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914B1 - Suction pile reinforced durability - Google Patents

Suction pile reinforced durab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914B1
KR102147914B1 KR1020180155215A KR20180155215A KR102147914B1 KR 102147914 B1 KR102147914 B1 KR 102147914B1 KR 1020180155215 A KR1020180155215 A KR 1020180155215A KR 20180155215 A KR20180155215 A KR 20180155215A KR 102147914 B1 KR102147914 B1 KR 102147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tiffener
vertical
horizontal stiffene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8347A (en
Inventor
최진오
Original Assignee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55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14B1/en
Publication of KR20200068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3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73Details of sea bottom engaging footing
    • E02B2017/0078Suction piles, suction c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션용 파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일은 원통 형상의 제1강관, 상기 제1강관에 고정되며 상기 제1강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직보강재 및 상기 수직보강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보강재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수평보강재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석션용 파일은 수직보강재와 수평보강재를 통해 제1강관에 작용하는 후프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 가능하며, 전단력과 휨강성을 보강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for suction, wherein the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ylindrical first steel pipe,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fixed to the first steel pipe and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tiffener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s and vertical stiffeners disposed adjacent to the vertical stiffener.
The suction pil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effectively disperse the hoop stress acting on the first steel pipe throug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tiffeners,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durability by reinforcing shear and flexural stiffness.

Description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SUCTION PILE REINFORCED DURABILITY}Suction pile with improved durability {SUCTION PILE REINFORCED DURABILITY}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으로 관입하는 석션용 파일에 있어서 석션 시 파일에 작용하는 후프텐션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 용이성과 전단력 및 휨강성에 대한 저항이 증대된 내구성이 향상된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suction pile with improved durability, and more specifically, in a suction pile that penetrates into the ground, it is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resist hoop tension acting on the pile during suction, and has ease of manufacture and resistance to shear force and flexural stiffness. It relates to a suction pile with improved durability with improved durability.

일반적으로 석션용 파일은 파일 내부의 물 등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발생되는 파일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해저 지반 등에 설치되는 파일을 의미한다. 이러한 석션용 파일은 해저면에 시공되어 석유시추 플랫폼, 해상풍력 발전의 기초와 같이 해양 고정식 또는 해양 부유식 구조물의 지지체, 앵커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In general, a suction pile refers to a pile installed on the submarine ground or the like due to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ile generated by discharging fluid such as water inside the pile to the outside. These suction piles are installed on the sea floor and are used to serve as a support for an offshore fixed or offshore floating structure, such as an oil drilling platform and a foundation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and an anchor.

석션용 파일은 수중에서 해저면에 관입되는 특성상 통상 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정 강도 이상을 갖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데, 수중에서 가해지는 수압과, 해저에 관입됨에 따라 발생되는 토압 등에 의해 석션용 파일에는 후프텐션이 걸리게 된다.Suction piles have a cylindrical shape due to the nature of penetration into the seabed from underwater and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or higher.The suction pile is hooped by the water pressure applied in the water and the earth pressure generated by penetration into the seabed. Tension is applied.

후프텐션에 저항하는 석션용 파일의 원주 방향에는 후프응력이 작용되는데, 후프응력은 파일 내부의 압력(P)에 파일의 반지름(R)을 곱한 값에서 파일의 두께(T)를 나눈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파일의 반지름(R)이 클수록, 파일의 두께(T)가 작을수록 후프응력은 커지며, 파일의 규모가 커지는 경우에는 통상 보다 큰 후프응력이 작용하게 된다.Hoop stress is a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ction pile that resists hoop tension, and the hoop stress is defined a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hickness of the pile (T) by the product of the pressure inside the pile (P) by the radius of the pile (R). Can be. That is, as the radius R of the pile increases and the thickness T of the pile decreases, the hoop stress increases, and when the size of the pile increases, a larger hoop stress acts than usual.

종래 석션용 파일은 다수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를 상하로 적층 및 용접하여 형성되는데, 이러한 파일의 경우 후프텐션에 의해 파일이 찌그러지거나 용접 부위가 벌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특히 규모가 큰 파일의 경우 요구되는 지지력과 물막이 등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목적 달성에 큰 차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도하게 용접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Conventional suction piles are formed by stacking and welding a plurality of horizontally extended plates up and down, and in the case of such piles, problems such as crushing of the pile or opening of the welding area may occur due to hoop tension. In the case of a large pile,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setback occurs in achieving the purpose of creating an environment such as a required support force and a water barri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ork process is not efficient because welding must be performed excessively.

후프텐션, 전단력, 휨강성 등에 효과적으로 대처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파일의 제작이 용이한 구조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cope with hoop tension, shear force, and flexural stiffness, improves durability, and facilitates the manufacture of piles is required.

(문헌 0001) 한국 공개특허 10-2015-0009780(공개일:15.01.27.)(Document 0001)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5-0009780 (published date: 15.01.27.) (문헌 0002) 한국 공개특허 10-2015-0052618(공개일:15.05.14.)(Document 0002) Korean Laid-Open Patent 10-2015-0052618 (Published: 15.05.14.)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후프응력 등 내구력을 보강하면서 제작이 용이한 석션용 파일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is to provide a pile for suction that is easy to manufacture while reinforcing durability such as hoop stress.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은 원통 형상의 제1강관, 제1강관에 고정되며 제1강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직보강재 및 수직보강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보강재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수평보강재를 포함한다.The suction pile with improved dur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ylindrical first steel pipe,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fixed to the first steel pipe and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vertical It includes a plurality of horizontal stiffener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s disposed adjacent to the reinforcement.

또한, 수직보강재는, 양 측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보강재가 결합되며, 수평보강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323) 및 레일(323)에 구비되고 수평보강재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가이드고정구(325)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stiffener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is coupled, and is provided on the rail 323 and the rail 323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stiffener, and a plurality of fix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stiffener It may include a guide fastener 325 of.

또한, 레일(323)에는 상하로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홀(324)이 구비되고, 가이드고정구(325)는 핀 형상으로 가이드홀(324)로 삽입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32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holes 324 arranged vertically, and the guide fastener 325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24 in a pin shape.

또한, 수평보강재는 수직보강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보강재 사이에 미리 설정된 프리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may apply a preset prestress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 and the vertical stiffener disposed adjacent to the vertical stiffener.

또한, 수평보강재는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can be prestressed by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또한, 수평보강재는 잭스크류(jackscrew)의 구조를 통해 프리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can apply prestress through the structure of a jackscrew.

또한, 수평보강재에 결합되며 수평보강재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변형을 측정하는 측정센서(410) 및 측정센서(410)로부터 측정된 수평보강재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변형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수평보강재가 부담하는 응력을 산출하는 제어부(400) 및 제어부(400)와 연결되고 제어부(400)로부터 산출된 수평보강재의 응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is burdened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load or deformation appli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measur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410 and the measurement sensor 410 that are coupl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and measure the load or deformation appli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The control unit 400 for calculating the stress, and a display unit 42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0 and visually displaying the stress of the horizontal stiffener calculated from the control unit 400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제1강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수직보강재와 수평보강재에 결합되는 제2강관을 더 포함하고, 제1강관과 상기 제2강관 사이에는 수직보강재와 수평보강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steel pipe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coupled to a vertical stiffener and a horizontal stiffener may be further included, and a vertical stiffener and a horizontal stiffen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또한, 제1강관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캡을 더 포함하고, 하부캡은 제2강관과 제1강관의 하단을 폐쇄시키면서 아랫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Further, a lower cap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pipe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lower cap may be inclined downward while closing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first steel pipe.

또한, 수평보강재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구를 포함하고, 제2강관은 제1고정구가 삽입 가능한 제1고정홀을 포함하고, 제2강관과 수평보강재는 제1고정구가 제1고정홀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includes a first fixing hole protruding inward, the second steel pipe includes a first fixing hole into which the first fixing member can be inserted, and in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the first fixing hole has a first fixing hole. It can be fixed while being fitted through.

또한, 수직보강재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구를 포함하고, 제2강관은 제2고정구가 삽입 가능한 제2고정홀을 포함하고, 제2강관과 수직보강재는 제2고정구가 제2고정홀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stiffener includes a second fixing hole protruding inward, the second steel pipe includes a second fixing hole into which a second fixing member can be inserted, and in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vertical stiffener, the second fixing hole has a second fixing hole. It can be fixed while being fitted through.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션용 파일은 내부에서 관입 시 발생되는 후프응력과 전단력 또는 휨강성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suction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by effectively distributing hoop stress and shear force or flexural stiffness generated during penetration from the inside.

또한, 수평보강재와 수직보강재의 구조로부터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from the structure of the horizontal stiffener and the vertical stiffener, there is an advantage of excellent durability and easy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션용 파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용 파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보강재와 수직보강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용 파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강관과 제2강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c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uction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horizontal stiffener and a vertical stiff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for su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first steel pipe and a second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a set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addition or presence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션용 파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용 파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for s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ile for s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은 원통 형상의 제1강관(100), 상기 제1강관(100)에 고정되며 상기 제1강관(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직보강재(320) 및 상기 수직보강재(320)와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보강재(320)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수평보강재(310)를 포함한다.1 and 2, the suction pile with improved dur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cylindrical first steel pipe 100, the first steel pipe 100, and the first steel pipe 100 ) And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320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tiffeners 310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s 320 disposed adjacent to the vertical stiffeners 320 do.

상기 제1강관(100)은 원통 형상으로, 설정된 높이와 직경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석션용 파일은 후프응력을 고려하여 규모가 큰 파일에 적용하기 적합하다.The first steel pipe 10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a set height, diameter, and thickness. The suction pil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 large pile in consideration of the hoop stress.

제1강관(100)에 배치된 수직보강재(320)는 수직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강관(10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보강재(320)는 석션용 파일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며 복수가 배치되어 제1강관(100)을 등분할 시키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보강재(320)는 상기 제1강관(100)의 내측 면에 용접 또는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The vertical stiffener 320 disposed on the first steel pipe 100 has a vertical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320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pipe 100. For example, the vertical stiffener 320 may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uction pile, and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may be disposed so as to divide the first steel pipe 100 into equal divisions. The vertical stiffener 32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teel pipe 100 through welding or bolts.

제1강관(100)에 배치된 수평보강재(310)는 수평 판 또는 막대 형상을 가지며 복수가 일정 높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보강재(310)는 상기 수직보강재(320)와 인접한 수직보강재(32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직보강재(320) 또는 제1강관(10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The horizontal stiffener 310 disposed on the first steel pipe 100 has a horizontal plate or rod shape,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stiffeners 310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heights.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disposed to connect the vertical stiffener 320 and the adjacent vertical stiffener 320 to each other, and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stiffener 320 or the first steel pipe 100.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각각 배치된 수직보강재(320)와 수평보강재(310)가 석션용 파일에 작용하는 후프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므로 파일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후프텐션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 또한, 수평보강재(310)와 수직보강재(320)가 구비된 본 발명은 내부 수압과 토압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며 내부 석션 압력에 대처하는 동시에 파일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rtical stiffeners 320 and the horizontal stiffeners 310 disposed as above effectively disperse the hoop stress acting on the suction pile, the durability of the pile can be improved, and at the same time, it can effectively resist hoop tens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nd the vertical stiffener 320 can effectively resist internal water pressure and earth pressure, cope with the internal suction pressure,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thickness of the pile, thereby reducing material cost. .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보강재와 수직보강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3 to 6 are exemplary views showing a horizontal stiffener and a vertical stiffe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보강재(320)는, 양 측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보강재(310)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323) 및 상기 레일(323)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가이드고정구(32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stiffener 32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coupled, and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t may include a rail 323 and a plurality of guide fasteners 325 provided on the rail 323 and fix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보강재(320)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레일(323)이 상하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레일(323)에는 수평보강재(310)가 결합되어 상기 레일(32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즉, 수직보강재(320)와 인접한 수직보강재(320)를 수평보강재(310)가 연결하는 구조에서 상기 수평보강재(310)는 수직보강재(320)와 인접한 수직보강재(320) 각각에 구비된 레일(323)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한다.Specifically, the rails 323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stiffener 320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coupled to the rail 323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rail 323 do. That is,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connects the vertical stiffener 320 and the adjacent vertical stiffener 320,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a rail provided on each of the vertical stiffeners 320 and the adjacent vertical stiffeners 320. 323) and moves up and down.

상기 레일(323)에는 상하로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홀(324)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고정구(325)는 핀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홀(324)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324)은 하나의 레일(323)에 복수개가 설정된 높이마다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323)을 관통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고정구(325)는 상기 수평보강재의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홀(324)로 삽입되어 상기 수평보강재를 설정된 높이로 유지시킨다.The rail 323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holes 324 arranged vertically, and the guide fastener 325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24 in a pin shape. A plurality of guide holes 324 may be provided in one rail 323 at a set height, and may be 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rail 323. In this case, the guide fixing member 325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324 under the horizontal stiffener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iffener at a set height.

상술한 예 이외에도 상기 가이드고정구(325)는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고정구(325)는 상기 레일(323)을 따라 내측으로 함입된 홈 형상을 갖고, 상기 수평보강재(310)에는 홈 형상을 갖는 가이드고정구(325)에 삽입 가능한 돌기 형상을 갖는 체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fixing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may be applied to the guide fixing member 325. For example, the guide fastener 325 has a groove shape recessed inward along the rail 323,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has a protrusion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fastener 325 having a groove shape. Spheres may be provided.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은 후프응력의 효과적인 분산을 위하여 요구되는 위치에 수평보강재(310)를 위치시키기 용이하여 후프응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불필요한 수평보강재가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has an economic advantage by preventing unnecessary horizontal stiffeners from being disposed when the hoop stress is relatively small because it is easy to place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t a position required for effective dispersion of the hoop stress.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보강재(310)는 상기 수직보강재(320)와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보강재(320) 사이에 미리 설정된 프리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보강재(310)는 프리스트레스가 작용되는 수직보강재(320)들 사이의 거리가 좁아지는 방향, 즉 압축력이 작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may apply a preset prestress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 320 and the vertical stiffener 320 disposed adjacent to the vertical stiffener 320. In this case,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preferab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s 320 to which the prestress is applied is narrowed, that is,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상기 프리스트레스는 미리 가해진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의미하며, 상기 수직보강재(320) 사이에서 수평보강재(310)를 통해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가하여 과도한 후프응력이 발생되는 지점에서 수평보강재(310)와 수직보강재(320)가 부담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prestress means a pre-applied tensile force or compression force,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nd the vertical stiffener 320 at the point where excessive hoop stress is generated by applying a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s 320 through the horizontal stiffeners 310. ) Can reduce the stress.

예를 들어 상기 수평보강재(310)는 판스프링의 탄성 구조를 가져 상기 수직보강재(320)와 인접한 수직보강재(320) 사이에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수평보강재(310)는 잭스크류(jackscrew)의 구조를 가져 양 단이 각각 수직보강재(320)에 연결된 상태로 나사가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인장력 또는 압축력을 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may have an elastic structure of a leaf spring and may apply a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 320 and the adjacent vertical stiffener 320. For another example,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may have a jackscrew structure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stiffener 320, and a tensile force or a compressive force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screw winding or loosening.

위와 같이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수평보강재(310)는 파일의 규모나 관입 조건에 따라 큰 후프응력이 발생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후프텐션에 저항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리스트레스는 해저 관입과 수압을 고려하여 파일의 하부에서 더욱 큰 힘이 작용되도록 하고 파일의 상부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pplying prestress as described above can effectively resist hoop tension even if a large hoop stress occur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ile or penetration conditions, and thus stability can be increased. For example, the prestress may be applied in such a manner that a larger force is applied at the bottom of the pile and a relatively small force is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in consideration of seabed penetration and water pressure.

또한,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보강재(310)는 유압실린더(313)와 유압로드(315), 유압펌프(314) 및 유압탱크(316)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양 단은 각각 상기 수직보강재(320)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내부에는 유압실린더(313)와 유압펌프(314) 및 유압탱크(316)가 구비되며, 상기 유압펌프(314)는 외부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압탱크(316)에 저장된 오일을 상기 유압실린더(313)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313)에 연결된 유압로드(315)가 상기 공급된 오일에 의해 이동하면서 수평보강재(310)의 양 단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압축력이나 인장력이 가해진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5 (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ncludes a hydraulic cylinder 313 and a hydraulic rod 315, a hydraulic pump 314, and a hydraulic tank 316.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re fixed to the vertical stiffener 320, respectively, and a hydraulic cylinder 313 and a hydraulic pump 314 and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 hydraulic tank 316 is provided, and the hydraulic pump 314 may supply oil stored in the hydraulic tank 316 to the hydraulic cylinder 313 by receiving an external operation signal. In this case, the hydraulic rod 315 connected to the hydraulic cylinder 313 is moved by the supplied oil and a compressive force or a tensile force is applied by pushing or pulling both ends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상기 유압펌프(314)는 석션용 파일 외부 또는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400)를 통해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보강재(310)에는 유압펌프(31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The hydraulic pump 314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through a control unit 400 provided outside or inside the suction pile,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supplied with power to operate the hydraulic pump 314. A battery to be supplied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또한,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보강재(310)에는 상기 수평보강재(310)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온도조절장치(317)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조절장치(317)는 상기 수평보강재(310)를 가열하여 열팽창을 유도하거나 냉각시켜 열수축을 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장치(317)는 석션용 파일 외부에 구비된 제어부(400)를 통해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보강재(310)에는 온도조절장치(317)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ure 5 (b),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317 for heating or cooling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the temperature The adjusting device 317 may heat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to induce thermal expansion or cool it to perform thermal contractio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17 may be operated by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control unit 400 provided outside the suction pile,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to operate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17. A battery to be supplied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위와 같은 구조를 갖는 수평보강재(310)는 후프응력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경우 상기 유압펌프(314)나 온도조절장치(317)를 조절하여 압축력 또는 인장력을 수직보강재 사이에 가할 수 있어 과도한 후프응력에 따른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으로 수평보강재(310)를 통해 수직보강재(320)와 인접한 수직보강재(320) 사이에 인장력이나 압축력을 가할 수 있어 전단력이나 휨 강성 등을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horizontal stiffener 310 having the above structure can apply compressive or tensile force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s by adjusting the hydraulic pump 314 or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17 when excessive hoop stress is generated, thereby preventing excessive hoop stress. It can prevent damage or deformation caused by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pply a tensile or compressive force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 320 and the adjacent vertical stiffener 320 through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n real time, thereby reinforcing shearing force or flexural stiffness.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보강재(310)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보강재(310)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변형을 측정하는 측정센서(410) 및 상기 측정센서(410)로부터 측정된 수평보강재(310)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변형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보강재(310)가 부담하는 응력을 산출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산출된 수평보강재의 응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from the measurement sensor 410 and the measurement sensor 410 that are coupl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nd measure the load or deformation appli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00 for calculating the stress borne by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by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measured load or deformation appli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0, and the control unit 400 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420 for visually displaying the stress of the horizontal stiffener calculated from the display through the display.

상기 측정센서(410)는 상기 수평보강재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보강재(310)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변형을 측정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측정센서(410)는 상기 수평보강재(310)가 부담하는 응력에 따라 변화되는 진동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측정센서(410)에서 측정된 진동으로부터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하중 변화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센서(410)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 등 압전소자의 구조를 갖고,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하중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고유진동수를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변화된 고유진동수와 변화 전 고유진동수를 비교하여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하중 변화를 산출하며, 하중 변화 전후 측정된 임피던스로부터 설정된 계산식을 이용하여 변화된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중량, 탄성계수, 단면적 등의 물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asurement sensor 410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stiffener to measure the load or deformation appli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for example, the measurement sensor 410 is applied to the stress borne by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The vibration that changes accordingly is measured, and the control unit 400 calculates a change in the load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from the vibration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410. Specifically, the measurement sensor 410 has a structure of a piezoelectric element such as lead zirconate titanate (PZT), and measures a natural frequency that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load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The control unit 400 may compare the changed natural frequency with the natural frequency before the change to calculate the load change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nd measure the changed load using a calculation formula set from the impedanc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load change.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400 stores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the weight, elastic modulus,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측정센서(410)는 자성, 빛, 전자기, 온도 등을 이용하여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물리적 변화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4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물리적 변화량으로부터 설정된 계산식을 통해 상기 수평보강재(310)의 응력을 산출한다.For another example, the measurement sensor 410 measures the amount of physical change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using magnetism, light, electromagnetic, temperature, etc.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400, and the controller 400 The stress of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calculated through a calculation formula set from the amount of physical change.

상술한 예 이외에도 상기 측정센서(41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e measurement sensor 41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상기 표시부(420)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산출된 수평보강재의 하중 변화나 응력 등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며, 실시간으로 상기 수평보강재에 가해지는 후프텐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isplay unit 420 visually displays the load change or stress of the horizontal stiffener calculated by the control unit 400 through a display,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heck the hoop tension appli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in real tim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용 파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강관(100)과 제2강관(200)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le for su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100 and the second steel pip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강관(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와 수평보강재에 결합되는 제2강관(2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강관(100)과 상기 제2강관(200) 사이에는 상기 수직보강재(320)와 상기 수평보강재(310)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teel pipe 200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pipe 100 and coupled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tiffeners, and the first The vertical stiffener 320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teel pipe 100 and the second steel pipe 200.

상기 제2강관(200)은 상기 제1강관(1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보강재(320)와 수평보강재(310)를 덮도록 위치된다. 상기 제2강관(200)은 상기 제1강관(100)과 동일한 동심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강관(200)은 상기 수평보강재(310) 및/또는 수직보강재(320)와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steel pipe 20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steel pipe 100 and is positioned to cover the vertical stiffener 320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The second steel pipe 200 may have the same concentricity as the first steel pipe 100. In addition, the second steel pipe 200 may be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nd/or the vertical stiffener 320.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평보강재(310)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구(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강관(200)은 상기 제1고정구(312)가 삽입 가능한 제1고정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강관(200)과 상기 수평보강재(310)는 상기 제1고정구(312)가 상기 제1고정홀(211)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구(312)와 상기 제2강관(200)은 서로 용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구(312)가 상기 제1고정홀(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고정구(312)의 돌출부와 제2강관(200)이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ncludes a first fixing member 312 protruding inward, and the second steel pipe 200 is the first fixing member 312 It may include a first fixing hole 211 is inserted. In this case, the second steel pipe 200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re fixed while the first fixing tool 312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fixing hole 211. The first fixing tool 312 and the second steel pipe 200 may be welded to each other. That is, while the first fixing member 312 is fitted into the first fixing hole 211, the protrusion of the first fixing member 312 and the second steel pipe 200 may be fixed through welding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보강재(320)는 각각 내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구(3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강관(200)은 상기 제2고정구(322)가 삽입 가능한 제2고정홀(2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강관(200)과 상기 수직보강재(320)는 상기 제2고정구(322)가 상기 제2고정홀(212)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된다. 즉, 수직보강재(320)에 구비된 제2고정구(322)가 제2강관(200)에 구비된 제2고정홀(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고정구(322)의 돌출부와 제2강관(200)은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stiffener 320 includes a second fixing member 322 protruding inward, respectively, and the second steel pipe 200 is a second fixing member 322 into which the second fixing member 322 is inserted. It may include two fixing holes 212. The second steel pipe 200 and the vertical stiffener 320 are fixed while the second fixing tool 322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fixing hole 212.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fixing member 322 provided in the vertical stiffener 32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ixing hole 212 provided in the second steel pipe 200,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fixing member 322 and the second steel pipe 200 may be fixed through welding or the like.

위와 같이 제1고정구(312) 또는 제2고정구(322)는 제2강관(200)의 고정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제2강관(200)에서 돌출되도록 끼워지므로 용접 등을 수행하는데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As above, the first fixing tool 312 or the second fixing tool 322 facilitates the fixing of the second steel pipe 200 and is fitt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second steel pipe 200 so that it is easier to perform welding, etc. have.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강관(100)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캡(340)(미도시)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340)은 상기 제2강관(200)과 상기 제1강관(100)의 하단을 폐쇄시키면서 아랫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ower cap 340 (not show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pipe 100 is further included, and the lower cap 340 includes the second steel pipe 200 and the first steel pipe 100 ) Can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hile closing the lower end.

하부캡(340)은 상기 제1강관(100)의 하단을 밀폐시키는 구조로, 일측이 제1강관(1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평보강재(310) 및/또는 수직보강재(320)에 연결되어 파일의 내부에서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에 위치한 수평보강재(310)와 수직보강재(320)가 해저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lower cap 340 is a structure that seals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pipe 100,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pipe 10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nd/or the vertical stiffener 320. It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in the inside of the pile. Accordingly,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nd the vertical stiffener 320 located at the bottom ar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sea floor.

또한, 상기 하부캡(340)은 상기 제2강관(200)과 상기 제1강관(100)의 하단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석션용 파일을 석션할 때 제2강관(200)과 제1강관(10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캡(340)은 제1강관(100)에서 아랫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이 경우 석션용 파일의 관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ap 340 may close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steel pipe 200 and the first steel pipe 100. In this case, when the suction pile is suctioned,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between the second steel pipe 200 and the first steel pipe 100. In addition, the lower cap 34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irst steel pipe 100, an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penetration of the suction pi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보강재(320)에는 수평방향으로 천공된 제2천공홀(3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천공홀(321)은 제2강관(200)과 제1강관(100) 사이에서 공기를 유동시켜 둘레 방향을 따라 압력 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압력을 동일한 조건으로 유지시킨다. 즉, 상기 수직보강재(320)가 24개로 구성된 경우 상기 수직보강재(320) 각각에는 제2천공홀(321)이 구비되어 공기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천공홀(321)은 하나의 수직보강재(320)에 복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보강재(310)와 인접한 수평보강재(3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stiffener 32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perforated hole 321 dri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econd perforated hole 321 prevents a pressure difference from occurring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flowing air between the second steel pipe 200 and the first steel pipe 100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under the same condition. That is, when the vertical stiffener 320 is composed of 24 pieces, each of the vertical stiffeners 320 is provided with a second perforated hole 321 to allow air to communicate. The second perforated hole 321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one vertical stiffener 320, and at least one or more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and the adjacent horizontal stiffener 310.

또한, 상기 수평보강재(310)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제1천공홀(31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천공홀(311)은 제2강관(200)과 제1강관(100)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켜 높이에 따른 압력 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수평보강재(310)가 3M의 간격으로 배치된 경우 각각의 수평보강재(310)에는 제1천공홀(311)이 구비되어 상하로 공기가 유동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perforated hole 311 perforated in a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perforated hole 311 prevents a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height by flowing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second steel pipe 200 and the first steel pipe 100. That is, when the horizontal stiffener 310 is arranged at an interval of 3M, each horizontal stiffener 310 is provided with a first perforated hole 311 to allow air to flow up and dow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션용 파일은 수평보강재(100)와 수직보강재(200)를 통해 후프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내구성과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외부 수압이나 내부 토압에 저항이 용이한 동시에 강관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강관에 가해지는 모멘트와 전단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by effectively distributing the hoop stress through the horizontal stiffener 100 and the vertical stiffener 200, and resists external water pressure or internal earth pressure. This is easy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steel pip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perse the moment and shear force applied to the steel pipe.

100 : 제1강관
200 : 제2강관 211 : 제1고정홀
212 : 제2고정홀
310 : 수평보강재 311 : 제1고정구
312 : 제1천공홀 313 : 유압실린더
314 : 유압펌프 315 : 유압로드
316 : 유압탱크 317 : 온도조절장치
320 : 수직보강재 321 : 제2고정구
322 : 제2천공홀 323 : 레일
324 : 가이드홀 325 : 가이드고정구
400 : 제어부 410 : 측정센서
420 : 표시부
100: the first steel pipe
200: 2nd steel pipe 211: 1st fixed hole
212: 2nd fixed hole
310: horizontal stiffener 311: first fixture
312: first hole 313: hydraulic cylinder
314: hydraulic pump 315: hydraulic rod
316: hydraulic tank 317: temperature control device
320: vertical stiffener 321: second fixing tool
322: second drilling hole 323: rail
324: guide hole 325: guide fixture
400: control unit 410: measurement sensor
420: display

Claims (11)

원통 형상의 제1강관;
상기 제1강관에 고정되며 상기 제1강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수직보강재; 및
상기 수직보강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보강재 사이에 구비된 복수의 수평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보강재는,
양 측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평보강재가 결합되며,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보강재의 상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가이드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강관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와 수평보강재에 결합되는 제2강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강관과 상기 제2강관 사이에는 상기 수직보강재와 상기 수평보강재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보강재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강관은 상기 제1고정구가 삽입 가능한 제1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2강관과 상기 수평보강재는 상기 제1고정구가 상기 제1고정홀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
A cylindrical first steel pipe;
A plurality of vertical stiffeners fixed to the first steel pipe and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stiffeners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s and vertical stiffeners disposed adjacent to,
The vertical stiffener,
A rail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both sides, the horizontal stiffener is coupled, and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stiffener;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fasteners provided on the rail and fixing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horizontal stiffener,
A second steel pipe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coupled to the vertical stiffener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further comprising,
The vertical stiffener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ar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The horizontal stiffener includes a first fastener protruding inward,
The second steel pipe includes a first fixing hole into which the first fixing tool is inserted,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horizontal stiffener are fix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fixing tool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fixing hol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는 상하로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홀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고정구는 핀 형상으로 상기 가이드홀로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rail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holes arranged vertically,
The guide fixture is a suction file with improved dur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shape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재는 상기 수직보강재와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보강재 사이에 미리 설정된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stiffener is a pile for improved dur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applying a pre-set pre-stress between the vertical stiffeners disposed adjacent to the vertical stiffen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재는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
The method of claim 4,
The horizontal stiffener is a pile for suction with improved dur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tress is applied by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재는 잭스크류(jackscrew)의 구조를 통해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
The method of claim 4,
The horizontal stiffener is a pile for suction with improved dur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prestress is applied through a structure of a jackscrew.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재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보강재에 가해지는 하중 또는 물리적 변형을 측정하는 측정센서; 및
상기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수평보강재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변형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보강재가 부담하는 응력을 산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산출된 수평보강재의 응력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A measurement sensor coupl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and measuring a load or physical deformation appli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load or deformation applied to the horizontal stiffener measured from the measurement sensor and calculating a stress borne by the horizontal stiffener; And
And a display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visually displays the stress of the horizontal stiffener calculated from the control unit through a displa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관의 하단에 구비된 하부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캡은 상기 제2강관과 상기 제1강관의 하단을 폐쇄시키면서 아랫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a lower cap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teel pipe,
The lower cap is a suction pile with improved durability,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downward while closing the lower ends of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first steel pip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내측으로 돌출된 제2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강관은 상기 제2고정구가 삽입 가능한 제2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강관과 상기 수직보강재는 상기 제2고정구가 상기 제2고정홀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석션용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stiffener includes a second fastener protruding inward,
The second steel pipe includes a second fixing hole into which the second fixing tool is inserted,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vertical stiffener are fixed in a state where the second fixing tool is inserted through the second fixing hole.
KR1020180155215A 2018-12-05 2018-12-05 Suction pile reinforced durability KR1021479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215A KR102147914B1 (en) 2018-12-05 2018-12-05 Suction pile reinforced durab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215A KR102147914B1 (en) 2018-12-05 2018-12-05 Suction pile reinforced dur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47A KR20200068347A (en) 2020-06-15
KR102147914B1 true KR102147914B1 (en) 2020-08-25

Family

ID=7108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215A KR102147914B1 (en) 2018-12-05 2018-12-05 Suction pile reinforced durab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914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6079A (en) * 2002-09-25 2004-04-15 Nippon Steel Corp Cylinder structure, its construction method, and cylindrical skelet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554A (en) * 2012-05-09 2013-11-19 김동규 The land-side protection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584856B1 (en) 2013-07-17 2016-01-21 현대건설주식회사 Suction Pile with inner support
KR20150052618A (en) 2013-11-06 2015-05-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Suction Pipe
KR20150107439A (en) * 2014-03-14 2015-09-23 (주)하이탑 PR hole boring method and mach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6079A (en) * 2002-09-25 2004-04-15 Nippon Steel Corp Cylinder structure, its construction method, and cylindrical skelet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347A (en)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m et al. Precast piles for Route 40 bridge in Virginia using concrete filled FRP tubes
Huang et al. Pseudo-static low cycle test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PHC pipe piles with consideration of soil-pile interaction
US8584413B1 (en) Easily connectable anchor and pillblock replacement for an embedded wooden post
Cohagen et al. A precast concrete bridge bent designed to re-center after an earthquake
CN107806116B (en) Method for testing uplift bearing capacity of fiber-reinforced micro uplift pile
KR100352646B1 (en) Method to reinforce the endurance force of structure using tensile beam
Beim et al. Results of dynamic and static load tests on helical piles in the varved clay of Massachusetts
RU2417284C1 (en) Method to reinforce foundation pit boards
Rollins et al. Lateral resistance of piles near vertical MSE abutment walls
KR102147914B1 (en) Suction pile reinforced durability
Dicleli et al. Estimation of length limits for integral bridges built on clay
JP2014227661A (en) A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of joint part of submerged tunnel
Ghiami Azad Fatigue behavior of post-installed shear connectors used to strengthen continuous non-composite steel bridge girders
JP2014051820A (en) Combined steel wall
Rudolph et al. Laterally loaded piles with wings: In situ testing with cyclic loading from varying directions
CN107034781B (en) Reinforced anti-seismic pier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iu et al. Experimental study on seismic behavior of scoured pile-group foundations considering pile uplift
Lee et al. Composite behavior of steel I-girders connected to inverted-T bent cap
Matsukida et al. Dynamic pile monitoring on the Manmade Island in Trans Tokyo Bay Highway
JIABAO Ultimate Strength Behaviour of Steel-Concrete-Steel Sandwich Composite Beams and Shells.
Larose Performance of shear stud clusters for precast concrete bridge deck panels
Anderson et al. Weak axis lateral load testing of a four H pile bent
KR20080107731A (en) Structure strengthening method using the steel pipe with pull-resistance means
Sherafati Expanding the length of jointless bridges by providing rotational capacity over the pile head
Albhaisi Effect of substructure stiffness on the performance of integral abutment bridges under thermal lo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