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637B1 -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637B1
KR102142637B1 KR1020180173066A KR20180173066A KR102142637B1 KR 102142637 B1 KR102142637 B1 KR 102142637B1 KR 1020180173066 A KR1020180173066 A KR 1020180173066A KR 20180173066 A KR20180173066 A KR 20180173066A KR 102142637 B1 KR102142637 B1 KR 10214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ower
inverter
electric mo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459A (ko
Inventor
이성현
이덕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6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G21C15/18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 G21C15/182Emergency cooling arrangements; Removing shut-down heat comprising powered means, e.g.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는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는 입력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DC 링크에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DC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직류 전력을 방전하는 배터리, 상기 DC 링크의 상기 직류 전력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전동기에 공급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무효전력 보상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무효전력 보상회로는 상기 전동기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상기 전동기의 인덕턴스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기의 기동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커패시턴스를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제어 회로{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무정전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자력발전소에 사용하고 있는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중요한 부하에 대해서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직접 공급하지 않고,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충전기를 통해 상용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충전함과 동시에, 인버터를 이용하여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원자력발전소 내 중요 부하에 안정적인 교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원자력발전소에는 냉각재 상실 사고 시 냉각재 외부 누출 방지를 위한 격리밸브 구동용 전동기, 열전달 및 냉각을 위해 사용되는 펌프에 사용되는 대형 전동기, 제어실과 기기실의 온도, 습도 및 청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계통의 댐퍼에 사용되는 전동기, 및 원자로에서 제어봉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텝모터 등 다양한 종류의 전동기가 사용된다. 또한, 원자력발전소에서 원자로냉각재펌프(RCP, Reactor Coolant Pump), 복수펌프, 기동펌프, 해수펌프(순환수 펌프), 안전주입펌프 등의 펌프들이 사용된다. 원자로냉각재 펌프는 1차 냉각재를 순환시키는 펌프로서, 원자로용기로부터 증기발생기를 통과한 1차 냉각재를 원자로용기로 되돌아오게 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전동기들 중 적어도 일부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유지에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하나의 무정전 전원 장치가 하나의 전동기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원자력발전소의 특성에 따라 전동기 단독부하를 위한 무정전 전원 장치에 전동기 기동 시 전동기의 인덕턴스로 인한 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큰 용량의 인버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버터에 직류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기(Charger)와 배터리(Battery)의 용량도 역시 정격용량에 비해 크게 선정되고 있다. 그 결과, 전동기 단독부하를 위한 무정전 전원 장치의 용량이 전동기의 정격 용량의 수 배에 이르는 비효율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동기 단독부하를 위한 무정전 전원 장치의 용량이 전동기의 기동 전류로 인해 전동기 정격 용량보다 훨씬 크게 사용되는 비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이의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는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는 입력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DC 링크에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DC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직류 전력을 방전하는 배터리, 상기 DC 링크의 상기 직류 전력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전동기에 공급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무효전력 보상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무효전력 보상회로는 상기 전동기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상기 전동기의 인덕턴스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기의 기동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커패시턴스를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전동기의 기동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가 단락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제어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회로에 연결되는 제1 배선과 제2 배선 사이에 출력하는 제어 전압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배선과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동기를 기동하기 위한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단락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평상 시 단락되는 제3 스위치,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상기 제3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고, 양단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스위치가 단락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제어 소자,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양단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3 스위치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3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무정전 전원 장치는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 및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시지연 계전기(Time Delay Rela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전압 생성부는 상기 인버터에서 생성되는 상기 교류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변압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전동기 사이의 차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어 회로는 전동기 단독부하에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평상 시 개방되는 제1 스위치, 평상 시 개방되고, 상기 전동기의 구동 시에 단락되는 제2 스위치, 평상 시 단락되는 제3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3 스위치가 모두 단락 상태일 때 상기 제1 스위치를 단락하는 제1 스위치 제어 소자, 및 상기 제2 스위치가 단락되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 후에 상기 제3 스위치를 개방하는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 소자는 제어 전압의 전위차를 갖는 제1 배선과 제2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배선과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동기를 기동하기 위한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단락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 제어 소자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 제어 소자는 양단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스위치를 단락할 수 있다. 상기 제3 스위치 제어 소자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양단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 후에 상기 제3 스위치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정전 전원 장치는 원자력발전소의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기 기동 시에 발생하는 인덕턴스를 커패시턴스로 보상함으로써, 무정전 전원 장치의 용량은 전동기가 기동할 때 발생하는 무효전력을 고려하지 않고 전동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필요한 정격 용량을 기준으로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정전 전원 장치를 구성하는 인버터 용량을 종래에 비해 50%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인버터 용량이 감소됨에 따라, 충전기 용량 및 배터리 용량도 역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 효율이 개선될 수 있으며,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도 1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무효전력 보상회로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무효전력 보상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교류 전원(20)과 전동기(10) 사이에 연결되어, 무정전 교류 전력을 전동기(10)에 공급한다.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충전기(110), 배터리(120), 인버터(130), 및 무효전력 보상회로(140)를 포함한다.
교류 전원은 계통 및 발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계통은 발전소, 변전소, 송전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계통이 정상 상태인 경우,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계통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전동기(10)에 무정전 교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계통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은 배터리(120)를 충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계통이 비정상 상태인 경우,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배터리(120)에 저장된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여 무정전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은 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으로서, 발전 전력을 무정전 전원 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은 예컨대 태양광 발전 시스템, 풍력 발전 시스템, 및 조력 발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태양열이나 지열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모든 발전 시스템들이 교류 전원(20)에 포함될 수 있다.
전동기(10)는 무정전 전원 장치(100)로부터 무정전 전력을 공급받는 단독부하로서, 원자력발전소의 중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전동기(10)는 원자력발전소의 냉각재 상실 사고 시 냉각재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한 격리밸브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기(110)는 교류 전원(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DC 링크(도 2의 102)에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DC 링크(102)에 연결되어 충전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충전하고 인버터(130)에 직류 전력을 방전할 수 있다. 인버터(130)는 DC 링크(102)의 직류 전력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전동기(10)에 공급할 수 있다.
무효전력 보상회로(140)는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무효전력 보상회로(140)는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전동기(10)의 인덕턴스를 보상하기 위하여,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Td) 동안 커패시턴스를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차단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150)는 인버터(130)의 출력단과 전동기(10) 사이에 연결되어, 인버터(130)에서 생성된 교류 전력이 전동기(10)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를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정전 전원 장치(100)는 충전기(110), 배터리(120), 인버터(130), 무효전력 보상회로(140), 및 차단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110)는 입력단(1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DC 링크(102)에 공급할 수 있다. 충전기(110)는 입력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직류 링크 전압으로 변환하여 DC 링크(102)에 전달할 수 있다. 직류 링크 전압은 DC 링크(102)와 접지 사이의 전압을 의미할 수 있다. 직류 링크 전압은 예컨대 DC 125V일 수 있다.
입력단(1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 전력, 발전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발전 교류 전력 및 발전 직류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110)는 입력단(1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 회로, 정류 회로 등과 같은 전력 변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1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교류 전력인 경우, 충전기(110)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1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직류 전력인 경우, 예컨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연결되는 경우, 충전기(110)는 직류 전력을 다른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DC-DC 컨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연결되는 경우, 충전기(110)는 일사량, 온도 등의 변화에 따라서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부터 최대의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최대 전력 포인트 추적(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를 수행하는 MPPT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101)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의 순시 전압 강하, 전동기(10)의 부하 변동, 배터리(120)의 충전 상태 변동 등의 이유로 인하여 DC 링크(102)의 직류 링크 전압 크기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직류 링크 전압은 충전기(110) 및 인버터(130)의 정상 동작을 위해 안정화될 필요가 있다.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직류 링크 전압을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DC 링크(102)와 접지 사이에 대용량 커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120)는 DC 링크(102)에 연결되어, 충전기(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하고 있는 전력을 인버터(130)를 통해 전동기(10)에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셀들과 배터리 셀들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고 배터리 셀들을 보호하는 배터리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배터리 팩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배터리(120)는 전동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소비되는 정격 용량을 기준으로 산정되는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120)는 산정된 용량을 갖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은 직류 링크 전압에 대응하여 직렬, 병렬, 또는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셀들은 납축전지, 리튬계 이차전지, 니켈-카드뮴 이차전지, 니켈-수소 이차전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는 배터리(12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고, 배터리(120)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감지하여 배터리(12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20)는 충전 제어 스위치, 방전 제어 스위치 및 퓨즈 등의 보호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호 회로는 배터리 관리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DC 링크(102)와 배터리(120) 사이에 컨버터가 연결될 수 있다. 컨버터는 방전 모드에서 배터리(120)에 저장된 전력을 직류 링크 전압으로 변환하여 인버터(130)로 출력하고, 충전 모드에서 직류 링크 전압을 배터리(120)를 충전하기 위한 전압 레벨로 변환하여 배터리(120)로 출력하는 양방향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130)는 DC 링크(102)에 연결되어, DC 링크(102)의 직류 전력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전동기(10)에 공급할 수 있다. 인버터(130)는 DC 링크(102)의 직류 링크 전압을 전동기(10)에 적합한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전동기(1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130)는 전동기(10)의 규격에 따라 예컨대 AC 480V를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130)는 전동기(10)로 출력되는 교류 전압에서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버터(130)는 무효전력의 발생을 억제 또는 제한하기 위하여 무효전력 보상회로(14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인버터(130)는 전압 변동 범위 제한, 역률 개선, 직류 성분 제거, 과도 현상(transient phenomena) 보호 또는 감소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단기(150)는 인버터(130)의 출력단과 전동기(10) 사이에 연결된다. 차단기(150)는 무정전 전원 장치(10)와 전동기(10) 중 어느 하나에서 불량이 발생하였을 때 무정전 전원 장치(10)와 전동기(10)을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단기(150)는 단락 상태일 수 있다. 차단기(150)는 관리자가 직접 제어하거나, 위험을 감지하는 별도의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차단기(150)는 예컨대 고전압, 과전류 또는 고온을 스스로 감지하여 개방될 수도 있다.
전동기(10)는 무정전 전원 장치(100)로부터 무정전 전력을 공급받는 단독부하일 수 있다. 예컨대, 전동기(10)는 원자력발전소의 냉각재 상실 사고 시 냉각재 외부 유출 방지를 위한 격리밸브를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단기(150)와 전동기(10) 사이에 전동기 구동 스위치(11)가 연결될 수 있으며, 전동기 구동 스위치(11)는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단락되고 전동기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전동기 구동 스위치(11)가 단락되면 전동기(10)는 구동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전동기(10)가 기동할 때 대략 1초 이하의 짧은 순간에 큰 인덕턴스로 인하여 지상무효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짧은 시간에 발생하는 지상무효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큰 용량의 인버터(130)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인버터를 추가로 사용하여 전동기(10)에 공급되는 전력의 위상각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효전력 보상회로(140)는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지상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하여,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Td) 동안 커패시턴스를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효전력 보상회로(140)는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Td) 동안 진상무효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공기(10)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지상무효전력을 보상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버터(130)의 용량은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무효전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동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의 정격 전력을 기준으로 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인버터(130)의 용량은 종래에 비해 감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충전기(110) 및 배터리(120)의 용량도 역시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효전력 보상회로(140)는 커패시터(141), 제1 스위치(142), MC 제어 회로(143), 및 제어 전압 생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42)는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MC 제어 회로(143)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제1 스위치(142)는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의 a 접점(평상 시 개방 접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MC 제어 회로(143)는 제1 스위치(142)를 구성하는 전자접촉기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141)는 제1 스위치(142)를 통해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미리 설정된 시간(Td) 동안 제1 스위치(142)를 통해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공급되는 커패시턴스를 가질 수 있다.
MC 제어 회로(143)는 전동기(10)의 기동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d) 동안 제1 스위치(142)가 단락되도록 제1 스위치(14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42)는 MC 제어 회로(143)에 의해 전동기(10)의 기동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Td) 동안만 단락되며, 그에 따라 커패시터(141)는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141)는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지상무효전력을 보상할 수 있는 진상무효전력을 유도할 수 있다. MC 제어 회로(143)는 제어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커패시터(141)의 용량은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필요한 무효전력에서 인버터(130)가 공급할 수 있는 무효전력을 제외한 용량으로 선정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42)가 단락되는 미리 설정된 시간(Td)은 전동기(10)의 기동 시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전동기(10)의 용량 및 특성에 따라 기동 시에 발생시키는 지상무효전력의 크기 및 기간이 상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Td)은 전동기(10)의 용량 및 특성을 기초로 지상무효전력을 보상해야 할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시간(Td)은 1초 이하의 시간일 수 있다.
제1 스위치(142)는 미리 설정된 시간(Td) 후에는 개방되어, 커패시터(141)는 인버터(130)의 출력단으로부터 분리된다. 인버터(130)가 미리 설정된 시간(Td) 후에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는 커패시터(141)가 인버터(130)로부터 분리되므로, 커패시터(141)가 과전압이나 과전류를 발생시키는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MC 제어 회로(143)는 제어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배선(W1)과 제2 배선(W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선(W1)과 제2 배선(W2)의 전위차는 제어 전압과 동일하다. 제어 전압은 예컨대 AC 220V, AC 110V 또는 DC 125V일 수 있다. 제어 전압은 전술한 전압 외에 다른 전압일 수도 있다.
제어 전압 생성부(144)는 제어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제1 배선(W1)과 제2 배선(W2) 사이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전압이 AC 220V 또는 AC 110V인 경우, 제어 전압 생성부(144)는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변압기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제어 전압 생성부(144)는 DC 링크(102)의 직류 링크 전압으로부터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소용량 인버터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라서 제어 전압이 DC 125V인 경우, 제어 전압 생성부(144)는 배터리(120) 양단의 DC 링크(102)와 접지를 각각 제1 배선(W1)과 제2 배선(W2)에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전압이 예컨대 DC 24V와 같이 다른 크기의 직류 전압인 경우, 제어 전압 생성부(1440는 DC 링크(102)의 직류 링크 전압으로부터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DC-DC 컨버터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MC 제어 회로(143)의 일 예에 대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무효전력 보상회로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무효전력 보상회로(140)는 커패시터(141), 제1 스위치(142),및 MC 제어 회로(143)를 포함한다. 무효전력 보상회로(140)는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어 회로로 지칭될 수 있다.
MC 제어 회로(143)에는 제1 배선(W1)과 제2 배선(W2)을 통해 제어 전압(Vc)이 공급될 수 있다. 도 3에는 제어 전압(Vc)을 공급하는 제어 전압 생성부(도 2의 144)이 도시되지 않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효전력 보상회로(140)는 제어 전압 생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141)와 제1 스위치(142)는 제3 배선(W3)과 제4 배선(W4) 사이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배선(W3)은 인덕터(도 2의 130)의 출력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4 배선(W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MC 제어 회로(143)는 제2 스위치(145), 제3 스위치(146),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 및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45)는 제1 배선(W1)과 제1 노드(Na) 사이에 연결되고, 전동기(10)를 기동하기 위한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단락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45)는 a 접점(평상 시 개방 접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동기(10)의 구동 시에 단락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45)는 전동기 구동 스위치(도 2의 11)와 동일하게 개방 및 단락될 수 있다. 즉, 제2 스위치(145)는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단락되고 전동기 정지 신호에 응답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제3 스위치(146)는 제1 노드(Na)와 제2 배선(W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146)는 b 접점(평상 시 단락 접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스위치(146)는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에 의해 지연하여 개방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는 제1 노드(Na)와 제2 배선(W2) 사이에 제3 스위치(146)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는 양단에 제어 전압(Vc)이 인가되면, 제1 스위치(142)가 단락되도록 제1 스위치(142)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위치(142)가 단락되면, 커패시터(141)가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지상무효전력을 보상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42)와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는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42)는 전자접촉기의 a 접점으로 구성되고,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는 전자접촉기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스위치(145)와 제3 스위치(146) 및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는 제1 배선(W1)과 제2 배선(W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므로,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는 제2 스위치(145)와 제3 스위치(146)가 모두 단락 상태일 때 제1 스위치(142)를 단락시킬 수 있다.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는 제1 노드(Na)와 제2 배선(W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는 양단에 제어 전압(Vc)이 인가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Td) 후에 제3 스위치(146)가 개방되도록 제3 스위치(146)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스위치(146)와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는 시지연 계전기(Time Delay Relay)를 구성할 수 있다. 제3 스위치(146)는 시지연 계전기의 a 접점으로 구성되고,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는 시지연 계전기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시지연 계전기는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Td)을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시지연 계전기는 타이머가 통전을 시작하고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Td) 후에 동작하고, 타이머에 통전이 멈추면 바로 복귀할 수 있다.
제2 스위치(145)와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는 제1 배선(W1)과 제2 배선(W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므로,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는 제2 스위치(145)가 단락되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Td) 후에 제3 스위치(146)를 개방하고, 제2 스위치(145)가 개방되면 제3 스위치(146)를 단락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 장치의 무효전력 보상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도 3의 기호와 일치하도록, 제1 스위치(142)는 MC로 표시하고,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는 MC 코일로 표시한다. 제3 스위치(146)는 TC로 표시하고,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는 TC 코일로 표시한다. 제2 스위치(145)는 AC로 표시하고, 커패시터(141)는 CAP으로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동기(10)를 기동시키기 위한 전동기 기동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S10). 전동기 기동 신호는 원자력발전소의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출력되거나, 원자력발전소의 통합 제어 시스템이 자신의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출력한 신호일 수 있다.
제2 스위치(145, AC)는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단락된다(S20). 제2 스위치(145, AC)가 단락됨에 따라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 TC 코일)이 여자되고, 제3 스위치(146, TC)는 평상 시 단락 접점으로서 단락 상태이므로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 MC 코일)이 여자된다(S30).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 MC 코일)이 여자됨에 따라, 제1 스위치(142, MC)는 단락되고(S40), 커패시터(141, CAP)는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된다(S50).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의해 전동기(130)가 기동을 시작하자마자 커패시터(141, CAP)가 인버터(130)의 출력단에 연결됨으로써, 전동기(130)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지상무효전력은 보상될 수 있다.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148, TC 코일)에 의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Td) 후에 제3 스위치(146, TC)가 개방된다(S60). 그에 따라, 제1 스위치 제어 소자(147, MC 코일)이 소자되고(S70), 제1 스위치(142, MC)는 개방된다(S80). 제1 스위치(142, MC)의 개방에 의해 커패시터(141, CAP)는 인버터(130)의 출력단에서 분리된다(S90).
이후, 전동기(10)는 정상적으로 구동한다(S100). 전동기(10)가 정상적으로 구동하기 전에, 커패시터(141, CAP)가 인버터(130)의 출력단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커패시터(141, CAP)은 인버터(130) 및 전동기(10)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즉, 커패시터(141, CAP)는 인버터(130)에 진상무효전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130)는 전동기(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필요로 하는 정격 전력을 기준으로 설계될 수 있으므로, 인버터(130)의 용량은 종래에 비해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예컨대, 전동기(10)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지상무효전력으로 인하여 전동기(10)의 기동 시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필요한 전류에 비해 수 배(대략 6배 정도) 큰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대략 1/6로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인버터(130)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와 연결되는 충전기(110) 및 축전지(120)의 용량도 역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구매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물리적인 공간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전동기
11: 전동기 구동 스위치
20: 교류 전원
100: 무정전 전원 장치
110: 충전기
120: 배터리
130: 인버터
140: 무효전력 보상 회로
141: 커패시터(CAP)
142: 제1 스위치(MC)
143: MC 제어 회로
144: 제어 전압 생성부
145: 제2 스위치(AC)
146: 제3 스위치(TC)
147: 제1 스위치 제어 소자(MC 코일)
148: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TC 코일)
150: 차단기

Claims (8)

  1.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로서,
    입력단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DC 링크에 공급하는 충전기;
    상기 DC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력을 충전하고 상기 직류 전력을 방전하는 배터리;
    상기 DC 링크의 상기 직류 전력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전동기에 공급하는 인버터;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무효전력 보상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무효전력 보상회로는 시지연 계전기(Time Delay Relay)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기의 기동 시에 발생하는 상기 전동기의 인덕턴스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기의 기동 시에 상기 시지연 계전기에 의해 설정된 지연 시간 동안 커패시턴스를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동기는 상기 전동기의 기동 시점으로부터 상기 지연 시간이 경과 후에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전력 보상회로는,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턴스를 갖는 커패시터;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상기 전동기의 기동 시점으로부터 상기 지연 시간 동안 상기 제1 스위치가 단락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 및
    상기 제어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제어 회로에 연결되는 제1 배선과 제2 배선 사이에 출력하는 제어 전압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배선과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동기를 기동하기 위한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단락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평상 시 단락되는 제3 스위치;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상기 제3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되고, 양단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스위치가 단락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1 스위치 제어 소자; 및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양단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지연 시간 후에 상기 제3 스위치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3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시지연 계전기는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 제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접촉기(Magnetic Contacto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전압 생성부는 상기 인버터에서 생성되는 상기 교류 전력으로부터 상기 제어 전압을 생성하는 변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전동기 사이의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7. 전동기 단독부하에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어 회로로서,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상기 인버터의 출력단과 상기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되고, 평상 시 개방되는 제1 스위치;
    평상 시 개방되고, 상기 전동기의 구동 시에 단락되는 제2 스위치;
    평상 시 단락되는 제3 스위치;
    상기 제2 스위치와 상기 제3 스위치가 모두 단락 상태일 때 상기 제1 스위치를 단락하는 제1 스위치 제어 소자;
    상기 제2 스위치가 단락되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 후에 상기 제3 스위치를 개방하는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 및
    제어 전압의 전위차를 갖는 제1 배선과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제1 배선과 제1 노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전동기를 기동하기 위한 전동기 기동 신호에 응답하여 단락 되고,
    상기 제3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 제어 소자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스위치 제어 소자는 양단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스위치를 단락하고,
    상기 제3 스위치 지연 제어 소자는 상기 제1 노드와 상기 제2 배선 사이에 연결되고, 양단에 상기 제어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지연 시간 후에 상기 제3 스위치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회로.
  8. 삭제
KR1020180173066A 2018-12-28 2018-12-28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제어 회로 KR10214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66A KR102142637B1 (ko) 2018-12-28 2018-12-28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066A KR102142637B1 (ko) 2018-12-28 2018-12-28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59A KR20200082459A (ko) 2020-07-08
KR102142637B1 true KR102142637B1 (ko) 2020-08-07

Family

ID=7160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066A KR102142637B1 (ko) 2018-12-28 2018-12-28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6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58B1 (ko) * 2012-10-24 2013-03-18 송규창 교류 모터제어반용 무효전력보상장치
WO2017006427A1 (ja) * 2015-07-07 2017-01-1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92B1 (ko) * 2009-09-30 2011-09-30 한국전력공사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42719B1 (ko) * 2014-10-14 2016-07-27 창명제어기술 (주) 무효 전력 보상 장치 및 무효 전력 보상 방법
KR20180032480A (ko) * 2016-09-22 2018-03-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보상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58B1 (ko) * 2012-10-24 2013-03-18 송규창 교류 모터제어반용 무효전력보상장치
WO2017006427A1 (ja) * 2015-07-07 2017-01-12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459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Control and operation of a DC microgrid with variable generation and energy storage
US10886737B2 (en) Energization control for establishing microgrids
US10790769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enhancing endurance to anomalous voltage for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EP2638613B1 (en) Method for operation of a photovoltaic installation for feeding electrical power into a medium-voltage power supply grid
US9209500B2 (en) Temperatur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battery
US20210075221A1 (en) Real time energy management and control of renewable energy based microgrid in grid-connected and island modes
EP2330726A2 (en) Grid-connected powe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id-connected power storage system
US10214108B2 (en) DC voltage source including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an adaptive voltage level
JP2014146589A (ja) バッテリ温度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1109901A (ja)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る系統連係型電力保存システム
US1043488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harging of vehicle accumulators
US9893550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starting method thereof
US10797485B2 (en) Power conditioner, power supply system, and current control method
KR101688485B1 (ko) 에너지 저장 장치
CN105529735A (zh) 并网光伏发电系统
Kadandani et al. An overview of the role of solid state transformer in grid connected wind farms
KR102142637B1 (ko) 전동기 단독부하에 무정전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제어 회로
WO2020131005A1 (en) Fault current control sub-system and related method
CN111049410B (zh) 电能装换装置的控制方法和电能转换系统
CN109617476B (zh) 多功能开关磁阻发电机高压直流系统
EP2666221B1 (en) A high voltage dc power source and a power apparatus for a high voltage electrical power system
CN216851317U (zh) 一种多功能自检合闸电源装置
Tauro et al. Design of a Full-Bridge Converter for Lead-Acid Battery Charging and Powering DC Loads
KR102303342B1 (ko) 돌입 전류에 의한 릴레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릴레이의 제어 방법
KR10230332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