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205B1 -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205B1
KR102148205B1 KR1020180140309A KR20180140309A KR102148205B1 KR 102148205 B1 KR102148205 B1 KR 102148205B1 KR 1020180140309 A KR1020180140309 A KR 1020180140309A KR 20180140309 A KR20180140309 A KR 20180140309A KR 102148205 B1 KR102148205 B1 KR 10214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ice
state
change
subscrib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236A (ko
Inventor
박규성
박정훈
최주호
김난영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14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20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6Processing of subscriber group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 및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는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조회하거나 변경한다.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는 단말에 접속되며, 상기 단말이 속한 착신 그룹 내의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변경 요청을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변경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FOR CONTROLLING SERVICE STATUS OF RECEIPT CALL GROUP AND METHOD THERREOF}
본 발명은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망에서 부가 서비스는 음성/영상/데이터 호를 바탕으로 부가적인 기능을 더하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면, 착신 전환, 착신 거절, 선불 서비스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부가 서비스는 크게 미가입/가입 2가지 상태를 가지고 있으며, 가입 상태의 경우에도 비활성화/활성화로 구분하여 사용자에 요청에 따라 사용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부가 서비스의 비활성화/활성화 상태 제어는 표준규격 상 피쳐 코드(Feature Code)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피쳐 코드는 단말의 음성호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710과 같이 통신망에서 약속된 번호로 발신을 하여 이를 통신망에서 처리하여 서비스 상태를 변경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기존 방식의 경우, 피쳐 코드를 활용한 음성호로 부가 서비스 상태를 제어하므로 통화 중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모바일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종류가 다양해졌으며, OPMD(One Person Multi Device)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하나의 착신 그룹으로 관리하여 스마트폰 착신호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도 발생시켜 동시에 착신호를 발생시키는 동시 착신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는 이름 그대로 발신호의 발신 번호를 변작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번호로 통신망에서 변작을 해주는 부가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동시 착신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에게는 제한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를 적용시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발신 번호를 스마트폰 번호로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동시 착신 서비스는 물론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에 대해서도 그 사용 상태, 즉 활성화/비활성화 상태 제어가 필요하며, 특히 동시 착신 서비스의 경우에는 착신 그룹에 속한 모든 단말, 즉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두의 서비스 상태를 조회하고 변경하는 상태 제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망으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가 가능한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단말뿐만 아니라 권한이 있는 원격지에 위치한 다른 단말에 대해서도 동일한 착신 그룹에 속하는 경우 해당 단말의 부가서비스의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는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은,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조회하거나 변경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 및 단말에 접속되며, 상기 단말이 속한 착신 그룹 내의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변경 요청을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변경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로부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후, 상기 제1 단말이 속한 착신 그룹에서 상기 제1 단말을 제외한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조회하는 상태 조회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속한 착신 그룹에서 상기 제1 단말을 제외한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상기 제1 단말의 상태와 동일하도록 변경하는 상태 변경부; 및 상기 상태 조회부로부터 전달되는 조회 결과 또는 상기 상태 변경부로부터 전달되는 변경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처리 결과 응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후 또는 상태 변경 후에 상기 제1 단말이 속한 착신 그룹에 포함된 다른 단말에 대한 MSISDN을 전달받아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상태 변경부는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전 상태로 다시 변경한다.
또한, 단말별로 대응되는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과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를 저장하는 FNPS(Flexible Number Routing & Number Portability Ser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변경 요청에 포함된 단말의 MSISDN에 대해 상기 FNPS를 통해 대응하는 IMSI를 획득하는 IMSI 획득부; IMSI별로 구분되는 가입자 정보 서버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 테이블; 및 상기 IMSI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IMSI를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를 선정하여 상기 상태 조회부 또는 상기 상태 변경부로 전달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 선정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는 상기 착신 그룹에 속하는 상기 제1 단말이 아닌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은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메시지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API 메시지를 상기 TCP 통신 연동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사이의 정보 전달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에 의해 변경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에 대한 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AS(Application Server)로 통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은,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이 가입자 정보 서버 내에 저장된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단말로부터 상기 착신 그룹 내의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내에 저장된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결과와 함께 상기 착신 그룹에서 상기 단말을 제외한 다른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내에 저장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은, IMSI별로 구분되는 가입자 정보 서버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 테이블; 및 단말별로 대응되는 MSISDN과 IMSI를 저장하는 FNPS(Flexible Number Routing & Number Portability Server)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MSISDN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FNPS를 통해 상기 단말의 MSIDSN에 대응하는 IM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IMSI를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를 선정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의 제어가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의 변경인 경우,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 전 상태로 다시 변경한다.
또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가 상기 단말 및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해 제어된 상태의 정보를 상기 단말에 대한 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AS(Application Server)로 통지한다.
또한,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요청을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와 연동하는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망으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즉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및 상태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통화 중에도 부가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제어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약속된 피쳐 코드를 인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단말뿐만 아니라 권한이 있는 원격지에 위치한 다른 단말에 대해서도 동일한 착신 그룹에 속하는 경우 해당 단말의 부가서비스의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동시 착신 서비스에 적용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신 그룹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확장하여, 가족 단위로 그룹화된 여러 단말에 대해서도 하나의 단말에서 나머지 단말의 각종 부가 서비스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이 IMS 네트워크에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HSS 게이트웨이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서비스 상태를 조회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서비스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서 서비스 상태 변경이 실패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 상태를 조회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변경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CSCF에게 통지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변경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AS에게 통지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통신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로 구성되고, 지정된 장소에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구성과 성능을 가진다. 프로그램은 도면들을 참고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 방법을 구현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고, 프로세서와 메모리 장치 등의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 단말은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은 기지국(base station, BS),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e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5G NB(gNB)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접속하여 원격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착신 그룹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모회선의 전화번호와 복수의 자회선의 전화번호를 하나의 착신 그룹으로 설정하며, 이 때, 자회선의 전화번호는 다른 무선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서비스되는 타 통신망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All IP(Internet Protocol) 기반 통신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인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 IMS) 네트워크에서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하나의 착신 그룹으로 관리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러한 IMS 네트워크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이 IMS 네트워크에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MS 네트워크(200)는 SIP(Sessiion Initiation Protocol, SIP)를 이용하여 단말(300)에 대한 멀티미디어 호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210),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중앙화된 데이터 베이스 가입자로서 SIP 가입자의 ID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관리하여 SIP 가입자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CSCF(210)에 내려주어 IMS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세션 제어가 가능하게 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인 HSS(Home Subscriber Server, HSS)(220), 및 HSS(220)와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HSS(22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제공받아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AS(Application Server, AS)(23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HSS(220)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구성된 착신 그룹에 대한 동시 착신 서비스의 상태 정보, 예를 들어 동시 착신 서비스 상태 및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 상태의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한편,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100)은 단말(300)과 IMS 네트워크(200)의 HSS(220)에 접속되어 단말(3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HSS(200)에 설정되어 있는 부가 서비스 정보, 예를 들어 동시 착신 서비스의 상태 정보 및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 상태 정보를 제공받아서 단말(300)로 제공하고,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HSS(200)에 설정되어 있는 동시 착신 서비스의 상태 및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상태 제어를 수행한다.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100)은 번호 자원의 라우팅 관리 서버인 FNPS(Flexible Number Routing & Number Portability Server)(110), 단말(300)에 무선으로 접속되어 단말(300)로부터의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통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요청을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Application Gateway)(120) 및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통신을 통해 접속되어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의 서비스 상태 제어 메시지를 대응하는 HSS(220)로 전달하고 HSS(220)로부터의 응답을 받아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달하는 HSS 게이트웨이(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FNPS(110)는 구체적으로 단말별로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과 이에 대응하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일반적으로, HSS(220)는 IMSI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정보, 특히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므로 호 접속에서 사용되는 MSISDN을 HSS(220)에서의 가입자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IMSI로의 변환을 위해 FNPS(110)가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API 요청은 HSS(220)에 설정되어 있는 부가 서비스, 즉 동시 착신 서비스와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조회 및 변경에 대한 두 가지 요청을 포함한다.
이러한 API 형식의 요청 메시지에는 아래 나타낸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10)의 URL, 부가 서비스 이름, 조회/변경 동작, 및 요청 단말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MSISDN을 포함한다.
Figure 112018113453471-pat00001
한편, 통신 사업자에 따라서 망에는 IMSI 기준으로 다수의 HSS가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HSS 게이트웨이(130)는 아래와 같이 IMSI 앞 11자리를 기준으로 나누어진 HSS 주소를 관리하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MSISDN으로 FNPS(110)를 통해 IMSI를 획득하고 획득된 IMSI로 아래의 IMSI에 따른 HSS의 분류 테이블을 참조하여 MSISDN, IMSI 값을 포함한 서비스 상태조회 메시지를 대응하는 HSS(220)로 요청할 수 있다
Figure 112018113453471-pat00002
상기 예를 참조하면, IMSI의 앞 11자리가 '45004103216'에 해당하면 HSS01에 해당하는 HSS(220)로 연결되도록 HSS 게이트웨이(130)가 동작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API 처리부(121), 메시지 변환부(121) 및 메시지 송수신부(123)를 포함한다.
API 처리부(121)는 단말(300)로부터 API 요청을 수신하여 메시지 변환부(122)로 전달한다. 또한, API 처리부(121)는 메시지 변환부(122)로부터 전달되는 API 응답을 단말(300)로 전송한다.
메시지 변환부(122)는 API 처리부(121)로부터 전달되는 API 요청을 HSS 게이트웨이(130)와 연동하는 규격의 상태 제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메시지 송수신부(123)로 전달한다. 또한, 메시지 변환부(122)는 메시지 송수신부(123)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제어 메시지를 대응하는 API 응답으로 변환하여 API 처리부(121)로 전달한다.
메시지 송수신부(123)는 HSS 게이트웨이(130)와 TCP 통신을 통해 연동된 규격의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한다. 즉, 메시지 송수신부(123)는 메시지 변환부(122)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제어 메시지를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하고,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제어 메시지는 메시지 변환부(122)로 전달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HSS 게이트웨이(130)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SS 게이트웨이(130)는 IMSI 획득부(131), HSS 테이블(132), 메시지 송수신부(133), HSS 선정부(134), 상태 조회부(135), 상태 변경부(136) 및 처리 결과 응답부(137)를 포함한다.
IMSI 획득부(131)는 FNPS(110)로 MSIDSN을 전달하여 대응하는 IMSI를 획득한다.
HSS 테이블(132)는 IMSI별로 구분되는 HSS의 정보를 저장한다.
메시지 송수신부(133)는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제어 메시지를 HSS 선정부(134)로 전달하고, 상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MSIDSN을 IMSI 획득부(121)로 전달한다.
HSS 선정부(134)는 IMSI 획득부(121)로부터 획득된 IMSI를 사용하여 HSS 테이블(132)에서 해당하는 HSS를 선정한다. 또한, HSS 선정부(134)는 메시지 송수신부(133)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제어 메시지를 통해 상태 제어하고자 하는 부가 서비스 정보와 상태 제어 종류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태 제어 종류는 상태 조회와 상태 변경을 포함한다. 따라서, HSS 선정부(134)는 상태 조회 메시지인 경우 선정된 HSS 정보, 부가 서비스 정보와 함께 상태 조회 요청을 상태 조회부(135)로 전달한다. 그러나, HSS 선정부(134)는 메시지 송수신부(133)로부터 전달되는 상태 제어 메시지가 상태 변경 메시지인 경우 선정된 HSS 정보와 함께 부가 서비스 정보 및 상태 변경 요청을 상태 변경부(136)로 전달한다.
상태 조회부(135)는 HSS 선정부(134)로부터 전달되는 HSS(220)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를 요청하고 요청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상태 응답을 수신한다. 이 때, 상태 응답에는 상태가 조회된 단말과 착신 그룹으로 함께 관리되는 다른 단말의 정보, 예를 들어, MSISDN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태 조회부(135)는 HSS 선정부(134)로 다른 단말의 MSISDN을 전달하여 FNPS(131)와 HSS 테이블(132)을 통해 선정된 HSS 정보를 전달받아서 해당 HSS(220)로 다른 단말의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조회부(135)는 착신 그룹에 다수의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이 포함되고, 가입자의 단말(300)로부터 다수의 단말 중 하나의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가 있는 경우에도 상태 조회가 요청된 단말 뿐만 아니라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도 또한 조회하여 응답할 수 있다. 이것은, 가입자가 착신 그룹에 속한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자신의 부가 서비스 상태 정보를 조회하는 경우 다른 단말의 부가 서비스 상태 정보도 함께 알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상태 조회부(135)는 HSS(22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응답을 처리 결과 응답부(137)로 전달한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착신 그룹에 속한 모든 단말에 대해 조회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가 처리 결과 응답부(137)로 전달될 수 있다.
상태 변경부(136)는 HSS 선정부(134)로부터 전달되는 HSS(220)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을 요청하고 요청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상태 변경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이 때, 전술한 상태 조회에서와 마찬가지로, 상태 변경에 대한 응답에는 상태 변경이 요청된 단말과 착신 그룹으로 함께 관리되는 다른 단말의 정보, 예를 들어, MSISDN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태 변경부(136)는 HSS 선정부(134)로 다른 단말의 MSISDN을 전달하여 FNPS(131)와 HSS 테이블(132)을 통해 선정된 HSS 정보를 전달받아서 해당 HSS(220)로 다른 단말의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태 변경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태 변경부(136)도 착신 그룹에 다수의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이 포함되고, 가입자의 단말(300)로부터 다수의 단말 중 하나의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에도 상태 변경이 요청된 단말 뿐만 아니라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도 또한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것은, 가입자가 착신 그룹에 속한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자신의 부가 서비스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 다른 단말의 부가 서비스 상태도 함께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상태 변경부(136)는 HSS(22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변경에 대한 응답을 처리 결과 응답부(137)로 전달한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착신 그룹에 속한 모든 단말에 대해 상태 변경에 대한 응답이 처리 결과 응답부(137)로 전달될 수 있다.
처리 결과 응답부(137)는 상태 조회부(135)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 또는 상태 변경부(136)로부터 전달되는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와 연동하는 규격의 응답 메시지로 생성하여 메시지 송수신부(133)로 전달한다.
메시지 송수신부(133)는 처리 결과 응답부(137)로부터 전달되는 응답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망으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즉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및 상태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통화 중에도 부가 서비스에 대한 상태 제어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사용자 입장에서는 약속된 피쳐 코드를 인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단말뿐만 아니라 권한이 있는 원격지에 위치한 다른 단말에 대해서도 동일한 착신 그룹에 속하는 경우 해당 단말의 부가서비스의 상태를 통신망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다. 이것은 동시 착신 서비스에 적용되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착신 그룹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확장하여, 가족 단위로 그룹화된 여러 단말에 대해서도 하나의 단말에서 나머지 단말의 각종 부가 서비스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서비스 상태를 조회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적어도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착신 그룹으로 설정되어 있고 착신 그룹을 구성하는 각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 즉 동시 착신 서비스와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가 HSS(220)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착신 그룹으로 하나의 스마트폰(A)과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B)가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부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A 또는 B)을 사용하여 부가 서비스 상태를 조회하기 위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회를 요청하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대응하는 조회 API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S100).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입자가 스마트폰(A)을 사용하여 스마트폰(A)의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조회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수신되는 조회 API에는 부가 서비스의 종류와 스마트폰(A)의 MSISDN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조회 API의 형식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조회 API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조회 API에 대응하는 HSS 게이트웨이(130)에 대응하는 연동 규격의 조회 메시지, 예를 들어 스마트폰(A)에 대한 조회 INVOKE (A)로 변환하여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110).
HSS 게이트웨이(130)는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된 조회 INVOKE에 포함된 스마트폰(A), 즉 A 단말의 MSISDN으로 HSS(220)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FNPS(110)를 통해 A 단말의 MSISDN에 대응하는 IMSI를 획득한다(S120).
그 후, HSS 게이트웨이(130)는 획득된 IMSI를 사용하여 HSS 테이블(132)로부터 획득되는 HSS(220)로 A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 상태의 정보를 요청하는 조회 메시지, 예를 들어 QUERY (A)를 전송한다(S130).
HSS 게이트웨이(130)가 HSS(220)로 전송하는 조회 메시지인 QUERY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QUERY(IMSI=45004103261234,MSISDN=01012341234)
즉, HSS(220)로 전송되는 QUERY (A)에는 A 단말의 MSISDN과 IMSI가 모두 포함된다. 또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조회되는 부가 서비스의 종류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HSS(2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조회 메시지인 QUERY (A)에 따라, A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조회한 후 조회된 상태 정보를 조회 메시지 QUERY에 대한 응답, 즉 RESP를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140). 이 때, HSS(220)는 A 단말에 대해 착신 그룹으로 함께 설정되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B), 즉 B 단말에 대한 MSISDN을 함께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HSS(220)는 A 단말에 대한 서비스 상태 조회, 즉 QUERY에 대한 응답인 RESP를 다른 단말인 B 단말의 정보, 즉 B 단말의 MSISDN을 포함시켜서 HSS 게이트웨이(130)로 응답할 수 있다.
HSS(220)가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하는 조회 응답 메시지인 QUERY 응답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RESP(IMSI=450041032161234,MSISDN=01012341234,FORK=PROV_ACT,FORKSNUM=01043214321)
다음, HSS 게이트웨이(130)는 단말(300)이 조회 요청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는 상기 단계(S140)를 통해 이미 확보하였으나, 상기 단계에서 수신되는 조회 응답 메시지, 즉 QUERY 응답에 포함된 B 단말의 MSISDN을 FNPS(110)로 전달하여 이에 대응되는 IMSI를 획득한다(S150).
그 후, HSS 게이트웨이(130)는 획득된 IMSI를 사용하여 HSS 테이블(132)로부터 획득되는 HSS(220)로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 상태의 정보를 요청하는 조회 메시지, 예를 들어 QUERY (B)를 전송한다(S160).
따라서, HSS(2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조회 메시지인 QUERY (B)에 따라,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조회한 후 조회된 상태 정보를 조회 메시지 QUERY에 대한 응답으로 RESP를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170). 물론, 여기에도 B 단말이 아닌 A 단말의 MSISDN이 포함될 것이다. 그러나, A 단말에 대해서는 이미 이전의 단계를 통해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가 전달되었으므로 HSS 게이트웨이(130)는 A 단말에 대한 조회는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착신 그룹 내에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포함된 경우에는 다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 상태 조회가 계속 수행될 것이라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HSS 게이트웨이(130)는 상기 단계(S140, S170)를 통해 수집된 착신 그룹에 속하는 A 단말과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계에서 수신된 조회 메시지 조회 INVOKE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조회 RETURN에 포함시켜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고(S180),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조회 RETURN (A, B)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API를 생성하여 단말(300)로 전송한다(S190).
따라서,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API에 따라 A 단말과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 상태 정보를 모두 표시하거나 또는 단말(300)에 의해 조회 요청된 A 단말, 즉 스마트폰(A)에 대한 부가 서비스 상태만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서비스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 하나의 스마트폰(A)과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B)가 착신 그룹으로 설정되어 있고, 착신 그룹을 구성하는 각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 즉 동시 착신 서비스와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가 HSS(220)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부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A 또는 B)을 사용하여 부가 서비스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경을 요청하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대응하는 변경 API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S200).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입자가 스마트폰(A)을 사용하여 스마트폰(A)의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수신되는 변경 API에는 부가 서비스의 종류, 스마트폰(A)의 MSISDN 및 변경될 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변경될 상태 정보의 경우, 부가 서비스의 상태가 활성화와 비활성화로만 되어 있는 경우 토글 형식으로 상태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현재의 상태가 아닌 다른 상태로 변경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상기한 변경 API에는 변경될 상태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가입자가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조회하지 않았거나 또는 조회했더라도 상태 변경 전에 현재 상태를 알 수 없어서 잘못된 상태로의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변경될 상태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변경 API의 형식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변경 API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변경 API에 대응하는 HSS 게이트웨이(130)에 대응하는 연동 규격의 변경 메시지, 예를 들어 스마트폰(A)에 대한 변경 INVOKE (A)로 변환하여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210).
HSS 게이트웨이(130)는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된 변경 INVOKE에 포함된 스마트폰(A), 즉 A 단말의 MSISDN으로 HSS(220)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FNPS(110)를 통해 A 단말의 MSISDN에 대응하는 IMSI를 획득한다(S220).
그 후, HSS 게이트웨이(130)는 획득된 IMSI를 사용하여 HSS 테이블(132)로부터 획득되는 HSS(220)로 A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메시지, 예를 들어 UPDATE (A)를 전송한다(S230).
HSS 게이트웨이(130)가 HSS(220)로 전송하는 변경 메시지인 UPDATE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UPDATE(IMSI=450041032161234,MSISDN=01012341234,FORK=PROV)
즉, HSS(220)로 전송되는 UPDATE (A)에는 A 단말의 MSISDN과 IMSI, 그리고 부가 서비스의 종류와 변경될 상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HSS(2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메시지인 UPDATE (A)에 따라, A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요청한 대로 변경한 후 변경 결과, 즉 변경 성공(SUCCESS), 변경 실패(FAIL)에 관한 정보를 변경 메시지 UPDATE에 대한 응답, 즉 RESP로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240).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부가 서비스의 변경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HSS(220)는 A 단말에 대한 서비스 변경 결과, 즉 UPDATE에 대한 응답에 다른 단말인 B 단말의 정보, 즉 B 단말의 MSISDN을 포함시켜서 HSS 게이트웨이(130)로 응답할 수 있다.
HSS(220)가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하는 서비스 변경 결과 메시지인 UPDATE 응답에 대한 예는 다음과 같다.
RESP(IMSI=450041032161234,MSISDN=01012341234,FORK=SUCCESS,FORKSNUM=01043214321)
RESP(IMSI=450041032161234,MSISDN=01012341234,FORK=FAIL,FORKSNUM=01043214321)
한편, 부가 서비스가 동시 착신 서비스와 같은 경우, 착신 그룹에 속한 모든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A)과 웨어러블 디바이스(B)에 대해 모두 서비스 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HSS 게이트웨이(130)는 UPDATE 응답에 포함된 B 단말의 MSISDN을 FNPS(110)로 전달하여 이에 대응되는 IMSI를 획득한다(S250).
그 후, HSS 게이트웨이(130)는 획득된 IMSI를 사용하여 HSS 테이블(132)로부터 획득되는 HSS(220)로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메시지, 예를 들어 UPDATE (B)를 전송한다(S260). 이 때, UPDATE (B)에 포함되는 부가 서비스의 종류와 변경될 서비스 상태는 상기 단계(S230)에서 전송되는 UPDATE (A)에 포함된 부가 서비스의 종류와 변경될 서비스 상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HSS(2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메시지인 UPDATE (B)에 따라,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한 후 변경 결과를 변경 메시지 UPDATE에 대한 응답인 RESP로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170).
따라서, HSS 게이트웨이(130)는 상기 단계(S240, S270)를 통해 수집된 착신 그룹에 속하는 A 단말과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 결과를 상기 단계에서 수신된 변경 메시지인 변경 INVOKE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변경 RETURN에 포함시켜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고(S280),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RETURN (A, B)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API를 생성하여 단말(300)로 전송한다(S290).
따라서,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API에 따라 A 단말과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 결과를 모두 표시하거나 또는 단말(300)에 의해 변경 요청된 A 단말, 즉 스마트폰(A)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변경 결과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변경 결과와 함께 변경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착신 그룹에 속하는 모든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변경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착신 그룹에 속하는 일부 단말에 대한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이미 변경된 단말의 서비스 상태를 변경전 상태, 즉 원래의 상태로 다시 변경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이 실패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 전에, 착신 그룹에 속한 단말 중 서비스 변경이 요청된 단말에 대해 서비스 상태의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서비스의 상태가 변경된 단말이 없으므로 바로 서비스 변경에 대한 실패 처리를 수행하면 되므로, 여기에서는 하나의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A)에 대한 서비스의 상태 변경은 성공적으로 수행된 후 웨어러블 디바이스(B)에 대한 서비스의 상태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서 서비스 상태 변경이 실패한 경우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300에서 단계 S360까지의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S200에서 단계 S260까지의 과정과 동일하다. 즉, A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변경이 성공한 후,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변경을 요청한 때까지의 과정이 동일하다.
다음, HSS(220)에서의 장애이거나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장애 등으로 인해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 HSS(2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 변경 실패라는 응답, 예를 들어 RESP(A FAIL, B 포함)를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370).
이와 같이, B 단말에 대한 서비스의 변경이 실패하였으므로, 상기 단계(S330, S340)를 통해 변경된 A 단말에 대한 서비스 상태를 변경전 상태로 다시 변경해야 한다.
따라서, HSS 게이트웨이(130)는 상기 단계(S320)에서 이미 확인된 A 단말의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하는 HSS(220)로 A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 상태의 변경을 다시 요청하는 변경 메시지 UPDATE (A)를 전송한다(S380). 이 때의 UPDATE (A)는 상기 단계(S330)에서의 UPDATE (A)와는 변경될 부가 서비스의 상태만이 다르다.
따라서, HSS(2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메시지인 UPDATE (A)에 따라, A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전 상태로 변경한 후 변경 결과, 여기에서는 변경 성공(SUCCESS)에 관한 응답을 변경 메시지 UPDATE에 대한 응답, 즉 RESP로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390).
이와 같이, B 단말에서의 서비스 상태 변경 실패로 인해 A 단말에서의 서비스 상태를 변경전 상태로 다시 변경한 후 HSS 게이트웨이(130)는 상기 단계(S310)에서 수신된 변경 메시지인 변경 INVOKE에 대해 실패 응답 메시지인 변경 RETURN (FAIL)을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고(S400),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RETURN (FAIL)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API를 생성하여 단말(300)로 전송한다(S410). 이 때, 실패 응답 내에 실패한 단말에 관한 정보, 즉 B 단말의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되는 실패 응답 API에 따라 A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의 실패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부가 서비스의 실패 변경 원인으로 B 단말에서의 변경 실패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동시 착신 서비스와 같이, 착신 그룹에 속한 모든 단말에 대해 적용되는 부가 서비스의 경우에는 상기한 도 4 내지 도 6을 통해서 해당 부가 서비스의 조회 또는 변경이 가능하지만,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의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해서만 적용되므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부가 서비스의 조회 또는 변경 중에서 일부 과정만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이하,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조회 및 변경에 대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조회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 상태를 조회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스마트폰(A)과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B)가 착신 그룹으로 설정되어 있고, 착신 그룹을 구성하는 각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 예를 들어 동시 착신 서비스,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 등의 상태가 HSS(220)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 중에서 발신 변경 서비스를 사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B), 즉 B 단말의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 상태를 조회하기 위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조회를 요청하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대응하는 조회 API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S500). 이 때,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수신되는 조회 API에는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정보와 스마트폰(B)의 MSISDN이 포함되어 있다.
조회 API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조회 API에 대응하는 HSS 게이트웨이(130)에 대응하는 연동 규격의 조회 메시지, 예를 들어 스마트폰(B)에 대한 조회 INVOKE (B)로 변환하여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510).
HSS 게이트웨이(130)는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된 조회 INVOKE에 포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B), 즉 B 단말의 MSISDN으로 HSS(220)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FNPS(110)를 통해 B 단말의 MSISDN에 대응하는 IMSI를 획득한다(S520).
그 후, HSS 게이트웨이(130)는 획득된 IMSI를 사용하여 HSS 테이블(132)로부터 획득되는 HSS(220)로 B 단말에 대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 상태의 정보를 요청하는 조회 메시지, 예를 들어 QUERY (B)를 전송한다(S530). 이러한 QUERY (B)에는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정보와 함께 B 단말의 IMSI 및 MSISDN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HSS(2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조회 메시지인 QUERY (B)에 따라, B 단말에 대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조회한 후 조회된 상태 정보를 조회 메시지 QUERY에 대한 응답, 즉 RESP로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540).
이 때에도, RESP에는 다른 단말인 A 단말의 정보, 즉 A 단말의 MSISDN이 포함되어 있으나, A 단말에는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A 단말에 대한 조회 서비스는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HSS 게이트웨이(130)는 상기 단계(S540)를 통해 수집된 B 단말에 대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계(S510)에서 수신된 조회 메시지 조회 INVOKE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조회 RETURN에 포함시켜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고(S550),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조회 RETURN (B)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API를 생성하여 단말(300)로 전송한다(S560).
따라서,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API에 따라 B 단말에 대한 발신 번호 서비스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변경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에 따라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스마트폰(A)과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B)가 착신 그룹으로 설정되어 있고, 착신 그룹을 구성하는 각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부가 서비스, 즉 동시 착신 서비스와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가 HSS(220)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부가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가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B)을 사용하여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변경을 요청하면,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이 대응하는 변경 API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한다(S600).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수신되는 변경 API에는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정보, 스마트폰(B)의 MSISDN 및 변경될 상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변경 API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변경 API에 대응하는 HSS 게이트웨이(130)에 대응하는 연동 규격의 변경 메시지, 예를 들어 스마트폰(B)에 대한 변경 INVOKE (B)로 변환하여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610).
HSS 게이트웨이(130)는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된 변경 INVOKE에 포함된 웨어러블 디바이스(B), 즉 B 단말의 MSISDN으로 HSS(220)에 접속할 수 없으므로, FNPS(110)를 통해 B 단말의 MSISDN에 대응하는 IMSI를 획득한다(S620).
그 후, HSS 게이트웨이(130)는 획득된 IMSI를 사용하여 HSS 테이블(132)로부터 획득되는 HSS(220)로 B 단말에 대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 메시지, 예를 들어 UPDATE (B)를 전송한다(S630).
따라서, HSS(2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메시지인 UPDATE (B)에 따라, B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요청한 대로 변경한 후 변경 결과, 즉 변경 성공(SUCCESS), 변경 실패(FAIL)에 관한 정보를 변경 메시지 UPDATE에 대한 응답, 즉 RESP로 HSS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S640).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변경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HSS(220)는 B 단말에 대한 서비스 변경 결과, 즉 UPDATE에 대한 응답에 다른 단말인 A 단말의 정보, 즉 A 단말의 MSISDN을 포함시켜서 HSS 게이트웨이(130)로 응답할 수 있으나, A 단말에는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A 단말에 대한 변경 서비스는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HSS 게이트웨이(130)는 상기 단계(S640)를 통해 수신된 B 단말에 대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변경 결과를 상기 단계(S610)에서 수신된 변경 메시지인 변경 INVOKE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변경 RETURN에 포함시켜서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고(S650),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는 HSS 게이트웨이(130)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RETURN (B)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API를 생성하여 단말(300)로 전송한다(S660).
따라서, 단말(300)의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API에 따라 B 단말에 대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변경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변경 결과와 함께 변경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발신 번호 변경 서비스의 상태 변경에 대해서도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있고,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서비스 상태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 전술한 도 6에 대한 변경전 상태로의 변경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HSS(200)에 대한 부가 서비스 상태 변경이 완료되면,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수용된 HSS(220)는 실시간으로 가입자의 서빙 노드(Serving Node)를 확인하여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에 따른 통지(Notify) 동작을 진행한다.
예를 들어, HSS(2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IMS 네트워크(200)의 CSCF(210)로 변경 정보를 전달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IMS 네트워크(200)의 AS(230)로 변경 정보를 전달한다.
도 9를 참조하면, CSCF(210)로의 변경 정보는 3GPP 29.228 규격의 다이어미터(Diameter) Cx 인터페이스 구간의 Cx-Update_Subscr_Data 표준기능을 활용한다. 즉, HSS(220)는 CSCF(210)로 가입자 정보 변경 메시지인 PPR(Push Profile Request)을 통해 변경 정보를 통지하고(S700), CSCF(210)는 이에 대한 응답을 PPA(Push Profile Answer)로 전달한다(S710).
도 10을 참조하면, AS(230)로의 변경 정보는 3GPP 29.238 규격의 다이어미터 Sh 인터페이스 구간의 Sh-Subs-Notif 표준 기능을 활용한다. 즉, HSS(220)는 AS(230)로 가입자 정보 변경 메시지인 PNR(Push Notification Request)을 통해 변경 정보를 통지하고(S800), AS(230)는 이에 대한 응답을 PNA(Push Notification Answer)로 전달한다(S810). 다만 AS(230)는 음성호의 직접적인 변작 및 동시 착신 호 발생을 위해서 특화 파라미터가 같이 전달되어야 하며, 다음과 같이 특화 파라미터를 반영하여 전달한다.
먼저, 스마트폰 서비스 변경 전달 메시지(3GPP 29.238 표준 참고)는 다음과 같다.
<Sh-Data>
    <PublicIdentifiers>
      <MSISDN>01012341234</MSISDN>
    </PublicIdentifiers>
    <KTCSServices>
        <KT_forkm>
                       <KTServiceStatus>2</KTServiceStatus>
                       <KT_forkmode>apple</KT_forkmode>
        </KT_forkm>
    </KTCSServices>
</Sh-Data>
전달한다.
다음, 웨어러블디바이스 서비스 변경 전달 메시지(3GPP 29.238 표준 활용)는 다음과 같다.
<Sh-Data>
    <PublicIdentifiers>
      <MSISDN>01043214321</MSISDN>
    </PublicIdentifiers>
    <KTCSServices>
        <KT_forks>
                       <KTServiceStatus>2</KTServiceStatus>
                       <KT_forkmode>apple</KT_forkmode>
                       <KT_forkmnum>01012341234</KT_forkmnum>
        </KT_forks>
    </KTCSServices>
</Sh-Dat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에 연결되어, 상기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조회하거나 변경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 및
    단말에 접속되며, 상기 단말이 속한 착신 그룹 내의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변경 요청을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로부터의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변경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
    를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는 상기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 중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를 통해 상기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을 수행하고, 상기 하나의 단말에 대한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들 중 상기 하나의 단말을 제외한 다른 단말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를 통해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을 수행하며,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상태 변경은 상기 하나의 단말에 대해 요청된 상태 변경과 동일하게 수행되는,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로부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후, 상기 제1 단말이 속한 착신 그룹에서 상기 제1 단말을 제외한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조회하는 상태 조회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에 저장된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한 후, 상기 제1 단말이 속한 착신 그룹에서 상기 제1 단말을 제외한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상기 제1 단말의 상태와 동일하도록 변경하는 상태 변경부; 및
    상기 상태 조회부로부터 전달되는 조회 결과 또는 상기 상태 변경부로부터 전달되는 변경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처리 결과 응답부
    를 포함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후 또는 상태 변경 후에 상기 제1 단말이 속한 착신 그룹에 포함된 다른 단말에 대한 MSISDN을 전달받아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을 수행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부는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전 상태로 다시 변경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단말별로 대응되는 MSISDN(Mobile Station International Subscriber Directory Number)과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를 저장하는 FNPS(Flexible Number Routing & Number Portability Serv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변경 요청에 포함된 단말의 MSISDN에 대해 상기 FNPS를 통해 대응하는 IMSI를 획득하는 IMSI 획득부;
    IMSI별로 구분되는 가입자 정보 서버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 테이블; 및
    상기 IMSI 획득부를 통해 획득되는 IMSI를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를 선정하여 상기 상태 조회부 또는 상기 상태 변경부로 전달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 선정부
    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는 상기 착신 그룹에 속하는 상기 제1 단말이 아닌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을 수행한 후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상태 조회 또는 상태 변경은 수행하지 않는,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메시지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며, 상기 API 메시지를 상기 TCP 통신과 연동되는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과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사이의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는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에 의해 변경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정보를 상기 단말에 대한 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AS(Application Server)로 통지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9.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이 가입자 정보 서버 내에 저장된 착신 그룹에 속하는 단말별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의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가 상기 착신 그룹 내의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가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내에 저장된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게이트웨이가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결과와 함께 상기 착신 그룹에 속한 단말들 중에서 상기 단말을 제외한 다른 단말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다른 단말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내에 저장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와 동일하게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은,
    IMSI별로 구분되는 가입자 정보 서버의 정보를 저장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 테이블; 및
    단말별로 대응되는 MSISDN과 IMSI를 저장하는 FNPS(Flexible Number Routing & Number Portability Server)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요청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MSISDN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FNPS를 통해 상기 단말의 MSIDSN에 대응하는 IM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IMSI를 사용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 테이블로부터 대응하는 가입자 정보 서버를 선정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의 제어가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의 변경인 경우,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변경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변경 전 상태로 다시 변경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 후에,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가 상기 단말 및 상기 다른 단말에 대해 제어된 상태의 정보를 상기 단말에 대한 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및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AS(Application Server)로 통지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부가 서비스의 상태 제어 요청을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와 연동하는 형태의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가입자 정보 서버로 전달하는,
    서비스 상태 제어 방법.
KR1020180140309A 2018-11-14 2018-11-14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48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09A KR102148205B1 (ko) 2018-11-14 2018-11-14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309A KR102148205B1 (ko) 2018-11-14 2018-11-14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36A KR20200056236A (ko) 2020-05-22
KR102148205B1 true KR102148205B1 (ko) 2020-08-26

Family

ID=7091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09A KR102148205B1 (ko) 2018-11-14 2018-11-14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20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055B1 (ko) * 2015-07-15 2017-11-17 (주)보이텔커뮤니케이션 스마트 기기(앱)를 이용한 지능망 통신 부가 서비스 시스템
KR20170058880A (ko) * 2016-12-23 2017-05-29 성진태 이동통신 단말장치를 이용한 위치정보 및 컨텐츠 상호 연동서비스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36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628B1 (ko) 복수의 단말기로 서비스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7894593B2 (en) Callback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260111B1 (ko) 개인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85665A1 (en) Method and server/module for service configurations test
US20100099389A1 (en) Methods, Presence Server, User Equipment (UE), and Presence Message for User Identity Update
IL223551A (en) Interface and method for interface to cellular network
KR20050028582A (ko)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푸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603857B1 (ko) 사용자 기기와 관련한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실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US99003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users
KR20070036847A (ko) 3gpp ims 기반망에서의 대표번호 서비스 제공 방법
JP7065789B2 (ja) 複数のネットワークを通じて通信するためのシステム
EP2362690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stablishing association-control relations
KR102148205B1 (ko) 착신 그룹의 서비스 상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1439B1 (ko) Ims 프로파일 동기화 시스템, 홈 가입자 서버, 호제어 기능장치,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그 ims 프로파일 동기화 방법
EP1720324B1 (en) Data 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807863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US11057517B2 (en) Method for managing a failure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terminal
US20100009664A1 (en) Methods, telecommunications node, and user equipment for transmission of user identifier
KR101836655B1 (ko) 메신저 가입자의 착신 콜 처리 방법 및 시스템
EP3337118B1 (en) Method for an enhanced control function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home subscriber serv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0851582B1 (ko) 로밍 중인 단말기로의 장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05792B1 (ko) VoLTE 환경에서 가상 전화 번호의 호 처리 장치 및 호 처리 방법
KR101637666B1 (ko)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전화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4078938A1 (en) A system for enabling persons to answer calls transmitted from mobile or fixed-line numbers
KR101584901B1 (ko) 개인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