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500B1 -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500B1
KR102141500B1 KR1020190055212A KR20190055212A KR102141500B1 KR 102141500 B1 KR102141500 B1 KR 102141500B1 KR 1020190055212 A KR1020190055212 A KR 1020190055212A KR 20190055212 A KR20190055212 A KR 20190055212A KR 102141500 B1 KR102141500 B1 KR 102141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electric field
field value
hydraulic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금환
Original Assignee
광동지엘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지엘씨(주) filed Critical 광동지엘씨(주)
Priority to KR1020190055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01R29/0842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e.g. measuring electric disturbances, warn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낙뢰경보신호에 대응되는 기준 전계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낙뢰감지기와 통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계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기준 전계값과 비교하여 측정된 전계값이 기준 전계값 이상일 때 낙뢰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낙뢰경보기; 유압동작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 몸체와 피뢰침으로 이루어지되 피뢰침은 몸체에 삽탈식으로 결합되고, 몸체가 유압장치에 연결되어 낙뢰 발생시 유압장치의 유압동작에 의해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하여 낙뢰전류를 대지로 방출시키는 피뢰장치; 및 낙뢰경보기로부터 낙뢰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유압장치를 동작시켜 몸체에 삽입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SYSTEM FOR MOVEMENT OF LIGHTNING CONDUCTOR}
본 발명은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낙뢰 발생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하여 낙뢰전류를 대지로 방출시키는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피뢰장치는 크게 뇌격을 받아 멈추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피뢰침과, 피뢰침을 건물에 고정하여 낙뢰전류를 대지로 흘리기 위한 몸체로 구성된다.
피뢰침은 높은 곳에서 대전이 쉽게 일어나기 때문에 항상 건물의 옥상 및 지붕 등 가장 높은 곳에 설치한다.
피뢰침은 전류의 방향을 보호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부도체 부위로부터 전환시킨 후, 저항이 작은 경로를 따라 전류가 피뢰침 그 자체와 전류를 흘리는 전선을 피해 없이 통과하도록 하기 때문에 피뢰침 주위 일정 부근의 시설물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주위의 건물을 보면 높은 위치에 하늘을 향해 솟아있는 구리 등과 같은 금속체 구조물을 많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시설물이 피뢰침의 일종이며 가장 일반적인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6121호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피뢰침이 몸체에 삽탈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낙뢰가 발생할 때만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평상시에 피뢰침을 보호 관리할 수 있는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낙뢰경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해당 관리자는 낙뢰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의 화면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낙뢰위치정보, 낙뢰크기 및 낙뢰종류를 포함하는 낙뢰정보가 표시됨으로써, 낙뢰정보의 표시상태에 따라 관리자는 낙뢰경보정보에 대한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한 조치를 실행할 수 있는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은, 낙뢰경보신호에 대응되는 기준 전계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낙뢰감지기와 통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계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기준 전계값과 비교하여 측정된 전계값이 기준 전계값 이상일 때 낙뢰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낙뢰경보기; 유압동작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 몸체와 피뢰침으로 이루어지되 피뢰침은 몸체에 삽탈식으로 결합되고, 몸체가 유압장치에 연결되어 낙뢰 발생시 유압장치의 유압동작에 의해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하여 낙뢰전류를 대지로 방출시키는 피뢰장치; 및 낙뢰경보기로부터 낙뢰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유압장치를 동작시켜 몸체에 삽입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 전계값은 기준 낙뢰예상 전계값, 기준 낙뢰 전계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낙뢰경보신호는 낙뢰예비경고신호, 낙뢰발생경보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낙뢰 발생 후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제어장치는 낙뢰 발생시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타이머로부터 동작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유압장치의 동작을 해제시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낙뢰경보기는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낙뢰경보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낙뢰경보기는 측정된 전계값으로부터 낙뢰위치정보, 낙뢰크기 및 낙뢰종류를 포함하는 낙뢰정보를 발생시켜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신한다.
또한, 낙뢰경보신호는 알람음 또는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뢰침이 몸체에 삽탈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낙뢰가 발생할 때만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평상시에 피뢰침을 보호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낙뢰경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해당 관리자는 낙뢰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의 화면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낙뢰위치정보, 낙뢰크기 및 낙뢰종류를 포함하는 낙뢰정보가 표시됨으로써, 낙뢰정보의 표시상태에 따라 관리자는 낙뢰경보정보에 대한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한 조치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뢰장치가 유압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에 노출되기 전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뢰장치가 유압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에 노출된 후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뢰경보신호가 발생하여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뢰 발생 후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기 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뢰 발생 후의 피뢰침 동작상황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뢰 발생 후 낙뢰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뢰장치가 유압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에 노출되기 전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뢰장치가 유압장치에 연결된 상태에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에 노출된 후의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은 낙뢰경보기(100), 유압장치(hydraulic system, 300), 피뢰장치(400), 제어장치(200) 및 타이머(timer, 500)를 포함할 수 있다.
낙뢰경보기(100)는 낙뢰경보신호에 대응되는 기준 전계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낙뢰감지기(10)와 통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계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기준 전계값과 비교하여 측정된 전계값이 기준 전계값 이상일 때 낙뢰경보신호를 발생시킨다. 기준 전계값은 기준 낙뢰예상 전계값, 기준 낙뢰 전계값으로 설정되고, 낙뢰경보신호는 낙뢰예비경고신호, 낙뢰발생경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낙뢰예상 전계값은 약 6KV/m2인 것이 바람직하고, 기준 낙뢰 전계값은 약 10KV/m2~30KV/m2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전계값이 15KV/m2이고 측정된 전계값이 20KV/m2이라면 낙뢰경보신호가 발생한다
또한, 낙뢰경보기(100)는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낙뢰경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낙뢰경보신호는 알람음 또는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의 화면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낙뢰경보신호가 표시되거나 알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관리자는 낙뢰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낙뢰경보기(100)는 측정된 전계값으로부터 낙뢰위치정보, 낙뢰크기 및 낙뢰종류를 포함하는 낙뢰정보를 발생시켜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낙뢰위치정보는 방향과 거리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평균적인 낙뢰크기는 30kA~40kA인데 kA 단위를 사용하여 낙뢰크기를 나타낸다. 낙뢰종류로는 극성에 따라, 발생 메커니즘에 따라, 낙뢰의 형태에 따라분류할 수 있다. 낙뢰는 극성에 따라 정극성 뇌방전, 부극성 뇌방전으로 분류되며, 발생 메커니즘에 따라 열뢰, 계뢰, 와뢰, 지형뢰, 자연뢰로 분류되며, 낙뢰의 형태에 따라 직격뢰, 유도뢰로 분류될 수 있다.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의 화면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낙뢰위치정보, 낙뢰크기 및 낙뢰종류를 포함하는 낙뢰정보가 표시됨으로써, 낙뢰정보의 표시상태에 따라 관리자는 낙뢰경보정보에 대한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한 조치를 실행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낙뢰정보가 표시된 것은 도 7과 관련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유압장치(300)는 유압동작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데, 작동유를 저장하는 오일탱크와, 오일탱크의 내부에 배설되어 작동유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어 액츄에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와, 액츄에이터로부터 오일탱크로 환류되는 작동유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소자와, 오일탱크, 구동모터, 제어소자가 장착되는 매니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유압장치(300)는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피뢰장치(400)는 몸체(410)와 피뢰침(420)으로 이루어지되 피뢰침(420)은 몸체(410)에 삽탈식으로 결합된다. 피뢰장치(400)는 몸체(410)가 유압장치(300)에 연결되어 낙뢰 발생시 유압장치(300)의 유압동작에 의해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하여 낙뢰전류를 대지로 방출시킨다. 몸체(410)는 유압장치 (300)와 함께 베이스 판(1) 위에 설치될 수 있다. 타이머(500)에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피뢰침(500)이 몸체(410)의 상부에 삽입된다.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에 삽입된다는 것은 낙뢰전류가 없는 상태로 복귀하였음을 의미한다.
제어장치(200)는 낙뢰경보기(100)로부터 낙뢰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유압장치(300)를 동작시켜 몸체에 삽입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유압장치(300)는 유압동작에 의해 몸체에 삽입된 피뢰침을 몸체의 상부로 밀어 올린다.
타이머(500)는 낙뢰 발생 후의 시간을 카운팅한다. 제어장치(200)는 낙뢰 발생시 타이머(500)를 동작시키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타이머(500)로부터 동작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유압장치(300)의 동작을 해제시켜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설정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타이머에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설정시간은 30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장치(200)와 타이머(500)는 피뢰장치(400)의 인근의 낙뢰관리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뢰경보신호가 발생하여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기 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낙뢰경보신호가 발생하여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로부터 노출되기 까지의 과정을 보이고 있다. 기준 전계값이 20KV/m2이라고 하자.
먼저, 낙뢰경보기(100)가 낙뢰감지기(10)와 통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계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110). 낙뢰경보기(100)는 낙뢰경보신호에 대응되는 기준 전계값 20KV/m2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S110 이후, 낙뢰경보기(100)가 측정된 전계값을 기준 전계값 20KV/m2과 비교한다(S120).
S120에서, 측정된 전계값이 20KV/m2 이상일 때 낙뢰경보기(100)는 낙뢰경보신호를 발생시킨다(S130). 그러나, S120에서, 측정된 전계값이 20KV/m2 미만일 때 S110으로 피드백한다(feedback).
S130과는 별도로, 낙뢰경보기(100)는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낙뢰경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낙뢰경보신호는 알람음 또는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의 화면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낙뢰경보신호가 표시되거나 알람음을 발생시킴으로써 관리자는 낙뢰로 인한 피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130과는 별도로, 낙뢰경보기(100)는 측정된 전계값으로부터 낙뢰위치정보, 낙뢰크기 및 낙뢰종류를 포함하는 낙뢰정보를 발생시켜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다.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의 화면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낙뢰위치정보, 낙뢰크기 및 낙뢰종류를 포함하는 낙뢰정보가 표시됨으로써, 낙뢰정보의 표시상태에 따라 관리자는 낙뢰경보정보에 대한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한 조치를 실행할 수 있다.
S130 이후, 몸체에 삽입된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로부터 노출된다(S140). 이때, 유압장치(300)는 유압동작에 의해 몸체(410)에 삽입된 피뢰침 (420)을 몸체(410)의 상부로 밀어 올린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뢰 발생 후 피뢰침이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기 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낙뢰 발생 후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에 삽입되기 까지의 과정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설정시간이 30분이라고 하자.
먼저, 낙뢰 발생 후 타이머(500)가 동작하여(S210) 30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20). 30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이유는, 유압장치(300)의 동작을 해제시켜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S220에서, 낙뢰 발생 후 30분이 경과되었으면, 제어장치(200)가 타이머(500)로부터 동작해제신호를 수신한다(S230). 그러나, S220에서, 낙뢰 발생 후 30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S210으로 피드백한다(feedback).
S230 이후, 제어장치(200)가 유압장치(300)의 동작을 해제시켜(S240)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한다(S250).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에 삽입된다는 것은 낙뢰전류가 없는 상태로 복귀하였음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뢰 발생 후의 피뢰침 동작상황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타임 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낙뢰 발생 후의 시간에 따른 피뢰침(420)의 동작상황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설정시간이 30분이라고 하자.
제어장치(200)는 낙뢰 발생시 타이머(500)를 동작시키는데, 이때 몸체(410)에 삽입된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로부터 노출된다. 이때, 유압장치(300)는 유압동작에 의해 몸체(410)에 삽입된 피뢰침 (420)을 몸체(410)의 상부로 밀어 올린다.
타이머(500) 동작 후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제어장치(200)는 타이머(500)로부터 동작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유압장치(300)의 동작을 해제시켜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피뢰침(420)이 몸체(410)의 상부에 삽입된다는 것은 낙뢰전류가 없는 상태로 복귀하였음을 의미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낙뢰 발생 후 낙뢰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낙뢰위치정보, 낙뢰크기 및 낙뢰종류를 포함하는 낙뢰정보가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낙뢰관리소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낙뢰정보를 알려드립니다. 피뢰장치로부터 서북방향 2.5km 부근에 낙뢰전류가 50kA인 정극성 뇌방전이 발생하였습니다."와 같은 낙뢰정보가 디스플레이되었다. 이때, 낙뢰위치정보는 서북방향 2.5km 부근이고, 낙뢰전류는 50kA이고, 낙뢰종류는 정극성 뇌방전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관리자께서는 안전조치를 취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와 같은 안전조치 권유 문자가 디스플레이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확인한 후, 관리자는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의 낙뢰정보에 대한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한 조치를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베이스 판 10 : 낙뢰감지기 100 : 낙뢰경보기 200 : 제어장치 300 : 유압장치 400 : 피뢰장치 410 : 몸체 420 : 피뢰침
500 : 타이머

Claims (6)

  1. 낙뢰경보신호에 대응되는 기준 전계값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낙뢰감지기와 통신하면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전계값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준 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측정된 전계값이 상기 기준 전계값 이상일 때 낙뢰경보신호를 발생시키는 낙뢰경보기;
    유압동작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장치;
    몸체와 피뢰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피뢰침은 상기 몸체에 삽탈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유압장치에 연결되어 낙뢰 발생시 상기 유압장치의 유압동작에 의해 상기 피뢰침이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하여 낙뢰전류를 대지로 방출시키는 피뢰장치; 및
    상기 낙뢰경보기로부터 낙뢰경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압장치를 동작시켜 상기 몸체에 삽입된 상기 피뢰침이 상기 몸체의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전계값은 기준 낙뢰예상 전계값, 기준 낙뢰 전계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낙뢰경보신호는 낙뢰예비경고신호, 낙뢰발생경보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낙뢰경보기는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낙뢰경보신호를 송신하고,
    낙뢰 발생 후의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낙뢰 발생시 상기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타이머로부터 동작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압장치의 동작을 해제시켜 상기 피뢰침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경보기는 상기 측정된 전계값으로부터 낙뢰위치정보, 낙뢰크기 및 낙뢰종류를 포함하는 낙뢰정보를 발생시켜 해당 관청의 낙뢰관리서버 및 관리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뢰경보신호는 알람음 또는 메시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KR1020190055212A 2019-05-10 2019-05-10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KR102141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212A KR102141500B1 (ko) 2019-05-10 2019-05-10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212A KR102141500B1 (ko) 2019-05-10 2019-05-10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500B1 true KR102141500B1 (ko) 2020-08-06

Family

ID=72040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212A KR102141500B1 (ko) 2019-05-10 2019-05-10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8952A (zh) * 2021-07-09 2021-10-08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变电站自动控制避雷引雷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21Y1 (ko) 2002-02-05 2002-05-2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낙뢰방지용 피뢰기
JP2004311083A (ja) * 2003-04-03 2004-11-04 Komai Tekko Inc 昇降機構を備えた雷雲感知装置付き避雷鉄塔
KR20130085114A (ko) * 2012-01-19 2013-07-29 김선형 센서연동형 다단계 피뢰침
KR20170123912A (ko) *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에스디 태양광 발전기의 낙뢰 피해 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121Y1 (ko) 2002-02-05 2002-05-2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낙뢰방지용 피뢰기
JP2004311083A (ja) * 2003-04-03 2004-11-04 Komai Tekko Inc 昇降機構を備えた雷雲感知装置付き避雷鉄塔
KR20130085114A (ko) * 2012-01-19 2013-07-29 김선형 센서연동형 다단계 피뢰침
KR20170123912A (ko) * 2016-04-29 2017-11-09 주식회사 에스디 태양광 발전기의 낙뢰 피해 방지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8952A (zh) * 2021-07-09 2021-10-08 郑州工业应用技术学院 一种变电站自动控制避雷引雷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94251A (zh) 一种避雷器的故障在线监测方法及在线监测系统
CN203300014U (zh) 一种基于北斗短报文通信技术的防空警报发放系统
KR102141500B1 (ko) 피뢰장치 동작 시스템
KR102110564B1 (ko) 낙뢰 발생에 의한 재해의 방지를 위한 종합 방재시스템
CN108597163A (zh) 电缆防外力破坏报警仪
KR102344727B1 (ko) 변압기가 설치된 산악지역 전신주의 낙뢰 안정화 시스템
US3584260A (en) Lightning arrester and arrester-triggering system
CN103780071A (zh) 一种过压保护装置以及光伏发电系统
CN102169622A (zh) 送电塔专用雷击报告系统
CN105116292A (zh) 线路雷击故障点定位方法及系统
CN109472965A (zh) 一种基于加速度传感器的10kV架空线路雷击断线报警装置
JP2011187375A (ja) 送電用避雷装置
CN103021124A (zh) 电力作业安全距离声光报警器
CN204144931U (zh) 一种避雷装置
KR101717434B1 (ko) 방송장치 스마트 감시제어기 및 제어시스템
CN114744488B (zh) 一种配电网吹弧式防雷装置
CN206790071U (zh) 一种新型保护接地带电报警及保护电路
CN108879950A (zh) 输电线路防雷器监测系统
CN212008766U (zh) 一种避雷器的故障在线监测系统
CN101145689A (zh) 一种直流防雷单元及其告警电路
US10210747B1 (en) Fire alarm testing device and method
Zoro et al. Multi-chamber arrester study at tropical area for 20 kV lines lightning protection system
JPS58107023A (ja) 電話保護システム
CN201965711U (zh) 多防区电子周界
CN208351669U (zh) 一种地铁用安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