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324B1 -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 Google Patents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324B1
KR102148324B1 KR1020190145205A KR20190145205A KR102148324B1 KR 102148324 B1 KR102148324 B1 KR 102148324B1 KR 1020190145205 A KR1020190145205 A KR 1020190145205A KR 20190145205 A KR20190145205 A KR 20190145205A KR 102148324 B1 KR102148324 B1 KR 10214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nail
cutter blade
cu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식
김경희
Original Assignee
한정식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식, 김경희 filed Critical 한정식
Priority to KR102019014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2Nail clippers or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에 관한 것으로, 고유의 각도를 가진 커터 날에 의한 네일의 절단 순간에 고유의 각도보다 훨씬 예리한 예각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절단저항을 최소화하여 절단충격 없이 부드럽고 쉽게 애완동물의 발톱을 보다 자를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는, 일측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되며 피벗(30)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제1,2커터 바(10,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커터 바는 상기 손잡이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제1헤드부에 절단대상물이 안착되는 네일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터 바는 상기 네일 수용홈과 대향되는 끝에 커터날(21)이 형성되며, 상기 커터 날은 상기 제1커터 바의 네일수용부를 가로질러 절단하는 것으로서, 하단은 상기 네일 수용홈과 상기 피벗의 사이에서 상기 네일 수용홈에 근접하고 상단에서 상기 피벗중심까지의 거리가 하단에서 상기 피벗중심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하여 하향 경사진 커터 날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 경사진 커터 날이 피봇중심으로 전방의 상기 네일 수용홈을 향해 회전하면 상기 절단대상물이 전,하방측으로 가압되면서 사선으로 비스듬히 빗겨 잘리게 되어 고유의 각도보다 예리한 각으로 절단한다.

Description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Pet nail cutter by sharpening effe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발톱을 커팅하는 네일 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터 날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발톱을 자를 때 커터날의 고유 각도보다 더 예리하게 절단이 이루어지고 절단저항을 줄여 적은 힘으로 절단하는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반려견, 반려묘)의 발톱이 자라게 되면 사람 또는 다른 애완동물에게 상처를 입히게 되어 네일 커터를 사용하여 애완동물의 발톱을 깎아 주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애완동물용 네일 커터는 가위형 네일 커터, 직진형 네일 커터 등이 있다.
1. 가위형(Scissors type) 네일 커터.
가위처럼 피벗을 중심으로 양날을 조여서 자르는 것으로 가위날 대신에 커터부 측의 양측 끝 부분에서 대칭되도록 오목한 곡면의 홈을 가지고 이 홈에 적당한 각으로 절삭 날을 형성한 것으로, 이 대칭되는 홈 사이에 애완동물의 발톱을 위치시키고 양측 손잡이를 조이면서 발톱을 자르도록 한 것이다(등록특허 제10-1978625호, 등록특허 제10-1866542호).
2. 직진형(straight moving type) 네일 커터.
전방으로 돌출된 판에 'C'자나'O'자 모양으로 애완동물의 발톱이 위치시키도록 한 관통 홈이 형성된 판상에, 작동 손잡이의 움직임에 따라 일자 또는 곡선형으로 된 칼날이 상기 관통 홀을 향해 직진하여 전후로 이동하면서 관통 홀 사이로 삽입한 애완동물의 발톱을 자르도록 한 것이다(공개특허 제10-2000-0062313호, 등록특허 제10-1208112호).
두 가지 방식 모두 칼날이 대상물을 직접적으로 접점에서 거의 수직으로 밀고 들어가면서 자르는 것으로 칼날의 고유의 각도와 손의 조임 압력에 따라 절삭이 좌우된다. 또한, 가위형의 경우 대상물이 바깥으로 밀리지 않도록 날 선상에 오목한 곡선의 홈을 만들어 밀림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용 네일 커터는 기구의 내구성이나 강도를 고려하여 면도칼처럼 얇은 두께에 예리한 각으로 만들 수 없어 일반적으로 두꺼운 재료를 사용하고 절단날도 둔각으로 제조한다. 이 때문에 절단저항이 매우 커서 딱딱한 애완동물의 발톱을 자르는 것이 힘이 들고 절단 순간 세게 튀겨나가기도 한다. 따라서 손아귀 힘이 약한 사람은 사용하기 불편해 한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발톱을 보다 부드럽게 자를 수 있는 네일 커터가 절실히 요구된다,
그리고, 가위형 애완동물용 네일 커터는 칼날이 벌어진 상태로 두면 사용자의 손을 다칠 수 있어 날이 벌어진 상태로 방치되지 않도록 안전장치로서 록커(잠금장치)가 있으며, 또한, 한 쌍의 칼날이 일정 각도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장치로써 스토퍼(열림 각도 제한)가 손잡이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열림과 잠금을 위해 별도로 구성된 록커와 스토퍼 때문에 제조가 번거로울 수 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7/0013806호와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207040530은 홈에 동물의 발톱을 수용한 후 홈 형태의 커터 날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것으로 발톱을 비스듬히 파고들면서 절삭하지 못하며 즉 절단저항이 커 손바닥과 손가락에 큰 힘을 주게 되고 절단충격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978625호 등록특허 제10-1866542호 공개특허 제10-2000-0062313호 등록특허 제10-120811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일의 절단 순간에 커터날 고유의 각도보다 훨씬 예리한 예각으로 작용하도록 하여 절단저항을 대폭 줄여줌으로써 손아귀 힘이 약한 사람들도 애완동물의 발톱을 보다 부드럽고 쉽게 자를 수 있는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는, 일측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되며 피벗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제1,2커터 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커터 바는 상기 손잡이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제1헤드부에 절단대상물이 안착되는 네일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터 바는 상기 네일 수용부와 대향되는 끝에 커터날이 형성되며, 상기 커터 날은 상기 제1커터 바의 제1헤드부의 네일수용홈을 가로질러 절단하는 것으로서, 하단은 상기 네일 수용부와 상기 피벗의 사이에서 상기 네일 수용부에 근접하고 상단에서 상기 피벗중심까지의 거리가 하단에서 상기 피벗중심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하여 하향 경사진 커터 날을 형성하고, 상기 하향 경사진 커터 날이 피봇중심으로 전방의 상기 네일 수용부를 향해 회전하면 상기 절단대상물이 전,하방측으로 가압되면서 사선으로 비스듬히 빗겨 잘리게 되어 고유의 각도보다 예리한 각으로 절단하는 것으로, 각 손잡이를 조이면 상기 네일 수용부 내에 있는 절단대상물을 하향 경사진 커터 날 하부에서 절삭이 시작되어 커터 날의 상부이동 되면서 절삭이 완료된다. 즉, 종래의 커터와 같이 한 점에서 절삭 시작과 완료가 되는 것이 아니라 절삭 시작 후 커터 날을 따라 길게 이동하면서 점차 잘라지기 때문에 이동한 만큼 절단대상물을 자르는 칼의 각도가 원래보다 예각이 되는 효과가 일어난다.
이와 같이 상기 커터 날은 피봇을 중심으로 상기 네일 수용부를 향해 회전하면 상기 절단대상물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그리고 커터 날은 하에서 상으로 이동되면서 비스듬히 파고들면서 잘리기 때문에 커터 날의 고유의 각도보다 예리한 각으로 작용하여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에 의하면, 고유의 각도를 가진 커터 날에 의한 네일의 절단 순간에 고유의 각도보다 훨씬 예리한 예각으로 작용하게 되어 적은 절단저항에 의해 손아귀 힘이 약한 사람도 절단충격 없이 부드럽고 쉽게 애완동물의 발톱을 보다 부드럽고 쉽게 자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의 정면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에 적용된 네일 수용부의 예를 보이기 위한 제1커터 바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에 적용된 제2커터 바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에 적용된 커터 날의 조건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의 잠금 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의 중간 개방 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의 다른 예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100)는, 제1,2커터 바(10,20)가 피벗(30)을 통해 가위 형태로 연결되는 구성이며, 제1커터 바(10)에는 네일 수용홈(11)이 형성되고 제2커터 바(20)는 네일 수용홈(11)에 삽입된 애완용 동물의 네일(1)(발톱)을 예각화 작용이 가능하도록 한 커터 날(21)을 갖는 구성이다.
도 1과 도 2a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커터 바(10)는 사용자가 편하게 잡을 수 있는 크기이면서 폭보다 길이가 긴 형태이며, 전방에 제1헤드부(12)가 후방에 제1손잡이(13)가 구성되며, 제1헤드부(12)에 네일(1) 삽입 안착되는 네일 수용홈(11)이 형성되는 것이다.
제1커터 바(10)는 제1손잡이(13)를 끼움 결합하거나 인써트 사출하는 것으로 대체로 폭이 좁은 판(또는 봉)의 형태를 이루고, 제1손잡이(13)로부터 타측 단부의 제1헤드부(12)로 가면서 제1피벗홀(14)이 형성된다.
네일 수용홈(11)은 헤드부(12)의 가장자리로서 그 위치는 네일(1)의 절단을 위하여 커터 날(21)의 동작 범위 안이고, 제2커터 바(20)의 커터 날(21)과 대향되는 가장자리에 개방부를 갖는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크기는 개나 고양이의 네일(1)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이다.
커터 날(21)이 제1커터 바(10)의 옆에 겹쳐지기 때문에 네일 수용홈(11)은 둘레부가 개방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도 2b에서 보이는 것처럼, 둘레부가 막히고 좌우 양쪽이 관통된 구멍의 네일 수용홀(11-1)도 가능하다(도 2b 참고). 즉 네일 수용부로 홈과 홀 모두 가능한 것이다.
네일 수용홈(11)은 네일(1)을 안착시켜 받쳐주는 역할과 함께 네일(1) 절단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네일을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날(11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날(11a)은 네일 수용홈(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둔각이나 예각)된다.
네일 수용홈(11)은 네일(1)을 안착시켜 받쳐주는 역할과 함께 네일(1)을 일부 절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커터 날(11a)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커터 날(11a)은 네일 수용홈(1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둔각이나 예각)된다.
제1손잡이(13)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커터 바(10)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15는 록커(50)가 조립되는 록커 조립홀이다.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2커터 바(20)는 커터 날(21)이 있는 제2헤드부(22), 제2헤드부(22)와 연결되는 제2손잡이(23), 제2헤드부(22)와 제2손잡이(23) 사이에 제1피벗홀(14)과 통하도록 형성되는 제2피벗홀(24)로 구성된다.
제2커터 바(20)는 제1커터 바(10)와 동일한 판형이면서 제1,2피벗홀(14,24)과 조립되는 피벗(30)을 통해 제1커터 바(10)에 가위 형태로 체결되어, 제2헤드부(22)가 제1헤드부(12)와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커터 날(21)이 네일 수용홈(11)에 삽입된 네일(1)을 절단하도록 하고, 제2헤드부(22)는 제1커터 바(10)의 제1헤드부(12)를 가로지르는 방향(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커터 날(21)은 네일(1)을 비스듬히 파고들면서 고유의 각도보다 예각으로 절단하도록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한다(도 4참고).
1. 커터 날(21)은 네일 수용홈(11)의 뒤쪽에 배치.
커터 날(21)은 제2헤드부(22)의 앞쪽 단부에 형성되면서 그 위치는 네일 수용홈(11)의 뒤쪽이다. 따라서, 앞쪽에서부터 네일 수용홈(11) - 커터 날(21) - 피벗(30)의 순서로 배치된다.
이 때, 커터 날(21)은 하단 즉 절단의 시작 부분이 네일 안착홈(11)과 피벗(30) 사이에서 네일 안착홈(11)에 더 근접하여 위치한다. 왜냐하면, 네일 안착홈(11)에 멀리 떨어진 경우 네일(1)을 절단하지 못하는 부분이 생기기 때문이다.
2. 커터 날은 피벗으로부터 상단의 거리가 하단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
커터 날(21)의 상단(절단완료 부분)에서 피벗(30)의 중심까지의 거리(L1)는 커터 날(21)의 하단(절단시작 부분)에서 피벗(30)의 중심으로부터 거리(L2)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서, 커터 날(21)의 상단은 네일 안착홈(11)을 내려다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커터 날(21)의 상단과 피벗(30)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커터 날(21) 하단과 피벗(30)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짧으면 네일(1) 절단이 불가능하다.
3. 커터 날의 유효길이는 손잡이를 움켜쥘 수 있는 각도에 따른다.
종래에는 커터 날은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단순히 직 상방에서 가압만하기 때문에 커터 날의 길이와는 무관한데 반해, 본 발명의 커터 날(21)은 피봇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네일(1)을 비스듬히 파고들기 때문에 원하는 직경의 절단대상물이 손잡이의 작동범위 내에서 절삭이 될 수 있도록 커터 날의 유효길이(c-a) 가 결정된다. 유효길이(c-a)는 네일 수용홈(11)의 폭과 절단대상물인 네일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4. 피벗에서 커터 날의 상단과 하단의 경사각.
제1,2손잡이(13,23)의 벌어짐에 따라 예각화 거리와 예각 효과가 달라지며, 제1,2손잡이(13,23)가 많이 벌어지면 예각효과가 크지만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이 어렵고, 반대로 제1,2손잡이(13,23)가 조금 벌어지면 예각효과가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가 파지하기에 적당한 거리에서는 도4에서, 피벗(30) 중심과 커터 날(21)의 하단을 잇는 선(L2)과 커터 날(21)의 하단과 커터 날(21)의 상단을 잇는 선(c-a)의 각도(θ)는 90도~135도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 95~120도이다.
커터 날(21)은 전술한 조건을 만족하면서 비교적 예각(10~30도)의 날을 가지도록 한다.
커터 날(21)은 직선으로 도시되었으며, 단,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곡선형, 웨이브 형도 가능하며, 웨이브 형의 경우 직선과 곡선 모두가 가능하다.
이상의 구조에 따르면, 커터 날(21)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절단 준비와 절단 과정의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와 동물이 다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커터 날(20)의 상단부에 커터 날(21)의 외부 노출을 막아주는 보호부(25)가 포함된다.
보호부(25)는 커터 날(21)의 상단 앞쪽에서 제2헤드부(22)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절단을 간섭하지 않으면서 커터 날(2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커터 날(21)보다 두껍게 한다.
나머지 구성은 제1커터 바(1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제1커터 바(10)로부터 실시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2커터 바(10,20)는 제1,2피벗홀(14, 24)에 조립되는 피벗(30)(리벳)을 통해 가위처럼 작동하도록 조립되며, 이러한 동작에서 커터 날(21)이 네일(1)을 절단한 후 초기 위치(절단 준비 위치)로 편하고 빠르게 복귀하도록 복귀스프링(40)이 적용된다. 복귀스프링(40)은 예를 들어 양측이 제1,2커터 바(10,20)의 제1,2손잡이(13,23)에 지지되어 제1,2손잡이(13,23)를 벌어지도록 탄력 지지하여 제1,2헤드부(12,22)가 벌어지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1,2커터 바(10,20)를 보관을 위하여 잠금상태로 유지하고 제1,2커터 바(10,20)의 벌어짐을 구속하기 위한 록커(50)와 걸림턱이 구성된다.
록커(50)는 제1커터 바(10)의 록커 조립홀(15)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제2커터 바(20)는 록커(50)가 걸리는 걸림턱(26)을 포함한다.
록커(50)는 커터 날(21)의 단순히 잠금과 오픈만으로도 가능하고, 또는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잠금과 더불어 오픈을 2단으로 할 수도 있으며, 2단 오픈은 네일(1)의 두께에 맞춰 커터 날(21)의 움직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네일(1)의 두께가 얇은 것은 록커(50)를 1단에 맞춰놓고 반복 작업을 할 수 있어 편리하게 된다.
록커(50)는 잠금과 2단의 오픈을 위하여 제1 내지 제3록킹부(51,52,53)가 구성된다. 제1 내지 제3록킹부(51,52,53)는 록커(50)의 둘레부에 차례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서로 단차지는 턱의 형태이다.
도 5처럼, 잠금의 경우 제1록킹부(51)가 걸림턱(26)에 지지되고, 도 6에서처럼 중간 개방의 경우 제2록킹부(52)가 걸림턱(26)에 지지되며, 도 1에서처럼 완전 개방의 경우 제3록킹부(53)가 걸림턱(26)에 지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의 예각화 원리를 도 4에서 일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실시예에서 L2 선과 커터날 c-a의 각도는 109도 이고, 절단대상물인 네일의 직경은 최대 6mm로 한다. 따라서 a-b의 길이는 6mm에 해당한다. 커터 날의 각도는 14도로 한다. 피봇(30)에서 절단대상물까지의 거리는 35mm로 한 경우에 있어서,
커터 날(21)에 의해 네일(1)을 잘랐을 때 완전히 자를 수 있는 위치는, 커터 날(21)에서 a-b 깊이(T1)만큼 지나면 네일(1)이 완전히 잘라진다. 이 지점에서 날의 두께는 h1이고 칼의 고유 단면은 단면 "B-B"와 같다.
제1커터 바(10)의 네일 수용홈(13)에 위치한 네일(1)을 본 발명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자르기 위하여 제2손잡이(23)를 조여서 제2커터 바(20)를 피벗(3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이때 커터 날(21) 끝선은 c에서 a로 이동하고 b점까지 파고 들면 완전히 잘라진다.
커터 날(21)의 절단 시작점 c로부터 절단이 끝나는 b로 이동되는 괘적 c-b가 만들어지고 길이는 L3가 된다. 이때 커터 날(21)에서의 (최대) 두께는 상기 h1과 동일하다. 따라서 괘적 c-b에서의 길이 L3와 두께 h1에 의해 단면 "A-A"가 만들어지고 이 단면에서 날의 각도를 측정하면 6.7도가 된다. 이 각도가 실제적으로 네일(1)을 자르는데 적용된 각도이다. 종래의 커터에서는 14도가 그대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커터에서는 6.7도가 적용되어 원래 커터의 각도의 1/2보다 적은 예리한 각으로 자르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실제 적용된 커터 날은 고유 각보다 훨씬 예각화 된 것임을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쉽게 네일을 자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예각에 의한 네일 커터에 의한 네일 절단작용은 다음과 같다.
1. 네일 거치.
도 5의 네일 커터의 잠금 상태에서 네일(1)의 절단을 위하여 록커(50)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즉 제1록킹부(51)를 걸림턱(26)에서 빼내면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제1,2커터 바(10,20)가 벌어지게 되고, 도 1 또는 도 6과 같이 록커(50)의 제2 또는 제3록킹부(52,53)에 걸림턱(26)을 걸어 제1,2커터 바(10,20)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는 제2헤드부(22)가 네일 수용홈(11)을 가리지 않고 네일 수용홈(11)이 개방된다. 개방부를 통하여 네일 수용홈(11) 안에 네일(1)을 삽입한다.
네일 수용홈(11a)에 개방부가 없이 관통홀인 경우에는 직접 홀을 통과하여 자르고자하는 만큼 네일(1)을 삽입한다.
2. 절단.
사용자가 제1,2손잡이(12,22)를 잡고 조이면, 제2커터 바(20)가 피벗(30)을 중심으로 하여 제1커터 바(10)를 향해 회전{또는 제1,2커터 바(10,20)가 서로 모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 과정에서 네일(1)은 네일 수용홈(11)의 벽에 지지되고 있고 커터 날(21)은 전방과 하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네일(1)을 비스듬히 파고들어 절단한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실시예 1은 커터 날(21)과 네일 수용홈(11) 사이에 개방된 공간이 넓어 사용자가 발톱을 네일 수용홈(11) 안에 넣지 않고 커터 날(21)에 붙여 절단하려는 절단 동작을 유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커터 날(21)이 네일 수용홈(11)을 향해 하향 경사지면서 접선으로부터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 1(도 1 내지 도 6)과 차이가 있고, 결국 사용자가 발톱을 네일 수용홈(11)에 넣도록 하며 커터 날(21)은 발톱을 네일 수용홈(11)으로 안내하는 기능도 한다.
도 7의 (A)는 2단으로 열린 상태이고, (B)는 1단으로 열린 상태이며, (C)는 잠금 상태이다.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10 : 제1커터 바, 11 : 네일 수용홈
12 : 제1헤드부, 13 : 제1손잡이
14 : 제1피벗홀,
20 : 제2커터 바, 21 : 커터 날
22 : 제2헤드부, 23 : 제2손잡이
24 : 제2피벗홀, 25 : 보호부
26 : 걸림턱,
30 : 피벗, 40 : 복귀스프링
50 : 록커, 51,52,53 : 제1 내지 제3록킹부

Claims (5)

  1. 일측에 각각 손잡이가 형성되며 피벗(30)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제1,2커터 바(10,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커터 바는 상기 손잡이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제1헤드부에 절단대상물이 안착되는 네일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터 바는 상기 네일 수용부와 대향되는 끝에 커터날(21)이 형성되며,
    상기 커터 날은 상기 제1커터 바의 네일수용부를 가로질러 절단하는 것으로서, 하단은 상기 네일 수용부와 상기 피벗의 사이에서 상기 네일 수용부의 후방에 근접하고 하단에서 상기 피벗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상단에서 상기 피벗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더 길게 하면서 피벗의 중심과 상기 커터 날의 하단을 잇는 선(L2)과 상기 커터 날의 하단과 상단을 잇는 선(c-a)의 각도(θ)를 90도~135도 범위로 함과 아울러 하단과 상단을 잇는 선(c-a)에 의한 유효길이는 상기 네일 수용부의 폭 및 절단대상물의 직경보다 더 길게 형성되며, 이에 의하여, 상기 커터 날이 네일 수용부를 향해 전,하방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네일 수용부에 지지되는 절단대상물을 사선으로 비스듬히 빗겨 고유의 각도보다 예리한 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커터 바는 상기 커터 날의 날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커터 바와 상기 제2커터 바는 스프링을 통해 항상 외측을 향해 벌어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2커터 바 중 어느 하나에는 3단의 록킹부를 가진 록커(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나머지의 커터 바에는 상기 록커의 3단의 록킹부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하나의 록커에 의해 상기 제1,2커터 바의 벌어짐과 잠김의 구속 기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 날은 직선형, 곡선형 및 직선 웨이브 형, 곡선 웨이브 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KR1020190145205A 2019-11-13 2019-11-13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KR102148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05A KR102148324B1 (ko) 2019-11-13 2019-11-13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205A KR102148324B1 (ko) 2019-11-13 2019-11-13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324B1 true KR102148324B1 (ko) 2020-08-26

Family

ID=72293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205A KR102148324B1 (ko) 2019-11-13 2019-11-13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32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313A (ko) 1999-06-23 2000-10-25 라이스윅 게리 제이 손톱용 클리퍼
KR100496387B1 (ko) * 2004-08-24 2005-06-17 (주)바우파라디소 동물 발톱깎기
KR20070087762A (ko) * 2005-11-01 2007-08-29 노상운 다기능 동물 미용기기
KR101208112B1 (ko) 2011-09-02 2012-12-05 한정식 네일 커터
KR20140069459A (ko) * 2012-11-29 2014-06-10 신항수 손톱깎이
KR101866542B1 (ko) 2016-12-21 2018-07-12 디자인니드(주) Led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KR101978625B1 (ko) 2019-01-22 2019-05-14 남세인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2313A (ko) 1999-06-23 2000-10-25 라이스윅 게리 제이 손톱용 클리퍼
KR100496387B1 (ko) * 2004-08-24 2005-06-17 (주)바우파라디소 동물 발톱깎기
KR20070087762A (ko) * 2005-11-01 2007-08-29 노상운 다기능 동물 미용기기
KR101208112B1 (ko) 2011-09-02 2012-12-05 한정식 네일 커터
KR20140069459A (ko) * 2012-11-29 2014-06-10 신항수 손톱깎이
KR101866542B1 (ko) 2016-12-21 2018-07-12 디자인니드(주) Led를 구비한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KR101978625B1 (ko) 2019-01-22 2019-05-14 남세인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160B2 (en) Ergonomic handle for scissors and other tools
US9038223B2 (en) Folding knife having seat belt cutter on blade tang
US6314646B1 (en) Utility knife
US5522136A (en) Nail clipper
US2906021A (en) Skinning knife
US9102068B2 (en) Multifunction safety knife
AU2005202067A1 (en) Foldable knife
US20160330937A1 (en) Safety nail clipper for pets
EP1056367B1 (en) Nail clippers
US8992289B2 (en) Knife with hook for skinn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5524344A (en) Safety grip
US5101563A (en) Nail clipper
US6493946B1 (en) Knife guard
JPH08502911A (ja) ひげそり補助剤を有する回転型ひげそり装置
US5063671A (en) Kitchen shears with hiding spring
KR102148324B1 (ko)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US5964038A (en) Device for cutting hair
US7007388B2 (en) Hair trimming device
GB2050840A (en) Foot care instrument
KR102073347B1 (ko) 예각효과에 의한 네일 커터
US4841634A (en) Hair cutting device
WO2015116252A1 (en) Safety nail clipper for pets
US20070130780A1 (en) Dog grooming shears with comb
US20170231361A1 (en) Nail clipper assembly
US20050172488A1 (en) Nail clipp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