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858B1 -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858B1
KR102145858B1 KR1020180150036A KR20180150036A KR102145858B1 KR 102145858 B1 KR102145858 B1 KR 102145858B1 KR 1020180150036 A KR1020180150036 A KR 1020180150036A KR 20180150036 A KR20180150036 A KR 20180150036A KR 102145858 B1 KR102145858 B1 KR 102145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gnized
word
information
document imag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841A (ko
Inventor
양경용
이유미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85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9Phrasal analysis, e.g. finite state techniques or chunking
    • G06F40/295Named entity recognition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동작 및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STANDARDIZING RECOGNIZED TERM FROM DOCUMENT IMAGE}
본 개시는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인식 단어 간의 연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약국, 보험 회사, 병원 등에서 처방전에 대한 OCR 기기와 같은 광학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처방전에 기재된 환자 정보, 처방 내역, 수급 정보 등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있다.
다만, 사람이 직접 확인해서 작업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OCR 기기를 통한 인식은 유사도가 높은 숫자 또는 문자 간의 인식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약국의 경우, 처방전의 OCR 기기 인식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환자에게 잘못된 약을 처방하게 될 수 있고, 보험사의 경우 피보험자에게 잘못된 금액을 지급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OCR 기기의 인식률 제고에 대한 방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따라, 특히, 딥러닝을 이용한 OCR 솔루션에 대한 인식률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7734호는 광학 마크 또는 문자 판독기의 입력 오류 방지 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동작 및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연관 질병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결정된 상기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 단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사용자 정보에 관련한 상기 인식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관련한 상기 인식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상기 인식 단어들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관련된 진료과목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인식 단어와 상기 진료과목 정보 간의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관련된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인식 단어의 위치와 상기 문서 구조 정보 간의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1 인식 단어와 제 2 인식 단어―상기 제 2 인식 단어는 상기 제 1 인식 단어와 상이함―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인식 단어와 상기 제 2 인식 단어의 컨텍스트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인식 단어와 상기 제 2 인식 단어의 컨텍스트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인식 단어에 대한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연관 단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공통 연관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연관 단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와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급여 항목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상기 급여 항목 정보를 상기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연관 단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제 1 인식 단어의 항목과 유사한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과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제 2 인식 단어의 항목과 유사한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1 유사 항목 단어와 상기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2 유사 항목 단어 각각의 의미 유사도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제 1 유사 항목 단어와 상기 제 2 유사 항목 단어의 상기 의미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의미 유사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유사 항목 단어 및 상기 제 2 유사 항목 단어를 상기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상기 인식 단어 및 상기 인식 단어 각각에 관한 상기 연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하는 동작 및 상기 클러스터에 관한 표준 단어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클러스터에 관한 표준 단어를 결정하는 동작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표준 단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상기 인식 단어 중 하나를 통계적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고,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그리고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로직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개시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 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서버의 서버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서버는 임의의 형태의 장치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디지털 기기로서,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웹 패드, 이동 전화기와 같이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메모리를 구비한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서버는 서비스를 처리하는 웹 서버일 수 있다. 전술한 서버의 종류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걸쳐, 모델, 신경망, 네트워크 함수,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신경망은 일반적으로 “노드”라 지칭될 수 있는 상호 연결된 계산 단위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드”들은 “뉴런(neuron)”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신경망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경망들을 구성하는 노드(또는 뉴런)들은 하나 이상의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 함수는 하나 이상의 뉴럴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네트워크 함수의 출력은 하나 이상의 뉴럴 네트워크의 출력의 앙상블(ensemble)일 수 있다. 모델은 다른 모델과 함께 데이터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모델은 다른 모델과 직렬 또는 병렬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100)의 구성은 간략화 하여 나타낸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100)의 컴퓨팅 환경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문서 이미지 상에서 글자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위한 컴퓨팅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글자를 포함하는 기초 문서 이미지 상에서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글자를 인식하고,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는 사용자(예컨대, 병원, 보험사 등)마다 상이한 표현을 사용하여 표준화되지 않은 임의의 용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본 개시에서 용어는 의료 업종에 관련한 용어를 포함할 수 있고, 금융 업종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어는 A 병원에서 발급된 진료비 세부내역서 상에서의 인식 단어 및 B 병원에서 발급된 진단서 상에서의 인식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용어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위한 컴퓨팅 장치(100)는 네트워크부(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11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등을 다른 컴퓨팅 장치, 서버 등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110)는 인식 단어의 항목과 속성의 연관성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부(110)는 하나 이상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를 포함하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수신하거나, 또는, 타겟 문서 이미지(300)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부(110)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복수의 컴퓨팅 장치 각각에서 모델의 학습이 분산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부(110)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여 모델을 이용한 이미지의 글자 인식을 분산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GPU: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의 데이터 분석, 딥러닝을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초 문서 이미지 상에서 글자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신경망의 학습을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의 CPU, GPGPU, 및 TPU 중 적어도 하나가 모델의 학습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CPU, GPGPU 또는 TPU 실행가능 프로그램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CPU, GPGPU, 및 TPU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모델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00)는 다른 컴퓨팅 장치와 함께 모델을 분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20)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을 추출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인식 단어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 상에서 인식되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식 단어 세트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에서 인식되는 모든 인식 단어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의 집합으로서, 용어를 수집하고 이를 군집화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는 임의의 한 분야(예컨대, 의료, 보험, 금융 등)의 관련 기관에서 생성된 문서들에 대해서, 이미지 인식 기술(예컨대, 딥 OCR 등)을 통해 이미지화 된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 타겟 문서 이미지(300)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 생성 이후, 입력되는 문서 이미지로서 하나 이상의 인식 대상 글자를 포함하는 문서에 대한 이미지 일 수 있다. 또한,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 및 타겟 문서 이미지(300)는 각각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글자 이미지는 하나의 글자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글자 이미지는 "가"라는 글자 하나를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네트워크부(110)를 통해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를 수신할 수도 있고, 카메라부(미도시)를 통해 타겟 문서 이미지(300)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글자 인식 모델을 약국에서 사용하는 경우,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는 처방전일 수도 있고, 보험회사에서 사용하는 경우,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는 진료비 세부내역서일 수도 있다. 전술한 기초 문서 이미지 및 글자 이미지에 대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각각의 글자로 분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 각각이 포함하는 글자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글자 인식 모델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함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함수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학습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한 글자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글자 각각에 대한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글자 이미지의 피쳐를 추출하여, 하나 이상의 클래스 각각에 대한 스코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래스는 글자 이미지가 의미하는 글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클래스 각각은, 가, 나, 다, 라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글자 이미지의 클래스 각각에 대한 스코어 값에 기초하여 글자 이미지를 글자로 분류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하여 글자 이미지를 연산한 결과, 가장 높은 스코어 값을 가지는 클래스로 글자 이미지를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 각각이 포함하는 글자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글자 이미지의 클래스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인식된 글자를 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 각각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글자를 조합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프로세서(120)는 특정 글자 이미지와 다른 글자 이미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각각의 글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글자를 조합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글자 이미지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인접한 거리에 위치한 글자 이미지에 대응하는 글자를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조합된 글자를 메모리(130)에 저장된 기준 단어와 비교하여 인식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초 문서 이미지(210)는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 내에서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 각각을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각각의 글자를 분류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분류 결과로 결정된 글자를 글자 이미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의 도메인에 기초하여, 조합된 글자를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단어 테이블의 기준 단어들과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조합된 글자와 매칭되는 기준 단어가 기준 단어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 조합된 단어를 인식 단어로써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에 포함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에서 인식 단어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걸쳐, 신경망, 네트워크 함수,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딥 뉴럴 네트워크(DNN: deep neural network, 심층신경망)는 입력 레이어와 출력 레이어 외에 복수의 히든 레이어를 포함하는 신경망을 의미할 수 있다.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면 데이터의 잠재적인 구조(latent structures)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진, 글, 비디오, 음성, 음악의 잠재적인 구조(예를 들어, 어떤 물체가 사진에 있는지, 글의 내용과 감정이 무엇인지, 음성의 내용과 감정이 무엇인지 등)를 파악할 수 있다. 딥 뉴럴 네트워크는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리커런트 뉴럴 네트워크(RNN: recurrent neural network), 제한 볼츠만 머신(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심층 신뢰 네트워크(DBN: deep belief network), Q 네트워크, U 네트워크, 샴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는 딥 뉴럴 네트워크의 일종으로서, 컨벌루셔널 레이어를 포함하는 신경망을 포함한다.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는 최소한의 전처리(preprocess)를 사용하도록 설계된 다계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orns)의 한 종류이다. CNN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컨벌루셔널 레이어와 이와 결합된 인공 신경망 계층들로 구성될 수 있다. CNN은 가중치와 풀링 레이어(pooling layer)들을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CNN은 2 차원 구조의 입력 데이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는 이미지에서 오브젝트를 인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는 이미지 데이터를 차원을 가진 행렬로 나타내어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GB(red-green-blue)로 인코딩 된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R, G, B 색상별로 각각 2차원(예를 들어, 2 차원 이미지 인 경우) 행렬로 나타내 질 수 있다. 즉, 이미지 데이터의 각 픽셀의 색상 값이 행렬의 성분이 될 수 있으며 행렬의 크기는 이미지의 크기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데이터는 3개의 2차원 행렬로(3차원의 데이터 어레이)로 나타내질 수 있다.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에서 컨벌루셔널 필터를 이동해가며 컨벌루셔널 필터와 이미지의 각 위치에서의 행렬 성분끼리 곱하는 것으로 컨벌루셔널 과정(컨벌루셔널 레이어의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컨벌루셔널 필터는 n*n 형태의 행렬로 구성될 수 있다. 컨벌루셔널 필터는 일반적으로 이미지의 전체 픽셀의 수보다 작은 고정된 형태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m*m 이미지를 컨벌루셔널 레이어(예를 들어, 컨벌루셔널 필터의 사이즈가 n*n인 컨벌루셔널 레이어)입력시키는 경우, 이미지의 각 픽셀을 포함하는 n*n 픽셀을 나타내는 행렬이 컨벌루셔널 필터와 성분 곱 (즉, 행렬의 각 성분끼리의 곱) 될 수 있다. 컨벌루셔널 필터와의 곱에 의하여 이 미지에서 컨벌루셔널 필터와 매칭되는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에서 상하 직선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3*3 컨벌루셔널 필터는 [[0,1,0], [0,1,0], [0,1,0]] 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에서 상하 직선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3*3 컨벌루셔널 필터가 입력 이미지에 적용되면 이미지에서 컨벌루셔널 필터와 매칭되는 상하 직선 성분이 추출되어 출력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레이어는 이미지를 나타낸 각각의 채널에 대한 각각의 행렬(즉, R, G, B 코딩 이미지의 경우, R, G, B 색상)에 컨벌루셔널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레이어는 입력 이미지에 컨벌루셔널 필터를 적용하여 입력 이미지에서 컨벌루셔널 필터와 매칭되는 피쳐를 추출할 수 있다. 컨벌루셔널 필터의 필터 값(즉, 행렬의 각 성분의 값)은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의 학습 과정에서 역전파에 의하여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레이어의 출력에는 서브샘플링 레이어가 연결되어 컨벌루셔널 레이어의 출력을 단순화하여 메모리 사용량과 연산량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2 맥스 풀링 필터를 가지는 풀링 레이어에 컨벌루셔널 레이어의 출력을 입력시키는 경우, 이미지의 각 픽셀에서 2*2 패치마다 각 패치에 포함되는 최대값을 출력하여 이미지를 압축할 수 있다. 전술한 풀링은 패치에서 최소값을 출력하거나, 패치의 평균값을 출력하는 방식일 수도 있으며 임의의 풀링 방식이 본 개시에 포함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컨벌루셔널 레이어, 서브 샘플링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는 컨벌루셔널 과정과 서브샘플링 과정(예를 들어, 전술한 맥스 풀링 등)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이미지에서 피쳐를 추출할 수 있다. 반복적인 컨벌루션널 과정과 서브샘플링 과정을 통해 뉴럴 네트워크는 이미지의 글로벌 피쳐를 추출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레이어 또는 서브샘플링 레이어의 출력은 풀 커넥티드 레이어(fully connected layer)에 입력될 수 있다. 풀 커넥티드 레이어는 하나의 레이어에 있는 모든 뉴런과 이웃한 레이어에 있는 모든 뉴런이 연결되는 레이어이다. 풀 커넥티드 레이어는 뉴럴 네트워크에서 각 레이어의 모든 노드가 다른 레이어의 모든 노드에 연결된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데이터의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기 위하여 뉴럴 네트워크는 디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DCNN: deconvolutional neur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디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는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를 역방향으로 계산시킨 것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디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는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에서 추출된 피쳐를 원본 데이터와 관련된 피쳐맵으로 출력할 수 있다. 컨벌루셔널 뉴럴 네트워크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본 출원에서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되는 미국 등록 특허 US9870768B2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인식 단어, 표준 단어, 비표준 단어, 기준 단어 및 타겟 단어에 대해서 정의한다.
본 개시에서 인식 단어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 및 타겟 문서 이미지(300) 상에서 인식되는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식 단어 세트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에서 인식되는 모든 인식 단어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표준 단어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가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cluster)를 대표하는 단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를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함에 있어서, 각각 인식 단어와 그와 연관된 연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로 군집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는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준 단어는 각각의 클러스터를 대표하는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중 "도수치료" 및 "근육 마사지"를 포함하는 클러스터에 대해서, "도수치료"를 표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클러스터의 표준 단어 결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표준 단어의 결정에 대한 설명은 도 2 및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기준 단어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 상에 클러스터로 각각 분류되어 저장된 인식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준 단어는 표준 단어와 매칭된 비표준 단어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기준 단어는 매칭되는 클러스터와의 매칭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단어는 프로세서(120)가 이후에 입력되는 비표준 단어를 표준화 하는 동작에서 참고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비표준 단어는 기준 단어 및 타겟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표준 단어는 타겟 문서 이미지(300)에서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인식된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 중 표준 단어와 상이한 모든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비표준 단어를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의 매칭 정보에 기초하여 탐색함으로써, 기준 단어와 매칭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기준 단어와 매칭되는 비표준 단어를 상기 기준 단어와 동일한 클러스터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비표준 단어 중 기준 단어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참고하여 표준화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준 단어와 매칭되지 않는 비표준 단어를 타겟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 타겟 단어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지 않은 인식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타겟 단어는 새로이 표준화를 수행해야 하는 인식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가 타겟 문서 이미지(300) 상에서 획득한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인식 단어를 표준 단어와 동일 여부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비표준 단어로 결정하고, 기준 단어와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매칭되지 않는 비표준 단어를 타겟 단어로 결정하고, 연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되는 기준 단어를 탐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기준 단어에 기초하여 타겟 단어를 표준화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타겟 단어를 연관된 기준 단어의 클러스터에 매칭시켜 저장함으로써, 기준 단어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이후에 타겟 단어와 동일한 인식 단어가 입력되는 경우, 기준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 단어를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에 바로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20)가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연관성 정보는 타겟 문서 이미지(300)가 네트워크부(110)를 통해 수신될 때, 타겟 문서 이미지(300) 상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를 표준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연관성 정보는 프로세서(120)가 인식 단어에 대한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할 때, 각각의 인식 단어를 군집화(clustering)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서로 연관성이 강한 인식 단어들을 하나의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서로 연관성이 존재하는 인식 단어들을 서로 유사한 군, 즉, 인접한 영역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벡터 변환 방식을 통해 인식 단어 각각을 다차원 공간 상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연관성 정보가 강한 인식 단어에 해당하는 벡터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전술한 연관성 정보의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연관 질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연관 질병 정보란 인식 단어와 연관 있는 하나 이상의 질병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인식된 글자의 조합과 메모리(130)에 저장된 기준 단어를 비교하여 인식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인식 단어 및 메모리(130)에 인식 단어 별로 저장된 연관 질병 테이블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질병을 연결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라미부딘"이라는 인식 단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연관 질병 테이블을 탐색하여, "라미부딘"이"B형 간염" 및 "에이즈"라는 질병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사전 설정된 연관도(즉, 주로 쓰이는 질병)를 기준으로"B형 간염"을 1순위 연관 질병 정보로, 그리고 "에이즈"를 2순위 연관 질병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인식 단어 및 연관 질병 정보의 결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결정된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인식 단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인식 단어에 대한 연관 질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인식 단어에 대해서 결정된 연관 질병들이 동일한지에 기초하여 인식 단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약 처방전을 도메인으로 하는 제 1 기초 문서 이미지 상에서 "라미부딘"이라는 제 1 인식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라미부딘"이라는 인식 단어에 대해서 연관 질병 테이블을 탐색하여, "B형 간염" 및 "에이즈"라는 연관 질병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약 처방전을 도메인으로 하는 제 2 기초 문서 이미지 상에서 "클레부딘"이라는 제 2 인식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클레부딘"이라는 인식 단어에 대해서 연관 질병 테이블을 탐색하여, "B형 간염" 및 "당뇨병"이라는 연관 질병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 "라미부딘"의 연관 질병과 제 2 인식 단어 "클레부딘"의 연관 질병이 서로 공통적으로 "B형 간염"을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라미부딘"과 "클레부딘"이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120)의 연관 질병 정보에 기초한 연관성 정보 생성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정보에 관련한 인식 단어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는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 수집된 의료기록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한 인식 단어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 중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는 사용자 별 병원 내원 기록, 건강검진 결과서, 통원확인서, 사용자의 초진 차트 등의 개인에 대해서 생성된 의료기록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서 연관된 기초 문서 이미지(210)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인식 단어들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 1 기초 문서 이미지(210) 상에서 "홍길동", "801231-XXXXXXX",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476" 및 "전화 010-1122-3344"라는 사용자 정보(211)에 관련한 4개의 인식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 2 기초 문서 이미지(220) 상에서 "홍길동", "801231-XXXXXXX", "서울시 강남구 강남대로 476" 및 "(전화번호: 010-1122-3344)"라는 사용자 정보(221)에 관련한 4개의 인식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포함하는 식별정보가 동일하다는 것에 기초하여, 제 1 기초 문서 이미지(210)와 제 2 기초 문서 이미지(220)를 동일한 환자에 대해서 생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 1 기초 문서 이미지(210)가 포함하는 발병일자 정보(212)"발병 연월일" 및 "2018.03.01"과, 제 2 기초 문서 이미지(220)가 포함하는 발병일자 정보(222)"발명 연월일" 및 "2018.11.01"에 기초하여 대상 환자가 기존과 다른 병원에 내원하여 일부 다른 명칭의 처리내역을 처방 받았다 라는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 1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기초하여 3월에 처방된 요추에 대한 도수치료 및 근이완제와, 제 2 기초 문서 이미지(220)에 기초하여 11월에 처방된 요추 근육 마사지 및 근이완제 처방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 1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식별된 처리내역과 제 2 기초 문서 이미지(220)에서 식별된 처리 내역에 기초하여 "요추에 대한 도수치료"와 "요추 근육 마사지"가 동일한 처방일 수 있다는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연관성 정보 생성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기초 문서 이미지(210)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관련된 진료과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들을 분석하여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와 연관된 진료과목(예컨대, 정형외과, 내과, 소아과 등)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가 포함하는 의료기관의 명칭에 기초하여 진료과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된 질병명들과 관련도가 높은 진료과목을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대한 진료과목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와 진료과목 정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상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들을,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대해서 결정된 진료과목 정보와 연결시키는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 1 기초 문서 이미지(210) 상의 질병명 영역(213)에서 "우측 손등 심부열상", "우측 제1 중수골 개방성 골절", "우측 제1 수지 신전건들 파열" 및 "우측 제1 수지 수지신경 손상"이라는 4개 인식 단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식 단어에서 "열상", "골절" 및 "파열" 이라는 질병명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질병명에 대해서 공통적으로 도출되는 "정형외과"를 진료과목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XX정형외과"라는 의료기관의 명칭(214)을 통해 "정형외과"라는 진료과목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술한 인식 단어를 통한 진료과목 정보 결정의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기초 문서 이미지에 관련된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의 위치와 문서 구조 정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들을 분석하여,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된 인식 단어들 간의 관계에 대한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글자 간의 공백을 기준으로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가 포함하는 글자 이미지의 크기에 비해서 다음 인식 단어와의 공백이 큰 경우(예컨대, 글자 이미지 크기의 1/2 이상), 각각의 인식 단어는 별개의 개체로 인식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가 포함하는 글자 이미지의 크기에 비해서 다른 인식 단어와의 공백이 작은 경우(예컨대, 글자 이미지 크기의 1/4 이하), 각각의 인식 단어의 의미가 연관된다는 문서 구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120)의 공백에 기초한 문서 구조 정보 결정의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 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별로 기초 문서 이미지(210)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간의 위치상 연관성을 가지는 다른 인식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상 연관성이란 특정 인식 단어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위치한 다른 인식 단어와의 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225)가 "질병분류기호"이고 기초 문서 이미지(210)의 상단에 위치함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질병분류기호"의 수직 방향에서 "M54.16"이라는 인식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질병분류기호"라는 인식 단어와 "M54.16"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상의 실선을 인식하여 인식 단어의 문서 구조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질병분류기호"와 "M54.16" 사이의 실선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인식한 실선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분류기호"라는 인식 단어가 다른 인식 단어 "M54.16"을 포함한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구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1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한 문서 구조 정보 생성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1 인식 단어와 제 2 인식 단어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인식 단어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에서 획득되고 제 1 인식 단어와 상이한 인식 단어일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와 제 2 인식 단어의 컨텍스트 분석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를 포함하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들에 기초하여,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 정보는 프로세서(120)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 상에서 사용된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의미(예컨대, 연관 질병 정보), 제 1 인식 단어의 위치(예컨대, 제 1 인식 단어에 해당하는 항목 정보), 제 1 인식 단어와 기초 문서 이미지(210)와의 관계(예컨대, 정형외과 관련 단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 2 인식 단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연관 단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와 제 2 인식 단어의 공통 연관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 "도수치료"에 대해서 제 1 기초 문서 이미지(210)를 통해, 연관된 진료과목 정보가 "정형외과"이고, "근이완제"라는 인식 단어와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 2 인식 단어 "근육 마사지"에 대해서 제 2 기초 문서 이미지(220)를 통해, 연관된 진료과목 정보가 "재활치료의학과"이고, "근이완제"라는 인식 단어와 높은 연관성이 있다는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정형외과" 및 "근이완제"라는 인식 단어를 제 1 인식 단어 "도수치료"와 제 2 인식 단어 "근육 마사지"의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공통 연관 단어 정보가 두 개의 인식 단어를 포함하고, 하나(근이완제)가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점에 기초하여 "도수치료"와 "근육 마사지"가 서로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는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120)의 공통 연관 단어 정보에 기초한 연관성 정보 생성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와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를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와, 상기 제 1 인식 단어를 포함하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기초하여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를 포함하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가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급여 항목 정보란 의료 진료비에서 건강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항목의 명칭(예컨대, 발치, 신경치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반대로 비급여 항목이란 의료 진료비에서 건강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없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여 항목 정보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가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 상에서 동일한 명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와, 제 2 인식 단어에 대한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가 동일한 항목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항목을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대퇴부 분쇄골절"이라는 제 1 인식 단어를 포함하는 제 1 기초 문서 이미지(210) 상에서 "인공관절치환술(고관절)"이라는 인식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대퇴부의 복합 골절로 사료됨"이라는 제 2 인식 단어를 포함하는 제 2 기초 문서 이미지(220) 상에서 "인공관절치환술(고관절)"이라는 인식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인공관절치환술(고관절)"이라는 인식 단어를 메모리(130)에 저장된 급여 항목 테이블과 비교하여, 급여 항목에 해당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 "대퇴부 분쇄골절"과 제 2 인식 단어 "대퇴부의 복합 골절로 사료됨"이 서로 관련 있다는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120)의 급여 항목에 기초한 연관성 정보 생성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제 1 인식 단어의 항목과 유사한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과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제 2 인식 단어의 항목과 유사한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1 유사 항목 단어와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2 유사 항목 단어 각각의 의미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 1 유사 항목 단어와 제 2 유사 항목 단어의 의미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의미 유사도 이상인 경우, 제 1 유사 항목 단어 및 제 2 유사 항목 단어를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와, 상기 제 1 인식 단어를 포함하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기초하여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를 그룹화함으로써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은 제 1 인식 단어와 연관성 정보가 존재하는 인식 단어 그룹일 수 있다. 또한,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은 프로세서(120)가 제 1 인식 단어를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할 때, 하나의 군(즉, 클러스터)으로 묶는 단어의 집합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제 2 인식 단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 별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제 1 유사 항목 단어와 제 2 유사 항목 단어의 의미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의미 유사도 이상인 경우, 제 1 유사 항목 단어 및 제 2 유사 항목 단어를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 1 인식 단어 "타박상"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 "멍", "부종" 및 "골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 2 인식 단어 "찰과상"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 "열상", "파상풍" 및 "흉터"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단어들에 대해서 3*3 형태의 유사도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멍" 및 "흉터"에 대한 유사도가 "0.78"로 산출되어, 사전 설정된 기준 의미 유사도 0.75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멍"와 "흉터"를 각각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하는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을 통한 연관성 정보 생성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프로세서(120)가 인식 단어 그룹과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하는 방법 및 타겟 문서 이미지(300)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모식도이다.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그룹과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인식 단어 및 인식 단어 각각에 관한 연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서로 연관성이 강한 인식 단어들을 하나의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인식 단어를 저장할 때, 서로 연관성이 존재하는 인식 단어들을 서로 유사한 클러스터, 즉, 인접한 영역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0)는 벡터 변환 방식을 통해 인식 단어 각각을 다차원 공간 상에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연관성 정보가 강한 인식 단어에 해당하는 벡터들을 서로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전 설정된 거리 이내의 벡터를 하나의 그룹으로 군집화(clustering)할 수 있다. 전술한 프로세서(120)의 군집화 동작의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클러스터에 관한 표준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가 포함하는 각각의 클러스터에 대해서 표준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단어란 하나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인식 단어들 중 상기 클러스터를 대표할 수 있는 인식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표준 단어를 기준으로 연관성 정보를 가지고 매칭된 단어를 기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에서 추출된 인식 단어들을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로 군집화하며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군집(클러스터)에 대하여 하나의 표준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해당 클러스터에서 표준 단어를 제외한 인식 단어들을 표준 단어 및 매칭된 연관성 정보의 형태로 구성되는 기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표준 단어를 결정하거나, 또는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인식 단어 중 하나를 통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네트워크부(110)를 통해 표준 단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클러스터에 해당되는 표준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백옥주사", "비욘세주사", "글루타치온" 및 "Glutathone sulfhydryl" 등의 인식 단어들을 하나의 클러스터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네트워크부(110)를 통해 상기 클러스터에 대한 표준 단어를 "글루타치온 주사"로 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상기 클러스터를 "글루타치온 주사"이라는 표준 단어와, 표준 단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백옥주사", "비욘세주사", "글루타치온" 및 "Glutathone sulfhydryl"이라는 기준 단어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는 이후에 입력되는 "백옥주사", "비욘세주사", "글루타치온", 및 "Glutathone sulfhydryl"에 대해서, "글루타치온 주사"로 표준화하여 클러스터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클러스터의 표준 단어 결정은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프로세서(120)는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인식 단어들 중 하나를 표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해당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인식 단어 중 인식된 횟수가 높은 인식 단어를 표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를 발행한 의료기관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인식 단어 그룹 중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인식 단어를 표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병원에서 발행된 문서들을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로 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들을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로 군집화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10개의 병원 중 6개의 병원에서 발급한 진단서에서 "글루타치온 주사"이라는 인식 단어가 식별됨에 기초하여, 관련 클러스터의 표준 단어를 "글루타치온 주사"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기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나머지 인식 단어들을 "글루타치온 주사"와 매칭된 기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클러스터의 표준 단어 결정 동작 기재는 예시일 뿐,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타겟 문서 이미지(300)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할 수 있다. 타겟 문서 이미지(300)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의 생성 이후, 입력되는 문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문서 이미지(300)는 하나 이상의 타겟 단어를 포함하는 문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타겟 단어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인식 단어, 즉, 새로 매칭되어야 하는 인식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타겟 문서 이미지(300)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단어 그룹은 타겟 문서 이미지(300) 상에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상기 인식 단어와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의 표준 단어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인식 단어와 표준 단어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식 단어를 비표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비표준 단어를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단어와의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20)는 기준 단어와 매칭되지 않는 비표준 단어를 타겟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타겟 단어와 타겟 문서 이미지(300)가 포함하는 다른 인식 단어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타겟 단어를 새로 생성된 연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가 포함하는 클러스터 중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타겟 문서 이미지(300) 상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판독되어 구동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문서 이미지, 글자 이미지, 글자의 항목 및 속성의 연관성 정보 등)을 임시 또는 영구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30)는 디스플레이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 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를 통해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명칭 및 용어에 대해서 의료기관마다 서로 상이하게 표현하여, 사용자의 혼란과 및 보험사의 업무 로드가 증가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비급여 항목에 대해서 병원마다 다른 명칭과 비용을 책정하여, 소비자가 다른 병원의 상품들과 명확하게 비교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을 추출(510)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의 집합으로서, 용어를 수집하고 이를 군집화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초 문서 이미지(210)는 임의의 한 분야(예컨대, 의료, 보험, 금융 등)의 관련 기관에서 생성된 문서들에 대해서, 이미지 인식 기술(예컨대, 딥 OCR 등)을 통해 이미지화 된 문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 타겟 문서 이미지(300)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 생성 이후, 입력되는 문서 이미지로서 하나 이상의 인식 대상 글자를 포함하는 문서에 대한 이미지 일 수 있다. 또한, 기초 문서 이미지(210) 및 타겟 문서 이미지(300)는 각각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글자 이미지는 하나의 글자를 포함하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조합된 글자를 메모리(130)에 저장된 기준 단어와 비교하여 인식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초 문서 이미지(210)는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 내에서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글자 이미지 각각을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각각의 글자를 분류 결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각각의 분류 결과로 결정된 글자를 글자 이미지의 위치 관계에 따라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의 도메인에 기초하여, 조합된 글자를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단어 테이블의 기준 단어들과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조합된 글자와 매칭되는 기준 단어가 기준 단어 테이블에 존재하는 경우, 조합된 단어를 인식 단어로써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에 포함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에서 인식 단어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520)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연관성 정보는 타겟 문서 이미지(300)가 네트워크부(110)를 통해 수신될 때, 타겟 문서 이미지(300) 상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를 표준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연관성 정보는 컴퓨팅 장치(100)가 인식 단어에 대한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할 때, 각각의 인식 단어를 군집화(clustering)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서로 연관성이 강한 인식 단어들을 하나의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서로 연관성이 존재하는 인식 단어들을 서로 유사한 군, 즉, 인접한 영역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연관 질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연관 질병 정보란 인식 단어와 연관 있는 하나 이상의 질병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된 글자의 조합과 메모리(130)에 저장된 기준 단어를 비교하여 인식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각각의 인식 단어 및 메모리(130)에 인식 단어 별로 저장된 연관 질병 테이블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질병을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결정된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인식 단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각각의 인식 단어에 대한 연관 질병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각각의 인식 단어에 대해서 결정된 연관 질병들이 동일한지에 기초하여 인식 단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에 관련한 인식 단어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는 특정 사용자에 대해서 수집된 의료기록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사용자 식별 정보 등의 사용자 정보와 관련한 인식 단어를 인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 중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는 사용자 별 병원 내원 기록, 건강검진 결과서, 통원확인서, 사용자의 초진 차트 등의 개인에 대해서 생성된 의료기록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서 연관된 기초 문서 이미지(210)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인식 단어들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기초 문서 이미지(210)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관련된 진료과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들을 분석하여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와 연관된 진료과목(예컨대, 정형외과, 내과, 소아과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가 포함하는 의료기관의 명칭에 기초하여 진료과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된 질병명들과 관련도가 높은 진료과목을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대한 진료과목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와 진료과목 정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상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들을,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 대해서 결정된 진료과목 정보와 연결시키는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기초 문서 이미지에 관련된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의 위치와 문서 구조 정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하나 이상의 인식 단어들을 분석하여,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된 인식 단어들 간의 관계에 대한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글자 간의 공백을 기준으로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 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 별로 기초 문서 이미지(210)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 간의 위치상 연관성을 가지는 다른 인식 단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상 연관성이란 특정 인식 단어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위치한 다른 인식 단어와의 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1 인식 단어와 제 2 인식 단어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인식 단어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에서 획득되고 제 1 인식 단어와 상이한 인식 단어일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제 1 인식 단어와 제 2 인식 단어의 컨텍스트 분석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제 1 인식 단어를 포함하는 기초 문서 이미지(210, 220, 230, 240)들에 기초하여,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 정보는 컴퓨팅 장치(100)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 상에서 사용된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의미(예컨대, 연관 질병 정보), 제 1 인식 단어의 위치(예컨대, 제 1 인식 단어에 해당하는 항목 정보), 제 1 인식 단어와 기초 문서 이미지(210)와의 관계(예컨대, 정형외과 관련 단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제 2 인식 단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연관 단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제 1 인식 단어와 제 2 인식 단어의 공통 연관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와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를 비교하여,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를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제 1 인식 단어의 항목과 유사한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과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제 2 인식 단어의 항목과 유사한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1 유사 항목 단어와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2 유사 항목 단어 각각의 의미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제 1 유사 항목 단어와 제 2 유사 항목 단어의 의미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의미 유사도 이상인 경우, 제 1 유사 항목 단어 및 제 2 유사 항목 단어를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530)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 그룹과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인식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인식 단어 및 인식 단어 각각에 관한 연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는 서로 연관성이 강한 인식 단어들을 하나의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에 인식 단어를 저장할 때, 서로 연관성이 존재하는 인식 단어들을 서로 유사한 클러스터, 즉, 인접한 영역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0)는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540)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클러스터에 관한 표준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가 포함하는 각각의 클러스터에 대해서 표준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단어란 하나의 클러스터에 포함된 인식 단어들 중 상기 클러스터를 대표할 수 있는 인식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컴퓨팅 장치(100)는 표준 단어를 기준으로 연관성 정보를 가지고 매칭된 단어를 기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100)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에서 추출된 인식 단어들을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로 군집화하며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 상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각각의 군집(클러스터)에 대하여 하나의 표준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해당 클러스터에서 표준 단어를 제외한 인식 단어들을 표준 단어 및 매칭된 연관성 정보의 형태로 구성되는 기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표준 단어를 결정하거나, 또는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인식 단어 중 하나를 통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네트워크부(110)를 통해 표준 단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클러스터에 해당되는 표준 단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인식 단어들 중 하나를 표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컴퓨팅 장치(100)는 해당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인식 단어 중 인식된 횟수가 높은 인식 단어를 표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100)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210)를 발행한 의료기관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팅 장치(100)는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인식 단어 그룹 중 다수의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인식 단어를 표준 단어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를 통해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명칭 및 용어에 대해서 의료기관마다 서로 상이하게 표현하여, 사용자의 혼란과 및 보험사의 업무 로드가 증가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비급여 항목에 대해서 병원마다 다른 명칭과 비용을 책정하여, 소비자가 다른 병원의 상품들과 명확하게 비교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로직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로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는 로직(610);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620);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로직(630); 및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로직(64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610)은, 상기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610)은, 상기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연관 질병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 상기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결정된 상기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한 로직, 상기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 단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610)은, 사용자 정보에 관련한 상기 인식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관련한 상기 인식 단어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상기 인식 단어들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610)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관련된 진료과목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인식 단어와 상기 진료과목 정보 간의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610)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되는 인식 단어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의 컨텍스트 간의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은,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관련된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인식 단어의 위치와 상기 문서 구조 정보 간의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610)은, 상기 인식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1 인식 단어와 제 2 인식 단어―상기 제 2 인식 단어는 상기 제 1 인식 단어와 상이함―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제 1 인식 단어와 상기 제 2 인식 단어의 컨텍스트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인식 단어와 상기 제 2 인식 단어의 컨텍스트 분석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로직은, 상기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 상기 제 2 인식 단어에 대한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연관 단어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공통 연관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연관 단어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급여 항목 정보와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급여 항목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상기 급여 항목 정보를 상기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연관 단어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은,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제 1 인식 단어의 항목과 유사한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과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가 포함하는 상기 제 2 인식 단어의 항목과 유사한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을 비교하여, 상기 제 1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1 유사 항목 단어와 상기 제 2 유사 항목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2 유사 항목 단어 각각의 의미 유사도를 산출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제 1 유사 항목 단어와 상기 제 2 유사 항목 단어의 상기 의미 유사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의미 유사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 1 유사 항목 단어 및 상기 제 2 유사 항목 단어를 상기 공통 연관 단어 정보로 결정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로직(630)은, 상기 인식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상기 인식 단어 및 상기 인식 단어 각각에 관한 상기 연관성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하기 위한 로직 및 상기 클러스터에 관한 표준 단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스터에 관한 표준 단어를 결정하기 위한 로직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해서 상기 표준 단어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클러스터가 포함하는 상기 인식 단어 중 하나를 통계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로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로직은,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모듈, 회로 또는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200)를 통해 인식 단어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 데이터베이스(40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일한 명칭 및 용어에 대해서 의료기관마다 서로 상이하게 표현하여, 사용자의 혼란과 및 보험사의 업무 로드가 증가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비급여 항목에 대해서 병원마다 다른 명칭과 비용을 책정하여, 소비자가 다른 병원의 상품들과 명확하게 비교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에 대한 간략하고 일반적인 개략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전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본 개시가 기타 프로그램 모듈들과 결합되어 및/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의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의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기타 등등을 포함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방법이 단일-프로세서 또는 멀티프로세서 컴퓨터 시스템, 미니컴퓨터, 메인 프레임 컴퓨터는 물론 퍼스널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팅 장치,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가능 가전 제품, 기타 등등(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장치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음)을 비롯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본 개시의 설명된 실시예들은 또한 어떤 태스크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원격 처리 장치들에 의해 수행되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 둘 다에 위치할 수 있다.
컴퓨터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매체는 그 어떤 것이든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일시적(transitory) 및 비일시적(non-transitory)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 휘발성 매체, 일시적 및 비-일시적 매체, 이동식 및 비이동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DVD(digital video disk)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통상적으로 반송파(carrier wave)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transport mechanism)과 같은 피 변조 데이터 신호(modulated data signal)에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 등을 구현하고 모든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피 변조 데이터 신호라는 용어는 신호 내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그 신호의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설정 또는 변경시킨 신호를 의미한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직접 배선 접속(direct-wired connection)과 같은 유선 매체, 그리고 음향, RF, 적외선, 기타 무선 매체와 같은 무선 매체를 포함한다. 상술된 매체들 중 임의의 것의 조합도 역시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의 범위 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컴퓨터(1102)를 포함하는 본 개시의 여러가지 측면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환경(1100)이 나타내어져 있으며, 컴퓨터(1102)는 처리 장치(1104), 시스템 메모리(1106) 및 시스템 버스(1108)를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1108)는 시스템 메모리(1106)(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비롯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을 처리 장치(1104)에 연결시킨다. 처리 장치(1104)는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듀얼 프로세서 및 기타 멀티프로세서 아키텍처도 역시 처리 장치(1104)로서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 버스(1108)는 메모리 버스, 주변장치 버스, 및 다양한 상용 버스 아키텍처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에 추가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106)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1110)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를 포함한다.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은 ROM, EPROM, EEPROM 등의 비 휘발성 메모리(1110)에 저장되며, 이 BIOS는 시동 중과 같은 때에 컴퓨터(1102)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일을 돕는 기본적인 루틴을 포함한다. RAM(1112)은 또한 데이터를 캐싱하기 위한 정적 RAM 등의 고속 RAM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1102)는 또한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1114)(예를 들어, EIDE, SATA)-이 내장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는 또한 적당한 섀시(도시 생략) 내에서 외장형 용도로 구성될 수 있음-, 자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1116)(예를 들어, 이동식 디스켓(1118)으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예를 들어, CD-ROM 디스크(1122)를 판독하거나 DVD 등의 기타 고용량 광 매체로부터 판독을 하거나 그에 기록을 하기 위한 것임)를 포함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11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1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120)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4),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6)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128)에 의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될 수 있다. 외장형 드라이브 구현을 위한 인터페이스(1124)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및 IEEE 1394 인터페이스 기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둘 다를 포함한다.
이들 드라이브 및 그와 연관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데이터, 데이터 구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기타 등등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컴퓨터(1102)의 경우, 드라이브 및 매체는 임의의 데이터를 적당한 디지털 형식으로 저장하는 것에 대응한다. 상기에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대한 설명이 HDD, 이동식 자기 디스크, 및 CD 또는 DVD 등의 이동식 광 매체를 언급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집 드라이브(zip drive),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카트리지, 기타 등등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다른 유형의 매체도 역시 예시적인 운영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 임의의 이러한 매체가 본 개시의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운영 체제(1130),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132), 기타 프로그램 모듈(1134) 및 프로그램 데이터(1136)를 비롯한 다수의 프로그램 모듈이 드라이브 및 RAM(1112)에 저장될 수 있다.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모듈 및/또는 데이터의 전부 또는 그 일부분이 또한 RAM(1112)에 캐싱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여러가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유선/무선 입력 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1138) 및 마우스(1140) 등의 포인팅 장치를 통해 컴퓨터(1102)에 명령 및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도시 생략)로는 마이크, IR 리모콘, 조이스틱, 게임 패드, 스타일러스 펜, 터치 스크린, 기타 등등이 있을 수 있다. 이들 및 기타 입력 장치가 종종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장치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처리 장치(1104)에 연결되지만, 병렬 포트, IEEE 1394 직렬 포트, 게임 포트, USB 포트, IR 인터페이스, 기타 등등의 기타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모니터(1144) 또는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도 역시 비디오 어댑터(1146)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모니터(1144)에 부가하여,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스피커, 프린터, 기타 등등의 기타 주변 출력 장치(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한 원격 컴퓨터(들)(1148) 등의 하나 이상의 원격 컴퓨터로의 논리적 연결을 사용하여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원격 컴퓨터(들)(1148)는 워크스테이션, 컴퓨팅 디바이스 컴퓨터, 라우터, 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오락 기기, 피어 장치 또는 기타 통상의 네트워크 노드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컴퓨터(1102)에 대해 기술된 구성요소들 중 다수 또는 그 전부를 포함하지만, 간략함을 위해, 메모리 저장 장치(1150)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논리적 연결은 근거리 통신망(LAN)(1152) 및/또는 더 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원거리 통신망(WAN)(1154)에의 유선/무선 연결을 포함한다. 이러한 LAN 및 WAN 네트워킹 환경은 사무실 및 회사에서 일반적인 것이며, 인트라넷 등의 전사적 컴퓨터 네트워크(enterprise-wide computer network)를 용이하게 해주며, 이들 모두는 전세계 컴퓨터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L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또는 어댑터(1156)를 통해 로컬 네트워크(1152)에 연결된다. 어댑터(1156)는 LAN(1152)에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으며, 이 LAN(1152)은 또한 무선 어댑터(1156)와 통신하기 위해 그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다. WAN 네트워킹 환경에서 사용될 때, 컴퓨터(1102)는 모뎀(1158)을 포함할 수 있거나, WAN(1154) 상의 통신 컴퓨팅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또는 인터넷을 통하는 등, WAN(1154)을 통해 통신을 설정하는 기타 수단을 갖는다. 내장형 또는 외장형 및 유선 또는 무선 장치일 수 있는 모뎀(1158)은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1142)를 통해 시스템 버스(1108)에 연결된다. 네트워크화된 환경에서, 컴퓨터(1102)에 대해 설명된 프로그램 모듈들 또는 그의 일부분이 원격 메모리/저장 장치(115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시된 네트워크 연결이 예시적인 것이며 컴퓨터들 사이에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기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컴퓨터(1102)는 무선 통신으로 배치되어 동작하는 임의의 무선 장치 또는 개체, 예를 들어, 프린터, 스캐너, 데스크톱 및/또는 휴대용 컴퓨터, PDA(portable data assistant), 통신 위성, 무선 검출가능 태그와 연관된 임의의 장비 또는 장소, 및 전화와 통신을 하는 동작을 한다. 이것은 적어도 Wi-Fi 및 블루투스 무선 기술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은 종래의 네트워크에서와 같이 미리 정의된 구조이거나 단순하게 적어도 2개의 장치 사이의 애드혹 통신(ad hoc communication)일 수 있다.
Wi-Fi(Wireless Fidelity)는 유선 없이도 인터넷 등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Wi-Fi는 이러한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가 실내에서 및 실외에서, 즉 기지국의 통화권 내의 아무 곳에서나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셀 전화와 같은 무선 기술이다. Wi-Fi 네트워크는 안전하고 신뢰성 있으며 고속인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11(a,b,g, 기타)이라고 하는 무선 기술을 사용한다. 컴퓨터를 서로에, 인터넷에 및 유선 네트워크(IEEE 802.3 또는 이더넷을 사용함)에 연결시키기 위해 Wi-Fi가 사용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는 비인가 2.4 및 5 GHz 무선 대역에서, 예를 들어, 11Mbps(802.11a) 또는 54 Mbps(802.11b) 데이터 레이트로 동작하거나, 양 대역(듀얼 대역)을 포함하는 제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는 동작;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상기 인식 단어들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동작; 및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는 동작;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관련된 진료과목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와 상기 진료과목 정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동작; 및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는 동작;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가 포함하는 각각의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대한 컨텍스트 분석을 통해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에 관련된 문서 구조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의 위치와 상기 문서 구조 정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동작; 및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경우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동작들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그룹이 포함하는 제 1 인식 단어와 제 2 인식 단어―상기 제 2 인식 단어는 상기 제 1 인식 단어와 상이함―에 대해서 컨텍스트 분석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제 1 인식 단어에 대한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2 인식 단어에 대한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제 1 컨텍스트 분석 정보 및 상기 제 2 컨텍스트 분석 정보에 기초하여 공통 연관 단어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공통 연관 단어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동작; 및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인식 단어 간의 의미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은,
    상기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연관 질병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인식 단어 각각에 대해서 결정된 상기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동작; 및
    상기 연관 질병 정보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 단어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상기 인식 단어들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
  7.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코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를 글자 인식 모델을 통해 연산함으로써 인식 단어 그룹―상기 인식 단어 그룹은 둘 이상의 인식 단어를 포함함―을 추출하고,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초 문서 이미지 세트 중 상기 사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를 식별하고,
    상기 사용자에 관련한 기초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상기 인식 단어들 간의 연관성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인식 단어 그룹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그리고
    타겟 문서 이미지에서 인식된 비표준 단어를 상기 연관성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표준화 하는,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150036A 2018-11-28 2018-11-28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 KR102145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36A KR102145858B1 (ko) 2018-11-28 2018-11-28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36A KR102145858B1 (ko) 2018-11-28 2018-11-28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41A KR20200063841A (ko) 2020-06-05
KR102145858B1 true KR102145858B1 (ko) 2020-08-19

Family

ID=7108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036A KR102145858B1 (ko) 2018-11-28 2018-11-28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085B1 (ko) * 2020-11-25 2023-11-02 신현준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문서 관리 장치
KR20230094778A (ko) * 2021-12-21 2023-06-28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환자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444B1 (ko) 2013-04-05 2014-07-01 한국과학기술원 문서 분석 방법
KR101508849B1 (ko) 2013-10-24 2015-04-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용 정보 및 참조 정보를 활용하는 문서들 간의 유사도 측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774A (ko) * 2012-12-14 2014-06-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문서 클러스터링 기반 언어모델 적응 장치 및 방법
KR20150009106A (ko) * 2013-07-15 2015-01-26 주식회사 케이티 요약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KR101878217B1 (ko) * 2016-11-07 2018-07-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데이터의 매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444B1 (ko) 2013-04-05 2014-07-01 한국과학기술원 문서 분석 방법
KR101508849B1 (ko) 2013-10-24 2015-04-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용 정보 및 참조 정보를 활용하는 문서들 간의 유사도 측정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41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rma et al. Snuba: Automating weak supervision to label training data
Lee et al. Fingernail analysis management system using microscopy sensor and blockchain technology
US10949653B2 (en) Intelligent persona generation
Darapureddy et al. Optimal weighted hybrid pattern for content based medical image retrieval using modified spider monkey optimization
CN110163111A (zh) 基于人脸识别的叫号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ong et al. Spartan face mask detection and facial recognition system
Abu Doush et al. Harmony search algorithm for patient admission scheduling problem
KR102122561B1 (ko) 문서 이미지 상에서 글자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Wanyan et al. Deep learning with heterogeneous graph embeddings for mortality prediction from electronic health records
Herbadji et al. Combining multiple biometric traits using asymmetric aggregation operators for improved person recognition
KR102145858B1 (ko) 문서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용어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
Desarkar et al. Big-data analytic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scalable/parallel/distributed algorithms
Thandaga Jwalanaiah et al. Effective deep learning based multimodal sentiment analysis from unstructured big data
Shi et al. Boosting sparsity-induced autoencoder: A novel sparse feature ensemble learning for image classification
US11495338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istributing medication
El Sayed et al. Efficient 3D point clouds classification for face detection using linear programming and data mining
Goundar Improved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integrat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and transfer learning for shoeprint image classification
Borah et al. Image retrieval using neural networks for word image spotting—a review
Kumar et al. Unimodal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on Resnet-50 residual block in deep learning environment fused with serial fusion
US2024004610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xpanding clinical cohorts for improved efficacy of supervised learning
Karobari et al. Histopathological Image Segmentation Using Modified Kernel-Based Fuzzy C-Means and Edge Bridge and Fill Technique
US202302304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edistributing medication
García-Ródenas et al. On the performance of classic and deep neural models in image recognition
Liu et al. Handwritten letter recognition using LetNET
Mirzaei Impact evaluation of skin color, gender, and, hair on the performance of EigenFace, ICA, and CNN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