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960B1 -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960B1
KR102144960B1 KR1020200039565A KR20200039565A KR102144960B1 KR 102144960 B1 KR102144960 B1 KR 102144960B1 KR 1020200039565 A KR1020200039565 A KR 1020200039565A KR 20200039565 A KR20200039565 A KR 20200039565A KR 102144960 B1 KR102144960 B1 KR 102144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crete
waste oil
refined oil
add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목
Original Assignee
(주)씨엔루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루브 filed Critical (주)씨엔루브
Priority to KR102020003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4Tre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 B28B7/388Treating surfaces of moulds, cores, or mandrels to prevent sticking with liquid material, e.g. lubric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08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with the use of adsorb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25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by therm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5/00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 C10M175/0058Working-up used lubricants to recover useful products ; Cleaning by filtration and centrifugation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7/00Special methods of preparation of lubricating compositions; 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of components or of the whole of a lubricating composition,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0Inhibition of oxidation, e.g.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2Inhibition of corrosion, e.g. anti-rust agents or anti-corro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8Anti-foaming proper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36Release agents or mold release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유를 활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면서, 콘크리트 박리상태 및 표면상태가 우수하고 방청성능 및 부식성능이 우수하며 인화점이 높아 화재의 위험성이 없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겨울에도 얼지않으며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등 성능이 우수한 유성 탈형제를 제조하는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폐유를 정제하여 정제유를 제조하는 정제유제조공정; 정제유제조공정에서 제조한 정제유를 혼합탱크에 투입하는 정제유투입공정; 혼합탱크의 내부온도를 40℃까지 승온시키는 가열공정; 계면활성제, 유동점강하제, 방향첨가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원료 및 첨가제를 혼합탱크에 투입하는 원료및첨가제투입공정; 혼합탱크 내부의 원료 및 첨가제를 80rpm 이상 120rpm 이하로 1시간동안 교반하는 교반공정; 유동점 및 인하점에 대하여 검사를 실시하는 중간검사공정; 10㎛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공정; 및 콘크리트박리상태, 콘크리트 폼상태, 콘크리트 표면상태, 기름 기포상태, 공기 기포상태, 유동점, 인화점 및 방청성능을 포함한 제품의 상태를 시험하는 최종검사공정을 포함하는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oily release agent using waste oil}
본 발명은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폐유를 활용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면서, 콘크리트 박리상태 및 표면상태가 우수하고 방청성능 및 부식성능이 우수하며 인화점이 높아 화재의 위험성이 없고, 유동성이 우수하여 겨울에도 얼지않으며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등 성능이 우수한 유성 탈형제를 제조하는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용 거푸집 유성 탈형제라 함은 철근 콘크리트의 구조물의 골조 공사 시 거푸집내 투입된 콘크리트가 성형후 부드럽게 잘 떼어 내어 질수 있도록 거푸집 내면에 바르는 오일을 말하는 것으로 성형된 콘크리트가 거푸집으로부터 잘 떼어지는 것은 물론 콘크리트의 내면에 흠이나 거칠음, 얼룩, 곰보 등이 없어야 하고 또한 철근에 녹을 유발하거나 환경에 대한 오염이 적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건설현장의 경제성, 시공성, 친환경 등으로 종전의 목재 거푸집에서 다양한 금속재질의 거푸집이 개발되고 있고 이의 사용이 증대 되고 있는 실정인 만큼 거푸집에 대한 영향도 미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건설용 거푸집 유성 탈형제의 적용분야는 대형건축물, 아파트, 터널, 항만, 교량, 지하철, 데트라포드, 전봇대, 등 이루 말할 수 없이 우리의 생활환경에 두루 걸쳐져 있으며 적용분야에 따라 구조물의 표면품질과 함께 탈형제의 품질요건도 달라지게 된다.
현재 국내 콘크리트 탈형제의 기술은 지금까지는 저가를 선호하는 건설사 등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기술력 한계와 개발의지가 약한 탓으로 유럽 및 미국의 해외 선진국들에 비해 매우 취약한 편이나 최근에는 일반 아파트는 물론, 기타 구조물에 있어서도 콘크리트의 표면 품질을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탈형제의 품질도 매우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고품질의 탈형제을 위해 중소기업을 주자로 하여 일반 소기업까지 현재 기술개발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건설비용의 절감과 현장에서의 고정관념 등으로 저가의 유성탈형제가 주도를 하고 있는 만큼 저가의 탈형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페유를 정제한 정제유를 기초로하고 여기에 필요한 첨가제를 첨가하여 최대한 품질과 가격을 고려한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895520호(2018.09.05.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폐유를 활용하여 콘크리트박리상태 및 표면상태, 방청성능 및 부식성능이 우수하고, 인화점이 높아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유동성이 우수하여 겨울에도 얼지않고,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등 성능이 우수한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은 폐유를 정제하여 정제유를 제조하는 정제유제조공정; 정제유제조공정에서 제조한 정제유를 혼합탱크에 투입하는 정제유투입공정; 혼합탱크의 내부온도를 40℃까지 승온시키는 가열공정; 계면활성제, 유동점강하제, 방향첨가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원료 및 첨가제를 혼합탱크에 투입하는 원료및첨가제투입공정; 혼합탱크 내부의 원료 및 첨가제를 80rpm 이상 120rpm 이하로 1시간동안 교반하는 교반공정; 유동점 및 인하점에 대하여 검사를 실시하는 중간검사공정; 10㎛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공정; 및 콘크리트박리상태, 콘크리트 폼상태, 콘크리트 표면상태, 기름 기포상태, 공기 기포상태, 유동점, 인화점 및 방청성능을 포함한 제품의 상태를 시험하는 최종검사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정제유제조공정은 폐유를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차여과공정,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폐유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및 슬러지를 분리하여 정제하는 원심분리공정, 110℃까지 온도를 올려 폐유에 혼입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가열공정,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백토를 투입하여 100rpm의 속도로 교반하는 백토처리공정, 폐유에 혼입되어 있는 수분이 500ppm이하가 되면 60℃ 내지 80℃까지 자연 냉각시킨후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첨가제를 투입하는 냉각 및 첨가제투입공정, 200mesh 필터를 이용하여 백토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차여과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정제유투입공정에서 투입되는 정제유의 중량비는 93% 내지 99%인 것; 원료및첨가제투입공정에서 투입되는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0.1% 내지 0.5%, 유동점강하제의 중량비는 0.1% 내지 0.5%, 방청첨가제의 중량비는 0.3% 내지 1.5%, 소포제는 0.01% 내지 0.2%, 산화방지 및 부식방지제의 중량비는 0.5% 내지 5% 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유를 사용하여도 콘크리트박리상태 및 표면상태, 방청성능 및 부식성능이 우수하고, 인화점이 높아 화재의 위험성이 없으며, 유동성이 우수하여 겨울에도 얼지않고,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등 성능이 우수한 콘크리트 유성 탈형제를 제조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폐유를 활용한 정제유 제조공정의 공정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폐유를 활용한 정제유 제조공정의 공정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집풍장치가 구비된 수직축 풍력발전기는, 도 1 을 참조하면, 정제유제조공정(S100), 정제유투입공정(S200), 가열공정(S300), 원료및첨가제투입공정(S400), 교반공정(S500), 중간검사공정(S600), 여과공정(S700), 최종검사공정(S8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의 구성 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정제유제조공정(S100)에서는 폐유를 정제하여 정제유를 제조하며, 정제유제조공정(S100)은 제1차여과공정(S110), 원심분리공정(S120), 가열공정(S130), 백토처리공정(S140), 냉각및첨가제투입공정(S150), 제2차여과공정(S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차여과공정(S110)에서는 폐유를 필터에 통과시켜 폐유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한다.
원심분리공정(S120)에서는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폐유에 포함되어있는 중금속 및 슬러지를 분리하여 정제한다.
수분제거공정(S130)에서는 폐유가 들어있는 탱크를 보일러를 가동하여 온도를 서서히 올려 110℃까지 가열시켜 폐유에 혼입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킨다.
수분제거공정(S130)에서 가열시키는 시간은 폐유에 함유된 수분의 양예따라 달리하며, 가열된 폐유의 샘플을 채취하여 폐유에 혼입된 수분의 함량이 500ppm이하가 될때 까지 가열한다.
수분제거공정(S130)에서 가열온도가 110℃ 이하가 되면 수분이 증발되지 못하거나 수분이 증발되더라도 매우 오랜시간이 걸리며, 110℃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폐유가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가열온도는 110℃를 유지한다.
백토처리공정(S140)에서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백토를 투입하고 100rpm의 속도로 교반시킨다.
백토를 이용하여 폐유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며, 백토는 폐유의 불순물 함량에 따라 중량비 1% 내지 3% 첨가한다.
냉각및첨가제투입공정(S150)에서는 폐유에 혼입되어 있는 수분이 500ppm이하가 되어 수분이 충분히 증발되고, 백토처리공정에 의하여 불순물이 제거가 되면,60℃ 내지 80℃ 까지 자연냉각시킨 후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첨가제를 투입한다.
첨가제를 투입할때, 산화방지제는 중량비 0.3%, 부식방지제는 중량비 0.5%로 투입한다. 첨가제 투입 후 30분간 교반하여 첨가제가 충분히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여과공정(S160)에서는 냉각및첨가제투입공정(S150)에서 교반을 통하여 첨가제가 완전히 혼합이 되면 첨가제가 혼합된 혼합유를 200mesh 필터를 이용하여 백토 및 슬러지를 포함한 불순물을 제거한다.
냉각및첨가제투입공정(S150)에서 60℃ 내지 80℃ 까지 냉각시키고 이 온도를 제2여과공정까지 유지한다. 이보다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정제유의 점성이 높아져 여과가 잘 안되므로 이 온도를 유지한다.
정제유투입공정(S200)에서는 정제유제조공정(S100)에서 제조한 정제유를 전체 중량비 95% 내지 99%로 투입한다.
가열공정(S300)에서는 혼합탱크의 내부온도를 40℃까지 승온시킨다.
원료및첨가제투입공정(S400)에서는 계면활성제, 유동점강하제, 방향첨가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원료 및 첨가제를 혼합탱크에 투입한다. 첨가제를 투입할때, 계면활성첨가제, 유동점강하제, 방청첨가제, 소포제, 기타 첨가제의 순으로 투입한다.
교반공정(S500)에서는 혼합탱크 내보의 원료 및 첨가제를 80rpm 이상 120 rpm 이하로 1시간동안 교반한다. 교반은 50℃ 내지 70℃에서 수행되며, 교반온도가 50℃ 미만일 경우 비교적 점성이 있는 윤활성능향상첨가제와 탈형 및 점착성능향상첨가제 그리고 부식 및 방청첨가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을 수 있으며, 50℃ 내지 70℃ 온도 범위내에서 용해가 가장 효과적으로 잘되며, 70℃ 이상에는 유의미한 효가가 없으며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물성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50℃ 내지 70℃에서 교반을 수행 하도록 한다.
중간검사공정(S600)에서는 제품의 품질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탈형성 시험에 대하여 중간검사를 실시한다.
중간검사공정(S600)에서 혼합유가 유동점 -20℃이하, 인화점 100℃ 이상인 경우 다음공정으로 넘어간다.
여과공정(S700)에서는 10㎛필터를 이용하여 혼합유내부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한다.
최종검사공정(S800)에서는 콘크리트박리상태, 콘크리트 폼상태, 콘크리트 표면상태, 기름 기포상태, 공기 기포상태, 유동점, 인화점 및 방청성능을 포함한 제품의 상태를 시험한다.
정제유, 계면활성첨가제, 유동점강하제, 방청첨가제, 소포제, 기타첨가제를 포함한 원료의 조성비율은 정제유 94.5%, 계면활성제 0.5%, 유동점강하제 0.4%, 방청첨가제 0.9%, 소포제 0.01%,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기타첨가제 3.69%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비율은 아래표와 같이 시험을 거쳐 시행착오법으로 구한 최적의 조성비율이다. 표1은 시료에 따른 조성비율을 나타낸 표이다.
시 료
번 호
정제유 계면활성
첨가제
유동점
강하제
방청
첨가제
소포제 기타
첨가제 등
1 96.1 0 0.1 0.3 0 3.5 100
2 95 0.1 0.1 0.6 0 4.2 100
3 94.2 0.2 0.2 0.9 0 4.5 100
4 93.7 0.5 0.2 1.2 0 4.4 100
5 93 0.2 0.3 1.5 0 5 100
6 94 0.5 0.3 0.3 0.01 4.89 100
7 94.5 0.5 0.4 0.6 0.01 3.99 100
8 94.5 0.5 0.4 0.9 0.01 3.69 100
9 93.6 0.5 0.5 1.2 0.01 4.19 100
10 93 0.5 0.5 1.5 0.01 4.49 100
단위 : %
표2는 각 시료별 조성비율에 따른 콘크리트박리상태, 콘크리트폼상태, 콘크리트 표면상태, 기름기포상태, 공기기포상태, 유동점, 인화점 및 방청성능에 대한 시험결과이다.
시 료
번 호
콘크리트 박리상태 콘크리트 폼상태 콘크리트 표면상태 기름
기포상태
공기
기포상태
유동점
(℃)
인화점
(℃)
방청성능(60℃,증류수/24h)
1 불량 이상없음 불량 이상없음 불량 -21 218 녹 발생
2 불량 이상없음 불량 이상없음 불량 -21 216 녹 발생
3 불량 이상없음 불량 이상없음 불량 -27 216 녹 없음
4 불량 이상없음 불량 이상없음 불량 -27 208 녹 없음
5 불량 이상없음 불량 이상없음 불량 -27 209 녹 없음
6 부착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27 212 녹 발생
7 부착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27 214 녹 발생
8 부착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27 210 녹 없음
9 부착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27 214 녹 없음
10 부착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이상없음 -27 211 녹 없음
○ 시험결과에 대한 평가
1) 콘크리트 박리상태
KS L 5105. 3.4에 규정한 시험체 성형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탈형제를 성형틀 벽면에 골고루 분포한 다음 KS L 5201에 규정한 포틀랜드 시멘트와 KS L ISO 679에 규정한 모래와 물을 1 : 2.45 : 0.48(중량비)로 배합하여 성형틀에 넣고 KS L 5105. 10 시험체의 성형방법에 따라 시험체를 성형한 다음 상온상습에서 48시간 동안 양생시킨 후 탈형하여 콘크리트의 박리상태를 육안으로 판정한다. 시험체 탈형시 성형틀 표면에 콘크리트의 부착여부에 따라 합부 판정을 하는데 시료 1~5에서 콘크리트의 박리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정 되었고 시료 6~10에서는 박리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콘크리트의 폼 상태
콘크리트의 박리상태의 시험후 시험체(폼)에 균열이 가거나 모서리 부분이 파손이 되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판정하는데 본 시험에서는 첨가제와는 상관없이 모든 시료에서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콘크리트의 표면상태
콘크리트의 박리상태의 시험 후 시험체(폼) 표면에 이물질이나 흠집이 없어야 하며 시멘트의 밀도가 균일한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판정하는데 앞의 콘크리트의 박리상태와 마찬가지로 박리상태가 불량한 것이 표면상태도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 기름 기포상태
콘크리트의 박리상태의 시험후 시험체(폼) 표면에 기름방울(기포)로 인한 흠집이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판정하는데 모든 시료에서 기름의 기포상태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5) 공기 기포상태
콘크리트의 박리상태의 시험후 시험체(폼) 표면에 공기기포로 인한 흠집이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판정하는데 시료1~5에서 공기기포상태가 불량으로 나타났고, 시료6~10에서 공기의 기포 상태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6) 유동점
유동점은 저온에서 탈형제의 유동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서 상기 시험 결과에서 보듯이 유동점강하제를 0.1% 첨가한 시료 1,2는 유동점강하제를 0.2% 이상 첨가한 시료 3~10보다 유동점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0.2% 이상 첨가한 모든 시료에서는 모두 다 동일한 유동점이 발생함으로 유동점강하제의 첨가량은 0.2%이상이 적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7) 인화점
인화점은 탈형제가 화재위험으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는 평가시험으로 상기의 모든 시료에서 인화점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 났으며 전체적인 첨가제의 함량이 비교적 많은 시료보다 적은 시료가 다소 인화점이 높게 나타났으나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8) 방청성능
방청성능은 탈형제의 내방청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상기 시험결과, 방청첨가제가 0.6% 미만 첨가된 시료 1,2와 6,7에서 일부 녹이 발생되었고 0.9% 이상 첨가된 나머지 시료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방청첨가제의 함량은 0.9%가 적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9) 결론
시험과정에서 10개의 시료를 조제하여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Q마크 품질기준(유성박리제)를 토대로 품질을 검증한바, 시료8~10에서 현 규격에 만족하는 결과물을 얻을 수가 있었으며 이중 탈형제의 제조시 환경적인 문제 및 제조원가를 고려하여 폐유를 활용한 정제유의 함량이 높은 8번시료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성탈형제 조성에서 정제유가 조성비 미만일 경우 유효성분의 과다로 제조원가가 증가하고 조성비 이상일 경우 유효성분 부족이로 탈형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계면활성제가 조성비 미만일경우 습윤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거푸집과 콘크리트 표면간 계면장력의 저하로 탈형성이 떨어지며, 조성비 이상일 경우 탈형제의 색이 뿌옇게 변하며 탈셩제 액의 상태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유동점강하제가 조성비 미만일 경우, 유동점이 개선되는 효과가 없으며 조성비 이상일 경우 과량 투입하여도 유동점의 개선효과가 증가되지 않고 제조원가만 증가한다.
또한, 방청첨가제 및 소포제가 조성비 미만일 경우 부식 및 기포가 발생하며, 조성비 이상일 경우 과량 투입 하여도 방청 및 소포성은 개선되지 않고 제조원가만 증가한다.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기타 첨가제 또한 조성비 미만일 경우 산화방지 및 부식방지효과가 없으며, 조성비 이상일 경우 과량 투입하여도 산화방지 및 부식방지 효과는 개선되지 않고 제조원가만 증가한다.
따라서, 탈형제의 효과 및 제조원가 등을 고려하였을때, 시료 8의 함량비율인 정제유 94.5%, 계면활성제 0.5%, 유동점강하제 0.4%, 방청첨가제 0.9%, 소포제 0.01%,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기타첨가제 3.69%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에 의하면, 거푸집으로부터 탈형이 우수하고, 탈형 후 철골구조물에 녹이 발생하거나 금속 거푸집에 부식이 발생하지 않으며, 인화점이 높아 화재의 위험성이 없고, 저온에서도 유동성이 우수하여 겨울에도 얼지 않으며, 자극적인 냄새가 없고 기포발생이 없으며 환경과 인체에 영향이 적은 유성탈형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 정제유제조공정 S110 - 1차여과공정
S120 - 원심분리공정 S130 - 가열공정
S140 - 백토처리공정 S140 - 백토처리공정
S150 - 냉각및첨가제투입공정 S160 - 제2차여과공정
S200 - 정제유투입공정 S300 - 가열공정
S400 - 원료및첨가제투입공정 S500 - 교반공정
S600 - 중간검사공정 S700 - 여과공정
S800 - 최종검사공정

Claims (3)

  1. 폐유를 정제하여 정제유를 제조하는 정제유제조공정;
    정제유제조공정에서 제조한 정제유를 혼합탱크에 투입하는 정제유투입공정;
    혼합탱크의 내부온도를 40℃까지 승온시키는 가열공정;
    계면활성제, 유동점강하제, 방향첨가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원료 및 첨가제를 혼합탱크에 투입하는 원료및첨가제투입공정;
    혼합탱크 내부의 원료 및 첨가제를 50℃ 내지 70℃ 온도에서 80rpm 이상 120rpm 이하로 1시간동안 교반하는 교반공정;
    유동점 및 인하점에 대하여 검사를 실시하는 중간검사공정;
    10㎛필터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공정; 및
    콘크리트박리상태, 콘크리트 폼상태, 콘크리트 표면상태, 기름 기포상태, 공기 기포상태, 유동점, 인화점 및 방청성능을 포함한 제품의 상태를 시험하는 최종검사공정
    을 포함하고,
    정제유제조공정은
    폐유를 필터에 통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1차여과공정,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폐유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및 슬러지를 분리하여 정제하는 원심분리공정,
    110℃까지 온도를 올려 폐유에 혼입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키는 수분제거공정,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백토를 투입하여 100rpm의 속도로 교반하는 백토처리공정,
    폐유에 혼입되어 있는 수분이 500ppm이하가 되면 60℃ 내지 80℃까지 자연냉각시킨후 산화방지제 및 부식방지제를 포함한 첨가제를 투입하는 냉각 및 첨가제투입공정,
    200mesh 필터를 이용하여 백토를 포함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차여과공정
    을 포함하며,
    냉각 및 첨가제 투입공정에서 산화방지제는 중량비 0.3%, 부식방지제는 중량비 0.5%로 투입하는 것, 및
    냉각 및 첨가제 투입공정에서 첨가제 투입 후 30분간 교반하면서 냉각시키는 것
    을 포함하고,
    정제유투입공정에서 투입되는 정제유의 중량비는 93% 내지 99%인 것;
    원료및첨가제투입공정에서 투입되는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0.1% 내지 0.5%, 유동점강하제의 중량비는 0.1% 내지 0.5%, 방청첨가제의 중량비는 0.3% 내지 1.5%, 소포제는 0.01% 내지 0.2%, 산화방지 및 부식방지제의 중량비는 0.5% 내지 5% 인 것
    을 포함하는 것
    을 포함하는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00039565A 2020-04-01 2020-04-01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 KR102144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565A KR102144960B1 (ko) 2020-04-01 2020-04-01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565A KR102144960B1 (ko) 2020-04-01 2020-04-01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960B1 true KR102144960B1 (ko) 2020-08-14

Family

ID=7205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565A KR102144960B1 (ko) 2020-04-01 2020-04-01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9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3768A (ja) * 1995-04-13 1996-10-29 Toshio Kaneshiro 型枠用剥離剤
WO2003035809A1 (fr) * 2001-10-26 2003-05-01 The Nisshin Oillio, Ltd. Composition huileuse lubrifiante
JP2011507732A (ja) * 2007-12-18 2011-03-10 デイビス,ゴードン 離型剤配合物および方法
KR20180013740A (ko) * 2016-07-29 2018-02-07 그린루브 주식회사 비수용성 절삭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3768A (ja) * 1995-04-13 1996-10-29 Toshio Kaneshiro 型枠用剥離剤
WO2003035809A1 (fr) * 2001-10-26 2003-05-01 The Nisshin Oillio, Ltd. Composition huileuse lubrifiante
JP2011507732A (ja) * 2007-12-18 2011-03-10 デイビス,ゴードン 離型剤配合物および方法
KR20180013740A (ko) * 2016-07-29 2018-02-07 그린루브 주식회사 비수용성 절삭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03237A (zh) 一种新型钢筋阻锈剂的制备方法
CN108485476A (zh) 一种钢结构防腐的锌烯防腐涂料
KR102144960B1 (ko) 폐유를 이용한 콘크리트유성탈형제 제조방법
CN109021505A (zh) 聚合物乳化沥青超薄表处封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303967B1 (ko) 플라이 애쉬를 이용한 염해 저항성 도막 방수제 조성물, 그 도포방법 및 그 제조방법
JP2012214369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CN109486225A (zh) 用于沥青路面的粉末型抗冻材料、缓释防潮膜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47982B1 (ko) 박리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CN1637111B (zh) 用层状硅酸盐增稠的抗冻组合物和防冻组合物
CN102391706B (zh) 一种用于混凝土表面处理的聚氨酯腻子
CN108516754B (zh) 一种防水混凝土及其生产工艺
CN106966645B (zh) 一种检查井及其施工方法
CN106398528A (zh) 一种超低温纳米防冻隔离乳液及其制备方法
CN101838810B (zh) 易降解的水溶性熔融金属抗氧化还原剂
CN102443492A (zh) 一种汽车玻璃水
CN104891849B (zh) 一种以地沟油为原料制备的渗透型防水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1535862B1 (ko) 정제유지류를 이용한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공법
JP2018016494A (ja) 塩害対策用コンクリート組成物
CN102534636B (zh) 一种用于冷轧薄板热镀锌前的无磷脱脂液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118434B (zh) 高铁用阻燃抗菌聚氨酯防水涂料
CN111662694B (zh) 一种驱油型隔离液用组合物、表面活性剂驱油型隔离液及其制备方法
KR102146027B1 (ko) 수용성 탈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467681B (zh) 一种应用于沥青材料表面环保型阴离子型抗冻涂层及其制备方法
KR20190030913A (ko) 수용성 박리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457643A (zh) 一种高性能钢纤维级配碎石混合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