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883B1 - Assembly monitoring system available for ict based interaction - Google Patents

Assembly monitoring system available for ict based inter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883B1
KR102142883B1 KR1020180100217A KR20180100217A KR102142883B1 KR 102142883 B1 KR102142883 B1 KR 102142883B1 KR 1020180100217 A KR1020180100217 A KR 1020180100217A KR 20180100217 A KR20180100217 A KR 20180100217A KR 102142883 B1 KR102142883 B1 KR 102142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
output module
unit
module
surrounding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3817A (en
Inventor
우덕하
이석
정승언
박용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0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883B1/en
Publication of KR2020002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8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8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ICT 기반의 상호 인터렉션이 가능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 대상의 행동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리 대상의 신체의 일부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센서모듈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한 상기 관리 대상의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한다.The ICT-based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mutual interaction is a sensor module that measures behavio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management target,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and is directly fixed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management target, or the I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nsor module, and includes an output module that displays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to the outside.

Description

ICT 기반의 상호 인터렉션이 가능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ASSEMBLY MONITORING SYSTEM AVAILABLE FOR ICT BASED INTERACTION}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that enables ICT-based interaction {ASSEMBLY MONITORING SYSTEM AVAILABLE FOR ICT BASED INTERACTION}

본 발명은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매 환자나 알츠하이머 환자를 비롯한 인지 장애 환자, 가축과 같은 인지적 능력이 낮은 대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기반의 상호 인터렉션이 가능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based mutual interaction for monitoring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including dementia patients or Alzheimer patients, and subjects with low cognitive ability such as livestock. It relates to a possible assembly type monitoring system.

최근 노인층의 인구 증가에 따라 치매나 알츠하이머 등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The number of patients with dementia and Alzheimer's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recent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이러한 치매 환자나 알츠하이머 환자를 비롯한 인지 장애 환자, 애완 동물을 포함한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가축들은 항상 타인(관리자)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처를 필요로 하고 있다.Such dementia patients, Alzheimer's patients, cognitive impairment patients, and animals with poor cognitive abilities, including pets, must always be managed by another person (manager) and require prompt response when a problem occurs.

이에 따라 최근, 장애 환자 또는 애완 동물과 같은 가축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echnologies for monitoring and managing the condition of livestock such as disabled patients or pets.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7-0022184호는 관리자가 반려동물에 부착된 카메라 및 감지모듈에서 센싱된 심박, 체온, 움직임 등의 홍채 및 생체인식 정보, 위치정보 및 영상정보 등을 통해 반려동물의 상태를 파악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17-0022184 allows the administrator to use iris and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heart rate, body temperature, movement, etc., sensed by cameras and detection modules attached to companion animals, location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It is starting a technology to understand the condition of companion animals.

그러나, 상기와 같이 관리 대상의 모니터링 등과 관련하여 개발된 기술은 관리 대상의 상태를 측정한 후 측정한 정보를 서버를 거쳐 단말기로 전송함에 따라, 관리자가 관리를 받아야 하는 관리 대상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신속하게 파악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technology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the monitoring of the management object as described above measures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bject and transmit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through the server, so that the manager visually indicates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bject that needs to be manag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grasp quickly.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7-002218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17-0022184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지적 능력이 부족한 대상과 관리자 간 의사소통을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의사소통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관리 대상의 상태를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ICT 기반의 상호 인터렉션이 가능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manager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target by introducing a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sensing information to communicate communication between an object lacking cognitive ability and a manager. It relates to an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that enables ICT-based mutual interaction that enables rapid visual recognition.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반의 상호 인터렉션이 가능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관리 대상의 행동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리 대상의 신체의 일부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센서모듈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한 상기 관리 대상의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한다.An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mutual interaction based on I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 sensor module that measures behavio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a management target, and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sensor module. It is coupled and directly fixed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management object, or fixed inside the sensor module, and an output module that displays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to the outsid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은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외부 데이터 측정부 및 상기 관리 대상의 행동정보를 측정하는 행동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may include an external dat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 behavior measuring unit measuring behavior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데이터 측정부는 주변 환경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 주변 환경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감지부 및 상기 관리 대상의 관점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xternal data measuring uni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ing unit measuring a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humidity sensing unit measuring humid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camera sensing unit generating a viewpoint image of the management obj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행동 측정부는 상기 관리 대상의 활동거리를 측정하는 활동량 감지부, 상기 관리 대상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감지부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관리 대상의 신체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havior measurement unit, an activity amount sensing unit that measures an activity distance of the management target, a heart rate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a heart rate of the management target, and a horizontal level that measures the level of the body of the management target based on the ground. It may include a sensing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은 서로 다른 상기 외부 데이터 측정부 및 상기 행동 측정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서모듈들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 대상의 상태에 따라 선택되어 상기 출력모듈에 결합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including the external data measurement unit and the behavior measurement unit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of the sensor modules is a state of a user's selection or management target I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nd coupled to the output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에 따라, 색상, 밝기, 깜빡임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LED 광을 발산하는 LED 출력부,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 및 상기 출력모듈로부터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utput module is an LED output unit that emits LED light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color, brightness, and number of blinks accor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voice, and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output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관리 대상의 신체의 일부에 직접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대상의 관리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output module may exten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manager of the management object can grasp it while being directly fixed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management obj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 사이의 공간에 상기 출력모듈이 고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includes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utput module may be fix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센싱유닛은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출력모듈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licon material or a rubber material, and may change its shap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utput modu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블록을 조립하여, 상기 센서모듈과 상기 스마트 블록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by assembling at least one smart block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the sensor module and the smart block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관리자와 관리 대상의 의사소통 수단을 관리 대상의 행동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점에서 정확성이 높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uracy is high in that the communication means between the manager and the management object is based on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또한, 센서모듈 및 출력모듈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센서모듈에서 감지한 행동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출력모듈을 통해 가시적인 확인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신속하게 관리 대상의 상태를 파악하여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s the sensor module and the output module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through the output module, and through this, the manager quickly grasps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target and immediately Effective monitoring is possible because feedback can be provided.

또한, 출력모듈이 관리 대상의 신체에 착용될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관리자가 관리 대상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으며, 보다 넓은 범위에서 행동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에 대한 출력이 수행될 수 있고, 관리자가 출력된 정보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put module is not only worn on the body of the management object, but also formed in a shape that the administrator can grasp, the administrator can control the behavior of the management object, and the output of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is possible in a wider range. This can be done, and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visually check the output information.

이와 달리,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센서모듈의 내부에 고정됨에 따라, 센서모듈과 출력모듈이 일체화된 모듈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In contrast, since the output module is fixed inside the sensor module, the sensor module and the output module can be used as an integrated module.

또한, 센서모듈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출력모듈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들 각각에 보다 다양한 감지부들이 구비될 수 있어 다양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관리 대상의 상태 및 행동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are formed and coupled to the output module, a variety of sensing units can be provided in each of the sensor modules, so that a variety of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accordingly, the state and behavior of the management object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I can grasp it.

나아가, 스마트 블록이 센서모듈의 상면 또는 저면에 조립되어, 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블록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필요한 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하면서도, 다른 모듈과의 범용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as the smart block is assembl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sensor modu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smart blocks with various function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facilitate the necessary functions, while versatility and usability with other modules Can improve.

이 경우, 상기 스마트 블록과 센서모듈들 사이, 또는 출력모듈 사이에서무선 통신 또는 전기적 접속을 통한 통신이 수행되어, 데이터 교환 등의 필요한 정보 교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communic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electrical connec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smart block and the sensor modules or between the output modules,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exchange of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data exchange.

특히,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 대상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감지부만을 선택적으로 출력모듈에 결합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출력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In particular, by selectively combining only the necessary sensing unit to the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the state of the management object, only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provided and output, so that user convenience and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이 관리 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센서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출력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body of a management target.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module of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of FIG. 1.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ensor module of FIG. 3.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put module of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of FIG. 1.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ssembl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ssembl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of FIG. 8.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and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 form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이 관리 대상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센서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센서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출력모듈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body of a management target.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nsor module of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of FIG. 1.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ensor module of FIG. 3.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put module of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of FIG. 1.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매 환자나 알츠하이머 환자를 비롯한 인지 장애 환자 또는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동물(이하, 관리 대상(20))의 신체(목ㅇ가슴 등)에 부착되어, 실시간으로 상기 관리 대상(20)의 생체 신호(체온ㅇ맥박ㅇ운동량ㅇ심박ㅇ호흡수 등)를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제공하여, 상기 관리 대상(20)의 관리자가 상기 측정한 결과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The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body (neck) of a patient with 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a dementia patient or Alzheimer's patient, or an animal with low cognitive ability (hereinafter, a management target 20), as shown in FIG. It is attached to the chest, etc.), measures the biological signals (body temperature, pulse, momentum, heart rate, respiration, etc.) of the management target 20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measured results visually and aurally in real time. This is a system that allows the manager of the management object 20 to visually check the measurement result.

이에 따라, 상기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관리 대상(20)의 행동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센서모듈(100), 및 상기 센서모듈(1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센서모듈(100)에서 측정한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출력모듈(200)을 포함한다.Accordingly, the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referring to FIG. 2, is a sensor module 100 that measures behavio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20 in real time, and the sensor module 100 is detachably detachable. It includes an output module 200 for displaying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100 in real time.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모듈(100)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센싱유닛(110) 및 제2 센싱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110, 120)은 각각의 일부분이 서로 힌지를 통해 결합됨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센싱유닛(110)의 상기 제2 센싱유닛(120)과 마주보는 면에는 소정 폭을 갖는 홈(123)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sensor module 100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110 and a second sensing unit 120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110 and 120 are formed in a foldable structure that can be folded or unfolded as a part of each is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hinge, and the second sensing unit of the first sensing unit 110 A groove 123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unit 120.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110, 120)이 서로 마주보도록 접히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110, 120)의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제1 센싱유닛(110)의 상기 홈(123)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및/또는 제2 센싱유닛들(110, 120)과 통신을 통해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출력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110 and 120 are folded to face each other, the output module 200 is positioned and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110 and 120. In this case, the output module 2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3 of the first sensing unit 110, and the action is perform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nd/or second sensing units 110 and 120. It receives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outputs it.

즉,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제1 및/또는 제2 센싱유닛들(110, 12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제1 센싱유닛(110)의 상기 홈(123)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센싱유닛들(110, 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전송받음으로써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That is, the output module 200 may receive the behavioral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nd/or second sensing units 110 and 120 and output them, although not shown. , The output module 2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23 of the first sensing unit 11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or second sensing units 110 and 120 to transmit data. By receiving,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output.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관리 대상(20)의 목에 착용되는 목줄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팔찌, 발찌 등의 다양한 장착형태가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부위에 결속 또는 부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 again, the output module 200 is shown to be formed in the form of a neckline worn on the neck of the management target 20, but various mounting types such as bracelets and anklets are possible, as well as various It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is bound or attached to the site.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관리 대상(20)에 착용되는 경우 양 끝단이 링 형태를 형성하여 반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상기 관리 대상(20)을 커버하며 조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모듈(200)은 양 끝단을 서로 고정시키는 체결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체결부는 예를 들어 후크와 같은 체결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나 상기 관리 대상(20)의 움직임에 의하여 의도치 않게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면 다양한 형태의 체결구조가 채택될 수 있다.When worn on the management target 20, the output module 200 covers the management target 20 in a form in which both ends form a ring shape to narrow the radius, and may provide a tightening function. To this end, the output module 200 may have a fastening part (not shown) that fixes both ends to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part may adopt a fastening structure such as a hook, but the management object 20 Various types of fastening structures can be adopted as long as it can prevent the phenomenon from being unintentionally removed by movement.

또한, 상기 출력모듈(200)은 결속 시 상기 관리 대상(20)의 신체의 부위에 따라 길이 조정이 가능한 길이조정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길이조정이란 상기 관리 대상(20)의 신체에 장착되어 임의적인 탈거가 방지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In addition, the output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length adjustment unit (not shown)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according to the body part of the management target 20 when binding, wherein the length adjustment refers to the management target 20 It is enough if it is installed on the body of the body to prevent arbitrary removal.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관리 대상(20)의 피부에 직접 접촉할 뿐만 아니라 조임 기능에 의한 압박력 제공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부위이기 때문에 비교적 부드럽고 탄력 및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이러한 재질이 최소한 내주측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질로써 실리콘, 고무 또는 섬유가 고려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The output module 2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soft elasticity and elasticity because it directly contacts the skin of the management target 20 as well as providing a compression force by a tightening function, or at least such a material It is preferable to be coated on the side. Silicone, rubber, or fiber may be considered as th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110, 120)의 사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대상(20)의 신체에 착용되는 경우 상기 관리 대상(20)의 움직임에 의해 신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출력모듈(200)에 의해 상기 관리 대상(20)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인 상기 제2 센싱유닛(120)에 압력이 인가되어 상기 관리 대상(20)의 신체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put module 200 is worn on the body of the management target 20 while being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110 and 120, the movement of the management target 20 In this cas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econd sensing unit 120, which is a part that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management target 20 by the output module 200, so that the management target ( 20) may cause injury to the body.

따라서, 상기 제2 센싱유닛(120)은 상기 관리 대상(20)의 격렬한 움직임이 발생하여도 신체에 인가되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형상 변형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Therefore, the second sensing unit 120 includes a material capable of shape deformation capable of reduc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dy even when violent movement of the management object 20 occurs, for example, silicone, rubber, etc. It is better to be made of material.

나아가, 이와 같이 상기 제2 센싱유닛(120)이 형상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110, 120)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출력유닛이 원형 단면을 갖는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센싱유닛(120)이 상기 원형 단면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므로, 상기 출력유닛(200)이 상기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110, 120)의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as the second sensing unit 12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shape deformation, the output unit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110 and 12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When formed in the form of a wire, since the second sensing unit 120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circular cross-section, the output unit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110 and 120.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tably positioned.

이와 달리, 상기 출력모듈(20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센서모듈(100)의 내부에 직접 실장되거나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출력모듈(200)은 목줄 상에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상기 센서모듈(100)의 내부에 직접 실장됨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100) 하나의 모듈만이 목줄 등에 고정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In contrast, the output module 200 is not shown, but may be directly mounted or fixed inside the sensor module 100.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module 200 is not separately formed on the neckline, but is directly mounted inside the sensor module 100, so that only one module of the sensor module 100 is fixed to the neckline, etc. It can also be used as

이 경우,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센서모듈(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여타의 출력 기능이나 센서모듈과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교환 등의 기능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In this case, the output module 200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output module 200 is provided inside the sensor module 100 and other output functions or functions such as data exchange with the sensor module through a wireless network.

한편, 상기 센서모듈(100)의 내부에는,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관리 대상(20)의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외부 데이터 측정부(300) 및 상기 관리 대상(20)의 행동정보를 측정하는 행동 측정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side the sensor module 100, to measure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target 20, as shown in Figure 4, an external data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300 and a behavior measurement unit 400 for measuring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20 may b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데이터 측정부(300)는 온도 감지부(310), 습도 감지부(320) 및 카메라 감지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행동 측정부는 활동량 감지부(410), 심박수 감지부(420) 및 수평 감지부(43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external data measurement unit 300 includes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310, a humidity detection unit 320 and a camera detection unit 330, and the behavior measurement unit activity detection unit 410, heart rate detection It includes a unit 420 and a horizontal sensing unit 430.

상기 온도 감지부(310) 및 상기 습도 감지부(320)는 각각 상기 관리 대상(20)이 있는 장소의 주변 환경의 온도와 습도를 감시하여 상기 관리 대상(20)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상기 관리자가 이를 통해 상기 관리 대상(20)의 주변 환경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관리 대상(20)은 계속 양호한 환경상태에 있을 수 있게 되어 병이 생기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310 and the humidity detection unit 320 may monitor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location where the management target 20 is, respectively, and notify the manager of the management target 20. Through this, by controll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management object 20, the management object 20 can continue to be in a good environmental condition, thereby preventing problems such as disease.

상기 카메라 감지부(330)는 이미지 분석 기능과 전방향 360°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상기 관리 대상(20)의 관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관리 대상(20)의 특정 행동 패턴 시 영상 녹화 및 연속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모듈(200)이 각 이미지별 타임스탬프를 통해 경과 시간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The camera detection unit 330 generates a viewpoint image of the management object 20 acquired through an image analysis function and an omni-directional 360° camera, and video recording and continuous image in the case of a specific behavior pattern of the management object 20 Is generated so that the output module 200 can indicate the elapsed time through a time stamp for each image.

상기 활동량 감지부(410)는 상기 관리 대상(20)의 건강관리를 위한 활동량, 예를 들어 운동거리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활동량 감지부(410)는 시간대비 분석법을 이용하여 시간의 변화에 따라 설정한 한 시간대의 상기 관리 대상(20)의 과거의 행동을 분석하고, 그 데이터를 추출하여 현재 상기 관리 대상(20)의 행동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관리 대상(20)의 현재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The activity amount detection unit 410 measures an activity amount, for example, an exercise distance for health management of the management object 20. For example, the activity amount detection unit 410 analyzes the past behavior of the management target 20 in a time zone se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using a time-to-time analysis method, extracts the data, and manages the current The current state of the management target 20 may be manag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behavior of the target 20.

또한, 상기 활동량 감지부(410)는 하루 기준치만큼의 목표 활동량을 설정하여 상기 관리 대상(20)의 하루 활동량이 상기 목표 활동량을 초과한 경우 상기 출력모듈(200)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ivity amount detection unit 410 may set a target activity amount equal to a daily reference value and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to the output module 200 when the daily activity amount of the management object 20 exceeds the target activity amount.

상기 심박수 감지부(420)는 상기 관리 대상(20)의 심박수를 검출한 후 기준치와 비교하여 위험여부를 판단하고, 위험이라고 판단될 경우(빈맥, 서맥, 부정맥 등일 경우)는 상기 출력모듈(200)로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The heart rate detection unit 420 detects the heart rate of the management target 20 and compares it with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risk,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 risk (in case of tachycardia, bradycardia, arrhythmia, etc.), the output module 200 ) To send a notification signal.

상기 수평 감지부(430)는 상기 관리 대상(20)의 신체가 수평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 감지부(430)는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관리 대상(20)의 신체의 수평도를 측정한다. The horizontal sensing unit 430 is provided to check whether the body of the management object 20 is in a horizontal state, and the horizontal sensing unit 430 is a horizontal degree of the body of the management object 20 based on the ground. Measure

상기 센서모듈(100)은 상기 설명한 다양한 센서부들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또는 관리 대상의 상태에 따라 상기 센서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100 may include the various sensor units described above, and at least one or more of the sensor units may be selectively provided as necessary or according to a state of a management object to perform sensing.

한편, 상기 출력모듈(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모듈(100)로부터 통신을 통해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전송 받아 이를 실시간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출력부(210), 소리 출력부(210) 및 모바일 단말기(230)를 포함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module 200 receives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from the sensor module 100 and outputs it in real time. As shown in FIG. 5, the LED It includes an output unit 210, a sound output unit 210, and a mobile terminal 230.

상기 LED 출력부(210)는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LED 불빛으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LED 출력부(210)는 상기 관리 대상(20)의 상태에 따라 LED 광의 색상, 밝기, 깜빡임 횟수 등을 조절하여 LED 광을 발산함으로써 상기 관리자가 상기 관리 대상(20)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The LED output unit 210 serves to output and display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s LED lights. Specifically, the LED output unit 210 controls the color, brightness, and number of blinks of the LED ligh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anagement object 20 to emit LED light, so that the manager can determine the state of the management object 20. You can make it easier to grasp.

예를 들어, 상기 활동량 감지부(410)가 측정한 상기 관리 대상(20)의 하루 활동량이 하루 기준치 목표 활동량에 가까워질수록 LED 광의 색상을 변화시켜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심박수 감지부(420)가 측정한 상기 관리 대상(20)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위험여부에 따라 다른 색상의 LED 광을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the daily activity amount of the management target 20 measured by the activity amount detection unit 410 approaches the daily reference value target activity amount, the color of the LED light may be changed and displayed, and the heart rate detection unit 420 Based on the measured heart rate of the management target 20, LED lights of different colors may be output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danger.

상기 소리 출력부(220)는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소리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리 출력부(220)는 마찬가지로 상기 관리 대상(20)의 상태 위험여부에 따라 다양한 소리를 방출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대상(20)을 안정시키는 소리를 출력할 수도 있다.The sound output unit 220 serves to display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s sound. Likewise, the sound output unit 220 may emit various sounds depending on whether the management object 20 is in danger or not, and may output a sound that stabilizes the management object 20.

상기 모바일 단말기(230)는 무선통신모듈을 내장하여 상기 센서모듈(10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단말기로서, 상기 센서모듈(10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이미지 파일, 음성 파일 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230 is a terminal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sensor module 100 by having a built-i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odule 100 are image files and voice files. It can be converted to and printed out.

이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23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디지털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일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230 is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nd a slate PC. , A mobile terminal such as a tablet PC, an ultrabook,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fixed terminal such as a digital TV or a desktop computer.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230)의 상기 무선통신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모듈, 또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이동통신 모듈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the mobile terminal 230 includes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or the like, or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이상과 같이, 상기 센서모듈(100)을 통해 상기 관리 대상(20)의 현재 행동 및 상태에 대한 감시를 수행하며, 수행한 결과를 상기 출력모듈(200)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여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관리 대상(20)의 비정상적인 행동 및 상태에 대해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대상(20)에 건강이상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monitoring of the current behavior and status of the management target 20 is performed through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result is output in real time through the output module 200 and provided to the manager.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process abnormal behaviors and conditions of the management target 20 in real time, and prevent problems such as health problems from occurring in the management target 20.

이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기(230)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은, 동일하게 상기 센서모듈(100)과 상기 출력모듈(200) 사이의 관련 데이터의 전송에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ireless network connection system with the mobile terminal 230 can be applied to transmission of related data between the sensor module 100 and the output module 200 in the same manner.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출력모듈(200)이 관리자에 의해 파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except that the output module 200 is gripped by the administrator, and thus the same reference number is use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관리 대상(20)을 커버한 상태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리자(30)에 의해 파지된다.Referring to FIG. 6, 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module 200 extends in one direction while covering the management object 20 and is held by the manager 30.

이 경우,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관리 대상(20)의 신체에 결속되거나 부착되는 제1 출력유닛(510) 및 상기 제1 출력유닛(510)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리자(30)에 의해 파지되는 제2 출력유닛(52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put module 200 extends in one direction from the first output unit 510 and the first output unit 510 that are bound or attached to the body of the management target 20 and the manager 30 It may include a second output unit 520 gripped by.

따라서, 상기 LED 출력부(220) 및 상기 소리 출력부(210)는 상기 제1 출력유닛(510)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출력유닛(520)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에 대해 LED, 소리 등을 통해 상기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관리자(30)가 상대적으로 더 가까운 상기 제2 출력유닛(520)을 통해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LED output unit 220 and the sound output unit 210 may be provided not only in the first output unit 510 but also in the second output unit 520, and accordingly, the behavior is performed in a wider range. A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r through LED, sound, etc. f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further,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behavior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520 to which the manager 30 is relatively closer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visually and easily check data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ssembl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센서모듈(10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except that the sensor module 100 is provided in plural. Description is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모듈(10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출력모듈(200)과 결합된다. 상기 센서모듈들(100) 각각은 상기 온도 감지부(310), 습도 감지부(320), 카메라 감지부(330), 상기 활동량 감지부(410), 상기 심박수 감지부(420), 상기 수평 감지부(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센서모듈들(100) 각각은 서로 다른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100 is provided in plural and combined with the output module 200. Each of the sensor modules 100 includes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310, the humidity detection unit 320, the camera detection unit 330, the activity level detection unit 410, the heart rate detection unit 420, and the horizontal detection. At least one of the units 430 may be included, and in this case, each of the sensor modules 100 may include different sensing units.

예를 들어, 제1 센서모듈은 온도 감지부(310)를 포함하고, 제2 센서모듈은 습도 감지부(320)를 포함하고, 제3 센서모듈은 카메라 감지부(330)를 포함하는 등, 각각의 센서모듈들이 하나의 감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first sensor module includes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310, a second sensor module includes a humidity detection unit 320, a third sensor module includes a camera detection unit 330, etc., Each of the sensor module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sensing unit.

그리하여,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 대상(20)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감지부가 형성된 센서모듈을 선택적으로 상기 출력모듈(200) 상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Thu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the state of the management target 20, a sensor module having a necessary sensing unit may be selectively combined on the output module 200 and used.

예를 들어,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 대상(20)을 상태에 따라, 활동량 감지와 심박수 감지만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활동량 감지부가 형성되는 센서모듈과 심박수 감지부가 형성되는 센서모듈만을 선택하여 상기 출력모듈(200) 상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only the activity amount detection and the heart rate detection are necessar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user's selection or management target 20, only the sensor module in which the activity amount detection unit is formed and the sensor module in which the heart rate detection unit is formed are selected and output. It can be combined and used on the module 200.

이 경우, 하나의 센서모듈에 2개 이상의 감지부들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wo or more sensing units may be configured in one sensor module, and these configurations may be variously combined.

즉, 상기 센서모듈(100)의 크기, 구조 등으로 인해 하나의 센서모듈(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감지부의 개수가 한정되는 경우, 복수개의 센서모듈들(100) 각각에 서로 다른 감지부들이 구비되도록, 감지부들을 분리하여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출력모듈(200)이 다양한 감지부들로부터 많은 정보를 전달 받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number of detection units that may be provided inside one sensor module 100 is limited due to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sensor module 100, different detectio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100 By separating and providing the sensing units so that the units are provided, the output module 200 may receive a lot of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ing units.

또한, 이를 통해 선택적으로 필요한 감지부들이 구성된 센서모듈을 출력모듈(200)에 결합함으로서, 불필요한 감지부들을 사용하지 않아, 사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sensor module, which is configured with selectively necessary sensing units through this, to the output module 200, unnecessary sensing units are not used, and usability and convenience may be improved.

이 경우, 복수개의 센서모듈들(100)이 출력모듈(2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센서모듈들(100)은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출력모듈(200)은 각각의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1110, 120) 사이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출력모듈(200)은 상기 센서모듈들(100) 각각의 상기 제1 센싱유닛(110)에 형성된 홈들(도 1의 123)을 따라 연장되며 관통하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110, 120)의 사이에 결합된다. In this case, when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100 are coupled to the output module 200, the sensor modules 100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output module 200 is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It is coupled between the units 1110 and 120. In this case, the output module 200 extends along and passes through the grooves (123 in FIG. 1) formed in the first sensing unit 110 of each of the sensor modules 100, It is coupled between the 2 sensing units 110 and 120.

이와 같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출력모듈(200)과 상기 센서모듈들(100) 사이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한 정보 전송도 가능하며, 이와 달리 전기적인 접속을 통한 정보 전송도 가능할 수 있다. When combined in this way,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may also be possible between the output module 200 and the sensor modules 100, as described abov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electrical connection may also be possible. .

한편, 상기 출력모듈(20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센서모듈들(100)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실장 또는 조립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목줄 등의 형태에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모듈(200)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output module 200 may be directly mounted or assembled on at least one of the sensor modules 100, and in this case, it may not be fixed to a form such as a separate leash. . In this case, the function of the output module 200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ssembled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assembled monitoring system of FIG. 8.

본 실시예에 의한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출력모듈(200)이 스마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except that the output module 200 includes a smart block, and thus the same reference number is used.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센서모듈(100)의 상기 제1 센싱유닛(110)의 상면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센싱유닛(12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블록(600)이 선택적으로 조립된다. 8 and 9,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r more on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unit 110 of the sensor module 100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nsing unit 120 is not shown. The smart block 600 is optionally assembled.

상기 스마트 블록(600)이란, 하나의 모듈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스마트 블록들(610, 620)은 별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스마트 블록들(610, 620)은 상기 센서모듈(100)이 센싱하지 못하거나 획득하지 못하는 센싱 정보를 측정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센서모듈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기 출력모듈(200)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와 다른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여타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smart block 6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module, and each of the smart blocks 610 and 620 may perform a separate function. That is, each of the smart blocks 610 and 620 may perform a function as a sensor module capable of obtaining sensing information that the sensor module 100 cannot sense or obtain through measurement, and the output module The function as an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information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output through 200 may be performed, or other functions may be performed.

이 경우, 상기 스마트 블록(600)은 본 실시예에서의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만 사용되기 위해 고안된 블록은 아니며, 여타의 다른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도록 제작된 범용 블록의 형태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러한 범용 블록이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작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mart block 600 is not a block designed to be used only in the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may be in the form of a general-purpose block manufactured to be used in other systems. The assembly type monitoring system can be manufactured so that the universal block can be assembled.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블록(600)은 각종 어린이용 완구일 수 있으며, 완구의 형태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다른 시스템이나 다른 용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mart block 600 may be a variety of toys for children,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in the form of toys, and thus may be used in other systems or other purposes.

또한, 상기 스마트 블록(600)은 상기 센서모듈(100) 또는 상기 출력모듈(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센서모듈(100) 또는 상기 출력모듈(200)과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 교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mart block 6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100 or the output module 200 to exchange information, or the sensor module 100 or the output module 200 Information exchange can also be perform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도 8에서는 상기 스마트 블록(600)이 상기 제1 센싱유닛(110)의 상면에 동일한 면적으로 적층되어 조립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In FIG. 8, it is illustrated that the smart block 600 is stacked and assembled in the same are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unit 110.

이 경우, 상기 제1 센싱유닛(110)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스마트 블록(610)과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센싱유닛(110)과 상기 제1 스마트 블록(610)은 서로 조립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스마트 블록(610)의 상면에도 결합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제2 스마트 블록(620)이 상기 제1 스마트 블록(61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a coupling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first smart block 610 may be formed on the first sensing unit 110. Thus, the first sensing unit 110 and the first smart block 6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ssembly. Furthermore, a coupling portion is also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mart block 610, and through this, the second smart block 62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mart block 610.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로서는, 돌출부 및 오목부가 연속 배열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the coupling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and various coupling structures may be applied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이와 달리, 도 9에서는 상기 스마트 블록(600)이 상기 제1 센싱유닛(110)의 상면에 복수개가 배열되며 조립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In contrast, FIG. 9 shows that a plurality of smart blocks 600 are arranged and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unit 110.

이 경우, 상기 제1 센싱유닛(110)에는 마찬가지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를 통해 상기 제1 센싱유닛(110)의 상면 상에 제1 내지 제4 스마트 블록들(601, 602, 603, 604)이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sensing unit 110 may also have a coupling part, and the first to fourth smart blocks 601, 602, 60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ensing unit 110 through the coupling part , 604) can be combined.

나아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마트 블록(600)은 상기 제2 센싱유닛(120)의 저면에 조립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스마트 블록(600)의 적층 개수, 또는 배열 개수는 필요한 기능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Further, although not shown, the smart block 600 may be assembl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sensing unit 120, and the number of stacked or arranged smart blocks 600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required function. There are many choice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관리자와 관리 대상의 의사소통 수단을 관리 대상의 행동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점에서 정확성이 높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ccuracy is high in that the communication means between the manager and the management object is based on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또한, 센서모듈 및 출력모듈이 서로 조립됨으로써, 센서모듈에서 감지한 행동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를 출력모듈을 통해 가시적인 확인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관리자가 신속하게 관리 대상의 상태를 파악하여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 효과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In addition, as the sensor module and the output module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module through the output module, and through this, the manager quickly grasps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target and immediately Effective monitoring is possible because feedback can be provided.

또한, 출력모듈이 관리 대상의 신체에 착용될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관리자가 관리 대상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으며, 보다 넓은 범위에서 행동정보 및 주변 환경정보에 대한 출력이 수행될 수 있고, 관리자가 출력된 정보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put module is not only worn on the body of the management target, but also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gripped by the administrator, the administrator can control the behavior of the management target. This can be done, and the administrator can easily visually check the output information.

이와 달리,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센서모듈의 내부에 고정됨에 따라, 센서모듈과 출력모듈이 일체화된 모듈로서의 활용이 가능하다. In contrast, since the output module is fixed inside the sensor module, the sensor module and the output module can be used as an integrated module.

또한, 센서모듈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출력모듈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센서모듈들 각각에 보다 다양한 감지부들이 구비될 수 있어 다양한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관리 대상의 상태 및 행동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are formed and coupled to the output module, a variety of sensing units can be provided in each of the sensor modules, so that a variety of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accordingly, the state and behavior of the management object can be more accurately determined. I can grasp it.

나아가, 스마트 블록이 센서모듈의 상면 또는 저면에 조립되어, 센서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블록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필요한 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하면서도, 다른 모듈과의 범용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as the smart block is assembl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sensor modu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module, smart blocks with various function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facilitate the necessary functions, while versatility and usability with other modules Can improve.

이 경우, 상기 스마트 블록과 센서모듈들 사이, 또는 출력모듈 사이에서무선 통신 또는 전기적 접속을 통한 통신이 수행되어, 데이터 교환 등의 필요한 정보 교환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communic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electrical connec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smart block and the sensor modules or between the output modules, thereby improving the ease of exchange of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data exchange.

특히,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 대상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감지부만을 선택적으로 출력모듈에 결합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출력받을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 및 사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In particular, by selectively combining only the necessary sensing unit to the output modu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the state of the management object, only necessary information can be selectively provided and output, so that user convenience and us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10 :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 20 : 관리 대상
30 : 관리자 100 : 센서모듈
110 : 제1 센싱유닛 120 : 제2 센싱유닛
200 : 출력모듈 300 : 외부 데이터 측정부
400 : 행동 측정부 600 : 스마트 블록
10: assembled monitoring system 20: subject to management
30: manager 100: sensor module
110: first sensing unit 120: second sensing unit
200: output module 300: external data measuring unit
400: behavior measurement unit 600: smart block

Claims (10)

주변 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외부 데이터 측정부 및 관리 대상의 행동정보를 측정하는 행동 측정부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센서모듈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리 대상의 신체의 일부에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센서모듈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센서모듈에서 측정한 상기 관리 대상의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모듈은 서로 다른 상기 외부 데이터 측정부 및 상기 행동 측정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싱유닛들로 구성되고,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복수의 센싱유닛들 사이에 상기 센싱유닛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고정되며,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센싱유닛들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관리 대상의 신체의 일부에 직접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관리 대상의 관리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출력모듈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관리 대상의 신체의 일부에 직접 접촉하는 센싱유닛은 상기 출력모듈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
A sensor module including an external data measuring unit measuring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a behavior measuring unit measuring behavior information of a management target; And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ensor module and directly fixed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management object, or fixed inside the sensor module to transfer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management object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to the outside. Includes an output module to display,
The sensor module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including the external data measuring unit and the behavior measuring unit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output module is fixed to receive data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s between the plurality of sensing units,
The output module extends from between the sensing units and extends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manager of the management object can grasp it while being directly fixed to a part of the body of the management object,
An assembly type monitoring system, wherein a sensing unit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put module and directly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body to be managed is transformed in shap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utput modu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데이터 측정부는,
주변 환경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감지부;
주변 환경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감지부; 및
상기 관리 대상의 관점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data measuring unit,
A temperature sensing unit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humidity sensing unit that measures humid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ssembly typ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camera sensing unit for generating a viewpoint image of the management targ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측정부는,
상기 관리 대상의 활동거리를 측정하는 활동량 감지부;
상기 관리 대상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감지부; 및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관리 대상의 신체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ehavior measurement unit,
An activity amount detector measuring an activity distance of the management object;
A heart rate detector that measures a heart rate of the management target; And
Assemble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 horizontal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body to be managed based on the grou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에 따라, 색상, 밝기, 깜빡임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여 LED 광을 발산하는 LED 출력부;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 및
상기 출력 모듈로부터 상기 행동정보 및 상기 주변 환경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 module,
An LED output unit configured to emit LED light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color, brightness, and number of blinks according to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s a voice; And
And a mobile terminal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behavior in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from the output modu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센싱유닛들 사이의 공간에 상기 출력모듈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module,
It includes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assembly type monito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put module is fixed 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유닛은,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출력모듈의 움직임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sensing unit,
An assembly-type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silicone material or a rubber material, wherein the shape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output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의 상면 또는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마트 블록을 조립하여, 상기 센서모듈과 상기 스마트 블록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smart block is assembl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sensor module and the smart block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KR1020180100217A 2018-08-27 2018-08-27 Assembly monitoring system available for ict based interaction KR1021428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217A KR102142883B1 (en) 2018-08-27 2018-08-27 Assembly monitoring system available for ict based intera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217A KR102142883B1 (en) 2018-08-27 2018-08-27 Assembly monitoring system available for ict based intera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817A KR20200023817A (en) 2020-03-06
KR102142883B1 true KR102142883B1 (en) 2020-08-10

Family

ID=6980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217A KR102142883B1 (en) 2018-08-27 2018-08-27 Assembly monitoring system available for ict based inter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8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885B1 (en) * 2021-03-22 2023-07-11 김경준 Heart Rate-Based Automatic Pet Muzzle
KR102457338B1 (en) * 2022-01-24 2022-10-21 서영욱 Smart collar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pet application ser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932B1 (en) * 2017-02-20 2017-09-19 주식회사 빅오이 PETS Care Multimodal System and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804A (en) * 2006-09-21 2006-10-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animal's health by using necklace for animal and system thereof
KR20160036801A (en) * 2014-09-26 2016-04-05 박상진 A Health Monitoring Device of Companion Animal and a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281781B1 (en) 2015-08-19 2021-07-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angle of arrival of antenna sig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932B1 (en) * 2017-02-20 2017-09-19 주식회사 빅오이 PETS Care Multimodal System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817A (en)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999B2 (en) Proximity based and data exchange and user authentication between smart wearable devices
US20210000347A1 (en) Enhanced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s and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of remote physiological monitoring of subjects
US20230190100A1 (en) Enhanced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physiological monitoring, prognosis, and triage
JP6336056B2 (en) Band with electronic device conforming to shape
US11602281B2 (en) Injectable sensors and methods of use
KR101044883B1 (en) Exercise management system using biofeedback
KR20180068096A (en) Apparatus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for pet
KR102361026B1 (en) Bioelectr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EP3638105B1 (en) Direct frequency modulating radio-frequency sensors
US20150130613A1 (en) Selectively available information storage and communications system
KR102142883B1 (en) Assembly monitoring system available for ict based interaction
JP2017529058A (en) Pet display
US20170215757A1 (en) Physiological signal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s and devices
Miranda et al. Eye on patient care: Continuous health monitori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ireless platform for healthcare applications
KR101887102B1 (en) Health care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health care device, and health care system having sensors scalability
US202302531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user activity
US20210225505A1 (en) Biological data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201702153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animal physiological and performance signals
Khan et al. A portable wireless body sensor data logger and its application in video capsule endoscopy
US20230141400A1 (en) Vitals Monitoring Handcuff Apparatus
KR1022902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Vocal Cord Condition
WO2016063190A1 (en) Miniature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continously monitoring health through ear
US20190125267A1 (e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apparatus
WO20161343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th monitoring
KR101861613B1 (en) Sensor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sensor device, and newborn baby vomit detecting system using sens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