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390B1 -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390B1
KR102148390B1 KR1020190161183A KR20190161183A KR102148390B1 KR 102148390 B1 KR102148390 B1 KR 102148390B1 KR 1020190161183 A KR1020190161183 A KR 1020190161183A KR 20190161183 A KR20190161183 A KR 20190161183A KR 102148390 B1 KR102148390 B1 KR 102148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ed water
pollutant
water
treatment
o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원기
Original Assignee
송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원기 filed Critical 송원기
Priority to KR102019016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6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a software program or a logic diagram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 수단이 구비된 제1 수조에서 여과한 뒤, 센서를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를 측정하는 오염 농도 측정 단계; 오염 농도 측정 후, 제1 수조의 처리수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2 수조로 이송하고,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따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함으로써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처리 수단 제어 단계; 제1 오염물질 처리 단계의 수행 후, 제2 수조의 처리수를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3 수조로 이송하되, 이송 중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하여,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ONITORING OF WATER TREATMENT FACILITY BASED ON OZONE TREATMENT}
본 발명은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근거하여 수처리 시설의 운영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수처리 효율을 유지하는 동시에 수처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수처리 시설은 오수나 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처리 시설로서,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수질 악화, 난분해성 폐수의 증가, 환경 규제 강화, 생활수준 향상 등으로 인하여, 깨끗한 물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수처리 기술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수처리 시설은, 현재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고도의 정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처리 비용 및 유지 관리 비용이 소모되어, 일부 시설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에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7-0018467호(분리막을 구비한 삼투압 응용 공정 수처리 장치, 분리막의 오염도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서는 분리막의 총 면적대비 형광 물질 면적으로부터 오염 정도를 측정하여 수처리 분리 공정의 압력 및 투과도와 관련된 운전 조건을 제어하도록 하여 수처리 시설의 최적 운전을 안내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도모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의 운전 조건 제어는, 분리막의 오염 정도에 따른 교체 주기 알림, 또는 물리/화학적 세정의 필요성을 사용자 측에 알림으로써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불과하여 오염 정도에 따른 수처리 시설의 세밀한 운전 조건의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로 비용 절감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선행기술은 단순히 오염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정도의 기술만이 개시되는 정도여서, 모니터링 결과로부터 수처리 프로세스를 간소화하여 전반적인 수처리 시설의 운영, 유지 및 관리에 소모되는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 또한 존재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3 수조에 구비된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수처리 효율을 유지하는 동시에 수처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 수단이 구비된 제1 수조에서 여과한 뒤, 센서를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를 측정하는 오염 농도 측정 단계; 오염 농도 측정 후, 제1 수조의 처리수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2 수조로 이송하고,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따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함으로써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처리 수단 제어 단계; 제1 오염물질 처리 단계의 수행 후, 제2 수조의 처리수를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3 수조로 이송하되, 이송 중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하여,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한 결과,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충족할 시, 제3 수조에 이송된 상기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 처리하고,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미충족할 시,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가동하여 제3 수조로 이송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미충족할 경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은,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의 수행 시, 재실시된 오염 농도 측정값에 의해 도출된 제어값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 및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오존을 발생시켜 발생된 오존을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는 오존 발생기를 포함하고, 오존 발생기는, 발생된 오존의 분사 주입 경로가 되는 오존 주입구가, 제2 수조 및 제3 수조의 중심부에 설치된 로터리 회전 축의 노즐로 구비되도록 하여,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며 처리수 측으로 오존을 분사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오존 발생기에 대한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처리수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발생기가 더 포함되고, 제1 처리 수단 제어 단계 및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에서는, 오존 발생기에서의 오존 발생량,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속도 및, 진동 발생기의 진동 출력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제1 수조에는 초음파 집속기가 더 구비되고, 초음파 집속기로부터 여과된 처리수에 기 설정된 주파수의 초음파를 집속시켜 처리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대한 캐비테이션(Cavitaiton) 효과를 유도함으로써, 오염물질의 분해 처리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은,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 및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1 수조에 처리수가 유입될 시, 연동된 관리자 단말에 유입된 처리수에 대한 수처리 기간, 수처리 결과 및, 수처리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존 발생기는, 발생된 오존의 분사 주입 경로가 되는 오존 주입구가, 상기 제2 수조 및 상기 제3 수조의 중심부에 설치된 로터리 회전 축의 노즐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며 상기 처리수 측으로 상기 오존을 분사 주입하는 것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 수단이 구비된 제1 수조에서 여과한 뒤, 센서를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를 측정하는 오염 농도 측정부; 오염 농도 측정 후, 제1 수조의 처리수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2 수조로 이송하고,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따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함으로써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처리 수단 제어부; 제1 오염물질 처리부의 기능 수행 후, 제2 수조의 처리수를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3 수조로 이송하되, 이송 중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하여,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처리 수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술한 단계들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 수단이 구비된 제1 수조에서 여과한 뒤, 센서를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를 측정하는 오염 농도 측정 단계; 오염 농도 측정 후, 제1 수조의 처리수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2 수조로 이송하고,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따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함으로써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처리 수단 제어 단계; 제1 오염물질 처리 단계의 수행 후, 제2 수조의 처리수를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3 수조로 이송하되, 이송 중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하여,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3 수조에 구비된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수처리 효율을 유지하는 동시에 수처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을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여 오존과 처리수의 반응을 극대화하여 오존의 접촉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배오존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처리 이력으로부터 외부에서 유입된 처리수에 요구되는 제어 솔루션이 제공됨으로써, 수처리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수에 초음파를 집속시켜 오염물질에 대한 캐비테이션 효과를 유도하여 오염물질의 분해 처리를 우선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오염물질 처리에 상대적으로 적은 오존을 주입량을 요구하게 되므로, 전반적인 수처리 시설의 운영, 유지 및 관리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의 개략적인 프로세스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된 수처리 이력으로부터 관리자 단말에 처리수의 제어 솔루션을 포함하는 예측 데이터가 제공되는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존 처리 기반의 수치리 시설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개시하는 본 발명은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3 수조에 구비된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수처리 효율을 유지하는 동시에 수처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흐름도가 개시되어 있다.
먼저, 외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 수단이 구비된 제1 수조에서 여과한 뒤, 센서를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를 측정하는 오염 농도 측정 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센서는, 환경부가 정하는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오염물질의 측정이 가능한 센서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센서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부유물질량, 수소이온 농도, 노말헥산 추출물질 함유량, 페놀류 함유량, 시안 함유량, 크롬 함유량, 용해성 철 함유량, 아연 함유량, 구리 함유량, 카드뮴 함유량, 수은 함유량, 유기 인 함유량, 비소 함유량, 납 함유량, 용해성 망간 함유량, 불소 함유량, PCB 함유량, 총대장균군 함유량, 벤젠 함유량, 디클로로메탄 함유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함유량 측정이 가능한 센서가 이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S10 단계에서 처리수를 여과하는 여과 수단은, 물리적 여과 수단 및 화학적 여과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여과 수단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여과 수단으로서 1종 이상의 여과 필터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여과 수단은, 외부에서 유입된 처리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렇게 분리된 침전물은, 함수율이 10% 미만이 되도록 탈수 처리하여 슬러지 케이크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슬러지 케이크는, 유기물의 함량을 분석하여 유기물의 함량이 40% 이상인 것을 유기 슬러지로, 40% 미만인 것을 무기 슬러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게 배출 또는 재활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또 다른 한편, 상술한 여과 수단에 의해 침전물에 분리 제거된 후의 처리수에는, 제1 수조에 구비된 초음파 집속기에 의하여, 기 설정된 주파수를 갖는 초음파가 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초음파 집속기는, 여과 처리된 후 제1 수조에 수용되어 있는 처리수에 20Hz 내지 250kHz의 주파수를 집속시킬 수 있는데, 이때, 상술한 주파수 범위를 갖는 초음파의 집속은, 초음파가 전파될 때 발생하는 +, - 압력의 변화에 의한 Cavity의 붕괴 시 발생하는 충격과 열을 이용하여 박테리아의 파괴 및 고분자간의 원자 결합을 끊기게 하는 캐비테이션(Cavitation) 효과를 유도하여, 오염물질을 분해 및 제거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인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즉 상술한 초음파 집속에 의하여, 처리수에 포함되는 오염물질, 예를 들어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은 원자들이 미세하게 분쇄되어 기능을 상실하거나, Cavity의 충격파와 열에 의해 제거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S10 단계의 수행 후, 제1 수조의 처리수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2 수조로 이송하고,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따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함으로써,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오염물질 처리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오존을 발생시켜 발생된 오존을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는 오존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오존 발생기는, 오존의 분사 주입 경로가 되는 오존 주입구가, 제2 수조의 중심부에 설치된 로터리 회전 축의 노즐로 구비되도록 하여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며 처리수 측으로 발생된 오존을 분사 주입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노즐은 회전 구동하는 로터리 회전 축의 일 영역에 복수 개로 설치되어, 노즐에서 오존이 분사될 시, 오존이 하나의 분사면을 이루면서 처리수 측으로 분사 주입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오존 주입구의 특징적인 구성에 의하여, 처리수와의 오존 접촉 효율을 증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처리수의 오염물질 제거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오존을 요구하는 동시에, 배오존 발생량이 최소화되어 처리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상술한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상술한 오존 발생기에 대한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처리수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제2 수조에 진동 발생기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진동 발생기는, 오존 발생기의 구동과 동시 구동되어, 오존 주입 시에 진동 발생기에 의해 출력되는 진동이 처리수에 전달됨으로써 제2 수조의 처리수를 지속적으로 유동시키고, 이에 분사 주입되는 오존과의 반응성을 촉진함으로써, 오존 반응에 의한 고도의 수처리 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수조에 로터리 회전 축의 일 영역과 연결되는 블레이드(Blade) 부재를 더 포함시켜 블레이드에 의하여 제2 수조에 수용된 처리수의 순환을 보조함으로써, 처리수와 오존의 접촉 반응의 촉진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S20 단계에서는, 오염 농도의 측정값에 따라, 상술한 오존 발생기에서의 오존 발생량, 오존 주입구가 형성된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속도, 진동 발생기의 진동 출력량 및 블레이드의 송풍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S20 단계의 수행 후에는, 제2 수조의 처리수를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3 수조로 이송하되, 이송 중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하여, 상술한 제3 수조에 구비된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제3 수조에 구비되는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앞서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과 동일하게 오존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 수조에는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으로서 오존을 발생시켜 발생된 오존을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는 오존 발생기가 포함되며, 발생된 오존의 분사 주입 경로가 되는 오존 주입구가 제3 수조의 중심부에 설치된 로터리 회전 축의 노즐로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터리 회전 축에 구비된 오존 주입구는 회전 구동하며 처리수 측으로 오존을 분사 주입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술한 노즐은 복수 개로 설치되어 노즐에서 오존이 분사될 시 오존이 하나의 분사면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제3 수조에도 역시 오존 발생기와 동시 구동하는 진동 발생기가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포함되어 처리수를 지속적으로 유동시켜, 오존과의 반응성을 극대화할 수 있음이 당연하며,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블레이드 역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S30 단계의 수행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서는 S30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2를 참조하여 설명을 이어가면, S31 단계에서 상술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한 결과,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할 경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가동하여 제3 수조로 이송된 처리 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를 수행하는 S311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S311 단계는, 오염물질 처리 상태를 검증하는 동시에, 제2 수조에서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에 의해 미처 처리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제3 수조의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에 의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수처리 효율을 증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S311 단계에서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은, S30 단계의 수행 시 재실시된 오염농도 측정값에 의해 도출된 제어값이 이용되는 것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어값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오존 발생기의 오존 발생량, 오존 주입구가 형성된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속도, 진동 발생기의 진동 출력량 및 블레이드의 송풍량의 제어가 수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앞서 S20 단계에서는 물론이고, S311 단계에서도 처리수의 처리수의 오염 농도에 대응되는 제어값으로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구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가동 효율을 증대하여, 고도의 처리 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경제적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S31 단계의 다른 실시 예로서,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 미만일 경우, 제3 수조에 이송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 처리하는 S312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상술한 S312 단계는,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충족함에 따라서, 제3 수조의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가동할 필요 없이 방류 처리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S31 단계에서의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한 결과에 따라서, 제3 수조에 구비된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가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가동되어 에너지 및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수처리 프로세스의 공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수조(10)로 유입된 처리수는 여과 처리되어 제2 수조(20)로 이송되고, 센서(1101)에 의해 그 오염 농도가 측정되게 된다.
이때, 제2 수조(20)에 구비된 제1 오염물질 제거 처리 수단은, 오염 농도 측정값에 기반하여 오존 발생기의 오존 발생량,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속도, 진동 발생기의 진동 출력량 및 블레이드의 송풍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값을 설정하여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조(20)에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된 처리수는, 제3 수조(30)로 이송되며, 이송 중, 센서(1101) 모듈에 의해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이 재실시되며, 재실시된 오염 농도 측정값을 기초로 제3 수조(30)에 구비된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가동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수조(20)에서 제3 수조(30)로 이송되는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초과할 경우, (A)와 같이 제3 수조(30)에 구비된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가동하게 되고, 제2 수조(20)에서 제3 수조(30)로 이송되는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 미만일 경우 (B)와 같이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가동하지 않고 외부로 방류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3 수조(30)에 구비된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예비 처리 수단으로서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술한 수처리 프로세스에 의하여 공정을 간소화하여, 전반적인 수처리 시설의 운영 및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 효율을 현저히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은,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 및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어 이력은, 오염물질 농도에 따른 각각의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포함하는 제어 이력을 누적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렇게 데이터베이스화한 제어 이력은, 제1 수조에 처리수가 유입될 시, 연동된 관리자 단말에 유입된 처리수에 대한 수처리 기간, 수처리 결과 및 수처리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화된 수처리 이력으로부터 관리자 단말에 처리수의 제어 솔루션을 포함하는 예측 데이터의 제공 예가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도 4의 1000에 도시된 화면과 같이, 관리자 단말에서는 처리수의 오염 농도에 따른 예상 처리 시간을 포함하는 수처리 스케줄 및, 수처리 시설을 구성하는 각각의 설비 항목별 제어값을 포함하는 제어 솔루션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원격지에서 수처리 시설의 모니터링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수처리 시설 설비의 최적 운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이때,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프로세서에서 예측 데이터를 기초로 수행된 수처리 결과값을 수집하도록 하여, 예측 데이터와 실제 수행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오차를 분석하고, 오차 분석 결과를 기초로 예측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갱신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제공 방법에서는, 처리수의 제어 이력이 누적될수록 고도의 정수 처리 효율을 달성하는 동시에, 우수한 경제적 효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3 수조에 구비된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수처리 효율을 유지하는 동시에 수처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오존 발생기에서 발생한 오존을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여 오존과 처리수의 반응을 극대화하여 오존의 접촉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배오존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처리 이력으로부터 외부에서 유입된 처리수에 요구되는 제어 솔루션이 제공됨으로써, 수처리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수에 초음파를 집속시켜 오염물질에 대한 캐비테이션 효과를 유도하여 오염물질의 분해 처리를 우선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오염물질 처리에 상대적으로 적은 오존을 주입량을 요구하게 되므로, 전반적인 수처리 시설의 운영, 유지 및 관리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장치(100)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장치(100)는, 바람직하게 오염 농도 측정부(110), 제1 처리 수단 제어부(120) 및 제2 처리 수단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오염 농도 측정부(1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 수단이 구비된 제1 수조(20)에서 여과한 뒤, 센서를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오염 농도 측정부(110)는, 앞서 도 1의 S1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오염 농도 측정부(110)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제1 수조(20)에서 제2 수조(20)로 이송된 처리수에 대한 제어 솔루션이 과거 수처리 이력에 근거하여 결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처리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함유량에 따라 제2 수조(20)에 구비된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하여 자원 및 에너지의 낭비를 최소화한 수처리 시설의 운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전반적인 수처리 시설의 운영 비용 절감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수조(20)에는, 초음파 집속기(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초음파 집속기(111)는, 여과 수단에 의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기 설정된 초음파를 집속시켜 처리수에 대한 캐비테이션 효과를 유도함으로써, 오염물질의 분해 및 제거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1 처리 수단 제어부(120)는, 제1 수조(20)의 처리수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2 수조(20)로 이송되도록 하고,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 값에 따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함으로써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제1 처리 수단 제어부(120)는, 앞서 도 1의 S2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처리 수단 제어부(120)에 의하여, 처리수의 오염 농도에 따른 최적 제어값이 도출됨에 따라 자원 및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제2 처리 수단 제어부(130)는, 제1 처리 수단 제어부(120)의 기능 수행 후 제2 수조(20)의 처리수를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3 수조(30)로 이송하되, 이송 중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하여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제2 처리 수단 제어부(130)는,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한 결과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충족할 시, 제3 수조(30)에 이송된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 처리하고,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미충족할 시,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가동하여 제3 조로 이송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제2 처리 수단 제어부(130)는, 앞서 도 1의 S30 단계가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제2 처리 수단 제어부(130)에 의하여 수처리 프로세서의 공정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전반적인 수처리 시설의 운영 및 유지 관리 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제1 처리 수단 제어부(120) 및 제2 처리 수단 제어부(130)에서, 각각의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오존을 발생시켜 오존을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는 오존 발생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오존 발생기(121)는 오존의 분사 주입 경로가 되는 오존 주입구가 제2 수조(20) 및 제3 수조(30)의 중심부에 설치된 로터리 회전 축의 노즐로서 구비되도록 하여,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며 처리수 측으로 오존이 분사 주입되도록 구비되도록 하여 오존과 처리수의 접촉 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오존 발생기(121)를 주 처리 수단으로서 이용하되,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제2 수조(20) 및 제3 수조(30)에 수용된 처리수에 오존이 분사 주입될 시, 처리수에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처리수의 반응 촉진을 도와 처리수와 오존의 접촉 효율이 더욱 증대되도록 하는 진동 발생기(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 나아가,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로터리 회전 축의 일 영역과 연결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블레이드에 의한 처리수 순환 효율을 극대화하여 처리수와 오존의 접촉 효율을 더더욱 증대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장치(100)는,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3 수조(30)에 구비된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높은 수처리 효율을 유지하는 동시에 수처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오존 발생기(121)에서 발생한 오존을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여 오존과 처리수의 반응을 극대화하여 오존의 접촉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배오존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처리 이력으로부터 외부에서 유입된 처리수에 요구되는 제어 솔루션이 제공됨으로써, 수처리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처리수에 초음파를 집속시켜 오염물질에 대한 캐비테이션 효과를 유도하여 오염물질의 분해 처리를 우선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오염물질 처리에 상대적으로 적은 오존을 주입량을 요구하게 되므로, 전반적인 수처리 시설의 운영, 유지 및 관리 비용의 절감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 다른 한편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6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6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구현되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 수단이 구비된 제1 수조에서 여과한 뒤, 센서를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를 측정하는 오염 농도 측정 단계;
    상기 오염 농도 측정 후, 상기 제1 수조의 처리수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2 수조로 이송하고,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처리 수단 제어 단계; 및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제2 수조의 처리수를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3 수조로 이송하되, 이송 중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하여, 상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한 결과,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충족할 시, 상기 제3 수조에 이송된 상기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 처리하고,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미충족할 시, 상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가동하여 상기 제3 수조로 이송된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미충족할 경우, 상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은, 상기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의 수행 시, 재실시된 오염 농도 측정값에 의해 도출된 제어값을 이용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 및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오존을 발생시켜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는 오존 발생기가 포함되고, 상기 오존 발생기는, 발생된 오존의 분사 주입 경로가 되는 오존 주입구가, 상기 제2 수조 및 상기 제3 수조의 중심부에 설치된 로터리 회전 축의 노즐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며 상기 처리수 측으로 분사면을 이루는 오존을 분사 주입하며,
    상기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상기 오존 발생기에 대한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처리수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발생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처리 수단 제어 단계 및 상기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의 오존 발생량, 상기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출력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수조에는 초음파 집속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집속기로부터 상기 여과된 처리수에 기 설정된 주파수의 초음파를 집속시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대한 캐비테이션(Cavitaiton) 효과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오염물질의 분해 처리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 및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제1 수조에 처리수가 유입될 시, 연동된 관리자 단말에 유입된 처리수에 대한 수처리 기간, 수처리 결과 및, 수처리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며,
    프로세서에서는 상기 예측 데이터와 상기 예측 데이터를 기초로 수행된 수처리 결과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분석함으로써, 오차 분석 결과에 기초한 예측 데이터의 주기적 갱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 수단이 구비된 제1 수조에서 여과한 뒤, 센서를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를 측정하는 오염 농도 측정부;
    상기 오염 농도 측정 후, 상기 제1 수조의 처리수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2 수조로 이송하고,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처리 수단 제어부; 및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부의 기능 수행 후, 상기 제2 수조의 처리수를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3 수조로 이송하되, 이송 중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하여, 상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처리 수단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한 결과,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충족할 시, 상기 제3 수조에 이송된 상기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 처리하고,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미충족할 시, 상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가동하여 상기 제3 수조로 이송된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미충족할 경우, 상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은, 상기 제2 처리 수단 제어부의 수행에 의해 획득된, 재실시된 오염 농도 측정값에 의해 도출된 제어값을 이용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 및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오존을 발생시켜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는 오존 발생기가 포함되고, 상기 오존 발생기는, 발생된 오존의 분사 주입 경로가 되는 오존 주입구가, 상기 제2 수조 및 상기 제3 수조의 중심부에 설치된 로터리 회전 축의 노즐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며 상기 처리수측으로 분사면을 이루는 오존을 분사 주입하며,
    상기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상기 오존 발생기에 대한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처리수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발생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처리 수단 제어부 및 상기 제2 처리 수단 제어부에서는,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의 오존 발생량, 상기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출력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수조에는 초음파 집속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집속기로부터 상기 여과된 처리수에 기 설정된 주파수의 초음파를 집속시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대한 캐비테이션(Cavitaiton) 효과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오염물질의 분해 처리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 및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제1 수조에 처리수가 유입될 시, 연동된 관리자 단말에 유입된 처리수에 대한 수처리 기간, 수처리 결과 및, 수처리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며,
    프로세서에서는 상기 예측 데이터와 상기 예측 데이터를 기초로 수행된 수처리 결과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분석함으로써, 오차 분석 결과에 기초한 예측 데이터의 주기적 갱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장치.
  9.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처리수를, 여과 수단이 구비된 제1 수조에서 여과한 뒤, 센서를 이용하여 여과된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를 측정하는 오염 농도 측정단계;
    상기 오염 농도 측정 후, 상기 제1 수조의 처리수를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2 수조로 이송하고,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1 처리 수단 제어 단계; 및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제2 수조의 처리수를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이 구비된 제3 수조로 이송하되, 이송 중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하여, 상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 농도 측정을 재실시한 결과,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충족할 시, 상기 제3 수조에 이송된 상기 처리수를 외부로 방류 처리하고,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미충족할 시, 상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을 가동하여 상기 제3 수조로 이송된 상기 처리수에 대한 오염물질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처리수의 오염 농도가 기 설정된 배출 허용 기준을 미충족할 경우, 상기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의 제어값은, 상기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의 수행 시, 재실시된 오염 농도 측정값에 의해 도출된 제어값을 이용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 및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오존을 발생시켜 발생된 오존을 상기 처리수에 분사 주입하는 오존 발생기가 포함되고, 상기 오존 발생기는, 발생된 오존의 분사 주입 경로가 되는 오존 주입구가, 상기 제2 수조 및 상기 제3 수조의 중심부에 설치된 로터리 회전 축의 노즐로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하며 상기 처리수측으로 분사면을 이루는 오존을 분사 주입하며,
    상기 오염물질 처리 수단은,
    상기 오존 발생기에 대한 보조 처리 수단으로서, 상기 처리수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 발생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1 처리 수단 제어 단계 및 상기 제2 처리 수단 제어 단계에서는,
    상기 오존 발생기에서의 오존 발생량, 상기 로터리 회전 축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진동 발생기의 진동 출력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수조에는 초음파 집속기가 더 구비되어 상기 초음파 집속기로부터 상기 여과된 처리수에 기 설정된 주파수의 초음파를 집속시켜 상기 처리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에 대한 캐비테이션(Cavitaiton) 효과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오염물질의 분해 처리가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오염물질 처리 수단 및 제2 오염물질 처리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의 제어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제1 수조에 처리수가 유입될 시, 연동된 관리자 단말에 유입된 처리수에 대한 수처리 기간, 수처리 결과 및, 수처리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며,
    프로세서에서는 상기 예측 데이터와 상기 예측 데이터를 기초로 수행된 수처리 결과값을 비교하여 오차를 분석함으로써, 오차 분석 결과에 기초한 예측 데이터의 주기적 갱신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90161183A 2019-12-06 2019-12-06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48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183A KR102148390B1 (ko) 2019-12-06 2019-12-06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183A KR102148390B1 (ko) 2019-12-06 2019-12-06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390B1 true KR102148390B1 (ko) 2020-08-26

Family

ID=7229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183A KR102148390B1 (ko) 2019-12-06 2019-12-06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3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904A (ko) * 1999-02-11 2000-09-15 장홍열 오·폐수 및 축산, 분뇨폐수의 중수도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JP2005254079A (ja) * 2004-03-10 2005-09-22 Hitachi Maxell Ltd 汚水のオゾン酸化処理システム
JP2012005947A (ja) * 2010-06-24 2012-01-12 Masa Tagome ポンプエアレ−ション装置
KR101125318B1 (ko) * 2011-10-28 2012-03-27 한국수자원공사 수처리공정에 이용되는 오존주입률 결정장치 및 방법
KR20130101757A (ko) * 2012-03-06 2013-09-16 노정기 수처리장치
KR20170035104A (ko) * 2015-09-22 2017-03-3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오염수 고도산화처리장치 및 고도산화처리방법
KR20190032919A (ko) * 2017-09-20 2019-03-28 한국지역난방공사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904A (ko) * 1999-02-11 2000-09-15 장홍열 오·폐수 및 축산, 분뇨폐수의 중수도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JP2005254079A (ja) * 2004-03-10 2005-09-22 Hitachi Maxell Ltd 汚水のオゾン酸化処理システム
JP2012005947A (ja) * 2010-06-24 2012-01-12 Masa Tagome ポンプエアレ−ション装置
KR101125318B1 (ko) * 2011-10-28 2012-03-27 한국수자원공사 수처리공정에 이용되는 오존주입률 결정장치 및 방법
KR20130101757A (ko) * 2012-03-06 2013-09-16 노정기 수처리장치
KR20170035104A (ko) * 2015-09-22 2017-03-3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오염수 고도산화처리장치 및 고도산화처리방법
KR20190032919A (ko) * 2017-09-20 2019-03-28 한국지역난방공사 전오존 처리를 적용한 수처리 장치 및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5345B1 (en) Marine diesel engine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CN103739040B (zh) 一种模块化单体电化水处理箱
JP6551917B1 (ja) 紫外線/過硫酸ナトリウムによる二次排水中の微量汚染物質除去のための分解予測方法
CN105833703A (zh) 一种氯化钠电解工业尾气回收处理工艺
KR102148390B1 (ko) 오존 처리 기반의 수처리 시설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20118296A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플라즈마 스크러버용 수처리시스템
KR20210130807A (ko) 수지의 속도론적 특성을 재생 및 복원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6116181B (zh) 一种基于模型优化的废气废水处理方法及装置
JP5603271B2 (ja) 放射性廃液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CN106630378B (zh) 一种利用臭氧的污泥减量方法
Frolova et al. Technology of extraction manganese compounds from the discharge water of metallurgical enterprises with the use of ultrasound
CN104192946B (zh) 胺液净化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356689B1 (ko) 고층 건축물 내의 에너지원을 활용한 용수 재이용 장치 어셈블리 및 용수 재이용방법
KR102142465B1 (ko) 오존의 분사 주입에 의한 수처리 장치
KR101171865B1 (ko) 클레이 제거법에 의한 오염토양의 제염장치
CN205362195U (zh) 舰船餐厨垃圾及生活污水综合处理系统
Fox et al. Detecting the end of nitrification in small and decentraliz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using low-resource real-time control methods
KR101279718B1 (ko) 오염된 폐수지의 방사성핵종 제거방법 및 제거시스템
Ujang et al. Industrial wastewater minimization using water pinch analysis: a case study on an old textile plant
CN103232129B (zh) 抗触媒团聚的微波光化学催化废水降解反应器扩容方法
CN105417832A (zh) 一种集成化智能油田采油污水处理装置和方法
KR102424831B1 (ko) 배기가스 제거가 용이하고 오염원 처리가 용이한 다기능 습식프라즈마 전기집진장치
KR101398348B1 (ko) 스컴 해소가 가능한 폐수 처리 장치
CN106391299B (zh) 除磁性异物的自动化控制系统
KR102324722B1 (ko) 광화학반응 기반의 스크러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