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275B1 -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275B1
KR102142275B1 KR1020190090391A KR20190090391A KR102142275B1 KR 102142275 B1 KR102142275 B1 KR 102142275B1 KR 1020190090391 A KR1020190090391 A KR 1020190090391A KR 20190090391 A KR20190090391 A KR 20190090391A KR 102142275 B1 KR102142275 B1 KR 102142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transaction
information
deposit
cryptocurr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278A (ko
Inventor
이일영
임지순
김승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9009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2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잭션 검증을 이용한 암호화 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정보인 노드 정보를 수집하고, 노드 정보를 기초로 각 노드에 대한 노드 평가 정보를 생성한 뒤, 노드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노드에 대한 노드 우선순위를 갱신하는 노드 우선순위 갱신 단계; 갱신된 노드 우선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노드인 상위 노드에서의 입금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인 트랜잭션 정보를 요청하는 트랜잭션 정보 요청 단계; 상위 노드에서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 정보 수신 단계; 및 트랜잭션 정보에서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가 승인 조건인 기설정된 컨펌 횟수에 도달한 경우 입금 요청에 대해 입금 승인을 수행하는 트랜잭션 컨펌 확인 및 입금 승인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pproving deposit of cryptocurrency}
본 발명은 암호화 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9년 세상에 등장한 암호화폐이자 가상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은 화폐의 정의를 뒤흔들며 시장에서 높은 수요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서비스들에도 블록체인이 적용되는 파급효과를 가져왔다.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는 암호화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 등을 결합해 화폐 발행과 거래 내역을 P2P 분산 네트워크상에서 다수 컴퓨터가 동시에 기록하고 검증하는 방법을 제시했고, 이는 블록체인(Blockchain)이라고 불리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기술이다.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이 실제로 작동함을 보여준 첫 적용 사례(use case)다. 글로벌 암호화폐(가상화폐)의 시가 총액은 2017년 8월 $150B 을 달성하였다. 또한, 2017년 8월에는 비트코인은 2조 6천억원, 이더리움은 9천억원, 리플은 1조 8천억원의 글로벌 1일 거래량을 달성한 바 있다. 2018년 11월 현재 거래되고 있는 암호화폐는 약 1000개 이상이다.
암호화폐 거래소(Cryptocurrency exchange)는 특정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화폐를 법정화폐 또는 다른 암호화폐와 거래하는 마켓 플레이스를 의미한다. 현재 대표적인 암호화폐 거래소로는 대한민국의 빗썸(Bithumb), 업비트(Upbit), 코빗(Korbit), 코인원(Coinone), 업사이드(Upxide) 등이 있고, 일본의 bitFlyer, Quoine, Coincheck 등이 있고, 중국과 홍콩의 BTCChina, OKCoin, gate.io, KuCoin 등이 있으며, 미국의 bitMEX, Bittrex, Coinbase, Kraken, deyMEX 등이 있고, 유럽의 Binance, Bitfinex, Bitstamp, HitBTC 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거래소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7년 3월 기준 152개 거래소에서 76개의 통화로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폐 거래소에서는 코인이나 토큰과 같은 암호화폐 입출금을 수행할 때 퍼블릭 블록체인의 사용자 계정 주소와 거래소의 계정 주소 사이의 상태변화 정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의 확정을 기준으로 암호화폐 입출금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트랜잭션의 생성이나 배포에 따라 암호화폐 입출금을 곧바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트랜잭션의 컨펌(confirmation)을 기준으로 암호화폐 입출금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암호화폐 입출금이 상당히 지연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특정 트랜잭션의 생성 및 배포 이후에 블록이 누적될수록 트랜잭션의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트랜잭션의 컨펌이란, 예를 들어, A주소의 비트코인을 B주소로 이체하기 위해 이체 거래인 트랜잭션(Transaction)을 생성하고 자신의 ‘개인키(private key)’로 서명해 네트워크에 전파(Propagation)하면 트랜잭션이 각 노드의 메모리의 대기열에 저장되고, 저장된 트랜잭션을 채굴자가 전파받아 자신이 채굴하여 발행하는 블록에 삽입한 뒤 이를 전파하면 트랜잭션이 컨펌(Confirmation) 된다. 이처럼 트랜잭션이 컨펌된 이후에 새로운 블록이 추가로 형성되어 이전의 블록체인과 블록헤드 해시값으로 연결되면 컨펌의 횟수가 2 이상이 된다. 각 암호화폐 거래소는 이러한 컨펌의 횟수를 기설정해놓고 입금을 승인 또는 확정(settlement)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A 거래소에서 B 거래소로의 코인 입출금은 다음의 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는 A거래소 출금 승인 단계로서, A 거래소의 코인을 B거래소로 전송하려면 우선 A거래소의 출금 승인을 거쳐야 한다. A 거래소에서는 보이스피싱 등의 금융사기가 의심될 경우 A 거래소는 출금 승인을 거절하게 된다. 2단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승인(컨펌) 단계로서, A거래소에서 출금 승인이 완료되면, 코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컨펌을 받게 된다. 이때 지급하려는 수수료(이더리움의 경우 GAS)가 낮아 채굴자가 승인을 기피할 경우 승인이 지연되거나 취소될 수도 있다. 3단계는 B거래소 입금 승인 단계로서, 입금하려는 거래소에 기설정된 입금 승인을 위한 컨펌 수가 충족되게 되면 자동적으로 승인이 이루어진다. 승인에 필요한 컨펌 수는 코인별, 거래소별로 각각 다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62000, 다중 거래소를 사용하는 암호화폐 리스크 관리시스템(Risk management system of cryptography money using multi-customer), 팝펀딩 주식회사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01355, 블록체인 자산의 거래소에 있어서 보안을 개선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SECURITY IN BLOCKCHAIN-ASSET EXCHANGE), 쉐이프시프트 아게
하지만, 트랜잭션의 컨펌을 이용한 기존의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방식에 따르면 암호화페 입금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암호화폐 데이 트레이딩, 재정거래, 스켈핑, 스윙 트레이딩 등을 수행하는 투자자에게 매우 큰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금 승인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트랜잭션 검증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의 우선순위를 갱신하고 특정 사용자의 입금 요청을 승인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및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처리하여 상기 입금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상기 복수의 노드의 정보인 노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노드 정보를 기초로 각 노드에 대한 노드 평가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노드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에 대한 노드 우선순위를 갱신하는 노드 우선순위 갱신 단계; 갱신된 상기 노드 우선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노드인 상위 노드에서의 상기 입금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를 포함하는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인 트랜잭션 정보를 요청하는 트랜잭션 정보 요청 단계; 상기 상위 노드에서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트랜잭션 정보에서 상기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가 승인 조건인 기설정된 컨펌 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금 요청에 대해 입금 승인을 수행하는 트랜잭션 컨펌 확인 및 입금 승인 단계;를 포함하여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드 평가 정보에는 기존의 트랜잭션에 대한 각 노드들의 업데이트 반응 속도(latency) 또는 각 노드들이 상기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배포한 트랜잭션 중 상기 승인 조건을 만족하는 트랜잭션의 비율인 레퓨테이션(Reputation)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검증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가,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정보인 노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노드 정보를 기초로 각 노드에 대한 노드 평가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노드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에 대한 노드 우선순위를 갱신하는 노드 우선순위 갱신 단계; 상기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가, 갱신된 상기 노드 우선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노드인 상위 노드에서의 사용자의 입금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를 포함하는 상기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인 트랜잭션 정보를 요청하는 트랜잭션 정보 요청 단계;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가, 상기 상위 노드에서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 정보 수신 단계; 및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가, 상기 트랜잭션 정보에서 상기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가 승인 조건인 기설정된 컨펌 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금 요청에 대해 입금 승인을 수행하는 트랜잭션 컨펌 확인 및 입금 승인 단계;를 포함하여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드 평가 정보에는 기존의 트랜잭션에 대한 각 노드들의 업데이트 반응 속도(latency) 또는 각 노드들이 상기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배포한 트랜잭션 중 상기 승인 조건을 만족하는 트랜잭션의 비율인 레퓨테이션(Reputation)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잭션 검증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방법을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의 코인 입금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의 입금 계정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의 입금 승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특정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트랜잭션 검증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의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 및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사용자 클라이언트(2)에서의 입금 요청의 블록체인 상에서의 컨펌을 확인하여 입금 승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는 사용자가 암호화폐 거래소에 입금 요청, 입금 내역 요청 등의 요청을 송신하고, 입금 내역 수신 등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데스크탑, 태블릿 PC 등의 개인 클라이언트를 의미한다.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는 상호 동기화되는 블록체인(30)을 각각 포함한 복수개의 노드(3)로 구성된 분산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노드(3)는 메모리에 저장된 블록체인(30)과 통신하고 블록체인(30)의 상태변화를 수신하여 블록체인(30)을 업데이트하거나 블록체인(30)의 상태변화를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 내의 다른 노드에 배포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사용자 클라이언트(2)에서 특정 암호화폐의 특정 개수를 사용자 계정에서 거래소 계정으로 송금하는 요청인 송금 요청을 특정 노드에 송신하고, 송금 요청을 수신한 특정 노드가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다른 노드(3)로 배포하게 된다. 배포된 트랜잭션은 각 노드(3)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특정 채굴 노드에 의해 블록이 증명되면 해당 트랜잭션이 증명된 블록에 포함되어 블록체인(30)에 기록된다.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는 노드(3)를 통해 트랜잭션의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트랜잭션에 대한 컨펌의 수인 해당 트랜잭션이 증명된 블록 이후의 블록의 개수를 확인하고 해당 트랜잭션에 대해 입금을 승인하여 사용자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입금된 특정 개수 만큼의 특정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거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입금 계정 생성과 관련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의 입금 계정 생성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의 요청에 의해 ①암호화폐 입금 주소 요청 단계, ②계정 생성 요청 단계, ③계정 주소 및 개인키 반환 단계, ④계정 주소 출력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①암호화폐 입금 주소 요청 단계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에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에 특정 암호화폐에 대한 입금 주소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②계정 생성 요청 단계는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가 특정 노드(3)에 상기 특정 암호화폐에 대한 계정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③계정 주소 및 개인키 반환 단계는 노드(3)에서 특정 암호화폐에 대한 계정을 생성하고, 계정의 공개키인 계정 주소 및 계정의 개인키를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에 반환하는 단계이다.
④계정 주소 출력 단계는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에 특정 암호화폐에 대한 입금 주소인 생성된 계정 주소를 송신하여 출력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에 출력된 계정 주소로 특정 암호화폐를 특정 개수 송금하여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특정 노드(3)에 요청할 수 있다.
입금 승인과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의 입금 승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의 입금 승인 방법은, ①암호화폐 송금 요청 단계, ②트랜잭션 생성 및 배포 단계, ③노드 우선순위 갱신 단계, ④트랜잭션 정보 요청 단계, ⑤트랜잭션 정보 송신 단계, ⑥트랜잭션 컨펌 확인 및 입금 승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①암호화폐 송금 요청 단계는 사용자 클라이언트(2)가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노드(3) 중 하나인 제1노드에 특정 수의 특정 암호화폐에 대해 사용자 계정에서 입금 주소인 거래소 계정 주소로의 송금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②트랜잭션 생성 및 배포 단계는 제1노드에서 암호화폐 송금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배포한 뒤, 블록체인(30)에서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고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노드(3) 중 하나인 특정 채굴 노드가 블록체인(30)의 새로운 블록을 증명하는 경우 상기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에 포함하여 전체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노드(3)로 배포하는 단계이다. 배포된 블록은 각 노드(3)에 의해 검증되며 적정성이 검증된 경우 기존의 블록체인(30)에 상기 트랜잭션을 포함하는 새로운 블록이 linked list로 연결되게 된다.
③노드 우선순위 갱신 단계는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가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3) 정보를 수집하고, 노드 평가 정보를 생성한 뒤, 노드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노드 우선순위를 갱신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드 평가 정보에는 기존의 트랜잭션에 대한 각 노드들의 업데이트 반응 속도(latency), 각 노드들의 레퓨테이션(Reputation) 정보(배포한 트랜잭션 중 승인 조건을 만족하는 트랜잭션의 비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④트랜잭션 정보 요청 단계는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가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노드(3)인 제2노드(상위 노드)에서의 상기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인 트랜잭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는 트랜잭션의 컨펌 예상 시간을 예측하여 컨펌 예상 시간에 제2노드에 트랜잭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트랜잭션의 컨펌 예상 시간은 제2노드의 기존의 트랜잭션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⑤트랜잭션 정보 송신 단계는 제2노드에서 트랜잭션 정보를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⑥트랜잭션 컨펌 확인 및 입금 승인 단계는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가 상기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를 확인하고, 기설정된 컨펌 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트랜잭션에 대해 입금 승인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트랜잭션에 대해 입금 승인이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는 입금한 암호화폐에 대해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가 상기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를 확인하고, 기설정된 컨펌 횟수에 도달할 확률인 승인 가능성 정보를 예측하여, 승인 가능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트랜잭션에 대해 입금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승인 가능성 정보의 예측은 제2노드에 대한 정보, 트랜잭션 배포 노드인 제1노드에 대한 정보 및 현재 제2노드에서의 트랜잭션 정보를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는 제1노드에서 배포되어 제2노드에서 컨펌 된 트랜잭션에 대해 특정 시간 내에 승인될 확률을 승인 가능성 정보로 계산할 수 있다.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과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1)는 노드 정보 수집 모듈(100), 노드 평가 정보 생성 모듈(101), 노드 우선순위 갱신 모듈(102), Tx 정보 수집 모듈(103), Tx 컨펌 확인 모듈(104), 입금 승인 모듈(105)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 정보 수집 모듈(100)은 제1노드 및 제2노드를 포함하여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드(3)의 정보인 노드 정보를 수집하는 모듈이다. 노드 정보에는 기존 트랜잭션의 배포 시기, 수신 시기, 각 트랜잭션 별 블록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노드 평가 정보 생성 모듈(101)은 수집된 노드 정보를 기초로 각 노드(3)에 대한 노드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모듈이다. 노드 평가 정보에는 기존의 트랜잭션에 대한 각 노드들의 업데이트 반응 속도(latency, 제1노드의 트랜잭션 배포에서 해당 노드의 수신까지의 시간 또는 생성된 블록 개수), 각 노드들의 레퓨테이션(Reputation) 정보(배포한 트랜잭션 중 승인 조건을 만족하는 트랜잭션의 비율)이 포함될 수 있다.
노드 우선순위 갱신 모듈(102)은 노드 평가 정보를 기초로 각 노드(3)들에 대한 우선순위인 노드 우선순위 정보를 갱신하는 모듈이다.
Tx 정보 수집 모듈(103)은 노드 우선순위 정보에서 기설정된 순위 내의 노드인 제2노드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2)에서 입금 요청한 입금 계정에 대한 Tx(Transaction)의 정보인 트랜잭션 정보를 수집하는 모듈이다.
Tx 컨펌 확인 모듈(104)은 해당 트랜잭션이 블록체인에 기록된 블록 이후에 몇 개의 블록이 연결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인 컨펌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트랜잭션의 컨펌 여부를 확인하는 모듈이다.
입금 승인 모듈(105)은 해당 트랜잭션에 대한 컨펌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클라이언트(2)의 입금을 승인하는 모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내에 기술된 특징들 및 장점들은 모두를 포함하지 않으며, 특히 많은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도면들, 명세서, 및 청구항들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사용된 언어는 주로 읽기 쉽도록 그리고 교시의 목적으로 선택되었고, 본 발명의 주제를 묘사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기한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거나, 빠뜨리는 것 없이 만들려고 의도한 것이 아니다. 당업자는 상기한 개시에 비추어 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이를 기반으로 하는 출원의 임의의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개시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하의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1: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
2: 사용자 클라이언트
3: 노드
30: 블록체인
100: 노드 정보 수집 모듈
101: 노드 평가 정보 생성 모듈
102: 노드 우선순위 갱신 모듈
103: Tx 정보 수집 모듈
104: Tx 컨펌 확인 모듈
105: 입금 승인 모듈

Claims (2)

  1.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의 입금 요청을 승인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 및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처리하여 상기 입금 요청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처리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정보인 노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노드 정보를 기초로 각 노드에 대한 노드 평가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노드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에 대한 노드 우선순위를 갱신하는 노드 우선순위 갱신 단계;
    갱신된 상기 노드 우선순위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노드인 상위 노드에서의 상기 입금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인 트랜잭션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트랜잭션 정보 요청 단계;
    상기 상위 노드에서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트랜잭션 정보에서 상기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가 승인 조건인 기설정된 컨펌 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금 요청에 대해 입금 승인을 수행하는 트랜잭션 컨펌 확인 및 입금 승인 단계;
    를 포함하여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드 정보는, 상기 각 노드들이 배포하거나 수신한 기존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노드 평가 정보는, 상기 각 노드들의 업데이트 반응 속도 및 상기 각 노드들이 배포하거나 수신한 상기 기존 트랜잭션 중에서 상기 승인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기존 트랜잭션의 비율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잭션 정보는, 상기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입금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트랜잭션은, 특정 암호화폐의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입금 주소인 계정 주소 및 상기 계정 주소로의 송금을 요청하는 상기 특정 암호화폐의 특정 수를 포함하며,
    상기 계정 주소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상기 특정 암호화폐에 대한 입금 주소를 요청할 때 상기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서 생성되거나 기저장된 계정의 공개키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2.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가,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의 복수의 노드의 정보인 노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노드 정보를 기초로 각 노드에 대한 노드 평가 정보를 생성한 뒤, 상기 노드 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노드에 대한 노드 우선순위를 갱신하는 노드 우선순위 갱신 단계;
    상기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가, 갱신된 상기 노드 우선순위에 따라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노드인 상위 노드에서의 사용자의 입금 요청에 대응되는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인 트랜잭션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트랜잭션 정보 요청 단계;
    상기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가, 상기 상위 노드에서 상기 트랜잭션 정보를 수신하는 트랜잭션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가, 상기 트랜잭션 정보에서 상기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가 승인 조건인 기설정된 컨펌 횟수에 도달한 경우 상기 입금 요청에 대해 입금 승인을 수행하는 입금 승인 단계;
    를 포함하여 컴퓨터 상에서 수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노드 정보는, 상기 각 노드들이 배포하거나 수신한 기존 트랜잭션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노드 평가 정보는, 상기 각 노드들의 업데이트 반응 속도 및 상기 각 노드들이 배포하거나 수신한 상기 기존 트랜잭션 중에서 상기 승인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기존 트랜잭션의 비율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잭션 정보는, 상기 트랜잭션의 컨펌 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입금 요청에 대응되는 상기 트랜잭션은, 특정 암호화폐의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입금 주소인 계정 주소 및 상기 계정 주소로의 송금을 요청하는 상기 특정 암호화폐의 특정 수를 포함하며,
    상기 계정 주소는, 상기 특정 사용자의 상기 특정 암호화폐에 대한 입금 주소를 요청할 때 상기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에서 생성되거나 기저장된 계정의 공개키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방법.
KR1020190090391A 2019-07-25 2019-07-25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KR102142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91A KR102142275B1 (ko) 2019-07-25 2019-07-25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391A KR102142275B1 (ko) 2019-07-25 2019-07-25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593A Division KR20180128874A (ko) 2018-11-14 2018-11-14 트랜잭션 검증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78A KR20200056278A (ko) 2020-05-22
KR102142275B1 true KR102142275B1 (ko) 2020-08-07

Family

ID=7091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391A KR102142275B1 (ko) 2019-07-25 2019-07-25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2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749A (ko)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엠투벤처스 지연 검증을 이용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2625A1 (en) 2015-11-05 2017-05-1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 blockchain in a transaction processing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54B1 (ko) * 2017-01-03 2019-04-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과 dht를 이용한 p2p 거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32625A1 (en) 2015-11-05 2017-05-11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 blockchain in a transaction processing networ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가상화폐 트레이딩] 왜 거래소 입출금이 늦어지는 걸까!!? - (2) 트랜잭션(transaction)지연과 거래소 컨펌(confirmation) 기준’, Steemit(2017.07.12. 게재)
‘블록체인의 속도란 무엇인가요? - 블록생성시간, 확정시간’, Steemit(2017.11.21. 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749A (ko) 2021-03-15 2022-09-22 주식회사 엠투벤처스 지연 검증을 이용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278A (ko) 2020-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6659B1 (ko) 강화학습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US11475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ue peer-to-peer automatic teller machine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 payment systems
JP2023509573A (ja) 暗号通貨受け入れシステム
CA3058560C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KR102142275B1 (ko) 암호화폐 거래소의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CN112767153A (zh) 区块链交易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A2988809A1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US118689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nd securing transactions when blockchain connection is unreliable
KR102142278B1 (ko) 컨펌 예상 시간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KR102142279B1 (ko) 승인 가능성 정보를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KR20200056314A (ko) 트랜잭션 검증을 이용한 암호화폐 거래소 입금 승인 장치 및 방법
JP2021096503A (ja) 電子資産管理方法、及び電子資産管理装置
CA2987660C (en) Payment system based on shared funds-management server,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US202300130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ue peer-to-peer automatic teller machine transactions using mobile device payment systems
CA2987699A1 (en) Payment system based on shared funds-management server,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CA2987803A1 (en) Cross-funds management server-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CA2987442C (en) Payment system based on shared funds-management server, and method, device and server therefor
WO20200867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nd securing transactions when blockchain connection is unreli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