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14B1 -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14B1
KR102145714B1 KR1020200025747A KR20200025747A KR102145714B1 KR 102145714 B1 KR102145714 B1 KR 102145714B1 KR 1020200025747 A KR1020200025747 A KR 1020200025747A KR 20200025747 A KR20200025747 A KR 20200025747A KR 102145714 B1 KR102145714 B1 KR 102145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er
dial
locking operation
operation uni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to KR1020200025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7/00Permutation or combination locks; Puzzle locks
    • E05B37/0031Locks with both permutation and key actuation
    • E05B37/0041Key actuation allowing recovery of a lost/forgotten combin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사물함에서 로킹조작부를 걸림 해제시 설정복원부가 다이얼을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한 비밀번호로 복원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는 도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사물함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로킹조작부와, 상기 로킹조작부에 연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 해제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다이얼뭉치 및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뭉치의 비밀번호를 잊을시 마스터키를 이용해 상기 다이얼뭉치를 설정 비밀번호로 복원시키는 설정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DIAL LOCKING DEVICE FOR LOCKER}
본 발명은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사물함에서 로킹조작부를 걸림 해제시 설정복원부가 다이얼을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한 비밀번호로 복원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및 도서관이나 많은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에는 사물함이 설치되어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함은 도어를 열거나 잠글 수 있도록 열쇠를 이용한 잠금장치와, 비밀번호를 설정하여 잠금장치의 작동을 허용 또는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다이얼이 구비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사물함은 먼저 전용키나 열쇠를 이용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다이얼을 이용해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에 도어를 닫고, 잠금레버를 회전시켜 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한다. 그런 다음 다이얼을 무작위로 회전시켜 사용자만의 비밀번호를 설정 및 인지하여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물함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려 도어를 개방시킬 수 없는 경우 관리자의 마스터키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재설정해야 함에 따라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한 비밀번호를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1499호(2018.04.17. 등록, 명칭: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사물함에서 로킹조작부를 걸림 해제시 설정복원부가 다이얼을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한 비밀번호로 복원시킴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는 도어에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사물함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로킹조작부와, 상기 로킹조작부에 연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 해제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다이얼뭉치 및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뭉치의 비밀번호를 잊을시 마스터키를 이용해 상기 다이얼뭉치를 설정 비밀번호로 복원시키는 설정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킹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마스터키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는 연동축부 및 상기 연동축부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사물함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작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얼뭉치는 상기 로킹조작부에 연동되어 축 방향으로 복원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이동축부와, 상기 제1이동축부에 복수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기어부재와, 상기 제1기어부재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둘레면에 번호가 기재되는 다이얼 및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과 설정 비밀번호가 불일치시 상기 로킹조작부의 회전 조작을 방지시키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복원부는 상기 로킹조작부에 연동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이동축부와, 상기 제2이동축부에 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제2기어부재 및 상기 제2이동축부의 이동시 상기 제2기어부재가 상기 제1기어부재에 맞물리거나 어긋나도록 상기 제2기어부재를 승강 회전시키는 승강회전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승회전안내부는 상기 제2이동축부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키부재 및 상기 키부재가 나선형의 궤적으로 이동되도록 제2기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키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는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사물함에서 로킹조작부를 걸림 해제시 설정복원부가 다이얼을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한 비밀번호로 복원시키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 및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를 도시한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에서 다이얼 뭉치과 설정복원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에서 설정복원부의 승강회전안내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에서 설정복원부의 승강회전안내부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에서 하우징이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는 하우징(100), 로킹조작부(200), 다이얼뭉치(300) 및 설정복원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도어(5)에 장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개방되어 로킹조작부(200), 다이얼뭉치(300) 및 설정복원부(40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110) 및 케이스(110)의 개방 부위를 커버하여 로킹조작부(200) 및 다이얼뭉치(300)를 노출시키는 커버(120)를 포함한다.
물론, 하우징(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의 전방에 돌출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에 노출 가능하게 매립될 수도 있다.
그리고, 로킹조작부(200)는 하우징(100)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사물함(3)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된다. 이를 위해, 로킹조작부(200)는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레버(210)와, 조작레버(210)에 연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마스터키(M)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부(211)가 형성되는 연동축부(220) 및 연동축부(220)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물함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작동부(230)를 포함한다.
다이얼뭉치(300)는 로킹조작부(200)에 연동되도록 하우징(100)에 구비되고, 로킹조작부(200)가 사물함에 로킹 해제된 상태에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제1이동축부(310), 제1기어부재(320), 다이얼(330) 및 회전방지부(3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이동축부(310)는 로킹조작부(200)의 조작레버(210)에 연동되어 축 방향으로 복원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하우징(100)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이동축부(310)는 조작레버(210)의 회전 조작으로 걸림작동부(230)를 사물함에 걸림 해제시키면 조작레버(210)의 반대 측으로 축 이동되고, 반대로 걸림작동부(230)를 사물함에 걸리도록 조작레버(210)를 회전시키면 조작레버(210) 측으로 복원된다.
이를 위해, 제1이동축부(310)의 일측은 조작레버(210)에 회전 방지되도록 수용된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지지브라켓(311)이 끼움 조립되고, 제1이동축부(310)의 타측에는 커넥팅로드(312)가 끼워지며, 지지브라켓(311)과 커넥팅로드(312)의 사이에는 스프링(313)이 구비되어 지지브라켓(311)과 커넥팅로드(312)에 탄성 지지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케이스(110)에는 지지브라켓(311)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슬라이드홈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스프링(313)은 끼움결합부(314)에 의해 지지브라켓(311)과 커넥팅로드(3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결합부(314)는 지지브라켓(311)에 돌출 형성되어 스프링(313)의 일측에 끼워지는 제1끼움축부(314a) 및 커넥팅로드(312)에 구비되어 스프링(313)의 타측에 끼워지는 제2끼움축부(314b)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1이동축부(310)는 조작레버(210)의 회전 조작시 축 방향으로 복원 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제1기어부재(320)는 제1이동축부(310)에 복수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제1기어부재(320)는 다이얼(330)과 함께 회전되도록 다이얼(330)을 지지하는 동시에 로킹조작부(200)의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림시 설정복원부(400)의 제2기어부재(420)와 맞물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다이얼(330)은 제1기어부재(320)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둘레면에 번호가 기재된다. 이때, 다이얼부(330)는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림 해제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하우징(100)에 노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회전시 제1기어부재(320)를 함께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다이얼(330)의 내측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요철부(331)가 구비되고, 제1기어부재(320)에는 제1요철부(331)에 구속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요철부(332)가 구비된다.
한편, 회전방지부(340)는 로킹조작부(200)의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로킹된 상태에서 다이얼(330)이 설정 비밀번호에 불일치시 로킹조작부(200)의 회전 조작을 방지시킨다.
이러한 회전방지부(340)는 다이얼(330)에 수용되도록 제1기어부재(320)에 연장 형성되고, 둘레면에 걸림홈부(341a)가 함몰 형성된 슬리브(341) 및 걸림홈부(341a)에 이탈 가능하게 걸리도록 제1이동축부(310)의 둘레면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부(342)를 포함한다.
즉, 걸림돌기부(342)는 다이얼(330)의 둘레면에 기재된 번호와 비밀번호가 일치된 상태에서 걸림작동부(230)를 사물함에 로킹 해제시키면 제1이동축부(310)가 축 이동되어 걸림홈부(341a)에 걸리도록 수용되고, 걸림작동부(230)를 사물함에 로킹시키면 제1이동축부(310)가 축 이동되어 걸림홈부(341a)에서 이탈된다. 이로써,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로킹된 상태에서 다이얼(330)의 둘레면에 기재된 번호와 비밀번호가 불일치되면 걸림돌기부(342)가 걸림홈부(341a)에 수용될 수 없어 제1이동축부(310)의 축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조작레버(210)의 회전 조작이 방지된다.
또한, 다이얼(330)은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림시 탄성부여부(350)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을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여부(350)는 로킹조작부(200)의 연동축부(220)에 연동되어 슬라이드 승강되도록 하우징(100)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바(351) 및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슬라이드바(351)가 하강시 다이얼(330)의 둘레면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부(352)를 구비한다.
이로써, 다이얼(330)은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림 해제시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림시 설정된 힘 이상의 조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설정복원부(400)는 로킹조작부(200)가 사물함에 로킹된 상태에서 다이얼뭉치(300)의 비밀번호를 잊을시 마스터키(M)를 이용해 다이얼뭉치(300)를 설정 비밀번호로 복원시키는 것으로서, 제2이동축부(410), 제2기어부재(420) 및 승강회전안내부(4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이동축부(410)는 로킹조작부(200)의 연동축부(220)에 연동되어 축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하우징(100)에 구비된다. 즉, 제2이동축부(410)는 조작레버(210)의 회전 조작으로 걸림작동부(230)를 사물함에 걸림 해제시키면 하강하고, 반대로 걸림작동부(230)를 사물함에 걸리도록 조작레버(210)를 회전시키면 상승한다. 이를 위해, 연동축부(220)의 둘레면에는 제1연동부재(221)가 돌출 형성되고, 제2이동축부(410)의 상단부에는 제1연동부재(221)를 걸림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홈부(412)가 형성된 제2연동부재(4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기어부재(420)는 복수개가 제2이동축부(41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제2기어부재(420)는 승강회전안내부(430)에 의해 로킹조작부(200)의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림시 제1기어부재(320)와 맞물리도록 회전 이동되고,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림 해제시 제1기어부재(320)와 어긋나도록 회전 이동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승강회전안내부(430)는 제2이동축부(410)의 이동시 제2기어부재(420)가 제1기어부재(320)에 맞물리거나 어긋나도록 제2기어부재(420)를 승강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제2이동축부(410)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키부재(431) 및 제2기어부재(420)에 구비되어 키부재(431)가 나선형의 궤적으로 이동되도록 제2기어부재(420)에 구비되어 키부재(431)를 수용하는 가이드부(432)를 포함한다.
이때, 키부재(431)의 일단부에는 경사면부(431a)가 대칭되고 형성되고, 가이드부(432)의 내측면에는 경사면(413a)에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는 나선돌부(432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림 해제시 제2기어부재(420)는 제1기어부재(320)로부터 어긋남으로써, 다이얼(330)의 비밀번호를 설정 가능하게 안내한다.
즉,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다이얼(330)의 비밀번호를 흩트리면 제1기어부재(320)와 제2기어부재(420)는 함께 회전된다. 이때, 삽입홀부(211)에 마스터키(M)를 삽입하여 걸림작동부(230)가 사물함에 걸림 해제되도록 연동축부(220)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부재(420)는 다이얼(330)에 기재된 번호가 설정 비밀번호에 일치되도록 제1기어부재(320)를 복원 회전시킨 후 제1기어부재(320)와 어긋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케이스
120: 커버 200: 로킹조작부
210: 조작레버 211: 삽입홀부
220: 연동축부 221: 제1연동부재
230: 걸림작동부 300: 다이얼뭉치
310: 제1이동축부 311: 지지브라켓
312: 커넥팅로드 313: 스프링
320: 제1기어부재 330: 다이얼
340: 회전방지부 341: 슬리브
342: 걸림돌기부 350:탄성부여부
351: 슬라이드바 352: 탄성가압부
400: 설정복원부 410: 제2이동축부
411: 제2연동부재 412: 수용홈부
420: 제2기어부재 430: 승강회전안내부
431: 키부재 432: 가이드부

Claims (5)

  1. 도어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사물함에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로킹조작부;
    상기 로킹조작부에 연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 해제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다이얼뭉치; 및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뭉치의 비밀번호를 잊을시 마스터키를 이용해 상기 다이얼뭉치를 설정 비밀번호로 복원시키는 설정복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뭉치는 상기 로킹조작부에 연동되어 축 방향으로 복원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이동축부와, 상기 제1이동축부에 복수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기어부재와, 상기 제1기어부재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둘레면에 번호가 기재되는 다이얼 및 상기 로킹조작부가 상기 사물함에 로킹된 상태에서 상기 다이얼과 설정 비밀번호가 불일치시 상기 로킹조작부의 회전 조작을 방지시키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복원부는 상기 로킹조작부에 연동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2이동축부와, 상기 제2이동축부에 축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제2기어부재 및 상기 제2이동축부의 이동시 상기 제2기어부재가 상기 제1기어부재에 맞물리거나 어긋나도록 상기 제2기어부재를 승강 회전시키는 승강회전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회전안내부는 상기 제2이동축부의 둘레면에 복수개가 돌출 형성되는 키부재 및 상기 키부재가 나선형의 궤적으로 이동되도록 제2기어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키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지지브라켓이 끼움 조립되고, 상기 제1이동축부에는 커넥팅로드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커넥팅로드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커넥팅로드에 탄성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은 끼움결합부에 의해 상기 지지브라켓과 상기 커넥팅로드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끼움결합부는 지지브라켓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끼워지는 제1끼움축부 및 커넥팅로드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타측에 끼워지는 제2끼움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레버;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마스터키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는 연동축부; 및
    상기 연동축부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사물함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는 걸림작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25747A 2020-03-02 2020-03-02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KR10214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47A KR102145714B1 (ko) 2020-03-02 2020-03-02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47A KR102145714B1 (ko) 2020-03-02 2020-03-02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714B1 true KR102145714B1 (ko) 2020-08-19

Family

ID=72291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747A KR102145714B1 (ko) 2020-03-02 2020-03-02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7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29B1 (ko) 2021-05-10 2021-10-18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KR102323898B1 (ko) 2021-05-10 2021-11-09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KR102336956B1 (ko) 2021-05-10 2021-12-08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381A (ja) * 1994-06-21 1996-01-09 Sanpou Lock Co Ltd 符号合わせ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381A (ja) * 1994-06-21 1996-01-09 Sanpou Lock Co Ltd 符号合わせ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629B1 (ko) 2021-05-10 2021-10-18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KR102323898B1 (ko) 2021-05-10 2021-11-09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KR102336956B1 (ko) 2021-05-10 2021-12-08 정태원 다이얼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714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KR101980094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US6668603B2 (en) Door locking handle assembly
JP3522715B2 (ja) 符号合わせ錠組込み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5886808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KR100674684B1 (ko) 이중잠금 자동해제기능을 갖는 전자도어락
KR101876857B1 (ko) 다이얼 자물쇠
KR102495927B1 (ko) 비밀번호 변경이 용이한 다이얼 잠금장치
KR102145715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KR102057285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자물쇠
JP3017276B2 (ja) シリンダ錠
JP5034065B2 (ja) 施錠装置、及び収納家具
KR20220073228A (ko) 손잡이 회전 조작이 필요없는 도어락 장치
CN113006612A (zh) 具有钥匙俘获设计的双重锁定功能的钩状物锁具
KR102285508B1 (ko) 사물함용 다이얼 잠금장치
JP6080347B2 (ja) 錠前装置
KR102498722B1 (ko) 비밀번호 설정이 용이한 다이얼 자물쇠
KR102332677B1 (ko) 열림 상태에서 다이얼링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
US20230212878A1 (en) Code changing structure applied to key coded lock
KR102313629B1 (ko) 다이얼 잠금장치
JP4445211B2 (ja) サムターン
KR102336956B1 (ko) 다이얼 잠금장치
JP6080348B2 (ja) 錠前装置
KR200495519Y1 (ko) 디지털 도어락
KR102323898B1 (ko) 다이얼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