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795B1 - Method for computing watershed boundary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mputing watershed boundary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795B1
KR102140795B1 KR1020180157377A KR20180157377A KR102140795B1 KR 102140795 B1 KR102140795 B1 KR 102140795B1 KR 1020180157377 A KR1020180157377 A KR 1020180157377A KR 20180157377 A KR20180157377 A KR 20180157377A KR 102140795 B1 KR102140795 B1 KR 10214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shed
boundary
standard
calculating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69848A (en
Inventor
김순연
원영진
봉주연
Original Assignee
(주)헤르메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르메시스 filed Critical (주)헤르메시스
Priority to KR1020180157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795B1/en
Publication of KR2020006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8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7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49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deformable models, e.g. active contour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112Image segmentation details
    • G06T2207/20152Watershed seg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ome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역경계 산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역경계 산출방법은, 외부 서버로부터 표준 유역분할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산출할 유역의 출구에 해당하는 대상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의 값을 기초로 상기 대상 위치를 출구로 하는 제1 유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유역의 경계 일부를 반영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수치표고모델 기반으로 유역경계 산출시 유관기관에서 제공하는 표준 유역경계에 부합하는 유역경계를 산출할 수 있어 산출결과물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a device therefor,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the method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receiving and storing a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from an external server; Receiving a target location corresponding to an outlet of a watershed to be calculated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Calculating a first watershed having the target location as an exit based on the value of the grid cell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by reflecting a part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based on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Through this, when calculating the watershed boundary based o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atershed boundary that meets the standard watershed boundary provided by the relevant organizations,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Description

수치표고모델 기반 유역경계 산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METHOD FOR COMPUTING WATERSHED BOUNDARY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Calculation method of watershed boundary based on numerical elevation model, apparatus for thi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t METHOD FOR COMPUTING WATERSHED BOUNDARY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유역경계 산출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치표고모델을 기반으로 하천으로 물이 모여 흘러드는 주변 지역을 나타내는 유역의 경계를 산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an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calculating a boundary of a watershed indicating a surrounding area where water flows into a stream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

유역은 강우시 하천으로 물이 모여서 흘러드는 주변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집수구역이라고도 지칭된다. 이러한 각 유역을 구분하는 유역경계는 홍수해석, 댐 건설 계획 수립, 수질오염물질 거동 해석 등의 기초가 된다. 따라서, 정확한 분석 또는 해석을 위하여 최대한 실제에 가까운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 watershed refers to the surrounding area where water gathers and flows into rivers during rainfall, and is also called a catchment area. The watershed boundary that separates these watersheds is the basis for flood analysis, dam construction planning, and analysis of water pollutant behavio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calculate the watershed boundary as close to real as possible for accurate analysis or interpretation.

다양한 분석, 계획, 및 관리 프로세스에서 정확한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것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에서는 대권역, 중권역, 표준유역 등 공인된 유역경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듯, WAMIS에서 작은 규모의 단위유역까지 여러 계층에 따른 유역경계를 제공하고는 있으나, 모든 유역 출구(Outlet)에 대한 유역경계를 제공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출구에 대한 유역경계에 대해서는 별도의 산출작업이 필요하다.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calculating the accurate watershed boundary in various analysis, planning, and management processes, the Nation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provides information on recognized watershed boundaries, such as the large watershed, the heavy watershed, and the standard watershed. . As described above, although WAMIS provides watershed boundaries according to various tiers from small unit watersheds, it does not provide watershed boundaries for all watershed outlets. Separate calculation work is required.

유역경계는 수치표고모델(Digital Elavation Model, DEM)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물은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흐른다는 기본 원리를 이용하여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유역경계를 산출할 수 있다.The watershed boundary can be calculated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The watershed boundary can be calculated using a numerical elevation model using the basic principle that water flows down by gravity.

다만, 이와 같이 수치표고모델 기반으로 생성된 유역경계는 전술된 공인된 유역경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는, 유역경계를 산출할 때 사용된 수치표고모델 데이터가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고 측정 주체나 방법에 따라 측정된 표고값이 서로 다를 수 있고 지각변동 등에 따른 표고의 변동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However, in many cases, the watershed boundary generated based o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does not coincide with the authorized watershed boundary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data used to calculate the watershed boundary may be different, and accordingly, the elevation values measured according to the subject or method of elevation may be different, and the possibility of elevation fluctuations due to perceptual changes cannot be excluded. Because.

그러나 공인된 유역경계는 국가 주도나 감독하에 이루어진 각종 측정이나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산출된 것으로 상대적으로 다른 주체가 산출한 유역경계에 비하여 신뢰성이 담보된 것이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들은 최대한 공인된 유역경계에 가까운 유역경계를 기초로 분석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certified watershed boundary is calculated based on various measures or processes conducted under the government's leadership or supervision, reliability is assured as compared to the watershed boundary produced by other actors, so many users can use the certified watershed boundary as much as possible. I prefer to analyze based on the nearest watershed boundary.

이에 따라,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임의의 출구 지점에 대한 유역경계를 산출하되, 최대한 공인된 유역경계를 반영하여 산출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a watershed boundary for an arbitrary exit point input by a user by using a numerical elevation model, but to reflect and calculate a recognized watershed boundary as much as possible.

한국등록특허 제10-0898618(2009.05.13.)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98618 (2009.05.13.)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치표고모델을 기반으로 유역경계를 산출할 때, 유관기관에서 제공하는 공인된 유역경계에 부합하는 유역경계를 산출할 수 있는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when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a method capable of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that conforms to an approved watershed boundary provided by a related institu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for this, and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유역경계 산출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유역경계 산출방법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표준 유역분할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산출할 유역의 출구에 해당하는 대상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의 값을 기초로 상기 대상 위치를 출구로 하는 제1 유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유역의 경계의 일부를 반영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역경계 산출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The above object is a watershed boundary calculation method performed by a watershed boundary calculating device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and storing a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from an external server ; Receiving a target location corresponding to an outlet of a watershed to be calculated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Calculating a first watershed having the target location as an exit based on the value of the grid cell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by reflecting a part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based on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based on the standard watershed partitioning map.

여기서, 상기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복수의 표준 유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대상 표준 유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유역의 일부 경계와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calcula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includes: extracting a target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from a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And synthesizing a partial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and at least a partial boundary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한편, 상기 제1 유역의 일부 경계와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를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표준 유역에 대한 상기 제1 유역의 차이 연산을 통하여 상기 대상 표준 영역과 상기 제1 유역이 서로 중복되는 세그먼트 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영역의 경계상의 일 점으로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인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표준 유역으로부터 상기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of synthesizing the partial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and the at least some boundary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the target standard area and the first watershed are mutually calculated by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watershed with respect to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Deriving a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except for overlapping segment regions; Extracting a cross segment region that is a difference segment region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as a point on a boundary of the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And subtracting the cross segment area from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이때, 상기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상기 격자 셀의 크기의 기설정된 비율만큼 확대하여 생성된 확대공간과 교차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상기 교차 세그먼트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p of extracting the cross-segment area, the difference segment area crossing the enlarged space generated by expanding the target position by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ize of the grid cell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areas to the cross-segment area Can be extracted with

한편,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복수의 표준 유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표준 유역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상기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역에 대한 상기 표준 유역의 차이 연산을 통하여 상기 제1 유역과 상기 표준 유역이 서로 중복되는 세그먼트 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유역과 추출된 상기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통합한 영역의 경계를 상기 최종 유역경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when there is no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among a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comprises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watersheds with respect to the first watershed. Deriving a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excluding segment regions in which the first watershed and the standard watershed overlap with each other; Extracting a difference segment area including the target position from the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areas; And calculating a boundary between a region incorporating the standard watershed and the extracted difference segment region a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또한,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유역경계 산출장치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표준 유역분할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표준데이터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산출할 유역의 출구에 해당하는 대상 위치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의 값을 기초로 상기 대상 위치를 출구로 하는 제1 유역을 산출하는 모델기반 경계산출부; 및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유역의 경계 일부를 반영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최종경계 산출부를 포함하는 유역경계 산출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a watershed boundary calculating device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ndard data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from an external server;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target location corresponding to an outlet of a watershed to be calculated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from a user; A model-based boundary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first watershed with the target location as an exit based on the value of the grid cell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a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by reflecting a part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based on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based on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여기서, 상기 최종경계 산출부는,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복수의 표준 유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대상 표준 유역을 추출하는 표준유역 추출부; 및 상기 제1 유역의 일부 경계와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를 합성하는 경계합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a standard watershed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target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from a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And a boundary synthesizing unit that synthesizes a partial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and at least a partial boundary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또한, 상기 경계합성부는,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이 최상류에 대응하는 유역이 아닌 경우,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의 상류에 해당하는 상기 표준 유역을 통합하여 상기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may calculate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by integrating the standard watershed upstream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when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is not a watershed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stream.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치표고모델 기반으로 유역경계를 산출할 때에 유관기관에서 제공하는 표준 유역경계에 부합하는 유역경계를 산출할 수 있어 산출결과물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watershed boundary that conforms to a standard watershed boundary provided by a related institution,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of the output.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같이 어그리 버닝(Agree Burning) 기법에 의한 수치표고모델 셀 값을 반복적으로 변경하는 작업 없이 유역경계를 산출할 수 있어 프로그램 복잡도나 프로세싱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atershed boundary without repeatedly changing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cell value by the Agree Burning technique as in the prior art, which greatly increases program complexity or time required for processing.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표고모델 기반 유역경계 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수자원단위지도의 일 예;
도 3은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위치가 포함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대상 표준 유역과 초기산출 유역의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5는 대상 위치의 확대를 통하여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6은 대상 표준 유역과 도 5에서 추출된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기초로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초기산출 유역의 경계와 표준 유역의 경계가 서로 만나지 않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 외부에 대상 위치가 존재할 때,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도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도 8에서 도출된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기초로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치표고모델 기반 유역경계 산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대상 위치가 표준 유역 내에 포함될 때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및
도 12는 대상 위치가 포함되는 표준 유역이 존재하지 않을 때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shed boundary calculation device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water resource unit map provided by the National Water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arget location input from the user is included in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Figure 4 is an enlarged part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and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segment area;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extracting a difference segment area through an enlargement of a target position;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target standard watershed and a difference segment region extracted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and the standard watershed do not meet each other;
8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riving a difference segment area when a target location exists outside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segmentation map;
FIG.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calcula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based on the difference segment region derived in FIG. 8;
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when a target location is included in a standard watershed; And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when there is no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유역경계 산출장치(100)는 수치표고모델을 기반으로 하천으로 물이 모여 흘러드는 주변 지역에 해당하는 유역의 경계를 산출한다. 참고로, 수치표고모델은 국토를 복수의 격자 셀(Grid cell) 단위로 나누고, 각 격자 셀에 대응하는 영역의 표고를 수치 형태로 기록하여 지형의 기복을 표현한 모델이다. 이러한 수치표고모델은 지형도의 등고선을 이용하거나 항공사진 측량, LIDAR 측량 등을 통해 파악된 표고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을 비롯한 유관기관에서는 한반도에 대한 수치표고모델을 구축해 제공하고 있다.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 boundary of a watershed corresponding to a surrounding area where water flows into a stream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For reference,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s a model that divides the land into a plurality of grid cells and records the elevation of the region corresponding to each grid cell in a numerical form to express the relief of the terrain. These numerical elevation models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elevations obtained through contour maps of topographic maps or aerial surveys, LIDAR surveys, and related institutions including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ve constructed and provided numerical elevation models for the Korean Peninsula.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역경계 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역경계 산출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 표준데이터 저장부(20),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 및 최종경계 산출부(4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shed boundary calcu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on device 100 includes a user interface unit 10, a standard data storage unit 20, a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on unit 30, and a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필요한 입력을 받고,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등의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수단과 각종 영상, 처리 결과, GUI(Graphic User Interface)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 입출력을 하나의 디바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입출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unit 10 is configured to receive necessary input from a user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and display various information. Input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keyboard, mouse, keypad, and various images and processing results, It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input/output means, including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 touch screen for providing input/output through one device, and the lik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사용자는 유역을 산출할 수치표고모델을 업로드할 수 있으며,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산출할 유역의 출구에 해당하는 대상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the user can upload a numerical elevation model for calculating the watershed, and input a target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exit of the watershed to be calculated based o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표준데이터 저장부(20)는 표준 유역분할 지도를 저장한다. 여기서, 표준 유역분할 지도는 정부나 유관기관에서 제공하는 유역단위 지도로 일정 기준에 따라 유역을 분할하여 나타낸 지도를 의미한다.The standard data storage unit 20 stores a standard watershed partitioning map. Here, the standard watershed map is a map of watershed units provided by the government or related organizations, and refers to a map that divides the watershed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예컨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에서는 국가 차원의 수자원 개발, 계획, 및 관리업무의 효율적 추진과 물관련 기관 간 자료의 공동활용을 목적으로 유역단위의 표준 지도의 일환으로서 대권역, 중권역, 및 소유역의 계층별 수자원단위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로, 2011년에 제작된 수자원단위지도(Ver3.0)는 대권역 21개, 중권역 117개, 소유역 850개로 구성된다.For example, in the Nation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as a part of the standard map of watershed units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promotion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lanning, and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and joint use of data among water-related organizations, it is a large area and a large area. Water resource unit maps are provided for each station and subwatershed. For reference, the water resource unit map (Ver3.0) produced in 2011 is composed of 21 large areas, 117 medium areas, and 850 small areas.

도 2는 WAMIS에서 제공하는 수자원단위지도의 일 예로서 중권역 수자원단위지도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FIG. 2 shows a part of a map of a water resource unit in the middle area as an example of a water resource unit map provided by WAMIS.

도 2와 같은 수자원단위지도를 통해서 분할된 각 유역의 위치 및 경계를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WAMIS에서는 각 유역마다 부여된 식별코드, 유역명, 분할지점, 유역면적(km2), 유역둘레(km), 상류유역면적(km2) 등 유역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다.The location and boundary of each watershed divided through the water resource unit map shown in FIG. 2 can be grasped. In addition, WAMIS provides information on watersheds, such as identification code, watershed name, split point, watershed area (km 2 ), watershed circumference (km), and upstream watershed area (km 2 ).

이와 같이, 표준데이터 저장부(20)는 전술된 WAMIS가 제공하는 대권역, 중권역, 소유역의 수자원단위지도와 같이 정부나 유관기관에서 운영하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표준 유역분할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andard data storage unit 20 receives and stores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from an external server operated by a government or a related organization, such as a map of water resource units of a large area, a medium area, and a small area provided by the aforementioned WAMIS. .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의 값을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입력된 대상 위치를 출구로 하는 유역을 산출한다.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는 예컨대, 8개의 흐름방향 격자(Flow direction grid)를 활용하는 'D-8' 알고리즘을 비롯하여 수치표고모델을 구성하는 각 격자 셀별 흐름방향과 경사도를 연산하는 다양한 공지된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이를 기초로 대상 위치를 출구로 하는 유역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 값을 기초로 유수의 흐름 방향을 분석하여 임의의 위치를 출구로 하는 유역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은 공지되어 있는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on unit 30 calculates a watershed with the target loca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as an exit based on the value of the grid cell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nput from the user. 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on unit 30 includes, for example, a'D-8' algorithm that utilizes eight flow direction grids, and various notices for calculating the flow direction and gradient for each grid cell constituting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atershed with the target location as the exit. As described above, an algorithm for calculating a watershed having an arbitrary position as an exit by analyzing a flow direction of a flowing water based on a grid cell value of a numerical elevation model is well known. For the sake of simplicity,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이하에서는, 용어의 구분을 위하여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에서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 값을 이용한 다양한 흐름방향 분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산출된 유역을 '초기산출 유역'으로 지칭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watershed calculated based on various flow direction analysis algorithms using the grid cell values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n 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on unit 30 will be referred to as an'initial calculation watershed' for classification of terms.

최종경계 산출부(40)는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에서 산출된 초기산출 유역의 경계를 함께 반영하여 최종적인 유역 경계를 산출한다. The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40 reflects the boundary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calculated by 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on unit 30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thereby reflec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Calculate.

도 1을 참조하면, 최종경계 산출부(40)는 표준유역 추출부(41) 및 경계합성부(43)로 세분화된다.Referring to FIG. 1, the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40 is subdivided into a standard watershed extraction unit 41 and a boundary synthesis unit 43.

표준유역 추출부(41)는 표준데이터 저장부(20)에 저장된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복수의 표준 유역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표준 유역을 추출한다. 다만, 상황에 따라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표준 유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하에서는 표준유역 추출부(41)를 통하여 추출된 표준 유역을 '대상 표준 유역'으로 지칭한다. The standard watershed extracting unit 41 extracts a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a target location input from a user from a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segmentation map stored in the standard data storage unit 20. However,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 may not be a standard watershed containing the target location. Hereinafter, the standard watershed extracted through the standard watershed extraction unit 41 is referred to as a'target standard watershed'.

경계합성부(43)는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에서 산출된 초기산출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와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를 합성하여 최종 유역의 경계를 산출한다. 이때, 초기산출 유역 경계와 표준 유역 경계를 합성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대상 표준 유역의 유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calculates a boundary of the final basin by synthesizing at least a part of the boundary of the initial watershed calculated by the model-based boundary estimating unit 30 and at least a part of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map. At this time, a specific process of synthesizing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boundary and the standard watershed boundary may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input from the user.

도 3 내지 도 9는 경계합성부(4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대상 표준 유역의 유무에 따라 두 가지 케이스로 나누어 경계합성부(43)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3 to 9 are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oundary combining unit 43.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9, the operation of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nto two case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첫 번째 케이스로서, 표준유역 추출부(41)에서 대상 표준 유역이 추출된 경우, 즉,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표준 유역이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한다.As a first case, it is assumed that the target watershed is extracted from the standard watershed extracting unit 41, that is, a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a target location input from a user in the standard watershed segmentation map exists.

도 3을 참조하면,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제1 표준 유역(S1)과 제2 표준 유역(S2) 중 제1 표준 유역(S1)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위치(O1)가 포함된 예를 보여준다. 참고로, 도 3에서는 표준 유역(S1, S2)의 경계는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에서 산출된 초기산출 유역(R1)의 경계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first standard watershed S1 among the first standard watershed S1 and the second standard watershed S2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segmentation map includes the target location O 1 input from the user Shows. For reference, in FIG. 3,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s S1 and S2 is shown by a solid line, and the boundary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R1 calculated by 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ng unit 30 is shown by a dotted line.

이와 같이,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표준 유역이 존재하는 경우, 경계합성부(43)는 대상 표준 유역(S1)에 대한 초기산출 유역(R1)의 차이 연산, 즉, S1 - R1을 수행하여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도출하고,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에서 대상 위치(O1)를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a target location exists,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performs a difference operation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R1 with respect to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S1, that is, S1-R1 to perform a plurality of operations. A difference segment area is derived, and a difference segment area including the target position O 1 is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areas.

도 4는 대상 표준 유역(S1)과 초기산출 유역(R1)의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S1 and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R1, and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segment area.

도 4와 같이 확대해보면, 실선으로 표시된 표준 유역(S1)의 경계와 점선으로 표시된 초기산출 유역(R1)의 경계가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표준 유역분할 지도를 생성할 때 사용한 수치표고모델과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수치표고모델의 표고 측정 주체나 방법에 따라 측정된 표고값이 서로 다를 수 있고, 유역경계를 산출할 때 이용된 알고리즘에 따라 서로 다른 유역경계가 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4, it can be seen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standard watershed S1 indicated by the solid line and the boundary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R1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does not exactly match each other. This may differ from the elevation values used in creating the standard watershed map and the elevation values measured by the subject or method of elevation measurement of the numeric elevation model input from the user, and according to the algorithm used to calculate the watershed boundary. This is because different watershed boundaries can be calculated.

따라서, 대상 표준 유역(S1)에 대한 초기산출 유역(R1)의 차이 연산 S1 - R1을 수행하면, 도 4에 빗금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d1~d4)이 도출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편의상 4개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이 도출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서로 다른 크기의 매우 많은 차이 세그먼트 영역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S1 - R1 연산 수행에 따른 차이 세그먼트 영역은 대상 표준 영역(S1)과 초기산출 유역(R1)이 서로 중복되는 세그먼트 영역을 제외한 대상 표준 유역(S1)의 부분 영역을 의미한다. Accordingly, if the difference calculations S1-R1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R1 for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S1 are performed, a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d1 to d4 may be derived as shown by hatching in FIG. 4. . In FIG. 4, an example in which four difference segment regions are derived for convenience is illustrated, but in practice, many different difference segment regions of different sizes may be derived. As described above, the difference segment region according to S1-R1 operation execution refers to a partial region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S1 except for the segment region in which the target standard region S1 and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R1 overlap each other.

경계합성부(43)는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d1~d4) 중에서 초기산출 유역(R1)의 출구에 해당하는 대상 위치(O1)를 경계상의 일 점으로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인 d4를 추출한다.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extracts the difference segment region d4 including the target position O 1 corresponding to the exit of the initial calculation basin R1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d1 to d4 as a point on the boundary. do.

이를 위하여, 경계합성부(43)는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d1~d4) 중에서 대상 위치(O1)를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 크기의 기설정된 비율만큼 확대한 확대공간과 교차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함으로써 d4를 추출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intersects a difference segment area that crosses an enlarged space in which a target position O 1 among a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areas d1 to d4 is enlarged by a predetermined ratio of a grid cell size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D4 can be extracted by extracting.

도 5는 대상 위치의 확대를 통하여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수치표고모델의 일부로서 3X3 격자를 나타낸 것이다.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extracting a difference segment region through an enlargement of a target position, and shows a 3X3 grid as part of a numerical elevation model.

도 5를 참조하면,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501) 크기의 기설정된 비율, 예컨대, 50%를 초과하는 비율만큼 대상 위치(O1)를 확대하여 생성된 확대공간(503)과 교차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 d4를 추출한다. 참고로, 대상 위치의 확대는 버퍼링(Buffering) 연산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버퍼링 연산은 특정 공간을 소정의 비율만큼 확대하는 기능으로서, 벡터 공간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연산이므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difference between the enlarged space 503 generated by enlarging the target position O 1 by a preset ratio of the size of the grid cell 501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for example, a ratio exceeding 50%. Segment area d4 is extracted. For reference, the enlargement of the target posi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a buffering operation. The buffering operation is a function of expanding a specific space by a predetermined ratio, and since it is widely used in software for vector space analysi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이와 같이, 대상 위치를 경계상의 일 점으로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인 교차 세그먼트 영역이 추출되면, 경계합성부(43)는 대상 표준 유역으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감하는 차이(difference) 연산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ross segment region, which is the difference segment region including the target position as a point on the boundary, is extracted,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performs a difference operation for subtracting the cross segment region from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이때, 대상 표준 유역이 최상류에 해당하는 경우, 대상 표준 유역으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감한 영역의 경계가 바로 최종 유역경계가 된다. 이와 달리, 대상 표준 유역이 최상류에 대응하는 유역이 아닌 경우, 경계합성부(43)는 대상 표준 유역의 상류에 해당하는 표준 유역을 통합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경계합성부(43)는 표준 유역분할 지도의 각 유역이 최상류 유역인지 여부 및 해당 유역의 상류 유역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corresponds to the uppermost stream, the boundary of the area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ross-segment area from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become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On the other hand, i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is not a watershed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stream,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calculates a final watershed boundary by integrating the standard watershed upstream of the targeted standard watershed. To this end,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may store a data table in which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each watershed in the standard watershed segmentation map is the highest watershed and the upstream watershed of the corresponding watershed.

도 6은 대상 표준 유역과 추출된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기초로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참고로, 표준 유역 S2는 최상류 유역으로서 표준 유역 S1의 상류 유역으로 가정한다. 6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target standard watershed and an extracted difference segment area. For reference, it is assumed that the standard watershed S2 is the uppermost watershed and is the upstream watershed of the standard watershed S1.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대상 표준 유역(S1)으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영역(d4)을 감하여, 즉, S1 - d4을 통하여 산출되는 영역(601)에 대상 표준 유역(S1)의 상류 유역에 해당하는 표준 유역인 S2를 통합한 영역 T1의 경계를 최종 유역경계로 산출하고 있다. 참고로, T1 영역은 빗금으로, T1의 경계인 최종 유역경계는 굵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6, the crossing segment area d4 is subtracted from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S1, that is, corresponds to the upstream watershed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S1 in the area 601 calculated through S1-d4 The boundary of the region T1 incorporating the standard watershed S2 is calculated a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For reference, the T1 region is hatched, and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which is the boundary of T1, is illustrated by a thick solid line.

참고로,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대상 표준 유역인 S1에서 교차 세그먼트 영역 d4를 먼저 감하고, 그 이후에 최상류 유역인 S2를 통합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대상 표준 유역 S1에 최상류 유역인 S2를 먼저 더하고, 그 이후 교차 세그먼트 영역 d4를 감하는 순서로 진행될 수도 있다. 즉, (S1 + S2) - d4를 통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연산 순서는 상이하지만 산출되는 최종 유역경계는 동일하다.For referenc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as described that the crossing segment region d4 is first subtracted from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S1, and then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is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uppermost watershed S2. The uppermost watershed S2 may be added first, and then the intersection segment region d4 may be subtracted. That i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can be calculated through (S1 + S2)-d4. According to this, the calculation order is different, but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calculated is the same.

한편,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초기산출 유역의 경계와 표준 유역 경계의 적어도 일부가 교차되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대상 위치의 구체적인 위치에 따라서 초기산출 유역의 경계가 표준 유역의 경계와 만나지 않을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FIGS. 3 to 6, an exampl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boundary between the initial calculation basin and the standard basin is crossed is illustrated, but depending on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target location, the boundary of the initial calculation basin may not meet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basin.

도 7은 초기산출 유역의 경계와 표준 유역의 경계가 서로 만나지 않는 예를 보여준다.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oundary between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and the standard watershed do not meet each other.

도 7을 참조하면, 초기산출 유역(R2)이 아일랜드(Island) 형태로 표준 유역(S1) 내부에 고립된 예를 보여준다.Referring to FIG. 7, an example in which the initial output watershed R2 is isolated in the standard watershed S1 in the form of Ireland is show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산출 유역의 경계와 표준 유역의 경계가 서로 만나지 않는 때에는 초기산출 유역이 최종 유역경계가 된다. 즉, 도 7에서는 R2의 경계가 바로 최종 유역경계로 산출된다. As shown in FIG. 7, when the boundary between the initial watershed and the standard watershed do not meet each other,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become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That is, in FIG. 7, the boundary of R2 is calculated a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이와 같이, 초기산출 유역의 경계와 표준 유역의 경계가 서로 만나지 않는 경우는 표준 유역이 상대적으로 광역일 때, 예컨대, 대권역 지도 적용시 초기산출 유역의 경계와 표준 유역의 경계가 서로 만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협역인 표준 유역을 적용하면 위와 같이 두 경계가 서로 만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적으므로, 최종 유역경계 산출시 공인 유역경계의 활용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협역인 표준 유역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oundary of the initial watershed and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do not meet each other, when the standard watershed is relatively wide, for example, when applying the map of the large area, the boundary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and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do not meet each other May occur. Therefore, if the standard watershed, which is a narrow zone, is applied, it is less likely that the two borders do not meet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nge of the official watershed boundary when calcula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applying the standard watershed that is relatively narrow is applied. It is preferred.

이어서, 두 번째 케이스로서, 전술된 첫 번째 케이스와는 반대로 표준유역 추출부(41)에서 대상 표준 유역이 추출되지 않는 경우, 즉,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표준 유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는 표준 유역분할 지도가 전국을 커버하도록 작성된 경우는 발생되지 않으며, 표준 유역분할 지도 작성시 유역분할에서 제외된 일부 영역이 존재할 때 발생될 수 있다. Subsequently, as the second case, in contrast to the first case described above, when the target watershed is not extracted from the standard watershed extraction unit 41, that is, the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input from the user in the standard watershed segmentation map It can be assumed that this does not exist. Such a case does not occur when the standard watershed map is prepared to cover the whole country, and may occur when some areas excluded from the watershed division exist when preparing the standard watershed map.

도 8은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이 S3, S4로 2개 존재할 때, 대상 위치(O3)가 표준 유역(S3, S4)에 포함되지 않고 그 외부에 존재하는 예를 보여준다. 참고로, 표준 유역 S3은 최상류 유역으로서 표준 유역 S4의 상류 유역으로 가정한다. 한편, 표준 유역(S3, S4)의 경계는 실선으로, 초기산출 유역(R3)의 경계는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FIG. 8 shows an example in which when two standard watersheds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segmentation map exist as S3 and S4, the target location O 3 is not included in the standard watersheds S3 and S4 and exists outside. For reference, the standard watershed S3 is assumed to be the upstream watershed of the standard watershed S4. On the other hand, the boundary between the standard watersheds S3 and S4 is shown as a solid line, and the boundary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R3 is shown as a dotted line.

이때에는, 경계합성부(43)는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를 통해 산출된 초기산출 유역(R3)에 대한 표준 유역(S3, S4)의 차이 연산, 즉, R3 - (S3 + S4) 연산을 수행하여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d5~d7)을 도출한다. 도출된 차이 세그먼트 영역(d5~d7)은 빗금으로 도시하였다. At this time,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watersheds S3 and S4 for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R3 calculated through 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ng unit 30, that is, R3-(S3 + S4) By performing the operation, a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d5 to d7 are derived. The derived difference segment regions (d5 to d7) are shown by hatching.

이와 같이, 초기산출 유역에 대한 표준 유역의 차이 연산시, 표준 유역분할 지도의 전체 표준 유역에 대해서 차이 연산을 하지 않고, 표준 유역분할 지도 내 복수의 표준 유역 중 초기산출 유역과 중첩되는 면적이 가장 큰 표준 유역의 집합 영역에 대해서 수행하면 된다. 도 8을 예로 들면, 초기산출 유역 R3와 중첩되는 유역은 S3, S4이므로 가장 큰 표준 유역의 집합인 S3 + S4 영역에 대해서 수행하면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watershed and the initial watershed, the area that overlaps with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among the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in the standard watershed segmentation map is not calculated for the entire standard watershed of the standard watershed map. This can be done for a large standard watershed aggregation area. As an example of FIG. 8, since the watershed overlapping with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R3 is S3 and S4, it may be performed on the S3 + S4 area, which is the largest set of standard watersheds.

참고로, 도 8에서는 표현의 편의상 3개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만이 도출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서로 다른 크기의 매우 많은 차이 세그먼트 영역이 도출될 수 있다. For reference, FIG. 8 shows an example in which only three difference segment regions are derived for convenience of expression, but in practice, many different difference segment regions of different sizes may be derived.

경계합성부(43)는 도출된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d5~d7) 중에서 대상 위치(O3)와 교차되는, 다시 말해 대상 위치(O3)를 영역의 경계상의 일 점으로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인 d7을 추출한다.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43 intersects the target position O 3 among the derived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areas d5 to d7, that is, the difference segment including the target position O 3 as a point on the boundary of the area. Region d7 is extracted.

도 9는 도 8에서 도출된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기초로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FIG. 9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based on the difference segment region derived in FIG. 8.

도 9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차이 연산시 적용된 표준 유역(S3, S4)와 추출된 차이 세그먼트 영역 d7을 통합한 영역, 즉, S3 + S4 + d7을 기초로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되, 전술된 예와 동일하게, 차이 연산시 적용된 표준 유역이 최상류 유역이 아닌 경우, 해당 표준 유역의 상류 유역을 통합한 영역의 경계를 최종 유역경계로 산출하게 된다. 참고로, 도 9에서는 S3가 최상류 유역으로 가정하였으므로, 또 다른 표준 유역의 통합 없이 S3 + S4 + d7가 최종 유역경계가 된다. 도 9에서 T2 영역은 빗금으로, T2의 경계인 최종 유역경계는 굵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9, basically, a final watershed boundary is calculated based on a region incorporating the standard watersheds S3 and S4 applied when calculating the difference and the extracted difference segment region d7, that is, S3 + S4 + d7. As in the example above, if the standard watershed applied when calculating the difference is not the highest watershed, the boundary of the area incorporating the upstream watershed of the standard watershed is calculated a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For reference, in FIG. 9, S3 is assumed to be the uppermost watershed, so S3 + S4 + d7 become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without integration of another standard watershed. In FIG. 9, the T2 region is hatched, and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that is the boundary of T2 is illustrated by a thick solid line.

이때, 표준 유역(S3, S4)와 추출된 차이 세그먼트 영역인 d7을 통합하는 연산은 소수점을 포함하는 실수(Floating number) 기반의 연산이므로, 폴리곤 형태의 두 영역을 통합할 때 두 폴리곤이 빈틈없이 하나의 폴리곤으로 통합되지 않고 두 폴리곤 사이에 불필요한 폴리곤인 슬리버 폴리곤(Sliver polygon)이 생성되는 경우가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 standard watershed (S3, S4) and the extracted difference segment area d7 is a floating number-based operation that includes a decimal point, when the two areas in the polygon form are merged, the two polygons are seamless. In some cases, Sliver polygons, which are unnecessary polygons, are created between two polygons that are not integrated into one polygon.

이와 같은 슬리버 폴리곤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계합성부(43)는 표준 유역과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통합하기 전에 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격자 셀 크기의 소정 비율만큼 확대한 후 통합할 수 있다. 영역의 확대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버퍼링 연산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단 버퍼링 연산 없이 두 영역을 통합한 이후 슬리버 폴리곤의 발생 여부에 따라 버퍼링 연산을 수행하여 확대 후 다시 통합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슬리버 폴리곤 발생 여부 확인 없이 무조건 버퍼링 연산 이후 통합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sliver polygon from being generated, the boundary combining unit 43 may expand and then consolidate at least one region of the two regions by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grid cell size before combining the standard watershed and the difference segment region. have. The enlargement of the region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a buffer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after integrating the two areas without buffering operation, the buffer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sliver polygons are generated, and then integration may be performed again after enlargement. Of course, it may be implemented.

한편,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표준 유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대상 위치에 따라서 초기 산출유역의 경계가 표준 유역의 경계와 서로 만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즉, 도 7에서는 표준 유역 내부에 아일랜드 형태로 초기산출 유역이 산출되었으나, 이와 유사하게 초기산출 유역이 표준 유역의 외부에서 분리된 아일랜드 형태로 산출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에도 초기 산출유역이 바로 최종 유역경계가 된다.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re is no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in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boundary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does not meet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depending on the target location. That is, in FIG. 7,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was calculated in the form of an island inside the standard watershed, but similarly, a case in which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is calculated in an island form sepa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standard watershed may occur. Even in this case, the initial watershed become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최종경계 산출부(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위치의 표준 유역의 포함 여부에 따라 구분 처리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40 calculate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by classifying the target watershed input from the user according to whether the standard watershed is included.

최종경계 산출부(40)를 통하여 산출된 최종 유역경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최종 유역경계는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와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를 통하여 산출된 초기산출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가 합성된 형태이므로, 최종 유역경계 중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경계와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를 통하여 산출된 경계를 색상이나 선 속성을 달리 적용하여 서로 구분되도록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유역 경계 대비 변경된 부분을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nal watershed boundary calculated through the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40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and provided to the user. At this time, since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is a combination of at least som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and at least some boundary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calculated through 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or 30, the standard watershed amo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ies The boundary based on the divided map and the boundary calculated through 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ng unit 30 are differently displayed by applying color or line properties differentl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hanged portion compared to the watershed boundary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You can do it.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역경계 산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된 유역경계 산출장치(100) 구성의 유기적인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10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0, the organic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ng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우선, 표준 유역분할 지도를 저장하는 것이 전제된다(S10). 표준 유역분할 지도는 정부나 유관기관에서 운영하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직접 업로드될 수도 있다. 저장된 표준 유역분할 지도는 유역 경계 산출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First, it is assumed that a standard watershed map is stored (S10). The standard watershed map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server operated by a government or a related institution, or may be directly uploaded from a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The stored standard watershed map is used as the basis for calculating the watershed boundary.

이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치표고모델과 해당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산출할 유역의 출구에 해당하는 대상 위치를 입력받는다(S20). Subsequently, a targ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xit of the watershed to be calculated based o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the corresponding numerical elevation model is received from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unit 10 (S20 ).

이와 같이, 수치표고모델과 대상 위치가 입력되면, 입력된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의 값을 기초로 대상 위치를 출구로 하는 초기산출 유역을 산출한다(S30). 초기산출 유역은 'D-8'알고리즘을 비롯하여 수치표고모델을 구성하는 각 격자 셀 값을 기초로 흐름방향과 경사도를 연산하는 다양한 공지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the target location are input, an initial calculation watershed with the target location as an exit is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s of the grid cells of the input numerical elevation model (S30). 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the initial calculation watershed can be calculated using various well-known algorithms for calculating the flow direction and gradient based on the values of each lattice cell constituting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ncluding the'D-8' algorithm.

이어서,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초기산출 유역의 경계 일부를 반영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프로세스가 후속된다(S40). Subsequently, a process of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by reflecting a part of the boundary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based on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is followed (S40).

최종 유역경계의 산출은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 경계와 알고리즘 기반으로 산출된 초기산출 유역 경계의 적어도 일부를 합성하는 프로세스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위치가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세부 프로세스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대상 위치의 표준 유역 내 포함 여부에 따른 최종 유역경계 산출 방법을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Calculation of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is a process of synthesizing at least a part of a standard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standard watershed map and an algorithm-based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boundary, where the target location input from the user is within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map. Depending on whether it is included, it can be divided into detailed processes. Hereinafter, a method of calcula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according to whether the target location is included in the standard watersh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respectively.

도 11은 대상 위치가 표준 유역 내에 포함될 때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when the target location is included in a standard watershed.

먼저,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복수의 표준 유역 중에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대상 표준 유역을 추출한다(S100). 이때, 대상 위치를 포함한다는 것은 대상 위치가 표준 유역의 내부에 포함되는 것뿐만 아니라, 대상 위치가 표준 유역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것도 포괄하는 의미이다. 한편, 대상 위치가 서로 다른 두 개의 표준 유역의 경계선상에 위치할 때에는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에서 산출된 초기산출 유역과 더 많이 중복되는 표준 영역을 대상 표준 유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First, a target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a target location is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S100). At this time,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means that the target location is not only included inside the standard watershed, but also that the target location is located on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arget location is located on the boundary line of two different standard watersheds, a standard region more overlapping with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calculated by 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ng unit 30 may be extracted as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이어서, 대상 표준 유역에 대한 초기산출 유역의 차(Difference) 연산을 통하여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도출하고, 도출된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에서 대상 위치를 영역의 경계상의 일 점으로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한다(S110, S120). 이때, 전술된 바와 같이, 버퍼링 연산을 통하여 대상 위치를 격자 셀의 크기의 기설정된 비율만큼 확대하여 생성된 확대공간과 교차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Subsequently, a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are derived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with respect to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and a difference segment region including the target position as one point on the boundary of the region among the derived multiple difference segment regions Extract (S110, S120).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target segment may be enlarged by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ize of the grid cell through a buffering operation to extract a difference segment area intersecting the enlarged space.

이와 같이, 교차되는 세그먼트 영역이 추출되면, 대상 표준 유역으로부터 추출된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감하는 Difference 연산을 수행한다(S130). 위 difference 연산시 적용된 대상 표준 유역이 최상류 영역이면 산출된 영역의 경계가 최종 유역경계가 되고, 최상류 영역이 아닌 경우, S130 단계에서 산출된 영역에 대상 표준 영역의 상류에 해당하는 표준 유역을 모두 통합한 영역의 경계가 최종 유역경계가 된다(S140, S150, S16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rossing segment region is extracted, a difference operation is performed to subtract the cross segment region extracted from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S130). I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applied when calculating the difference above is the uppermost region, the boundary of the calculated region become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and if it is not the uppermost region, all the standard watersheds corresponding to upstream of the target standard region are integrated into the region calculated in step S130. The boundary of one region become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S140, S150, S160).

한편, 도 11에 도시된 각 단계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수정되거나 추가될 수도 있다. Meanwhile, each step illustrated in FIG. 11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or added as necessary.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ifference 연산을 먼저 수행하고 그 이후 대상 표준 유역의 상류에 해당하는 표준 유역을 통합해도 되지만, 상류에 해당하는 표준 유역을 먼저 통합하고 통합된 영역에서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감하는 순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difference operation may be performed first, and thereafter, the standard watershed corresponding to the upstream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may be integrated, but the standard watershed corresponding to the upstream may be integrated first and the cross-segment region in the integrated region It is also possible to implement in a decreasing order.

도 12는 대상 위치가 포함되는 표준 유역이 존재하지 않을 때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when there is no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도 12를 참조하면, 모델기반 경계산출부(30)에서 산출된 초기산출 유역에 대한 표준 유역의 차이 연산, 즉, 초기산출 유역 - 표준 유역 연산을 통하여 초기산출 유역과 표준 유역이 서로 중복되는 세그먼트 영역을 제외한 초기산출 유역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도출한다(S200). 이와 같이, 초기산출 유역과 차이 연산을 수행할 때 표준 유역분할 지도 내 복수의 표준 유역 중 초기산출 유역과 중첩되는 면적이 가장 큰 표준 유역의 집합 영역에 대해서 수행하면 됨은 전술된 바와 같다.Referring to FIG. 12,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watershed and the initial watershed calculated by the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ng unit 30, that is, the initial calculation watershed-a segment in which the standard watershed and the standard watershed overlap each other through standard watershed calculation Difference segment regions of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except the region are derived (S200). As described above, when performing the difference calculation with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set area of the standard watershed having the largest area overlapping the initial calculated watershed among the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in the standard watershed map.

전술된 단계를 통하여 도출된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한다(S210). 여기서, 대상 위치를 포함한다는 것은 대상 위치가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것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 영역의 경계선 상에서 대상 위치와 교차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A difference segment area including a target position input from a user is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areas deriv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ep (S210). Here, including the target position means that the target position is also located on the boundary line, and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areas, a difference segment area crossing the target position on the boundary line of the area may be extracted.

이어서, 추출된 차이 세그먼트 영역과 S200 단계에서 차이 연산시 적용된 표준 유역을 통합한다(S220). 이때, 전술된 예와 동일하게 통합 연산시 적용된 표준 유역이 최상류 유역인 경우 S220 단계를 통해 산출된 영역의 경계가 최종 유역경계가 되며, 이와 반대로, 통합 연산시 적용된 표준 유역이 최상류 유역이 아닌 때에는 해당 표준 유역의 상류 유역을 통합한 영역의 경계를 최종 유역경계으로 산출하게 된다(S230, S240, S250). Subsequently, the extracted difference segment region and the standard watershed applied when calculating the difference in step S200 are integrated (S220 ). At this time, in the same way as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when the standard watershed applied in the integrated operation is the highest watershed, the boundary of the region calculated through step S220 become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In contrast, when the standard watershed applied in the integrated operation is not the most advanced watershed. The boundary of the region incorporating the upstream watershed of the corresponding standard watershed is calculated a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S230, S240, S250).

한편, 슬리버 폴리곤이 발생되지 않도록 통합 수행 전에 버퍼링을 통하여 두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미리 소정 비율 확대한 이후 통합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일단 통합한 이후 슬리버 폴리곤이 발생된 때 버퍼링하여 다시 통합을 수행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On the other hand, to prevent sliver polygons from occurring, integration may be performed after at least one region of the two regions is enlarged in advance by a predetermined ratio through buffering prior to performing the integration, or once the sliver polygon is generated after integration, it is buffered and integrated again. It can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다른 유역경계 산출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수치표고모델 기반으로 유역경계 산출시 공인된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경계에 최대한 부합하는 유역경계를 산출할 수 있어 산출결과물에 대한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어그리 버닝 기법에 의한 수치표고모델의 셀 값을 반복적으로 변경하는 과정 없이 유역경계를 산출할 수 있어 프로그램 복잡도나 프로세싱에 소요되는 시간을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alculating the watershed boundary based on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watershed boundary that best fits the boundary according to the recognized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I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In addition, as in the prior art, the watershed boundary can be calculated without a process of repeatedly changing a cell value of a numerical elevation model by an aggregating technique, which can greatly reduce program complexity and time required for processing.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유역경계 산출 장치는 RAM, ROM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에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또는 특정 용도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역경계 산출 장치 및 방법은 디지털 전자회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유역경계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기계 판독 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로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전술된 바와 같은 유역경계 산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having at least one programmable processor coupled to a memory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type of memory such as RAM, ROM, and the like. The processor may be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processor, and 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digital electronic circuits, or computer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at, when executed on a computer, provides a method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computer program products are embodied as storage media containing machine readable code for execution by a programmable processo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including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at, when executed on a computer, provides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nsist" or "have" as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trinsic,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excluding othe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표준데이터 저장부
30: 모델기반 경계산출부 40: 최종경계 산출부
41: 표준유역 추출부 42: 경계합성부
10: user interface 20: standard data storage
30: model-based boundary calculation unit 40: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41: standard watershed extraction section 42: boundary synthesis section

Claims (9)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유역경계 산출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유역경계 산출방법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표준 유역분할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산출할 유역의 출구에 해당하는 대상 위치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의 값을 기초로 상기 대상 위치를 출구로 하는 제1 유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유역의 경계의 일부를 반영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복수의 표준 유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대상 표준 유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역의 일부 경계와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를 합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이 최상류에 대응하는 유역이 아닌 경우,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의 상류에 해당하는 상기 표준 유역을 통합하여 상기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역경계 산출방법.
In 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on device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Receiving and storing a standard watershed map from an external server;
Receiving a target location corresponding to an outlet of a watershed to be calculated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through a user interface unit;
Calculating a first watershed having the target location as an exit based on the value of the grid cell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And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by reflecting a part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based on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Extracting a target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from a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Synthesizing a partial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and at least a partial boundary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And calcula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by integrating the standard watershed corresponding to the upstream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when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is not a watershed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strea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역의 일부 경계와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를 합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표준 유역에 대한 상기 제1 유역의 차이 연산을 통하여 상기 대상 표준 유역과 상기 제1 유역이 서로 중복되는 세그먼트 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영역의 경계상의 일 점으로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인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표준 유역으로부터 상기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역경계 산출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synthesizing a partial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and at least a partial boundary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Deriving a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excluding segment regions in which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and the first watershed overlap with each other through a difference operation of the first watershed with respect to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Extracting a cross segment region that is a difference segment region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as a point on a boundary of the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And
And subtracting the cross segment area from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상기 격자 셀의 크기의 기설정된 비율만큼 확대하여 생성된 확대공간과 교차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상기 교차 세그먼트 영역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역경계 산출방법.
According to claim 3,
Extracting the cross segment region,
A method of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among the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the target location is enlarged by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ize of the grid cell to extract a difference segment region intersecting the enlarged space as the cross segmen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복수의 표준 유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표준 유역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상기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유역에 대한 상기 표준 유역의 차이 연산을 통하여 상기 제1 유역과 상기 표준 유역이 서로 중복되는 세그먼트 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차이 세그먼트 영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 유역과 추출된 상기 차이 세그먼트 영역을 통합한 영역의 경계를 상기 최종 유역경계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역경계 산출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calculating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when a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does not exist among a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Deriving a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regions excluding segment regions in which the first watershed and the standard watershed overlap with each other through a difference calculation of the standard watershed with respect to the first watershed;
Extracting a difference segment area including the target position from the plurality of difference segment areas; And
And calculating a boundary between a region incorporating the standard watershed and the extracted difference segment region a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유역경계 산출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5 is recorded.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유역경계 산출장치에 있어서,
외부 서버로부터 표준 유역분할 지도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표준데이터 저장부;
사용자로부터 수치표고모델을 기초로 산출할 유역의 출구에 해당하는 대상 위치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치표고모델의 격자 셀의 값을 기초로 상기 대상 위치를 출구로 하는 제1 유역을 산출하는 모델기반 경계산출부; 및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표준 유역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유역의 경계 일부를 반영하여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최종경계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최종경계 산출부는, 상기 표준 유역분할 지도에 따른 복수의 표준 유역 중에서 상기 대상 위치를 포함하는 대상 표준 유역을 추출하는 표준유역 추출부; 및 상기 제1 유역의 일부 경계와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의 적어도 일부 경계를 합성하는 경계합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경계합성부는,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이 최상류에 대응하는 유역이 아닌 경우, 상기 대상 표준 유역의 상류에 해당하는 상기 표준 유역을 통합하여 상기 최종 유역경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역경계 산출장치.
In the watershed boundary calculation device for calculating a watershed boundary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A standard data storage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 standard watershed map from an external server;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target location corresponding to an outlet of a watershed to be calculated based on a numerical elevation model from a user;
A model-based boundary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first watershed with the target location as an exit based on the value of the grid cell of the numerical elevation model; And
And a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final watershed boundary by reflecting a part of the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based on the boundary of the standard watershed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The final boundary calculation unit includes: a standard watershed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target standard watershed including the target location among a plurality of standard watersheds according to the standard watershed division map; And a boundary synthesizing unit that synthesizes a partial boundary of the first watershed and at least a partial boundary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The boundary synthesizing unit calculates the final watershed boundary by integrating the standard watershed corresponding to the upstream of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when the target standard watershed is not a watershed corresponding to the uppermost stream.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57377A 2018-12-07 2018-12-07 Method for computing watershed boundary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1407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377A KR102140795B1 (en) 2018-12-07 2018-12-07 Method for computing watershed boundary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377A KR102140795B1 (en) 2018-12-07 2018-12-07 Method for computing watershed boundary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48A KR20200069848A (en) 2020-06-17
KR102140795B1 true KR102140795B1 (en) 2020-08-04

Family

ID=7140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377A KR102140795B1 (en) 2018-12-07 2018-12-07 Method for computing watershed boundary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79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683B1 (en) 2020-11-26 2021-07-16 (주)헤르메시스 Apparatus for calculating a flood damage risk index,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453B1 (en) * 2020-07-21 2021-04-22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Method for updating urban flood maps using river spatial topology,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341554B1 (en) * 2020-07-30 2021-12-2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analysis of dam site suitability
CN112802181A (en) * 2021-01-18 2021-05-14 郑州轻工业大学 Large-scale three-dimensional river channel scene reconstruction method based on low-detail elevation data
KR102297368B1 (en) * 2021-04-09 2021-09-03 주식회사 부린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ssessments and reports on the safety of public facilities in small rivers
CN116703134B (en) * 2023-08-10 2023-11-10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Multi-target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large cross-river basin water diversion reservo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89B1 (en) 2007-02-27 2008-01-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Decision support system and its running method for water quality forecasting using a gis
JP2010282349A (en) * 2009-06-03 2010-12-16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Watershed extraction program and watershed extraction device
KR101102436B1 (en) 2011-05-12 2012-01-05 (주)로커스솔루션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river hydraulic and water quality based on loc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407B1 (en) * 2001-11-27 2005-05-25 학교법인 인하학원 gen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flood hazard map using a GIS
KR100898618B1 (en) 2008-11-20 2009-05-27 주식회사 범아엔지니어링 Construction method for digital elevation model of area coexisting the ground and water through undergrounding milestone for fiducial point
KR101885088B1 (en) * 2012-11-22 201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lor image using depth image
KR101467187B1 (en) * 2013-05-06 2014-12-01 (주)웹솔루스 Terrain management method for analyzing hydrologic model and hydraulic model
KR101547943B1 (en) * 2013-12-12 2015-08-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shed Extraction using Polygon and Digital Elevation Model
KR101758116B1 (en) * 2015-02-10 2017-07-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Discharge estimation method for ungauged basin using masured discharge transfer
KR101782559B1 (en) * 2016-02-18 2017-09-29 한국수자원공사 Method for planning of constructing a dam based on a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074517B1 (en) * 2017-12-29 2020-02-07 (주)헤르메시스 Gis based rainfall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589B1 (en) 2007-02-27 2008-01-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Decision support system and its running method for water quality forecasting using a gis
JP2010282349A (en) * 2009-06-03 2010-12-16 Hitachi Engineering & Services Co Ltd Watershed extraction program and watershed extraction device
KR101102436B1 (en) 2011-05-12 2012-01-05 (주)로커스솔루션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river hydraulic and water quality based on lo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683B1 (en) 2020-11-26 2021-07-16 (주)헤르메시스 Apparatus for calculating a flood damage risk index,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848A (en)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795B1 (en) Method for computing watershed boundary based on digital elevation mode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N110163198B (en) Table identification re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Liasis et al. Building extraction in satellite images using active contours and colour features
CN110288602B (en) Landslide extraction method, landslide extraction system and terminal
TW201928841A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training risk control model and risk control
Ge et al. Co-saliency detection via inter and intra saliency propagation
CN108491511A (en) Data digging method and device, model training method based on diagram data and device
US20220406090A1 (en) Face parsing method and related devices
KR20150121164A (en) Method for partitioning area, and inspection device
Machado et al. Soil type spatial prediction from Random Forest: different training datasets, transferability, accuracy and uncertainty assessment
US11443435B2 (en) Watershed segmentation in civil engineering
CN109977952A (en) Candidate target detection method based on local maximum
CN106611401A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image in texture memory
Rosim et al. TerraHidro: a distributed hydrology modelling system with high quality drainage extraction
Silveira et al. Object-based change detection using semivariogram indices derived from NDVI images: The environmental disaster in Mariana, Brazil
US10089764B2 (en) Variable patch shape synthesis
Shirani et al. Automatic landform recognition,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kernel pattern modeling
Freire Santana et al. Multispectral image unsupervised segmentation using watershed transformation and cross-entropy minimization in different land use
CN110796115A (en) Imag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11675939B2 (en) Polyline contributor in civil engineering
Singh et al. Land Information Extraction with Boundary Preservation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Peyerl et al. Identification of morphostructures by utilizing Knickpoint Ranks, a method to avoid the camouflage effect in knickpoint analysis
Soar et al. Future River Analysis & Management Evaluation (FRAME): A new approach to forecasting long-term morphological evolution and response in rivers
CN111476308A (en) Remote sensing image classif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prior geometric constraint and electronic equipment
Seah et al. Flux. Land: A Data-driven Toolkit for Urban Flood Adap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