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849B1 - 산업폐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산업폐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849B1
KR102141849B1 KR1020190167654A KR20190167654A KR102141849B1 KR 102141849 B1 KR102141849 B1 KR 102141849B1 KR 1020190167654 A KR1020190167654 A KR 1020190167654A KR 20190167654 A KR20190167654 A KR 20190167654A KR 102141849 B1 KR102141849 B1 KR 102141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flow
pollution index
pip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9016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8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폐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폐수배출원으로부터 배출된 폐수가 유입되어 유동되는 제1유동관; 및 상기 제1유동관에 연통되어 상기 제1유동관으로부터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저류조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폐수배출원으로부터 배출된 폐수가 하나의 통로인 상기 제1유동관으로 유입되어 유동되며,
상기 다수의 저류조는, 상기 제1유동관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관으로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저류된 이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유동저류조; 및 상기 제1유동관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관으로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임시적으로 저류되는 임시보관저류조를 포함하는 산업폐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업폐수 배출장치{A industrial wastewater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다수의 폐수배출원으로부터 배출된 폐수를 폐수처리장으로 배출하기 전, 폐수처리장으로의 배출되는 폐수의 배출허용 오염지수를 준수하기 위해, 폐수가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기 전 선제적으로 폐수의 오염지수를 배출허용기준에 맞추기 위한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오염지수 범위 내에서는 하나 이상의 유동저류조를 거쳐 유동되어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일정한 오염지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폐수처리장이 아닌 임시보관저류조에 저류되도록 한 다음 별도의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산업폐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단위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는 다양하다. 보일러 폐수, 공장 폐수, 냉각수 폐수, 생활 폐수 등 하나의 단위 산업현장에서는 오염지수가 서로 다른 다양한 폐수가 발생되고, 이렇게 발생된 다양한 폐수는 각각의 유동로를 통하여 유동되고, 결국, 폐수처리장에 연통된 하나의 통로로 모아진 후 유동되어 폐수처리장에 배출된다.
산업현장에서 배출되어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 폐수에 대해서 일정한 배출허용 오염지수가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일정한 배출허용 오염지수를 벗어나는 경우 폐수처리장의 폐수처리운영에 부하가 발생되어 과태료가 발생될 수 있으며, 나아가 배출허용이 제한되어 산업현장 운영에 차질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산업현장에서 배출되어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 과정 중 폐수의 오염지수를 배출허용 오염지수로 맞추기 위해, 일반적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센싱하고, 센싱된 오염지수가 일정한 오염지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오염지수처리약품을 공급하여 폐수의 오염지수를 일정한 오염지수에 맞추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유동관을 통해 유동되는 물에 약품을 공급하는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19718호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상수공급시설, 오폐수의 수처리 시설, 화학공장 등에 설치되는 관로를 따라 흐르는 액체의 유량과 잔류하는 약품농도에 따라 적절한 약품의 양을 재투입할 수 있으며, 약품의 재투입에 따른 관리가 용이한 관로의 약품 자동 재투입장치 및 약품 자동 재투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을 산업폐수에 적용한다 하더라도, 약품이 유동관에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펌핑될 뿐 실시간으로 펌핑될 수 없음에 따라, 약품공급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약품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폐수가 유동되어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다양한 폐수발생원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오염지수가 각각 다른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약품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폐수처리장에서의 부하에 대한 해결책을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즉, 폐수가 발생되어 유동되는 유동관에는 예상치 못한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폐수가 어느 폐수배출원에서 배출되어 순간적으로 유동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폐수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약품공급이 이루어지는 시점과 시점 사이에 유동되어 결국 약품공급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에 약품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결국 고농도의 오염농도 등의 오염지수의 폐수가 유동되어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폐수의 오염지수에 대해서 배출허용기준을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약품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폐수에 공급되더라도, 폐수처리장으로 폐수가 배출될 때에는, 일정한 오염지수를 유지한 상태에서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폐수가 유동되는 유동관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펌핑되어, 이러한 일정한 시간 간격 사이에 예측하지 못한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폐수가 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서 유동된다 하더라도, 최종적으로 폐수처리장에 배출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는 항상 일정한 범위 이내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산업폐수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나아가, 약품이 공급되더라도 폐수의 오염지수가 일정한 오염지수 수준을 유지할 수 없는 폐수의 경우에는 별도로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산업폐수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산업폐수 배출장치는, 다수의 폐수배출원(11,12,13)으로부터 배출된 폐수가 유입되어 유동되는 제1유동관(120); 및 상기 제1유동관(120)에 연통되어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부터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저류조(220,240,26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폐수배출원(11,12,13)으로부터 배출된 폐수가 하나의 통로인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입되어 유동되며,
상기 다수의 저류조(220,240,260)는, 상기 제1유동관(120)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저류된 이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유동저류조(220,240); 및 상기 제1유동관(120)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임시적으로 저류되는 임시보관저류조(26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유동관(120)은 제1분기관(126) 및 제2분기관(128)으로 분기되며,
상기 다수의 유동저류조(220,240)는, 상기 제1분기관(126)에 연통된 상태에서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저류되는 제1유동저류조(220); 및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로부터 유출되어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저류된 이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2유동저류조(2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와 상기 제2유동저류조(240)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로부터 유출된 폐수가 유동되어 상기 제2유동저류조(240)에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2유동관(140); 상기 제1분기관(126)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는 제1약품공급부(420); 상기 제2유동관(140)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는 제2약품공급부(440);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측정하는 제1오염지수센서(320); 및 상기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측정하는 제2오염지수센서(340)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유동관(120)에서 상기 제1분기관(126)과 상기 제2분기관(128)이 분기되는 지점에 장착된 유로전환밸브(1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로전환밸브(125)에 상기 임시보관저류조(260) 및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가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유로전환밸브(125)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가 상기 임시보관저류조(260) 또는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로 유동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유동관(120)에서 상기 제1오염지수센서(320)로 폐수가 추출되는 제1추출지점(123)이 상기 유로전환밸브(125)가 장착된 지점 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는 상기 제1추출지점(123)을 거친 후에 상기 유로전환밸브(125)를 거치며,
상기 제1분기관(126)에서 상기 제1약품공급부(420)에 의해 약품이 주입되는 제1주입지점(124)이 상기 유로전환밸브(125)가 장착된 지점 후에 위치된 상태에서, 폐수가 상기 유로전환밸브(125)를 거친 후 상기 제1주입지점(124)을 거치며,
상기 제2유동관(140)에서 상기 제2약품공급부(440)에 의해 약품이 주입되는 제2주입지점(144)은 상기 제2오염지수센서(340)로 폐수가 추출되는 제2추출지점(143)보다 앞에 위치되어, 상기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가 상기 제2주입지점(144)을 거친 후 상기 제2추출지점(143)을 거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유동저류조(240)에서 상기 폐수처리장으로 연통되는 제3유동관(160); 상기 제3유동관(160)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는 제3약품공급부(460); 및 상기 제3유동관(16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측정하는 제3오염지수센서(3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유동관(160)에서 상기 제3약품공급부(460)에 의해 약품이 주입되는 제3주입지점(164)은 상기 제3오염지수센서(360)로 폐수가 추출되는 제3추출지점(163)보다 앞에 위치되어, 상기 제3유동관(160)으로 유동되는 폐수가 상기 제3주입지점(164)을 거친 후 상기 제3추출지점(163)을 거치며,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 및 상기 제2유동저류조(240) 각각의 내측에는 교반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오염지수센서(320)에서 센싱된 오염지수가 일정 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유로전환밸브(125)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제1유동관(120)에서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로 유동되는 폐수가 상기 제1유동관(120)에서 상기 임시보관저류조(260)로 유동된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약품이 펌핑되는 시간과 시간 사이에 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폐수가 유동된다 하더라도,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약품이 공급된 폐수가 유동저류조를 거치면서, 연속적으로 폐수가 유동관으로 유동되는 상태에서 약품 펌핑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약품이 공급된 일정량의 폐수와 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일정량의 폐수가 유동저류조에 혼합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일정한 오염지수를 유지한 채, 다시 약품공급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폐수의 오염지수가 예상치 못하게 고농도의 오염지수로 변경될 가능성이 최소화된 바, 폐수의 오염지수가 배출허용 오염지수 범위인 폐수가 폐수처리장에 배출될 수 있다.
나아가, 약품공급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오염지수를 유지할 수 없는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폐수의 경우에는 별도로 구성된 임시보관저류조로 유동시키고, 이후 별로의 처리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바,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 폐수의 오염지수의 변동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폐수 배출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오염지수"란 일반적으로 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 pH, 전기전도도, BOD, COD 등 폐수처리장에의 폐수 오염정도를 측정하는 관련된 지수를 지칭한다. "오염지수처리약품"은 상술한 오염지수를 개선하기 위하여 폐수에 공급되는 약품을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폐수배출원(11,12,13)으로부터 폐수가 발생되어 배출된다. 다양한 폐수배출원(11,12,13)은 각각 서로 다른 오염지수 또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폐수를 배출한다.
이러한 다양한 폐수배출원(11,12,13)에서 배출된 폐수는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폐수, 화학반응에서 발생되는 폐수, 제품을 세척하면서 발생되는 폐수, 생활 폐수 등 하나의 단위 산업현장에서 발생된 것을 포함한 것으로, 폐수가 최종적으로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기 위해 하나의 통로인 제1유동관(120)으로 유입되어 유동되는 폐수일 수 있다. 즉, 다양한 폐수배출원(11,12,13)에서 배출된 각각의 폐수가 유동되어 하나의 통로인 제1유동관(120)으로 모아져 유동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된다.
제1유동관(120)은 제1유동저류조(220) 및 임시보관저류조(260)에 연통된다. 따라서,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가 제1유동저류조(220)로 유동될 수 있거나 또는 임시보관저류조(26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유동관(120)은 제1분기관(126) 및 제2분기관(128)으로 분기된다. 즉,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된 폐수가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2분기관(128)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유동관(120)에서 제1분기관(126) 및 제2분기관(128)으로 분기되는 지점에 유로전환밸브(125)가 장착되어 있다. 유로전환밸브(125)는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된 폐수의 유동 경로를 전환한다. 유로전환밸브(125)가 제1분기관(126)으로 개방되어 있고 제2분기관(128)으로는 폐쇄된 상태라면,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된 폐수가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된다. 그 반대인 경우, 폐수가 제2분기관(128)으로 유동된다.
제1분기관(126)은 제1유동저류조(220)에 연통된다. 따라서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된 폐수가 제1유동저류조(220)로 유입된다.
제2분기관(128)은 임시보관저류조(260)에 연통된다. 따라서 제2분기관(128)으로 유동된 폐수가 임시보관저류조(260)로 유입된다.
제1오염지수센서(320)에서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1오염지수센서(320)로 폐수가 유입되도록 제1유동관(120)에서 폐수가 소량으로 추출되는 제1추출지점(123)은 유로전환밸브(125)가 장착된 지점 이전에 위치된다. 폐수가 제1추출지점(123)을 거친 후 유로전환밸브(125)를 거친다.
따라서, 제1유동관(120)이 제1분기관(126) 및 제2분기관(128)으로 분기되기 전 제1유동관(120)의 일정한 지점인 제1추출지점(123)에서 폐수가 소량으로 추출된다. 추출된 폐수가 제1오염지수센서(320)로 유입되어 오염지수가 센싱된다.
센싱된 오염지수 값이 제어부(미도시)에 전송되고, 전송된 오염지수 값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유로전환밸브(125)를 작동시켜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유로를 제1분기관(126)으로 또는 제2분기관(128)으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폐수가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되는 경우 제1약품공급부(420)를 작동시켜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여 제1분기관(126)으로 약품이 주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오염지수센서(320)에서 센싱된 오염지수가 일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유로전환밸브(125)를 작동시켜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된 폐수를 제2분기관(128)으로 유동시킨 후, 임시보관저류조(260)에 저류시킬 수 있다. 오염지수가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약품을 공급하여 오염지수를 배출허용 범위에 맞출 수 있으나, 약품을 공급하여도 배출허용 범위를 맞출 수 없는 경우에는 임시보관저류조(260)에 저류시킨 후, 차량 등으로 운송하여 별도의 처리과정을 거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오염지수센서(320)는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실시간으로 센싱한다. 실시간으로 센싱한 센싱값이 제어부(미도시)에 전송되고, 따라서 실시간으로 센싱한 센싱값에 따라 유로전환밸브(125)를 실시간으로 작동시켜 폐수의 유로를 결정할 수 있다. 센싱된 오염지수가 일정 범위를 계속적으로 벗어나는 경우 계속적으로 폐수가 임시보관저류조(260)로 유동되도록 하고, 일정 범위 이내로 되돌아 온 경우에는 유로전환밸브(125)를 작동시켜 폐수가 제1유동저류조(220)로 유동되도록 한다.
후술할 제2유동관(140)에서의 제2주입지점(144)과 제2추출지점(143)의 위치 관계 또는 제3유동관(160)에서의 제3주입지점(164)과 제2추출지점(163)의 위치 관계와 달리, 제1추출지점(123)이 제1유동관(120)에 위치되고 제1주입지점(124)이 제1분기관(126)에 위치된다. 즉, 제1주입지점(124)이 제1추출지점(123) 뒤에 위치된다. 측정된 오염지수가 일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별도의 처리가 필요한 바, 약품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임시보관저류조(260)로 유동시키기 위함이다.
제1오염지수센서(320)에서 센싱된 오염지수가 일정 범위 이내라면,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된 폐수가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된다. 일정 범위 이내의 오염지수 또한 배출허용 범위를 맞추기 약품 공급으로 오염지수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제1약품공급부(420)가 제1분기관(126)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한다. 제1분기관(126)에서 오염지수처리약품이 펌핑되는 지점인 제1주입지점(124)은 유로전환밸브(125)가 장착된 지점 후에 위치된다. 따라서, 폐수가 유로전환밸브(125)를 거친 후 제1주입지점(124)을 거친다.
제1오염지수센서(320)에서 폐수의 오염지수를 센싱하고, 센싱된 오염지수가 약품공급에 의하여도 오염지수가 개선될 여지가 없는 경우에는 임시보관저류조(260)로 폐수를 유동시키고, 오염지수가 개선될 여지가 있는 경우 폐수를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시키면서 약품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다수의 폐수배출원(11,12,13)에서 배출된 폐수의 오염지수가 예상치 못한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따른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분기관(126)은 제1유동저류조(220)의 하부에 연통된다.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된 폐수가 제1유동저류조(220)의 하부로 유입된다. 제1유동관(120)의 시작점이나 제1분기관(126)의 시작점이 제1유동저류조(220)의 상부면과 동일하거나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인 바, 제1분기관(126)이 제1유동저류조(220)의 하부에 연통되어 제1유동저류조(220)에 유입된다 하더라도, 유입된 폐수는 제1유동저류조(220)의 상부까지 차오르게 된다.
제1유동저류조(220)의 내측에는 내측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는 폐수의 혼합을 위해 교반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유동저류조(220)의 내측에 유입된 폐수의 오염지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분기관(126)에 펌핑된 오염지수처리약품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펌핑될 수 밖에 없는 바,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시점에 제1주입지점(124)를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의 오염지수는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된 시점에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의 오염지수보다 악화된 상태이다.
곧바로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 경우,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시점에 제1주입지점(124)를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의 오염지수로 인하여 예상치 못한 폐수처리장의 부하가 발생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일단은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시점에 제1주입지점(124)를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와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된 시점에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를 혼합하여 전체적인 오염지수를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균일하게 된 오염지수는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시점에 제1주입지점(124)를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의 오염지수보다 개선된 오염지수이다.
제1유동저류조(2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된 후, 제1유동저류조(220)의 상부에서 배출되는 폐수가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된다.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된 폐수의 오염지수는 제1유동저류조(220)를 거치면서 균일한 오염지수이다. 즉,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는 시시각각 큰 폭으로 변동될 수 있으나,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는 균일한 오염지수이다.
일단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균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배출허용 기준에 맞게 정밀하게 오염지수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센싱하여 배출허용 범위 이내인지 센싱할 필요가 있으며, 센싱된 오염지수가 배출허용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오염지수처리약품을 추가로 공급할 필요가 있다.
제2오염농도센서(340)는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측정한다. 제2오염농도센서(340)에서 센싱된 폐수의 오염지수가 배출허용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제2약품공급부(440)가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여 제2유동관(140)에 약품을 공급한다.
센싱된 오염지수 값이 제어부(미도시)에 전송되고, 전송된 오염지수 값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제2약품공급부(440)를 작동시켜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여 제2유동관(140)으로 약품이 공급되도록 한다.
제2유동관(140)에서 제2약품공급부(440)에 의해 약품이 주입되는 제2주입지점(144)은 제2오염지수센서(340)로 폐수가 추출되는 제2추출지점(143)보다 앞에 위치되어,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가 제2주입지점(144)을 거친 후 제2추출지점(143)을 거친다.
제2주입지점(144)이 제2추출지점(143)보다 앞에 위치됨에 따라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오염지수처리약품의 공급에 따라 곧바로 어떻게 오염지수가 변화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제2주입지점(144)이 제2추출지점(143)보다 뒤에 위치되는 경우 어떠한 오염지수 상태로 폐수처리장에 배출되는지 파악되지 않은 상태와 달리, 제2주입지점(144)이 제2추출지점(143)보다 앞에 위치됨에 따라 폐수가 제2유동관(140)에서 곧바로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폐수처리장에 배출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된 폐수가 제2유동저류조(24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균일한 오염지수로 된 폐수에 배출허용 기준에 맞게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된 상태의 폐수가 제2유동저류조(240)의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유동관(140)의 시작점이 제2유동저류조(240)의 상부면과 동일하거 높은 위치에 있는 상태인 바, 제2유동관(140)이 제2유동저류조(240)의 하부에 연통되어 폐수가 제2유동저류조(220)의 하부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유입된 폐수는 제2유동저류조(240)의 상부까지 차오르게 된다.
제2유동저류조(240)의 내측에는 내측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되는 폐수의 혼합을 위해 교반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유동저류조(240)의 내측에 위치된 폐수의 오염지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1분기관(126)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유동관(140)에 펌핑된 오염지수처리약품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펌핑될 수 밖에 없는 바,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시점에 제2주입지점(143)을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의 오염지수는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된 시점에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의 오염지수보다 악화된 상태이다.
따라서, 일단은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시점에 제2주입지점(144)를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와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된 시점에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를 혼합하여 전체적인 오염지수를 균일하게 하면서 오염지수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균일하게 된 오염지수는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되지 않은 시점에 제2주입지점(144)를 통과한 일정량의 폐수의 오염지수보다 개선된 오염지수이다.
제2유동저류조(240)의 상부에서 배출되는 폐수가 제3유동관(160)으로 유동되어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2유동관(140) 및 제2유동저류조(240)를 거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배출허용 기준에서 벗어나는 경우 추가적인 오염지수 센싱과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제2유동저류조(240)에서 폐수처리장으로 연통되는 제3유동관(160), 제3유동관(160)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는 제3약품공급부(460), 제3유동관(16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측정하는 제3오염지수센서(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된 오염지수 값이 제어부(미도시)에 전송되고, 전송된 오염지수 값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제3약품공급부(460)를 작동시켜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여 제3유동관(160)으로 약품이 주입되도록 한다.
제3유동관(160)에서 제3약품공급부(460)에 의해 약품이 주입되는 제3주입지점(164)은 제3오염지수센서(360)로 폐수가 추출되는 제3추출지점(163)보다 앞에 위치되어, 제3유동관(160)으로 유동되는 폐수가 제3주입지점(164)을 거친 후 제3추출지점(163)을 거치게 된다. 그 작동원리와 그 효과는 제2유동관(140)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12,13: 폐수배출원
120, 140, 160: 제1유동관, 제2유동관, 제3유동관
125: 유로전환밸브 126: 제1분기관 128: 제2분기관
123, 143, 163: 제1추출지점, 제2추출지점, 제3추출지점
124, 144, 164: 제1주입지점, 제2주입지점, 제3주입지점
220, 240, 260: 제1유동저류조, 제2유동저류조, 임시보관저류조
320, 340, 360: 제1오염지수센서, 제2오염지수센서, 제3오염지수센서
420, 440, 460: 제1약품공급부, 제2약품공급부, 제3약품공급부

Claims (5)

  1. 다수의 폐수배출원(11,12,13)으로부터 배출된 폐수가 유입되어 유동되는 제1유동관(120); 및
    상기 제1유동관(120)에 연통되어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부터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저류조(220,240,260)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폐수배출원(11,12,13)으로부터 배출된 폐수가 하나의 통로인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입되어 유동되며,
    상기 다수의 저류조(220,240,260)는,
    상기 제1유동관(120)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저류된 이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다수의 유동저류조(220,240); 및
    상기 제1유동관(120)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임시적으로 저류되는 임시보관저류조(2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동관(120)은 제1분기관(126) 및 제2분기관(128)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2분기관(128)으로 유동된 폐수가 상기 제2분기관(128)에 연통된 상기 임시보관저류조(260)에 유입되어 저류되며,
    상기 다수의 유동저류조(220,240)는,
    상기 제1분기관(126)에 연통된 상태에서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저류되는 제1유동저류조(220); 및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로부터 유출되어 유동된 폐수가 유입되어 저류된 이후 폐수처리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제2유동저류조(2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와 상기 제2유동저류조(240)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로부터 유출된 폐수가 유동되어 상기 제2유동저류조(240)에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2유동관(140);
    상기 제1분기관(126)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는 제1약품공급부(420);
    상기 제2유동관(140)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는 제2약품공급부(440);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측정하는 제1오염지수센서(320);
    상기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측정하는 제2오염지수센서(340); 및
    상기 제1유동관(120)에서 상기 제1분기관(126)과 상기 제2분기관(128)이 분기되는 지점에 장착된 유로전환밸브(125)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유동관(120)에서 상기 제1오염지수센서(320)로 폐수가 추출되는 제1추출지점(123)이 상기 유로전환밸브(125)가 장착된 지점 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유동관(120)으로 유동되는 폐수는 상기 제1추출지점(123)을 거친 후에 상기 유로전환밸브(125)를 거치며,
    상기 제1분기관(126)에서 상기 제1약품공급부(420)에 의해 오염지수처리약품이 주입되는 제1주입지점(124)이 상기 유로전환밸브(125)가 장착된 지점 후에 위치된 상태에서, 폐수가 상기 유로전환밸브(125)를 거친 후 상기 제1주입지점(124)을 거치며,
    상기 제1오염지수센서(320)에서 센싱된 오염지수가 일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유로전환밸브(125)의 작동으로 인하여 폐수가 상기 제1유동관(120)에서 상기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되고, 상기 제1약품공급부(420)의 펌핑으로 상기 제1분기관(126)으로 유동되는 폐수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되며,
    상기 제1오염지수센서(320)에서 센싱된 오염지수가 일정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유로전환밸브(125)의 작동으로 인하여 폐수가 상기 제1유동관(120)에서 상기 제2분기관(128)으로 유동되며,
    상기 제2유동관(140)에서 상기 제2약품공급부(440)에 의해 오염지수처리약품이 주입되는 제2주입지점(144)은 상기 제2오염지수센서(340)로 폐수가 추출되는 제2추출지점(143)보다 앞에 위치되어, 상기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가 상기 제2주입지점(144)을 거친 후 상기 제2추출지점(143)을 거치며,
    상기 제2오염지수센서(340)에서 센싱된 오염지수가 배출허용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2약품공급부(440)의 펌핑으로 상기 제2유동관(140)으로 유동되는 폐수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이 공급되는 산업폐수 배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동저류조(240)에서 상기 폐수처리장으로 연통되는 제3유동관(160);
    상기 제3유동관(160)에 오염지수처리약품을 펌핑하는 제3약품공급부(460); 및
    상기 제3유동관(160)으로 유동되는 폐수의 오염지수를 측정하는 제3오염지수센서(3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유동관(160)에서 상기 제3약품공급부(460)에 의해 약품이 주입되는 제3주입지점(164)은 상기 제3오염지수센서(360)로 폐수가 추출되는 제3추출지점(163)보다 앞에 위치되어, 상기 제3유동관(160)으로 유동되는 폐수가 상기 제3주입지점(164)을 거친 후 상기 제3추출지점(163)을 거치며,
    상기 제1유동저류조(220) 및 상기 제2유동저류조(240) 각각의 내측에는 교반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산업폐수 배출장치.
KR1020190167654A 2019-12-16 2019-12-16 산업폐수 배출장치 KR102141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654A KR102141849B1 (ko) 2019-12-16 2019-12-16 산업폐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654A KR102141849B1 (ko) 2019-12-16 2019-12-16 산업폐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849B1 true KR102141849B1 (ko) 2020-08-06

Family

ID=7203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654A KR102141849B1 (ko) 2019-12-16 2019-12-16 산업폐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3855A (ko) * 2005-04-19 2005-05-11 강성환 자동제어 수처리공정
KR20060026681A (ko) * 2004-09-21 2006-03-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청천시 및 우천시 처리기능을 극대화한 전천후 하수 및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38146B1 (ko) * 2009-02-11 2010-01-21 (주)엔엘에스바이오 다기관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20190119841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하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6681A (ko) * 2004-09-21 2006-03-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청천시 및 우천시 처리기능을 극대화한 전천후 하수 및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50043855A (ko) * 2005-04-19 2005-05-11 강성환 자동제어 수처리공정
KR100938146B1 (ko) * 2009-02-11 2010-01-21 (주)엔엘에스바이오 다기관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20190119841A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하폐수 고도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454B1 (ko) 산소용해장치
JP2010125386A (ja) 排水処理システム
KR102284935B1 (ko) 샘플수 리사이클링이 가능한 ict 기반 통합 상수도 수질 관리 시스템
CN212370816U (zh) 用于污染场地的土壤修复系统
KR102141849B1 (ko) 산업폐수 배출장치
CN206915885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装置
CN205275357U (zh) 一种医疗污水的消毒处理装置
KR101271736B1 (ko) 슬러지 농도에 따라 약품 투입량을 조절하는 슬러지 처리 시스템
CN111360060B (zh) 土壤/地下水集成式注射系统及其单源、双源及混合微纳米气泡液注射方法
KR101302034B1 (ko) 수 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80062070A (ko) 염소 농도의 유지가 용이한 자동 염소 투입 시스템
KR100527407B1 (ko) 확산작용을 이용한 무동력 고체염소 포화용액 공급장치
KR200214754Y1 (ko) 간이 상수도용 소독설비장치
KR101833173B1 (ko) 염소투입장치
US4040962A (en) Apparatus for feeding chemicals to a liquid stream
KR100354609B1 (ko) 간이 상수도에서의 염소소독을 위한 염소 투입장치
KR102460729B1 (ko) 수처리용 염소 투입 시스템
US20130306570A1 (en) Pressurized Gas Lifting and Gas Rejuvenation
WO2021125367A1 (ko) 산업폐수 배출장치
KR101219718B1 (ko) 관로의 약품 자동 재투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약품 자동 재투입방법
KR101279649B1 (ko) 충치 방지용 불소액 정량 투입 시스템
US20210047210A1 (en) Flow apparatus for treating pharmaceutical waste
KR20090110430A (ko) 염소 자동 투입장치
KR102331173B1 (ko) 고농도 입자상물질 저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2014188481A (ja) 微生物栄養源注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