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017B1 -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017B1
KR102148017B1 KR1020190140299A KR20190140299A KR102148017B1 KR 102148017 B1 KR102148017 B1 KR 102148017B1 KR 1020190140299 A KR1020190140299 A KR 1020190140299A KR 20190140299 A KR20190140299 A KR 20190140299A KR 102148017 B1 KR102148017 B1 KR 102148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time
participant
user
absolut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현
이세제
김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살린
Priority to KR1020190140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측 기기와 패킷망을 통해 연결되는 동기화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으로서, 방을 생성한 사용자측 기기(이하,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동기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방장의 왕복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의 생성 시점부터의 흐르는 시간을 방내 절대 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방에 입장한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동기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참여자의 왕복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 서버를 통해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 방내 절대 시간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저장된 방내 절대 시간에 방장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방장측에서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에 상기 참여자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특정 시점에서의 콘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콘텐츠 재생 시점에서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과 콘텐츠 재생 시간을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 상기 전송받은 콘텐츠 재생 시간 및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기반으로 보정된 콘텐츠 재생 시간을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의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METHOD FOR SYNCHRONIZING A CONTENTS BASED ON VIDEO SHARE AND USER COMPUTING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최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 VR)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순히 사용자에게 3D 입체영상을 보여주기만 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실제로 사용자가 가상의 공간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개발된 다양한 VR 기기들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VR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HTC VIVE VR"이나 "OCULUS RIFT" 등과 같이,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는 헤드셋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루어지고, 양쪽 눈 부위에 각각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서로 다른 영상을 표시하면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이동이나 시선 방향에 따라 표시되는 영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입체감 및 현장감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이러한 VR 기술 및 기기는, 예를 들면, 가상현실을 통한 간접체험 방식을 이용하여 학습이나 트레이닝 등을 수행하는 교육훈련 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특정 지역을 마음대로 둘러볼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여 관광이나 부동산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가상현실을 통해 몰입감과 현장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게임이나 군사훈련 시뮬레이터로도 적용 가능한 데 더하여, 심리진단이나 재활치료 및 수술훈련 등과 같은 의료분야에도 적용 가능한 등, 제공되는 콘텐츠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은 VR 기술 및 VR 기기의 활용에 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면, 가상의 모델하우스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모바일장치와, 모바일 장치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모바일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VR 영상으로 변환하여 보여주는 VR 기기를 포함하여, 건물의 구매예정자가 모바일 장치가 삽입된 VR 기기를 통해 구매하려는 집의 건물위치 및 집이 위치한 층에 대응되는 가상의 모델하우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VR 모델하우스 제공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VR 기술 및 VR 기기의 활용에 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오페라 공연장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360°영상을 전송하는 360°카메라와, 360°카메라의 360°영상을 전송받아 관리하는 서버와, 서버에서 360°영상을 전송받아 방향에 따른 영상을 추출하여 착용자에게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VR기기를 포함하여, 오페라 무대와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VR기기를 통해 오페라 무대를 360˚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VR기기를 통한 360도 오페라 영상 제공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VR 기술 및 VR 기기의 활용에 관한 여러 가지 기술내용들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VR 기기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하는 헤드셋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됨으로 인해 해당 기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 1인에 특화된 콘텐츠만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VR 기기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고려되지 못한 문제가
즉, 예를 들면, 하나의 가상현실 환경에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하여 상호작용을 수행하는 경우와 같이, 특정한 VR용 3D 모델(VR 콘텐츠)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고 있는 경우, 어느 하나의 사용자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3D 모델(콘텐츠)의 내용에 변경이 발생하면(3D 모델의 확대, 축소, 회전 등), 다른 사용자들이 아무 동작을 수행하지 않았더라도 변경된 3D 모델(콘텐츠)이 동일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VR 기기들은, 단순히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VR 콘텐츠를 표시하는 기능에만 그치는 것이 대부분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VR 기기들이 서로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현재 상용화된 VR 기기들은 대부분 고가인 데 더하여 기종이 다른 경우 데이터 처리방식 등이 상이하여 호환되지 않는 경우도 많으므로, 서로 보유중인 기기가 상이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이용하기 위하여는 동일한 기기를 인원수만큼 구매해야 함으로 인해 비용적인 부담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VR 콘텐츠를 표시하는 기능만이 구비되어 해당 기기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에만 국한된 1인용 콘텐츠만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다수의 VR 기기들이 실시간으로 동기화되어 동일한 환경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구성은 제시되지 못하였던 종래기술의 VR 기기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간단한 구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다수의 VR 기기들을 실시간으로 동기화 가능하여 단일의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현재 상용화된 VR 기기들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여 멀티플랫폼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다수의 사용자에 대하여 실시간 동기화가 가능한 VR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요구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126143호(2018.11.27.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방을 이용하여 단일의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하는 시스템에서의 단일의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사용자측 기기들에 대하여 서로 실시간으로 콘텐츠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 기기를 이용하여 방에 입장한 상태에서 동일한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는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왕복시간 및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기반으로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보정하여 방 내 각각의 가상현실용 기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동기화할 수 있는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방법은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측 기기와 패킷망을 통해 연결되는 동기화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으로서, 방을 생성한 사용자측 기기(이하,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동기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방장의 왕복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의 생성 시점부터의 흐르는 시간을 방내 절대 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방에 입장한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동기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참여자의 왕복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 서버를 통해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 방내 절대 시간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저장된 방내 절대 시간에 방장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방장측에서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에 상기 참여자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특정 시점에서의 콘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콘텐츠 재생 시점에서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과 콘텐츠 재생 시간을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 상기 전송받은 콘텐츠 재생 시간 및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기반으로 보정된 콘텐츠 재생 시간을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의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방의 참여자 입장 순서를 식별하는 참여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 동기화 방법은 상기 방장이 상기 방에서 퇴장하는 경우,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 설정된 참여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방장의 권한을 양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동기화 방법을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는 패킷망을 통해 동기화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시스템을 통해 방 생성에 따라 상기 동기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왕복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방의 생성 시점부터 흐르는 시간을 기반으로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설정하여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방에 입장함에 따라 상기 동기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참여자의 왕복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기능과, 상기 방장의 컴퓨팅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통해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요청하는 기능과, 상기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방내 절대 시간에 방장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방장측에서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전송하는 기능과, 상기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에 상기 참여자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기능과, 특정 시점에서의 콘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콘텐츠 재생 시점에서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과 콘텐츠 재생 시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기능과, 외부의 컴퓨팅 디바이스로부터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과 콘텐츠 재생 시간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 상기 전송받은 콘텐츠 재생 시간 및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기반으로 보정된 콘텐츠 재생 시간을 산출하는 기능과, 상기 보정된 콘텐츠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참여자의 컴퓨팅 디바이스에서의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어 사용자의 방 참여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기능은 상기 방의 참여자 입장 순서를 식별하는 참여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는 상기 방장이 상기 방에서 퇴장하는 경우, 상기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에 설정된 참여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방장의 권한을 양도받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측 기기들에 대하여 서로 실시간으로 콘텐츠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콘텐츠 동기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 기기를 이용하여 방에 입장한 상태에서 동일한 경험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왕복시간 및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기반으로 콘텐츠의 재생 시간을 보정하여 방 내 각각의 가상현실용 기기에서 재생되는 콘텐츠를 동기화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용 기기의 소프트웨어 변경만을 통해 콘텐츠 재생 시 동기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시스템에서의 영상 동기화 방법이 구현된 전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시스템에서 영상 동기화를 위해 방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시스템에서 영상 동기화를 위해 방이 생성된 후 방에 입장한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에 시간을 셋팅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상을 동기화시켜 재생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영상 재생 시간 보정을 통한 VR 시스템의 영상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가상현실용 기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 가상현실(VR : Virtual Reality)은 컴퓨터 등을 사용한 인공적인 기술로 만들어낸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의미한다. 또한, 이때, 가상현실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상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현실과 상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드나들게 한다. 또한 사용자는 가상현실에 단순히 몰입할 뿐만 아니라 실제 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해 조작이나 명령을 가하는 등 가상현실 속에 구현된 것들과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상현실은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상현실이 구현된 환경 또는 상황은 가상현실 기기, 예컨대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 Head Up Display)와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호 작용은 가상현실이 구현된 환경 또는 상황을 포함한 영상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상현실이 구현된 상황 또는 환경이 구현된 영역을 가상현실용 방(room)이라고 정의하고, 가상현실용 방에 참여자는 가상현실용 기기를 착용하여 가상현실용 방에 입장하는 사용자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상현실용 방은 VR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최초 입장자, 즉 최초로 가상현실용 기기를 착용한 사용자를 방장이라고 정의하며, 이후 입장자를 참여자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시스템에서의 영상 동기화 방법이 구현된 전체 시스템으로서, 유무선 통신망으로 상호 연결된 복수의 가상현실용 기기(100), 동기화 서버(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사용자의 착용 가능하며, 착용을 통해 가상현실용 방에 참여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그 예로서 HUD(Head Up display),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동기화 서버(150)와의 통신을 통해 왕복시간(RTT : Round Trip Time)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왕복시간은 유무선 통신망, 예컨대 패킷망 상에서 자신이 착용한 가상현실용 기기(100)와 동기화 서버(150)간 패킷이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으로서, 망의 혼잡, 거리, 전송 속도 등을 기반으로 계산될 수 있다.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왕복시간을 고려하여 영상 동기화를 위한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영상 동기화를 위한 플로우로 착용자가 최초 방 입장인 경우 방 생성 플로우를 실행하여, 착용자가 이미 생성된 방에 입장한 경우(참여자인 경우) 방 입장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장이 해당 방에서 퇴장하는 경우 방장 권한 양도 플로우를 실행할 수 있다.
방 생성 플로우는 산출한 왕복시간을 이용하여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며, 산출한 방내 절대 시간을 동기화 서버(150)에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내 절대 시간은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서, 방 생성 시점부터의 상대 시간에 왕복시간/2가 합산되어 생성된 후 동기화 서버(150)에 전달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영상 기반으로 사용자(방장 및 참여자 포함)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을 생성할 수 있으며, 방 생성 시점부터 흐른 시간인 방내 절대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동기화 서버(150)를 통해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로부터의 방내 절대 시간 요청에 따라 방내 절대 시간에 왕복시간/2를 합산한 시간(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방에 참여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는 것으로서, 동기화 서버(150)와의 통신을 통해 참여자의 왕복시간을 산출하며, 동기화 서버(150)를 통해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방내 절대 시간을 요청하여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수신한 후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에 참여자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방 입장 플로우는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로부터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동기화 서버(150)를 통해 수신하며, 수신한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참여자가 착용한 가상현실용 기기(100)에서 산출한 왕복시간을 반영하여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며, 산출한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영상 재생 시 영상 재생 시간과 재생 시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전송하여 참여자측 가상현실용 기기(100)에서의 영상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 재생시점의 방내 절대 시간 및 영상 재생 시간을 연산하여 보정된 영상 재생 시간을 산출하며, 산출한 영상 재생 시간을 기반으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방장의 영상 재생 시간 및 영상 재생 시점에서의 방내 절대 시간을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후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보정된 재생 시간을 산출하며, 산출한 보정된 영상 재생 시간에 의거하여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수학식 1]
보정된 영상 재생 시간 =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 - (방장의 재생 시점에서의 방내 절대 시간) + (방장의 영상 재생 시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서,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사용자의 착용에 따라 VR 시스템에서 생성된 방에 입장함에 따라 동기화 서버(150)와의 통신을 통해 왕복시간을 산출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최초 방에 입장한 경우 왕복시간과 방의 생성 시점부터의 상대 시간을 기반으로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설정하는 기능과, 임의의 사용자가 방장이 존재한 상태에서 방에 입장한 경우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수신한 방내 절대 시간과 동기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산출한 왕복시간을 기반으로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설정하는 기능과, 특정 시점에서의 영상 재생 요청에 따라 영상 재생 시점의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과 영상 재생 시간을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에 전송하는 기능과,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과 영상 재생 시간이 수신됨에 따라 자신의 가상현실용 기기에 설정된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 영상 재생 시간 및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기반으로 보정된 영상 재생 시간을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영상 재생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메모리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어 사용자가 가상현실용 기기(100)를 착용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미도시됨)에 의해 실행되어 동기화 서버(150)를 통해 다른 사용자가 착용한 가상현실용 기기(100), 즉 방에 입장한 사용자가 착용한 가상현실용 기기(100)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동기화 서버(150)는 방장 및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로부터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의 요청을 수신하여 이를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서버(150)는 방장 및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서 왕복 시간의 산출에 이용될 수 있으며, 방장 및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VR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시스템에서 영상 동기화를 위해 방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임의의 사용자가 가상현실용 기기(100)를 이용하여 방을 생성(S200)함에 따라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동기화 서버(150)와의 통신을 통해 왕복시간을 산출한 후 산출한 왕복시간과 방장임을 식별하기 위한 방장 식별자를 매칭시켜 가상현실용 기기(100)의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한다(S202).
이와 더불어,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방의 생성 시점부터의 흐르는 시간을 방내 절대 시간으로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S204).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시스템에서 영상 동기화를 위해 방이 생성된 후 방에 입장한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시간을 셋팅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상을 동기화시켜 재생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참여자가 가상현실용 기기(100)를 통해 방장에 의해 생성된 방에 입장(S300)함에 따라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동기화 서버(150)와의 통신을 통해 왕복시간을 산출한다(S302).
이후,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동기화 서버(150)를 통해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방내 절대 시간을 요청한다(S304).
이에 따라,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방내 절대 시간에 방장의 왕복 시간/2를 합산하여 방장측에서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며(S306), 산출한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동기화 서버(150)를 통해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전송한다(S308).
이후,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로부터 수신한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에 참여자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한 후 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S310).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방에는 방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자가 입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방장이 자신이 착용한 가상현실용 기기(100)를 이용하여 특정 시간부터의 영상 재생을 요청(S312)함에 따라 방장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영상을 재생함과 더불어 영상을 재생 요청한 시간(이하, '영상 재생 시간'이라고 함)과 영상 재생 시점의 방내 절대 시간을 동기화 서버(150)를 통해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전송한다(S314).
이에 따라,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영상 재생 시간에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과 재생 시점의 방내 절대 시간을 기반으로 보정된 영상 재생 시간을 산출(S316)한 후 이를 기반으로 영상을 재생시킨다(S318).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방 내에 복수의 참여자가 가상현실용 기기(100)의 착용을 통해 참여할 수 있다. 이때,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방 입장 순서에 대응되는 참여자 식별자를 생성한 후 이를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에 매칭시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방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참여자가 착용한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영상을 동기화시켜 재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수행하는 도중, 방장이 방에서 퇴장하면(S320), 즉 방장이 착용한 가상현실용 기기(100)를 벗으면, 참여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참여자를 선택하여 방장의 권한을 양도한다(S322). 구체적으로, 방장 이후에 최초 입장한 참여자(참여자 식별자가 "1"로 설정된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방장의 권한을 양도받아 이후 영상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참여자 식별자가 1로 설정된 가상현실용 기기(100)는 참여자의 영상 재생 요청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재생시점에서의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과 영상 재생 시간을 다른 참여자의 가상현실용 기기(100)에 전송하여 영상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용 기기(100)를 통해 방을 생성 및 참여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상 재생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복수의 사용자측 기기를 통해 방이 생성되고, 생성된 방에 참여함과 더불어 방 내에서 영상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플랫폼에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간 영상 재생을 제어하는 방법은 모바일 기기, 컴퓨팅 디바이스 등을 기반으로 방을 생성 및 참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기반으로 방 내에서 영상 재생을 통해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플랫폼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영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재생이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가상현실용 기기
150 : 동기화 서버

Claims (6)

  1.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측 기기와 패킷망을 통해 연결되는 동기화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영상 동기화 방법으로서,
    방을 생성한 사용자측 기기(이하,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동기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방장의 왕복시간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방의 생성 시점부터의 흐르는 시간을 방내 절대 시간으로 설정하여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 저장하는 단계와,
    방에 입장한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동기화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참여자의 왕복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동기화 서버를 통해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 방내 절대 시간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저장된 방내 절대 시간에 방장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방장측에서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보정된 방내 절대 시간에 상기 참여자의 왕복시간/2를 합산하여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특정 시점에서의 콘텐츠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방장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콘텐츠 재생 시점에서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과 콘텐츠 재생 시간을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 상기 전송받은 콘텐츠 재생 시간 및 방장의 방내 절대 시간을 기반으로 보정된 콘텐츠 재생 시간을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서의 콘텐츠 재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방의 참여자 입장 순서를 식별하는 참여자 식별자를 포함시켜 상기 참여자의 방내 절대 시간을 설정하는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동기화 방법은,
    상기 방장이 상기 방에서 퇴장하는 경우, 상기 참여자의 사용자측 기기에 설정된 참여자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방장의 권한을 양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40299A 2019-11-05 2019-11-05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 KR102148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99A KR102148017B1 (ko) 2019-11-05 2019-11-05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99A KR102148017B1 (ko) 2019-11-05 2019-11-05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017B1 true KR102148017B1 (ko) 2020-08-25

Family

ID=72242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299A KR102148017B1 (ko) 2019-11-05 2019-11-05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868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아이딩 온라인 단체 관람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167A (ko) * 2008-10-15 201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공유 방법
KR101408615B1 (ko) * 2013-06-04 2014-06-17 주식회사 샵캐스트 방송 재생 동기화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80126143A (ko) 2017-05-17 2018-11-27 곽용철 사이버 경조사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90073058A (ko) * 2017-12-18 2019-06-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Mmt 프로토콜 기반의 다채널 환경에서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167A (ko) * 2008-10-15 2010-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공유 방법
KR101408615B1 (ko) * 2013-06-04 2014-06-17 주식회사 샵캐스트 방송 재생 동기화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80126143A (ko) 2017-05-17 2018-11-27 곽용철 사이버 경조사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90073058A (ko) * 2017-12-18 2019-06-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Mmt 프로토콜 기반의 다채널 환경에서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7868A (ko) *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아이딩 온라인 단체 관람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573946B1 (ko) 2021-06-15 2023-09-07 장효준 온라인 단체 관람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4653B1 (en) Streaming mixed-reality environments between multiple devices
US11050977B2 (en) Immersive interactive remote participation in live entertainment
JP7346459B2 (ja) ライブイベントの共有可能な視点をライブストリーミングすることによる、ローカル体験のシミュレーション
US9746912B2 (en) Transformations for virtual guest representation
CN109976690B (zh) Ar眼镜远程交互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US8012023B2 (en) Virtual entertainment
US201803242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xpert assistance from a remote expert to a user operating an augmented reality device
US10049496B2 (en) Multiple perspective video system and method
WO2020090786A1 (ja) 仮想空間中のアバター表示システム、仮想空間中のアバター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60225188A1 (en) Virtual-reality presentation volume within which human participants freely move while experiencing a virtual environment
WO2020138107A1 (ja) 配信ユーザの動きに基づいて生成されるキャラクタオブジェクトのアニメーションを含む動画をライブ配信する動画配信システム、動画配信方法及び動画配信プログラム
US201200503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linking service
CN107924584A (zh) 增强现实
KR101966020B1 (ko) 혼합 현실 기반의 다중 참여형 공간 어뮤즈먼트 서비스 방법 및 다중 참여형 공간 어뮤즈먼트 서비스 시스템
JP2016529773A (ja) マルチリアリティ環境における役割交渉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39122B1 (ko) 다중 사용자의 현실 공간상 위치와 연동하는 다중 접속 가상공간 제공 시스템 및 다중 접속 가상공간에서 3d 가상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Normand et al. Full body acting rehearsal in a networked virtual environment—A case study
CN106178551B (zh) 一种基于多通道交互的实时渲染互动影院系统及方法
US202204049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time Data Communication in Full-Presence Immersive Platforms
KR102148017B1 (ko) 콘텐츠 공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의 콘텐츠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측 컴퓨팅 디바이스
WO202209183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端末
KR102149608B1 (ko)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을 이용한 혼합 렌더링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Sammartino Integrated Virtual Reality Game Interaction: The Archery Game
Luna Introduction to Virtual Reality
Jiang Full-body joint action in pedestrian road crossing virtual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