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803B1 -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803B1
KR102140803B1 KR1020200007967A KR20200007967A KR102140803B1 KR 102140803 B1 KR102140803 B1 KR 102140803B1 KR 1020200007967 A KR1020200007967 A KR 1020200007967A KR 20200007967 A KR20200007967 A KR 20200007967A KR 102140803 B1 KR102140803 B1 KR 102140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er
heat source
thermoelectric
performance
curren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남
유혜련
최치훈
윤현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0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8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83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2Thermal te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30Deferred-action cells
    • H01M6/36Deferred-action cells containing electrolyte and made operational by physical means, e.g. therma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Using Thermal Mean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여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상부 케이스,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열전지 모사 단위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형성되는 열전지 모사 집합체 및 상부 케이스에 배치되어 수용공간 내부로 화염을 분출하는 착화기를 포함하고, 열전지 모사 단위체는 제1 집전체, 제1 집전체의 일면에 배치되며 착화기에 의해 점화되는 열원, 열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집전체, 제2 집전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마이카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및 방법{Performance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ignition device of thermal battery}
본 출원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들은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열전지 내부 열원을 착화기로 점화시켜 열원의 점화 개수에 따른 착화기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검사방법이다.
열전지는 상온에서 비활성 상태로 유지되다가 발동되면, 착화기 화염에 의해 열원(heat source)을 점화시키고 수 초 이내에 고체전해질이 용융됨으로서 활성화(activation)되는 비축형 1차전지이다.
특히, 유도 무기의 경우, 평균 수명은 15년 이상이고, 발사되는 순간에만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가 방전(Self-discharing)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전원의 필수 요건으로 한다. 또한, 유도 무기의 전원은 비행을 위해서 무게가 가벼워야 하는 요건도 갖추어야 한다. 열전지는 비활성화 시 전해질이 고체 상태이므로, 자가 방전이 차단될 수 있어, 유도 무기의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열전지의 발동 초기 가장 중요한 요소는 착화기 화염에 의한 열원 점화로 고체전해질이 용융되어 나타나는 활성화 시간이며, 활성화 시간의 주요인자는 착화기 화염에 의한 열원 점화로 볼 수 있다. 열전지 발동 초기에 열원의 미점화는 발동시간이 느려져 방전 실패로 연결될 수 있으며, 미점화된 열원이 방전중에 점화되면 국부적으로 과도한 열에너지가 유입되어 양극의 분해 및 음극의 용융을 일으켜 열폭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방법이 필요하다. 열전지에 적용되는 착화기 성능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첫째로 주장약이 연소되어 화염이 분출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고, 둘째로,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착화기 화염을 확인하는 방법 등이 있다. 허나 이러한 방법들은, 전지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열원의 미점화가 증가하여 정확한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증이 어렵다.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전지 내부 열원의 미점화를 해결하기 위한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증을 위하여,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와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방법 및 열전지용 착화기 압력 선정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여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상부 케이스,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열전지 모사 단위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형성되는 열전지 모사 집합체 및 상부 케이스에 배치되어 수용공간 내부로 화염을 분출하는 착화기를 포함하고, 열전지 모사 단위체는 제1 집전체, 상기 제1 집전체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착화기에 의해 점화되는 열원, 상기 열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집전체, 상기 제2 집전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마이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집전체, 열원, 제2 집전체 및 마이카는 내부 구멍을 가지는 환형이고, 열전지 모사 집합체는 제1 집전체, 열원, 제2 집전체 및 마이카가 적층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착화기에서 분출되는 화염은 내부 공간을 통해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의 열원으로 전달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는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단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강화 섬유플라스틱, 유리 및 석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강화 섬유플라스틱, 유리 및 석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착화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전원 공급부와 착화기를 연결하는 단자부 및 단자부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의 전력을 착화기에 전달하는 점화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방법은,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의 착화기를 작동 시켜 열원을 점화하고,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의 열원의 점화 여부에 기초하여 착화기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압력 선정방법은,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의 착화기를 작동시켜 열원을 점화하고,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의 열원의 파손 여부에 기초하여 착화기에서 화염이 분출되는 압력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를 통해 실제 열전지의 사용 전에 착화기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열전지의 사용 시에 열원이 미점화되는 상황을 방지함으로써, 열전지의 작동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는 실제 열전지가 아닌 열전지 모사 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실제 열전지를 반응시키지 않고도 착화기의 성능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는 열원의 파손 여부에 기초하여 착화기의 적정 압력을 선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상부 케이스(11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하부 케이스(120)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하부 케이스(120)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의한 착화기의 성능 검사 후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에 대한 도면이다.
도 7 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의한 착화기의 성능 검사 후 점화된 열원(14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의한 착화기의 성능 검사 후 미점화된 열원(142)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실시예들이 속한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실시예들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들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120), 하부 케이스(120)와 결합하여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상부 케이스(110),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형성되는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와 상부 케이스(110)에 배치되어 수용공간 내부로 화염을 분출하는 착화기(1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는 착화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00), 전원 공급부(200)와 착화기(111)를 연결하는 단자부(300), 단자부(300)와 연결되어 전원 공급부(200)의 전력을 착화기(111)에 전달하는 점화선(3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상부 케이스(11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110)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 외부로의 열 방출을 막는 고정용 단열부(115),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덮개(11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을 밀봉하기 위하여 덮개(114)는 볼트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는 점화선(310)과 연결되는 단자(113), 전력을 착화기(111)에 공급하는 착화기 단자선(112), 착화기 단자선(112) 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착화기(111)를 포함할 수 있다.
착화기(111)는 기폭약과 주장약을 포함할 수 있다. 착화기 단자선(112)로부터 착화기(111)에 전력이 공급되면, 기폭약이 연소하고 기폭약에 의해 주장약이 연소된다. 주장약이 연소되면 화염이 분사되고, 열원(142)을 점화시킬 수 있다. 기폭약은 환원제로 브롬(B), 지르코늄(Z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산화제로 크롬산칼슘(CaCrO4), 염소산칼륨(KClO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주장약은 환원제로 철(Fe), 지르코늄(Zr)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산화제로는 산화철(Fe2O3), 염소산칼륨(KClO4) 등에 이산화규소(SiO2)를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하부 케이스(12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2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20)는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하부 케이스(120)의 외부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열체(150)의 소재는 유리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 케이스(110)의 덮개(114)와 하부 케이스(120)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강화 섬유플라스틱, 유리 및 석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10)의 덮개(114)와 하부 케이스(120)의 소재는 서로 다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예시로서 하부 케이스(120)가 금속계열의 소재인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일 경우에는 열원(142)이 점화될 때 발생하는 고온의 환경에서도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내부를 분해 없이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한편, 다른 예시로서 하부 케이스(120)가 강화 섬유 플라스틱, 유리, 석영일 경우에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내부를 분해 없이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의 하부 케이스(12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에는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는 열전지의 적층구조를 모사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는 제1 집전체(141)의 일면에 배치되는 열원(142), 열원(142)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집전체(143), 제2 집전체(143) 일면에 배치되는 마이카(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열원(142)은 연료와 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열원(142)의 연료에는 주로 금속이 포함될 수 있고, 연소 시에 연료인 금속이 혼합된 산화제와 반응하여 금속산화물이 되면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원(142)은 Fe 및 KClO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카(144)는 열전지 내부 전극인 음극, 전해질, 양극 간의 간격을 모사하여 두께가 3 내지 30mm 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카(144)는 SiO2 및 Al2O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집전체(141)와 제2 집전체(143)의 사이에는 열원(142)이 배치될 수 있다. 열원(142)의 일면에 곧바로 마이카(144)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열원(142)의 연소시 마이카(144)와 열원(142)이 서로 달라 붙어 열원(142)의 연소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의 열원(142)과 마이카(144)의 사이에는 제1 집전체(141) 또는 제2 집전체(143)가 배치되도록 하여,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의 열원(142)과 마이카(144)가 서로 달라 붙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의 제1 집전체(141), 열원(142), 제2 집전체(143), 마이카(144)는 내부 구멍을 가지는 환형일 수 있다. 상기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가 적층되어 형성된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는 내부공간(160)을 형성하고, 착화기(111)에서 분출되는 화염은 내부공간을 통해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의 열원(14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열원(142)의 내경은 착화기(111) 화염에 잘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집전체(141), 제2 집전체(143), 마이카(144)의 내경보다 작게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의한 착화기의 성능을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열전지용 착화기(111)의 성능 검사를 위하여, 서로 다른 착화기(111)를 포함하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를 준비한다.
각각의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 32개를 적층하고,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 32개가 적층된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를 단열체(150)로 둘러싼다. 단열체(150)는 유리섬유 리본일 수 있다.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에서 마이카(144)의 두께는 10mm, 제1 집전체(141)와 제2 집전체(143)의 두께는 0.2mm, 열원(142)의 두께는 1mm일 수 있으나, 상술한 바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실제 열전지의 구조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는 단열체(150)로 감싸진 후에 하부 케이스(120)의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가 삽입 된 후 상부 케이스(110)에 의해 수용공간은 밀봉되고, 단자(113)에 점화선(310)이 연결된다. 이후에 전원 공급부(200)와 단자부(300)에 점화선(310)이 연결된다. 전원 공급부(200)에 의해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전류가 인가된다. 예를 들어, 인가된 전류는 5A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전류는 점화선(310)을 통하여 단자(113)로 흐른다. 전류는 착화기 단자선(112)을 통해 착화기(111)의 기폭약을 연소시킨다. 기폭약은 주장약을 연소시키고, 착화기(111)의 화염이 수용공간 내부로 분출된다. 착화기(111)로부터 분출된 화염에 의해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140)에 포함된 열원(142)이 점화될 수 있다. 열원(142)의 점화가 끝난 후, 열원(142)의 점화여부에 기초하여 착화기 성능이 검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원(142)의 점화여부는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의한 착화기의 성능 검사 후 단열체(150)로 둘러싸인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에 대한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의한 착화기의 성능 검사 후 점화된 열원(142) 및 미점화된 열원(142)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착화기의 성능 검사 후 점화된 열원(142)은 점화되면서 검게 그을린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8을 참조하면, 미점화된 열원(142)은 그을림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에서 검은 선은 착화기(111)의 화염에 의해 열원(142)이 점화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에서 검은 선이 없는 부분은 열원(142)이 미점화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에서 그을린 자국이 남아 있는지 여부를 통하여 열원(142)의 점화 여부가 쉽게 판별될 수 있다.
실제 사용 시에, 사용자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서로 다른 착화기(111)를 장착한 후, 각각의 착화기(111)에 의한 열원(142)의 점화여부 및 점화된 개수를 확인하여, 적절한 착화기(111)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실제 열전지의 형상 및 두께 등의 구조에 따라 열전지 모사 집합체(130)를 변경함으로써, 실제 환경에 맞추어 착화기(111)의 성능 검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를 통해 실제 열전지의 사용 시 열원의 미점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전지용 착화기(111)를 선정함에 있어서, 착화기(111)의 성능(예를 들어, 열전지의 모든 열원을 점화시킬 수 있는 성능)뿐만 아니라, 수용공간으로 화염이 분출될때 발생하는 압력도 중요하다. 만약, 화염이 분출되는 압력이 너무 높으면 열원의 내경부에 파손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를 이용하여 적절한 압력을 가지는 착화기(111)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100)에 전류를 인가하여 착화기(11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열원(142)이 점화된 후, 열원(142)의 내경부가 파손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적절한 착화기 압력을 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열원(142)의 내경부의 파손여부 확인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110: 상부 케이스
111: 착화기
112: 착화기 단자선
113: 단자
114: 덮개
115: 고정용단열부
120: 하부 케이스
130: 열전지 모사 집합체
140: 열전지 모사 단위체
141: 제1 집전체
142: 열원
143: 제2 집전체
144: 마이카
150: 단열체
160: 내부공간
200: 전원 공급부
300: 단자부
310: 착화기 점화용 점화선

Claims (8)

  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상부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열전지 모사 단위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적층되어 형성되는 열전지 모사 집합체; 및
    상기 상부 케이스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화염을 분출하는 착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지 모사 단위체는 제1 집전체, 상기 제1 집전체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착화기에 의해 점화되는 열원, 상기 열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집전체, 상기 제2 집전체의 일면에 배치되는 마이카가 적층되어 형성되고,
    상기 마이카는 열전지의 음극, 전해질 및 양극을 모사하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체, 상기 열원, 상기 제2 집전체 및 상기 마이카는 내부 구멍을 가지는 환형이고,
    상기 열전지 모사 집합체는 상기 제1 집전체, 상기 열원, 상기 제2 집전체 및 상기 마이카가 적층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착화기에서 분출되는 화염은 상기 내부 공간을 통해 상기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의 열원으로 전달되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둘러싸는 단열체를 더 포함하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강화 섬유플라스틱, 유리 및 석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 티타늄, 강화 섬유플라스틱, 유리 및 석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와 상기 착화기를 연결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의 전력을 상기 착화기에 전달하는 점화선을 더 포함하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의 상기 착화기를 작동 시켜 상기 열원을 점화하고, 상기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의 상기 열원의 점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착화기의 성능을 검사하는,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방법.
  8.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의 상기 착화기를 작동시켜 상기 열원을 점화하고, 상기 각각의 열전지 모사 단위체의 상기 열원의 파손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착화기에서 화염이 분출되는 압력을 선정하는, 열전지용 착화기 압력 선정방법.
KR1020200007967A 2020-01-21 2020-01-21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140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967A KR102140803B1 (ko) 2020-01-21 2020-01-21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967A KR102140803B1 (ko) 2020-01-21 2020-01-21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803B1 true KR102140803B1 (ko) 2020-08-03

Family

ID=7204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967A KR102140803B1 (ko) 2020-01-21 2020-01-21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8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07B1 (ko) 2020-12-10 2021-04-05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 시스템 및 그의 착화 방법
KR102393970B1 (ko) * 2021-09-10 2022-05-03 국방과학연구소 착화 장치용 점화제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861A (ko) * 2010-04-20 2011-10-26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의 단열구조
KR20170025507A (ko) * 2015-08-28 2017-03-08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 점화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861A (ko) * 2010-04-20 2011-10-26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의 단열구조
KR20170025507A (ko) * 2015-08-28 2017-03-08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 점화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307B1 (ko) 2020-12-10 2021-04-05 국방과학연구소 열전지 시스템 및 그의 착화 방법
US11916261B2 (en) 2020-12-10 2024-02-27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Thermal battery system and ignition method of the same
KR102393970B1 (ko) * 2021-09-10 2022-05-03 국방과학연구소 착화 장치용 점화제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803B1 (ko) 열전지용 착화기 성능 검사 장치 및 방법
JP6042734B2 (ja) 消火装置
Dubaniewicz et al. Are lithium ion cells intrinsically safe?
US2878752A (en) Blasting initiator
CN107939549A (zh) 一种微型多级脉冲推力固体火箭发动机
US8593104B2 (en) Power source for starting engines of vehicles and the like
CN102218203A (zh) 一种感温自动压电发生器
CN105742728A (zh) 一种锂离子二次电池
Peiyan et al.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lithium–iron–phosphate batteries with different combustion states
CN106299397A (zh) 一种基于中轴点火通道设计的快速响应热电池
KR20170025507A (ko) 열전지 점화 구조
CN116490245A (zh) 锂离子电池的热保护
US5006429A (en) Externally heated thermal battery
US2887054A (en) Blasting initiator
Parate et al. Qualification testing, evaluation and test methods of gas generator for IEDs applications
CN211357526U (zh) 一种用于电池顶盖上的灭火装置、电池顶盖和电池
US3960083A (en) Igniter containing titanium hydride and potassium perchlorate
KR20230004032A (ko) 배터리 셀의 폭발력 정량화 툴 및 폭발력 측정방법
KR20210112814A (ko) 배터리모듈 격납용 내화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관리시스템
CN218780321U (zh) 一种用于桥塞坐封工具的内置启动动力源装置
CN214870321U (zh) 用于塑料吊顶弹发火的电点火具
CN111211021B (zh) 快速熔断装置的微型气体发生器
CN216872030U (zh) 一种矿用防爆氢燃料电池
KR100279050B1 (ko) 격벽착화기
CN215995433U (zh) 热敏线连接装置及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