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81B1 - 경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영상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경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영상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81B1
KR102146081B1 KR1020130104772A KR20130104772A KR102146081B1 KR 102146081 B1 KR102146081 B1 KR 102146081B1 KR 1020130104772 A KR1020130104772 A KR 1020130104772A KR 20130104772 A KR20130104772 A KR 20130104772A KR 102146081 B1 KR102146081 B1 KR 10214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formation
video
boundary information
descri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5576A (ko
Inventor
이주영
김성훈
추현곤
최진수
김진웅
홍석진
강동욱
정경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주)하이디어 솔루션즈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103,436 priority Critical patent/US9860515B2/en
Publication of KR2014007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8Switch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및 3D 영상 간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영상의 경계정보를 생성하는 경계정보 생성부; 및 상기 경계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스트림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영상 수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OFFERED THE BOUNDARY IN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VIDEO}
아래의 설명은 경계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2D 영상 및 3D 영상이 혼재하는 3D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의 영상이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되거나,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기에 전달하여 수신기가 적시에 2D 영상 및 3D 영상으로 스위칭 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계 정보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안식 3D 방송 시스템은 3D 방송서비스 제공을 위해 좌안영상 및 우안영상에 대한 스트림을 동시에 수신기로 전송하며, 좌안영상과 우안영상의 스트림을 수신한 수신기는 3D 렌더링을 통해 시청자에게 입체 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3D 방송의 경우, 수신기는 특정 시간 동안만 3D 방송을 제공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수신기는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2D 방송인지 3D 방송인지에 대한 정보를 대응하여 2D-3D 변환 작업이 적절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종래의 3D 방송시스템은 현재 제공 중인 방송 프로그램의 타입 정보(2D-3D) 를 제공하기 위해 PMT, VCT, SI 등 트랜스포트 레벨의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한다. 이 때, 3D 방송시스템은 시그널링 채널을 이용하여 타입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삽입하고, 타입 정보가 삽입된 디스크립터를 수신기에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은 시그널링 정의가 용의하고 기타 프로그램 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으므로 주로 프로그램 정보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디스크립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시간 간격을 두고, 수신기에 전송되므로, 정확한 레벨의 경계정보를 전달하지 못한다. 이러한 방법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레임 헤더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프레임 헤더를 이용하는 방식은 비디오 레벨의 프레임 헤더에 해당 프레임의 타입 정보(2D-3D)를 삽입하여 정확한 프레임 단위의 경계정보를 전달한다.
하지만, 방송에서 송출 중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주로 PMT, VCT, SI 등의 시그널링 채널이 사용되기 때문에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3D 여부에 대한 정보도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디스크립터로 형태로 제공된다. 반면, 비디오 프레임 헤더의 정보는 선택적인 활용이 가능하며, 비디오 프레임 헤더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2D-3D 프로그램 경계에서 두 정보가 상충되지 않도록 처리해야한다.
특히나, 서로 다른 2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두 방송망을 3D방송의 좌우 영상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한다면, 수신기는 완전히 상이한 두개의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합성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D 영상 및 3D 영상이 혼재하는 3D 프로그램에 있어서,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되거나,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대한 경계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수신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영상 수신 장치가 수신한 경계정보에 기초하여 적시에 3D 방송을 2D 영상 및 3D 영상으로 스위칭할 수 있는 경계 정보 제공 장치 및 영상 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3D 방송 프로그램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및 3D 영상 간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영상의 경계정보를 생성하는 경계정보 생성부; 및 상기 경계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스트림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는 경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림에 포함된 경계정보를 추출하는 경계정보 추출부; 및 상기 경계정보에 기초하여 3D 영상과 2D 영상 간에서 영상을 전환하는 영상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정보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방법은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및 3D 영상 간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영상의 경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방법은 경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림에 포함된 경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정보에 기초하여 3D 영상과 2D 영상 간에서 영상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정보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2D 영상 및 3D 영상이 혼재하는 3D 방송에 있어서,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되거나,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전환되는 시점에 대한 경계정보를 생성하여, 영상 수신 장치에 전달함으로써, 영상 수신 장치가 수신한 경계정보에 기초하여 적시에 3D 방송을 2D 영상 및 3D 영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 정보 제공 장치 및 영상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 정보 제공 장치 및 영상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경계 정보 제공 장치(101)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경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정보(103)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영상 수신 장치(102)로 제공되는 영상이 2D 영상인지, 3D 영상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정보(103)는 2D 영상 및 3D 영상으로 전환하는 방식에 따라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및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일 경우, 경계 정보 제공 장치(101)는 영상 수신 장치로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2D 영상 또는 3D 영상 인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타입 정보는 디스크립터에 필드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는 트랜스포트 레벨을 이용하여 PMT, VCT, SI 등의 디스크립터를 통한 타입 정보를 시그널링 하는 모드 일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일 경우, 경계 정보 제공 장치(101)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프레임이 2D 영상을 위한 정보인지 3D 영상을 위한 정보인지를 나타낼 수 있는 서비스 타입 정보를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디스크립터를 통해 전달되는 디스크립터의 서비스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계 정보 제공 장치(101)는 경계정보(103)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102)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102)는 2D 영상 및 3D 영상이 혼재된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써, 제1 방송망(104) 및 제2 방송망으로부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대한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수신 장치(102)는 수신한 전송 스트림을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2D 영상 또는 3D 영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수신 장치(102)는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수신한 영상의 서비스 타입 정보에 따라 영상을 2D 영상 및 3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영상의 서비스 타입 정보는 영상 수신 장치(102)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2D 영상인지 아님 3D 영상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수신 장치(102)는 경계 정보 제공 장치(101)로부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경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102)는 추출한 경계정보의 전환 모드를 고려하여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상기 영상을 전환하거나,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수신 장치(102)는 영상의 전환 시점을 포함하는 경계정보에 기초하여 2D 영상 또는 3D 영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영상을 적시에 3D 영상 또는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 정보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경계 정보 제공 장치(201)는 경계정보 생성부(202), 스트림 전송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를 고려하여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영상의 경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2D 영상 및 3D 영상을 전환하는 방식에 따라 2D 영상 및 3D 영상에 대한 경계정보 구성 및 처리 방식이 달라지게 때문에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를 고려하여 한다. 이에 따라,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또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또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중 어떤 정보를 이용하느냐에 따라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또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로 전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를 이용함에 따라,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를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이용함에 따라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를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결정된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를 고려하여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또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로 경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로 경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PMT, VCT, SI 등의 디스크립터를 통해 타입 정보가 전송됨으로써 영상이 2D 영상인지 또는 3D 영상인지에 대한 서비스 타입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필드 형태로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영상은 영상 수신 장치로 제공되고 있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2D 영상인지 또는 3D 영상인지에 대한 타입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필드 형태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로 경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PMT, VCT, SI 등의 디스크립터를 통해 타입 정보가 전송되므로 영상이 2D 영상인지 또는 3D 영상인지에 대한 서비스 타입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필드 형태로 삽입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 형태로 특정 프레임이 2D 영상인지 3D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형태로 특정 프레임이 2D 영상으로 서비스되는지, 3D 영상으로 서비스되는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타입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MPEG-2의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와 같은 디스크립터 형태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비디오 프레임이 2D 영상에 위에서 언급한 디스크립터를 사용하는 경우, 디스크립터 내의 arrangement_type 값을 ‘0001000’ (2D video) 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비디오 프레임이 3D 영상에 위에서 언급한 디스크립터를 사용하는 경우,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와 같은 디스크립터를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하지 않거나, 3D 영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arrangement_type을 할당하여 경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의 user_data를 이용하여 자막 정보 내에 프레임의 2D 영상 또는 3D영상 여부를 표현하거나, Picture 내에 Bar data 형태로 프레임의 2D 영상 또는 3D영상 여부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삽입할 수 있다. 일례로,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3D 프로그램을 위한 디스크립터에 'transition_mode'와 같은 필드명을 정의하고, 서로 다른 3D 프로그램의 해석 정보와 함께 필드 형태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transition_mode'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transition_mode'의 값이 '0'인 경우,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로 인식하고, 'transition_mode'의 값이 '1'인 경우,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로 인식하도록,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환모드를 시그널링하는 경우, 영상 수신 장치는 미리 전환모드를 인지함으로써 불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환모드 시그널링을 통해 현재 전송되는 스트림의 전환 모드가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임을 인지할 경우, 영상 수신 장치는 비디오 레벨 헤더를 검색할 필요 없이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 확인 과정만으로 2D-3D 전환 결정을 내릴 수 있다.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대한 정보를 디스크립터에 삽입하는 것은 표1을 참고한다.
Figure 112013079951223-pat00001
그러나, 상기 전환 모드의 시그널링은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전환모드를 시그널링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은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따르는 방법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선택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헤더 모드를 따르는 방법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에 따라 2D-3D 서비스 타입 정보를 전송하고, 선택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헤더 모드에 따라 프레임 레벨의 2D-3D 서비스 타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수신 장치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모드를 따르는 방법을 구현했을 경우, 프레임 레벨의 2D-3D 전환을 지원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만을 지원하는 영상 수신 장치의 경우, 비디오 프레임 헤더의 서비스 타입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더라도,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 정보를 이용하여 2D-3D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스트림 전송부(203)는 전환 모드에 따라 생성된 경계정보를 전송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림 전송부(203)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대응하여 다중화 작업을 통해 경계정보를 전송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림 전송부(203)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따라, 경계정보가 전송 스트림에 삽입되는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스트림 전송부(203)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또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에 따라 경계정보를 서로 다른 시점에서 스트림에 삽입되며, 전환 모드에 기초한 경계 정보 삽입 시점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스트림 전송부(203)는 전송 스트림 내 디스크립터에 경계정보의 구성 및 처리 방식을 나타내는 전환 모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환 모드 정보는 전송 스트림 외에 시그널링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림 전송부(203)는 전환 모드에 따라 생성된 경계정보를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경계 정보 제공 장치(301)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에 따라 경계정보(303)를 전송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기반으로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디스크립터가 전환되는 경우, 경계 정보 제공 장치(301)는 경계정보(303)가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스트림이 전송되는 이후에 전송될 수 있도록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스트림 이후의 시점에 경계 정보(303)를 삽입할 수 있다. 일례로, 현재 영상 수신 장치(302)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영상)이 2D 영상임을 알리는 디스크립터가 3D 영상의 디스크립터로 전환되는 시점은 실제적으로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스트림이 전송되는 이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전송된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에서 실제적으로 3D 영상으로 제공되는 3D 구간 경계를 기준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경계 정보 제공 장치(301)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인 경우, 전송 스트림의 실제 3D 구간의 시작 이후로 2D-3D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에,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기반으로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디스크립터가 전환되는 경우, 경계 정보 제공 장치(301)는 경계정보(303)가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스트림이 끝나기 이전의 시점 내에 경계 정보(303)를 삽입할 수 있다. 일례로, 현재 영상 수신 장치(302)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영상)이 3D 영상임을 알리는 디스크립터가 2D 영상의 디스크립터로 전환되는 시점은 실제적으로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이 끝나기 이전일 수 있다. 일례로, 경계 정보 제공 장치(301)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기반으로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디스크립터가 전환되는 경우, 실제 3D 구간의 끝 이전에 3D-2D로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경계 정보 제공 장치(301)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로 경계정보가 생성된 경우, 3D 영상으로 제공되는 전송 스트림의 구간 내에 상기 경제정보를 전송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D 영상으로 제공되는 전송 스트림의 구간 내에서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한 2D 및 3D 전환 시그널링이 이루어짐으로써, 서로 다른 두 개의 2D 방송망을 이용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수신기가 완전히 상이한 2D 영상을 3D로 합성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 정보 전송 장치는 경계정보 감지부, 방송 경계 시그널링 삽입부, 스트림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정보 감지부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에 의해 3D 영상 구간의 스케쥴링 정보를 입력받거나, 영상 스트림의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3D 영상 구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경계 시그널링 삽입부는 감지된 경계정보에 대응하여 방송 경계 시그널링을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에 따라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방송 경계 시그널링 삽입부는 스트림 전송 시 해당 3D 영상 구간이 시작되고 난 후 2D-to-3D 전환 시그널링을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해 삽입 및 전달할 수 있으며, 해당 3D 영상 구간이 끝나기 이전에 3D-to-2D 전환 시그널링을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해 삽입 및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경계 정보 전송 장치는 감지한 실제 3D 영상 구간의 시작 및 끝과 영상 수신 장치의 2D-to-3D, 3D-to-2D 시점이 최대한 가깝도록 트랜스포트 레벨의 시그널링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경계정보 전송 장치는 완전히 상이한 좌우 2D 영상의 3D 영상 합성을 방지하기 위해, 실제 3D 영상 구간의 시작보다 미리 정해진 특정 시간 이후에 2D-to-3D 시그널링을 삽입/전송하고, 실제 3D 영상 구간의 끝보다 미리 정해진 특정 시간 이전에 3D-to-2D 시그널링을 삽입/전송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한 2D-3D 전환 시점 또는 3D-2D 전환 시점에 대한 시그널링은 디스크립터 내의 타입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3D 영상과 관련된 디스크립터의 존재 유무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일례로, 3D 서비스임을 알리는 미리 정의된 특정 디스크립터가 스트림에 존재할 경우 3D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3D 영상과 관련된 디스크립터가 스트림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2D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스트림 전송부는, 방송 경계 시그널링이 삽입된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302)는 제1방송망(304), 제2방송망(305)을 통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수신하여 수신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기준으로 2D 영상 또는 3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수신 장치(302)는 경계 정보 제공 장치(301)로부터 수신한 경계정보(303)의 서비스 타입 정보를 기준으로 스트림의 출력 방식을 2D 또는 3D로 전환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302)는 경계정보(303)의 타입 정보에 따라 스트림의 출력 방식을 2D 또는 3D로 적시에 전환함으로써,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송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경계 정보 제공 장치(401)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형태로 경계정보(403)를 전송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이용하는 경우, 경계 정보 제공 장치(401)는 실제적인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스트림의 경계에서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되거나,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한 경계정보(403)를 실제 3D 프로그램 구간의 시작 시점보다 미리 삽입하거나, 실제 3D 프로그램 구간의 끝 시점보다 늦게 삽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이용할 경우, 3D 영상의 프로그램임을 알리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는 실제적인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구간이 시작되기 이전에 전송 스트림에 삽입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2D 영상임을 알리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가 전송되는 시점은 실제적인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구간이 끝난 이후일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한 2D-3D 전환 시점 또는 3D-2D 전환 시점에 대한 시그널링은 디스크립터 내의 타입 정보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3D 서비스임을 알리는 미리 정의된 특정 디스크립터의 존재 유무에 따라 전환될 수 있다. 일례로, 3D 서비스임을 알리는 미리 정의된 특정 디스크립터가 스트림에 존재할 경우 3D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3D 서비스임을 알리는 미리 정의된 특정 디스크립터가 스트림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2D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상기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한 시그널링 외에, 추가적으로 프레임 레벨의 정확한 경계정보 전달을 위해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서비스 타입을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일례로, 경계정보 제공 장치(401)는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타입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MPEG-2의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와 같은 디스크립터를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계정보 제공 장치(401)는 비디오 프레임이 2D 영상에 위에서 언급한 디스크립터를 사용하는 경우, 디스크립터 내의 arrangement_type 값을 ‘0001000’ (2D video) 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정보 제공 장치(401)는 비디오 프레임이 3D 영상에 위에서 언급한 디스크립터를 사용하는 경우,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와 같은 디스크립터를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하지 않거나, 3D 영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arrangement_type을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경계정보 생성부(202)는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의 user_data를 이용하여 자막 정보 내에 프레임의 2D 영상 또는 3D영상 여부를 전달하거나, Picture 내에 Bar data 형태로 프레임의 2D 영상 또는 3D영상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와 차이가 존재한다. 자세하게, 비디오 프레임 헤더를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타입 정보는 실제 제공되는 3D 영상의 방송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구간과 일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프레임의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트랜스포트 레벨에서 3D 영상의 디스크립터가 제공되고 있는 구간 내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 정보에 따라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또는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트랜스포트 레벨에서 3D 타입의 디스크립터가 제공되고 있는 구간 내에서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에 비해 비디오 프레임 헤더의 서비스 타입 정보의 우선순위를 높게 하여 유동적으로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영상 수신 장치(402)는 트랜스포트 레벨에서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가 3D 임을 알리는 디스크립터가 전송되는 경우,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아무런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현재 프레임을 3D 영상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반면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명시적으로 2D 영상임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프레임이 2D 영상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3D 영상 내에 2D 광고가 포함되는 경우와 같이 스위칭이 자주 이뤄져야 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영상 수신 장치(402)는 제1방송망(404), 제2방송망(405)을 통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수신하여 수신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기준으로 2D 영상 또는 3D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수신 장치(402)는 경계 정보 제공 장치(401)로부터 수신한 경계정보(403)의 타입 정보를 기준으로 실제 제공되는 3D 영상의 방송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구간이 일치하도록 2D 및 3D 영상 간의 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영상 수신 장치(501)는 경계정보 추출부(502)와 영상 전환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경계정보 추출부(502)는 경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경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경계정보 추출부(502)는 경계정보의 전환 모드에 따라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에 따라 생성된 경계정보 또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에 따라 생성된 경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일례로, 경계정보 추출부(502)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방식에 따라 생성된 경계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트랜스포트 레벨에서 미리 정의된 디스크립터를 역다중화하여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경계정보 추출부(502)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 방식에 따라 생성된 경계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트랜스포트 레벨에서 미리 정의된 디스크립터를 역다중화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경계정보 추출부(502)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에 따라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서 서비스 타입 정보를 추출하여 프레임 레벨의 정확한 2D-3D 경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전환부(503)는 추출한 경계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전환부(503)는 경계 정보에 따라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상기 영상을 전환하거나,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영상을 전환한다는 것은 2D 영상의 프로그램이 끝나고, 3D 영상의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수신 장치(501)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에게 3D 영상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수동 전환의 경우, 영상 수신 장치(501)는 사용자 상호 작용을 위해 팝업 윈도우 또는 다이알로그 메뉴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거나, 알림 메시지, 로고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3D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영상을 전환한다는 것은 3D 영상의 프로그램이 끝나고, 2D 영상의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일반적으로 영상 수신 장치(501)는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2D 영상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이용할 경우, 현재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서비스 타입(2D/3D)를 구분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영상 전환부(503)는 추출한 경계정보 중 디스크립터의 포함 여부에 따라 영상의 전환과 관련된 서비스 타입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전환부(503)는 3D 서비스임을 알리는 미리 정의된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의 유무에 따라 2D 영상인지 또는 3D 영상인지에 대한 서비스 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전환부(503)는 경계정보의 전환모드가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일 때,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가 포함된 경우, 서비스 타입 정보가 3D 영상인 것으로 파악하고, 경계정보에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2D 영상에 대한 타입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전환부(503)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사용할 경우,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에서 추출한 서비스 타입 정보에 따라 영상 출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D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영상 전환부(503)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3D 임을 나타내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3D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영상 전환부(503)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2D 임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영상 전환부(503)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정보에 따라 영상 출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전환부(503)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정보보다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정보에 우선하여 2D 영상과 3D 영상 간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전환부(503)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3D 임을 나타내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한 후, 비디오 프레임 헤더의 정보가 2D 에서 3D 로 바뀌는 시점에서 프로그램의 모드를 2D to 3D 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전환부(503)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3D 임을 나타내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 수신 구간 내에서, 비디오 프레임 헤더의 정보가 3D 에서 2D 로 바뀌는 시점에서 프로그램의 모드를 3D to 2D 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전환부(503)는 3D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2D 임을 나타내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장치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601)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경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경계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수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레벨에서 미리 정의된 디스크립터를 역 다중화함으로써 수신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의 서비스 타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단계(601)를 통해 추출한 서비스 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타입 정보는 현재 전송되는 영상이 2D 영상 또는 3D 영상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타입 정보가 2D 영상인 경우, 단계(603)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현재 영상 수신 장치의 영상 출력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수신 장치는 현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2D 영상으로 제공되고 있는지 또는 3D 영상으로 제공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수신 장치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3D 영상인 경우, 다시 단계(601)을 통해 새로운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디스크립터를 추출할 수 있다.
반대로 2D 영상인 경우, 단계(604)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3D 영상의 프로그램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601)을 통해 새로운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디스크립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602)에서 서비스 타입 정보가 3D 영상인 경우, 단계(605)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표1과 같이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해 함께 시그널링된 2D-3D 전환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전환 모드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와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인 경우, 단계(606)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공 모드가 2D 영상 인 경우, 단계(607)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수신 장치는 단계(601)를 통해 새로운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디스크립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공 모드가 3D 영상인 경우, 영상 수신 장치는 단계(601)을 통해 새로운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디스크립터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인 경우, 단계(608)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서 서비스 타입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609)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추출한 영상 프레임의 서비스 타입 정보가 2D 영상인지 3D 영상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2D 영상인 경우, 단계(610)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영상 수신 장치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610)에서 확인한 현재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 모드가 3D인 경우, 단계(611)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614)를 통해 영상 수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하였을 경우 단계(601)을 수행하며,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 단계(608)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610)에서 확인한 현재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 모드가 2D 영상인 경우, 단계(614)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하였을 경우 단계(601)을 수행하며,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 단계(608)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609)에서의 서비스 타입 정보가 3D 영상인 경우, 단계(612)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612)를 통해 확인한 현재 제공 모드가 2D 영상인 경우 단계(613)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현재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수신 장치는 단계(614)를 통해 영상 수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하였을 경우 단계(601)을 수행하며,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 단계(608)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612)를 통해 확인한 현재 제공 모드가 3D 영상인 경우 단계(614)를 통해 영상 수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하였을 경우 단계(601)을 수행하며,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 단계(608)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경계 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701)에서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시점을 확인할 수 있는 경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또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이용하여 경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로 경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영상이 2D 영상인지 또는 3D 영상인지에 대한 타입 정보를 트랜스 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에 필드 형태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로 경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2D 영상인지 또는 3D 영상인지에 대한 서비스 타입 정보를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에 필드 형태로 삽입하고, 전송되는 각 프레임이 2D 영상용인지 3D 영상용인지에 대한 서비스 타입 정보를 해당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702)에서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단계(701)에 따라 생성된 경계정보를 전송 스트림에 삽입하고, 해당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2D-3D 전환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시점으로 경계 정보를 전송 스트림에 삽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가 이용될 경우,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될 때,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3D 영상구간의 시작 이후에 경계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스트림 전송 이후의 시점에 경계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가 이용될 경우,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전환될 때,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3D 영상 구간의 끝 이전의 시점에 경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3D 영상으로 제공되는 전송 스트림의 구간 내에서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한 2D 및 3D 전환 시그널링이 이루어짐으로써, 서로 다른 두 개의 2D 방송망을 이용하여 3D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수신기가 완전히 상이한 2D 영상을 3D로 합성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이용하는 경우,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실제적인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스트림의 경계에서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되거나,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한 경계정보를 실제 3D 프로그램 구간의 시작 시점보다 미리 삽입하거나, 실제 3D 프로그램 구간의 끝 시점보다 늦게 삽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이용할 경우, 3D 영상의 프로그램임을 알리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는 실제적인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구간이 시작되기 이전에 전송 스트림에 삽입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한,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2D 영상임을 알리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가 전송되는 시점은 실제적인 3D 영상의 방송 프로그램 구간이 끝난 이후일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상기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통한 시그널링 외에, 추가적으로 프레임 레벨의 정확한 경계정보 전달을 위해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서비스 타입을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일례로, 경계정보 제공 장치는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타입 정보를 삽입하기 위해 MPEG-2의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와 같은 디스크립터를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계정보 제공 장치는 비디오 프레임이 2D 영상에 위에서 언급한 디스크립터를 사용하는 경우, 디스크립터 내의 arrangement_type 값을 ‘0001000’ (2D video) 로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경계정보 제공 장치는 비디오 프레임이 3D 영상에 위에서 언급한 디스크립터를 사용하는 경우,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와 같은 디스크립터를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하지 않거나, 3D 영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arrangement_type을 할당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경계 정보 제공 장치는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의 user_data를 이용하여 자막 정보 내에 프레임의 2D 영상 또는 3D영상 여부를 전달하거나, Picture 내에 Bar data 형태로 프레임의 2D 영상 또는 3D영상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와 차이가 존재한다. 자세하게, 비디오 프레임 헤더를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타입 정보는 실제 제공되는 3D 영상의 방송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구간과 일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프레임의 경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트랜스포트 레벨에서 3D 영상의 디스크립터가 제공되고 있는 구간 내에서,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 정보에 따라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또는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스위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트랜스포트 레벨에서 3D 타입의 디스크립터가 제공되고 있는 구간 내에서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에 비해 비디오 프레임 헤더의 서비스 타입 정보의 우선순위를 높게 하여 유동적으로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영상 수신 장치는 트랜스포트 레벨에서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가 3D 임을 알리는 디스크립터가 전송되는 경우,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아무런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현재 프레임을 3D 영상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반면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명시적으로 2D 영상임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프레임이 2D 영상임을 알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수신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801)에서 영상 수신 장치는 경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경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자세하게, 영상 수신 장치는 수신한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경계정보의 전환 모드에 따라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로 생성된 경계정보 또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로 생성된 경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수신 장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함으로써, 경계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802)에서 영상 수신장치는 추출한 경계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수신장치는 경계 정보에 따라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상기 영상을 전환하거나,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2D 영상에서 3D 영상으로 영상을 전환한다는 것은 2D 영상의 프로그램이 끝나고, 3D 영상의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수신 장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용자에게 3D 영상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수동 전환의 경우, 영상 수신 장치는 사용자 상호 작용을 위해 팝업 윈도우 또는 다이알로그 메뉴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거나, 알림 메시지, 로고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3D 영상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3D 영상에서 2D 영상으로 영상을 전환한다는 것은 3D 영상의 프로그램이 끝나고, 2D 영상의 프로그램이 시작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일반적으로 영상 수신 장치는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2D 영상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이용할 경우, 현재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서비스 타입(2D/3D)를 구분하는 또 다른 실시예로, 영상 수신장치는 추출한 경계정보 중 디스크립터의 포함 여부에 따라 영상의 전환과 관련된 서비스 타입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 수신장치는 3D 서비스임을 알리는 미리 정의된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의 유무에 따라 2D 영상인지 또는 3D 영상인지에 대한 서비스 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수신장치는 경계정보의 전환모드가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일 때,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가 포함된 경우, 서비스 타입 정보가 3D 영상인 것으로 파악하고, 경계정보에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2D 영상에 대한 타입 정보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수신장치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를 사용할 경우,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에서 추출한 서비스 타입 정보에 따라 영상 출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D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는 영상 수신 장치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3D 임을 나타내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3D 프로그램을 재생하고 있는 영상 수신 장치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2D 임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영상 수신장치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비디오 프레임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정보에 따라 영상 출력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수신장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정보보다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정보에 우선하여 2D 영상과 3D 영상 간의 전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수신장치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3D 임을 나타내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한 후, 비디오 프레임 헤더의 정보가 2D 에서 3D 로 바뀌는 시점에서 프로그램의 모드를 2D to 3D 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수신장치는 현재 서비스 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3D 임을 나타내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 수신 구간 내에서, 비디오 프레임 헤더의 정보가 3D 에서 2D 로 바뀌는 시점에서 프로그램의 모드를 3D to 2D 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수신장치는 3D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2D 임을 나타내는 트랜스포트 레벨의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여 3D 영상을 2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경계 정보 제공 장치.
102: 영상 수신 장치
103: 경계정보
104: 제1방송망
105: 제2방송망

Claims (23)

  1.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및 3D 영상 간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영상의 경계정보를 생성하는 경계정보 생성부; 및
    상기 경계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스트림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정보가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인 경우, arrangement_type이 2D 영상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가 MPEG-2 비디오의 2D 영상에 삽입되고,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는 MPEG-2 비디오의 3D 영상에 삽입되지 않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정보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및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2D 영상 또는 3D 영상 인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 정보(2D or 3D)를 디스크립터를 통해 전송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PMT, VCT, S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는,
    상기 전송 스트림 내 디스크립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2D 또는 3D인지를 나타내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실제 3D 방송프로그램 스트림의 실제 3D 영상 구간이 시작된 이후에 현재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이 2D임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가 3D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로 전환되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실제 3D 방송프로그램 스트림의 실제 3D 영상 구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현재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이 3D임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가 2D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로 전환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2D 또는 3D인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 정보(2D or 3D)를 디스크립터를 통해 전송하고,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현재 프레임이 2D 또는 3D인지를 나타내는 서비스 타입 정보(2D or 3D)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비디오 프레임 헤더의 자막(Closed Caption) 정보 내에 서비스 타입 정보(2D or 3D)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 내에 바(bar) 형태로 서비스 타입 정보(2D or 3D)를 나타내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3D 영상의 서비스임을 나타내는 특정 디스크립터의 존재 여부에 따라 2D-3D 전환이 이루어지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정보(2D or 3D)는,
    현재 제공되는 프로그램의 서비스 타입을 나타내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12. 경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림에 포함된 경계정보를 추출하는 경계정보 추출부; 및
    상기 경계정보에 기초하여 3D 영상과 2D 영상 간에서 영상을 전환하는 영상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정보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정보가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인 경우, arrangement_type이 2D 영상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가 MPEG-2 비디오의 2D 영상에 삽입되고,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는 MPEG-2 비디오의 3D 영상에 삽입되지 않는 영상 수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정보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및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영상 수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정보에 우선하여 2D 영상과 3D 영상 간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수신 장치.
  15. 3D 영상 구간의 스케줄링 정보를 입력받거나, 영상 스트림의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3D 영상 구간에 대한 경계정보를 감지하는 경계정보 감지부;
    상기 감지된 경계정보에 대응하여 방송 경계 시그널링을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에 따라 삽입하는 방송 경계 시그널링 삽입부; 및
    상기 방송 경계 시그널링이 삽입된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스트림 전송부;
    를 포함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경계 시그널링 삽입부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3D 영상 구간이 시작된 이후에, 현재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이 2D임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가 3D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로 전환되도록 방송 경계 시그널링을 삽입하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3D 영상 구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현재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이 3D임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가 2D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로 전환되도록 방송 경계 시그널링을 삽입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장치.
  17.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및 3D 영상 간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인 영상의 경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정보가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인 경우, arrangement_type이 2D 영상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가 MPEG-2 비디오의 2D 영상에 삽입되고,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는 MPEG-2 비디오의 3D 영상에 삽입되지 않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정보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및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방법.
  19. 3D 영상 구간의 스케줄링 정보를 입력받거나, 영상 스트림의 부가 정보를 추출하여 3D 영상 구간에 대한 경계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경계정보에 대응하여 방송 경계 시그널링을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에 따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경계 시그널링이 삽입된 전송 스트림을 영상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3D 영상 구간이 시작된 이후에, 현재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이 2D임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가 3D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로 전환되도록 방송 경계 시그널링을 삽입하고,
    상기 영상 수신 장치에서 3D 영상 구간이 종료되기 이전에, 현재 제공되는 방송프로그램이 3D임을 나타내는 디스크립터가 2D 프로그램 디스크립터로 전환되도록 방송 경계 시그널링을 삽입하는 3D 방송의 경계 정보 제공 방법.
  21. 경계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림에 포함된 경계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계정보에 기초하여 3D 영상과 2D 영상 간에서 영상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정보는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2D 영상 및 3D 영상의 전환 시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정보가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인 경우, arrangement_type이 2D 영상임을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가 MPEG-2 비디오의 2D 영상에 삽입되고, frame_packing_arrangement_data는 MPEG-2 비디오의 3D 영상에 삽입되지 않는 영상 수신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정보는
    트랜스포트 레벨 디스크립터 모드 및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영상 수신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프레임 헤더 정보 모드는,
    비디오 프레임의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타입 정보에 우선하여 2D 영상과 3D 영상 간의 전환 여부를 결정하는 영상 수신 방법.
KR1020130104772A 2012-12-11 2013-09-02 경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영상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14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03,436 US9860515B2 (en) 2012-12-11 2013-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3D content broadcasting with boundary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485 2012-12-11
KR20120143485 2012-12-11
KR1020130011237 2013-01-31
KR20130011237 2013-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576A KR20140075576A (ko) 2014-06-19
KR102146081B1 true KR102146081B1 (ko) 2020-08-20

Family

ID=5112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772A KR102146081B1 (ko) 2012-12-11 2013-09-02 경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영상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0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543A2 (ko) * 2011-03-07 201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7243B2 (ja) * 2009-07-27 2014-12-24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3dビデオと2dビデオとの間のスイッチン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543A2 (ko) * 2011-03-07 2012-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576A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966B1 (ko) 3차원 입체 영상 부가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입체 디지털방송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N104272724B (zh) 用于高级电视服务的参数化服务描述符
US98605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3D content broadcasting with boundary information
US88248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video content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5575949B2 (ja) 放送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657124B1 (ko) 방송 수신기 및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US9712804B2 (en)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multiview three-dimensional broadcast signal
EP2744214A2 (en)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transceiving method thereof
KR101653319B1 (ko) 3d 영상을 위한 영상 컴포넌트 송수신 처리 방법 및 장치
US9516086B2 (en)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transceiving method thereof
KR20070058302A (ko) 디지털방송 기반 3차원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EP2685729A2 (en)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program-linked stereoscopic broadcasting service, and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same
US20130276046A1 (en)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signals through different path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thereof
JP2009296144A5 (ko)
KR20150023329A (ko) 3d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005015B1 (ko) 관심 영역 깊이 정보 기반의 3차원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12050381A2 (ko) 스테레오스코픽 영상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40000136A (ko) 화상 데이터 송신 장치, 화상 데이터 송신 방법, 화상 데이터 수신 장치 및 화상 데이터 수신 방법
US9866814B2 (en) Method of synchronizing reference image with additional image of real-time broadcasting program, and transceiver system for performing same
KR102146081B1 (ko) 경계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영상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50057149A (ko) 재전송망에 기초한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21197A (ko) 콘텐츠와 데이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191498B1 (ko) 실시간 방송과 비실시간 부가 방송 데이터의 연동을 통한 입체영상 방송서비스를 위한 동기 신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N108141624B (zh) 用于多媒体数据的发送和接收的方法和装置
KR20160041833A (ko)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