(720),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720).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순방향 정보 전달과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수신된 순방향 수신 결과를 근거로 NFC매체(300)의 소유자 측으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거나(725),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소유 무선단말(200)의 프로그램(215)으로부터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를 수신한다(725).
상기 운영 서버(100)는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로 상기 확인된 사용자 측의 역방향 전달정보를 역방향 전달하고(730), 상기 소유자 측 단말(180)은 상기 NFC매체(300)를 인식한 사용자의 역방향 전달정보를 역방향 수신하고(735), 상기 역방향으로 전달된 사용자의 역방향 전달정보를 출력하고,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740).
100 : 운영 서버 105 : 소유자 등록부
110 : 인증 정보 등록부 115 : 순방향 전달정보 등록부
120 : 인식매체 등록부 125 : 저장매체
130 : 정보 수신부 135 : NFC매체 인증부
140 : 인증 처리부 145 : 소유자 식별부
150 : 인식매체 인증부 155 : 사용자 식별부
160 : 인증 결과 확인부 165 : 순방향 정보 전달부
170 : 역방향 전달정보 확인부 175 : 역방향 정보 전달부
180 : 소유자 측 단말 200 : 무선단말
300 : NFC매체

Claims (8)

  1. 사용자의 무선단말과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NFC매체를 소유한 소유자를 식별하는 소유자 정보와 상기 NFC매체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정보와 상기 소유자 측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특정될 사용자 측으로 순방향 전달할 순방향 전달정보를 연계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과 통신하여 상기 특정 프로그램을 고유 식별하여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특정 프로그램은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는 제2 단계;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제3 단계;
    상기 서버는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NFC매체를 통해 인식된 코드를 포함하는 인식 정보와 상기 특정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고유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하는 제4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인증 정보를 통해 상기 인식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 정보를 통해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이 구동 중인 상태를 인증한 결과를 확인하는 제5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인식 정보와 고유 정보를 모두 인증한 경우 상기 인증 정보와 매핑 저장된 순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 순방향 전달하는 제6 단계;
    상기 서버는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의 순방향 전달이 확인되면 상기 식별 정보를 근거로 상기 소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할 역방향 전달정보를 확인하는 제7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확인된 역방향 전달정보를 상기 소유자 측 단말로 역방향 전달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식별 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거나,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의 전달과 연계되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NFC매체에 기록된 고유코드, 상기 NFC매체에서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식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NFC매체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사운드 인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운드 인식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사운드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NFC매체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위치 측위부를 통해 인식된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위치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NFC매체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카메라부를 통해 인식된 이미지 인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이미지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는,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구동된 특정 프로그램을 통해 NFC매체가 인식되는 시점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인식된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 인식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정보는, 무선단말에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후 수행된 하나 이상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이나 결과로서 확인되어 상기 무선단말의 지정된 매체에 저장된 정보,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고유 정보와 비교 인증되는 정보, 또는 지정된 검증 연산을 통해 상기 고유 정보를 인증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소유자의 명함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역방향 전달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명함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KR1020130097504A 2013-08-16 2013-08-16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KR102149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504A KR102149550B1 (ko) 2013-08-16 2013-08-16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504A KR102149550B1 (ko) 2013-08-16 2013-08-16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971A KR20150019971A (ko) 2015-02-25
KR102149550B1 true KR102149550B1 (ko) 2020-08-28

Family

ID=5257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504A KR102149550B1 (ko) 2013-08-16 2013-08-16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5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9534A1 (en) 2011-09-01 2013-03-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Consumer Product Interes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4661A (ko) * 2011-05-04 2012-11-14 (주)시루정보 전자명함 관리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전자명함 관리장치 및 이동단말기
KR20130018061A (ko) * 2011-08-12 2013-02-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비연결형 네트워크 씨드를 이용한 일회용코드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330670B1 (ko) * 2011-12-14 2013-11-19 비씨카드(주) 결제 방법 및 그를 위한 결제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9534A1 (en) 2011-09-01 2013-03-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Consumer Product Inte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971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96569A1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Provisioning
KR101541600B1 (ko)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매체 기반 거래 연동 오티피 제공 방법
KR20080036446A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20061022A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망의 발신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발신측 장치, 착신 단말 및 프로그램
KR20120089388A (ko)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망의 발신자 인증을 요청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발신측의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102172855B1 (ko) 사용자의 휴대형 매체를 이용한 매체 분리 기반 서버형 일회용코드 제공 방법
KR102149550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정보 교환 방법
KR102193696B1 (ko) 카드를 이용한 일회용코드 기반 안심 로그인 방법
KR102179428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역방향 가치 적립 방법
KR102142722B1 (ko) 형상 터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972972B1 (ko) 근접 통신을 이용한 매체 분리 방식의 일회용코드 운영 방법
KR102145071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역방향 가치 사용 방법
KR20190048263A (ko) 블루투스 이어폰을 이용한 일회용 인증코드 제공 방법
KR101993357B1 (ko) 가변데이터 인식을 이용한 인증 방법
KR102006987B1 (ko) 에스디메모리를 이용한 오티피 생성 방법
KR102206880B1 (ko) 전자식 터치 장치
KR102142723B1 (ko) 형상 터치를 이용한 정보 선택 방법
KR102144128B1 (ko) 동시 터치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101592070B1 (ko) 코드 이미지를 이용한 보안 중계 방법
KR101904458B1 (ko) 자원 할당을 이용한 일회용코드 운영 방법
KR102062404B1 (ko) 터치 인증 기반 명함 전달 방법
KR101445001B1 (ko) Nfc를 이용한 종단간 보안 결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01649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1651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56471A (ko) 차량항법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