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985B1 -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hod For Node and Multinode - Google Patents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hod For Node and Multin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985B1
KR102148985B1 KR1020180135051A KR20180135051A KR102148985B1 KR 102148985 B1 KR102148985 B1 KR 102148985B1 KR 1020180135051 A KR1020180135051 A KR 1020180135051A KR 20180135051 A KR20180135051 A KR 20180135051A KR 102148985 B1 KR102148985 B1 KR 102148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wireless power
nodes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2013A (en
Inventor
이채은
장정우
송윤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5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985B1/en
Publication of KR2020005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20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9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5Implantable neurostimulators for stimulating central or peripheral ner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72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implantation of stimulators
    • A61N1/378Electrical supply
    • A61N1/3787Electrical supply from an external energy sour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생체 내에 삽입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생체 외에 구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그리고, 생체 내에 삽입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떨어져 위치하며,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서, 각각의 노드는 각각의 노드를 외부로부터 절연하는 절연층, 회로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노드는 절연층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다르게 구비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serted into a living body, compri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provided outside the living body; And,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that is located awa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serted into the living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wherein each node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a circuit, and an antenna to insulate each node from the outside. And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wherein adjacent nodes relate to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different heights from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layer.

Description

생체 내에 삽입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노드 및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hod For Node and Multinode}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hod For Node and Multinode}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생체 내에 삽입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노드 및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체 내에 삽입되며, 멀티 노드를 갖는 생체 내에 삽입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노드 및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ure) relates to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 node and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which are inserted into a living body as a whole, and in particular,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serted into a living body and inserted into a living body having a multi-node, It relates to a node and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Here, a background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and these do not necessarily mean a known technology (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생체 내의 신경조직을 감지 또는 자극하는 것은 치료, 분석 및 진단 분야에서 다양한 이점 또는 기회를 제공한다. 생체 내에 이식되어 신경조직을 감지 또는 자극하는 센서 또는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한다. 그러나 생체 내에 이식되어 신경조직을 감지 또는 자극하는 센서 또는 장치는 크기가 소형, 경량이기 때문에 여기에 사용되는 배터리의 사이즈도 매우 작다. 배터리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센서 또는 장치의 활용 시간이 매우 적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외부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해 주는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이 적합하다.Sensing or stimulating nervous tissue in vivo offers a variety of advantages or opportunities in the fields of treatment, analysis and diagnosis. A battery is generally used to supply power to a sensor or device that is implanted in a living body and senses or stimulates nerve tissue. However, since sensors or devices that are implanted in a living body to sense or stimulate nervous tissue are small and lightweight, the size of the battery used here is also very small. Because the size of the battery is small, the utilization time of the sensor or device is very small.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that wirelessly transmits power from the outside is suitable.

도 1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220266호에 제시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사용한 신경 자극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기호 및 명칭을 일부 변경하였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nerve stimulation apparatus u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3-220266.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ymbols and names in the drawings have been partially changed.

자극 장치(1)는 스텐트 본체(2)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로(3)를 포함하고 있으며, 회로(3)에 전력 공급은 외부에서 송신되어 오는 무선주파수신호를 안테나(4)에서 수신해서 공급한다. 또한 안테나(4)는 외부로부터 보내진 제어신호를 받아서서 회로(3)에 전달하고 회로(3)는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의해 자극 신호를 전극(5)에 보내 신경을 자극한다. The stimulation device 1 is composed of a stent body 2 and includes a circuit 3, and the power supply to the circuit 3 receives and supplies a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from the antenna 4 . In addition, the antenna 4 receives a control signal sent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s it to the circuit 3, and the circuit 3 sends a stimulus signal to the electrode 5 by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stimulate the nerve.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41244호에 기재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사용한 인공 망막 구동 장치에 대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기호 및 명칭을 일부 변경하였다.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rtificial retina driving apparatus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0-0041244.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ymbols and names in the drawings have been partially changed.

인공 망막 구동 장치(10)는 제1 구동 회로(11)와 사용자의 안구 내에 장착된 제2 구동 회로(12)의 공진에 의해 안구 내의 인공 망막 회로(13)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The artificial retinal driving apparatus 10 wirelessly supplies power to the artificial retinal circuit 13 in the eyeball by resonance between the first driving circuit 11 and the second driving circuit 12 mounted in the user's eye.

그러나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서는 생체 내부에 위치한 망막 회로(13) 또는 회로(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에서 보낸 공진 주파수를 받는 수신부가 각각 안테나(4) 또는 제2 구동 회로(12)로 하나만 있었다. 따라서 망막 회로(13) 또는 회로(3)에서 필요한 전력을 모두 안테나(4) 또는 제2 구동 회로(12)에서 공급해야 되기 때문에 수신부에 필요한 전력을 보내기 위해 외부 송신부에서 많은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는 공진 주파수를 보내야 했으며, 이것은 생체에 손실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생체 내부에 위치한 센서 또는 장치가 멀티 채널인 경우, 생체의 어느 한 지점만을 자극하거나 신호를 받고자 할 때에도 센서 또는 장치 전체가 작동 중이어야 하기 때문에 센서 또는 장치는 많은 전력을 소모하여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열에 민감한 생체 세포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described in Figs. 1 and 2, the receiving unit receiving a resonance frequency sent from the outside to supply power to the retina circuit 13 or circuit 3 located inside the living body, respectively, the antenna 4 or the second driving circuit There was only one as (12). Therefore, since all the power required by the retina circuit 13 or the circuit 3 must be supplied from the antenna 4 or the second driving circuit 12, the resonance that contains a lot of energy from the external transmitter to send the power required to the receiver It had to send a frequency, which could cause damage to the body.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when a sensor or device located inside a living body is a multi-channel, the sensor or device consumes a lot of power because the entire sensor or device must be operating even when stimulating only one point of the living body or receiving a signal. Heat is generated. This has a fatal problem for living cells sensitive to heat.

본 개시는 생체 내에 위치하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가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고 있어 종래 기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The present disclosure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ince a device located in a living body and receiving power wirelessly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Specific Cont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Here, a summary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and 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생체 내에 삽입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생체 외에 구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그리고, 생체 내에 삽입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떨어져 위치하며,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서, 각각의 노드는 각각의 노드를 외부로부터 절연하는 절연층, 회로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노드는 절연층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다르게 구비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serted into a living body, compri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provided outside the living body; And,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that is located awa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serted into the living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wherein each node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a circuit, and an antenna to insulate each node from the outside. And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wherein adjacent nodes are provided with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having different heights from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layer.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자극영역을 자극하기 위한 노드 사용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노드를 준비하는 단계; 자극영역에 구비되는 복수의 세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기 위한 중성전극을 찾는 단계; 그리고, 나머지 전극으로부터 중성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극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드 사용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using a node for stimulating a stimulation region, comprising: preparing a nod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Finding a neutral electrode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among a plurality of cells provided in the stimulation region; And,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using a node comprising;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in the stimulation region by a current flowing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to the neutral electrode.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음영영역을 자극하기 위한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제1 자극영역을 자극하는 제1 노드와 제2 자극영역을 자극하는 제2 노드를 준비하는 단계; 제1 자극영역과 제2 자극영역 사이의 음영영역을 자극하기 위해 제1 노드와 제2 노드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기 위한 중성전극을 찾는 단계; 그리고, 나머지 전극으로부터 중성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음영영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n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for stimulating a shaded area, each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 first stimulating a first stimulation area Preparing a second node for stimulating the node and the second stimulation region; Finding a neutral electrode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or more target cell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of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to stimulate the shaded area between the first stimulation region and the second stimulation region; Further,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including a step of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provided in the shaded area by a current flowing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to the neutral electrode is provided.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Specific Cont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220266호에 제시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사용한 신경 자극 장치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41244호에 기재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사용한 인공 망막 구동 장치에 대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포함된 노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수신 장치가 망막 자극 장치로 사용될 때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수신 장치가 신경 신호 측정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망막에 설치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노드 사용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노드에서 전류의 흐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노드 사용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노드에서 전류의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제작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nerve stimulation device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present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3-220266;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artificial retina driving apparatus using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41244,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ode included in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of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a multi-node wireless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used as a retinal stimulation device;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a multi-node wireless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used as a neural signal measuring device;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installed on a retina;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urrent flow in a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urrent flow in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와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는 LC 공진 주파수를 발송하는 공지된 장치이다.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는 복수의 노드(13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제어장치(140)를 포함한다. 제어장치(14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로 보내는 공진 주파수를 제어하며, 또한 노드(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만들어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 또는 별도의 안테나를 통해 노드(130)에 보낸다. 제어장치(140)는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도 3(b)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의 일 예를 보여준다.The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0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110 and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120 including a plurality of node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is a known device that transmits an LC resonant frequency.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130. In addition,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0 includes a control device 140. The control device 140 controls the resonant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120,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ode 130 to generat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Or, it is sent to the node 130 through a separate antenna. The control device 140 may be a computer device. 3(b) shows an example of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포함된 노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node included in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포함된 노드(130)는 안테나(131), 회로(132) 및 전극(133)를 포함한다. 안테나(131)는 LC 공진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안테나(131)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에서 보내는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로 공진하여 전력을 발생한다. 발생한 전력은 회로(132)에 전달된다. 또한 안테나(131)는 제어장치(140)에서 만든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어신호는 회로(132)에 전달된다. 회로(132) 구성의 일 예를 도 6 및 도 7에 도시하였다. 전극(133)은 회로(132)의 제어에 의해 생체에 일정한 자극을 주거나 생체 세포에서 나오는 생체 신호를 받는다. 전극(133)에서 받은 생체 신호는 회로(132)에 전달한다. 회로(132)는 전극(133)으로부터 받은 생체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131)를 통해 제어장치(140)로 보낸다. 제어장치(140)는 전달 받은 생체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전극(133)은 1 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안테나(131), 회로(132) 및 전극(133)은 기판 위에 증착이나 도전성 잉크를 이용한 인쇄방법 등을 통해 만들 수 있다. 특히 도 3(b)와 같이 1 개의 기판(134) 위에 복수의 노드(130)를 한 번에 형성할 수 있다. 기판(134)은 연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134)이 연성 재질이고 크기가 작은 복수의 노드(130)가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가 휘어져도 각 노드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어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를 설치하기 어려운 생체 내 장소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노드를 각각 제작한 후 1 개의 기판 위에 부착하여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제작할 수도 있다.The node 130 included in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n antenna 131, a circuit 132 and an electrode 133. The antenna 131 includes an LC resonance circuit. In addition, the antenna 131 resonates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resonant frequency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to generate power. The generated power is delivered to the circuit 132. In addition, the antenna 131 receives a control signal made by the control device 140 and the received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ircuit 132.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132 is shown in FIGS. 6 and 7. The electrode 133 gives a certain stimulus to a living body or receives a bio-signal from a living body cell under the control of the circuit 132. The bio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de 133 is transmitted to the circuit 132. The circuit 132 converts the biosignal received from the electrode 133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device 140 through the antenna 131. The control device 140 may analyze the received biosignal. The electrode 133 is composed of one or more. The antenna 131, the circuit 132, and the electrode 133 can be made by vapor deposition on a substrate or a printing method using conductive ink.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b), a plurality of nodes 130 may be formed on one substrate 134 at once. The substrate 134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ince the substrate 134 is a flexible material and a plurality of small nodes 130 form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20, even if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20 is bent, the function of each node is affected. Does not affec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20 is freely deformed, so that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20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place in a living body where it is difficult to install. Although not shown,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er may be manufactured by attaching each node to one substrate after each node is manufactured.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in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한다(S1).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자기공진 방식 등이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736160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027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3-534847호 등에 공진 주파수를 사용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후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전력을 수신한다(S2). 특히 본 개시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다르게 복수의 노드 각각이 LC 공진회로를 포함하고 있는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노드 각각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한다. 이후 복수의 노드 중 1개 이상의 노드를 포함하는 제1 그룹이 제1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노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으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받는다(S3).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복수의 노드(130)로 이루어진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에서 빗금 친 노드(134)들이 제1 그룹에 해당하고 나머지가 제2 그룹에 속하는 노드가 될 수 있다. 복수의 노드는 각각 고유의 ID(Identification)를 갖고 있다. 외부의 제어장치(140)는 복수의 노드 각각의 ID를 근거로 복수의 노드를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분류하고 제2 그룹에 속한 노드에게 제1 그룹에 속한 노드로 전력을 전송하도록 명령한다. 제2 그룹에서 제1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전력 전송은 무선 전력 전송 방법에 따른다. 예를 들어 서로 LC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가 일치하는 안테나 사이에는 전력 전송이 가능한다. 또한 전류가 흐르는 다른 회로에 의한 자속 변화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는 가까운 거리의 코일에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전류가 생성된다. 이와 유사하게 외부 제어장치(140)에서 제어신호를 보내 제1 그룹에 속한 노드의 공진 주파수, Quality Factor의 bandwidth를 변경시키거나 선택된 노드의 안테나의 자기장이 강하게 걸리도록 근접한 노드 안테나의 전류방향 및 세기를 조정함으로써 노드들이 도너(donor) 또는 억셉터(acceptor)처럼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노드들 사이에서 전력이 무선으로 전달될 때 전력손실이 발생하지만 수 많은 노드들로부터 선택된 노드로 전력이 집중되므로 많은 양의 전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전력을 나누어주는 제2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수가 전력을 받는 제1 그룹에 속하는 노드보다 더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그룹에서 제1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전력 전송은 무선 전력 전송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드 사이에 전력 전송을 위한 전선이 필요없다.In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ly transmits power (S1). The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includes, for example,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nd a resonance frequency is u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736160,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102779, and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3-534847. Power transmission technology is described. Thereafter,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nodes receives power (S2).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disclosure, unlik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each of a plurality of nodes wirelessly receives power through an antenna in which each of a plurality of nodes includes an LC resonance circuit. Thereafter, the first group including at least one node among the plurality of nodes wirelessly receives power from the second group including the remaining nodes other than the first group (S3). For example, in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20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nodes 130 as shown in FIG. 5(b), the hatched nodes 134 correspond to the first group and the rest belong to the second group. have.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has a unique ID (Identification). The external control device 140 classifies a plurality of nodes into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based on the I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nodes, and commands the node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to transmit power to the node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do. Power transmission from the second group to the first group is performed according to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For example,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between antennas having the same resonant frequency of the LC resonant circuit.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due to the change in magnetic flux caused by another circuit through which current flows, generates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coil at a close distance, and a current is generated. Similarly, the external control device 140 sends a control signal to change the bandwidth of the resonance frequency and quality factor of the node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or the current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adjacent node antenna so that the magnetic field of the antenna of the selected node is strongly applied. By adjusting the node, it is possible to deliver power by acting as a donor or acceptor. Power loss occurs when power is wirelessly transmitted between a plurality of nodes, but a large amount of power can be obtained because power is concentrated to a node selected from a number of nod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node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that distributes power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node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that receives power. Since power transmission from the second group to the first group is performed b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 wire for power transmission between nodes is not required.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수신 장치가 망막 자극 장치로 사용될 때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a multi-node wireless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used as a retinal stimulation device.

망막 시세포를 자극하는 장치를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수신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제시한다. 수많은 노드로 구성된 망막 자극 장치는 각각의 노드에 송수신 안테나, 망막 자극용 전극 및 회로로 구성되며 회로는 전력 및 데이터 수신부와 자극기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시스템은 수 mm 안의 망막 시세포에 위치한다.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은 자극하는 부분, 패턴에 따라 우리 눈에 보이는 형상이 달라지며 채널 수가 늘어날수록 또는 전류 세기, duration, pulse frequency 같은 자극 파라미터가 다분화 될수록 볼 수 있는 상이 뚜렷하고 선명하다는 것이다. 본 개시의 핵심은 다채널로 구성된 자극 시스템에 자극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전력을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개시가 제안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모든 노드는 고유의 ID를 가지고 있다. 이 ID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특정 노드의 전력 수신 안테나의 LC 공진회로를 변형시킬 수 있다. 먼저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안구 안에 있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전송 거리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의 노드가 같은 LC 공진회로에 의해 비교적 같은 양의 전력을 전송 받는다. 그 다음 무선으로 제어장치가 명령어를 송신하여 자극하고자 하는 특정 지점 노드의 LC 공진회로를 varactor 또는 가변 저항을 통해 변형시킨다. Varactor는 인가하는 전압에 따라 캐패시턴스가 변하므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가변 저항을 통해 Quality Factor의 bandwidth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도너 역할을 하는 노드는 억셉터 역할의 노드의 안테나에 마그네틱 필드가 강화되도록 안테나에 전류를 흘리고 억셉터는 최대한 도너에서 전력을 전달 받도록 LC 공진회로를 변경한다. 이렇게 전력이 순차적으로 원하는 지점의 노드에 집중되게 하며 목표 지점 노드는 주위 다른 노드보다 더 많은 전류로 망막 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이렇게 전력이 특정노드로 집중되면 정류기와 레귤레이터로 이루어진 Power management로 안정적인 전압을 자극기에 공급한다. Photodetector로 들어온 빛은 전기신호로 변환되며 변환된 전기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류세기가 결정된다. 자극할 때 중요한 파라미터로 자극 세기와, pulse duration, frequency가 있다. 자극세기는 앞서 말한 대로 노드간 전력전송이나 photodetector로 검출된 전기신호의 크기로 결정되며 pulse duratrion과 freuqnecy는 외부의 제어장치에서 안테나로 전송된 명령어로 결정된다. 안테나를 통해 들어온 명령어는 회로의 Digital controller에 의해 자극기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되어 전송되고 최종적으로 자극기에서 발생한 전류를 전극으로 전달하여 망막 신경을 자극한다. 하나의 결합된 장치가 아닌 각각 분리된 초소형 노드가 결합되어 얇고 flexible한 polymer 기판과 함께 망막에 이식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stimulating retinal optic cells is presented as a specific embodiment of a multi-node wireless recei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 retinal stimulation apparatus composed of numerous nodes is composed of a transmitting/receiving antenna, retinal stimulation electrodes, and circuits at each node, and the circuit is composed of a power and data receiver and a stimulator. The system thus constructed is located in the retinal optic cells within a few millimeters. What has been revealed so far is that the visible shape varies according to the part and pattern to be stimulated, and as the number of channels increases or the stimulus parameters such as current intensity, duration, and pulse frequency are diversified, the visible image becomes clear and clear. The essenc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at power can be selectively focused on a part to be stimulated in a stimulation system composed of a multi-channel. In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proposed by the present disclosure, every node has a unique ID. By transmitting data wirelessly through this ID, the LC resonant circuit of the power receiving antenna of a specific node can be modified. Firs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ly transmits power to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er in the eye. At this time,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ransmission distance, most nodes receive relatively the same amount of power by the same LC resonant circuit. Then, the control device transmits a command wirelessly to transform the LC resonance circuit of the node at a specific point to be stimulated through a varactor or variable resistor. Varactor can change the resonant frequency because the capacit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and the bandwidth of the quality factor can be changed through a variable resistor. At this time, the node acting as a donor changes the LC resonance circuit so that the antenna of the node acting as an acceptor passes current through the antenna so that the magnetic field is strengthened, and the acceptor receives power from the donor as much as possible. In this way, the power is sequentially concentrated to the node at the desired point, and the target point node can stimulate the retinal nerve with more current than other nodes around it. When the power is concentrated to a specific node, a stable voltage is supplied to the stimulator through power management consisting of a rectifier and a regulator. The light entering the photodetector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 signal, and the current intensity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converted electric signal. Important parameters when stimulating include stimulation intensity, pulse duration, and frequency. As mentioned above, the strength of the stimulus is determined by the power transmission between nodes or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detected by the photodetector, and the pulse duratrion and freuqnecy are determined by commands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control device to the antenna. The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s converted into a data format that can be accepted by the stimulator by the digital controller of the circuit and transmitted. Finally,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stimulator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de to stimulate the retinal nerve. Instead of a single device, each separate micro-node can be combined and implanted into the retina along with a thin and flexible polymer substrate.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수신 장치가 신경 신호 측정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a multi-node wireless recep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used as a neural signal measuring device.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신경 신호를 측정하거나 유발하는 장치이다. 이는 수많은 노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노드에는 송수신 안테나, 자극 및 측정용 전극 및 회로가 집적되어 있다. 앞서 제시한 대로 혈관 내부의 전극은 신경 신호 전위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극이 가능하다. 회로의 경우 Power management, 전력 및 데이터 송수신부, 기록기와 자극기가 결합되있으며 Power management와 자극기는 도 6에 기재된 망막 신경 자극 장치와 구성과 기능이 유사하다. 기록기는 전극에서 얻어진 신경 신호를 저잡음 증폭기로 증폭시키고 밴드패스필터로 원하는 신경 신호(local field potential, action potential, electrocorticography, electroencephalography)를 검출한다. 검출된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로 디지털화되고 오실레이터를 통해 특정 주파수로 변형된다. 안테나를 통해 외부의 제어장치로부터 특정 노드의 LC 공진회로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와 자극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기록기를 통해 측정한 데이터를 외부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외부 제어장치는 전송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한다. Another specific embodiment is a device that measures or triggers a neural signal. It consists of a number of nodes, and each node has a transmit/receive antenna, an electrode for stimulation and measurement, and a circuit integrated. As previously suggested, the electrode inside the blood vessel can measure the change in the potential of the nerve signal and simultaneously stimulate it. In the case of the circuit, the power management, power an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the recorder and the stimulator are combined, and the power management and the stimulator are similar in configuration and function to the retinal nerve stimulation apparatus shown in FIG. The recorder amplifies the neural signal obtained from the electrode with a low noise amplifier and detects the desired neural signal (local field potential, action potential, electrocorticography, electroencephalography) with a bandpass filter. The detected signal is digitized with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transformed to a specific frequency through an oscillator. It receives a command to selectively change the LC resonance circuit of a specific node and data to determine stimulation parameters from an external control device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the measured data to the external control device through a recorder. The external control device analyzes the transmitted data and derives meaningful results.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other examples of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의 사시도는 도 8(a)와 같이 형성되고, 도 8(b)는 도 8(a)의 AA'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난다. 도 8(c)는 도 8(a)의 AA' 단면의 다른 예이다.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is formed as shown in FIG. 8(a), and FIG. 8(b) shows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AA′ of FIG. 8(a). FIG. 8(c) is another example of the cross section AA′ of FIG. 8(a).

생체 내에 삽입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도 3)에 있어서,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00)은 생체 외에 구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도 3), 생체 내에 구비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를 포함한다.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는 절연층(150)에 의해 외부와 절연된다.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는 복수의 노드(130)를 포함한다. 각각의 노드(130)는 노드(130)를 외부로부터 절연하는 절연층(150), 회로(132; 도 3) 및 안테나(131; 도 3)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노드(130)들 중 인접한 노드(130-1)들은 절연층(150)의 바닥(153)으로부터 높이(h)가 다르게 구비된다. 절연층(150)은 플렉서블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층(150)은 일 예로 Polymides, LCP(liquid crystal polymer), 등이 있으며, 물 흡수율이 낮으며 잘 분해되지 않고 유연한 물질이면 좋다.In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0 (FIG. 3) inserted into a living body,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0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FIG. 3) provided outside the living body, and a multi-node provided in the living body. It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20.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is insulated from the outside by the insulating layer 150.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130. Each node 130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150 that insulates the node 130 from the outside, a circuit 132 (FIG. 3), and an antenna 131 (FIG. 3). In this case, adjacent nodes 130-1 among the plurality of nodes 130 have different heights h from the bottom 153 of the insulating layer 150. The insulating layer 150 is preferably a flexible material. The insulating layer 150 may be, for example, polymides, liquid crystal polymer (LCP), or the like, and may be a material that has a low water absorption rate and is not easily decomposed and is flexible.

복수의 노드(130)들은 복수의 전극(133)을 가지며, 복수의 전극(133)은 절연층(150)에 의해 덮히지 않고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전극(133)은 세포를 자극하기 위해 노출된다.The plurality of nodes 130 have a plurality of electrodes 133, an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33 are formed to be expos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insulating layer 150.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33 are exposed to stimulate cells.

도 8(a)의 사시도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지만 도 8(b)와 같이 단면을 보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복수의 노드(130)가 어떻게 배열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도 8(b)는 절연층(150)이 휘어져 있는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평면상에 두게 되면 절연층(150)에 구비되는 복수의 노드(130)들 중 인접한 노드(130-1)들은 각각 절연층(150)의 바닥(153)으로부터의 다른 높이(h)를 가지게 형성된다. 절연층(150)의 바닥(153)으로부터 복수의 노드(130)까지 2가지의 높이를 가지는 예를 나타낸다.Although not shown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 8(a),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8(b) shows how the plurality of nodes 130 are arranged in the wireless power receiver. 8(b) shows a cross section in which the insulating layer 150 is bent. When this is placed on a plane, adjacent nodes 130-1 among the plurality of nodes 130 provided in the insulating layer 150 have different heights h from the bottom 153 of the insulating layer 150. Is formed. An example having two heights from the bottom 153 of the insulating layer 150 to the plurality of nodes 130 is shown.

도 8(c)는 도 8(b)와 같은 단면이며, 절연층(150)이 평면상에 구비되어 있다. 도 8(c)도 복수의 노드(130)들 중 인접한 노드(130-1)들은 각각 다른 높이(h)를 가지는 예이며, 절연층(150)의 바닥(153)으로부터 복수의 노드(130)까지 3가지의 높이를 가지는 예를 나타낸다.Fig. 8(c) is the same cross-section as Fig. 8(b), and the insulating layer 150 is provided on the plane. 8(c) is an example in which adjacent nodes 130-1 among the plurality of nodes 130 have different heights h, and the plurality of nodes 130 from the bottom 153 of the insulating layer 150 An example with three heights is shown.

복수의 노드(130)가 절연층(150)에 구비될 때 각각의 다른 높이(h)를 가지는 이유는 복수의 노드(130)가 무선 전력 송신 장치(110)에 의해 충전되며, 인접한 노드(130-1)에 각각 구비된 안테나(131)에 의해 전류가 충전된다. 각각의 노드(130)에는 각자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각자의 자기장은 인접한 노드(130-1)들에 영향을 준다. 이때, 인접한 노드(130-1)들이 같은 평면 상에 구비되면 자기장이 서로 상쇄되어 충전효율이 떨어진다.When the plurality of nodes 130 are provided on the insulating layer 150, the reason for having different heights h is that the plurality of nodes 130 are charg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110, and adjacent nodes 130 Current is charged by the antennas 131 respectively provided in -1). Each node 130 has its own magnetic field. Each magnetic field affects adjacent nodes 130-1. In this case, when the adjacent nodes 130-1 are provided on the same plane, the magnetic fields cancel each other and the charging efficiency decreases.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망막에 설치한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wireless power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installed on a retina.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가 망막에 설치된 예이다. 노드(130)는 망막 신경절 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 망막에 전극(133)이 향하게 부착된다. 망막에 구비된 전극(133)이 신경절 세포를 자극한다. 안구의 뒤쪽에 구비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는 안구의 표면과 같이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연층(150)이 유연하고, 복수의 노드(130)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는 잘 구부러진다.This is an example in which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20 is installed in the retina. Node 130 may stimulate retinal ganglion cells. The electrode 133 is attached facing the retina. Electrodes 133 provided in the retina stimulate ganglion cells.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120 provided at the back of the eye is preferably bent flexibly like the surface of the eye, the insulating layer 150 is flexible, and the plurality of nodes 130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120 is bent well.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노드 사용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자극영역(160)을 자극하기 위한 노드 사용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using a node to stimulate the stimulation region 160,

먼저, 복수의 전극(133)을 포함하는 노드(130)를 준비한다. 노드(130)의 복수의 전극(133)은 자극영역(160)을 자극할 수 있다. 자극영역(160)은 전류의 크기나 전극(133)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하나의 노드(130)에 의해 세포가 자극될 수 있도록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First, a node 130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133 is prepared.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33 of the node 130 may stimulate the stimulation region 160. The stimulation region 160 may vary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or the electrode 133, but refers to a region through which a current can flow so that cells can be stimulated by one node 130.

이후, 자극영역(160)에 구비되는 복수의 세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c)를 자극하기 위한 중성전극(133-1;도 11)을 찾는다. 중성전극(133-1)은 reference 전극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면에 자극영역(160)은 점선으로 나타낸다.Thereafter, a neutral electrode 133-1 (FIG. 11)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c among a plurality of cells provided in the stimulation region 160 is found. The neutral electrode 133-1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reference electrode. In the drawing, the stimulation region 160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예를 들면, 복수의 전극(133) 중 중성전극(133-1)을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자극되는 타겟세포(c)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타겟세포(c)를 자극하고자 할 때, 사람마다 세포의 위치, 크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중성전극(133-1)과 타겟세포(c)를 데이터화하여 중성전극(133-1)과 타겟세포(c)를 매칭하는 것이 중요하다.For example, the target cells c to be stimulated may vary depending on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33 is selected as the neutral electrode 133-1. That is, when stimulating the target cell (c), since the location and size of the cells are different for each person, the neutral electrode 133-1 and the target cell c are converted into data, and the neutral electrode 133-1 and the target cell are It is important to match (c).

이후, 나머지 전극(133-2;도 11)으로부터 중성전극(133-1)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극영역(160)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c)를 자극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c)를 자극하기 위해 전류를 흘려주는데, 이때, 전류는 나머지 전극(133-2)으로부터 중성전극(133-1) 방향으로 흐른다. 노드(130)에서 전류의 흐름에 대해서는 도 11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reafter, at least one target cell c in the stimulation region 160 is stimulated by a current flowing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133-2 (FIG. 11) to the neutral electrode 133-1. A current is passed to stimulate at least one or more target cells c, in which case the current flows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133-2 toward the neutral electrode 133-1. The flow of current in the node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노드에서 전류의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urrent flow in a node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노드(130)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노드(130)의 모양은 원으로 그렸지만 노드(130)는 육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드(130)에 구비된 복수의 전극(133) 중에 중성전극(133-1)이 구비된다. 그리고, 나머지 전극(133-2)에서 전류(화살표)가 나와서 중성전극(133-1)으로 흘러 들어간다. 전류(화살표)의 흐름이 형성되면서 전류(화살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c)를 자극할 수 있다.A diagram showing the node 130 in a plan view. Although the shape of the node 130 is drawn in a circle, the node 130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A neutral electrode 133-1 is provided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33 provided in the node 130. Then, a current (arrow) comes out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133-2 and flows into the neutral electrode 133-1. As the flow of current (arrow) is formed, the current (arrow) may stimulate at least one target cell c.

중성전극(133-1)의 위치가 바뀌게 되면 전류(화살표)의 흐름이 바뀌게 되므로 다른 타겟세포(c)를 자극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neutral electrode 133-1 is changed, the flow of current (arrow) is changed, so that other target cells c can be stimulated.

따라서, 자극영역(160) 내에 있는 위치가 다른 타겟세포(c)를 따로 따로 자극할 수 있다.Accordingly, target cells c having different positions within the stimulation region 160 may be separately stimulated.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노드 사용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음영영역(170)을 자극하기 위한 복수의 노드(130) 사용방법에 있어서,In the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130 to stimulate the shaded area 170,

먼저, 각각 복수의 전극(133)을 포함하며, 제1 자극영역(161)을 자극하는 제1 노드(130)와 제2 자극영역(162)을 자극하는 제2 노드(130)를 준비한다. First, a first node 130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133 and stimulating the first stimulation region 161 and the second node 130 stimulating the second stimulation region 162 are prepared.

이후, 제1 자극영역(161)과 제2 자극영역(162) 사이의 음영영역(170)을 자극하기 위해 제1 노드(130)와 제2 노드(130)의 복수의 전극(13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영영역(170) 내의 타겟세포(c)를 자극하기 위한 중성전극(133-1;도 13)을 찾는다. 도 12와 같이 타겟세포(c)는 음영영역(170)에 구비되며, 음영영역(170)은 제1 자극영역(161)과 제2 자극영역(162) 이외에 구비된다. 음영영역(170)을 자극하기 위해서 제1 노드(130) 또는 제2 노드(130) 중의 복수의 전극(133) 중 하나가 중성전극(133-1)으로 형성된다. 이때, 중성전극(133-1)은 자극 되기 위한 타겟세포(c)에 따라서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Thereafte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33 of the first node 130 and the second node 130 to stimulate the shaded area 170 between the first stimulation region 161 and the second stimulation region 162 A neutral electrode 133-1 (FIG. 13) for stimulating the target cells c in one or more shaded areas 170 is found. As shown in FIG. 12, the target cells c are provided in the shaded area 170, and the shaded area 170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first stimulation region 161 and the second stimulation region 162.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33 of the first node 130 or the second node 130 is formed as a neutral electrode 133-1 in order to stimulate the shaded area 170.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neutral electrode 133-1 may vary depending on the target cell c to be stimulated.

이후, 나머지 전극(133-2;도 13)으로부터 중성전극(133-1)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음영영역(17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c)를 자극한다. 제1 노드(130) 및 제2 노드(130)의 복수의 전극(133) 중 하나가 중성전극(133-1)으로 형성되며, 나머지 전극(133-2)은 전류가 나와서 중성전극(133-1)으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복수의 노드(130)에서 전류의 흐름에 대해서는 도 13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reafter, at least one target cell c provided in the shaded area 170 is stimulated by a current flowing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133-2 (FIG. 13) to the neutral electrode 133-1. One of the plurality of electrodes 133 of the first node 130 and the second node 130 is formed as a neutral electrode 133-1, and the other electrode 133-2 is a neutral electrode 133- It flows into 1). The flow of current in the plurality of nodes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복수의 노드에서 전류의 흐름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urrent flow in a plurality of node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복수의 노드(130)는 제1 노드(130)와 제2 노드(130)를 포함한다. 제1 노드(130)에 중성전극(133-1)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제1 노드(130)와 제2 노드(130)에 구비된 중성전극(133-1) 외의 나머지 전극(133-2)으로부터 전류(화살표)가 나와서 중성전극(133-1)으로 전류(화살표)가 흘러 들어 간다. 따라서, 제1 노드(130)의 제1 자극영역(161)과 제2 노드(130)의 제2 자극영역(162) 사이에 구비된 음영영역(170)의 복수의 세포들이 자극될 수 있다. 복수의 세포들 중 타겟세포(c)에 따라서 중성전극(133-1)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The plurality of nodes 130 includes a first node 130 and a second node 130. This shows a case where the neutral electrode 133-1 is formed on the first node 130. Current (arrow) comes out from the remaining electrodes 133-2 other than the neutral electrode 133-1 provided in the first node 130 and the second node 130, and a current (arrow) to the neutral electrode 133-1 Flows in. Accordingly, a plurality of cells of the shaded region 170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imulation region 161 of the first node 130 and the second stimulation region 162 of the second node 130 may be stimulated. The position of the neutral electrode 133-1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target cell c among the plurality of cells.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제작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먼저, 도 14(a)와 같은 홈(180)이 형성된 제1 절연층(151)를 구비한다. 제1 절연층(151)은 폴리머일 수 있다.First, a first insulating layer 151 in which a groove 180 is formed as shown in FIG. 14(a) is provide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may be a polymer.

이후, 도 14(b)와 같이 홈(180) 및 홈(180)과 홈(180) 사이의 제1 절연층(151) 위에 복수의 노드(130)가 구비된다. 인접한 노드(130-1)는 제1 절연층(151)의 바닥(153)으로부터 높이(h)가 달라진다. 홈(180)에 구비된 노드(130)의 높이(h1)는 홈(180)과 홈(180) 사이의 절연층(151)에 구비된 노드(130)의 높이(h2)는 다르게 형성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4B, a plurality of nodes 130 are provided on the groove 18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between the groove 180 and the groove 180. The adjacent node 130-1 has a different height h from the bottom 153 of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The height h1 of the node 130 provided in the groove 180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height h2 of the node 130 provided in the insulating layer 151 between the groove 180 and the groove 180.

이후, 도 14(c)와 같이 노드(130)와 제1 절연층(151) 위에 제2 절연층(152)을 덮는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14C,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2 is covered over the node 130 an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이후, 도 14(d)와 같이 열을 가해 제1 절연층(151)과 제2 절연층(152)이 접착되도록 한다. 제1 절연층(151)과 제2 절연층(152)은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51)과 제2 절연층(152)은 녹으면서 서로 접착될 수 있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4(d), heat is applied so that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2 are adhered.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2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2 may be bonded to each other while melting.

이후, 도 14(e)와 같이 전극(133)이 노출되도록 제2 절연층(152)의 일부를 제거한다. 제2 절연층(152)은 제1 절연층(151)과 닿는 부분이 부드러운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제2 절연층(152)이 울퉁불퉁한 제1 절연층(151)과 복수의 노드(130)의 위를 꼼꼼히 덮어야 하기 때문이다.Thereafter, a part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2 is removed so that the electrode 133 is exposed as shown in FIG. 14(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2 has a sof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insulating layer 151. This is because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52 must meticulously cover the top of the uneven first insulating layer 151 and the plurality of nodes 130.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1) 생체 내에 삽입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생체 외에 구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그리고, 생체 내에 삽입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떨어져 위치하며,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서, 각각의 노드는 각각의 노드를 외부로부터 절연하는 절연층, 회로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노드는 절연층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다르게 구비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1)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serted into a living body, comprising: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outside the living body; And,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that is located awa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serted into the living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wherein each node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a circuit, and an antenna to insulate each node from the outside. And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wherein adjacent nodes have different heights from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layer.

(2) 각각의 노드는 1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 Each node is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one or more electrodes.

(3) 노드의 전극은 절연층으로부터 노출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3)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the electrode of the node is exposed from the insulating layer.

(4) 노드의 안테나는 LC 공진회로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4) The antenna of the node is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n LC resonance circuit.

(5) 각각의 노드는 고유의 ID를 갖고 있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5)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each node has a unique ID.

(6) 복수의 노드는 1 개 이상의 노드를 포함하는 제1 그룹과 제1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노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으로 분류되며, 제2 그룹의 노드에서 제1 그룹의 노드로 전력이 무선으로 전송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6) The plurality of nodes are classified into a first group including one or more nodes and a second group including other nodes excluding the first group, and power is wireless from the node of the second group to the node of the first group.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that is transmitted through.

(7) 제1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수가 제2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수보다 적은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7)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the number of node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node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8) 절연층 안에 복수의 노드가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8)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nodes are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insulating layer.

(9) 절연층은 연성(flexible) 재질로 된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9) Insulation layer is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 자극영역을 자극하기 위한 노드 사용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노드를 준비하는 단계; 자극영역에 구비되는 복수의 세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기 위한 중성전극을 찾는 단계; 그리고, 나머지 전극으로부터 중성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극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드 사용방법.(10) A method of using a node for stimulating a stimulation region, the method comprising: preparing a node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Finding a neutral electrode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among a plurality of cells provided in the stimulation region; And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in the stimulation region by a current flowing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to the neutral electrode.

(11) 음영영역을 자극하기 위한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제1 자극영역을 자극하는 제1 노드와 제2 자극영역을 자극하는 제2 노드를 준비하는 단계; 제1 자극영역과 제2 자극영역 사이의 음영영역을 자극하기 위해 제1 노드와 제2 노드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기 위한 중성전극을 찾는 단계; 그리고, 나머지 전극으로부터 중성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음영영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11)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for stimulating a shaded area, each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preparing a first node for stimulating a first stimulation region and a second node for stimulating a second stimulation region ; Finding a neutral electrode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or more target cell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of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to stimulate the shaded area between the first stimulation region and the second stimulation region; And, the step of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provided in the shaded area by a current flowing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to the neutral electrode;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comprising a.

본 개시에 의하면, 자극영역의 타겟세포를 중성전극을 이용하여 각각 자극할 수 있는 노드 사용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using a node capable of stimulating each target cell in a stimulation region using a neutral electrode is provided.

본 개시에 의하면, 음영영역의 타겟세포도 자극할 수 있는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capable of stimulating target cells in a shaded area is provided.

본 개시에 의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의해서 충전될 때 복수의 노드가 서로의 자기장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nodes are not affected by each other's magnetic fields when charged by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 100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 : 120
노드 : 130
제어장치 : 140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100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er: 120
Node: 130
Control device: 140

Claims (11)

생체 내에 삽입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생체 외에 구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그리고,
생체 내에 삽입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떨어져 위치하며, 복수의 노드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서, 복수의 노드는 서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며 각각의 노드는 각각의 노드를 외부로부터 절연하는 절연층, 회로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포함하며,
인접하는 노드는 절연층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다르게 구비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In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serted into a living body,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provided outside the body; And,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that is located away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nserted into the body and includes a plurality of nodes; wherein the plurality of nodes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each other, and each node insulates each node from the outside Including;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ncluding an insulating layer, a circuit and an antenna,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adjacent nodes have different heights from the bottom of the insulating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노드는 1개 이상의 전극을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node is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one or more electrodes.
청구항 2에 있어서,
노드의 전극은 절연층으로부터 노출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the electrode of the node is exposed from the insulating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노드의 안테나는 LC 공진회로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tenna of the node is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n LC resonant circuit.
청구항 1에 있어서,
각각의 노드는 고유의 ID를 갖고 있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each node has a unique ID.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노드는 1 개 이상의 노드를 포함하는 제1 그룹과 제1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노드를 포함하는 제2 그룹으로 분류되며,
제2 그룹의 노드에서 제1 그룹의 노드로 전력이 무선으로 전송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nodes are classified into a first group including one or more nodes and a second group including the remaining nodes excluding the first group,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power is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node of the second group to the node of the first group.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수가 제2 그룹에 속하는 노드의 수보다 적은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the number of nodes belonging to the first group is less than the number of nodes belonging to the second group.
청구항 1에 있어서,
절연층 안에 복수의 노드가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nodes are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insulating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절연층은 연성(flexible) 재질로 된 멀티 노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sulation layer is a flexible (flexible) material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자극영역을 자극하기 위한 멀티 노드 무선전력 수신 장치의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 사용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9 중 하나의 멀티 노드 무선전력 수신 장치의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를 준비하는 단계;
자극영역에 구비되는 복수의 세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기 위한 중성전극을 찾는 단계; 그리고,
나머지 전극으로부터 중성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자극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전력 수신 장치의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의 노드 사용방법.
In the method of using one node among a plurality of nodes of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for stimulating a stimulation region,
Preparing one node of a plurality of nodes of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of claims 1 to 9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Finding a neutral electrode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among a plurality of cells provided in the stimulation region; And,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in the stimulation region by a current flowing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to the neutral electrode; method of using one node among a plurality of nodes of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음영영역을 자극하기 위한 멀티 노드 무선전력 수신 장치의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에 있어서,
각각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며, 제1 자극영역을 자극하는 청구항 1 내지 9 중 하나의 멀티 노드 무선전력 수신 장치의 복수의 노드 중 하나인 제1 노드와 제2 자극영역을 자극하는 청구항 1 내지 9 중 하나의 멀티 노드 무선전력 수신 장치의 복수의 노드 중 다른 하나인 제2 노드를 준비하는 단계;
제1 자극영역과 제2 자극영역 사이의 음영영역을 자극하기 위해 제1 노드와 제2 노드의 복수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기 위한 중성전극을 찾는 단계; 그리고,
나머지 전극으로부터 중성전극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음영영역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겟세포를 자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노드 무선전력 수신 장치의 복수의 노드 사용방법.
In the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of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for stimulating a shaded area,
Claims 1 to 9 each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nd stimulating a first node and a second stimulation region, which are one of a plurality of nodes of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of claims 1 to 9 for stimulating the first stimulation region Preparing a second node that is another one of a plurality of nodes of one of the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es;
Finding a neutral electrode for stimulating at least one or more target cells from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des of the first node and the second node to stimulate the shaded area between the first stimulation region and the second stimulation region; And,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nodes of a multi-node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stimulating at least one target cell provided in the shaded area by a current flowing from the remaining electrode to the neutral electrode.
KR1020180135051A 2018-11-06 2018-11-06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hod For Node and Multinode KR1021489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51A KR102148985B1 (en) 2018-11-06 2018-11-06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hod For Node and Multin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051A KR102148985B1 (en) 2018-11-06 2018-11-06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hod For Node and Multin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013A KR20200052013A (en) 2020-05-14
KR102148985B1 true KR102148985B1 (en) 2020-08-28

Family

ID=7073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051A KR102148985B1 (en) 2018-11-06 2018-11-06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hod For Node and Multin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98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5910A (en) * 1998-03-13 2002-02-26 ジョンズ ホプキンズ ユニヴァーシティ Artificial eye
JP2011151989A (en) * 2010-01-22 2011-08-04 Sony Corp Wireless power feed device and wireless power feed system
US20120041514A1 (en) * 2009-02-09 2012-02-16 Nano-Retina, Inc. Retinal prosthesi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993B1 (en) * 2010-10-27 2018-10-04 이리듐 메디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lexible artificial retina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5910A (en) * 1998-03-13 2002-02-26 ジョンズ ホプキンズ ユニヴァーシティ Artificial eye
US20120041514A1 (en) * 2009-02-09 2012-02-16 Nano-Retina, Inc. Retinal prosthesis
JP2011151989A (en) * 2010-01-22 2011-08-04 Sony Corp Wireless power feed device and wireless power fee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2013A (en) 2020-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662B2 (en) Midfield transmitter systems
EP3010583B1 (en) Dynamic modification of modulation throughout a therapy period
US804142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ypothalamic function via vestibular stimulation
US9486629B2 (en) Brain stimulating system
KR20150112923A (en) Internal resonance matching between an implanted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US11298544B2 (en) Nerve stimul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n external wireless power source
JP2018538017A (en) Electromagnetic waves that sense and modulate neuronal activity
US1193831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crete measurement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WO2012016167A1 (en) Medical device having a multi-element antenna
CN107735145A (en) External unit for implantable nerve stimulator system
US20240173551A1 (en) Closed-Loop Wireless Stimulation Systems with Wirelessly Powered Stimulators and Recorders
KR20180127798A (en) Deep brain stimulation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48985B1 (en)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ing Method For Node and Multinode
KR102135771B1 (en) Multi-nod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Nerve Connection Network
US8565870B2 (en) System of implantable medical devices includ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devices and a common bus over which power and operating instructions are distributed to the devices
US9538957B2 (en) Implantable medical device that is configured for movable connection to an implanted trunk and that is able to inductively exchange signals with the trunk
US20240017088A1 (en) Load-regulated implantable optical micro device
US20230364422A1 (en) Deep Brain Stimulation System with Wireless Power
WO2023220573A2 (en) Ambulatory brain monitoring and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KR20230069844A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wireless monitoring of neu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