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404B1 -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404B1
KR102144404B1 KR1020180106022A KR20180106022A KR102144404B1 KR 102144404 B1 KR102144404 B1 KR 102144404B1 KR 1020180106022 A KR1020180106022 A KR 1020180106022A KR 20180106022 A KR20180106022 A KR 20180106022A KR 102144404 B1 KR102144404 B1 KR 102144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ing record
information
data
transac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784A (ko
Inventor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04B1/ko
Priority to US16/559,434 priority patent/US11442926B2/en
Priority to JP2019162256A priority patent/JP6906025B2/ja
Publication of KR2020002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04L2209/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주행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게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상기 주행기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METHOD FOR STORAGING DRIVING RECORD DATA BASED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이벤트 원인과 관계된 주행기록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킨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최근 자동차는 자율주행이나 전술한 운전 편의 기능 등을 제공하는 지능형 자동차로 발전하였으며, 지능형 자동차는 정보기술(IT) 기술을 융합한 최첨단 자동차로 스마트 자동차라고도 한다. 지능형 자동차는 자동차 자체의 첨단 시스템 도입은 물론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의 연동을 통한 최적의 교통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지능형 자동차는, 무선으로 인프라 교통 시스템과의 통신(V2I) 뿐만 아니라 차량 간 통신(V2V)을 통해 서로 필요한 정보를 주고 받아, 차량간 안전한 주행과 최적의 교통 효율로 주행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자동차는, 각 종 센서와 전자 장비들의 개발로 사용자 운전을 보조하여, 주행 안전성 및 편의 등을 향상시키는 운전 주행 보조기능을 구비한 차량이 주목 받고 있다.
예컨대, 차량의 차선 이탈을 경고하거나 유지시켜주는 기능, 급정거 브레이크 기능 및 사각지대경고 기능 등 다양한 운전 보조기능(ADAS)들이 개발되고,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나아가, 지능형 자동차는, 탑승자의 운전조작 없이도 스스로 외부상황을 판단하고 차량을 조작하여 주행하는 자율주행 기능까지 제공하고 있는 시점이다.
최근 자율주행과 함께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기술 중 하나로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을 들 수 있다. 블록체인이란, 관리 대상 데이터를 '블록'이라고 하는 소규모 데이터들이 P2P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되어 누구라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는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을 의미한다.
KR 10-1751025 B1
운전 보조기능이나 자율주행 기능은, 유저의 삶을 윤택하게 하나 이러한 기능이 탑재된 차량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책임의 원인을 따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자세히, 차량 운전자의 조작에 따른 사고 발생인지, 운전 보조기능이나 자율주행 기능의 오작동에 의한 사고인지, 아니면 차량 내부 이상이나 기타 외부 상황 등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지 명확히 판별하기 어렵다.
특히, 비전문가인 일반 유저들은, 주행기능의 오작동에 따른 사고 발생임을 입증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반면 전문가인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들은 기능 작동에 따른 데이터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데이터를 조작하기도 쉬워 책임 판별에 있어서 유저들이 상대적으로 입증에 불리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 주행에 따라 발생된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기록 정보 내에 포함된 개인 정보를 보호하고, 서비스 제공자 또는/및 차량 제조사의 고유기술이 보호될 수 있도록 주행기록 정보 저장시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이 사고 발생시 빠르고 정확하게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주행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게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상기 주행기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주행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 상태에서 발생된 주행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기록 정보는, 차량 상황정보, 구동 제어정보, 차량 주변정보 및 차량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상기 주행기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점의 주행기록 정보와, 상기 이벤트 발생시점 이전의 주행기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사고 발생, 유저 요청 및 차량 고장 중 적어도 일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차량에게 이벤트가 없으면, 상기 소정의 시간 전 주행기록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들을 표준화된 규칙에 따라 나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나열된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전두부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나열된 정보들 중 나머지를 암호화하여 메인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전두부 데이터와 상기 메인 데이터를 검증하여 생성한 검증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 연결된 교통통신설비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통신설비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 연결된 타차량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타차량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가장 통신환경이 좋은 통신설비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통신설비로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통신설비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차량 주행에 따라 발생된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하여, 주행기록 정보의 위변조를 사전에 차단하고, 이벤트 발생의 유책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주행기록 정보 내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고, 서비스 제공자 또는/및 차량 제조사의 고유기술이 보호될 수 있도록 주행기록 정보 저장시 기술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차량이 사고 발생시 빠르고 정확하게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기록 전송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인프라/타차량 간 통신흐름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블록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 트랜잭션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기록 전송장치가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기록 전송장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양한 루트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에서 주행기록 정보를 열람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일반적으로 이동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운송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LHD(Left Hand Drive) 차량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차량(100)(또는, 차량(100) 내에 장착된 주행기록 전송장치), 타차량(101), 교통통신설비(200)(infrastructure), 공용 네트워크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을 포함할 수 있다.
- 차량(100)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의 외관을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기록 전송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차량(100)의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운전 조작수단 및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차량(100)은, 자율주행 기능 또는/및 주행 보조기능(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100)이다. 여기서, 주행 보조기능은 차량운전자가 주도적으로 차량(100)을 운전하고 이 중 일부를 자동 제어를 통해 보조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주행 보조기능으로 사각지대감시기능(BSD, blind spot detection), 차선 이탈 방지 기능(LKAS, Lane Keeping Assist System), 차선 이탈 경고 기능(LDWS,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크루즈 기능 또는 자동 긴급제동(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 기능 또는/및 주행 보조기능(이하, “주행기능”으로 통칭)을 위해, 차량(100)은 다양한 차량내외부 센서와, 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량(100)을 자동 운전하기 위해 차량 구동부(예컨대, 변속, 가속, 조향 또는 제동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 주행 보조기능은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에 의해 직접 실행되거나, 차량자체 내에서 실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구비된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주행기능을 제공하는 과정 또는/및 운전자가 수동으로 차량(100)을 운전하는 과정 속에서, 주행기록 정보가 실시간으로 얻어지게 된다. 여기서, 주행기록 정보는, 차량 상황정보, 구동 제어정보, 차량 주변정보 및 차량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실시간으로 발생된 주행기록 정보는, 사고 발생시 사고 발생의 책임을 판별하는데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100)은, 사고 발생, 유저 요청 또는/및 고장과 같은 이벤트(event) 발생시 주행기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저장된 주행기록 정보는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안전한 보안상태에서 저장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서 차량(100)은,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으로 송신하는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100)이나 주행기능을 제공하는 별도의 장치가 직접 주행기록을 전송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차량(100)을 제조한 주체나 주행기능을 서비스하는 주체가 사전에 주행기록 정보를 변조할 염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차량(100) 내에 장착된 별도의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로서,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이벤트 관련 주행기록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에 빠르고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
자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프로세서(170), 오디오 출력부(185), 디스플레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주행기록 전송기능을 온/오프하거나,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실행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를 통해, 이전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에 저장한 주행기록 정보를 불러와 확인하는 입력을 할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부(110)는 사용자 제스쳐를 감지하는 제스쳐 입력부(110),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및 음성 입력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타차량(101), 단말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 및 교통통신설비(200) 등과 무선통신하는 통신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무선통신을 통해 주행기록 정보를 직접 또는 타 통신기기의 중계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무선통신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에서 주행기록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주행기능 실행을 위해 무선통신을 통해 통신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주행기능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주행기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이동 단말기, 외부서버 또는/및 교통통신설비(200)로부터 위치 정보, 날씨 정보 및 도로의 교통 상황 정보(예를 들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등)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을 갖춘 교통통신설비(200)로부터 교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교통 정보는 교통 신호 정보, 차선 정보, 차량 주변 정보 또는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교통통신설비(200) 또는/및 이동 단말기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는, 차량 주행과 관련된 지도(map) 정보, 차선 정보, 차량(100)의 위치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및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내비게이션 정보로 차량(100)의 실시간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및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하여 차량(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인접한 타차량(101)으로부터 인접한 타차량(101)의 주행정보를 수신하고 본 차량(100)의 정보를 송신하여, 차량(100)간 주행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공유하는 주행정보는, 차량(100)의 이동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이동경로 정보, 전진/후진 정보, 인접차량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수신된 통신정보는 주행기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를 통해 획득한 주행기능 작동시점에서의 차량 위치는 주행기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인접한 타차량(101), 이동 단말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 또는 교통통신설비(200)와 무선(wireless)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자세히, 통신부(120)는 무선테이터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무선 인터넷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기술로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 내부의 이동 단말기와 페어링(paring)하고, 이동 단말기의 장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인접한 타차량(101) 또는 교통통신설비(200) 등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차량 제어부, 센서부 또는/및 외부장치와 유/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인터페이스부는, 차량 제어부, 센서부 또는 별도의 주행기능 제공장치 등과 유/무선 데이터 통신하여, 주행기록 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차량 제어부로부터 구동 제어정보 또는/및 센서부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주행기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 또는/및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차량(100) 내부의 차량 제어부, 주행기능 제공장치 및 센서부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센서 정보와, 구동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정보는, 차량(100)의 방향 정보, 위치 정보, 차속 정보, 가속도 정보, 기울기 정보, 전진/후진 정보, 연료 정보, 전후방 차량(100)과의 거리 정보, 차량(100)과 차선과의 거리 정보 및 턴 시그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차량 속도 센서, 차체 경사 감지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충돌 감지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한편, 포지션 모듈은, GPS 정보 수신을 위한 GPS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션 모듈을 통해 획득된 주행기능 작동시점에서의 차량 위치는 주행기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제어정보는, 변속기어 위치(transmission gear position), 가속 조작정보(acceleratorpedal position), 스티어링 조작정보 (steering wheel angle) 브레이크 조작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동 제어정보의 발생주체가 차량(100)의 자동제어인지, 수동제어인지 여부를 구분될 수 있다.
자세히, 차량(100)의 센서부(760)는 외부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외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센서는, 차량(100) 주변에 위치한 오브젝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차량(100)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거리 센서는 본 차량(100)에서 오브젝트의 위치, 오브젝트가 이격된 방향, 이격거리 또는 오브젝트의 이동 방향 등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센서는 감지된 오브젝트와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본 차량(100)과의 위치관계에 대한 변화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센서는 차량(100)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리 센서는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센서는, 라이다(lidar) 센서, 레이저(laser) 센서, 초음파(ultrasonic waves) 센서 및 스테레오 카메라(stereo camera) 등 다양한 거리 측정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오브젝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프로세서가 분석하여 획득될 수 있다.
자세히,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카메라로 차량(100) 주변을 촬영하고,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을 프로세서가 분석하여 차량(100) 주변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오브젝트의 속성을 판단하여, 센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정보는, 오브젝트의 종류, 오브젝트가 표시하는 교통 신호 정보, 오브젝트와 차량(100) 사이의 거리 및 오브젝트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서, 센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촬영된 영상에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오브젝트를 트래킹하고,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오브젝트를 확인하는 등의 오브젝트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세히, 복수의 카메라는, 각각 차량(100)의 좌측, 후방, 우측, 전방 및 천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직접 포함할 수도 있다.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모듈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하여, 필요한 영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영상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오브젝트 분석을 좀더 수월하게 수행하기 위해,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함과 동시에 오브젝트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다.
센서부(760)는, 거리 센서와 카메라가 결합된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다. 즉, 스테레오 카메라는 영상을 획득함과 동시에 오브젝트와의 위치 관계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설명으로 돌아와, 인터페이스부는, 주행기능 제공장치나 기타 네비게이션 장치와 같이 차량(100)에 장착된 외부 장치들로부터도 주행기록 정보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통신포트(port)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타 유닛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메모리(140)는 프로세서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자세히, 메모리(140)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주행기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된 주행기록 정보는, 소정의 시간이 흐른뒤 삭제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시에는 저장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40)는 프로세서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 상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하여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링부는 차량 내부 상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 내부 상황 정보 중 일부는 주행기록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가 감지하는 정보는, 운전자 촬영 영상, 안면 인식 정보, 지문 인식(Fingerprint) 정보, 홍채 인식(Iris-scan) 정보, 망막 인식(Retina-scan) 정보, 손모양(Hand geo-metry) 정보,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부는 이러한 생체 인식 정보를 센싱하는 기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차량(100) 주변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센서부(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별도의 센서부(760)를 포함하여 주변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100)의 센싱부(770)에서 얻어진 센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획득된 센서 정보는, 차량(100) 주변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주행기록 정보 저장/관리 기능에 관한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8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100)의 윈드실드(W)(windshield)에 그래픽 이미지를 투사하여 표시하는 제 1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디스플레이부는 HUD(Head Up Display)로, 윈드실드(W)에 그래픽 이미지를 투사하는 투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사 모듈이 투사하는 투사 그래픽 이미지는 일정 투명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래픽 이미지 뒤 모습과 그래픽 이미지를 동시에 볼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차량(100)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차량 운전 보조기능에 대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의 디스플레이나 차량(100)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디스플레이부는 제스쳐 입력부(11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을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오디오 출력부(185)는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의 기능에 대한 설명, 실행 여부 등을 확인하는 메시지를 오디오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한 시각적인 표시와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185)의 음향 출력을 통해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의 기능에 대한 설명을 서로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는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거나, 제어부를 통해 차량(100)을 여러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 교통통신설비(200)
한편, 교통통신설비(200)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의 연동을 통한 최적의 교통 효율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교통통신설비(200)는, 차량(100)이 주행하는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차량(100)들과 무선 통신을 통해 교통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도로 주변에 설치된 신호등, 전자 표지판과 같은 도로신호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교통통신설비(200)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infrastructure)로 차량(100)이 자율주행을 하거나 운전 보조기능을 제공할 때 필요한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교통통신설비(200)는, 도로를 따라 간격을 두며 설치되어 지속적으로 차량(100)과 무선통신연결되어(V2I, vehicle-to-Infrastructure), 차량(100)과 필요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도 4를 참조하면, 교통통신설비(200)는, 교차로와 같은 도로 주변에 설치된 로드사이드유닛(RSU, rode side unit)으로서, 주변 차량(100)들과의 통신을 통해 차량(100)들의 이동상황을 파악하고, 파악된 차량(100)들 간 이동순서 등을 정하여 정해진 순서를 차량(100)들에게 전송하여, 차량(100)들간 원활한 교차로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교통통신설비(200)는, 파악된 차량(100)들 간 이동상황 정보를 기초로 교통신호장치(I)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교통통신설비(200)는, 차량(100)뿐만 아니라 외부서버,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또는/및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여,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중계할수도 있다.
즉, 교통통신설비(200)는, 차량(100)에서 주행기록 정보를 송신하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또는/및 차량(100)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주행기록 정보를 송신한 경우 등에 수신된 주행기록 정보를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직접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 -타차량(101)
한편, 주행기능이 실행되려면, 타차량(101)과의 무선통신(V2V, Vehicle-to-vehicle)도 필수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자세히, 차량(100)은, 인접한 타차량(101)으로부터 인접한 타차량(101)의 주행정보를 수신하고 본 차량(100)의 정보를 송신하여, 차량(100)간 주행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자율주행이나 운전 보조기능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타차량(101)으로부터 수신한 주행정보는, 주행기록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의 차량(100)은, 지속적으로 타차량(101)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무선통신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타차량(101)은, 차량(100)에서 주행기록 정보를 송신하다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또는/및 차량(100)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라 주행기록 정보를 송신한 경우 등에 수신된 주행기록 정보를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직접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
도 5를 참조하면, 컨소시엄 네트워크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차량(100), 타차량(101) 또는 교통통신설비(200)로부터 인터넷과 같은 오픈형 네트워크(20)를 통해 주행기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세히,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일정 규칙에 따라 표준화된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저장하고, 이를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을 기반으로 생성된 체인 형태의 연결고리 기반 분산 데이터 저장환경에 저장하여, 주행기록 정보의 위변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의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상에서 피어투피어(peer-to-peer) 네트워크 아키텍처 구조를 이룬다. 즉, 시스템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은 모두 등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고 특별한 노드는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노드(노드-1 내지 노드-n)가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성하는 역할을 분담한다.
그리고 네트워크상의 여러 노드는 서로 등등한 토폴로지를 가지면서 그물망 네트워크에서 서로 연결된다. 네트워크 내에 있는 노드들이 서로 등등한 위치에 있다고 할지라도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각자의 역할은 상이할 수 있다.
모든 노드는 네트워크 내에 라우팅 기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른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든 노드는 거래와 블록을 검증하고 전파하며, 이웃 노드들과의 연결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컨소시움 블록체인 (Consortium Blockchain)일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의 노드들은, 허가된 기관들의 서버 또는 단말기만 해당될 수 있으며, 해당 노드들끼리만 블록에 대한 공유가 가능하도록 보안을 설정하여, 외부로 주행기록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의 네트워크는, 인트라넷과 같은 프라이빗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다만, 각 노드들은, 컨소시움 네트워크와는 별도로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주행기록 정보를 수신하여, 트랜잭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주행기록 정보는, 운전자의 사생활 침해, 차량 제조사(30) 또는/및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의 기술유출 위험이 있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공개되서는 안된다.
반대로, 주행기록 정보는, 운전자, 차량 제조사(30),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 및 제 3 자 사이의 이벤트 발생의 유책을 밝혀줄 중요한 정보이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보안이 유지된 상태에서 열람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컨소시틈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에 참여할 수 있는 메인 사용자(30, 40, 50, 60)는, 차량 제조사(30),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 및 공공기관(5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공공기관(50)은, 차량 제조사(30)들과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들의 담합을 감시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이 공정하게 운영되도록 감시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일 수 있다.
그 밖에, 서브 사용자(70)는, 주행기록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긴급구조기관, 병원, 차량 정비소 또는 보험사 등이 써드 파티로 포함되어, 필요에 따라서 주행기록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서브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특정 블록체인을 다운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메인 사용자의 디지털 서명을 받아 필요한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를 열람하여 주행기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긴급구조기관은, 출동 전 미리 주행기록 정보를 확인하여 사고의 경중을 판단하고, 사고의 경중에 따라 효율적인 긴급구조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에 연결된 노드들은 메인 사용자 노드가 있을 수 있고 추가적으로 서브 사용자 노드가 있을 수 있다.
다만, 네트워크에는 특수한 프로토콜을 가동하는 노드들도 포함될 수 있고, 기타 프로토콜을 가동하는 노드들을 연결시키는 프로토콜 게이트웨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하였듯이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데이터(예컨대, 일 이벤트 발생에 따른 주행기록 정보)로 구성되는 변경 불가능한 블록으로 구성된 분산형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각 블록들(301, 302, 303, 304)은, 이전 블록헤더의 해시(hash)를 포함하므로 블록이 함께 연결되어 처음부터 블록체인에 쓰여진 모든 트랜잭션 데이터의 레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블록은 이전 블록에 종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해체, 수정 및 재구성이 거의 불가능하고 노드들이 각자 보유하므로 분산되고 견고하여, 블록에 승인된 트랜잭션은 위변조가 거의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해시(hash)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임의의 데이터에 대해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함수를 의미하며, 이하에서는 해시와 같은 성격을 가지는 다양한 함수들(예컨대, 타원곡선 곱셈 함수)도 포괄하는 의미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의 블록에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 데이터가 기록된다. 트랜잭션 데이터는 해시로 계산되어 위변조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블록과 거래는 해시 값, 데이터 발생 시점의 타임스탬프를 관리함으로써 위변조를 막고 이벤트 발생 상황을 추적할 수 있다.
또한, 노드들은 블록체인 원장과 디지털 키를 저장한 지갑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컨소시엄 블록체인 내의 트랜잭션 데이터를 보안/열람할 수 있다.
또한, 노드들은 블록체인 탐색기(Blockcahin explorer)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탐색기는 주행기록 정보들을 검색하는 검색 엔진 역할을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주행기록 정보에 대한 디지털 키를 포함하는 지갑을 보유한 사용자는 블록체인 탐색기를 통해 주행기록 정보의 주소, 트랜잭션 데이터, 블록 등을 찾아볼 수 있고 이들 간의 관계 및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각각의 노드는 모든 컴퓨팅 언어를 읽을수 있도록 서버, 인터페이스,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에이전트, 피어, 엔진, 컨트롤러 또는 개별적으로 또는 집합적으로 작동하는 기타 유형의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거나 컴퓨팅 장치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하드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RAM, 플래시, ROM 등)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컴퓨팅 장치가 후술하는 각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명령이 구성된다. 또한, 개시된 기술들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개시된 단계들을 실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서버,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인터페이스는 HTTP, HTTPS, AES, 공개/개인키 교환, 웹 서비스 API, 알려진 금융 거래 프로토콜 또는 다른 전자 기반의 표준화된 프로토콜 또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데이터 교환은 패킷 교환 네트워크, 인터넷, LAN, WAN, VPN 또는 다른 유형의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드들로 표현되는 컴퓨팅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는, 호스팅되는 블록체인 내의 주행기록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랫폼은, 차량 제조사(30), 공공기관(50) 또는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 같은 메인 사용자에 의해 운영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웹 기반 플랫폼일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은, 외부에서 운전자나 보험사와 같은 제 3 자가 주행기록을 열람하고자 할 때, 주행기록정보를 검색하고 노드들의 승인에 따라 열람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자신의 사고기록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사고난 차량(100)의 제조사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차량 식별자를 입력하고 운전자 본인인증을 수행하면, 차량 제조사(30)는 차량 식별자에 따라 트랜잭션의 위치를 검색하고 트랜잭션 데이터를 디지털 서명하여 얻은 주행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트랜잭션 데이터를 먼저 수신한 노드는, 해당 트랜잭션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컨소시엄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의 분산은, P2P 프로토콜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해당 거래는 신속하게 네트워크로 전송되고 수초 이내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 대부분은 트랜잭션 데이터를 받게 된다.
트랜잭션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한 노드로 전송되면 해당 노드에서 의해 트랜잭션이 유효화된다. 트랜잭션이 유효화되고 나면 해당 노드와 연결된 다른 노드로 이 트랜잭션을 전파할 수 있다.
한편, 트랜잭션을 수신한 각각의 노드들은, 유효성 검증 단계를 거쳐 해당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각 노드는 예시적으로 해당 트랜잭션의 구문(syntax)과 데이터 구조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에서 정한 표준화 규칙에 맞게 변환되었는지 검증을 할 수 있고, 해당 트랜잭션 데이터가 어떠한 메인 사용자와 연결되었는지 검증하는 등의 진행함으로써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이처럼 검증 과정을 통해 유효한 트랜잭션들은 네트워크상으로 전파되지만 유효하지 않은 트랜잭션들은 예시적으로 전송된 첫 노드에서 폐기될 수 있다.
한편, 노드들에 송신된 트랜잭션 데이터는 적어도 소정의 기간동안 미승인(Unconfirmed) 상태를 유지한다. 즉, 해당 트랜잭션이 네트워크에 전송은 되었지만 블록체인이라는 트랜잭션 장부에는 아직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트랜잭션 데이터가 생성된 후 블록체인에 연결된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면 생성된 블록 내의 트랜잭션 데이터들은 네트워크상에서 확인(Confirmed)의 형태로 승인된다.
컨소시움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은, 블록 생성전 미승인된 트랜잭션 데이터들을 메모리 풀(memory pool) 혹은 트랜잭션 풀(transaction pool)에 임시 목록으로 보관할 수 있다. 노드들은 이 풀을 이용해서 네트워크에 알려졌지만 아직 블록체인에 포함되지 않은 트랜잭션들을 추적할 수 있다.
이후, 노드에서 임시 목록에 보관된 트랜잭션 데이터들은,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는 시점에 새롭게 생성된 블록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블록(300)은, 버전(version), 이전 블록헤더(310)의 해시와, 데이터 발생 시점의 타임스탬프(timestamp),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요약본(transactions abstract) 및 난스(non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로 구성된 블록헤더(3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블록헤더(310)는, 이전 블록헤더(310)의 해시와, 데이터 발생 시점의 타임스탬프(timestamp) 및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요약본(이하, 트랜잭션 요약본)을 포함하여, 트랜잭션 데이터들을 위변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잭션 요약본은, 블록(300)에 포함될 모든 트랜잭션 데이터들을 머클 트리 함수를 이용하여 엮은 요약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트랜잭션 요약본을 통해 노드를은, 특정 트랜잭션 데이터가 어떤 블록(300)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블록헤더(310)는, 프로그램 버전을 더 포함하여 해당 블록(300)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채굴형식으로 블록(300)이 생성되는 경우 난스(nonce)를 더 포함할수도 있다.
그리고 블록(300)의 본문(320)에는, 이전 블록(300) 생성 후부터 해당 블록(300)이 생성된 시점까지 메모리 풀에 저장된 트랜잭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트랜잭션 데이터는, 주행기록 정보를 변환한 데이터일 수 있다.
자세히,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데이터는, 전두부 데이터(31)와, 메인 데이터(32) 및 검증 데이터(33)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히, 전두부 데이터(31)는,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 인덱스, 차량 제조사 인덱스, 차량 인덱스 및 운전자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전두부 데이터(31)는, 차량(100)을 식별할 수 있는 인덱스를 포함하여, 이후 차량(100)의 주행기록 정보 검색시 차량 인덱스를 통해 검색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두부 데이터(31)는,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 인덱스 또는/및 차량 제조사(30) 인덱스를 포함하여, 이후 암호화된(예컨데, 해시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의 주체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다.
즉, 해시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주행기록 정보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키를 보유한 주체가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전두부 데이터(31)에는,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 인덱스 또는/및 차량 제조사(30) 인덱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두부 데이터(31)에는, 운전자 인덱스나 이벤트 발생시점과 같은 정보가 추가되어, 주행기록 정보 검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데이터(32)에는, 주행기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자세히, 메인 데이터(32)에는, 주행기록 정보가 표준화 형식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데이터(32)에는, 표준화된 형식에 따라 정렬된 주행기록 정보를 해시한 해시값이 저장될 수 있다.
즉, 타차량(101), 교통통신설비(200), 공용 네트워크 등을 거쳐 주행기록 정보가 전송되면 주행기록 정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으므로, 주행기록 정보를 해시를 통해 암호화한 해시값을 메인 데이터(32)로 저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트랜잭션 데이터는, 검증 데이터(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증 데이터(33)는, 메인 데이터(32)가 표준화 규칙에 따라 정렬되었는지, 해시함수가 올바르게 적용되었는지, 전두부 데이터(31)가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만약, 메인 데이터(32)가 표준화 규칙에 맞지 않은 상태에서 해시되었다면, 검증 데이터(33)에서 이를 확인하고 트랜잭션 데이터가 비유효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 차량(100) 관점에서의 실시예
이하, 이러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 시스템이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보관하는 과정을 차량(100)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행기록 전송장치(100-1)를 차량(10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100)은, 먼저 실시간으로 주행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S101)
<주행기록 정보>
[여기서, 주행기록 정보는, 이벤트 발생시 유책의 주체가 누구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주행기능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정보 또는/및 운전자의 운전조작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기록 정보는, 이벤트 발생시란,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뿐만 아니라, 이벤트 발생 전후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주행기록 정보는, 차량(100)이 주행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데이터들을 기록한 정보로서, 차량(100)의 자동제어를 위해 획득한 정보와 이에 기초한 자동제어 정보, 그리고 자동제어에 따른 차량(100)의 변화정보까지 모두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잇다.
그리고 주행기록 정보는, 정보의 속성을 기준으로 볼 때, 차량(100) 상황정보, 구동 제어정보, 차량 주변정보 또는/및 차량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상황정보는, 이벤트 발생시 차량(100)의 동작상태 등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차량(100)의 속도, 차량(100)의 속도 변화, 이동방향, 이동방향 변화 엔진회전수(rpm), 충격의 심각도(crash severity), 타이어 상태 및 에어백의 전개정보(airbag deploymentdat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상황정보는, 이벤트 발생의 차량 제조사(30), 차량 수리자,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 사이의 책임을 밝히는 중요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구동 제어정보는, 변속기어 위치(transmission gear position), 가속 조작정보(acceleratorpedal position), 스티어링 조작정보 (steering wheel angle) 브레이크 조작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동 제어정보는, 주행기능에 의해 제어부가 구동부를 제어한 정보와, 운전자가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구동부를 제어한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제어정보는, 차량 제조사(30),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 운전자 사이의 이벤트 발생의 책임을 밝히는 중요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차량 주변정보는, 위치 정보, 오브젝트 영상, 오브젝트 거리정보, 차량 내부정보 및 통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주변정보는, 외부 제 3 자, 차량 제조사(30), 차량 수리자,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 사이의 책임을 밝히는 중요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주행기록 정보는, 정보의 획득 유닛을 기준으로 볼 때, 내부 센서 정보, 외부 센서 정보, 구동 제어정보 또는 통신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주행기록 정보는, 암호화 전에 메인 사용자들의 협약에 따른 규칙에 따라 표준화된 형태로 변환될 수 있고, 암호화된 상태인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될 수 있다.]
다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 차량(100)은, 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주행기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차량(100)은, 외부의 교통통신설비(200)나 타차량(101)과 통신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주행기록 정보를 송신할수도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주행기록 정보는,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되기 전 정보를 의미하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주행기록 정보를 이벤트 발생과 관계없이 트랜잭션 정보르 변환하고 이를 송수신하여 이벤트 발생시에 별도의 변환과정 없이 빠르게 송신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주행중 차량(100)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S102)
여기서, 이벤트란, 사고 발생, 유저 요청 또는/및 고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 센서나 유저 입력을 통해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있다.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지 않으면, 차량(100)은, 기설정된 시간을 도과한 주행기록을 삭제하여, 데이터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S103)
이벤트 발생가 발생하면, 차량(100)은, 이벤트 관련 주행기록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104)
자세히, 차량(100)은, 이벤트 발생하는 시간뿐만 아니라, 이벤트가 발생 전의 주행기록 정보와 이벤트가 발생한 후의 주행기록 정보도, 저장할 주행기록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은, 사고 발생 소정의 시간 전의 주행기록 정보부터 사고가 발생한 이후의 주행기록 정보까지 저장하여, 추후 사고의 책임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100)은, 추출된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S105)
이때,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규칙은, 표준화된 규칙으로 컨소시움 네트워크의 메인 사용자들의 협약에 따라 기 결정된 규칙일 수 있다.
이러한 표준화 규칙은, 차량(100)에 디폴트로 내장되어 있어, 이벤트 발생시 주행기록 정보를 표준화 규칙에 따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자세히, 차량(100)은, 주행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표준화 규칙에 따라서 나열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잭션 데이터 중 전두부 데이터(31)에 들어가는 주행기록 정보는, 제 3 자가 해석 가능하게 공개된 형태로,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 인덱스, 차량 제조사(30) 인덱스, 차량 인덱스 및 운전자 인덱스 중 적어도 하나의 인덱스(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량(100)은, 운전자, 차량 제조사(30), 서비스 제공자의 기술 유출 보안 등이 문제가되는 프라이버시 정보들을 암호화(예컨대, 해시)하여, 암호화된 형태로 메인 데이터(32)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고 관련 정보들인 차량 상황정보, 구동 제어정보 및 차량 주변정보는 암호화된 메인 데이터(32)로 저장될 수 있다.
즉, 주행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공개된 형태로 구성되고, 나머지 정보는 암호화된 상태로 구성되어 트랜잭션 데이터를 이룰 수 있다.
마지막으로, 차량(100)은, 전두부 데이터(31)와 메인 데이터(32)가 합쳐지 상태에서 해시값을 구해 전두부 데이터(31)가 표준화된 규칙에 따라 잘 나열되었는지, 메인 데이터(32)가 표준화된 규칙에 따라 나열되었는지, 메인 데이터(32)가 암호화 상태를 검증하는 검증 데이터(33)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차량(100)은, 전두부 데이터(31)와 메인 데이터(32)를 해시한 값을 더한 검사합(hashsum)을 통해, 데이터의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은,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로 충격에 의해 주행기록 정보를 유효한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점을 검증 데이터(33)를 통해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를 획득한 차량(100)은,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으로 송신할 수 있다. (S106)
자세히, 통신부에 이상이 없고 다이렉트로 연결 가능한 경우, 차량(100)은, 트랜잭션 데이터를 직접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의 적어도 일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 (S108)
좀더 자세히, 차량(100)은 통신부를 통해 공용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공용 네트워크와 연결된 적어도 일 노드에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일 노드는, 위변조를 수행할 것을 사전에 막기 위해 상기 차량(100)의 차량 제조사(30)나 서비스 제공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통신부에 이상이 있거나 공용 네트워크 접속이 어려운 경우, 차량(100)은, 주변 교통통신설비(200)나 타차량(101)으로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S107)
자세히,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직접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교통통신설비(200)를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타차량(101)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차량(100)은, 주행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주변 교통통신설비(200)나 타차량(101)과 지속적으로 무선 통신이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것이다.
따라서, 차량(100)은, 이벤트 발생시 직접 송신이 어렵다면, 기연결되어 있는 교통통신설비(200)나 타차량(101)으로 빠르게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하여, 이벤트 발생에 따른 차량(100) 충격 전에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제 3 자와 공용 네트워크를 거쳐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한다 하더라도, 메인 데이터(32)는 해시에 의해 암호화된 상태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의 적어도 일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디지털 키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확인이 불가능하여, 보안도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정리하면,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차량(100) 주행에 따라 발생된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하여, 주행기록 정보의 위변조를 사전에 차단하고, 이벤트 발생의 유책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주행기록 정보 내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고, 서비스 제공자 또는/및 차량 제조사(30)의 고유기술이 보호될 수 있도록 주행기록 정보 저장시 기술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차량(100)이 사고 발생시 빠르고 정확하게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 관점에서의 실시예
이하,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 시스템이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 보관하고 관리하는 과정을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 관점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분산시켜 노드들이 공유할 수 있다. (S201)
자세히,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의 일 노드는, 공용 네트워크 또는 차량(100)으로부터 직접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트랜잭션 데이터를 메모리 풀에 보관하고 타 노드들에 전송할 수 있다.
자세히, 트랜잭션 데이터를 먼저 수신한 노드는, 해당 트랜잭션 데이터가 수신되었음을 컨소시엄 네트워크에 알릴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의 분산은, P2P 프로토콜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해당 거래는 신속하게 네트워크로 전송되고 수초 이내에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 대부분은 트랜잭션 데이터를 받게 될 수 있다.
그리고 트랜잭션을 수신한 각각의 노드들은, 유효성 검증 단계를 거쳐 해당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각 노드는 예시적으로 해당 트랜잭션의 구문(syntax)과 데이터 구조가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에서 정한 표준화 규칙에 맞게 변환되었는지 검증을 할 수 있고, 해당 트랜잭션 데이터가 어떠한 메인 사용자와 연결되었는지 검증하는 등의 진행함으로써 트랜잭션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노드들에 송신된 트랜잭션 데이터는 적어도 소정의 기간동안 미승인(Unconfirmed) 상태를 유지한다. 즉, 해당 트랜잭션이 네트워크에 전송은 되었지만 블록체인이라는 트랜잭션 장부에는 아직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트랜잭션 데이터가 생성된 후 블록체인에 연결된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면 생성된 블록(300) 내의 트랜잭션 데이터들은 네트워크상에서 확인(Confirmed)의 형태로 승인된다.
유효한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컨소시움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은, 블록(300) 생성전 미승인된 트랜잭션 데이터들을 메모리 풀(memory pool) 혹은 트랜잭션 풀(transaction pool)에 임시 목록으로 보관할 수 있다. (S202)
노드들은 이 풀을 이용해서 네트워크에 알려졌지만 아직 블록체인에 포함되지 않은 트랜잭션들을 추적할 수 있다.
이후, 노드에서 임시 목록에 보관된 트랜잭션 데이터들은, 새로운 블록(300)이 생성되는 시점에 새롭게 생성된 블록(300)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블록(300)을 생성할 수 있다. (S203)
자세히, 컨소시엄 블록체인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채굴을 할 이유가 없으므로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랜덤으로 결정된 일 노드가 블록(30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소정의 시간보다 작은 랜덤 시간의 경과를 더하고, 해당 랜덤 시간에 랜덤하게 선택된 일 노드가 블록(300)을 생성하는 기설정된 조건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최신 블록헤더(310)에 난스를 포함시키고 소정의 시간에 풀수있도록 난이도를 조정하면서, 난스를 해결하여 최신 블록헤더(310)의 해시를 찾은 노드가 새로운 블록(300)을 생성하도록 조건을 정할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최신 블록헤더(310)에 난스를 포함시키고 소정의 시간에 풀수있도록 난이도를 조정하면서, 해당 난스를 해결할 특정 노드를 지정하고 특정 노드가 해당 난스를 푼 시점에 새로운 블록(300)을 해당 노드가 생성하도록 조건을 정할수도 있다.
블록(300)생성 권한을 가지면, 해당 노드는, 블록헤더(310)를 생성할 수 있다. (S204)
여기서, 블록헤더(310)는, 버전(version), 이전 블록헤더(310)의 해시와, 데이터 발생 시점의 타임스탬프(timestamp),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요약본(transactions abstract) 및 난스(nonc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블록헤더(310)는, 이전 블록헤더(310)의 해시와, 데이터 발생 시점의 타임스탬프(timestamp) 및 트랜잭션 데이터들의 요약본(이하, 트랜잭션 요약본)을 포함하여, 트랜잭션 데이터들을 위변조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잭션 요약본은, 블록(300)에 포함될 모든 트랜잭션 데이터들을 머클 트리 함수를 이용하여 엮은 요약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트랜잭션 요약본을 통해 노드를은, 특정 트랜잭션 데이터가 어떤 블록(300)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블록헤더(310)는, 프로그램 버전을 더 포함하여 해당 블록(300)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채굴형식으로 블록(300)이 생성되는 경우 난스(nonce)를 더 포함할수도 있다.
다음으로, 노드는, 메모리풀에 저장된 트랜잭션 데이터들을 포함시켜 블록(300)생성을 완료할 수 있다. (S206)
자세히, 블록(300)의 본문(320)에는, 이전 블록(300) 생성 후부터 해당 블록(300)이 생성된 시점까지 메모리 풀에 저장된 트랜잭션 데이터들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주행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암호화된 상태로 확인이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암호를 해제하여 주행기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인덱스 기반 찾고자하는 주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엔진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206)
즉,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의 적어도 일부 노드는, 블록체인 탐색기(Blockcahin explorer)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탐색기는 주행기록 정보들을 검색하는 검색 엔진 역할을 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탐색기는,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인덱스(예컨대, 차량 인덱스)를 통해 찾고자하는 주행기록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드들로 표현되는 컴퓨팅장치들 중 적어도 일부는, 호스팅되는 블록체인 내의 주행기록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랫폼은, 차량 제조사(30), 공공기관(50) 또는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 같은 메인 사용자에 의해 운영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서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웹 기반 플랫폼일 수도 있다.
상기 플랫폼은, 외부에서 운전자나 보험사와 같은 제 3 자가 주행기록을 열람하고자 할 때, 주행기록정보를 검색하고 노드들의 승인에 따라 열람하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자신의 사고기록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사고난 차량(100)의 제조사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차량 식별자를 입력하고 운전자 본인인증을 수행하면, 차량 제조사(30)는 차량 식별자에 따라 트랜잭션의 위치를 검색하고 트랜잭션 데이터를 디지털 서명하여 얻은 주행기록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검색에 따라 트랜잭션 데이터를 검출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검출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인 사용자의 유효한 디지털 서명이 있는 경우에만 트랜잭션 데이터 암호를 해제하고 열람시킬 수 있다. (S207)
자세히,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트랜잭션 데이터의 암호를 풀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이벤트가 발생한 차량(100)의 제조사 또는/및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40)가 디지털 키를 통해 서명을 한 경우, 트랜잭션 데이터의 암호가 해제되어 포함된 주행기록 정보를 열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차량(100) 주행에 따라 발생된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 및 관리하여, 주행기록 정보의 위변조를 사전에 차단하고, 이벤트 발생의 유책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주행기록 정보 내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정보를 보호하고, 서비스 제공자 또는/및 차량 제조사(30)의 고유기술이 보호될 수 있도록 주행기록 정보 저장시 기술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은, 차량(100)이 사고 발생시 빠르고 정확하게 주행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4)

  1.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발생하는 주행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게 이벤트가 발생함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상기 주행기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주행기록 정보를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결정된 표준화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주행기록 정보를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준화된 규칙에 따라서 상기 주행기록 정보를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기록 정보 중 주행기능 서비스 제공자 인덱스, 차량 제조사 인덱스, 차량 인덱스 또는 운전자 인덱스를 공개된 형태의 데이터인 전두부 데이터에 포함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와 관련하여 추출된 주행기록 정보를 암호화하여 메인 데이터 포함시키는 단계와, 상기 전두부 데이터와 상기 메인 데이터를 검증하여 생성한 검증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록 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 상태에서 발생된 주행기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록 정보는,
    차량 상황정보, 구동 제어정보, 차량 주변정보 및 차량 상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상기 주행기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점의 주행기록 정보와, 상기 이벤트 발생시점 이전의 주행기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사고 발생, 유저 요청 및 차량 고장 중 적어도 일 상황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차량에게 이벤트가 없으면, 상기 소정의 시간 전 주행기록 정보를 삭제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 연결된 교통통신설비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교통통신설비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 연결된 타차량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타차량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트랜잭션 데이터를 컨소시움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 발생 전 연결된 통신설비로 트랜잭션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통신설비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노드에 상기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KR1020180106022A 2018-09-05 2018-09-05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144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022A KR102144404B1 (ko) 2018-09-05 2018-09-05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US16/559,434 US11442926B2 (en) 2018-09-05 2019-09-03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driving record data based on block chain
JP2019162256A JP6906025B2 (ja) 2018-09-05 2019-09-05 ブロックチェーン基盤走行記録データ格納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022A KR102144404B1 (ko) 2018-09-05 2018-09-05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84A KR20200027784A (ko) 2020-03-13
KR102144404B1 true KR102144404B1 (ko) 2020-08-12

Family

ID=6993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022A KR102144404B1 (ko) 2018-09-05 2018-09-05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456A (ko) * 2020-11-17 2022-05-24 오토아이티(주) 개선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갖는 자율주행버스의 adr 시스템
KR20230027369A (ko) * 2021-08-18 2023-0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이동체, 무인 이동체의 중요 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소스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
KR20230055861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에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2878B (zh) * 2020-04-14 2024-01-02 名商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车载视频处理方法、装置、计算机和介质
CN112767181A (zh) * 2021-01-08 2021-05-07 布比(北京)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去中心化计算车辆保险费用的方法及系统
CN113821776B (zh) * 2021-11-24 2022-02-08 武汉大学 一种基于联盟链共识机制的存储信息验证方法及系统
CN114244837A (zh) * 2021-12-17 2022-03-25 杭州趣链科技有限公司 交通事故定责方法、区块链系统、车载设备及客户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583B1 (ko) * 2016-08-31 2017-09-2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파일 관리/검색 시스템 및 파일 관리/검색 방법
US20180061237A1 (en) * 2016-08-30 2018-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ifying Behavior of Autonomous Vehicle Based on Advanced Predicted Behavior Analysis of Nearby Drivers
JP2018055203A (ja) 2016-09-26 2018-04-05 Gmoインターネット株式会社 データ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182B1 (ko) * 2008-11-20 2010-12-2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네트워크 기반의 사고 기록 분산 방법, 장치, 차량 및 관제서버
KR101751025B1 (ko) 2017-01-03 2017-06-26 주식회사 온더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증권업무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1237A1 (en) * 2016-08-30 2018-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ifying Behavior of Autonomous Vehicle Based on Advanced Predicted Behavior Analysis of Nearby Drivers
KR101781583B1 (ko) * 2016-08-31 2017-09-2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파일 관리/검색 시스템 및 파일 관리/검색 방법
JP2018055203A (ja) 2016-09-26 2018-04-05 Gmoインターネット株式会社 データ管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データ管理方法、データ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456A (ko) * 2020-11-17 2022-05-24 오토아이티(주) 개선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갖는 자율주행버스의 adr 시스템
KR102472347B1 (ko) 2020-11-17 2022-11-30 오토아이티(주) 개선된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갖는 자율주행버스의 adr 시스템
KR20230027369A (ko) * 2021-08-18 2023-0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이동체, 무인 이동체의 중요 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소스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
KR102592874B1 (ko) * 2021-08-18 2023-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인 이동체, 무인 이동체의 중요 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소스 파일을 생성하는 장치
KR20230055861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에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48136B1 (ko) * 2021-10-19 2024-03-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에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784A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6025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基盤走行記録データ格納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システム
KR102144404B1 (ko) 블록체인 기반 주행기록 데이터 저장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113873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자율주행 관련 주행기록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US114699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data security
US20200026289A1 (en) Distributed traffic safety consensus
JPWO2019142458A1 (ja) 車両監視装置、不正検知サーバ、および、制御方法
JP2018196108A (ja) 検証方法、検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4155909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blockchain secured code signing of autonomous vehicle software artifacts
CN116155969A (zh) 运载工具中的装置所进行的方法、系统和运载工具
US20240103843A1 (en) Robust over the air reprogramming
US11438158B2 (en) Provisioning of external functionality to transports
US20230382406A1 (en) Vehicle action determination based on occupant characteristics
US20220274593A1 (en) Transport-related object avoidance
US20220375284A1 (en) Display modification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data
US11752889B2 (en) Fractional energy retrieval
US20220216991A1 (en) Transport keys based on actions and time
CN112689982A (zh) 数据验证方法及装置
US11776397B2 (en) Emergency notifications for transports
US11935093B1 (en) Dynamic vehicle tags
US12004118B2 (en) Detection of aberration on transport
US11503114B2 (en) Provisioning of event-based keys to transports
US11555466B1 (en) Minimal route determination
US11787434B2 (en) Modification of transport functionality based on modified components
US20220279475A1 (en) Detection of aberration on transport
US20230211782A1 (en) Corrective actions for unsafe transpor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