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307B1 - Front-rear driving mechanism combined robotic colonoscope system and high safety control method using it - Google Patents

Front-rear driving mechanism combined robotic colonoscope system and high safety control method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307B1
KR102146307B1 KR1020190003006A KR20190003006A KR102146307B1 KR 102146307 B1 KR102146307 B1 KR 102146307B1 KR 1020190003006 A KR1020190003006 A KR 1020190003006A KR 20190003006 A KR20190003006 A KR 20190003006A KR 102146307 B1 KR102146307 B1 KR 10214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sk
endoscope robot
unit
driving
trac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2485A (en
Inventor
김병규
이동규
강형석
안태영
이보인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3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307B1/en
Publication of KR20200092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4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3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3Drive units for endoscopic tools inserted through or with the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control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25J13/085Force or torqu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은,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에 삽관 배치되고, 체내에서 조향을 고려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전진 구동력 생성부 및 조향부를 포함하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 내시경 대상자의 체외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삽관 방향 전후진 이동과 삽관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 이동을 제어 가능하도록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과 연결되는 후방 수기 구현 기구 및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은 체내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인식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It relates to an endoscope robot system of an anterior and posterior hybrid drive system, wherein the endoscope robot system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hybrid drive system is a forward traction type including a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and a steering unit so that the endoscope is intubated and disposed in the body of the subject of the endoscope, and enables driving in consideration of steering in the body. Endoscopic robot, a rear manual device disposed outside the body of the endoscope subject and connected to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by a connecting member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the intubation direction and rotation movement around the intubation direction. It includes an implementation mechanism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wherei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cludes a sensor unit that detects an internal state, and the control unit is recognized based on the detected internal body con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damage.

Description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FRONT-REAR DRIVING MECHANISM COMBINED ROBOTIC COLONOSCOPE SYSTEM AND HIGH SAFETY CONTROL METHOD USING IT}Front and rear endoscope robot system and high safety endoscope robot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FRONT-REAR DRIVING MECHANISM COMBINED ROBOTIC COLONOSCOPE SYSTEM AND HIGH SAFETY CONTROL METHOD USING IT}

본원은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main office is a front and rear combined drive It relates to an endoscope robot system (device) and a high safety endoscope robot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내시경은 내장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기구로서 종래의 대장 내시경은 체외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강제 삽관되기 때문에, 시술 시 환자 등 내시경 대상자에게 고통을 야기하고 천공과 같은 의료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행된 연구들에서는 동력원을 동체 내부에 탑재한 내시경 로봇을 개발하였으나 이동 성능에 한계가 있고, 상기 내시경 로봇 내에 진단 또는 치료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기존 내시경 장치를 대체하지 못하는 실정이다.The endoscope is a medical device that allows you to directly see the internal organs or the inside of the body cavity.Because the conventional colonoscopy is forcibly intubated by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it causes pain to patients and other medical accidents such as perforation during the procedure. Can cause. Accordingly, in the preceding studies, an endoscope robot with a power source mounted inside the body was developed, but there is a limitation in movement performance, and it is impossible to install a diagnosis or treatment device in the endoscope robot, so that the existing endoscope device cannot be replaced. .

또한, 기존의 대장 내시경을 이용한 검진 방식은 시술자의 수기 능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안전한 시술을 위하여는 시술자가 삽입 기술을 익히기 위해 과도한 시간과 비용을 투입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lonoscopy-based examination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urgeon has to invest excessive time and cost to learn the implantation technique for a safe procedure due to high dependence on the surgeon's manual ability.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0-1780326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80326.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계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선단에서 로봇이 내시경을 견인하여 환자 등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를 자율 주행하고, 자율 주행이 불가한 난곡부 또는 교착 구간에서는 후단에서 삽관된 내시경을 조종하여 효과적으로 내시경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전후방 복합구동 내시경 로봇 시스템 및 이에 기반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 robot pulls the endoscope from the front end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to autonomously drive the body of an endoscope subject, such as a patient, and the rear end in a bent part or a deadlock section where autonomous driving is not possible. An anterior-posterior complex drive that enables effective endoscopy by manipulating the intubated endoscop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doscope robot system and a method of driving a high safety endoscope robot based thereon.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은,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에 삽관 배치되고, 체내에서 조향을 고려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전진 구동력 생성부 및 조향부를 포함하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 내시경 대상자의 체외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삽관 방향 전후진 이동과 삽관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 이동을 제어 가능하도록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과 연결되는 후방 수기 구현 기구 및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은 체내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인식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ront and rear composite driving type endoscop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posed intubation in the body of a subject of the endoscope, and a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to enable driving in consideration of steering in the body And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cluding a steering unit,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disposed outside the body of the endoscope subject, and the forward traction by a connecting member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the intubation direction and rotational movement around the intubation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nd a rear handwriting implementing mechanism connected to the type endoscope robot, wherei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internal state, and the control unit is the detect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injury to the body recognized based on the internal condi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저위험 상황으로 인식하면,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이 상기 전진 구동력 생성부에 의해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상기 저위험 상황보다 위험도가 상승된 위험도 상승 상황으로 인식하면,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자율 주행에 상기 조향부가 개입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보다 위험도가 상승된 고위험 상황으로 인식하면,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이 상기 후방 수기 구현 기구에 의해 주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when recognizing the risk of internal damage as a low-risk situation, controls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to autonomously travel by the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and sets the risk of injury to the body more than the low-risk situation. When the risk is recognized as a rising risk situation, the steering unit is controlled to intervene in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endoscope robot, and when the risk of internal damage is recognized as a high risk situation with an increased risk than the risk rising situatio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by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저위험 상황으로의 변경 없이 한계 시간 이상 위험도 상승 상황을 유지하면 고위험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recognize that a high risk situation has been reached if the risk status for internal damag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limit time without changing to a low risk situation.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전단 측에 작용되는 압력 또는 힘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 또는 힘이 체내 내벽의 파열 또는 천공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제한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or force applied to a front end sid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pressure or forc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to rupture or perforate the inner wall of the body.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more than the limit value that may cause the injury,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risk of injury to the body has reached a situation of increasing the risk.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ncludes a posi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nd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sensor does not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risk of internal damage This risk can also be perceived as reaching an elevated situ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에서 상기 전방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조향부에 의한 조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steering direction by the steering unit in consideration of an image analysis result of the front image in the risk increase situation.

또한, 상기 체내 내벽을 바라보는 이미지는, 상기 체내 내벽이 식별되는 이미지 또는 저조도 이미지이고, 상기 저조도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체내 내벽에 소정 이하의 거리만큼 근접하거나 적어도 일부 접촉되었을 때 나타나는 조도에 대응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looking at the inner wall of the body is an image or a low light image by which the inner wall of the body is identified, and the low light image corresponds to the illuminance that appears when the image sensor is close to or at least partially contacted the inner wall of th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It may be a corresponding image.

또한, 상기 후방 수기 구현 기구는, 상기 연결 부재와 연계하여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삽관 길이에 대응하는 값을 측정하는 길이 산출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 길이가 소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includes a length calculation sensor that measure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tubation length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a length calculation sensor detected by the length sens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gth has not chang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risk of injury to the body has reached a situation of increasing the risk.

또한, 상기 후방 수기 구현 기구는, 내시경의 풀인(pull-in) 또는 풀백(pull-back)이 모사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 구동부 및 내시경의 트위스팅(twisting)이 모사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를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simulates a cam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onnecting member forward or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pull-in or pull-back of the endoscope is simulated, and the twisting of the endoscope. It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onnection member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캠 구동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유닛, 편심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구비되고, 가압된 상태에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를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배치되는 캠 유닛 및 상기 캠 유닛을 상기 편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캠 구동력 제공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 drive unit is provided to selectively press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 support unit disposed to suppor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an eccentric axis as a center, and in a pressed state It may include a cam unit disposed to move the connecting member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by rotation, and a cam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provided to rotate the cam unit about the eccentric axis.

또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의 일측에 대한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무편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무편심 축에는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삽관 길이를 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유닛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길이 산출용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to rotate about an eccentric shaft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non-eccentric shaft allows the intubation length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to be calculated. A length calcul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unit may be installed.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은,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에서 조향을 고려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전진 구동력 생성부 및 조향부를 포함하고 체내에 삽관 배치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에 포함된 센서부에 의해 체내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인식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igh-safety endoscope robot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the front and rear endoscop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enables driving in consideration of steering in the body of the endoscope subject. The step of detecting the internal condition by the sensor unit included in the forward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cluding the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and the steering unit so as to be intubated into the body, and considering the perceived internal damage risk situation based on the detected internal condition. Thus, it may include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한편,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task, a program for executing a control method for driving a high-safety endoscope robot using a front and rear endoscop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read by a computer recording a program. It may include a recording medium that is present.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과 후방 수기 구현 기구를 구비하고,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대장 내시경 로봇 시스템을 구축하여 내시경 시술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환자 등 내시경 대상자의 안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및 구동 알고리즘을 구비하여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endoscopy procedures by constructing a colonoscopy robot system comprising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nd a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it, and endoscopes such as patients. Safety can be maximized by providing a sensor and driving algorithm that can measure the safety of the subject.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대장 내시경 시술을 위해 시술자가 삽입 기술을 익히는 데 소모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내시경 삽입 시 진정제나 진통제와 같은 전처치없이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화기 질환 진단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대장 내시경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타 부위의 검진을 위한 내시경(위, 소장, 산부인과 또는 이비인후과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save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operator to learn the insertion technique for colonoscopy, and minimize pain without pretreatment such as sedatives or analgesics when the endoscopic is inserted. I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diseases, and can be used not only in colonoscopy, but also in endoscopy for examination of other areas (such as stomach, small intest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or otolaryngology).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의 내부를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의 내부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이다.
도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6a 내지 도 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센서부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에 의한 영상 정보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외형의 일 예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의 외형의 일 예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안전 확보를 위한 내시경 로봇의 구동을 제어 하는 알고리즘 및 시나리오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ndoscope robot system (device) for a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A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viewed from above of a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B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as viewed from one side of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3C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as viewed from the front of a rear handwriting implemen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4 is an operation flow diagram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high safety endoscope robot using a front and rear complex driving endoscop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sideration of a risk of injury to th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A to 6C are diagrams for exemplifying image information by an image sensor included in a sensor unit of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appearance of a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gorithm and a scenario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n endoscope robot for securing high safety by using the front and rear composite driving endoscop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application.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positioned "on", "upper", "upper", "under", "lower", and "lower"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원은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및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high-safety endoscope robot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an endoscope robot system of a front and rear composite drive system and a front and rear composite drive endoscope robot system.

도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ndoscope robot system for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100)은 전방 구동 방식의 내시경 로봇 장치, 후방 수기 구현 기구 장치 및 전방 구동 방식의 내시경 로봇 장치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기계 기구 또는 기계 장치의 집합일 수 있다.The front and rear endoscop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achine including a front-driven endoscope robot device, a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device, and a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traveling of the front-driven endoscope robot device. It may be a set of instruments or mechanical devices.

도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100)은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에 삽관 배치되고, 체내에서 조향을 고려한 주행이 가능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 내시경 대상자의 체외에 배치되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삽관 방향 전후진 이동(pull in, pull back)과 삽관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 이동(twisting)을 제어 가능하도록 연결 부재(10)에 의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과 연결되는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 및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front-rear composite driving type endoscope robo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laced in the body of the endoscope subject,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capable of driving in consideration of steering in the body, The connection member 10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of the endoscope subject to control the pull in, pull back and twisting in the intubation direction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By this, it may include a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120 connected to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nd a control unit 13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예를 들어, 연결 부재(10)는,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 내부에 내시경 시술자의 체내의 목표 지점까지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적재되고,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후단과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 상호 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 부재의 일 예에는 내시경용 와이어, 튜브, 파이프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 10 is loaded so as to have a sufficient length to reach the target point in the body of the endoscope operator inside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20, and the rear end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t refers to a structure that physically connects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20 to each other, and examples of such a connection member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wires, tubes, and pipes for an endoscope.

도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원의 발명자와 동일한 발명자에 의한 선행 등록특허인 한국특허 공개공보 제 10-1840317호에 개시되어 있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840317, which is a prior registered patent by the same inventor as the inventor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은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에서 조향을 고려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전진 구동력 생성부(111) 및 조향부(112) 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2,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111 and a steering unit 112 to enable driving in consideration of steering in the body of the endoscope subject. I ca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진 구동력 생성부(111)는 유연로봇기술 (Soft robotics)를 활용하여 체내 주행 시 내시경 시술자의 체내 내벽의 점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직선 구간, 경사 구간 및 곡면 구간을 자율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111 utilizes soft robotics to ensure that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s straight without damaging the mucous membrane of the inner wall of the endoscope operator's body when driving inside the body. It is possible to make autonomous driving in sections, inclined sections and curved sections.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진 구동력 생성부(111)의 일부는 보호부로 둘러싸일 수 있으며, 이러한 보호부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PTFE), 실리콘 및 폴리우레탄과 같은 수지를 사용하여,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 내벽과의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part of the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111 may be surrounded by a protection unit, and this protection unit is made of a resin such a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silicone, and polyurethane, It can minimize the friction with the inner wall of the body.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조향부(112)는 다리부에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탄성체를 구비하여 체내 이동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ering unit 112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ncludes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having flexibility in the leg portion to improve stability when moving inside the body.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향부(112)는 벨로우즈관으로 형성될 수 있고, 벨로우즈관 내주에는 벨로우즈관의 접힘을 통해 그 굴곡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조향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복수의 조향 와이어 중 일부의 조향 와이어를 당겨 벨로우즈 관의 특정 방향만을 접히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술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eering unit 112 may be formed as a bellows tube, and a plurality of steering wires capable of controlling the bending of the bellows tube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ellows tube.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some of the plurality of steering wires can be pulled to fold only a specific direction of the bellows tube, through which the operator wants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ement direction of (110).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전단에는 생검 동작 또는 용종 제거 동작이 가능한 처치구를 탑재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space for mounting a treatment tool capable of a biopsy operation or a polyp removal operation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또한, 도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은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113)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sensor unit 113 that detects an internal state of the subject of the endoscop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센서부(113)가 감지한 상기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인식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30 is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sideration of a risk of injury to the body recognized based on the internal condi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3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The driving of 110 can be controll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센서부(113)가 감지한 상기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인식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저위험 상황으로 인식하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전진 구동력 생성부(111)에 의해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상기 저위험 상황보다 위험도가 상승된 위험도 상승 상황으로 인식하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자율 주행에 조향부(112)가 개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보다 위험도가 상승된 고위험 상황으로 인식하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에 의해 주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controller 130 recognizes a risk of injury to the body recognized based on the internal stat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3 as a low-risk situatio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t is possible to control autonomous driving by the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111, and when the risk of internal damage is recognized as a risk of increased risk than the low-risk situatio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s autonomously driven. The steering unit 112 can be controlled to be intervened in the body, and when the risk of internal damage is recognized as a high-risk situation in which the risk is higher than that of the risk-rising situatio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can control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20 ) Can be controlled to ru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은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내시경 대상 기관(대장 등)의 직경이 좁은 영역 또는 대상 기관이 꼬여 있는 영역 등을 통과하는 중에 있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자율 주행만으로는 해당 구간의 통과가 어려운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risk increase situation is that the forward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s passing through an area with a narrow diameter of an endoscopic target organ (such as a large intestine) or an area where the target organ is twisted. Only autonomous driving of the endoscope robot 110 may mean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pass the corresponding sec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저위험 상황으로의 변경 없이 한계 시간 이상 위험도 상승 상황을 유지하면 고위험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30 may recognize that the high risk situation has been reached if the risk of internal damage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limit time without changing to a low risk situation.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 및 상기 고위험 상황에 돌입한 후에도 조향부(112) 또는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의 개입으로 인해 센서부(113)가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 및 상기 고위험 상황을 통과하여 재차 상기 저위험 상황으로 돌아온 것으로 인식할 경우, 제어부(130)는 조향부(112) 또는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전진 구동력 생성부(111)에 의한 자율 주행을 재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even after entering the risk rising situation and the high risk situation,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steering unit 112 or the rear manual device 120, the sensor unit 113 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high-risk situation has passed and returned to the low-risk situation again, the control unit 130 stops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unit 112 or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20, and the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111 It can be controlled to restart autonomous driving.

이처럼 본원에 의하면, 기계 메커니즘을 이용한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 이동, 진단 및 치료용 내시경 로봇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단에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내시경을 견인하여 자율 주행하고,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상기 자율 주행이 불가능한 체내 난곡부 또는 결착 구간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센서부(113)가 감지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의해 제어부(130)가 조향부(112)를 가동시키거나 체외에 위치한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을 가동시켜 체외에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삽관 동작을 제어하여 효과적인 내시경 시술을 가능케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n endoscopic robot system for movement,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 endoscopic subject using a mechanical mechanism may be provided. For example, whe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pulls the endoscope to drive autonomously at the tip, and whe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passes through the internal bulge or binding section where autonomous driving is impossible, this sensor The unit 113 detects it and the control unit 130 operates the steering unit 112 by the detection signal, or operates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20 located outside the body, so that the front traction endoscope robot 110 Effective endoscopy can be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intubation operation.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센서부(113)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전단 측에 작용되는 압력 또는 힘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nsor unit 113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a pressure or force appli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 또는 힘이 체내 내벽의 파열 또는 천공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제한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f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at the pressure or forc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limit value that may cause rupture or perfora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body, the risk of damage to the body is a risk increase situation. Can be recognized as reaching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압력센서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전단 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에서 복수개의 압력 센서 각각의 감지 결과를 고려하여 조향부(112)에 의한 조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압력 센서의 탐지 결과, 특정 영역에 위치한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 또는 힘의 측정값이 타 영역에 위치한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 또는 힘의 측정값보다 낮게 측정된 경우, 상기 낮은 측정값을 도출해낸 압력 센서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조향되도록 조향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controller 130 The steering direction by the steering unit 112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ection result of each sensor.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a result of detection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ors, a pressure or a measured value of force detected by a pressure sensor located in a specific area is a pressure detected by a pressure sensor located in another area or When the force is measured lower than the measured value, the steering unit 112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s stee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essure sensor derived from the low measured value is located.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센서부(113)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nsor unit 113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may include a position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nd the control unit 1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has not chang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risk of injury to the body has reached a situation of increasing the risk.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센서의 일예로, 광섬유 기반의 위치 및 꼬임 측정 센서(FBG 센서, Fiber Bragg Grating sensor)를 들 수 있다. 상기 FBG 센서는 광섬유에 광섬유 브래그 격자를 일정한 길이에 따라 새긴 후, 온도 변화나 압력(strain) 등의 외부의 조건이 변화함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파장이 달라지는 특성을 이용한 센서로, 센서부(113)는 상기 FBG 센서에 기반한 위치 센서에 의해 빛의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에 가해지는 압력(strain)을 인식하거나,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체내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an example of the position sensor, an optical fiber-based position and twist measurement sensor (FBG sensor, Fiber Bragg Grating sensor) may be mentioned. The FBG sensor is a sensor using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wavelength of reflected light changes according to changes in extern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change or pressure after engraving an optical fiber Bragg grating on an optical fiber according to a certain length, and the sensor unit 113 ) Is to measure the wavelength change of light by the position sensor based on the FBG sensor, to recognize the pressure (strain) applied to the front traction endoscope robot 110, or the body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ront traction endoscope robot 110 Can grasp.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센서부(113)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전방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전방 이미지가 체내 내벽을 바라보는 이미지를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nsor unit 113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provided to acquire a front imag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nd the control unit 130 ),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maintains the image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t may be recognized that the risk of damage to the body has reached a situation of increasing the risk.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내 내벽을 바라보는 이미지는, 상기 체내 내벽이 식별되는 이미지 또는 저조도 이미지일 수 있고, 상기 저조도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체내 내벽에 소정 이하의 거리만큼 근접하거나 적어도 일부 접촉되었을 때 나타나는 조도에 대응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image looking at the inner wall of the body may be an image or a low light image by which the inner wall of the body is identified, and the low light image is, the image sensor is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less It may be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lluminance that appears when at least part of the contact is made.

다만, 본원에서 저조도 이미지는 상기 체내 내벽을 바라보는 이미지로서의 저조도 이미지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체내 내벽을 바라보는 상황이 아니라 내강을 제대로 바라보는 상황에서는 내강 중심이 저조도일 수 있으므로 본원에서 저조도 이미지는 저조도인 내강 중심을 포함하는 이미지 또한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체내 내벽을 바라보는 이미지로서의 저조도 이미지에는 저조도인 내강 중심을 포함하는 이미지로서의 저조도 이미지는 포함되지 않는다. 즉, 제어부는 내강 중심을 포함하는 것으로 식별되는 이미지는 상기 체내 내벽을 바라보는 이미지로서의 저조도 이미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고,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체내 내벽에 너무 근접하거나 밀착된 상태에서 촬영(획득)되는 저조도 이미지가 상기 체내 내벽을 바라보는 이미지로서의 저조도 이미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low-light image is not limited to the low-light image as an image looking at the inner wall of the body. Fo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s not looking at the inner wall of the body but properly looking at the lumen, the center of the lumen may be low light, so the low light image herein also refers to an image including the center of the lumen, which is low light. can do. In other words, the low-light image as an image looking at the inner wall of the body does not include a low-light image as an image including the center of the lumen, which is low light. That is,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the image identified as including the center of the lumen does not correspond to a low-light image as an image looking at the inner wall of the body, and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s too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Alternatively, it may be determined that a low-light image photographed (acquired) in a close contact corresponds to a low-light image as an image looking at the inner wall of the body.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에서 상기 전방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조향부(112)에 의한 조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 이미지 상 내벽이 일측에 부분적으로 나타난 경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으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조향되도록 조향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a steering direction by the steering unit 112 in consideration of an image analysis result of the front image in the risk increase situation.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s a result of image analysis on the front image, when the inner wall partially appears on one side of the image, the steering unit is to steer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112) can be controlled.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 이미지 상 조도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전방 이미지의 밝기가 밝아지는 것은 타측 방향이 내벽이 아닌 올바른 체내 주행 방향을 지시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타측으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조향되도록 조향부(112)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n image analysis result of the front image shows that the image image illuminance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brightness of the front image increases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Since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instructing the correct intra-body driving direction, the steering unit 112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s steered to the other side.

도3a내지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후방 수기 구현 기구의 내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3A to 3C are conceptual diagrams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of the interior of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in order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3a 내지 3c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는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소화기내과 전문의의 내시경 삽관술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 내시경의 풀인(pull-in) 또는 풀백(pull-back)이 모사되도록 연결 부재(10)를 길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 구동부(121) 및 내시경의 트위스팅(twisting) 이 모사되도록 연결 부재(10)를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3A to 3C, the posterior manual devic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endoscopic intubation of a gastroenterologist using a mechanical device, and a pull-in of an endoscope Alternatively, the cam driving unit 121 for moving the connecting member 10 forward or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pull-back is simulated and the connecting member 10 are cente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wisting of the endoscope is simulated. It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122 to rotat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는 연결 부재(10)와 연계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삽관 길이에 대응하는 값을 측정하는 길이 산출용 센서(123)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길이 산출용 센서(123)에 의해 감지된 길이가 소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20 is a length calculation sensor 123 that measure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tubation length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member 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gth detected by the length calculation sensor 123 does not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control unit 130 may recognize that the risk of damage to the body has reached a risk increase situation. have.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길이 산출용 센서의 일예로, 엔코더(encoder) 또는 타코미터(tachometer)를 들 수 있다. 상기 엔코더는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 각속도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엔코더는 회전을 검출하는 수단에 따라 광학식 엔코더와 자기식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코미터는 회전하는 물체에 레이저를 발사하고, 회전하는 물체에서 반사된 레이저를 측정한 후 이를 기초로 회전하는 물체의 회전 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축회전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 기기에 활용되어 사용자가 해당 장치의 회전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an example of the sensor for calculating the length, an encoder or a tachometer may be used. The encoder may be a device for detecting a rotational angular velocity and a position of a rotating object. The encoder may include an optical encoder and a magnetic encoder according to a means for detecting rotation. The tachometer emits a laser at a rotating object, measures the laser reflected from the rotating object, and calculate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ng object based on this.It is used in a device where axis rotation is important to the user.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evice.

도3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의 내부를 위에서 내려다 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3A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viewed from above of a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3a를 참조하면,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의 캠 구동부(121)는 연결 부재(10)의 외주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유닛(21), 편심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연결 부재(10)의 외주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구비되고, 가압된 상태에서의 회전에 의해 연결 부재(10)를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배치되는 캠 유닛(22) 및 캠 유닛(22)을 상기 편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캠 구동력 제공 유닛(23)을 포함할 수 있다.3A, the cam driving unit 121 of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 120 is a support unit 21 disposed to support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rotation about an eccentric axis. The cam unit 22 and the cam unit (10) are provided to selectively press the oth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10), and are arranged to move the connecting member 10 forward or backwar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by rotation in the pressed state. It may include a cam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3 provided to rotate 22) about the eccentric shaft.

예를 들어, 캠 구동력 제공 유닛(23)은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캠 유닛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또는 전동기의 일 형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3 may be a mo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type of a generator or electric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in the cam unit.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캠 구동력 제공 유닛(23)이 캠 유닛(22)을 제 1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 부재(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진되어 내시경의 풀인이 모사될 수 있고, 캠 구동력 제공 유닛(23)이 캠 유닛(22)을 제1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제2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연결 부재(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후진되어 내시경의 풀백이 모사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 방향은 도3a상에서 캠 유닛(22) 외곽의 화살표가 지시하는 회전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제 2회전 방향은 상기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의 회전을 지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cam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3 rotates the cam unit 22 in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connection member 10 is advanc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pull-in of the endoscope can be simulated. , When the cam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3 rotates the cam unit 22 in a second rotation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the connection member 10 moves backward along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pullback of the endoscope can be simulated. . The first rotation direction may mean a rotation direction indicated by an arrow outside the cam unit 22 in FIG. 3A, and the second rotation direction may indicate rota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유닛(21)은 연결 부재(10)의 외주의 일측에 대한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무편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무편심 축에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삽관 길이를 산출할 수 있도록 지지 유닛(21)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길이 산출용 센서(123)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upport unit 21 may be provided to rotate about an eccentric axis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0, and the non-eccentric axis may be forward traction A length calculation sensor 123 for measuring a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unit 21 may be installed to calculate the intubation length of the type endoscope robot 110.

달리 말해, 길이 산출용 센서(123)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주행에 따른 캠 구동부(121)의 회전 시 캠 구동부와 함께 회전하는 지지유닛(21)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여, 이를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주행에 따라 연결 부재(10)가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으로부터 이동하는 변위 정보로 환산하여 제어부(130)에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정상적인 자율 주행 시 캠 구동에 따른 삽관 길이와 상기 변위 정보와의 오차를 기반으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체내 상태를 평가할 수 있고, 상기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length calculation sensor 123 measures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unit 21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cam driving unit when the cam driving unit 121 rotat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the connection member 10 can be converted into displacement information that moves from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 120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30 is a normal autonomous driving Based on the error between the intubation length and the displac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ime cam driv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can be evaluated, and the internal damage risk situation can be recognized based on the internal state.

도3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의 내부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3B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as viewed from one side of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3b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는 회전구동부(122) 및 회전 구동력 제공 유닛(2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B,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rotation driving unit 122 and a rotation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4.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구동부(122)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트위스팅(twisting)이 모사되도록 연결 부재(10)를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구동력 제공 유닛(24)은 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구동부(122)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기 또는 전동기의 일 형태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otation driving unit 122 may rotate the connection member 10 about the length direction so that the twist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s simulated. For example, the rotation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4 may be a mo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type of a generator or an electric motor that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in the rotation driving unit 122.

도3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의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3C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as viewed from the front inside of a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3c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는 회전 구동력 제공 유닛(24)의 회전을 통해 연결 부재(10)를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트위스팅(twisting)을 모사할 수 있고, 캠 구동력 제공유닛(23)의 회전을 통해 캠 유닛(22) 및 지지유닛(21)이 회전하면서 연결 부재(10)을 길이방향으로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3C,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rotates the connection member 10 about the length direction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4, thereby making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The twisting of (110) can be simulated, and the connection member (10) is advan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the cam unit (22) and the support unit (21) rotat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cam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3). It can be moved or moved backward.

도 3a 및 도 3c를 함께 참조하면, 지지유닛(21)이 연결부재(10)의 외주의 일측을 지탱한 상태에서 캠 유닛(22)이 편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면, 캠 유닛(22)의 장 반경 측이 연결부재(10)를 소정 이상 가압하면서 회전될 때마다 연결부재(10)가 캠 유닛(22)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 측으로 마찰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지지유닛(21)은 무편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서, 연결부재(10)이 이동될 때 연결부재(10)의 외주 일측에 대한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3A and 3C together, when the cam unit 22 is driven to rotate around an eccentric axis while the support unit 21 supports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0, the cam unit 22 Whenever the long radius side is rotated while pressing the connecting member 10 by a predetermined or more, the connecting member 10 may be frictionally moved in a direction coincident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am unit 22. At this time, the support unit 21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bout an eccentric shaft, so that when the connecting member 10 is moved, it can be rotated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10.

도 3b 및 도 3c를 함께 참조하면, 회전 구동력 제공 유닛(24)과 회전구동부(122)는 기어결합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회전 구동력 제공 유닛(24)이 회전 구동되면 회전 구동력 제공 유닛(24)의 구동축에 장착된 기어도 함께 회전되고, 이러한 회전 구동력 제공 유닛(24)의 기어와 맞물린 회전구동부(122)의 기어가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음으로써 연결 부재(10)가 길이 방향(도 3a 기준 x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트위스팅이 모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B and 3C together, the rotation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4 and the rotation driving unit 12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gear coupling. That is, when the rotation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4 is rotationally driven, the gear mounted on the drive shaft of the rotation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4 is also rotated, and the gear of the rotation driving unit 122 meshed with the gear of the rotation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4 By receiving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twisting may be simulated while the connection member 10 rotates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x direction based on FIG. 3A ).

이처럼 본원에 의하면, 내시경 대상자의 체외에 배치된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를 통해 체내에 주행 중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난곡부 또는 결착 구간에서 정상적으로 주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의 개입을 통해 내시경 대상자에게 가해질 수 있는 충격과 체내 손상을 최소화 하고, 내시경 시술 시 시술자(의사)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진단 및 치료를 가능케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running in the body through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20 disposed outside the body of the endoscope subject cannot normally travel in the bent portion or the binding section,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Through the intervention of (120), effective diagnosis and treatment can be made possible by minimizing the impact and internal damage that may be inflicted on the subject of endoscopy and minimizing the intervention of the operator (doctor) during the endoscopic procedure.

도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이다.FIG. 4 is an operation flow diagram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high safety endoscope robot using a front and rear complex driving endoscop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4에 도시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된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4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high safety endoscope robot driving control method shown in FIG. 4 may be performed by the front-rear hybrid endoscope robot system 10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endoscope robot system 100 may be equally applied to FIG. 4.

도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을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에 삽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S410, the forward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may be intubated into the body of the subject of the endoscope.

다음으로, 단계 S420에서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센서부(113)에 의해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부(113)는 압력 센서, 위치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내 상태는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에 구비된 길이 산출용 센서(12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Next, in step S420, the internal state of the endoscope subject may b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3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ensor unit 11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 position sensor, and an image sensor.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internal state may be detected by a sensor 123 for calculating a length provided in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 120.

다음으로, 단계 S430에서는, 감지된 상기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은 저위험 상황, 상기 저위험 상황보다 위험도가 상승된 위험도 상승 상황 또는 상기 위험된 상승 상황보다 위험도가 상승된 고위험 상황으로 분류될 수 있다. Next, in step S43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risk of damage to the body based on the detected body con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risk of injury to the body may be classified as a low-risk situation, a high-risk situation in which the risk is higher than the low-risk situation, or a high-risk situation in which the risk is higher than the risked rising situation.

다음으로, 단계 S440에서, 제어부(130)는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전진 구동력 생성부(111)에 의해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거나 조향부(112)가 개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후방 수기 구현 장치(120)에 의해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주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Next, in step S440, the controller 13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internal da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30 may control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to autonomously travel by the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111 or control the steering unit 112 to intervene. 130 may control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to travel by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device 12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4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410 to S44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may be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도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5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sideration of a risk of injury to th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5에 도시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된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5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injury to the body shown in FIG. 5 may be performed by the front-rear hybrid endoscope robot system 10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contents described for the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endoscope robot system 100 may be equally applied to FIG. 5.

도5를 참조하면, 단계 S510에서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센서부(113)에 의해 체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S510, the internal state of the body may b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3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다음으로, 단계 S520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저위험 상황으로 파악되는지 평가할 수 있다.Next, in step S520, the controller 130 may evaluate whether the risk of injury to the body is recognized as a low risk situation.

전술한 제어부(130)의 평가 결과,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저위험 상황으로 파악된 경우, 단계 S530에서, 제어부(130)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전진 구동력 생성부(111)에 의해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130, the risk of damage to the body is identified as a low-risk situation, in step S530, the control unit 130 transmits the forward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to the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111 It can be controlled to drive autonomously.

반대로, 제어부(130)의 평과 결과,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저위험 상황보다 위험도가 상승된 위험도 상승 상황으로 인식된 경우, 단계 S540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이 기 설정된 한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Conversely,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internal damage risk situation is recognized as a risk increase situation in which the risk is higher than the low risk situation, in step S540, the control unit 130 determines the risk increase situation as a preset limit time. It can be judged whether the abnormality is maintained.

전술한 제어부(130)의 판단 결과,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이 기 설정된 한계 시간 이상 유지되지 않은 경우, 단계 S550에서, 제어부(130)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자율 주행에 조향부(112)가 개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130, when the risk increase situation is not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set limit time, in step S550,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112) can be controlled to intervene.

반대로, 제어부(130)의 판단 결과,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이 기 설정된 한계 시간 이상 유지되는 경우, 단계 S560에서, 제어부(130)는,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위험 상황으로 인식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이 후방 수기 구현 기구(120)에 의해 주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Conversely,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unit 130, when the risk increase situation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preset limit time, in step S560, the control unit 130 recognizes the internal damage risk situation as a high risk situation, and the front traction endoscope The robot 11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by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120.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6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steps S510 to S56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may be combined into fewer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some steps may be omitted as necessary, and the order between steps may be changed.

도6a 내지 도 6c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센서부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에 의한 영상 정보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6A to 6C are diagrams for exemplifying image information by an image sensor included in a sensor unit of a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주행 루트를 예측하거나 안내할 수 있고, 팽기추벽(대장 내벽의 주름)의 형상 또는 조도를 바탕으로 정상 주행 여부와 올바른 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6A to 6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using the image information from the image sensor, it is possible to predict or guide the driving rout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nd Based on the shape or roughness of the inner wall (wrinkle),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ther or not to run normally and the correct travel path.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외형의 일 예를 도시한 입체도이다.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은 내시경 대상자 체내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내 환경에 적합하도록 유연 로봇 기술에 기반한 조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선단에는 진단 또는 치료 목적의 처치구(Working channel)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flexibility to ensure the safety of the endoscope subject, and is based on a flexible robot technology to suit the internal environment. It may include a steering module. In addition, a working channel for diagnosis or treatment may be provided at the tip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기구의 외형의 일 예를 도시한 입체도이다.8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xternal appearance of a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수기 구현 장치(120)는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을 구동하기 위한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능동형 조향 모듈 제어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향 모듈 제어 장치는 높은 자유도를 갖도록 최적의 구동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설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apparatus 120 for implementing rear handwr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driving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nd may include an active steering module control device. . In addition, the steering module control device can be designed by installing an optimal driving module to have a high degree of freedom.

도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안전 확보를 위한 내시경 로봇의 구동을 제어 하는 알고리즘 및 시나리오를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lgorithm and a scenario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an endoscope robot for securing high safety by using the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endoscop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9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시스템(100)은,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구동과 함께 압력 센서, 위치 센서 또는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획득되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에 가해지는 힘 정보, 상기 내시경 로봇의 위치 정보 또는 이미지 센서에 의한 영상 정보 등을 수집하여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110)의 체내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고, 상기 수집된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안전도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9, the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type endoscop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obtained by at least one of a pressure sensor, a position sensor, or an image sensor while driving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By collecting force information applied to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ndoscope robot, or image information by an image sensor, the internal stat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110 can be analyzed in real time. ,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afety assessment based on the collected body condition.

또한, 상기 안전도 평가의 결과에 따라,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시스템(100)은 전방 견인형 로봇(110)이 자율 주행하는 저위험 상황, 전방 견인형 로봇(110)의 자율 주행에 조향부(112)가 개입하는 위험도 상승 상황 또는 후방 수기 구현 장치(120)가 개입하여 풀인(pull in), 풀백(pull back) 또는 트위스팅 (twisting)의 수기 동작을 모사하는 고위험 상황으로 나뉘어 동작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상황에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시스템(100)이 동작하는 경우를 각각 Mode 1, Mode 2 및 Mode 3으로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afety evaluation, the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endoscope system 100 is a low-risk situation in which the front towed robot 110 is autonomously traveling, and the steering unit ( 112) is intervened or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device 120 intervenes and is divided into a high-risk situation that simulates the handwriting of pull-in, pull-back, or twisting. , The case where the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type endoscope system 100 operates in the plurality of situations may be referred to as Mode 1, Mode 2, and Mode 3, respectively.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high-safety endoscope robot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the front and rear endoscope robo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or application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 ca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 hardware devic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above-described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igh safety endoscope robot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front and rear endoscope robot system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 전후방 복합 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110: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
120: 후방 수기 구현 기구
130: 제어부
10: 연결 부재
111: 전진 구동력 생성부
112: 조향부
113: 센서부
121: 캠 구동부
122: 회전 구동부
123: 길이 산출용 센서
21: 지지유닛
22: 캠 유닛
23: 캠 구동력 제공 유닛
24: 회전 구동력 제공 유닛
100: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endoscope robot system
110: front towed endoscope robot
120: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130: control unit
10: connection member
111: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on unit
112: steering unit
113: sensor unit
121: cam drive unit
122: rotation drive unit
123: sensor for length calculation
21: support unit
22: cam unit
23: cam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24: rotation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Claims (13)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으로서,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에 삽관 배치되고, 체내에서 조향을 고려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전진 구동력 생성부 및 조향부를 포함하는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
내시경 대상자의 체외에 배치되고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삽관 방향 전후진 이동과 삽관 방향을 축으로 한 회전 이동을 제어 가능하도록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과 연결되는 후방 수기 구현 기구; 및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은 체내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상기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인식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하고,
상기 후방 수기 구현 기구는,
내시경의 풀인(pull-in) 또는 풀백(pull-back)이 모사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캠 구동부; 및
내시경의 트위스팅(twisting)이 모사되도록 상기 연결 부재를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As an endoscope robot system with front and rear combined drive method,
A forward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cluding a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and a steering unit so as to be intubated into the body of a subject of the endoscope and allow driving in consideration of steering in the body;
A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device disposed outside the body of the endoscope subject and connected to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by a connecting member to control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n the intub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movement in the intubation direction of the forward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clud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internal state,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sideration of the recognized danger of internal damage based on the detected internal state,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ation mechanism,
A cam driving unit for moving the connecting member forward or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simulate pull-in or pull-back of the endoscope; And
The endoscope robot system comprising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connection member about a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wisting of the endoscope is simul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저위험 상황으로 인식하면,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이 상기 전진 구동력 생성부에 의해 자율 주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상기 저위험 상황보다 위험도가 상승된 위험도 상승 상황으로 인식하면,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자율 주행에 상기 조향부가 개입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보다 위험도가 상승된 고위험 상황으로 인식하면,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이 상기 후방 수기 구현 기구에 의해 주행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risk of injury to the body is recognized as a low-risk situation, the front traction endoscope robot is controlled to run autonomously by the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When the risk of internal damage is recognized as a high-risk situation in which the risk is higher than that of the low-risk situation, the steering unit is controlled to intervene in the autonomous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When the risk of internal damage is recognized as a high-risk situation in which the risk is higher than that of the risk-increased situation,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s controlled to travel by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저위험 상황으로의 변경 없이 한계 시간 이상 위험도 상승 상황을 유지하면 고위험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to recognize that the high-risk situation has been reached when the risk-rising situation is maintained for more than a limit time without changing the risk of internal damage to a low-risk situ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전단 측에 작용되는 압력 또는 힘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압력 또는 힘이 체내 내벽의 파열 또는 천공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제한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includes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pressure or force appli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sure or forc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limit value that may cause rupture or perfora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body, recognizes that the risk of damage to the body has reached a situation of increasing the risk, An endoscope robot system with a front and rear combined drive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위치가 소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includes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does not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recognizes that the internal damage risk situation has reached a risk increase situation, the front-rear hybrid driving type endoscope robot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전방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비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된 전방 이미지가 체내 내벽을 바라보는 이미지를 소정 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or unit includes an image sensor provided to acquire a front image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ront image acquired by the image sensor maintains the image facing the inner wall of the bod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at the risk of damage to the body has reached a situation of increasing the risk. Driven endoscope robot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험도 상승 상황에서 상기 전방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조향부에 의한 조향 방향을 결정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to determine a steering direction by the steering unit in consideration of an image analysis result of the front image in the risk increase situation, a front-rear hybrid endoscope robot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수기 구현 기구는, 상기 연결 부재와 연계하여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삽관 길이에 대응하는 값을 측정하는 길이 산출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센서에 의해 감지된 길이가 소정 시간 이상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이 위험도 상승 상황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rear handwriting implement mechanism includes a length calculation sensor for measuring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tubation length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member,
The control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ngth sensed by the length sensor does not ch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recognizes that the internal damage risk situation has reached a risk increase situation, the front and rear combined driving type endoscope robot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지지 유닛;
편심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구비되고, 가압된 상태에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 부재를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배치되는 캠 유닛; 및
상기 캠 유닛을 상기 편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캠 구동력 제공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am driving unit,
A support unit disposed to support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ng member;
A cam unit provided to selectively press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rotation about an eccentric shaft, and arranged to move the connecting member forward or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by rotation in the pressed state; And
It will include a cam driving force providing unit provided to rotate the cam unit about the eccentric axis, the front and rear composite driving type endoscope robot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의 일측에 대한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무편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무편심 축에는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삽관 길이를 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유닛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길이 산출용 센서가 설치되는 것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upport unit is provided to rotate around an eccentric axis while maintaining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non-eccentric shaft is provided with a length calculation sensor for measur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unit so as to calculate the intubation length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제1항에 따른 전후방 복합구동 방식 내시경 로봇 시스템을 이용한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으로서,
(a) 내시경 대상자의 체내에서 조향을 고려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전진 구동력 생성부 및 조향부를 포함하고 체내에 삽관 배치된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에 포함된 센서부에 의해 체내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b) 감지된 상기 체내 상태를 기반으로 인식된 체내 손상 위험 상황을 고려하여 상기 전방 견인형 내시경 로봇의 주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안전 내시경 로봇 구동 제어 방법.
A high safety endoscope robot driving control method using the front and rear composite driving endoscope robot system according to claim 1,
(a) detecting the internal state of the body by a sensor unit included in a forward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cluding a forward driving force generating unit and a steering unit to enable driving in consideration of steering in the body of an endoscope subject; And
(b)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front traction type endoscope robot in consideration of the recognized danger of injury to the body based on the detected internal state.
제12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2 on a computer.
KR1020190003006A 2019-01-09 2019-01-09 Front-rear driving mechanism combined robotic colonoscope system and high safety control method using it KR102146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006A KR102146307B1 (en) 2019-01-09 2019-01-09 Front-rear driving mechanism combined robotic colonoscope system and high safety control method us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006A KR102146307B1 (en) 2019-01-09 2019-01-09 Front-rear driving mechanism combined robotic colonoscope system and high safety control method us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485A KR20200092485A (en) 2020-08-04
KR102146307B1 true KR102146307B1 (en) 2020-08-20

Family

ID=72048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006A KR102146307B1 (en) 2019-01-09 2019-01-09 Front-rear driving mechanism combined robotic colonoscope system and high safety control method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3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7763B (en) * 2021-07-30 2023-12-01 厦门大学 Risk quantization evaluation model buil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293A (en) * 2002-12-20 2004-06-26 김대은 The Method and Device of Position Movement Control of Microcapsule-type Endoscope by Diameter Expansion Mechanism
KR102223768B1 (en) * 2014-03-27 2021-03-0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Endoscop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485A (en) 202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96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input mapping
AU2018250049B2 (en) Patient introducer alignment
JP6847803B2 (en) Maneuverable flexible needle with embedded shape sensing
US11096563B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shape of a bendable instrument
CN107280671B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components in minimally invasive instruments
KR10243598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strument force sensing
EP2124705B1 (en) System for controlling an instrument using shape sensors
KR102115447B1 (en) Endoscope apparatus
US20210369355A1 (en) Robotic endoscope probe having orientation reference markers
US8480568B2 (en) Endoscope apparatus with automatic selection between automated insertion direction search methods
US20150359419A1 (en) Object insertion system
US20080021416A1 (en) Thin tube which can be hyperflexed by light
JP5214187B2 (en) Endoscope, endoscope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endoscope apparatus
EP1432344A2 (en) Steerable segmented endoscope and method of insertion
EP2583616A1 (en) Endoscope
CN104936545A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ventional procedure planning
KR20140033082A (en) Medical system with multiple operating modes for steering a medical instrument through linked body passages
WO2017014308A1 (en) Manipulator and medical system
WO2015118773A1 (en) Insertion device
US20180184884A1 (en) Flexible tube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KR102146307B1 (en) Front-rear driving mechanism combined robotic colonoscope system and high safety control method using it
JP6605127B2 (en) Flexible tube insertion device
US87951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ng within a colon
WO2019171471A1 (en) Flexible tube insertion device, rigidity control device, method of operating rigidity control device, and recording medium in which rigidity control program is recorded
CN112153948A (en) Backend mechanism of catheter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