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501B1 -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501B1
KR102140501B1 KR1020180172556A KR20180172556A KR102140501B1 KR 102140501 B1 KR102140501 B1 KR 102140501B1 KR 1020180172556 A KR1020180172556 A KR 1020180172556A KR 20180172556 A KR20180172556 A KR 20180172556A KR 102140501 B1 KR102140501 B1 KR 102140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weight
inner space
user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199A (ko
Inventor
윤무현
Original Assignee
윤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무현 filed Critical 윤무현
Priority to KR102018017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5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기록을 바탕으로 중량부하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중량정보를 운동기구 단말기로 송신하는 운동 관리 서버와, 복수의 중량블록을 갖는 운동기구에 장착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운동 관리 서버로 송신하며,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중량정보에 따라 운동기구의 중량부하를 조절하는 운동기구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USER-CUSTOMIZED SYSTEM FOR MANAGING EXERCISE}
본 발명은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운동기록을 바탕으로 중량부하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되었으며, 이에 따라 여가시간에 운동을 즐기는 사람의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현대인들은 몸매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중량물을 들어올려 근육에 자극을 주며 근력을 강화시키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중량블록 사이에 핀을 꼽아 기구에 걸리는 중량부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기구 이용 시 마다 핀의 위치를 변경해서 중량부하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는 어떤 중량부로 몇 회의 운동을 수행하였는지 기록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억에 의존하여 중량부하를 조절해야 했다.
따라서, 사용자 식별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중량부하를 자동을 조절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식별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중량부하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중량정보를 운동기구 단말기로 송신하는 운동 관리 서버와, 운동기구에 장착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운동 관리 서버로 송신하며,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중량정보에 따라 운동기구의 중량부하를 조절하는 운동기구 단말기를 포함하고, 운동기구는 상하로 관통된 삽입홀 및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이 함몰 형성되며, 삽입홀이 상호 일치되도록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중량블록과, 복수의 중량블록의 삽입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각 중량블록의 제1내부공간과 일대일로 대응되며, 제1내부공간과 연통하는 제1함몰홈이 형성되는 승강로드와, 제1함몰홈 마다 삽입되며,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제1내부공간으로 삽입 또는 이탈되는 솔레노이드 로드를 갖는 복수의 푸시풀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며, 운동기구 단말기는 중량정보에 따라 해당 중량블록에 대응하는 푸시풀 솔레노이드부에 전류를 공급해, 솔레노이드 로드가 제1내부공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운동기구의 중량부하를 조절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푸시풀 솔레노이드부는 내부에 복수회 감긴 형태의 도선이 배치되며, 도선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에 통로의 일부를 둘러싸는 테두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통로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플런저와, 플런저의 일단에 결합되며, 테두리를 관통하는 솔레노이드 로드와, 테두리와 플런저 사이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로드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압축력에 저항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도선은 운동기구 단말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도선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플런저가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솔레노이드 로드는 제1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도선에 전류 공급이 해제되는 경우, 스프링에 의해 테두리와 플런저 사이가 멀어지며, 솔레노이드 로드가 제1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중량블록은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이 제1내부공간과 반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승강로드는 제2내부공간과 일대일로 대응되며, 제2내부공간 및 제1함몰홈과 연통되는 제2함몰홈이 형성되고, 푸시풀 솔레노이드부는 제2함몰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런저와 치합되어,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어 제2내부공간으로 삽입 또는 이탈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 식별정보의 인식만으로 자동으로 사용자의 운동 기록에 따라 운동기구의 중량부하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기억 또는 별도의 기록에 의존하여 중량부하를 조절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중량블록 사이에 위치한 핀을 이동시켜 중량부하를 조절하는 불편함도 없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및 운동기구 단말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기구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도 1의 운동기구(10)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를 도시한 것에 불과함으로, 본 발명은 중량블록(11)을 갖는 모든 운동기구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1)의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10) 및 운동기구 단말기(2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1)은 운동기구(10), 운동기구 단말기(20) 및 운동 관리 서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운동기구(10)는 사용자의 근력 강화를 위한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로서, 복수의 중량블록(11), 복수의 중량블록(11)에 삽입되는 승강로드(12) 및 각 중량블록(11)에 대응되도록 승강로드(12)에 결합되는 복수의 푸시풀 솔레노이드부(13, 이하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동기구(10)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운동기구(10)의 골격을 이루며, 중량블록(11)을 지지하는 프레임(14), 프레임(14)에 결합되어 중량블록(11)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15), 중량블록(11)의 최상층 상면에 배치되며, 승강로드(12)가 결합되는 승강블록(16), 승강블록(16)에 결합되며 핸들의 움직임에 따라 승강블록(16)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프(17)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운동기구(10)가 갖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중량블록(11)은 양측으로 이동 가이드(15) 삽입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홀(111)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으며, 중앙에 승강로드(12)가 삽입 가능한 삽입홀(112)이 상하로 관통될 수 있다. 또한, 중량블록(11)은 삽입홀(112)과 연통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113)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내부공간(113)은 삽입홀(112)과 수직한 제1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로드(12)는 상하로 적층된 복수의 중량블록(11)의 삽입홀(112)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원형 또는 사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승강로드(12)는 각 중량블록(11)의 제1내부공간(113)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제1함몰홈(121)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함몰홈(121)은 제1내부공간(113)과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량블록(11)은 삽입홀(112)과 연통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114)이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홀(112)을 중심으로 삽입홀(112)의 양측에 제1내부공간(113) 및 제2내부공간(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승강로드(12)는 각 중량블록(11)의 제2내부공간(114)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제2함몰홈(122)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함몰홈(122)은 제2내부공간(114) 및 제1함몰홈(121)과 연통되고, 후술할 지지부재(135)의 회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솔레노이드부(13)는 제1함몰홈(121)마다 결합될 수 있으며,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솔레노이드 로드(131)를 중량블록(11) 내로 삽입시킬 수 있다. 솔레노이드부(13)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솔레노이드 로드(131)는 제1내부공간(113)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 로드(131)가 삽입된 중량블록(11)은 승강로드(12)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로드(12)가 로프(17)에 의해 중량블록(1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솔레노이드 로드(131)가 삽입된 중량블록(11) 및 솔레노이드 로드(131)가 삽입된 중량블록(11)의 상측에 위치한 중량블록(11)은 승강로드(12)와 함께 이동되며, 로프(17)에 중량부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중량블록(11)이 5kg의 중량을 가지고 위에서 세 번째 위치한 중량블록(11)에 솔레노이드 로드(131)가 삽입된 경우, 로프(17)는 15kg의 중량부하가 걸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부(13)의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운동기구(10)에 걸리는 중량부하가 조절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부(13)이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솔레노이드부(13)는 하우징(132), 플런저(133), 솔레노이드 로드(131) 및 스프링(13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2)은 도선(1321)을 보호하며 솔레노이드 로드(131) 및 플런저(13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하우징(132)은 길이방향으로 솔레노이드 로드(131) 및 플런저(133)가 이동 가능한 통로가 형성된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운동기구 단말기(2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 도선(1321)이 복수회 감긴 상태로 함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2)은 일단에 통로의 일부를 둘러싸는 테두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테두리는 솔레노이드 로드(131)의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플런저(133)가 하우징(13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플런저(133)는 도선(1321)의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통로를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플런저(133)는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강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로드(131)는 플런저(133)의 일단에 결합되어 플런저(133)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제1내부공간(113)으로 삽입되거나 제1내부공간(1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솔레노이드 로드(131)는 테두리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 로드(131)와 플런저(133)의 결합을 위해, 솔레노이드 로드(131)는 제1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플런저(133)는 체결돌기가 결합 가능하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을 갖는 체결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134)은 플런저(133)와 테두리 사이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로드(131)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선(1321)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플런저(133)가 하우징(132)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프링(134)이 압축될 수 있으며, 플런저(133)의 일단에 결합된 솔레노이드 로드(131)도 플런저(133)와 함께 이동하여 제1내부공간(113)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선(1321)에 전류 인가가 해지되는 경우, 스프링(134)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며 플런저(133) 및 솔레노이드 로드(131)가 하우징(132)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 로드(131)는 제1내부공간(11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 로드(131)의 삽입 여부에 따라 운동기구(10)에 걸리는 중량부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솔레노이드부(13)는 지지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35)는 플런저(133)의 이동에 따라 솔레노이드 로드(131)와 함께 중량블록(11)에 삽입되어 중량블록(11)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135)는 제2함몰홈(12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원호를 따라 기어 이(gear teeth)가 형성된 반원 형상의 기어(1351) 및 기어(1351)의 측면에 결합되며 제2내부공간(114)에 삽입 가능한 몸체(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어(1351)와 몸체(135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런저(133)는 외주면에 기어(1351)와 치합되는 랙기어(13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선(1321)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경우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351) 및 몸체(1352)는 제2함몰홈(122) 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선(1321)에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에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133)가 하우징(132)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랙기어(1331)와 치합된 기어(1351)가 회동하며 몸체(1352)의 일부는 제2내부공간(114)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와 같은 상태에서 도선(1321)에 전류 인가가 해제되는 경우, 기어(1351)의 회동에 의해 몸체(1352)는 제2내부공간(114)으로부터 이탈되어 다시 도 4의 (a)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부재(135)가 구비됨으로써, 솔레노이드 로드(131)에 걸리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135)가 플런저(133)에 형성된 랙기어(1331)에 의해 회동됨으로 별도의 구동 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운동기구 단말기(20)는 운동 관리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중량정보에 따라 솔레노이드부(13)를 제어하는 것으로, 운동기구(10)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운동기구(10)의 프레임(1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중량정보는 n(n은 자연수) kg의 중량부하를 설정하라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 단말기(20)는 통신부(21), 사용자 인식부(22), 횟수 측정부(23), 전류 공급부(24), 제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는 운동 관리 서버(3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통신부(21)는 사용자 인식부(2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운동 관리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운동 관리 서버(30)로부터 송신된 중량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25)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22)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받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어부(25)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소지한 식별정보는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 태그일 수 있으며, 사용자 인식부(22)는 바코드 또는 QR코드가 인식 가능한 카메라 또는 RFID리더기일 수 있다.
횟수 측정부(23)는 중량블록(11)의 이동을 감지해 운동 횟수를 측정하는 것으로, 프레임(14)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횟수 측정부(23)는 측정된 운동 횟수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부(26) 및 제어부(25)에 송신할 수 있다.
전류 공급부(24)는 솔레노이드부(13)의 도선(1321)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각 솔레노이드부(1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25)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솔레노이드부(13)의 도선(1321)에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25)는 운동기구 단말기(2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25)는 사용자 인식부(22)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운동 관리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는 운동 관리 서버(30)로부터 중량정보를 수신하고, 중량정보에 따라 해당 솔레노이드부(13)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 공급부(2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중량블록은 5kg의 중량을 가지며, 제어부(25)는 운동 관리 서버(30)로부터 10kg 중량부하를 설정하라는 중량정보를 수신한 경우, 위에서 두 번째 위치한 중량블록(11)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 공급부(24)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5)는 중량정보에 따라 해당 솔레노이드부(13) 및 해당 솔레노이드부(13)보다 상측에 위치한 솔레노이드부(13)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 공급부(2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중량블록(11)은 5kg의 중량을 가지며, 제어부(25)는 운동 관리 서버(30)로부터 10kg 중량부하를 설정하라는 중량정보를 수신한 경우, 위에서 첫 번째 와 두 번째 위치한 중량블록(11)에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류 공급부(2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승강로드(12)에 의해 이동되는 각 중량블록(11)은 그에 대응되는 솔레노이드부(13)에 의해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는 사전에 저장된 각 중량블록(11)의 무게 및 솔레노이드부(13)의 전류 공급 여부로 운동기구(10)에 걸리는 중량부하를 산출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25)는 횟수 측정부(23)를 통해 측정된 운동횟수가 기설정된 시간동안 변하지 않는 경우, 운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후 산출된 중량부하, 측정된 운동횟수 및 운동기구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5)는 운동량 정보를 가장 최근 입력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통신부(21)를 통해 운동 관리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동기구 단말기(20)는 디스플레이부(26) 및 입력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는 기저장된 정보 또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Touch panel)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부(26)는 운동기구(10)에 걸린 중량부하 및 횟수 측정부(23)를 통해 측정된 운동횟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일영역에 중량부하의 증감을 조절하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27)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25)로 송신하는 구성요소로서, 터치 패널(Touch panel),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버튼 키(Button key), 조그 키(Jog key), 휠 키(Wheel key)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입력부(27)를 통해 중량부하 변경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25)는 변경 명령에 따라 솔레노이드부(13)를 제어하여 운동기구(10)에 설정된 중량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운동 관리 서버(30)는 센터, 운동기구,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 또는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정보를 생성하여 운동기구 단말기(20)로 송신하는 것으로, 운동기구 단말기(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운동 관리 서버(30)는 서버 통신부(31), 사용자 관리부(32), 운동정보 관리부(33) 및 중량정보 생성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는 운동기구 단말기(20)와의 통신을 위한 것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서버 통신부(31)는 운동기구 단말기(20)에서 송신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중량정보 생성부(34)로부터 전달된 중량정보를 운동기구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는 운동기구 단말기(20)로부터 운동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운동량 정보를 운동정보 관리부(33)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32)는 사용자 개인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식별정보 및 사용자 개인정보는 관리자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입력되어 사용자 관리부(32)로 송신될 수 있으며, 사용자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골격근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운동정보 관리부(33)는 운동기구 단말기(20)로부터 송신된 운동량 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운동기구 단말기(20)는 운동량 정보를 사용자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송신할 수 있으며, 운동정보 관리부(33)는 운동량 정보와 매칭된 사용자 식별정보를 바탕으로 운동량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동정보 관리부(33)는 사용자 식별정보별로 저장된 운동량 정보에서 운동기구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동량 정보를 운동기구별로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
중량정보 생성부(34)는 운동기구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중량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중량정보 생성부(34)는 운동기구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운동정보 관리부(33)에 저장된 운동량 정보 중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갖는 운동량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동일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갖는 운동량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운동량 정보에 포함된 중량부하에 대응하는 중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중량정보를 서버 통신부(31)를 통해 운동기구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중량부하에 대응하는 중량정보는 운동량 정보에 포함된 중량부하와 동일한 중량부하를 설정하라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갖는 운동량 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중량정보 생성부(34)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운동량 정보에 포함된 중량부하에 대응하는 중량정보를 생성하거나, 복수개의 운동량 정보에 포함된 중량부하를 비교하여 가장 무거운 중량부하에 대응하는 중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갖는 운동량 정보가 복수개인 경우, 중량정보 생성부(34)는 중량정보 선택요청 메시지를 운동기구 단말기(2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중량정보 선택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운동기구 단말기(20)는 최근 중량 또는 가장 무거운 중량 중 원하는 것을 선택하도록 하는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운동기구 단말기(20)의 입력부(27)를 통해 최근 중량 또는 가장 무거운 중량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명령은 다시 중량정보 생성부(34) 송신되고, 중량정보 생성부(34)는 입력된 명령에 따라 중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갖는 운동량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중량정보 생성부(34)는 사용자 관리부(33)에 저장된 사용자 개인정보 중 수신된 사용자 식별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정보를 갖는 사용자 개인정보로 중량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처음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관리부(33)에 저장된 키, 몸무게 또는 골격근량을 바탕으로 적절한 중량부하가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운동 관리 서버는 센터 관리부(35) 및 운동기구 관리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 관리부(35)는 센터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센터 관련 정보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어 센터 관리부(35)에 저장될 수 있으며, 센터 위치 정보, 센터 내 구비된 운동기구 정보 및 센터 내 운동 프로그램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운동기구 관리부(36)는 운동기구 정보를 센터별로 또는 운동기구 모델별로 나누어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운동기구 정보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어 운동기구 관리부(36)에 저장될 수 있으며, 운동기구 정보는 설치 센터 정보, 운동기구의 모델명, 운동기구의 수리 이력, 운동기구의 설치 날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관리자 단말기는 운동 관리 서버(30)에 접속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운동 관리 서버(30)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10 : 운동기구
20 : 운동기구 단말기
30 : 운동 관리 서버

Claims (3)

  1.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중량정보를 운동기구 단말기로 송신하는 운동 관리 서버와,
    운동기구에 장착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상기 운동 관리 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중량정보에 따라 상기 운동기구의 중량부하를 조절하는 운동기구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기구는,
    상하로 관통된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제1내부공간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이 상호 일치되도록 상하로 적층되는 복수의 중량블록과,
    상기 복수의 중량블록의 삽입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각 중량블록의 제1내부공간과 일대일로 대응되며, 상기 제1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제1함몰홈이 형성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제1함몰홈 마다 삽입되며, 전류 공급 여부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삽입 또는 이탈되는 솔레노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푸시풀 솔레노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기구 단말기는, 상기 중량정보에 따라 해당 중량블록에 대응하는 푸시풀 솔레노이드부에 전류를 공급해, 상기 솔레노이드 로드가 상기 제1내부공간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운동기구의 중량부하를 조절하고,
    상기 중량블록은, 상기 삽입홀과 연통되도록 일면이 개방된 제2내부공간이 제1내부공간과 반대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승강로드는, 상기 각 중량블록의 제2내부공간과 일대일로 대응되며, 상기 제2내부공간 및 상기 제1함몰홈과 연통되는 제2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부는, 상기 제2함몰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와 치합되어,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따라 회동되어 상기 제2내부공간으로 삽입 또는 이탈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풀 솔레노이드부는,
    내부에 복수회 감긴 형태의 도선이 배치되며, 상기 플런저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통로가 상기 도선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통로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솔레노이드 로드가 관통하는 테두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테두리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솔레노이드 로드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압축력에 저항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선은, 상기 운동기구 단말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도선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플런저가 상기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로드는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도선에 전류 공급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테두리와 상기 플런저 사이가 멀어지며, 상기 솔레노이드 로드가 상기 제1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3. 삭제
KR1020180172556A 2018-12-28 2018-12-28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KR102140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56A KR102140501B1 (ko) 2018-12-28 2018-12-28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56A KR102140501B1 (ko) 2018-12-28 2018-12-28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199A KR20200082199A (ko) 2020-07-08
KR102140501B1 true KR102140501B1 (ko) 2020-08-03

Family

ID=7160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556A KR102140501B1 (ko) 2018-12-28 2018-12-28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5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232B1 (ko) * 2020-10-21 2023-11-14 주재훈 스마트 운동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플랫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14B1 (ko) * 2002-01-28 2004-04-13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6954A (ko) * 2015-05-21 2016-11-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814B1 (ko) * 2002-01-28 2004-04-13 이병돈 웨이트트레이닝 기구의 중량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199A (ko) 202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7646B2 (en) Strength training and exercise platform
US20210146221A1 (en) Strength Exercise Mechanisms
KR101571362B1 (ko) 웨이트 운동기구
US108501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resistance in exercise equipment
US20170056726A1 (en) Strength Exercise Mechanisms
US11504570B2 (en) Strength training apparatus with multi-cable force production
US11918884B2 (en) Pacing lighting system for strength training apparatus
US20080090703A1 (en) Automated Personal Exercise Regimen Tracking Apparatus
EP2347804B1 (en) User status notification system
KR100755876B1 (ko) 웨이트 운동 기구의 운동 처방 시스템 및 방법
US20020086774A1 (en) Computerized repetitive-motion exercise logger and guide system
WO2003004104A2 (en) Processor adjustable exercise apparatus
KR102140501B1 (ko) 사용자 맞춤형 운동 관리 시스템
TW202224723A (zh) 可拆卸的訓練追蹤配件
KR20150117187A (ko) 운동 기구 및 운동량 측정 시스템
US20160144232A1 (en) Exercise Machine Sensing Device
US20220072367A1 (en) Pull-up fitness exercise machine with remote intelligent control device
KR20160000124A (ko)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및 관리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N117295543A (zh) 动态可调节练习系统
US10814171B1 (en) Programmable, gravity based, weight system
KR101707620B1 (ko)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벤치프레스 운동기구
US201901680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rcise type recognition
US20030013071A1 (en) Computerized exercise apparatus
KR102039616B1 (ko) 운동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60136954A (ko) 사용자 맞춤형 트레이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