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517B1 - 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 - Google Patents

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517B1
KR102149517B1 KR1020180124145A KR20180124145A KR102149517B1 KR 102149517 B1 KR102149517 B1 KR 102149517B1 KR 1020180124145 A KR1020180124145 A KR 1020180124145A KR 20180124145 A KR20180124145 A KR 20180124145A KR 102149517 B1 KR102149517 B1 KR 102149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upling
portable terminal
fixed body
detach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1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3609A (en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2018012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517B1/en
Publication of KR2020004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6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 예컨던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장치 또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된 카메라 렌즈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렌즈로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교환형 모듈과, 교환형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수용부를 구비하되, 모듈 수용부는 휴대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홈 형상의 홈부를 포함하며, 홈부의 내측에는 휴대 단말기의 기판과 소통하는 통신연결홈이 형성되고, 교환형 모듈은, 모듈 수용부의 홈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몸체부와, 고정몸체부에 결합되며 렌즈유닛을 구비한 탈착몸체부를 포함하며, 교환형 모듈은 탈착몸체부가 고정몸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for example a portable device 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a camera lens built in the terminal body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provide various types of lenses desired by the user. It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that can be replaced and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and has an interchangeable module and a module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interchangeable module is mounted, wherein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t includes a groove-shaped groove formed,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ubstr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formed inside the groove, and the exchangeable module is coupled to a fixed body fixedly installed in the groove of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and the fixed body. And it includes a detachable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lens unit, the interchangeable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body part is detached from the fixed body in a sliding manner.

Description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interchangeable lens module {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 예컨던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 장치 또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된 카메라 렌즈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렌즈로 교체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for example, a portable device or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a camera lens built in the terminal body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provide various types of lenses desired by the user. It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that can be replaced and used for various purposes.

휴대 단말기는 소비자의 욕구에 맞추어 초소형화, 다기능화 추세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에 맞추어,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도 개발되어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Portable terminals are developing in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and multifunctionalization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consumers.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has also been developed and its use is gradually increasing.

휴대 단말기 카메라에 사용될 수 있는 렌즈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예를 들어, 표준렌즈보다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로 좁은 공간에서 많은 피사체를 기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광각 렌즈, 사용필름의 대각선의 길이와 비슷한 초점 거리를 갖고 있는 렌즈로 사람의 시야율과 비슷한 각도의 표현을 요구할 때 사용되는 표준 렌즈, 표준 렌즈보다 초점 거리가 긴 렌즈로 원근감을 없애고자 할 때 사용되는 망원 렌즈, 초점 거리를 극단적으로 줄여서 왜곡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어안 렌즈 등이 있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lenses that can be used in mobile terminal cameras, for example, a lens with a shorter focal length than a standard lens, a wide-angle lens used to record many subjects in a narrow space, and a focal length similar to the diagonal length of the film used. A standard lens that is used when an angle similar to a human field of view is required as a lens with a distance, a telephoto lens used when a lens with a focal length longer than a standard lens is used to eliminate perspective, and a distorted lens by reducing the focal length extremely There are fisheye lenses that can take pictures.

하지만, 종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지는 렌즈는 단일의 고정된 렌즈만을 장착하고 있어 찍기 어려운 위치에 있는 피사체의 경우 촬영이 불가능하거나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어렵고, 또 다양한 초점거리를 갖는 렌즈로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a conventional lens mounted on a portable terminal is equipped with only a single fixed lens, it is impossible to shoot or accurately shoot a subject in a difficult position, and it is impossible to replace it with a lens having various focal lengths. there is a problem.

이와 같이, 렌즈 기술에 대한 발전에 상응하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에서 렌즈 기능에 대한 질적 향상이 필요한 실정이지만 종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렌즈 교체가 불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lens technology, a mobile phone equipped with a camera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a lens function, but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including a lens cannot replace the lens.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 단말기 카메라의 전방에 부착할 수 있는 서브렌즈들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지만 서브 렌즈들을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앞에 장착하는 경우 촬영된 이미지의 화질이 저하되고 또한 휴대 단말기에 외장 렌즈를 끼우게 되는 경우 외장 렌즈가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당히 돌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휴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o solve this problem, sub-lense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mobile terminal camera are sold in the market. However, if the sub-lenses are mounted in front of the mobile terminal's camera, the quality of the captured image is degraded and an external lens is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inser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because the external lens protrudes considerab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휴대 단말기에 제공된 카메라 렌즈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각 또는 종류의 렌즈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conceiv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a camera lens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can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easily replaced with a lens of an angle of view or a type desired by the us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교환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교환형 모듈과, 교환형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수용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듈 수용부는 휴대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홈 형상의 홈부를 포함하며, 홈부의 내측에는 휴대 단말기의 기판과 소통하는 통신연결홈이 형성되고, 교환형 모듈은, 모듈 수용부의 홈부에 고정 설치되되, 통신연결홈에 삽입되어 휴대 단말기의 기판에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통신선단자를 포함하고, 일측면에는 이미지센서를 갖는 센서부와, 통신선단자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접점들을 가진 접점부가 마련되는 고정몸체부; 및 고정몸체부에 결합되며, 고정몸체부의 센서부에 대응하여 위치되는 렌즈유닛을 구비한 탈착몸체부를 포함하며, 교환형 모듈은 탈착몸체부가 고정몸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exchang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changeable module and a module receiving part in which the exchangeable module is mounted, wherein the module receiving part is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t includes a groove in the shape of a groove formed in the groove,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groove for communicating with the substrate of the mobile terminal is formed inside the groove, and the exchangeable module is fixedly installed in the groove of the module accommodating part and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groove. A fixed body portion including a communication front terminal protruding to be connected to a substrate of, and having a sensor portion having an image sensor on one side thereof and a contac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front terminal; And a detachable body part coupled to the fixed body part and having a lens unit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part of the fixed body part, and the exchangeable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tachable body part is detached from the fixed body part in a sliding manner.

또한, 고정몸체부의 일부분에는 탈착몸체부가 고정몸체부로 슬라이딩 결합할 때 렌즈 모듈을 미리정해진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렌즈 모듈 수용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일부분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결합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탈착몸체부는 결합 안내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fixed body further includes a coupling guide portion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sidewall forming the lens module receiving portion to guide the lens modul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detachable body is slidingly coupled to the fixed body, and the detachable body Th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guide portion.

그리고, 고정몸체부의 결합 안내부와 탈착몸체부의 결합부에는, 탈착몸체부가 상측으로부터 하향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진입이격공간을 더 포함하며, 탈착몸체부는 진입이격공간을 통해 고정몸체부에 하향 진입한 뒤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upling guide portion of the fixed body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etachable body further include an entry separation space formed to allow the detachable body to enter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and the detachable body enters downward to the fixed body through the entry separation sp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sliding after one.

더욱이, 교환형 모듈의 고정몸체부에는 양측벽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탈착몸체부에는 탈착몸체부를 고정몸체부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속수단이 더 구비되며, 결속수단은 탈착몸체부의 양측벽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진퇴하며 결합공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부와, 탄성 돌기부의 내측에 연결되어 탄성 돌기부를 수축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결속수단은 레버부의 조작에 의해 탄성 돌기부와 결합공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coupl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fixed body of the exchangeable module, and the detachable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binding means for coupling or separating the detachable body to the fixed body, and the binding means is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detachable body. And an elastic protrusion that is elastically advanced and retracted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a lever part that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elastic protrusion to contract the elastic protrusion, and the binding means releases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astic protrusion and the coupling hole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part. Characterized in that.

이에 더하여, 결속수단의 레버부는 조작부위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되, 탈착몸체부의 외부 표면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ver portion of the binding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operation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located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able body portion.

또한, 홈부와 교환형 모듈 사이에는 접촉 부위에 대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고, 고정몸체부의 센서부의 둘레와 탈착몸체부와의 접촉 부위에 대해 기밀을 유지하는 센서패킹부재가 더 구비되어서, 이중으로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ck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groove part and the exchangeable module to maintain airtightnes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art, and a sensor pack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to maintain airtightness about the circumference of the sensor part of the fixed body part and the contact part with the detachable body part. As a resu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block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double.

한편, 교환형 모듈은 렌즈 유닛이 장착된 렌즈모듈, 스피커 유닛이 장착된 스피커모듈, 조명 유닛이 장착된 조명모듈, 또는 스위치 유닛이 장착된 스위치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interchangeable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one of a lens module equipped with a lens unit, a speaker module equipped with a speaker unit, a lighting module equipped with a lighting unit, or a switch module equipped with a switch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에 제공된 카메라 렌즈를 쉽게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화각 또는 종류의 렌즈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특히 교환모듈을 휴대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되 잠금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중에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 외에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원하는 모듈로의 교체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lens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lens of the angle of view or type desired by the user, and in particular, the replacement module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portable device, but is being used by providing a locking device. To prevent unintentional separation.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amera,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desired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모듈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모듈의 분리/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모듈의 분리/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결속수단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모듈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a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etachable/mounted state of the modul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etachable/mounted state of the module.
7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binding means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various forms.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ccordingly, in some embodiments, well-known components, well-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have not been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ed to) are for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elements and operations referred to as'comprising (or hav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 장치(D)와 교환형 렌즈모듈(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rtable device D and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도 1의 (a)는 교환형 렌즈모듈(M)이 휴대 장치(D)에 장착된 형태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교환형 렌즈모듈(M)이 휴대 장치(D)로부터 분리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a) shows a form in which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mounted on the portable device (D), Figure 1 (b) shows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separated from the portable device (D). It is a figure showing the form.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교환형 렌즈모듈(M)은 휴대 장치(D)에 기본적으로 슬라이딩 형식으로 체결되고 분리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a) and (b) of FIG. 1, the interchangeabl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fixed and separated from the portable device D in a basic sliding manner.

도 2 내지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to 4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장치(D)에는 교환형 렌즈모듈(M)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 모듈 수용부(100)가 일측에 마련된다.As shown in FIG. 2, a module module accommodating part 100 for accommodat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D.

모듈 수용부(100)는 휴대 장치(D)의 일측면 상에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되 교환형 렌즈모듈(M)이 삽입되는 입구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홈부(110)를 포함하며, 홈부(110)의 내측에는 교환형 렌즈모듈(M)과 전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연결홈(120)이 형성된다.The module accommodating part 100 includes a groove 110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on one side of the portable device D and formed to open the entrance side into which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inserted, and the groove 110 A communication connection groove 120 for electr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formed on the inside of ).

이러한 통신연결홈(120)에는 후술할 교환형 렌즈모듈(M)의 통신선 단자(200a)가 삽입되어서 휴대 장치(D)의 기판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통신연결홈(120)의 둘레에 실리콘과 같은 실링재로 막음 처리하여 단말기의 내부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line terminal 200a of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groove 120 to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of the portable device 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terminal by blocking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groove 120 with a sealing material such as silicon.

여기서, 모듈 수용부(100)에 형성된 홈부(110)에는 패킹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패킹부재(111)는 교환형 렌즈모듈(M)과의 접촉 면적에 대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Here, a packing member 111 may be provided in the groove 110 formed in the module receiving part 100, and the packing member 111 maintains airtightnes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area with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t can block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패킹부재(111)는 홈부(110)의 내측 둘레와 하면에 걸쳐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고무 등과 같은 기밀성과 탄력성을 보유한 재질로 일체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다르게 교환형 렌즈모듈(M)을 탈착할 때 마찰이 작용하는 외측 부분에 대해서는 내마모성 재질을 사용하고 내부에는 적정의 탄력을 가진 이종재질을 사용하여 2중의 패킹으로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packing member 111 may be fixed in a manner that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groove 110 by an adhesive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member of a material having airtightness and elasticity such as rubber. When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detached, abrasion-resistant material is used for the outer part where friction acts, and a different material having an appropriate elasticity is used in the inner part to form a double packing.

또한, 홈부(110)에는 패킹부재(111)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패킹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패킹부재(111)의 일부를 삽입한 상태로 부착 고정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패킹부재(111)의 유동을 막아 교환형 렌즈모듈(M)과의 결합시 패킹부재(111)가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separate packing groove (not shown)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packing member 111 in the groove 110, a part of the packing member 111 may be attached and fix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By blocking the flow of 111, the packing member 11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outward when combined with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111)가 홈부(110)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후술할 고정몸체부(200)의 외면에 구비되어서 홈부(110)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교환형 렌즈모듈(M) 측에 패킹부재가 구비되는 실시예로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ing member 111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o be provided in the groove portion 110, but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body portion 200 to be described later to maintain airtightness with the groove portion 110. May be provided.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an embodiment in which a packing member is provided on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side.

한편, 교환형 렌즈모듈(M)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장치(D)의 모듈 수용부(100), 즉 홈부(110) 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바, 모듈 수용부(10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몸체부(200)와, 고정몸체부(200)에 탈착되는 탈착몸체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교환형 렌즈모듈(M)은 고정몸체부(200)가 휴대 장치(D)의 모듈 수용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탈착몸체부(300)가 고정몸체부(2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됨으로써 휴대 장치(D)에 연결된다.Meanwhile,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100 of the portable device D, that is, the groove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 It comprises a fixed body portion 200 fixed to 100) and a detachable body portion 300 that is detachable from the fixed body portion 200. That is,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detachable from the fixed body portion (200) to the fixed body portion (200) while the fixed body portion (200) is fixed to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100) of the portable device (D). By being coupled, it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device D.

구체적으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몸체부(200)는 모듈 수용부(100)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모듈 수용부(100)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210) 및 베이스 프레임(210)에 장착되는 이미지센서 기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fixed body portion 200 may be fixedly installed to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100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and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100 It comprises a base frame 210 fixed to the base frame 210 and an image sensor substrate 220 mounted on the base frame 210.

베이스 프레임(210)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둘레에는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측벽이 형성된다. 즉, 베이스 프레임(210)은 홈부(110)의 내면에 대응하도록 바닥면과 측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탈착몸체부(300)의 슬라이딩 결합이 용이하도록 입구측이 개방된(측벽이 없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210)은 모듈 수용부(100)에 고정되는바, 바닥면이 홈부(110)에 체결됨으로써 휴대 장치(D)에 결합된다.The base frame 2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sidewalls bent upwardly around the circumferenc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frame 210 has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110, and the inlet side is opened to facilitate sliding coupling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as shown in the drawing. It can be formed in a shape (without side walls). The base frame 210 is fixed to the module accommodating part 100, and the bottom surface is fastened to the groove part 110 to be coupled to the portable device D.

여기에서, 베이스 프레임(210)의 저면에는 이미지센서 기판(220)이 장착되며, 프레임 바디의 저면은 이미지센서 기판(22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상향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베이스 프레임(210)의 단차진 저면부에 이미지센서 기판(220)이 장착되고, 둘레측이 나사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모듈 수용부(100)에 고정된다. Here, the image sensor substrate 22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2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body is formed to be stepped upward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image sensor substrate 220 can be mounted. In this way, the image sensor substrate 220 is mounted on the stepped bottom of the base frame 210, and the circumferential side is fixed to the module receiving unit 100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screws.

이미지센서 기판(220)은 스마트폰과 연결되어 교환형 렌즈모듈(M)을 전기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210)의 저면에 장착되고, 일측에 통신선 단자(200a)가 돌출되게 구비되어서 휴대 장치(D)의 통신연결홈(120)에 삽입됨에 따라 스마트폰과 전기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미지센서 기판(220)의 상면에는 이미지센서로서 센서부(221)가 구비되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CCD로 탑재되며, 이와 인접하게는 교환형 렌즈모듈(M)과 전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접점이 형성된 접점부(222)가 구비된다.The image sensor board 220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to electrically operate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and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210, and a communication line terminal 200a is provided to protrude on one side. As it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groove 120 of the portable device D,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electrically with the smartphone. The upper surface of the image sensor substrate 220 is provided with a sensor unit 221 as an image sensor. In this embodiment, for example, it is mounted as a CCD, and adjacent thereto, for electr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A contact portion 222 in which a plurality of contact points are formed is provided.

한편, 이미지센서 기판(220)의 센서부(221)에는 CCD를 보호하기 위한 필터 및 보호유리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물질 유입을 막기 위해 센서 패킹부재(221a)가 둘레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센서 패킹부재(221a)는 전술한 패킹부재(111)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이미지센서 기판(220)의 센서부(221)에 형성되지 않고서 이 센서부(221)를 덮는 탈착몸체부(300) 상에 센서패킹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unit 221 of the image sensor substrate 220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 and protective glass to protect the CC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or packing member (221a) is provided around the periphery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 In this case, the sensor packing member 221a may be u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acking member 111 described above, and as another embodiment, it covers the sensor part 221 without being formed on the sensor part 221 of the image sensor substrate 220. A sensor pack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또한, 베이스 프레임(210)의 바닥면에는 이미지센서 기판(220)의 센서부(221)와 접점부(222)가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1 및 제2 관통공(210a, 210b)이 마련된다. 이들 관통공(210a, 210b)을 통해 센서부(221)와 접점부(222)가 일부분 삽입되어 각각 소통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210a and 210b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frame 210 so that the sensor unit 221 and the contact unit 222 of the image sensor substrate 220 are exposed. . The sensor unit 221 and the contact unit 222 are partially inserted through these through-holes 210a and 210b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여기에서, 베이스 프레임(210)의 측벽에는 탈착몸체부(300)의 탄성 돌기부(341)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211)이 형성된다. 결합공(211)은 탈착몸체부(300)가 진입되는 측벽의 입구측에 홈 또는 관통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탈착몸체부(300)가 고정몸체부(200)에 장착될 때 탄성 돌기부(341)가 결합공(211) 내에 삽입됨으로써 탈착몸체부(3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Here, a coupling hole 211 for coupling with the elastic protrusion 341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base frame 210. The coupling hole 21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r a through hole at the entrance side of the side wall into which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enters, and elasticity whe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mounted on the fixed body part 200 Since the protrusion 34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1, the detachment of the detachable body 300 is prevented.

이때, 베이스 프레임(210)에는 탄성 돌기부(341)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유도하는 삽입경사면(211a)이 결합공(211)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경사면(211a)은 탈착몸체부(300)의 진입 방향에 대해 결합공(211)의 위치보다 후방측인 베이스 프레임(210)의 측벽 단부면에 형성되는데, 양측의 결합공(211)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외향 경사진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외측에서 진입하는 탈착몸체부(300)의 탄성 돌기부(341)가 외측 부분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진 삽입경사면(21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삽입경사면(211a)에 의해 탄성 돌기부(341)를 진입 방향에 대하여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결합공(211)의 위치에서는 탄성 돌기부(341)가 걸림 작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base frame 210 may have an insertion slanted surface 211a that induces an easy entry of the elastic protrusion 341 around the coupling hole 211.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211a is formed on the end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base frame 210 that is rearward than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211 with respect to the entry direction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and is rearward from the coupling hole 211 on both sides. It is formed to be inclined along a direction inclined outward toward the side. That is, the elastic protrusion 341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entering from the outside guides the movement along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211a inclined inward from the outer part, and the elastic protrusion part by the insertion inclined surface 211a ( 341 is press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entry direction, and a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211, the elastic protrusion 341 can be engaged.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210)의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후술할 탈착몸체부(3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안내부(2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base frame 210 may have a coupling guide portion 212 protruding to induce a stable coupling of the detachable body portion 300 to be described later.

결합안내부(212)는 탈착몸체부(300)가 슬라이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데, 탈착몸체부(300)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측벽을 따라 양측에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도 5에 도시됨),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양측에 복수의 쌍으로 구비되어 날개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도 6에 도시됨). 또한, 결합안내부(212)는 도면상에서 베이스 프레임(210)의 측벽의 하측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체 모듈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210)의 측벽 중간 부분이나, 상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guide part 212 guides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to be inserted in a sliding manner, and may be formed generally long on both sides along the sidewall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Fig. 5). Shown), may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irs on both sides to protrude in the form of wings (shown in FIG. 6). In addition, the coupling guide 212 is shown to b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base frame 210 in the drawing, but depending on the size or structure of the entire module, the middle portion or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wall of the base frame 210 Can be formed.

이때,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안내부(212')가 베이스 프레임(210)의 측벽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탈착몸체부(300)가 삽입되는 길이를 증가시켜 슬라이딩 구간을 연장시키고,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탈착몸체부(300)와의 결합 상태를 좀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ure 5, when the coupling guide portion 212' is formed long along the sidewall of the base frame 210, sliding by increasing the length into which the detachable body portion 300 is inserted. By extending the section and increasing the contact area, it has the advantage of maintaining a more stable bonded state with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반면에,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안내부(212")가 양측에 적어도 두 쌍의 날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도 6의 (b)와 같이, 탈착몸체부(300)가 날개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통해 상측에서 삽입되는 상태에서 슬라이딩 결합을 유도할 수 있어, 슬라이딩 구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전자에 비해 탈착시 상대적으로 짧은 슬라이딩 동작으로 인해 간편하게 탈착몸체부(300)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즉, 도 5의 구성에 비해 중간 지점 혹은 더 앞쪽 지점에서 탈착몸체부(300)를 삽입하여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으므로, 결합 및 분리 동작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pling guide part 212"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pairs of wings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6(a), as shown in FIG. 6(b),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t is possible to induce a sliding coupling while being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hrough a space spaced between the wings, and as the sliding section is shortened,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easily removed due to a relatively short sliding operation when detaching compared to the form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coupled or separated, that is, compared to the configuration of Fig. 5, since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can be inserted and slidably coupled at an intermediate point or a further front point, the coupling and detachment operation can be made easier. I can.

더욱이, 결합안내부(2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몸체부(300)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유도하는 안내경사면(21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안내경사면(212a)은 결합안내부(212)의 후방측의 부분에 진입 방향에 대해 소정 경사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후방측에서 삽입되는 탈착몸체부(300)의 결합부(311)가 결합안내부(212)에 안정적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안내경사면(212a)은 특히, 도 6의 구조로 형성된 경우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하여 슬라이딩 결합함에 따라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도 5의 구조인 경우에도 탈착몸체부(300)의 진입측 단부의 슬라이딩 진입 동작을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Moreover, as shown in FIG. 3, the guide inclined surface 212a for guiding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to be easily entered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coupling guide part 212. The guide inclined surface 212a is a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slope with respect to the entry direction at the rear side of the coupling guide 212, and the coupling part 311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nserted from the rear side is coupled. It is induced to stably enter the guide 212. This guide inclined surface (212a), in particular, when formed in the structure of Figure 6 can be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o act advantageously as a sliding coupling, even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of Figure 5, the entry side end of the detachable body portion 300 It is guided to easily perform the sliding entry motion of.

이에 더하여, 결합안내부(212)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탈착몸체부(300)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제1 탄성가압부재(2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탄성가압부재(213)는 판형 스프링 등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안내부(212)를 통해 결합되는 탈착몸체부(300)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가압함에 따라 밀착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으며, 높아진 밀착력에 의해 결합안내부(212)에 장착되는 탈착몸체부(300)의 상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탄성가압부재(2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안내부(212)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탈착몸체부(300)의 결합부(311)를 가압하게 된다.In addition, a first elastic pressing member 213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guide part 212 to increase adhesion with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The first elastic pressing member 213 may be provided with a member such as a plate-shaped spring, and may increase adhesion by pressing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coupled through the coupling guide 212 upward or downwar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ertical flow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mounted on the coupling guide part 212 by the increased adhesion. 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pressing member 213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guide 212, as shown in FIG. 3, and is a coupling part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311) is pressed.

한편, 베이스 프레임(210)에는 탈착몸체부(300)의 결합시 밀착력을 높이고, 탈착몸체부(300)의 분리시에는 일정 가압력으로 후퇴시키는 제2 탄성가압부재(2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탄성가압부재(2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측에 설치되는바, 바람직하게는 양측의 측벽을 연결하는 내측 측벽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se frame 2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cond elastic pressing member 214 that increases adhesion whe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coupled, and retreats with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whe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separated. .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elastic pressing member 21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ase frame 210, and may preferably be provided on an inner side wall connecting the side walls of both sides.

이러한 제2 탄성가압부재(214)는 고정몸체부(200)에 결합되는 탈착몸체부(300)의 결합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가압력을 행사하며, 탈착몸체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가압력에 의해 탈착몸체부(300)와 고정몸체부(2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후술할 결속수단(340)의 작동에 의해 분리 작동이 이뤄질 경우에는 탈착몸체부(300)가 이탈하는 방향측으로 일정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탈착몸체부(300)를 후퇴 이동시키게 하여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유도한다.This second elastic pressing member 214 exerts a press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coupled to the fixed body part 200, and whe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coupled, the pressing force By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and the fixed body part 200, and when the detachment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binding means 34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separated By providing a certain pressing force to the side,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moved backward and induces the detachment operation to be easily performed.

이러한 고정몸체부(200)에는 탈착몸체부(300)가 결합되는바, 탈착몸체부(300)는 고정몸체부(200)의 베이스 프레임(210)에 결합되는 밑판(310)과, 밑판(310)의 상면에 장착되는 렌즈유닛기판(320)과, 밑판(310) 및 렌즈유닛기판(320)을 덮고 교환형 렌즈모듈(M)의 외측 바디를 형성하는 윗판(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detachable body part 300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part 200, and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has a base 310 coupled to the base frame 210 of the fixed body part 200, and a base 310 ), and a top plate 330 that covers the bottom plate 310 and the lens unit substrate 320 and forms an outer body of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밑판(310)은 탈착몸체부(300)의 하측 부분을 구성하며, 고정몸체부(200)의 베이스 프레임(210)에 실질적으로 끼워지는 부분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장착되는 렌즈유닛기판(320)이 전술한 센서부(221)의 접점부(222)와 소통될 수 있도록 복수의 소통공(310a, 310b)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밑판(310)에는 베이스 프레임(210)의 결합안내부(212)에 끼워지도록 양측에 결합부(311)가 돌출 형성된다. The bottom plate 310 constitutes a lower part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and is a part that is substantially fitted to the base frame 210 of the fixed body part 200,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310a and 310b are formed through the lens unit substrate 320 to be mount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act portion 222 of the sensor unit 221 described above. The base plate 310 has coupling portions 311 protruding on both sides so as to fit into the coupling guide portion 212 of the base frame 210.

이 결합부(311)는 결합안내부(212)가 레일식으로 끼워지는 레일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안내부(212)의 하면으로 진입되도록 돌출날개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부(311)의 형태는 고정몸체부(200)의 결합 안내부(212)의 형태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결합부(311)는 결합안내부(212)의 하면에 장착된 제1 탄성가압부재(21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하로의 유동이 제한된다.The coupling part 311 may be formed as a rail groove in which the coupling guide part 212 is fitted in a rail type,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ding wing to enter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guide part 212 Can be. That is, the shape of the coupling part 311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guide part 212 of the fixed body part 200. As the coupling part 311 is pressed downward by the first elastic pressing member 213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guide 212, the vertical flow is restricted.

이때, 결합부(31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310)의 양측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310)의 양측에 소정 간격 거리를 두고 이격된 한 쌍의 돌출날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art 311 is formed to protrude elongated along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310 as shown in FIG. 5, or as long as it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310 as shown in FIG.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with a pair of protruding wings.

여기에서, 결합부(31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안내부(212)로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전방측면이 후방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진입경사면(311a)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앞서 설명한 경사면들과 유사한 구조 및 작동 방식으로 수행된다.Here, the coupling part 311 may be provided with an entrance inclined surface 311a in which the front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side so as to facilitate entry into the coupling guide 212 as shown in FIG. 3. And it is performed in a similar structure and operation manner to the previously described slopes.

렌즈유닛기판(320)은 밑판(310)의 상면에 나사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로 고정되며, 그 상면에는 렌즈유닛(321)이 탑재되고, 저면에는 본체와의 연결을 위하여 접점부(222)와 대응하도록 복수의 접점단자(미도시)를 갖는 접점단자부(322)가 하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상에 렌즈유닛기판(320)의 상면에 접점단자부(322)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렌즈유닛(321)의 연결을 위한 단자부로서 상면에 형성되고 기판의 저면에는 고정몸체부(200)의 접점들과 대응하는 접전단자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접점단자부(322)는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축 작용하는 통상의 단자형태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접점부(222)와 접속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lens unit substrate 32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wit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screws, and the lens unit 32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ntact part ( A contact terminal portion 322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not shown) to correspond to the 222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32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unit substrate 320 in the drawing, it is substanti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s a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on of the lens unit 32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Contact terminals of the fixed body portion 200 and corresponding contact terminals may be formed to protrude. The contact terminal portion 322 may be provided in one of the conventional terminal types that flexibly contract by an external forc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222.

이때, 렌즈유닛(321)은 렌즈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탈착몸체부(300)가 모듈 수용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센서부(221)의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기판상에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lens unit 321 is formed to receive the lens, and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so as to be positioned directly above the sensor unit 221 in a state in which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coupled to the module receiving part 100.

이러한 렌즈유닛기판(320)에는 교환형 렌즈모듈(M)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칩이 내장된 식별용 칩셋(3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칩셋(323)은 메모리일 수 있으며 이 메모리에는 교환형 렌즈모듈(M)의 고유코드값이 저장되고 탈착몸체부(300)가 고정몸체부(200)에 결합되어 접점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휴대 장치(D)의 카메라 구동부가 이 식별용 칩셋(323)으로부터 고유의 코드값을 판독하고 판독된 코드값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구동과 관련된 기본 설정값을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 기본 설정값 역시 식별용 칩셋(323)에 저장될 수도 있고 카메라 구동부는 이 칩셋(323)으로부터 직접 기본 설정값을 호출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The lens unit substrate 320 may further include an identification chipset 323 in which a chip capable of recognizing the type of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embedded. This chipset 323 may be a memory, in which the unique code value of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stored, and whe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part 200 and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contact The camera driver of the portable device D is configured to read a unique code value from this identification chipset 323 and call a default setting value related to driving of th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read code value. Meanwhile, this basic setting value may also be stored in the identification chipset 323, and the camera driver may be configured to directly call the basic setting value from the chipset 323.

또한, 렌즈유닛기판(320)은 식별용 칩셋(323)에 의해 휴대 장치(D)와의 상호통신으로 자동 손떨림 방지 기능이나 자동초점조절장치, 또는 조리개 관련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lens unit substrate 320 may operate an automatic hand shake prevention function, an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or an aperture-related devic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device D by the identification chipset 323.

윗판(330)은 밑판(310)과 렌즈유닛기판(320)을 덮도록 이들의 상부에 장착되며, 휴대 장치(D)에 결합됨에 따라 단말기의 외관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윗판(330)은 렌즈유닛기판(320)의 상측을 덮는 커버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윗판(330)은 상면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부측에는 일단에서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직부(331)를 갖는다. 이렇게 윗판(330)은 전체적인 형상이 "ㄱ"자의 단면 형상을 갖게 되며, 윗판(330)의 수직부(331)는 휴대 장치(D)의 모듈 수용부(100)의 입구측을 차폐하게 된다. 또한, 수직부(331)에는 후술할 결속수단(340)의 레버부(342)가 외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구멍(331a)이 형성된다.The top plate 33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base plate 310 and the lens unit substrate 320 to cover the base plate 310 and the lens unit substrate 320, and is formed to form the external shape of the terminal as it is coupled to the portable device D. That is, the upper plate 3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ver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lens unit substrate 320. Specifically, the upper plate 330 has an upper surfac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has a vertical portion 331 that is bent from one end to the lower at the end side. In this way, the top plate 33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 in its overall shape, and the vertical portion 331 of the top plate 330 shields the entrance side of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100 of the portable device D. 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331 is formed with a lever hole 331a for allowing the lever portion 342 of the binding means 340 to be described later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이러한 윗판(330)의 상면에는 렌즈보호커버(33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윗판(330)은 렌즈보호커버(332)에 해당하는 부분이 관통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의 보호유리(또는 플라스틱)이 형성됨으로써 하측의 렌즈유닛과 소통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는 윗판(330)에 마련된 렌즈보호커버(332)의 외측 둘레 부분이 상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사용되는 렌즈유닛의 크기에 따라 돌출되지 않도록 제공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A lens protective cover 33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30. Here, the upper plate 330 is formed through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ens protective cover 332,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glass (or plastic)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lens unit, and in the drawing, the upper plate 330 Although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lens protective cover 332 provided in is shown to protrude upwar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provided so as not to protrud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ens unit to be used.

한편, 탈착몸체부(300)에는 고정몸체부(200)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한 결속수단(340)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tachable body portion 300 may be provided with a binding means 340 for coupling or separating the fixed body portion 200.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속수단(340)은 탈착몸체부(300)의 윗판(330)에 마련되며, 윗판(330)의 내측으로 수축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이 결합공(211)에 끼워지는 탄성 돌기부(341)와, 탄성 돌기부(341)의 타측에 연결되어서 탄성 돌기부(341)를 수축시키도록 조작되는 조작레버부(34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 binding means 340 is provided on the upper plate 330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provided to be retractable to the inside of the upper plate 330,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1 It includes an elastic protrusion 341 and an operating lever 342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elastic protrusion 341 and operated to contract the elastic protrusion 341.

탄성 돌기부(341)는 윗판(330)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바, 스프링(343) 등의 탄성부재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수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탄성 돌기부(341)는, 탈착몸체부(300)가 고정몸체부(200)에 슬라이딩 삽입될 때, 스프링(343)에 의해 내측으로 수축되었다가 결합공(211)의 위치에서 이완되면서 결합공(211)에 끼움 결합됨에 따라 탈착몸체부(300)가 고정몸체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탄성 돌기부(341)는 내측 단부에 연결된 레버부(342)가 회전하지 않도록 원통형이 아닌 사각봉의 형상으로 축(341a)이 구비되어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protrusions 341 are provided to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330 and are provided to be elastically contracted in the inward direction by an elastic member such as a spring 343. These elastic protrusions 341, when the detachable body 300 is slidingly inserted into the fixed body 200, contracted inward by the spring 343 and then relaxed at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hole 211 As it is fitted to 211,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ed body part 2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protrusion 341 is provided with a shaft 341a in the shape of a square bar rather tha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lever unit 342 connected to the inner end thereof does not rotate, and is mounted so as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레버부(342)는 탄성 돌기부(341)의 내측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레버를 포함하며, 그 단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The lever portion 342 includes a plurality of lev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inner ends of the elastic protrusion 341, and extends so that the ends thereof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결속수단(340)의 양 레버는 단부가 윗판(330)의 수직부(331)에 마련되는 레버구멍(331a)에 삽입되어 위치되는데, 외력에 의해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에서 걸림 작용되지 않도록 수직부(331)의 외측표면보다 돌출되지 않고 내부에 그 단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손톱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결속해제도구, 핀 등을 삽입하여 레버가 조작될 수 있도록하여 직접적인 조작에 의해서만 조작되게 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oth levers of the binding means 340 are position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lever hole 331a provided in the vertical portion 331 of the upper plate 330, in order to prevent random separation by external forc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vertical portion 331 does not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331 so as not to be engaged and the end thereof is located inside. That is, by using a user's fingernail or inserting a separate releasing tool, a pin, etc., the lever can be manipulated so that the lever is operated only by direct manipulation, thereby preventing unintentional separation.

또한, 결속수단(340)은 일측의 레버가 작동되어 탄성 돌기부(341)가 한 쪽 방향으로만 일방적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 레버의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331b)을 더 포함하며, 이 걸림턱(331b)은 수직부(331)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중에 의도하지 않게 레버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걸림턱(331b)이 레버의 일방적인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결속수단(340)이 동작하지 않도록 함에 따라 교환형 렌즈모듈(M)의 임의적인 분리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binding means 340 further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331b formed between the two levers so as to prevent the elastic protrusion 341 from being unilaterally pulled in only one direction by operating the lever on one side, this The locking projection 331b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vertical portion 331.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unintentionally applied to the lever during use, the locking jaw 331b prevents the unilateral movement of the lever, thereby preventing the binding means 340 from operating. It is possible to block the arbitrary separation of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몸체부(200)를 휴대 장치(D)의 모듈 수용부(100)에 설치하는 것이 아닌, 홈부(110)를 일체의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교환형 렌즈모듈(M)의 탈착몸체부(300)만 단순히 결합시키는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이미지 센서부를 탈착몸체부(300)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groove portion 110 in an integral shape, rather than installing the fixed body portion 200 in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100 of the portable device (D), exchangeable It may also be applied in a structure that simply couples only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of the lens module M, and in this case, it may be preferable to provide an image sensor part to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형 렌즈모듈(M)에 렌즈의 자동 초점을 위한 초점구동부(일례로 VCM) 및 손떨림 방지를 위한 OIS 장치가 제공된 경우, 카메라 구동부는 렌즈 모듈 수용부 및 렌즈 모듈에 제공된 전기적 접점을 통해 렌즈모듈(M)의 VCM 장치(또는 자동초점조절장치)나 OIS 장치(또는 손떨림 방지 장치)를 구동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ocus driving unit (for example, a VCM) for autofocusing of the lens and an OIS device for preventing camera shake, the camera driving unit includes a lens module receiving unit and a lens. It is possible to drive and control the VCM device (or automatic focus control device) or the OIS device (or hand shake prevention device) of the lens module M through the electrical contact provided to the module.

이와 같은 실시예의 구조에 따르면, 교환형 렌즈모듈(M)은 탈착몸체부(300)가 고정몸체부(200) 내에 끝까지 밀어지면 탈착몸체부(300)에 형성된 접점단자부(322)가 고정몸체부(200)에 형성된 접점부(222)와 접촉되고, AF 구동을 위한 액츄에이터나 손떨림 방지를 위한 OIS 수단이 교환형 렌즈모듈(M)에 제공된 경우 매우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whe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pushed all the way into the fixed body part 200, the contact terminal part 322 formed o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s fixed to the fixed body part. When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222 formed in 200, an actuator for driving the AF or an OIS means for preventing hand shake is provided in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t can be driven very stably.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기존에는 내장된 단일 형태의 렌즈로만 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던 것과 달리, 광각 렌즈 또는 망원 렌즈, 듀얼 렌즈 등으로 각각 모듈화한 렌즈모듈을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변경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a wide-angle lens, a telephoto lens, a dual lens, etc., unlike the conventional camera function that was only available with a single built-in lens. Each modularized lens module has the advantage of being selec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by selectively mounting and using the terminal.

이때, 본 발명은 교환형 렌즈모듈(M)을 단순한 슬라이딩 동작으로 휴대장치(D)에 결합함으로써 장착이 완료되며, 결속수단(340)에 의한 해제 동작을 통해 쉽게 탈거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모듈의 결합 및 분리가 간편하다는 이점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by coupling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to the portable device (D) with a simple sliding operation, and has a structure that is easily removed through the release operation by the binding means 340.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bonding and separ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환형 렌즈모듈(M)을 고정몸체부(200)와 탈착몸체부(300)로 분리 구성하고, 고정몸체부(200)를 휴대장치(D)에 고정시킨 뒤에, 탈착몸체부(300)를 고정몸체부(200)에 장착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따라, 카메라 렌즈의 변경시 필수 구성인 이미지 센서를 고정몸체부(200)에 고정한 상태로, 탈착몸체부(300)에 탑재되는 렌즈유닛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상이한 렌즈유닛이 탑재된 탈착몸체부(300)만을 교환함으로써 카메라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fixed body portion 200 and a detachable body portion 300, and after fixing the fixed body portion 200 to the portable device (D), As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to the fixed body part 200 is provided, the image sensor, which is an essential component when changing the camera lens, is fixed to the fixed body part 200, and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amera type can be changed by replacing only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on which a different lens unit is mounted by providing the lens unit mounted on the lens in various forms to meet the user's needs.

즉, 고정몸체부(200)에는 이미지 센서를 내장함으로써, 렌즈유닛을 구비한 탈착몸체부(300)만 다양한 형태의 렌즈유닛을 갖추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렌즈로의 교체가 편리하다는 이점을 갖는다.That is, by having an image sensor built into the fixed body part 200, only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having a lens unit is configured to have various types of lens units, so that it is convenient to replace the lens with a user's desired lens. .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력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결속수단(340)에 의해 모듈 교체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탈착몸체부(300)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결합안내부의 구성으로 인해 결합/분리 동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More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module replacement operation is easy by the binding means 340 that are coupled and separated by an elastic force, but also due to the configuration of a coupling guide that guides the coupling direction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separation operation.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교환형 렌즈모듈(M)과 휴대 장치(D)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패킹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가 있는 부분에도 센서패킹부재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되어 카메라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cking member to maintain airtightness between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and the portable device D, so that external foreign matters are transferred to the insid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inflow, and in particular, by providing a sensor packing member in a portion where the image sensor of the camera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double protec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camera performan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교환형 렌즈모듈(M)을 스피커나, 조명장치, 또는 카메라의 리모컨 장치 등으로도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may be changed to a speaker, a lighting device, or a remote control device of a camera.

즉, 교환형 렌즈모듈(M)의 탈착몸체부(300)와 고정몸체부(200)의 구성을 각 요구에 따른 기능을 가진 유닛을 장착하도록 마련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이한 구성의 교환 모듈을 휴대 장치(D)에 결합함으로써 각 교환 모듈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configuration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and the fixed body part 200 of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is provided to mount a unit having a function according to each request, and a replacement module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as required by the user By combining the mobile device (D) to perform the function of each exchange module.

구체적으로,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몸체부(300)에 카메라 유닛 대신 음향 유닛(401)을 구비한 음향 모듈(SM)을 구성함으로써, 기존 단말기 본체에서 제공되는 스피커의 저음부분이 취약했던 것을 보완하도록 우퍼 스피커의 역할을 하거나, 단말기의 음향 자체를 키우도록 출력이 큰 스피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Specifically, as shown in (a) of Figure 8, by configuring the sound module (SM) having the sound unit 401 instead of the camera unit in the detachable body 300, the speaker provided in the existing terminal body It has the advantage that a speaker with a large output can be used to play the role of a woofer speaker to compensate for the weak low-pitched sound, or to increase the sound of the terminal itself.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몸체부(300)에 조명장치(402)를 구비하여 조명 모듈(LM)을 구성함으로써, 기존 단말기 본체의 램프보다 출력이 좋은 광원을 사용할 수 있는바, 이로 인해 더 밝은 빛을 낼 수 있고, 이와 다르게 LED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색상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조명장치 주위에 별도의 스위치(402a)를 장착함으로써 단말기 내에서의 조작 없이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게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ure 8, by configuring the lighting module (LM) by providing a lighting device 402 on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a light source having better output than the lamp of the existing terminal body can be used. As can be seen, it is possible to emit brighter light, and differently, by using LEDs, the desired color can be adjusted and used. At this time, by attaching a separate switch 402a around the lighting device, the user can directly operate it manually without manipulation in the terminal.

이때, 교환형 렌즈모듈(M)을 기본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휴대장치(D)에는 단말기 자체의 카메라(C)가 구비된 상태에서, 추가로 카메라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두 개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단말기에 내장된 기본 카메라를 기본으로 구동하고, 단말기 화면에 카메라 변경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카메라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가 장착된 모듈을 단말기에 장착하는 경우에만 단말기 화면에 카메라 변경 아이콘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erchangeable lens module (M) can be used as a basic camera, b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device (D) is equipped with a camera (C) of the terminal itself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use two cameras by installing an additional camera module.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to drive the basic camera built into the terminal by default and display the camera change icon on the terminal screen to selectively change the camera. Do.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camera change icon on the terminal screen only when a module equipped with a camera is mounted on the terminal.

더욱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탈착몸체부(300)의 외관, 즉 윗판(330)의 상면에 아무것도 형성되지 않도록 한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카메라 등의 모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외관상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내측에 구동 스위치 등을 구비함으로써 단말기 내의 조작을 통해 스위치가 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Moreover, although not show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such as a separate camera is provided by providing a module such that nothing is formed on the exterior of the detachable body part 30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330. It may not be used, and although 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it may be provided in a configuration formed so that the switch can be operated through manipulation in the terminal by providing a driving switch or the like inside.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교환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모듈로의 교체가 간편한 것이 장점이다.As a result,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the exchangeabl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replace the desired modul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po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for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에 의해 제한되기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being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 : 휴대 장치(단말기) M : 교환형 모듈
100 : 모듈수용부 200 : 고정몸체부
210 : 베이스 프레임 211 : 결합공
220 : 이미지센서 기판
300 : 탈착몸체부 310 : 밑판
320 : 렌즈유닛기판 330 : 윗판
340 : 결속수단 341 : 탄성돌기부
342 : 조작레버부
D: Portable device (terminal) M: Exchangeable module
100: module receiving part 200: fixed body part
210: base frame 211: coupling hole
220: image sensor board
300: detachable body 310: bottom plate
320: lens unit substrate 330: upper plate
340: binding means 341: elastic protrusion
342: operation lever part

Claims (7)

교환형 모듈과, 교환형 모듈이 장착되는 모듈 수용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모듈 수용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홈 형상의 홈부를 포함하며, 홈부의 내측에는 휴대 단말기의 기판과 소통하는 통신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교환형 모듈은,
상기 모듈 수용부의 홈부에 고정 설치되되, 통신연결홈에 삽입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기판에 연결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통신선단자를 포함하고, 일측면에는 이미지센서를 갖는 센서부와, 상기 통신선단자를 통해 휴대 단말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접점들을 가진 접점부가 마련되는 고정몸체부; 및
상기 고정몸체부에 결합되며, 고정몸체부의 센서부에 대응하여 위치되는 렌즈유닛을 구비한 탈착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환형 모듈은 상기 탈착몸체부가 상기 고정몸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되는데, 상기 고정몸체부의 일부분에는 상기 탈착몸체부가 고정몸체부로 슬라이딩 결합할 때 렌즈 모듈을 미리정해진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 렌즈 모듈 수용부를 형성하는 측벽의 일부분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결합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착몸체부는 상기 결합 안내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안내부의 하면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결합부의 전방측면에는 상기 안내경사면에 대응하여 후방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진입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exchangeable module and a module receiving part in which the exchangeable module is mounted,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groove having a groove shape formed o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connec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substrat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formed inside the groove,
The exchangeable module,
I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groove of the module receiving portion,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line terminal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groove and protruding to be connected to the substr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 sensor unit having an image sensor on one side thereof, and a portable through the communication terminal A fixed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It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and includes a detachable body portion having a lens unit positioned corresponding to the sensor portion of the fixed body,
In the interchangeable module, the detachable body part is detached from the fixed body in a sliding manner, and a part of the fixed body part accommodates a lens module to guide the lens modul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when the detachable body part is slidingly coupled to the fixed body part.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guide formed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side wall forming a portion, the detachable body por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with the coupling guide, a guide slop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guide portion, the front of the coupling por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rance slope is formed on the side so as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side corresponding to the guide slop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부의 결합 안내부와 상기 탈착몸체부의 결합부에는, 탈착몸체부가 상측으로부터 하향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진입이격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탈착몸체부는 상기 진입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고정몸체부에 하향 진입한 뒤에 슬라이딩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upling guide portion of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detachable body portion, the detachabl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an entrance separation space formed to enter downward from the upper side,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wherein the detachable body portion is slidingly mounted after entering the fixed body portion downward through the entrance separation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환형 모듈의 고정몸체부에는 양측벽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탈착몸체부에는 탈착몸체부를 상기 고정몸체부에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속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결속수단은 탈착몸체부의 양측벽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진퇴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부와, 상기 탄성 돌기부의 내측에 연결되어 탄성 돌기부를 수축시키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수단은 레버부의 조작에 의해 탄성 돌기부와 결합공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ody portion of the exchangeable module has coupling holes formed on both side walls, and the detachable body portion further includes binding means for coupling or separating the detachable body portion to the fixed body portion,
The binding means includes an elastic protrusion formed on both side walls of the detachable body part, elastically advancing and retracting,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and a lever par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elastic protrusion to contract the elastic protrusion,
The binding means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astic protrusion and the coupling hole is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uni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의 레버부는 조작부위의 일단이 외부로 노출되되, 탈착몸체부의 외부 표면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operation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ever portion of the binding means, and is located inside the outer surface of the detachable body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부와 상기 교환형 모듈 사이에는 접촉 부위에 대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부의 센서부의 둘레와 상기 탈착몸체부와의 접촉 부위에 대해 기밀을 유지하는 센서패킹부재가 더 구비되어서, 이중으로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cking member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portio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groove portion and the exchangeable module, and a sensor packing member for maintaining airtightness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ce of the sensor portion of the fixed body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detachable body portion Further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having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block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into the dou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환형 모듈은 렌즈 유닛이 장착된 렌즈모듈, 스피커 유닛이 장착된 스피커모듈, 조명 유닛이 장착된 조명모듈, 또는 스위치 유닛이 장착된 스위치 모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형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changeable module is an interchangeable lens module comprising one of a lens module equipped with a lens unit, a speaker module equipped with a speaker unit, a lighting module equipped with a lighting unit, or a switch module equipped with a switch unit.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KR1020180124145A 2018-10-18 2018-10-18 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 KR102149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45A KR102149517B1 (en) 2018-10-18 2018-10-18 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45A KR102149517B1 (en) 2018-10-18 2018-10-18 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609A KR20200043609A (en) 2020-04-28
KR102149517B1 true KR102149517B1 (en) 2020-08-28

Family

ID=7045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145A KR102149517B1 (en) 2018-10-18 2018-10-18 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5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4803A (en) * 2021-04-02 2021-07-13 南宁产峰科技发展有限公司 5G mobile dual-frequency terminal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465A (en) * 2002-04-05 2004-01-0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KR200378893Y1 (en) * 2004-12-17 2005-03-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parated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511B1 (en) * 2004-12-10 2012-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eplaceable separation style camera and chipset accordingly
KR20060114138A (en) * 2005-04-27 2006-11-06 주식회사 팬택 Mobile phone with a lens means making led as flash, flashlight or pointer
KR20160148418A (en) * 2015-06-16 201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465A (en) * 2002-04-05 2004-01-08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KR200378893Y1 (en) * 2004-12-17 2005-03-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parated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609A (en)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3758A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KR101149925B1 (en) Camera lens module for mobile phone
TWI480619B (en) Imaging device
US11863694B2 (en) Mobile terminal
US7513704B2 (en) Electronic image pickup apparatus
KR102149517B1 (en) 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
CN109151290A (en) Light filling mould group and terminal device
JP4512189B2 (en) Camera system
CN108989646A (en) Second camera devic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60096681A (en) A sliding apparatus for a camera modu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208956149U (en) Second camera devic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80009969A (en) Camera apparatus with sliding shutter
KR101454152B1 (en) Phone case
KR20190134136A (en) Portable device having a exchangeable lens module
JP6478945B2 (en) Electronics
US20170201659A1 (en) Illumination device mounted with a plurality of optical accessories
JP2010091808A (en) Imaging lens unit
TW200427429A (en) Display-provid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3690120U (en) Retractable FPV (focal plane vision) cross-machine glasses
JP4137631B2 (en) camera
KR200365091Y1 (en) Waterproof case for camera
KR200357043Y1 (en) Exterior Type Lens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asy Separation
KR101683859B1 (en) A shield case fo smart device or its method
KR200389715Y1 (en) View Finder Extender Having Liquid Crystal Display
JP2009145691A (en) Imaging apparatus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