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832B1 -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832B1
KR102144832B1 KR1020180126792A KR20180126792A KR102144832B1 KR 102144832 B1 KR102144832 B1 KR 102144832B1 KR 1020180126792 A KR1020180126792 A KR 1020180126792A KR 20180126792 A KR20180126792 A KR 20180126792A KR 102144832 B1 KR102144832 B1 KR 10214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lation
text file
creator
creation
trans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5814A (ko
Inventor
양준명
Original Assignee
양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준명 filed Critical 양준명
Priority to KR102018012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8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창작자와 번역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된 참여주체 관리모듈과, 상기 창작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창작물에 대한 제1 데이터 파일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창작물 관리모듈과,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텍스트 형태의 제1 스크립트 정보를 검출하여 제1 텍스트 파일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번역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크립트 검출부와, 상기 번역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스크립트 정보를 번역한 제2 스크립트 정보에 대한 제2 텍스트 파일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번역 모듈과, 상기 제1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창작물의 상기 제1 스크립트 정보를 상기 제2 스크립트 정보로 교체한 번역물을 생성한 후 이에 대한 제2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번역물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창작자와 번역자를 중개하여 소정의 창작물에 대한 번역 계약을 대행하여 수행하고, 완성된 번역물에 대한 수익 발생 시 계약 당시 설정한 분배 비율에 따라 수익을 효과적으로 분배함으로써, 창작자와 번역자의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SERVER FOR INTEGRATED MANAGING OF PERSONAL CREATIONS}
본 발명은 소정의 창작물을 번역한 번역물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상기 번역물에 의한 수익 발생 시 창작자 및 번역자에 대한 수익 분배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화, 애니매이션, 캐릭터, 문학, 영화 등에 이르기까지 문화컨텐츠는 창작자의 산물로써, 창작자의 창작능력이 양질의 문화컨텐츠의 절대적인 요소가 된다.
근래에는 컴퓨터를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기기가 보급됨에 따라 온라인망을 이용한 서비스, 특히 온라인을 통해 거래 및 교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전자책인데, 이러한 전자책은 종래의 종이책자와 비교하여 원본 파일만 제작하면 독자에게 책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출판비용이 들지 않고, 독자 또한 책을 구입하기에 접근성이 좋으며, 구매 후에도 책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며, 개개인의 시력에 맞게 확대 및 축소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그 보급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특히, '웹(web)'과 만화를 의미하는 '카툰(cartoon)'이 합쳐져 만들어진 신조어로, 웹사이트에 게재된 세로로 긴 이미지 파일 형식의 만화를 뜻하는 '웹툰'은 그 특성상 개인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누구나 자유롭게 창작만화를 올릴 수 있고 무료로 게시된 웹툰의 경우 불특정 다수가 만화를 볼 수 있으며, 전파가 빠르고 댓글 등을 통해 독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활발하여 인터넷 강국인 우리나라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웹툰시장을 창출해 냈다.
이러한 국내 웹툰을 성공적으로 해외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웹툰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주의 깊은 번역 과정이 필수적이다. 종래에는 웹툰 또는 만화 번역 과정에서 해당 웹툰 및 만화에 대한 섬세한 이해 또는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 번역이 이루어져 웹툰의 재미를 반감시키고, 품질을 저하 시키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는 종래의 자동 번역 기술이 문어체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있어 의성어 및 의태어가 많이 사용되는 웹툰에서의 웹툰 언어를 번역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웹툰언어는 대부분이 문어체이고, 세대간의 고유언어 및 줄임말 등도 상당 수 포함하고 있어 웹툰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언어의 특성을 파악하여 웹툰 특성에 알맞게 번역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아울러, 웹툰에 대한 작품성의 섬세한 이해 및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번역자가 사용하는 언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웹툰 번역 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2016-0133930 A KR 10-2015-0131434 A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창작물을 번역한 번역물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상기 번역물에 의한 수익 발생 시 창작자 및 번역자에 대한 수익 분배 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는, 복수의 창작자와 번역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된 참여주체 관리모듈과, 상기 창작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창작물에 대한 제1 데이터 파일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창작물 관리모듈과,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텍스트 형태의 제1 스크립트 정보를 검출하여 제1 텍스트 파일을 생성한 후 이를 상기 번역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크립트 검출부와, 상기 번역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제1 스크립트 정보를 번역한 제2 스크립트 정보에 대한 제2 텍스트 파일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번역 모듈과, 상기 제1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창작물의 상기 제1 스크립트 정보를 상기 제2 스크립트 정보로 교체한 번역물을 생성한 후 이에 대한 제2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번역물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텍스트 파일 및 상기 제2 텍스트 파일 각각으로부터 문장을 분리하여 각각의 문장들을 분리된 순서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나열한 검증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검증 데이터를 문장 단위 또는 페이지 단위로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문장 분석부와, 상기 문장 분석부의 비교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창작물과 상기 번역물 간에 상호 매칭되는 문장 길이와 페이지별 문장 개수 차이에 기초한 상기 번역물의 형식상의 정확도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창작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검증 데이터 및 상기 정확도에 따른 수치 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번역물의 내용상의 정확도에 대한 상기 창작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창작자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창작물에 기초한 번역물의 창작자 및 번역자를 포함하는 참여주체 각각의 수익분배 비율을 설정하는 수익분배 비율 설정모듈과, 상기 번역물로 인해 발생한 수익금을 상기 수익분배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상기 창작자 또는 상기 번역자에게 지급하는 수익분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작자와 번역자를 중개하여 소정의 창작물에 대한 번역 계약을 대행하여 수행하고, 완성된 번역물에 대한 수익 발생 시 계약 당시 설정한 분배 비율에 따라 수익을 효과적으로 분배함으로써, 창작자와 번역자의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번역물의 형식상의 정확도를 산출한 수치 정보를 번역 내용을 확인할 창작자에게 제공하여 특히 낮은 수치의 정확도가 나온 페이지 및 문장 부분의 번역 내용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내에 원문과 번역문에 대한 효과적인 내용 비교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와 이를 위한 창작자 단말기 및 번역자 단말기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문장 분석부에 의해 형성된 검증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와 이를 위한 창작자 단말기 및 번역자 단말기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문장 분석부에 의해 형성된 검증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는 소정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창작자 단말기(10) 및 번역자 단말기(20)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 가능한 상태로, 창작자 단말기(10)와 번역자 단말기(20)로부터 각각 업로드 받은 소정의 창작물과 해당 창작물에 대한 번역물의 정확도를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여주체 관리모듈(110), 창작물 관리모듈(120), 스크립트 검출부(124), 번역 모듈(130), 문장 분석부(150), 검증부(160), 번역물 관리모듈(140), 창작자 확인부(170), 수익분배비율 설정모듈(180) 및 수익분배 모듈(184)을 포함할 수 있다.
참여주체 관리모듈(110)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소정의 창작물에 기초한 번역물의 창작자 및 번역자를 포함하는 참여주체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0,20)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와, 상기 참여주체 각각의 계좌 정보가 기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기 식별정보는 창작물 관리모듈(120) 및 번역 모듈(130)에 각각 업로드된 창작물 또는 번역 텍스트에 대응하는 창작자 단말기(10) 또는 번역자 단말기(20)를 구별하는 데 이용되고, 상기 계좌 정보는 추후 상기 창작물에 기초한 번역물에 의한 수익을 지급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창작물 관리모듈(120)은 창작자의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창작물에 대한 제1 데이터 파일을 업로드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창작물은 각각의 페이지마다 소정의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가 포함되는 만화 또는 웹툰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은 이러한 만화 또는 웹툰의 창작 작업물을 문서화하여 업로드 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스크립트 검출부(124)는 창작물 관리모듈(120)에 저장된 제1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텍스트 형태의 제1 스크립트 정보를 검출하여 제1 텍스트 파일을 생성한 후 이를 번역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이 만화 형태인 경우, 상기 제1 스크립트 정보는 해당 만화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행동이나 대사 등을 상세하게 적은 글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번역 모듈(130)은 번역자의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된 제1 스크립트 정보를 번역한 제2 스크립트 정보에 대한 제2 텍스트 파일을 업로드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은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제1 스크립트 정보, 즉, 인물의 대사나 행동에 대한 설명글이 포함된 대본 스크립트를 소정의 외국어로 번역한 제2 스크립트 정보만을 포함하는 번역 텍스트를 문서화하여 업로드 가능한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은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의 페이지 단위 또는 컷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문단이 구분되는 번역 텍스트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번역자의 사용자 단말기(20)는 소정의 창작물에 대한 번역 작업에 대한 의뢰를 수락하여 창작물 관리모듈(120)에 기저장된 상기 창작물에 대한 제1 데이터 파일을 사전에 다운로드받은 상태일 수 있다.
번역물 관리모듈(140)은 창작물 관리모듈(120) 및 번역 모듈(130)에 각각 저장된 제1 데이터 파일 및 제2 텍스트 파일에 기초하여 창작물의 제1 스크립트 정보를 제2 스크립트 정보로 교체한 번역물을 생성한 후 이에 대한 제2 데이터 파일을 저장한다.
여기서, 번역물 관리모듈(140)은 제1 데이터 파일에서 제1 스크립트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검출한 후, 검출된 영역 각각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해당 영역의 검출 순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의 문단 순서에 포함된 번역 텍스트로 교체한 번역물을 생성할 수 있다.
문장 분석부(150)는 스크립트 검출부(124)에 의해 생성된 제1 텍스트 파일과 번역 모듈(130)에 저장된 제2 텍스트 파일 각각으로부터 문장을 분리한 후 이에 기초한 검증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검증 데이터는 각각의 문장들을 분리된 순서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나열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문장 분석부(150)는 상기 검증 데이터를 문장 단위 또는 페이지 단위로 상호 매칭하여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문장 분석부(150)는, 동일한 행에 위치하는 제1 텍스트 파일의 문장(원문)과 제2 텍스트 파일의 문장(번역문)을 상호 매칭하여 각 문장의 길이가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문장 단위의 비교를 수행할 수 있고, 동일한 페이지에 위치하는 제1 텍스트 파일의 페이지(원문)과 제2 텍스트 파일의 페이지(번역문)을 상호 매칭하여 각 페이지마다 포함되는 문장의 개수를 산출함으로써 페이지 단위의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텍스트 파일과 제2 텍스트 파일로부터 각각 분리된 문장에 기초한 검증 데이터의 소정 페이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때, 제1 텍스트 파일로부터 'N'번째로 분리된 문장(AN)은 제2 텍스트 파일로부터 'N'번째로 분리된 문장(BN)에 대응되고, 제1 텍스트 파일로부터 'N+1'번째로 분리된 문장(AN+1)은 제2 텍스트 파일로부터 'N+1'번째로 분리된 문장(BN+1)에 대응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페이지 단위의 비교를 수행하면, 해당 페이지를 기준으로 제1 텍스트 파일에 포함되는 문장의 개수는 2개이고, 제2 텍스트 파일에 포함되는 문장의 개수는 3개로 문장의 개수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문장 단위의 비교를 수행하면, 제1 텍스트 파일로부터 'N'번째로 분리된 문장(AN)의 길이가 제2 텍스트 파일로부터 'N'번째로 분리된 문장(BN)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서 동일한 분리 순서('N')에 대응하는 문장에 대응하는 면적의 크기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검증부(160)는 문장 분석부(150)의 비교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창작물과 상기 번역물 간에 상호 매칭되는 문장 길이와 페이지별 문장 개수 차이에 기초한 상기 번역물의 형식상의 정확도를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제1 텍스트 파일과 제2 텍스트 파일로부터 각각 분리된 문장에 기초한 검증 데이터의 소정 페이지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될 때, 페이지 단위의 비교를 수행하면, 페이지별 문장 개수의 차이에 대한 비인 '2/3'를 계산함으로써 페이지 단위를 기준으로 한 정확도인 약 '66.7%'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문장 단위의 비교를 수행하면, 만약 제1 텍스트 파일의 'N'번째 문장(AN)에 대응하는 면적의 크기가 해당 페이지의 전체 크기 대비 '30%'이고, 제2 텍스트 파일의 'N'번째 문장(BN)에 대응하는 면적의 크기가 해당 페이지의 전체 크기 대비 '18%'라 할 때, 면적 크기의 차이에 대한 비인 '18/30'을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정확도인 '60%'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창작자 확인부(170)는 번역물 관리모듈(140)에 저장된 번역물의 내용상의 정확도에 대한 창작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창작자 확인부(170)는 창작자의 사용자 단말기(10)로 창작자 관리모듈(120)에 저장된 창작물에 대한 제1 데이터파일과 번역물 관리모듈(140)에 저장된 번역물에 대한 제2 데이터파일을 전송하거나, 혹은 창작자의 사용자 단말기(10)로 문장 분석부(150)에 의해 생성된 검증 데이터와 검증부(160)의 검증 결과에 기초한 정확도에 따른 수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창작자의 사용자 단말기(10)에선 상기 검증 데이터 및 상기 정확도에 따른 수치 정보를 통해 번역물의 형식상의 정확도에 해당하는 페이지당 문장 개수와 각 문장의 길이에 따른 상대적인 비교값을 파악한 상태에서, 특히 낮은 수치의 정확도가 나온 페이지 및 문장 부분의 번역 내용 부분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내에 더욱 효과적인 내용 검토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비록, 전술한 내용 및 도면에서는, 창작자가 본인의 창작물에 포함된 스크립트 정보에 기초한 번역 내용을 전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긴 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만일 해당 창작물이 그림만을 담당하는 그림 작가와 인물의 대사 및 행동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스크립트를 담당하는 스토리 작가의 협업에 의해 완성되는 경우, 서버(100)로 완성된 창작물(제1 데이터 파일)을 업로드하는 권한은 그림 작가 및 스토리 작가 모두에게 부여되나, 해당 창작물의 스크립트에 대한 번역 내용 확인은 스토리 작가의 단말기에게로만 요청되도록 할 수 있다.
수익분배 비율 설정모듈(180)은 소정의 창작물에 기초한 번역물의 창작자 및 번역자를 포함하는 참여주체 각각의 수익분배 비율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수익분배 비율 설정모듈(180)은 창작자와 번역자를 포함하는 참여주체와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100)의 플랫폼 운영자의 수익분배 비율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수익분배 비율은 창작자 단말기(10)로부터 소정의 창작물이 업로드된 후 번역자 단말기(20)가 해당 창작물에 대한 번역 의뢰를 수락하였을 때, 서버(100)를 통해 이에 따른 번역 계약을 수행하면서 창작자와 번역자 상호 간의 동의하에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창작자의 수익분배 비율이 70%, 번역자의 수익분배 비율이 20%, 서버(100)의 플랫폼 운영자의 수익분배 비율이 10%로 설정될 수 있다. 만약 해당 창작물이 스토리 작가와 그림 작가의 협업으로 완성된 경우라면, 창작자의 총 수익분배 비율인 70% 중에서 스토리 작가의 수익분배 비율이 50%, 그림 작가의 수익분배 비율이 20%로 설정될 수 있다.
수익분배 모듈(184)은 상기 번역물로 인해 발생한 수익금을 수익분배 비율 설정모듈(180)에 의해 설정된 수익분배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상기 창작자 또는 상기 번역자에게 지급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수익분배 모듈(184)은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상기 번역물로 인해 발생한 수익금을 상기 수익분배 비율에 따라 분배한 후, 참여주체 관리모듈(110)에 저장된 상기 번역물을 업로드한 번역자와 상기 번역물에 대응하는 창작물의 창작자 각각의 계좌 정보로 상기 비율에 대응하는 분배 금액을 각각 지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창작자와 번역자를 중개하여 소정의 창작물에 대한 번역 계약을 대행하여 수행하고, 완성된 번역물에 대한 수익 발생 시 계약 당시 설정한 분배 비율에 따라 수익을 효과적으로 분배함으로써, 창작자와 번역자의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번역물의 형식상의 정확도를 산출한 수치 정보를 번역 내용을 확인할 창작자에게 제공하여 특히 낮은 수치의 정확도가 나온 페이지 및 문장 부분의 번역 내용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내에 원문과 번역문에 대한 효과적인 내용 비교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창작자 단말기 20: 번역자 단말기
100: 서버 110: 참여주체 관리모듈
120: 창작물 관리모듈 124: 스크립트 검출부
130: 번역 모듈 140: 번역물 관리모듈
150: 문장 분석부 160: 검증부
170: 창작자 확인부 180: 수익분배 비율 설정모듈
184: 수익분배 모듈

Claims (4)

  1. 복수의 창작자와 번역자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된 참여 주체 관리모듈;
    상기 창작자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창작물에 대한 제1 데이터 파일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창작물 관리모듈;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에 포함된 텍스트 형태의 제1 스크립트 정보를 검출하여 제1 텍스트 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제1 스크립트 정보와 상기 제1 텍스트 파일을 상기 번역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크립트 검출부;
    상기 번역자에 의해 상기 번역자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스크립트 정보를 번역하여 전송받은 제2 스크립트 정보에 대한 제2 텍스트 파일을 업로드받아 저장하는 번역 모듈;
    상기 제1 데이터 파일 및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창작물의 상기 제1 스크립트 정보를 상기 제2 스크립트 정보로 교체한 번역물을 생성한 후 이에 대한 제2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번역물 관리모듈;
    상기 제1 텍스트 파일 및 상기 제2 텍스트 파일 각각으로부터 문장을 분리하여 각각의 문장들을 분리된 순서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나열한 검증 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검증 데이터를 문장 단위 또는 페이지 단위로 상호 매칭하여 비교하는 문장 분석부; 및
    상기 문장 분석부의 비교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창작물과 상기 번역물 간에 상호 매칭되는 문장 길이와 페이지별 문장 갯수 차이에 기초한 상기 번역물의 형식 상의 정확도를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번역물 관리모듈은
    상기 제1 데이터 파일에서 상기 제1 스크립트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검출한 후, 검출된 영역 각각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해당 영역의 검출 순서에 대응하는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의 문단 순서에 포함된 번역 텍스트로 교체한 번역물을 생성하는 것이고,
    상기 문장 분석부는
    동일한 행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텍스트 파일의 문장과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의 문장을 상호 매칭하여 각 문장의 길이가 차지하는 비율 및 동일한 페이지에 위치하는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의 페이지와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의 페이지를 상호 매칭하여 각 페이지마다 포함되는 문장의 갯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것이며,
    상기 검증부는
    상기 문장 분석부에 의해 동일한 행에 위치한 상기 제1 텍스트 파일의 문장과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의 문장의 각 문장의 길이가 차지하는 비율 간의 차이와, 동일한 페이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텍스트 파일의 페이지와 상기 제2 텍스트 파일의 각 페이지에 포함되는 문장의 갯수 간의 차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한 정확도를 검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작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검증 데이터 및 상기 정확도에 따른 수치 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번역물의 내용상의 정확도에 대한 상기 창작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창작자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창작물에 기초한 번역물의 창작자 및 번역자를 포함하는 참여주체 각각의 수익분배 비율을 설정하는 수익분배 비율 설정모듈; 및
    상기 번역물로 인해 발생한 수익금을 상기 수익분배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상기 창작자 또는 상기 번역자에게 지급하는 수익분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KR1020180126792A 2018-10-23 2018-10-23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KR102144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92A KR102144832B1 (ko) 2018-10-23 2018-10-23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92A KR102144832B1 (ko) 2018-10-23 2018-10-23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814A KR20200045814A (ko) 2020-05-06
KR102144832B1 true KR102144832B1 (ko) 2020-08-14

Family

ID=7073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792A KR102144832B1 (ko) 2018-10-23 2018-10-23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8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405B1 (ko) * 2021-02-17 2021-09-08 (주)지앤글로벌 웹, 어플리케이션 및 디자인 제작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252B1 (ko) * 2000-10-26 2003-07-3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번역중계 웹사이트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510965B1 (ko) * 2003-06-11 2005-08-30 (주)엘엔아이소프트 네트워크를 이용한 번역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31434A (ko) 2014-05-14 2015-11-25 재단법인강원정보문화진흥원 컨텐츠개발 및 론칭 플랫폼
KR101669355B1 (ko) * 2015-01-29 2016-10-25 이준영 온라인을 이용한 번역 및 출판에 따른 수익 배분시스템
KR20160133930A (ko) 2015-05-14 2016-11-23 주식회사 비즈플랜 창작 콜라보레이션 플랫폼 구축 방법, 운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5814A (ko) 202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49087B (zh) 自动提供与捕获的信息例如实时捕获的信息关联的内容
US20160132591A1 (en) Cognitive matching of narrative data
CN104123661A (zh) 数据处理系统和方法
US200602362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veloping dynamic media productions
US20160292505A1 (en) Field verification of documents
CN104123580A (zh) 预定在线广告活动的系统和方法
KR101638423B1 (ko) 배너형 기사 자동 생성을 통한 기사 작성 및 온라인 배포 방법
Brodie Indirect translation on the London stage: Terminology and (in) visibility
KR102144832B1 (ko) 창작물 통합 관리 서버
JP2009116519A (ja) 自分史制作装置
US201300308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US200701570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urposing content objects for media production
CN115587578A (zh) 招标公告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701503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media production
US118184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generation of charts in a personalized video
KR101646483B1 (ko) 웹상 컨텐츠의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81032A (ko) 외국어 번역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20160136898A (ko) 클라우드기반 창작 저작물 등록시스템
Bullock et al. A Dictionary of Publishing
Lu et al. Collaborating with wikis
US202401768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website generator that utilizes artificial intelligence
Lampič et al. An Analysis on the Application of the UNCITRAL Model Law on Electronic Transferable Records on Contract Automation and Metadata
US20230385888A1 (en) Virtual newsroom system and method thereof
Song et al. Linguistic Resources for Handwriting Recognition and Translation Evaluation.
US201700045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of visual job advertis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