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402B1 -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402B1
KR102144402B1 KR1020180130095A KR20180130095A KR102144402B1 KR 102144402 B1 KR102144402 B1 KR 102144402B1 KR 1020180130095 A KR1020180130095 A KR 1020180130095A KR 20180130095 A KR20180130095 A KR 20180130095A KR 102144402 B1 KR102144402 B1 KR 10214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oice
information
power plant
analysis
perform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235A (ko
Inventor
김윤석
정재석
강동우
신헌
이욱준
Original Assignee
한국중부발전(주)
더블유에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부발전(주), 더블유에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to KR102018013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02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05B23/0218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characterised by the fault detection method dealing with either existing or incipient faults
    • G05B23/0224Process history based detection method, e.g. whereby history implies the availability of large amounts of data
    • G05B23/0227Qualitative history assessment, whereby the type of data acted upon, e.g. waveforms, images or patterns, is not relevant, e.g. rule based assessment; if-then deci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송장 기준으로 기력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으로 복합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생성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탄의 성분을 분석한 탄 정보인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가스 정보인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상기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여 저장하고,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되는 사용 당시별로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하는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compensation in thermal power plant and combined cycle power plant}
본 발명은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보정을 통하여 기력 발전소나 복합 발전소의 성능값을 감시하는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력 발전소, 복합 발전소에 구비되는 기존의 실시간 성능 감시 시스템은 성능 계산 엔진이 포함되어 있어, 측정된 계측 데이터와 연료 정보를 적용하여 성능 계산 결과를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발전소 및 주요 구성 설비들에 대한 성능 감시를 수행하고 있으며, 절대적인 성능 평가보다는 성능 상태의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기존의 실시간 성능 감시 시스템은 측정된 계측 데이터와 연료 정보(기력:탄 정보, 복합:가스 정보)를 historian 형식에 따른 인터페이스와 연계를 하여 성능 계산 엔진을 통해 실시간으로 성능 계산 결과를 도출하고, 도출된 성능 계산 결과 데이터로부터 발전소 및 구성 설비 간의 성능 상태(성능 열화)의 경향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지만, 정확한 경향 파악을 위해서는 정확한 연료 정보 데이터(조성 및 발열량)를 입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연료 정보(기력:탄 정보, 복합:가스 정보)의 조성 및 발열량 데이터가 실시간이 아닌 분석(사용 당시의 연료 샘플을 채취하여 직접 성분 분석)을 통한 데이터를 적용하기 때문에, 분석 기간은 기력발전(탄 정보)의 경우에는 보통 20일~30일이 소요되며, 복합발전(가스정보)는 1일이 소요된다.
이러한 이유로 실시간으로 계산 결과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능 상태에 대한 경향 파악은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많은 담당자들이 실시간 성능 감시 시스템 사용을 꺼리게 되어 시스템 활용도 및 신뢰도가 대단히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35554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정확한 연료 정보(기력:탄 정보, 복합:가스 정보)를 반영된 Database와 성능 계산 엔진 간의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성능 계산 엔진에 데이터를 적용하여 실시간 개념으로 성능 계산 결과를 도출하고, 나아가 정확한 성능값을 도출하기 위한 보정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송장 기준으로 기력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으로 복합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생성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탄의 성분을 분석한 탄 정보인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가스 정보인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상기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여 저장하고,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되는 사용 당시별로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하는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는,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 상기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되는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가 저장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기력 발전에 적용되는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기력 발전소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받으며, 복합 발전에 적용되는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복합 발전소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운전 계측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기력 발전의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운전 계측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을 상기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며, 상기 송장 기준 가스 정보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상기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는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부; 산출되는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이 상기 모니터링 주기별로 저장되는 송장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 상기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 상기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되는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가 저장된 분석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기력 발전의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분석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을 사용 당시별로 산출하며,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와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사용 당시별로 산출하는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 및 산출되는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이 사용 당시별로 저장되는 분석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인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를 산출하는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모듈;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인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를 산출하는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모듈; 상기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미리 설정된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는 송장 기준 탄 정보 보정 모듈; 및 상기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미리 설정된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상기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는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보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송장 기준으로 기력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으로 복합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취득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취득 과정;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탄의 성분을 분석한 탄 정보인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가스 정보인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취득하는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취득 과정; 기력 발전에 적용되는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에 적용되는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취득하는 운전 계측 데이터 취득 과정;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상기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는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 과정;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산출하는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 과정; 및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정 과정은,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송장 기준 탄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피드백 보정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정 과정은,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인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를 산출하는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과정;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인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를 산출하는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과정; 상기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미리 설정된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는 송장 기준 탄 정보 피드백 보정 과정; 및 상기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미리 설정된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상기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는 송장 기준 가스 정보 피드백 보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송장 기준으로 산출되는 송장 기준 성능값과 발전소에 사용 당시에 분석된 탄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분석 기준 성능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연료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정확도가 향상되어 신뢰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값 감시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값 감시 기능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는 열에너지 및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물, 석탄이나 천연가스 또는 원자력 등의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발전소는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종류와 그에 따른 발전방식에 따라 수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복합발전소 등으로 구분된다.
화력발전소는 원동기의 종류에 따라서 보일러와 증기 터빈을 쓰는 기력발전소와, 디젤 기관 등의 내연기간을 쓰는 내연력발전소와, 가스터빈을 쓰는 가스터빈발전소와, 가스터빈과 증기터빈의 조합에 의한 콤바인드 사이클 발전소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기력 발전(汽力發電)은, 화력으로 증기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방식으로서, 즉, 보일러에서 만든 스팀으로 스팀터빈을 구동시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열효율이 높고 대출력에 적합하기 때문에, 사업용 화력발전 등에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다. 기력발전소는 급수펌프를 통해 보일러에 유입된 물은 증기로 변환되어 관로를 통하여 터빈으로 공급된다. 터빈으로 공급된 증기에 의해 프로펠러를 회전하여 발전기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터빈에서 배출된 물은 관로를 거쳐 복수기에서 응축되고 다시 급수펌프를 통해 폐순환방식으로 순환하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다.
또한 복합 발전은, 화력발전의 열효율을 제고하기 위해 가스터빈발전에 사용한 고온의 가스로 증기를 발생시켜 이 증기로 다른 터빈을 회전시키는 가스터빈발전과 화력(증기터빈)발전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력 발전과 복합 발전의 성능값 산출 시에, 실시간 데이터가 아닌 사용 당시의 연료 샘플을 채취하여 성분 분석된 연료 분석값만이 사용되고 있어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송장 기준의 실시간 데이터를 사용하여 산출되는 성능값을 함께 제공하여, 아울러 송장 기준으로 산출되는 송장 기준 성능값과 발전소에 사용 당시에 분석된 탄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분석 기준 성능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연료 정보를 보정하여, 정확도가 향상되어 신뢰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100),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300), 및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100)는, 송장 기준으로 기력 발전에 사용되는 석탄과 같은 연료 정보(이하, '송장 기준 탄 정보'라 함)와 송장 기준으로 복합 발전에 사용되는 가스와 같은 연료 정보(이하, '송장 기준 가스 정보'라 함)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송장이라 함은 연료 공급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을 때 함께 제공받는 기록지로서, 송장에는 공급하는 연료의 성분이 기록되어 있다. 전자 송장의 경우 송장 내용이 자동으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100)에 저장되며, 수기 송장의 경우 작업자에 의해 송장 내용이 입력되어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100)는, 저장되는 송장 내용을 기반으로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300)는,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탄의 성분을 분석한 정보(이하, '분석 기준 탄 정보'라 함)를 생성하며,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정보(이하, '분석 기준 가스 정보'라 함)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기력 발전이나 복합 발전의 사용 당시의 연료 샘플을 채취하여 성분 분석된 연료 분석값이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300)에 등록되며, 이러한 연료 분석값을 기반으로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송장 기준 탄 정보,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분석 기준 탄 정보, 및 분석 기준 가스 정보는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200)로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공된다. 즉,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200)는,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여 저장한다.
또한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200)는,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 및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되는 사용 당시별로 산출하여 저장한다.
또한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200)는,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한다.
이를 위하여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210),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20), 운전 계측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30),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부(240), 송장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250),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260), 분석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280), 분석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290), 및 보정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210)는,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집되는 송장 기준 탄 정보는 송장에 적힌 탄 정보가 해당되며 송장 기준 가스 정보는 송장에 적힌 가스 정보가 해당된다. 또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210)는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제1주기별로 수집하는데, 예를 들어,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30분 간격으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읽어들인다.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수집되는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가 저장된 저장체이다.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가 송장 기준 탄 정보인 경우, 송장에 기록된 탄의 C(탄소) 함유량, H(수소) 함유량, O(산소) 함유량, N(질소) 함유량, S(황) 함유량, A(Ash) 함유량, TM(총수분), HFC(건기준 고위발열량)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가 송장 기준 가스 정보인 경우, 송장에 기록된 가스의 CH4 함유량, C2H6 함유량, C3H8 함유량, i-C4H10 함유량, n-C4H10 함유량, i-C5H12 함유량, n-C5H12 함유량, C6H14 함유량, N2 함유량, CO2 함유량, HHV(고위발열량), LHV(저위발열량)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의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운전 계측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30)는, 기력 발전에 적용되는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기력 발전소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받으며, 복합 발전에 적용되는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복합 발전소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부(240)는, 기력 발전의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추출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주기인 60초 간격으로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읽어 들인다.
또한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부(240)는,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운전 계측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획득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주기인 60초 간격으로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부(240)는,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을 모니터링 주기(예컨대, 60초)별로 산출한다. 여기서 기력 발전소 성능값이라 함은, Plant 효율, 보일러 효율, 공기예열기 효율, 터빈 효율 등의 성능값이 해당된다.
또한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부(240)는, 송장 기준 가스 정보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모니터링 주기(예컨대, 60초)별로 산출한다. 여기서 복합 발전소 성능값이라 함은, Plant 효율, Gas Turbine 효율, HRSG 효율, 터빈 효율 등의 성능값이 해당된다.
송장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250)는, 산출되는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이 모니터링 주기별로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즉,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부(240)를 통해 송장 기준으로 하여 산출되는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이 모니터링 주기별로 히스토리안 데이터베이스(Historian Database) 형태로 저장되어, 추후 성능 비교 분석 시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은, 송장 기준뿐만 아니라 실제로 사용되는 연료를 분석한 연료 분석값을 이용하여 성능값을 산출하여 제공한다. 아울러 송장 기준으로 산출되는 송장 기준 성능값과 발전소에 사용 당시에 분석된 탄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분석 기준 성능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연료 정보를 보정하여, 정확도가 향상되어 신뢰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260), 분석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280), 분석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290), 및 보정부(295)를 구비한다.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260)는,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사용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수집되는 분석 기준 탄 정보는 기력 발전에 사용된 탄에 대해 분석된 탄 정보가 해당되며 분석 기준 가스 정보는 복합 발전에 사용된 가스에 대해 분석된 가스 정보가 해당된다. 또한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260)는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제2주기별로 수집하는데, 예를 들어,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30분 간격으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100)로부터 읽어들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송장 기준 적용시의 성능과 분석 기준 적용시의 성능의 정확한 비교 대조를 위하여, 제1주기와 제2주기는 동일한 주기로서 동기화되도록 한다.
분석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수집되는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가 저장된 저장체이다.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가 송장 기준 탄 정보인 경우, 샘플 분석된 탄의 C(탄소) 함유량, H(수소) 함유량, O(산소) 함유량, N(질소) 함유량, S(황) 함유량, A(Ash) 함유량, TM(총수분), HFC(건기준 고위발열량)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가 송장 기준 가스 정보인 경우, 샘플 분석된 가스의 CH4 함유량, C2H6 함유량, C3H8 함유량, i-C4H10 함유량, n-C4H10 함유량, i-C5H12 함유량, n-C5H12 함유량, C6H14 함유량, N2 함유량, CO2 함유량, HHV(고위발열량), LHV(저위발열량)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280)는, 기력 발전의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분석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280)는,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러한 분석 기준 연료 정보와 운전 계측 데이터는 과거의 동일 시점의 데이터가 획득되도록 한다. 참고로,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는 운전 계측 데이터 인터페이스부(230)로부터 획득하거나, 또는 송장 기준 성능값 DB로부터 획득하도록 한다.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280)는,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을 사용 당시별로 산출한다. 또한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280)는,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와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사용 당시별로 산출한다.
특히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280)는,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연료 정보가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되는 경우 동일한 사용 당시의 운전 계측 데이터가 적용되도록 한다.
이를 이해 기력 발전의 경우, 20일 또는 30일 전 탄 정보를 적용하기 때문에, 계산 시간을 과거의 시간으로 해서 성능을 산출하여 Historian Database 저장한다. 예를 들어, 현재 기준 20일 전의 탄 정보가 분석 기준 탄 정보로 사용되는 경우, 20일 전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현재 기준 20일 전의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으로 산출한다. 또한 현재 기준 30일 전의 탄 정보가 분석 기준 탄 정보로 사용되는 경우, 30일 전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현재 기준 30일 전의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으로 산출한다.
이를 위해 복합 발전의 경우, 1일 전 가스 정보를 적용하기 때문에, 계산 시간을 과거의 시간으로 해서 성능을 산출하여 Historian Database 저장한다. 예를 들어, 현재 기준 1일 전의 가스 정보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로 사용되는 경우, 1일 전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현재 기준 1일 전의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으로 산출한다.
분석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290)는, 산출되는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이 사용 당시별로 저장되는 저장체이다. 즉,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280)를 통해 분석 기준으로 하여 산출되는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이 모니터링 주기별로 히스토리안 데이터베이스(Historian Database) 형태로 저장되어, 추후 성능 비교 분석 시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정부(295)는,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한다.
즉,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송장 기준 탄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피드백 보정한다.
상술하면, 보정부(295)는,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모듈,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모듈, 송장 기준 탄 정보 보정 모듈, 및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보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모듈은,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인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모듈은,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인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장 기준 탄 정보 보정 모듈은,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미리 설정된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올 때까지 송장 기준 탄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보정 모듈은,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미리 설정된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올 때까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송장 기준으로 산출되는 송장 기준 성능값과 발전소에 사용 당시에 분석된 탄 정보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분석 기준 성능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용하여 연료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산출되는 성능값의 정확도가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가 보정을 통하여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감시하는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취득 과정(S410),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취득 과정(S420), 운전 계측 데이터 취득 과정(S430),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 과정(S440),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 과정(S450), 및 보정 과정(S460)을 포함할 수 있다.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취득 과정(S410)은, 송장 기준으로 기력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으로 복합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이다.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취득 과정(S420)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탄의 성분을 분석한 탄 정보인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가스 정보인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이다.
운전 계측 데이터 취득 과정(S430)은, 기력 발전에 적용되는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에 적용되는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취득하는 과정이다.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 과정(S440)은,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는 과정이다.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 과정(S450)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보정 과정(S460)은,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하는 과정이다.
특히 이러한 보정에 있어서, 산출되는 성능값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송장 기준 탄 정보를 피드백 보정한다. 또한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피드백 보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보정 과정(S460)은,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인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를 산출하는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과정(S461)과,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인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를 산출하는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산출 과정(S462)과,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미리 설정된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는 송장 기준 탄 정보 피드백 보정 과정(S463)과,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미리 설정된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가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오도록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는 송장 기준 가스 정보 피드백 보정 과정(S464)을 가지도록 한다. 여기서 피드백 보정이라 함은, 성능값 오차가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올 때까지 송장 기준 탄 정보나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단계별로 순차적으로 보정해가는 것을 말한다.
결국, 과거 실제 분석한 연료 정보의 DB를 이용하여 송장 기준 연료 정보를 보정함으로써,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200: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
210:송장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
220: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230:운전 계측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240: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부
250:송장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
260: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
270:분석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280: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
290:분석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
295:보정부

Claims (6)

  1. 송장 기준으로 기력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으로 복합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생성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탄의 성분을 분석한 탄 정보인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가스 정보인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서버로부터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수집하는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는,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상기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여 저장하고,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되는 사용 당시별로 산출하여 저장하고,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는,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
    상기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되는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가 저장된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기력 발전에 적용되는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기력 발전소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받으며, 복합 발전에 적용되는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복합 발전소 운영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운전 계측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기력 발전의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송장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운전 계측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획득하여,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을 상기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며, 상기 송장 기준 가스 정보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상기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는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부;
    를 포함하는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는,
    산출되는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이 상기 모니터링 주기별로 저장되는 송장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
    상기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하는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
    상기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집되는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가 저장된 분석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기력 발전의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분석 기준 연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와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을 사용 당시별로 산출하며,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와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사용 당시별로 산출하는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부;
    산출되는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이 사용 당시별로 저장되는 분석 기준 성능값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의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방법으로서,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가 송장 기준으로 기력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탄 정보와 송장 기준으로 복합 발전에 사용되는 연료 정보인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송장 기준 연료 정보 취득 과정;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탄의 성분을 분석한 탄 정보인 분석 기준 탄 정보와,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가스 정보인 분석 기준 가스 정보를 상기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제공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분석 기준 연료 정보 취득 과정;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가 기력 발전에 적용되는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기력 발전소 운영서버로부터 취득하며, 복합 발전에 적용되는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복합 발전소 운영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운전 계측 데이터 취득 과정;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가 상기 송장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상기 송장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산출한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별로 산출하는 송장 기준 성능값 산출 과정;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탄 정보와 기력 발전 사용 당시의 기력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분석 기준 가스 정보 및 복합 발전 사용 당시의 복합 발전 운전 계측 데이터를 상기 성능 계산 엔진에 적용하여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을 산출하는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 과정;
    을 포함하는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석 기준 성능값 산출 과정 후,
    상기 발전소 성능 평가 서버가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탄 정보를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 비교를 통하여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보정하는 보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과정은,
    상기 송장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기력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기력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송장 기준 탄 정보를 피드백 보정하며,
    상기 송장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과 분석 기준 복합 발전소 성능값 간의 오차가 미리 설정된 복합 발전소 성능값 오차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송장 기준 가스 정보를 피드백 보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방법.
KR1020180130095A 2018-10-29 2018-10-29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4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95A KR102144402B1 (ko) 2018-10-29 2018-10-29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095A KR102144402B1 (ko) 2018-10-29 2018-10-29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35A KR20200048235A (ko) 2020-05-08
KR102144402B1 true KR102144402B1 (ko) 2020-08-12

Family

ID=70677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095A KR102144402B1 (ko) 2018-10-29 2018-10-29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032B1 (ko) 2006-09-05 2008-03-18 한국전력공사 발전소 온라인 실시간 성능 감시 시스템
KR101665614B1 (ko) 2013-12-09 2016-10-1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연료운영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69884B1 (ko) 2016-10-06 2018-06-21 더블유에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발전설비 관리 서버
KR101877627B1 (ko) 2016-09-29 2018-07-12 한국전력공사 발전설비 모델러를 이용한 범용 발전성능시험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847B1 (ko) 2011-09-30 2018-07-30 한국전력공사 발전 설비의 성능 저하 원인 도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032B1 (ko) 2006-09-05 2008-03-18 한국전력공사 발전소 온라인 실시간 성능 감시 시스템
KR101665614B1 (ko) 2013-12-09 2016-10-12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연료운영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877627B1 (ko) 2016-09-29 2018-07-12 한국전력공사 발전설비 모델러를 이용한 범용 발전성능시험 시스템 및 방법
KR101869884B1 (ko) 2016-10-06 2018-06-21 더블유에이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발전설비 관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235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Thermodynamic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a double reheat system in an ultra-supercritical power plant
Rist et al. Economic dispatch of a single micro-gas turbine under CHP operation
Wohland et al. More homogeneous wind conditions under strong climate change decrease the potential for inter-state balancing of electricity in Europe
CN111159844B (zh) 一种电站燃气轮机排气温度的异常检测方法
CN109613841B (zh) 一种故障状态下的太阳能光伏组件参数辨识方法
CN106948946A (zh) 燃气涡轮水洗方法及系统
Zhao et al. Thermodynamic performance analysis of the coal‐fired power plant with solar thermal utilizations
Sharma et al. Highly integrated post‐combustion carbon capture process in a coal‐fired power plant with solar repowering
CN108509736A (zh) 一种用于故障诊断的光伏组件参数提取方法
KR102144402B1 (ko) 보정을 통한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155344B1 (ko) 기력/복합 발전소 성능 감시 시스템
Chen et al. An online parameter identification and real-time optimization platform for thermal systems and its application
Elwardany et al. Energy and exergy assessment of 750 MW combined cycle power plant: A case study
Carrero et al. Thermodynamic analysis of water injection in a micro gas turbine: Sankey and grassmann diagrams
Luyao et al. Exergy analysis and economic evaluation of the steam superheat utilization using regenerative turbine in ultra‐supercritical power plants under design/off‐design conditions
EP2644850B1 (en) A system for analyzing operation of power plant units and a method for analyzing operation of power plant units
CN111079070B (zh) 一种热力参数分析方法及装置
CN110943485B (zh) 双馈风电场等值模型仿真可信度的指标评价方法
Chayalakshmi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ARM platform based Embedded System for Measurement of Boiler Efficiency
Buryn Quasi-unsteady CHP Operation of Power Plants
Wang et al. Method for Determining the Change in Gas Turbine Firing Temperature
Undrill et al. Relating the Microcosm Simulations to Full-Scale Grid Simulations
Le-ol et al.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rmal Power Systems Performance under Uncertainty
Kluba et al. APR1400 Secondary Cycle Modeling Integrated with Thermal Energy Storage Using OpenModelica
Kumar Sensitiv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a thermal power plant subject to complex failures and human e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