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828B1 - 분변채집기구 - Google Patents

분변채집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828B1
KR102141828B1 KR1020200001476A KR20200001476A KR102141828B1 KR 102141828 B1 KR102141828 B1 KR 102141828B1 KR 1020200001476 A KR1020200001476 A KR 1020200001476A KR 20200001476 A KR20200001476 A KR 20200001476A KR 102141828 B1 KR102141828 B1 KR 102141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ces
fecal collection
fecal
plat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수
지근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피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피도
Priority to KR102020000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0Clamping means, to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변채집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가운데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한 집게형태로 구비된 채집본체(110)와; 상기 채집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일정면적의 가압판(121)이 구비된 가압막대(120)와; 상기 채집본체(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분변이 채집되는 복수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이 결합된 분변채집판(141)이 구비된 결합막대(130)를 포함하며, 분변을 향해 상기 가압막대(120)와 상기 결합막대(130)가 모여지게 상기 채집본체(110)를 접어 상기 분변채집관(142,144,145) 내에 기준용량의 분변이 채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변채집기구{FECES SAMPLING DEVICE}
본 발명은 분변채집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람의 분변을 간편하게 정량만 채집하여 실험기구에 옮길 수 있는 분변채집기구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람의 분변을 채집하게 된다. 특히,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의 경우 한 번에 96명의 분변을 정량으로 소분하여 각각 에펜튜브에 넣어야 한다.
이를 위해 분변을 샘플링한 후,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80℃의 온도에서 급냉하고, 냉동된 상태의 분변을 정량으로 소분하여 에펜튜브에 넣게 된다. 그런데, 냉동되어 있는 분변을 정량으로 소분하기 위해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작업량도 많은 단점이 있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31061호 "인체용 대변 수집기"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변을 얼리지 않고 정해진 양만큼 소분하여 샘플링할 수 있는 분변채집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실험에 사용될 분변을 해당양만큼 동시에 채집할 수 있는 분변채집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변채집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변채집기구는, 가운데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한 집게형태로 구비된 채집본체(110)와; 상기 채집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일정면적의 가압판(121)이 구비된 가압막대(120)와; 상기 채집본체(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분변이 채집되는 복수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이 결합된 분변채집판(141)이 구비된 결합막대(130)를 포함하며, 분변을 향해 상기 가압막대(120)와 상기 결합막대(130)가 모여지게 상기 채집본체(110)를 접어 상기 분변채집관(142,144,145) 내에 기준용량의 분변이 채집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변채집판(141)의 판면에는 분변채집관(142,144,145)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분변채집판(141)의 바닥면에는 상기 분변채집관(142,144,145)과 연통되는 압력분산공(142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은 체적이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변채집판(141)에 이웃하는 분변채집관(142,144,145)의 사이에는 절개홈(143)이 일정깊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막대(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분변채집판(141)이 결합되는 착탈막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막대(140)와 상기 분변채집판(141)이 연결되는 연결부분에는 절개가 가능한 절단목(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변채집판(141)은 상기 착탈막대(140)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거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121)은 상기 분변채집판(141)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는 집게 형태로 구비된 채집본체의 하부에 분변이 정량으로 수용될 수 있는 분변채집관이 결합된 분변채집판이 결합되어 별도로 분변을 얼리지 않더라도 정량의 분변을 샘플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변채집관이 복수개 구비되어 한번에 여러개의 분변을 정해진 양만큼 샘플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NGS를 비롯한 각종 실험을 위해 분변을 소분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를 이용해 분변을 채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를 이용해 분변을 정량 샘플링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를 통해 채집된 분변이 에펜튜브에 투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분변채집기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분변채집기구(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분변채집기구(100)를 이용해 분변을 채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100)는 집게형태의 채집본체(110)와, 채집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가압막대(120) 및 결합막대(130)와, 결합막대(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막대(140)를 포함한다. 착탈막대(140)의 단부에는 분변(A)이 채집되는 복수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이 결합된 분변채집판(141)이 구비되고, 가압막대(120)의 단부에는 분변채집판(141)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판(121)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분변(A)을 향해 채집본체(110)를 접으면 가압막대(120)와 결합막대(130)가 가운데 영역으로 모여진다. 이 과정에서 분변채집판(141)에 형성된 복수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으로 분변(A)이 모여지고, 가압판(121)이 분변채집관(142,144,145)의 상면을 가압하여 분변채집관(142,144,145)에 분변(A)이 수평하게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이에 의해 분변채집관(142,144,145)의 체적에 대응되는 정량의 분변(A)을 샘플링할 수 있게 된다.
채집본체(110)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가압막대(120)와 결합막대(130)가 벌어지거나 오무려지게 지지한다. 가압막대(120)와 결합막대(130)는 채집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채집본체(110)가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는 것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채집본체(110)는 탄성적으로 오무려지거나 벌려질 수 있도록 플라스틱 또는 합성소재로 형성된다.
가압막대(12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가압막대(120)의 하단부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판상의 가압판(121)이 구비된다. 가압판(121)은 분편채집판(141) 보다 크게 형성되어 분변채집관(142,144,145)의 개방된 상단을 가압하여 분변(A)이 분변채집관(142,144,145)의 상부에 평평하게 다져져서 수용되게 한다.
결합막대(130)는 채집본체(110)에 일체로 결합되며, 하부에 착탈막대(1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막대(130)의 하부에는 착탈막대(140)의 삽입돌기(147)가 결합되는 돌기수용홈(131)이 형성된다.
결합막대(130)는 가압막대(120)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결합막대(130)에 착탈막대(140)가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막대(130)와 착탈막대(140)를 합한 길이가 가압막대(12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착탈막대(140)의 하부에는 분변채집판(141)이 일정면적 형성된다. 분변채집판(141)은 가압막대(120)와 동일한 방향의 평판으로 형성된다. 분변채집판(141)의 판면에는 가압판(121)을 향해 복수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세 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이 구비되었으나, 이는 일례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세 개 이상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웃하는 분변채집관(142,144,145) 사이의 분변채집판(141)에는 절개홈(143)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절개홈(143)은 이웃하는 분변채집관(142,144,145)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은 내부에 분변(A)이 채워지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다.
사용자는 가위 등의 도구를 이용해 절개홈(143)을 절개하여 복수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을 분리한다. 분리된 각각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은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세 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 중 제1분변채집관(142)은 NGS용으로 사용되고, 제2분변채집관(144)은 균분리를 위해 사용되고, 제3분변채집관(145)은 보관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세 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의 체적은 각 사용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세 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은 가압판(121)에 의해 가압되어야 하므로, 높이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직경(r1,r2,r3)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분변채집판(141)의 폭(W)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펜튜브(B)의 상부 삽입공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분변채집판(141)이 에펜튜브(B)의 상부에 거치되게 한다.
분변채집판(141)에는 각 분변채집관(142,144,145)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압력분산공(142a)이 형성된다. 압력분산공(142a)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변채집관(142,144,145) 내에 분변(A)이 채워진 상태에서 가압판(121)이 분변채집관(142,144,145)의 상부를 가압할 때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압력분산공(142a)은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분변채집관(142,144,145)의 분변(A)을 에펜튜브(B)로 배출하기 위해 피펫(C)의 물을 분변채집관(142,144,145) 내부로 주입하는 경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막대(140)와 분변채집판(141)의 결합영역에는 절단목(146)이 형성된다. 절단목(146)은 분변 채집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막대(140)를 하부로 가압하여 분변채집판(141)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착탈막대(140)와 분리된 분변채집판(141)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위 등을 이용해 각각 분리될 수 있다.
착탈막대(140)의 상단에는 결합막대(130)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돌기(147)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한 착탈막대(140)는 폐기하고 새로운 착탈막대(140)를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변채집기구(100)는 결합막대(130)에 착탈막대(1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착탈막대(140)의 하부에 분변채집판(141)이 결합되게 구비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착탈막대(140) 없이 결합막대(130)가 가압막대(120)돠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고 결합막대(130)의 하부에 분변채집판(141)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번 사용한 분변채집기구(100)는 폐기되는 1회용 형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막대(140)의 삽입돌기(147)를 결합막대(130)의 돌기수용홈(131)에 끼워 착탈막대(140)를 결합막대(130)에 결합시킨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변채집기구(100)가 준비되면, 사용자는 손으로 채집본체(110)의 양측을 잡는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링할 분변(A)을 향해 채집본체(110)를 접어 오무린다.
가압막대(120)와 결합막대(130)가 가운데 영역의 분변 측으로 모아지고, 분변채집관(142,144,145)으로 분변(A)이 삽입된다. 가압판(121)이 분변채집관(142,144,145) 측으로 향하면서 분변(A)을 분변채집관(142,144,145) 측으로 밀어준다.
분변(A)이 분변채집관(142,144,145) 내부에 가득 차게 되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121)이 분변채집관(142,144,145)의 상단을 가압하며 분변채집관(142,144,145)의 분변 량을 조절하고 분변(A)의 상단을 평평하게 다져준다.
이 때, 제1압력분산공(142a)의 하부로 약간의 분변이 배출되면 정량의 분변이 분변채집관(142,144,145)에 수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분변채집관(142,144,145)에 정량의 분변이 수집되면, 사용자는 착탈막대(140)를 결합막대(130)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목(146)을 절단하여 착탈막대(140)와 분변채집판(141)을 분리한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변채집판(141)의 절개홈(143)을 가위 등의 도구를 이용해 절개하여 각각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을 분리한다.
이렇게 분변채집관(142,144,145)이 분리되면, 각 분변채집관(142,144,145)은 해당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일례로, NGS를 위해 사용될 경우,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펜튜브(B)의 상부에 분변채집관(142,144,145)을 뒤집어 배치한다.
이 때, 분변채집판(141)의 폭(W)이 에펜튜브(B)의 상단 삽입공 보다 크므로 분변채집관(142,144,145)은 내부로 삽입되고 분변채집판(141)은 에펜튜브(B)의 상단에 거치된다. 분변채집판(141)이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일정량의 물이 채워진 피펫(C)을 압력분산공(142a)에 위치시키고, 압력분산공(142a)으로 물을 공급한다.
이에 의해 분변채집관(142,144,145) 내부의 분변(A)이 깔끔하게 에펜튜브(B)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 분변채집판(141)이 에펜튜브(B)의 상단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spin down 하여 분변채집관(142,144,145) 내부의 분변(A)이 깔끔하게 에펜튜브(B)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변채집기구(100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변채집기구(100)는 착탈막대(140a)의 하부에 분변채집판(141)이 가로방향으로 결합되었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변채집기구(100a)는 분변채집판(141a)이 착탈막대(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분변채집관(142,144,145)은 분변채집판(141a)에 복수개의 열과 행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변채집기구는 집게 형태로 구비된 채집본체의 하부에 분변이 정량으로 수용될 수 있는 분변채집관이 결합된 분변채집판이 결합되어 별도로 소분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량의 분변을 샘플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변채집관이 복수개 구비되어 한번에 여러개의 분변을 정해진 양만큼 샘플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NGS를 비롯한 각종 실험을 위해 분변을 소분하는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분변채집기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분변채집기구 110 : 채집본체
120 : 가압막대 121 : 가압판
130 : 결합막대 131 : 돌기수용홈
140 : 착탈막대 141 : 분변채집판
142 : 제1분변채집관 142a : 압력분산공
143 : 절개홈 144 : 제2분변채집관
145 : 제3분변채집관 146 : 절단목
147 : 삽입돌기
A : 분변
B : 에펜튜브
C : 피펫

Claims (5)

  1. 가운데를 중심으로 절첩가능한 집게형태로 구비된 채집본체(110)와;
    상기 채집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일정면적의 가압판(121)이 구비된 가압막대(120)와;
    상기 채집본체(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분변이 채집되는 복수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이 결합된 분변채집판(141)이 구비된 결합막대(130)를 포함하며,
    분변을 향해 상기 가압막대(120)와 상기 결합막대(130)가 모여지게 상기 채집본체(110)를 접어 상기 분변채집관(142,144,145) 내에 기준용량의 분변이 채집되게 하고,
    상기 분변채집판(141)의 판면에는 분변채집관(142,144,145)이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분변채집판(141)의 바닥면에는 상기 분변채집관(142,144,145)과 연통되는 압력분산공(142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분변채집관(142,144,145)은 체적이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채집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변채집판(141)에 이웃하는 분변채집관(142,144,145)의 사이에는 절개홈(143)이 일정깊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채집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막대(13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분변채집판(141)이 결합되는 착탈막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착탈막대(140)와 상기 분변채집판(141)이 연결되는 연결부분에는 절개가 가능한 절단목(14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채집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변채집판(141)은 상기 착탈막대(140)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거나,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가압판(121)은 상기 분변채집판(141)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변채집기구.
KR1020200001476A 2020-01-06 2020-01-06 분변채집기구 KR102141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476A KR102141828B1 (ko) 2020-01-06 2020-01-06 분변채집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476A KR102141828B1 (ko) 2020-01-06 2020-01-06 분변채집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828B1 true KR102141828B1 (ko) 2020-08-06

Family

ID=7204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476A KR102141828B1 (ko) 2020-01-06 2020-01-06 분변채집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2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560U (ko) * 1988-10-18 1990-04-23
JP3063168U (ja) * 1999-04-17 1999-10-19 亨 山岡 汚物の捕集器
JP2000308429A (ja) * 1999-04-27 2000-11-07 Daiki:Kk 糞取り具
KR20110031061A (ko) 2009-09-18 2011-03-24 한메딕스 주식회사 인체용 대변 수집기
KR200473307Y1 (ko) * 2014-04-24 2014-06-26 강성국 대변 시료채취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560U (ko) * 1988-10-18 1990-04-23
JP3063168U (ja) * 1999-04-17 1999-10-19 亨 山岡 汚物の捕集器
JP2000308429A (ja) * 1999-04-27 2000-11-07 Daiki:Kk 糞取り具
KR20110031061A (ko) 2009-09-18 2011-03-24 한메딕스 주식회사 인체용 대변 수집기
KR200473307Y1 (ko) * 2014-04-24 2014-06-26 강성국 대변 시료채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74089A1 (en) Portable animal excrement collector
US6478293B2 (en) Cutting board
KR102141828B1 (ko) 분변채집기구
CN215019164U (zh) 一种核酸样本采集用棉签折断装置
CN209648840U (zh) 一种模切机的废料收集装置
CN206895132U (zh) 一种便于收纳的建筑用铁锹
CN208383489U (zh) 一种多功能土壤采样装置
CN202403937U (zh) 一种可更换钻杆的土壤取样装置
CN210375753U (zh) 一种马铃薯用病毒检测取样装置
CN211904848U (zh) 一种适用于病理科esd标本包埋的组织包埋盒
CN210037263U (zh) 一种原状土壤容重取样器
CN205567469U (zh) 一种用于桶养中蜂割蜜的工具
CN205317500U (zh) 大便标本采集盒
CN209589564U (zh) 用于潮间带底栖动物的采泥器
JP2022510423A (ja) 骨片を削り取り採取する外科用器具
CN214502925U (zh) 一种寄生虫采集装置
EP3190978B1 (en) Biological sampling and storage container
CN213933198U (zh) 一种土壤采样装置
JPH06201684A (ja) 試料採取用器具
CN112294373B (zh) 一种便于取样的内镜活检钳
KR101200697B1 (ko) 애완견용 배설물 수거구
CN112168219B (zh) 一种高效便捷式心内科大小便标本采集装置
CN213308819U (zh) 一种陶瓷果盘
CN214801045U (zh) 一种植物根箱用亚克力分隔板
CN212988840U (zh) 一种方便操作的土壤采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