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226B1 - Bath Room Illumination System Adjusted by User Activity Pattern - Google Patents

Bath Room Illumination System Adjusted by User Activity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226B1
KR102141226B1 KR1020180140275A KR20180140275A KR102141226B1 KR 102141226 B1 KR102141226 B1 KR 102141226B1 KR 1020180140275 A KR1020180140275 A KR 1020180140275A KR 20180140275 A KR20180140275 A KR 20180140275A KR 102141226 B1 KR102141226 B1 KR 10214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tub
lighting
sink
uni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2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6546A (en
Inventor
임호성
서유하
이지연
석현정
김태수
최경아
정기항
송유택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에이치디씨아이콘트롤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226B1/en
Publication of KR20200056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5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2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02B20/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활동 혹은 행동을 유추하고, 이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에 알맞은 색온도, 조도, 위치의 조명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성을 하거나 피로를 풀고 진정하도록 유도하는 등의 쾌적한 욕실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사용자활동패턴 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fers user activity or behavior using a sensor in a bathroom, and controls lighting accordingly to provide color temperature, illumination, and location lighting suitable for the user's activity to induce the user to awaken, relieve fatigue, and calm down. It relates to a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a user activity pattern that can realize a comfortable bathroom environment.

Description

사용자활동패턴 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 {Bath Room Illumination System Adjusted by User Activity Pattern}Bathroom lighting system tailored to user activity pattern {Bath Room Illumination System Adjusted by User Activity Pattern}

본 발명은 사용자활동패턴 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활동 혹은 행동을 유추하고, 이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에 알맞은 색온도, 조도, 위치의 조명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성을 하거나 피로를 풀고 진정하도록 유도하는 등의 쾌적한 욕실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사용자활동패턴 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a user activity pattern, and more specifically, by inferring a user activity or behavior using a sensor in the bathroom, and controlling lighting accordingly to control lighting according to the user's activity. Provides a user-patterned bathroom lighting system that can provide a comfortable bathroom environment, such as encouraging the user to awaken or relieve fatigue and calm down.

욕실은 더 이상 생리현상만을 해결하기 위한 장소가 아니며, 현대인들의 일상에서 많은 활동을 하는 삶의 공간이 되었다. 이와 같은 욕실은 종래에는 욕실 자체의 물리적 인테리어 혹은 세면대, 욕조에서의 물리적 기능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The bathroom is no longer just a place to solve physiological phenomena, but it has become a place of life where many people do their daily activities. Such bathrooms have been developed centering on the physical interior of the bathroom itself or the physical functions of the sink and bathtub.

한편, 기술의 발달은 인테리어에 있어서도 그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기기 혹은 장비들 자체의 고성능 전략으로 건설사 등의 업체들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기업에서 기존의 프레임에서 보다 고급화를 추가하는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had an effect on the interior as well, and the competition of companies such as construction companies is intensifying due to the high-performance strategy of devices or equipment itself, and various companies have put forward strategies to add more refinement in the existing frame. have.

그러나 이들 중 다수는 초기 설치비용이 그 결과에 비해 큰 경우가 많으며, 설치시 추가적으로 공간을 차지하거나, 장소별 제약이 걸리는 경우가 많으며,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실제 활동에서의 만족감을 크게 다르게 하지 못하였고, 결과적으로는 물리적 심미성 등에 대한 고급화로 집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many of them often have a large initial installation cost compared to the result, often occupy additional space during installation, or place-by-place restrictions, and basically do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user's satisfaction with actual activities. As a result, as a result, it is a situation in which it is focused on advanced quality of physical aesthetics.

한국등록특허 10-1493447 (2015.2.9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10-1493447 (Registered on 29.2015)

본 발명의 목적은 욕실 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활동 혹은 행동을 유추하고, 이에 따라 조명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에 알맞은 색온도, 조도, 위치의 조명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각성을 하거나 피로를 풀고 진정하도록 유도하는 등의 쾌적한 욕실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사용자활동패턴 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fer user activity or behavior using sensors in the bathroom, and control lighting accordingly to provide color temperature, illuminance, and location lighting suitable for the user's activity so that the user can awaken or relieve fatigue and calm down. It is to provide a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user activity patterns that can realize a comfortable bathroom environment such as induc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으로서, 세면대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세면대조명부; 욕조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욕조조명부; 및 상기 세면대조명부 및 상기 욕조조명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세면대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센서부; 상기 욕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무게센서, 복수의 지지대, 상기 무게센서 및 상기 지지대 위에 배치되는 바닥패널을 포함하는 욕조센서부; 및 상기 위치센서부 및 상기 욕조센서부의 복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세면대조명부 및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a user activity pattern, a sink lighting unit which can be arranged on a wall where the sink is located; A bathtub lighting unit that can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bathtub is located; And a lighting control unit performing control of the sink lighting unit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wherein the lighting control unit includes: a position sensor unit capable of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sink and the user; A bathtub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tub, a plurality of supports, a weight sensor, and a floor panel disposed on the supports;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ink lighting unit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of the position sensor unit and the bathtub sensor unit.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세면대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세면대판별단계; 상기 제1세면대판별단계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센서부에서 센싱한 결과에 따른 사용자와 세면대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세면대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1세면대조명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위치센서부에서 센싱한 결과에 따른 사용자와 세면대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세면대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2세면대조명모드로 결정하는 제2세면대판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first sink discri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maintains a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within a preset distance to the sink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position sensor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e first sink determination step,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according to a result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operation mode of the sink is remove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according to the result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unit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second sink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sink sink as the second sink lighting mode. Steps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욕조센서부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욕조판별단계; 및 상기 제1욕조판별단계에서 상기 욕조센서부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2욕조판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bathtub discriminat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of the bathtub sensor uni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of the bathtub sensor unit lasts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the first bathtub determination step,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based on the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2, the bathtub identification step;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욕조판별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 중 기설정된 그룹의 무게센서의 센싱값과 상기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 중 상기 기설정된 그룹 외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1욕조조명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2욕조조명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second bathtub may include sensing values of a weight sensor of a preset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and sensing values of a weight sensor of the weight groups other than the preset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as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when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as the second bath lighting mode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패널 및 상기 지지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사이에 무게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panel and the support ar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weight senso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욕실도명시스템은 세면대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세면대조명부; 욕조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욕조조명부; 및 상기 세면대조명부 및 상기 욕조조명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면대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는 위치센서단계; 상기 욕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무게센서로 상기 욕조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센싱하는 욕조센서단계; 및 상기 위치센서단계 및 상기 욕조센단계의 복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세면대조명부 및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trol method of a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a user activity pattern, the bathroom lighting system includes a sink lighting unit that can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sink is located; A bathtub lighting unit that can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bathtub is located; And a lighting control unit performing control of the sink lighting unit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wherein the control method comprises: a position sensor step of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sink and a user; A bathtub sensor step of sensing a load distribution applied to the bathtub with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tub; And a control step of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ink lighting unit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of the position sensor step and the bathtub sensing step. Giv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치 및 행동을 감지하여 이를 기반으로 욕실 활동을 유추하고, 이를 통해 자동으로 활동에 맞게 욕실 조명의 색온도와 조도를 변화시켜 욕실 내 활동 경험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etects the location and behavior of the user to infer bathroom activity based thereon, thereby automatically changing the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nce of the bathroom lighting according to the activity to enhance the activity experience in the bathroom Can exe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성 및 활동 증진 뿐만 아니라 활동에 따라 조명의 생리적 효과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각성, 이완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ert an effect of helping the user to awaken and relax the user's body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effect of lighting in accordance with activity as well as enhancing emotion and activ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주택 내의 욕실뿐만 아니라 사옥이나 고급 호텔, 병원 등의 공간에서도 확장 및 설치 가능하여 다양한 범위의 사용자 경험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install in a space such as an office building, a luxury hotel, a hospital, as well as a bathroom in a private house, thereby exerting an effect of enhancing a wide range of user experie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공간에 장치의 설치가 없이도 설치 및 사용 가능하므로, 욕실 공간의 협소한 정도와 상관없이 설치및 사용 가능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without the installation of an apparatus in an additional space, it is possible to exert an effect of installation and use regardless of the narrowness of the bathroom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욕실 내에서 고급감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해당 시설에 대한 기대와 신뢰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sense of luxury in the bathroom, it is possible to exert the effect of increasing expectations and reliability for the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에서의 조명부 구성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조 및 욕조에 내장되는 욕조센서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전체 제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세부 제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 동작모드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lighting unit configuration in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bathtub and a bathtub sensor unit embedded in a batht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detailed control process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mode of a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exemplarily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are disclosed to aid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can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the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ptions described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In addition, various aspects and features will be presented by a system that can include multiple devices, components and/or modules, and the like. The various systems may also include additional devices, components and/or modules, and/or may not include all of the devices, components, modules, etc.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the drawings. It must be understood and recogniz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n embodiment", "yes", "a good", "an example", etc., may not be construed as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being better or more advantageous than another aspect or designs. . The terms'~ unit','component','module','system', and'interface' used in the following generally mean a computer-related entity, for example, hardware, hardware It can mean a combination of software and software.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compon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urther,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ne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has the same meaning as tha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are ideally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1 schematically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은 세면대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세면대조명부(2000); 욕조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욕조조명부(3000); 및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 및 상기 욕조조명부(30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제어부(1000);를 포함한다.A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a user activity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k lighting unit 2000 which can be arranged on a wall surface where a sink is located; A bathtub lighting unit 3000 that can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bathtub is located; And a lighting control unit 1000 performing control of the sink lighting unit 2000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 및 욕조조명부(3000)는 LED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제어부(10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조명제어부(100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 및 욕조조명부(3000)는 빛의 세기 및 빛의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모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명제어부(100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단순히 조명을 ON/OFF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조명제어부(1000)에서 수신하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동작모드에 따라서 조명을 구현한다.The sink lighting unit 2000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include an LED module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to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Preferably, the sink lighting unit 2000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include an illumination module capable of adjusting the intensity of light and the color temperature of light, and simply turn on/off the lighting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Rather, the lighting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included in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상기 조명제어부(1000)는 욕실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조명제어부(1000)는 욕실 외에도 위치할 수 있다.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bathroom, but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may be located in addition to the bathroom.

또한, 상기 조명제어부(1000), 세면대조명부(2000), 욕조조명부(3000)는 전력공급원으로부터 배선이 연결됨으로써 구동전원을 외부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the sink lighting unit 2000,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may be connected to the wiring from the power supply source to receive driving power from the outsid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2 schematically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명제어부(1000)는, 상기 세면대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센서부(1110); 상기 욕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무게센서(1123), 복수의 지지대(1121), 상기 무게센서(1123) 및 상기 지지대(1121) 위에 배치되는 바닥패널(1122)을 포함하는 욕조센서부(1120); 및 상기 위치센서부(1110) 및 상기 욕조센서부(1120)의 복수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 및 상기 욕조조명부(3000)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1200)를 포함한다.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includes: a position sensor unit 1110 capable of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sink and the user; Bath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a plurality of supports (1121), a weight sensor (1123) and a floor panel (1122) disposed on the supports (1121)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tub ( 1120);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sink lighting unit 2000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of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and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1200).

상기 제어부(1200)는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 및 욕조조명부(3000)와 통신 혹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 및 욕조조명부(3000)는 상기 제어부(1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한다.The control unit 1200 may perform communication 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ink lighting unit 2000 and the bath lighting unit 3000, and the sink lighting unit 2000 and the bath lighting unit 3000 may be controlled signals of the control unit 1200. It works according to.

한편, 상기 조명제어부(1000)의 구성 중 상기 지지대(1121) 및 바닥패널(1122)은 욕조에 설치되는 물리적 부재이고, 상기 조명제어부(1000)의 전자적 구성만을 지칭한다면 상기 지지대(1121) 및 바닥패널(1122)이 제외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대(1121) 및 바닥패널(1122)은 본 발명의 욕조센서부(1120)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편의상 상기 욕조센서부(1120)의 구성요소로 포함하였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components of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the support 1112 and the floor panel 1122 are physical members installed in the bathtub, and if only referring to the electronic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the support 1112 and the floor The panel 1122 may be excluded, but since the support 1112 and the bottom panel 1122 are components for realizing the purpose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It was included as a component.

따라서, 상기 조명제어부(1000)는 상기 지지대(1121) 및 바닥패널(1122)을 제외한다면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가지고 외부 통신수단을 갖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hav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and external communication means, except for the support 1112 and the bottom panel 1122.

상기 위치센서부(1110)는 상기 세면대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센서부는 IR센서로 구현될 수 있고, IR센서는 상기 세면대가 위치하는 벽측에 배치되고, 사용자와 상기 세면대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욕실에서의 전체적인 활동을 판별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is configured to sense the distance between the sink and the user. Preferably, the position sensor unit may be implemented as an IR sensor, the IR sensor is disposed on the wall side where the sink is loca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to determine the overall activity in the user's bathroom Can.

혹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는 상기 IR센서에 추가적으로 욕조의 천장에 배치될 수 있는 이미지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센서부(1110)는 상기 IR센서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세면대사이의 거리를 1차적으로 센싱하고, 상기 이미지카메라로부터 획득된 화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세면대사이의 거리를 2차적으로 유추한 후에, 상기 1차적으로 센싱된 사용자와 세면대 사이의 거리(IR 센서 기반)와 상기 2차적으로 유추한 사용자와 세면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사용자와 세면대 사이의 거리를 도출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활동을 분석할 수 있다. Alternativ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camera that can be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bathtub in addition to the IR sensor. In this case,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primarily sens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based on the IR sensor, and secondaryly infer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based on the image obtained from the image camera. After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user and the sink is derived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nsed user and the sink (based on the IR sensor) and the second inferred user and the sink. In this way, more accurate user activity can be analyzed.

구체적으로, 상기 1차적으로 센싱된 사용자와 세면대 사이의 거리(IR 센서 기반)가 상기 2차적으로 유추한 사용자와 세면대 사이의 거리의 기설정된 오차 범위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1차적으로 센싱된 사용자와 세면대 사이의 거리(IR센서 기반)을 최종적인 사용자와 세면대사이의 거리로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 외의 다른 요소가 세면대 앞에 위치하거나 혹은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IR센서의 측정값에 의하여 조명제어부(1000)가 오작동을 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혹은 IR센서의 오작동을 보완하기 위함이다.Specifically, the first sensed user onl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ensed user and the sink (based on the IR sensor)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inferred user and the sink.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ink (based on the IR sensor) is determin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user and the sink. This is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lighting control unit 1000 by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IR sensor or to compensate for the malfunction of the IR sensor when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user are placed in front of the sink.

상기 욕조센서부(1120)는 상기 욕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무게센서(1123), 복수의 지지대(1121), 상기 무게센서(1123) 및 상기 지지대(1121) 위에 배치되는 바닥패널(1122)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물리적인 부재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대(1121) 및 상기 바닥패널(1122)은 상기 욕조센서부(1120) 외의 구성으로 간주할 수도 있다.The bathtub sensor unit 1120 includes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tub, a plurality of supports 1121, a floor panel 1122 disposed on the weight sensors 1123 and the supports 1121. ). In some cases, the support 1112 and the floor panel 1122 corresponding to a physical member may be regarded as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상기 욕조센서부(1120)의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1123)는 상기 욕조의 바닥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현재 욕조에서 무슨 활동을 하는 지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tub.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etermine what the user is currently doing in the bathtub.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어부(1200)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 및 상기 욕조센서부(1120)의 복수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 및 상기 욕조조명부(3000)의 동작모드를 결정한다. The control unit 1200 operates modes of the sink lighting unit 2000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of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and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Dec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가 사용자와 세면대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이를 상기 제어부(1200)에 전달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는 단순히 IR센서의 센싱값 및/또는 이미지카메라의 화상센싱결과를 상기 제어부(1200)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1200)는 상기 센싱값 및/또는 화상센싱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와 세면대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may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200. In another embodiment,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is simply IR The sensing value of the sensor and/or the image sensing result of the image camer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200, and the control unit 1200 can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based on the sensing value and/or image sensing result. have.

상기 제어부(12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20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시스템에서의 조명부 구성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3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lighting unit configuration in the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조명시스템은 세면대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세면대조명부(2000); 욕조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욕조조명부(3000); 및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 및 상기 욕조조명부(30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제어부(1000)를 포함한다.The 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nk lighting unit 2000 that can be disposed on a wall surface where the sink is located; A bathtub lighting unit 3000 that can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bathtub is located; And a lighting control unit 1000 performing control of the sink lighting unit 2000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 거울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벽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ink lighting unit 20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nk mirror as shown in FIG. 3,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l surfac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1200)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의 센싱결과에 따라서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의 ON/OFF 및 동작모드를 결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200 determines the ON/OFF and operation mode of the sink lighting unit 2000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0)는 사용자와 상기 세면대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를 제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A, the controller 1200 may control the sink lighting unit 2000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상기 욕조조명부(30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가 위치하는 벽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벽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is prefer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all on which the bathtub is located, as illustrated in FIG. 3,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all surfac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1200)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의 센싱결과 및/또는 상기 욕조센서부(1120)의 센싱 결과에 따라서 상기 욕조조명부(3000)의 ON/OFF 및 동작모드를 결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200 determines the ON/OFF and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and/or the sensing result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200)는 사용자의 욕조 내에서 활동을 유추하고, 이에 따라 세부적으로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를 제어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B, the controller 1200 may infer activity in the user's bathtub and control the sink lighting unit 2000 in detail accordingly.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조 및 욕조에 내장되는 욕조센서부(112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4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of a bathtub and a bathtub sensor unit 1120 embedded in a bathtu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A)는 욕조에 욕조센서부(1120)의 구성들이 설치되었을 때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의 (B)는 욕조에 욕조센서부(1120)의 구성들이 설치되었을 때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Figure 4 (A)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components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is installed in the bathtub, Figure 4 (B) when the components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is installed in the bathtub Shows a floor pla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센서부(1120)는 상기 욕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무게센서(1123), 복수의 지지대(1121), 상기 무게센서(1123) 및 상기 지지대(1121) 위에 배치되는 바닥패널(1122)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includes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a plurality of supports 1121, the weight sensors 1123, and the supports 1121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tub. And a floor panel 1122 disposed thereon.

이와 같은 욕조센서부(1120)의 구성은 기존의 일반적인 욕조를 교체하지 않고, 기존의 욕조에 상기 무게센서(1123), 지지대(1121), 및 바닥패널(1122)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욕조센서부(1120)를 구현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does not replace the existing general bathtub, and installs the weight sensor 1123, support 1121, and floor panel 1122 in the existing bathtub. Part 1120 may be implemen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패널(1122) 및 상기 지지대(1121)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121) 사이에 무게센서(1123)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무게센서(1123)의 일측은 상기 바닥패널(1122)에 접하고, 상기 무게센서(1123)의 타측은 상기 욕조의 바닥면에 접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loor panel 1122 and the support 1112 ar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nd a weight sensor 1123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1112. In addition, one side of the weight sensor 1123 may contact the bottom panel 1122, and the other side of the weight sensor 1123 may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tub.

위와 같이 상기 바닥패널(1122) 및 지지대(1121)가 탄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무게센서(1123)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하중분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loor panel 1122 and the support 1112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reby minimizing damage to the weight sensor 1123 while simultaneously measuring a user's load distribution more accurately.

또한, 위와 같이 상기 바닥패널(1122) 및 지지대(1121)가 탄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누워있는 것이 아니라 서있는 경우에 특정 무게센서(1123)들로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상기 무게센서(1123)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시키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하중분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사용상 위화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floor panel 1122 and the support 1112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ser is not lying down, but the load is concentrated with specific weight sensors 1123, the weight sensor ( While minimizing damage to 1123),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measure the load distribution of the user and exert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discomfort in use of the user.

도 4의 (B)에서와 같이 무게센서(1123) 및 지지대(1121)가 배치되고, 상기 바닥패널(1122), 지지대(1121)가 탄성재질을 갖는 경우에, 상기 #1, #2 무게센서(1123)가 위치한 바닥패널(1122)의 부분에서, 상기 #3, #4 무게센서(1123)가 위치한 바닥패널(1122)의 부분 및 상기 #5, #6 무게센서(1123)가 위치한 바닥패널(1122)의 부분이 연속적으로 이어져서 변형이 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무게센서(1123)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사용자의 위치 혹은 행동을 높은 정밀도로 유추할 수 있다.4(B), when the weight sensor 1123 and the support 1112 are disposed, and the floor panel 1122 and the support 1121 have elastic materials, the #1, #2 weight sensors In the part of the floor panel 1122 in which the 1123 is located, the part of the floor panel 1122 in which the #3 and #4 weight sensors 1123 are located and the floor panel in which the #5 and #6 weight sensors 1123 are located The part of 1122 may be continuously deformed, and thus, the user's position or behavior can be inferred with high precision while protecting the weight sensor 1123.

상기 바닥패널(1122), 및 지지대(1121)의 탄성계수는 상기 욕조의 탄성계수 혹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혹은 아크릴의 탄성계수, 혹은 상기 무게센서(1123)의 탄성계수보다 높음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modulus of the floor panel 1122 and the support 1112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elastic modulus of the bathtub or the plastic or acrylic of the general acrylic or the elastic modulus of the weight sensor 112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0)의 전체 제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5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overall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 unit 1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10에서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세면대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세면대판별단계가 수행된다.In step S10, a first sink discrimination step is performed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maintains a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within a preset distance to the sin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는 IR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세면대판별단계에서는 상기 IR센서에서 측정한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세면대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하는 지를 판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includes an IR sensor, and in the first wash-basis discrimination step, the user mov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sink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user measured by the IR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si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는 IR센서 및 이미지카메라 혹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세면대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는 보다 오작동을 감소시키고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includes an IR sensor and an image camera or an image sensor, and analyzes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mage camera, so that the user is within a preset distance to the sin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osi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is is to further reduce the malfunction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센서부(1110)는 IR센서 및 이미지카메라 혹은 이미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가 세면대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동시에 상기 IR센서에서 측정한 사용자와의 거리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세면대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하는 지를 판별한 후에, IR센서의 센싱값에 기반한 판별결과와 이미지카메라의 센싱값에 기반한 판별결과가 기설정된 오차 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별한 후에, 기설정된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만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세면대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이는 보다 오작동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이는 보다 오작동을 감소시키고 동작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함이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further includes an IR sensor and an image camera or image sensor, and by analyzing imag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mage camera, the user is within a preset distance to the sink.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maintain the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user measured by the IR sensor,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maintains the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sink, the IR sensor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 discrimination result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image and the discrimination result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image camera are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e user is finally se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o the sink only when it is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sition is maintained for a time or longer. This is to further reduce malfunction. This is to reduce the malfunction more and to further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operation.

단계 S11에서는, 상기 제1세면대판별단계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센서부(1110)에서 센싱한 결과에 따른 사용자와 세면대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의 동작모드를 제1세면대조명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위치센서부(1110)에서 센싱한 결과에 따른 사용자와 세면대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세면대조명부(2000)의 동작모드를 제2세면대조명모드로 결정하는 제2세면대판별단계를 수행한다.In step S1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e first washbasin determination step,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according to a result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If the operation mode of the sink lighting unit 2000 is determined as the first sink lighting mo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according to a result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unit 1110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sink lighting unit 2000 The second washbasin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washbasin lighting mode.

상기 제1세면대조명모드는 사용자가 면도, 세안 등의 보다 적극적인 동작을 하는 것이 아니라, 거울에서 자신을 바라보는 등의 일상적인 행위 혹은 소극적인 행위를 하는 경우에의 조명모드에 해당한다.The first washbasin lighting mode corresponds to a lighting mode in which the user does not perform more active actions such as shaving or face washing, but instead performs daily or passive actions such as looking at himself in the mirror.

상기 제2세면대조명모드는 사용자가 면도, 세안 등의 보다 적극적인 동작을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The second sink lighting mode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the user performs a more active operation such as shaving and washing.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사용자가 세안대에 접근했는지 여부에 따라서 관련된 조명을 ON/OFF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세안대와 관련하여 어떠한 행위를 하는 지 유추하고, 이에 따라 적합한 조명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욕실에서의 이용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imply turn ON/OFF the related lighting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has approached the washing table or not, but infers what the user is doing with respect to the washing table based on the user's location, and accordingly By implementing the lighting, the user's satisfaction in the bathroom can be improved.

단계 S10에서 IR센서 및/또는 이미지카메라의 센싱결과에 따라 사용자가 세면대로 이동하지 않고, 욕조측으로 이동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욕조센서부(1120)의 센싱결과에 따라서, 욕조조명부(3000)의 동작모드를 결정한다.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when the user determines that the user moves to the bathtub side instead of the sink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 of the IR sensor and/or the image camera in step S10,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구체적으로, 단계 S12에서는, 상기 욕조센서부(1120)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욕조판별단계가 수행된다. 이는 사용자가 단순히 욕조를 적극적으로 이용하지 않고, 물건을 꺼내거나 단순히 지나가는 행위를 하는 경우에 욕조센서부(1120)의 동작을 억제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에게 사용 쾌적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Specifically, in step S12, a first bathtub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1123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is is to give the user more comfort by restraining the operation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when the user simply does not actively use the bathtub and pulls out an object or simply passes.

단계 S13에서는, 상기 제1욕조판별단계에서 상기 욕조센서부(1120)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욕조조명부(3000)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2욕조판별단계;가 수행된다.In step S13,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1123 of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in the first bathtub determination step, the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Based on the second bathtub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is performed.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욕조에서의 활동 만족감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욕조에서의 대표적인 활동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전자적 유추방법을 도출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activity in the bathtub, a representative activity in the user's bathtub is derived, and an efficient and economical electronic analogy method is deri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욕조센서부(1120)는 복수의 무게센서(1123)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결과에 따라서 사용자의 욕조에서의 행위를 예측하고, 이에 따라 적합한 조명을 구현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thtub sensor unit 1120 includes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and acts in the user's bathtub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Predict and implement suitable lighting accordingly.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0)의 세부 제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6 schematically illustrates a detailed control process of the controller 1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과정은 상기 도 5의 S13으로 도시된 상기 제2욕조판별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The process illustrated in FIG. 6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bathtub identification step illustrated by S13 of FIG. 5.

단계 S20에서는,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1123) 중 기설정된 그룹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과 상기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1123) 중 상기 기설정된 그룹 외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지 여부를 판별한다.In step S20,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1123 of a preset group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and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1123 outside the preset group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욕조에서의 대표적인 행위를 샤워 혹은 목욕으로 정의하고, 이를 복수의 무게센서(1123)에서 센싱된 값에 기반하여 판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epresentative action in the user's bathtub is defined as a shower or bath, and it is determined based on values sensed by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예를들어, 도 4의 (B)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1, #2 무게센서(1123)가 있는 위치에 서있는 경우, 예를 들어, 샤워기가 #1, #2 무게센서(1123)가 위치한 측에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1번, #2번 무게센서(1123)가 있는 위치에 서서 샤워기를 이용하여 샤워를 하는 경우에 상기 #1, #2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이 높게 나오고, 다음 #3, #4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이 상기 #1, #2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보다 낮은 값으로 나오고, 다음 #5, #6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이 상기 #3, #4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보다 낮은 값으로 나오게 된다.For example, referring to (B) of FIG. 4, for example, when the user stands in a position where the #1, #2 weight sensor 1123 is located, for example, the shower #1, #2 weight sensor (1123) is disposed on the side, the user #1, #2 when the weight sensor (1123) standing at a position using a shower using the shower #1, #2 weight sensor (1123) The sensing value of is high, and the sensing values of the next #3, #4 weight sensor 1123 appear to be lower than the sensing values of the #1, #2 weight sensor 1123, and the next #5, #6 weight sensor. The sensing values of (1123) are lower than the sensing values of the #3 and #4 weight sensors 1123.

또한, 사용자가 욕조에 누워서, 목욕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1 내지 #6의 무게센서(1123)로부터 거의 유사한 센싱값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lying in the bathtub and taking a bath, almost similar sensing values may be output from the weight sensors 1123 of #1 to #6.

위의 경우, 상기 기설정된 그룹의 무게센서(1123)는 #1, #2 무게센서(1123)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기설정된 그룹 이외의 무게센서(1123)는 #3, #4, #5, #6 무게센서(1123)에 해당할 수 있다.In the above case, the weight sensor 1123 of the preset group may correspond to #1 and #2 weight sensors 1123, and the weight sensors 1123 other than the preset group may be #3, #4, # 5, #6 may correspond to the weight sensor (1123).

단계 S21에서는 상기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욕조조명부(3000)의 동작모드를 제1욕조조명모드로 결정하고, 단계 S22에서는 상기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욕조조명부(3000)의 동작모드를 제2욕조조명모드로 결정한다.In step S21, when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is determined as a first bath lighting mode, and in step S22,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bathtub lighting unit 3000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s the second bath lighting mode.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체중 수치와 관련없이 사용자의 행위를 보다 정확하게 유추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user's behavior can be more accurately inferred regardless of the weight value that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상기 제1욕조조명모드는 사용자가 욕조 위에서 서서 샤워를 하고 있는 경우에 해당하고, 상기 제2욕조조명모드는 사용자가 욕조 위에 누워서 혹은 몸의 상당부분을 욕조에 접하면서 목욕을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user is standing on the bathtub and taking a shower, and the second bath lighting mode corresponds to a case where the user is lying on the bathtub or bathing whil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bathtub. .

상기 기설정된 그룹의 무게센서(1123)는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에 따라서 #1, #2 위치에 발을 위치하여 서서 사워를 하는 경우도 있지만, #3, #4 위치에 발을 위치하여 서서 샤워를 하는 경우도 있고, 혹은 #2 및 #4 위치에 발을 위치하여 서서 샤워를 하는 경우도 있다.The preset group of weight sensors 1123 may be variably determine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user, the feet may be placed on the #1, #2 position to sour, but the feet may be placed on the #3, #4 position to take a shower, or #2 and # In some cases, you may stand in the shower with your feet in the 4 position.

이 경우를 판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계 S20에서는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1123) 중 가장 높은 무게를 센싱한 2개(혹은 기설정된 개수)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과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1123) 중 가장 낮은 무게를 센싱한 2개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서서 샤워를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1123) 중 가장 높은 무게를 센싱한 2개(혹은 기설정된 개수)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으로 도출된 수치(예를들어 평균값 혹은 단순 합산값)과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1123) 중 가장 낮은 무게를 센싱한 2개의 무게센서(1123)의 센싱값(예를들어 평균값 혹은 단순 합산값)의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제1욕조조명모드로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제2욕조조명모드로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In order to discriminate this cas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tep S20, the sensing of two (or predetermined number) of weight sensors 1123 sensing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Based on the value and the sensing values of the two weight sensors 1123 sensing the low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user is standing in the shower. Specifically, a value (for example, an average value or a simple summation value) derived from the sensing values of two (or a predetermined number) of weight sensors 1123 sensing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sing values (for example, the average value or the simple summation value) of the two weight sensors 1123 sensing the low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1123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is used. The operation mode is determined, and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operation mode may be determined as the second bath lighting mod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 동작모드에 대해 개략적으로 도시한다.7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operation mode of a ligh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실험 및 설문을 통하여, 세면대 일상모드에 해당하는 제1세면대조명모드, 세면대 작업모드에 해당하는 제2세면대조명모드, 욕조 샤워모드에 해당하는 제1욕조조명모드, 및 욕조 목욕모드에 해당하는 제2욕조조명모드 각각에 가장 적합한 조명 수치를 도출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number of experiments and questionnaires, the first sink light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daily mode of the sink, the second sink light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sink working mode,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bathtub shower mode, and the bathtub bath The most suitable lighting value was derived for each of the second bath lighting modes corresponding to the mode.

상기 제1세면대조명모드는 3200K 이상 3700K 이하의 색온도에서 130 lx 이상 170 lx 이하의 밝기를 갖는 조명이 가장 사용자가 만족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을 도출하였다.In the first washbasin lighting mode, the lighting having a brightness of 130 lx or more and 170 lx or less at a color temperature of 3200K or more and 3700K or less is derived from which the user can have the most satisfaction.

상기 제2세면대조명모드는 4100K 이상 4500K 이하의 색온도에서 680 lx 이상 720 lx 이하의 밝기를 갖는 조명이 가장 사용자가 만족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을 도출하였다.In the second washbasin lighting mode, it was derived that the light having a brightness of 680 lx or more and 720 lx or less at a color temperature of 4100K or more and 4500K or less is the most satisfactory to the user.

상기 제1욕조조명모드는 2500K 이상 2900K 이하의 색온도에서 130 lx 이상 170 lx 이하의 밝기를 갖는 조명이 가장 사용자가 만족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을 도출하였다.In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it was derived that lighting having a brightness of 130 lx or more and 170 lx or less at a color temperature of 2500K or more and 2900K or less is the most satisfactory to the user.

삭제delete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도 1에 따른 제어부는 도 8에서 도시되는 컴퓨팅장치의 1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8 exemplarily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FIG. 1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of the computing device shown in FIG. 8.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사용자단말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the computing device 11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d an input/output subsystem ( I/Osubsystem) 11400, a power circuit 11500,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At this time,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correspond to the user terminal A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or the computing device B described above.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magnetic disk, SRAM, DRAM, ROM,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have.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software module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a set of instructions, or other various data.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The processor 11100 may be configured in a single or plural form, and may include a processor in the form of a GPU and a TPU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to the processor 11100 and the memory 11200.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1000 and process data by executing a software module or a set of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1200.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can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nitor or keyboard, mouse,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sensor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as need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input/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part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a battery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power. It can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including an RF circuit.

이러한 도 8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은 도 8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8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bodiment of FIG. 8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1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omit som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8 or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illustrated in FIG. 8,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more than one component.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etc.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8,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including integrated circuits specialized for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by being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on a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a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combinations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processors, controllers, arithmetic logic units (ALUs), digital signal processors (micro signal processors), microcomputer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computers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The processing device may perform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 processing device may be described as one being used, bu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may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In addition,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and configures the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processe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You can command the device. Software and/or data may be interpreted by a processing device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a processing device, of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 Or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the transmitted signal wave.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n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embodiments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a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6)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으로서,
세면대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세면대조명부; 욕조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욕조조명부; 및 상기 세면대조명부 및 상기 욕조조명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제어부는,
상기 세면대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센서부;
상기 욕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무게센서, 복수의 지지대, 상기 무게센서 및 상기 지지대 위에 배치되는 바닥패널을 포함하는 욕조센서부; 및
상기 위치센서부 및 상기 욕조센서부의 복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세면대조명부 및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인접한 상기 지지대 사이의 복수의 지점에 각각 상기 무게센서가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욕조센서부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욕조판별단계; 및
상기 제1욕조판별단계에서 상기 욕조센서부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2욕조판별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욕조판별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 중 가장 높은 무게를 센싱한 기설정된 개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 중 가장 낮은 무게를 센싱한 기설정된 개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도출된 수치의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1욕조조명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2욕조조명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욕조조명모드는,
2500K 이상 2900K 이하의 색온도에서 130 lx 이상 170 lx 이하의 밝기를 갖고,
상기 제2욕조조명모드는,
상기 제1욕조조명모드보다 밝기가 낮은,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
As a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user activity patterns,
A sink lighting unit that can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sink is located; A bathtub lighting unit that can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bathtub is located; And a lighting control unit performing control of the sink lighting unit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The lighting control unit,
A position sensor unit capable of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sink and the user;
A bathtub sens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tub, a plurality of supports, a weight sensor, and a floor panel disposed on the supports; And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ink lighting unit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of the position sensor unit and the bathtub sensor unit;
The weight sensors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a plurality of points between the adjacent supports,
The control unit,
A first bathtub discri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of the bathtub sensor unit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of the bathtub sensor unit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e first bathtub determination step, the second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is determined based on the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Performing a bathtub identification step;
The second bath discrimination step,
The values derived based on the sensing values of the preset number of weight sensors sensing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and the sensing values of the preset number of weight sensors sensing the low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as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when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as the second bath lighting mode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Brightness of 130 lx or more and 170 lx or less at a color temperature of 2500K or more and 2900K or less,
The second bath lighting mode,
The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a user activity pattern is lower in brightness than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센서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세면대에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하는 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세면대판별단계;
상기 제1세면대판별단계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를 유지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치센서부에서 센싱한 결과에 따른 사용자와 세면대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세면대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1세면대조명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위치센서부에서 센싱한 결과에 따른 사용자와 세면대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세면대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2세면대조명모드로 결정하는 제2세면대판별단계를 수행하는,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first sink discri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maintains a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within a preset distance to the sink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position sensor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e first sink determination step,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according to a result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the operation mode of the sink is remove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sink according to the result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unit is less than a preset value, the second sink is determined to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sink sink as the second sink lighting mode. A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a user activity pattern that performs steps.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 및 상기 지지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는,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loor panel and the support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user activity pattern customized bathroom lighting system.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욕실조명시스템은 세면대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세면대조명부; 욕조가 위치하는 벽면에 배치될 수 있는 욕조조명부; 및 상기 세면대조명부 및 상기 욕조조명부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조명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세면대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센싱하는 위치센서단계;
상기 욕조의 바닥면에 복수의 지지대 사이의 인접한 복수의 지점에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무게센서로 상기 욕조에 가해지는 하중 분포를 센싱하는 욕조센서단계; 및
상기 위치센서단계 및 상기 욕조센서단계의 복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세면대조명부 및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욕조센서단계에서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제1욕조판별단계; 및
상기 제1욕조판별단계에서 상기 욕조센서단계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 지속된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2욕조판별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2욕조판별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 중 가장 높은 무게를 센싱한 기설정된 개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값 및 상기 복수의 무게센서 중 가장 낮은 무게를 센싱한 기설정된 개수의 무게센서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도출된 수치의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1욕조조명모드로 결정하고, 상기 차이가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욕조조명부의 동작모드를 제2욕조조명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욕조조명모드는,
2500K 이상 2900K 이하의 색온도에서 130 lx 이상 170 lx 이하의 밝기를 갖고,
상기 제2욕조조명모드는,
상기 제1욕조조명모드보다 밝기가 낮은, 사용자활동 패턴맞춤형 욕실조명시스템의 제어방법.
As a control method of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user activity pattern,
The bathroom lighting system includes a sink lighting unit that can be disposed on a wall surface where the sink is located; A bathtub lighting unit that can be disposed on the wall surface where the bathtub is located; And a lighting control unit performing control of the sink lighting unit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The control method
A position sensor step of sensing a distance between the sink and the user;
A bathtub sensor step of sensing a load distribution applied to the bathtub with a plurality of weight sensors disposed at a plurality of adjacent points between a plurality of suppor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tub; And
It includes; a control step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ink lighting unit and the bathtub lighting unit according to the sensing result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of the position sensor step and the bathtub sensor step;
The control step,
A first bathtub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in the bathtub sensor step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When determining that the sensing value of the weight sensor of the bathtub sensor step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the first bathtub determination step,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based on the sensing values of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2, performing the bath identification step;
The second bath discrimination step,
The values derived based on the sensing values of the preset number of weight sensors sensing the high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and the sensing values of the preset number of weight sensors sensing the lowest weight among the plurality of weight sensors. Determining whether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as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when the differenc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bathtub lighting unit as the second bath lighting mode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Brightness of 130 lx or more and 170 lx or less at a color temperature of 2500K or more and 2900K or less,
The second bath lighting mode,
A method of controlling a bathroom lighting system customized for a user activity pattern, which has a lower brightness than the first bath lighting mode.
KR1020180140275A 2018-11-14 2018-11-14 Bath Room Illumination System Adjusted by User Activity Pattern KR1021412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275A KR102141226B1 (en) 2018-11-14 2018-11-14 Bath Room Illumination System Adjusted by User Activity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275A KR102141226B1 (en) 2018-11-14 2018-11-14 Bath Room Illumination System Adjusted by User Activity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46A KR20200056546A (en) 2020-05-25
KR102141226B1 true KR102141226B1 (en) 2020-08-05

Family

ID=7091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275A KR102141226B1 (en) 2018-11-14 2018-11-14 Bath Room Illumination System Adjusted by User Activity Patte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22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2566A (en) * 2016-08-01 2018-02-08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Illumin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3447B1 (en) 2013-11-29 2015-02-16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lighting control system based on context-awareness for improving of learning performance in classroo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2566A (en) * 2016-08-01 2018-02-08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Illumin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546A (en)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9217B2 (en) Sensor configuration
TWI509274B (en) Passive infrared range finding proximity detector
KR102096804B1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141522A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fingerprint verif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160170389A1 (en) Smart home control apparatus, smart home control method and smart home control system
JP2010530974A (en) Sensitive motion detector
RU2016110422A (en) LIGHTING SYSTEM MANAGEMENT
CN102246118A (en) Temperature threshold adjustment based on human detection
WO2014103700A1 (en) Control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RU2690402C2 (en) Phototherapy device with pain location input
JP2015166171A (en) Printer, control method of the printer, and program
US20190029907A1 (en) Wearable device for reducing body fat using led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3927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temperature in an electronic device
WO2018120714A1 (en) Turnon and turnoff control method for fan and apparatus
KR102141226B1 (en) Bath Room Illumination System Adjusted by User Activity Pattern
TW201812515A (en) Electronic device with night function and method thereof
KR20190142095A (en) Meh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ndoor lighting management using a mobile device
CN111297362A (en) Shoe typ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shoe type device
WO2012014593A1 (en) Presence determination device, method of determining presence, and program
JP2020067668A (en) Input system
JP6037651B2 (en)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system
KR20110011203U (en) Switch apparatus for saving standby power
JP2014191918A (en) Environment control system
KR102166440B1 (en) Balance Analysis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the Degree of Dementia
KR20210132309A (en) Car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