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455B1 -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Ring Unit - Google Patents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R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455B1
KR102140455B1 KR1020200008963A KR20200008963A KR102140455B1 KR 102140455 B1 KR102140455 B1 KR 102140455B1 KR 1020200008963 A KR1020200008963 A KR 1020200008963A KR 20200008963 A KR20200008963 A KR 20200008963A KR 102140455 B1 KR102140455 B1 KR 102140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coupling
coupling uni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9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처례
Original Assignee
이처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처례 filed Critical 이처례
Priority to KR1020200008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4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reinforcing the inside of a pipe including a ring unit includes: a ring unit formed in a ring shap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circumference of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units including a first base part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ring fix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part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of the pipe so that the ring unit is fixed, and a first fixing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part in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pipe, and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nd second coupling units which include a second fixing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irst fixing coupling part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s and in which a new inner wall of the pipe is formed by a surface toward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pipe. Therefore, the apparatus for reinforcing the inside of a pipe including the ring unit can effectively and quickly reinforce the inside of the pipe even when damage to the inside of the pipe is severe.

Description

링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Ring Unit}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Ring Unit

본 발명은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 내부에 별도의 지지구조물과 같이 설치하여, 부식이나 파손 등에 의해 손상된 배관 내부에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as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inside the piping to form a flow path inside the piping damaged by corrosion or damage.

하수도 배관이나 우수용 배관 등 각종 배관이 노후되거나, 지진 또는 외부로부터 발생된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파손 정도에 따라 추가적인 보강작업이 요구된다.When various pipes, such as sewer pipes and storm water pipes, are aged, or damaged by earthquakes or external shocks, additional reinforcement work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damage.

일반적으로, 배관의 파손 정도가 경미한 경우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증을 내면에 추가적으로 도포하여 부분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파손 정도가 크거나 광범위한 경우 배관 전체를 교체하거나 보강해야 한다.In general, if the degree of damage to the pipe is sligh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part by additionally applying mortar or concrete to the inner surface, but if the degree of damage is large or wide, the entire pipe must be replaced or reinforced.

다만, 배관을 교체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많으며, 이에 따라 배관 전체를 보강재로 보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배관의 내부 파손이 심한 경우 배관 내부를 보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However, there are many situations in which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replace the pipe, and accordingly, it is effective to reinforce the entire pipe with a reinforcing material. Accordingly, a method of reinforcing the inside of the pipe is required when the inside of the pipe is severely damaged.

종래 배관을 보강하는 방법으로는, 배관 내부에 철근이나 프레임 등을 벤딩하여 설치하고, 철근에 추가적인 수지판을 결합하여 실린더 타입으로 격벽을 형성한 후 수지판과 배관의 내면 사이에 보강재를 충진 및 경화시키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었다.As a method of reinforcing the conventional piping, a reinforcing bar or a frame is bent and installed inside the piping, an additional resin plate is combined with the rebar to form a partition wall in a cylinder type, and then a reinforcing material is filled between the resin plat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Curing methods have been widely used.

보강재의 경우 일반적인 시멘트나 모르타르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경화를 통해 배관 내부를 보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reinforcing materials, general cement or mortar is used, and the inside of the pipe can be reinforced through curing.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 철근이나 프레임 등이 수지판과 고정 결합상태가 유지되기 어려우며, 지진이나 외부로부터 충격이 잦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수지판의 진동과 함께 경화된 보강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is method, it is difficult for the reinforcing bar or frame, etc. to maintain a fixed bond with the resin plate, and when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re are frequent impacts from earthquakes or outside, cracks occur in the cured reinforcement with vibration of the resin plate. There is.

이와 같이 보강재에 균열이 발생하게 될 경우, 지반으로부터 지하수가 침수하여 수지판 등이 프레임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When cracks are generated in the reinforc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ground plate is flooded from the ground and the resin plate or the like is detached from the frame.

뿐만 아니라 수지판을 이용해서 배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더라도, 수지판 사이의 틈을 통해 유체가 보강재로 침투되어 보강재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보강 주기가 짧아질 우려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a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pipe using the resin plate, the fluid may penetrate into the reinforcing material through the gap between the resin plates, thereby reducing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material and shortening the reinforcing cycle.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되던 배관의 보강 장치는 배관 내면에 수지판을 설치하고, 사이에 보강재를 충진함으로써 배관의 보강을 수행하였으나, 수지판의 결합 유지력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보강을 하더라도 내구성을 오래 유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iping reinforcing device used in the related art has reinforced the piping by installing a resin plat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ing and filling the reinforcing material therebetween. However, since the holding strength of the resin plate is relatively weak, the durability is maintained even when reinforced. It is difficult to do.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these problems is required.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4176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04176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배관의 내부 파손이 심한 경우에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배관 내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되, 작업 난이도를 낮추고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관 내부 보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o effectively and quickly reinforce the inside of the pipe even when the internal damage of the pipe is severe, to reduce the work difficulty and minimize the cost required It has an object to provide a reinforcement device inside the pip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링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배관의 내주면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는 링유닛,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배관의 내주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유닛이 고정되는 링고정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배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결합유닛 및 상기 제1고정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결합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배관의 중심 방향으로 향한 면이 배관의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는 제2결합유닛을 포함한다.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including the r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ing unit formed in a ring shap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ing, a first bas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ing And a ring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nd fixing the ring unit, and a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ipe, It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units that are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and a second fixed coupl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coupling unit, and a surface facing toward the center of the pipe And a second coupling unit forming a new inner wall of the piping.

이때 상기 링고정부에는 상기 링유닛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ring unit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ring fixing part.

그리고 상기 고정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 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링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irst bas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to fix the ring unit.

또한 상기 링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강재를 변형시켜 링 형태를 형성하되, 강재의 양단부가 소정 길이만큼 겹치는 이음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음부에 대응되는 링고정부는 상기 강재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링고정부보다 긴 삽입 깊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 unit forms a ring shape by deforming the steel material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s a joint part where both ends of the steel material overlap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ing fix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joint part can be inserted into both ends of the steel material. So that it can have a longer insertion depth than other ring fasteners.

한편 상기 제1결합유닛은, 복수 개가 상기 배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upling unit may be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them are interconnec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ipe.

그리고 상기 제1결합유닛의 일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1결합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의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1결합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other adjacent first coupling uni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unit, and coupled to one end of another adjacent first coupling unit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upling unit. A second connection can be formed.

이때 상기 제1연결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가 삽입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inserted.

또한 상기 제1고정결합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fixing protrus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fixing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fixing protrusion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ing protrusions. .

그리고 상기 제1고정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돌기 사이로 돌출된 보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돌기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한 쌍의 제2고정돌기 사이에는 상기 보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rotrusion protruding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ed protrusions, and the second fixed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pair and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ed protrusion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auxiliary protrusion is inserted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더불어 상기 제1결합유닛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고정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통로형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유닛은 상기 제1통로형성부와 결합되어 내부에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제2통로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formed between a pair of first fixed coupling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to form a connection passage therein. It may include a second passage forming portion to form.

이때 상기 제2통로형성부는 상기 제1통로형성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통로형성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passage forming portion may extend lo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and may include a pair of passage form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the connecting passage between them.

여기서 상기 통로형성돌기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형성부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passage forming protrusion, and the first passage forming part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that is engaged with the locking groove.

한편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상기 제1결합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unit tha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having both end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ing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first coupling units.

이때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결합유닛의 이격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의 상기 제1베이스부에는 상기 연결유닛의 양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unit is seat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unit A seating groove may be formed.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결합유닛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양단부 각각에는 돌출된 형태의 제1보조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유닛의 상기 제1베이스부에는 상기 연결유닛의 제1보조연결부가 안착되는 보조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And the connecting un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he first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of the protruding form is formed at each of both ends, the An auxiliary seat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seat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unit.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결합유닛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양단부 각각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1베이스부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제2보조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each of both ends protrudes to contac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portion A pair of second auxiliary connection portions may be formed to sandwich the first base portion.

한편 상기 제2결합유닛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plurality of the second coupling units may be provided to be interconnec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upling unit.

여기서 상기 제2결합유닛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2결합유닛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될 수 있다.Here, a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another adjacent second coupling unit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unit.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결합유닛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배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unit,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pipe It may include a third extension.

그리고 본 발명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결합유닛의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접촉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unit that wraps and secures a pair of contact por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a pair of second coupling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링유닛을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단가가 낮고 제작이 용이한 링유닛을 기초로 하여 전체 구조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iping internal reinforcing device including the r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 be constructed quickly based on the ring unit, which is low in cost and easy to manufa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the cost required for.

또한 본 발명은 링유닛, 제1결합유닛 및 제2결합유닛 간의 견고한 조립 구조를 통해 배관의 손상된 영역을 구획하여 별도의 충진재를 충진함으로써 배관을 보강할 수 있으므로, 배관의 내부 파손이 심한 경우에도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배관 내부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inforce the piping by filling a separate filling material by dividing the damaged area of the piping through a solid assembly structure between the ring unit, the first coupling unit,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ffectively and quickly reinforce the inside of the pipe.

더불어 본 발명은 보강 작업 이후에도 견고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새로 형성되는 배관의 내주면이 단차 없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robust durability even after the reinforcing work,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wly formed pipe is formed flat without a step.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링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링유닛과 제1결합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제1결합유닛의 고정홈을 차폐하는 차폐커버가 제1결합유닛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결합유닛에 사이에 연결유닛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링유닛, 제1결합유닛 및 연결유닛이 손상된 배관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제2결합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제1결합유닛과 제2결합유닛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결합유닛에 고정유닛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연결유닛을 제1결합유닛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연결유닛을 제1결합유닛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ring unit in a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ng unit and the first coupling unit are combined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elding cover for shielding the fixing groove of the first coupling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in 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ng unit, the first coupling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are installed inside the damaged pipe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second coupling unit in 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unit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are combined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xing unit is coupled to a pair of second coupling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in 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is combined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code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부식되거나 파손된 배관(P)의 내면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유로를 형성하고 배관 내면과 구조물 사이에 충진재를 충진하여 보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stalling a separate structure on the inner surface of a corroded or damaged pipe (P) to form a flow path and filling and reinforcing a filling material between the piping inner surface and the structure.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크게 링유닛(100), 제1결합유닛(200), 제2결합유닛(300), 고정유닛(400) 및 연결유닛(500, 600, 70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10, the inner pipe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he ring unit 100, the first coupling unit 200,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the fixing unit 400 and the connection Units 500, 600, and 700 may be included.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링유닛(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링유닛(100)과 제1결합유닛(200)이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rst,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ring unit 100 in 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ing unit 10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re coupl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유닛(100)은 배관의 내주면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와 같이 제1결합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ring unit 100 is a component formed in a ring shap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s shown in Figure 2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유닛(10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강재, 예컨대 철근 등과 같은 재료를 변형시켜 링 형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이와 같은 강재의 양단부가 소정 길이만큼 겹치는 이음부(102)를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the ring unit 100 is intended to form a ring shape by deforming a material such as reinforcing steel,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joints 102 where both ends of the steel material overlap a predetermined length. Form.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링유닛(100)의 단면은 원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링유닛(100)의 단면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cross-section of the ring unit 100 is assumed to be cir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ing unit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또한 상기 링유닛(100)은 배관(P, 도 5 참조)의 내면 단차나 돌기 등을 고려하여 둘레에 따른 최대 지름이 상기 배관(P)의 내면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ing unit 100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maximum diameter along the circumference in relation to the inner surface circumference of the piping P (see FIG. 5 ), such as a step or protrusion.

즉 상기 링유닛(100)은 전체 둘레 길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설치 시 상기 배관(P) 외부에서 조립하거나 배관(P) 내부에서 직접 조립할 수도 있다.That is, the ring unit 100 can easily adjust the entire circumferential length, and may be assembled from the outside of the pipe P or directly installed inside the pipe P during install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가가 낮고 제작이 용이한 링유닛(100)을 기초로 하여 전체 구조를 구축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e ring unit 100, which is low in cost and easy to manufact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a rapid operation and minimize the cost required for the operation.

상기 제1결합유닛(200)은 상기 배관(P, 도 5 참조)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제1베이스부(210)와, 상기 제1베이스부(210)로부터 상기 배관(P)의 내주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유닛(100)이 고정되는 링고정부(220)와, 상기 제1베이스부(210)로부터 상기 배관(P)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결합부(230)를 포함한다,The first coupling unit 200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210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P, see FIG. 5), and from the first base portion 210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P. The ring unit 100 is fixed to the ring fixing portion 220, and includes a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230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210 toward the center of the pipe (P),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결합유닛(200)은 복수 개가 상기 배관(P)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제1결합유닛(200)이 결합된 결합체는 복수 개가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unit 200 may be formed to be interconnect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P. Also,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units 200 are combine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may be installed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P).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링고정부(220)는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링유닛(100)이 삽입되는 고정홈(222)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제1결합유닛(200)은 복수 개가 상기 배관(P)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어 링 형태의 결합체를 이룰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결합체의 둘레에 형성된 복수 개의 링고정부(220)에는 강성이 있는 링유닛(100)이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형태를 구축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ing fixing part 220 is formed in a'b' shape, and has a form in which the fixing groove 222 into which the ring unit 100 is inserted is formed. That is, a plurality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may be interconnec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P to form a ring-shaped coupling body, and the plurality of ring fixing portions 220 formed around the coupling body may be rigid. The ring unit 100 is inserted and fixed so that the first coupling unit 200 can be constructed.

여기서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개수는 상기 배관(P)의 직경 등과 같은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number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may be appropri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site situation, such as the diameter of the pipe (P).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홈(222)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210) 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링유닛(100)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3, a fixing protrusion 224 that protrude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irst base portion 210 and fixes the ring unit 1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222. Can.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링유닛(100)은 양단부가 소정 길이만큼 겹치는 이음부(102, 도 1 참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음부(102)에 대응되는 링고정부(220)는 상기 링유닛(100)의 이음부(10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링고정부(220)보다 긴 삽입 깊이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ring unit 100 may form a joint portion 102 (refer to FIG. 1) where both ends overlap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ring fixing portion 220 corresponding to the joint portion 102 may include the ring. The joint 102 of the unit 100 may have an insertion depth longer than that of the other ring fixation 220 so that it can be inserted.

도 3은 이와 같이 이음부(102)에 대응되는 형태의 링고정부(220)를 도시한 것이며, 이와 같은 링고정부(220)에는 서로 겹쳐 있는 링유닛(100)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돌기(224)가 한 쌍 구비될 수 있다.Figure 3 shows the ring fixing portion 220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joint portion 102, the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oth ends of the ring unit 100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ring fixing portion 220, respectively A pair of 224 may be provid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홈(222)의 개구부를 차폐하기 위해 상기 제1결합유닛(200)에 결합되는 차폐커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차폐커버(260)는 상기 고정홈(222)의 개구부를 차폐하여 상기 링유닛(100)이 고정홈(2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hield cover 260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200 may be further included to shield the opening of the fixing groove 222. The shielding cover 260 may shield the opening of the fixing groove 222 to prevent the ring unit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222.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일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1결합유닛(200)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250a)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1결합유닛(2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250b)가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a first connection unit 250a coupled to the other end of another adjacent first coupling unit 2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is formed. At the e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250b coupled to one end portion of another adjacent first coupling unit 200 is formed.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연결부(250a)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250b)는 상기 제1연결부(250a)가 삽입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250a)는 다른 제1결합유닛(200)의 제2연결부(250b)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1결합유닛(20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50a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protruding outward,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50b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50a is inserted,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unit 250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200 in a manner tha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on unit 250b of the other first coupling unit 200.

그리고 상기 제1결합유닛(200)은 상기 제1베이스부(210)로부터 상기 배관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결합부(230) 및 제1통로형성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230 and a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240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210 to the inside of the pipe.

상기 제1고정결합부(230)는 후술할 제2결합유닛(300)의 제2고정결합부(330, 도 6 참조)와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200) 및 상기 제2결합유닛(300)을 상호 결합시키며, 상기 제1통로형성부(240)는 상기 제2결합유닛(300)의 제2통로형성부(340, 도 6 참조)와 연결되어 내부에 연결통로(S, 도 7 참조)를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연결통로(S)에는 광케이블, 파이프 등의 다양한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2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fixed coupling portion 330 of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see FIG. 6),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 300), and the first passage forming part 2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assage forming part 340 (refer to FIG. 6) of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and there is a connection passage therein (S, FIG. 7). Reference).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n optical cable and a pipe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passage 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결합부(23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2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돌기(232)는 상기 제1베이스부(210)로부터 배관(P) 내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출부(232a)와, 상기 제1고정돌출부(232a)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후크 형태를 형성하는 제1후크부(232b)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230 includes a pair of first fixed protrusions 232 facing each other, and the first fixed protrusion 232 is piped from the first base portion 210 (P) The first fixed protrusion 232a protruding inward and a first hook part 232b that is bent at the end of the first fixed protrusion 232a to form a hook.

또한 상기 제1고정결합부(230)는,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돌기(232) 사이로 돌출된 보조돌기(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xing coupling portion 23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protrusion 234 protruding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ing protrusions 232.

이들은 상기 제2고정결합부(330, 도 6 참조)와의 안정적 결합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에 대해서는 제2결합유닛(300) 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한다.These are components for stable coupling with the second fixed coupling portion 330 (see FIG. 6), which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한편 상기 제1고정결합부(230)가 상기 제2고정결합부(330)와 결합 시 접촉되는 면에는, 팽창부재(R)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23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xed coupling portion 330, an expansion member R may be provided.

상기 팽창부재(R)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수분에 의해 팽창 가능한 수팽창성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고정결합부(230) 및 상기 제2고정결합부(330)의 결합 이후 팽창되도록 함에 따라 보다 큰 결합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수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expansion member (R) is made of a rubber or synthetic resin having elasticity or a water expandable material expandable by moisture, so that it expands after coupling of the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230 and the second fixed coupling portion 330 By doing so, a larger bonding force can be obtained, and water tightness can be maximiz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팽창부재(R)는 상기 제1고정결합부(230)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팽창부재(R)는 본 실시예에 나타난 모든 결합 구조들의 접촉면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xpansion member R is shown as being formed on the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230, the expansion member R may be selectively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s of all coupling structures shown in this embodiment. Yes, of course.

그리고 상기 제1통로형성부(24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걸림돌기(242)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242)는 상기 제1베이스부(210)로부터 배관(P)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출부(242a)와, 상기 걸림돌출부(242a)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후크 형태를 형성하는 걸림후크부(242b)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In addition, the first passage forming part 240 includes a pair of locking protrusions 242 facing each other, and the locking protrusion 242 protrudes from the first base portion 210 into the pipe P inside. It has a form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242a and a locking hook portion 242b that is bent at an end of the locking protrusion 242a to form a hook shape.

이때 상기 걸림돌기(242)의 높이는, 상기 제1고정돌기(23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locking protrusion 242 may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fixing protrusion 232.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제1결합유닛(200) 사이에 연결유닛(500)을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500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units 200 spac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상기 제1결합유닛(200)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20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4, this embodimen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200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P), the first coupl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unit 500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200).

상기 연결유닛(5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유닛(500)은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결합유닛(200)의 이격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상기 제1베이스부(210)에는 상기 연결유닛(500)의 양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244)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The connection unit 5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nd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2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unit 500 i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P.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unit 200, the first base portion 210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is a seating groove that is seat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unit 500 ( 244) has a formed form.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홈(244)은 제1결합유닛(200)의 한 쌍의 걸림돌기(24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걸림돌기(242)의 위치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ating groove 244 is supposed to be formed between a pair of locking protrusions 242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bu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s 242 is limited to this embodiment only. It is not.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링유닛(100), 제1결합유닛(200) 및 연결유닛(500)이 손상된 배관(P)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ring unit 100,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connection unit 500 are installed inside the damaged pipe P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결합유닛(200)에 의해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결합체는 배관(P)의 내측을 따라 설치되며, 이와 같은 결합체는 복수 개가 배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된다.As shown in FIG. 5, a combination formed in a ring shape by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units 200 is installed along the inside of the pipe P, and a plurality of such combinations a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P It is installed spaced apart.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의 각 제1결합유닛(200)은, 연결유닛(500)에 의해 서로의 간격이 유지된 상태를 가지며, 제1결합유닛(200)과 상기 배관(P)의 내면 사이, 그리고 제1결합유닛(200) 사이에 형성된 연통공간(B)에는 추후 충진재(I)가 주입될 수 있다.And each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in this state has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s maintained by the connection unit 500, between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P), and A filling material (I) may be injected into the communication space (B) form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units (200).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P)은 단면이 원형인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다각형, 말굽형 등 다양한 형태의 배관(P)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pipe (P) is illustrated as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but this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and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ovided in various types of pipes (P), such as polygonal or horseshoe-shaped. Of course it can be applied.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제2결합유닛(300)은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내측에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제1결합유닛(200)에 걸쳐 결합되어, 상기 배관(P)의 중심 방향으로 향한 면이 배관(P)의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게 된다.Next,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shown in FIGS. 6 and 7 is a component that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is forme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P By being coupled over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unit 200, the surface facing toward the center of the pipe P forms a new inner wall of the pipe P.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유닛(300)은 복수 개의 부재로 분리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상기 제2결합유닛(300)의 개수는 상기 배관(P)의 직경 등과 같은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embers, and is supposed to be formed to be interconnec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The number of pipes may be appropri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site situation, such as the diameter of the pipe (P).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유닛(30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2결합유닛(300)과 접촉되는 접촉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35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Accordingly, a contact portion 350 in contact with another adjacent second coupling unit 300 may be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The contact portion 350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결합유닛(300)은 제2베이스부(310)와, 상기 제1고정결합부(230)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330)와, 상기 제1통로형성부(240)와 결합되어 내부에 연결통로(S)를 형성하는 제2통로형성부(34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includes a second base portion 310, a second fixed coupling portion 330 coupled with the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230, and the first passage formation. It includes a second passage forming portion 340 coupled to the portion 240 to form a connection passage (S) therein.

특히 상기 제2고정결합부(330)는 상기 제1고정결합부(23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고정돌기(23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3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고정돌기(332)는 상기 제2베이스부(310)로부터 상기 제1결합유닛(200) 방향으로 돌출된 제2고정돌출부(332a)와, 상기 제2고정돌출부(332a)의 끝단에서 절곡되어 후크 형태를 형성하는 제2후크부(332b)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In particular, the second fixed coupling part 330 may include a second fixed protrusion 332 which is inserted into and fixed between a pair of first fixed protrusions 232 formed in the first fixed coupling part 230, ,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332 is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332a protruding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310 toward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end of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332a It has a shape including a second hook portion 332b that is bent in to form a hook shape.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돌기(332)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232) 사이에 서로 상기 제1후크부(232b) 및 상기 제2후크부(332b)를 통해 걸리는 형태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1결합유닛(200) 및 제2결합유닛(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332 is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ing protrusions 232 through the first hook portion 232b and the second hook portion 332b. It can be inserted and fixed in a hanging form, and the coupling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can be made.

이때 상기 제2베이스부(310)는, 상기 배관(P)의 내측으로 향한 면이 배관의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second base portion 310 facing toward the inside of the pipe P forms a new inner wall of the pipe.

한편 상기 한 쌍의 제2고정돌기(332) 사이에는, 전술한 제1결합유닛(200)의 보조돌기(234)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Meanwhile, between the pair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332,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auxiliary protrusion 234 of the above-described first coupling unit 200 is inserted may be formed, and accordingly, the coupling fixing force may be further improved. have.

그리고 상기 제2통로형성부(340)는 상기 제1통로형성부(240)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연결통로(S)를 형성하는 한 쌍의 통로형성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passage forming part 340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assage forming part 24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pair of passage forming protrusions 342 that form the connecting passage S therebetween. It can contain.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형성돌기(342)는 상기 제2베이스부(310)로부터 상기 제1결합유닛(200) 방향으로 연장된 제1통로연장부(342a)와, 상기 통로연장부(342a)의 끝단에 형성된 제2통로연장부(34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통로연장부(342a) 및 상기 제2통로연장부(342b) 사이의 외측에는 전술한 제1통로형성부(240)의 걸림돌기(242)가 걸려 결합되는 걸림홈(343)이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In this embodiment, the passage forming protrusion 342 includes a first passage extension part 342a extending from the second base part 310 toward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passage extension part 342a. It includes a second passage extending portion (342b)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passage extending portion (342a) and the second passage extending portion (342b) of the above described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240 of the A locking groove 343 to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242 is hooked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제1통로형성부(240) 및 상기 제2통로형성부(230)는 도 7과 같이 상기 걸림돌기(242) 및 상기 걸림홈(343) 간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1결합유닛(200)과 상기 제2결합유닛(300)의 체결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240 and the second passage forming portion 230 are the first coupling unit 200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locking protrusion 242 and the locking groove 343 as shown in FIG. )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to assist in further improving the fastening forc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제1통로형성부(240) 및 상기 제2통로형성부(230)에 의해 제1결합유닛(200)과 제2결합유닛(300) 사이에 넓은 연결통로(S)가 형성되어, 내부에 광케이블(C) 등의 다양한 구성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ide connection passage S between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by the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240 and the second passage forming portion 230. It is formed,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n optical cable (C) therei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유닛(30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2결합유닛(300)과 접촉되는 접촉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a contact portion 350 in contact with another adjacent second coupling unit 300 may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부(3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이스부(310)로부터 상기 제1결합유닛(200)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352)와, 상기 제1연장부(352)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353)와, 상기 제2연장부(353)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배관(P)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354)와, 상기 제3연장부(354)의 끝단에서 절곡된 보조후크(355)를 포함하는 형태를 가진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350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352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310, as shown in Figure 8, the first A second extension portion 353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352,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354 exten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pipe P from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53 ) And the auxiliary hook 355 bent at the end of the third extension 354.

즉 상기 접촉부(350)는 전체적으로 누운 'ㄷ'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제2결합유닛(300)은 상기 제3연장부(354)가 서로 접촉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act portion 350 may be formed to have a'C' shape lying on the whole, and the second coupling units 300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connected in a form in which the third extension portions 35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결합유닛(300)의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접촉부(350)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유닛(4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And in this embodiment, a fixing unit 400 may be further provided to wrap and fix a pair of contact portions 350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the pair of second coupling units 300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고정유닛(400)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접촉부(3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유닛(400)은 한 쌍의 제1연장부(352) 사이에 삽입되는 제1삽입부(410)와, 상기 제1연장부(352) 및 상기 제3연장부(354)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2삽입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삽입부(420) 사이에는 서로 인접하여 접촉된 한 쌍의 제3연장부(352) 및 한 쌍의 보조후크(354)가 삽입되는 체결홈(430)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unit 4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pace formed between a pair of contact portions 350 adjacent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fixing unit 400 is betwee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410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52 and the third extension portion 354 inserted between a pair of first extension portions 352. It includes a pair of second insertion portion 420, and a pair of third extension portions 352 and a pair of auxiliary contacts adjacent to each other between the pair of second insertion portions 420 A fastening groove 430 into which the hook 354 is inserted may be formed.

이에 따라 상기 고정유닛(400)이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결합유닛(300)의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접촉부(350)를 감싸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유닛(400)의 외면과 상기 제2결합유닛(300)의 제2베이스부(310) 외면이 서로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ixing unit 400 wraps and secures a pair of contact portions 350 tha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the pair of second coupling units 300 adjacent to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400 and the agent The outer surfaces of the second base portion 310 of the two coupling unit 300 may be formed to be flat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배관(P) 내측에 상기 링유닛(100), 상기 제1결합유닛(200), 상기 제2결합유닛(300), 상기 고정유닛(400) 및 상기 연결유닛(500)을 설치한 뒤에는, 상기 배관(P) 내면과 본 발명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 사이에 형성된 충진공간에 별도의 충진재(I)를 충진할 수 있다.After installing the ring unit 100, the first coupling unit 200,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the fixing unit 400 and the connecting unit 500 inside the pipe P as described above, , A separate filling material (I) may be filled in the filling spac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ing (P) and the inner reinforcement device of the piping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충진공간에 상기 충진재(I)를 주입할 경우 상기 충진공간의 내부가 채워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가 상기 배관(P)과 일체로 고정된다.And when the filling material (I) is injected into the filling space, as the inside of the filling space is filled, 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tegrally with the piping (P).

이때 상기 충진재(I)는 모르타르나 시멘트,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계 소재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경화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ler (I) may be a mortar, cement, a cement-based material such as concrete, or a curable material such as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or an epoxy resin.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충진재(I)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가 설치된 영역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주입하며, 주입된 상기 충진재(I)는 상기 연통공간(B, 도 5 참조)을 통해 상기 배관(P)의 내면과 본 발명의 배관 내부 보강장치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And the filling material (I) is injected from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ea in which 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the injected filling material (I) is through the communication space (B, see FIG. 5). It may be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P) and the inner reinforcement device of the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상기 제1결합유닛(200) 및 상기 제2결합유닛(300)은 PVC나 합성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나 열 경화성 수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정 수준의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may be made of PVC, synthetic resin, thermoplastic resin, thermosetting resin,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또한 상기 제1결합유닛(200) 및 상기 제2결합유닛(300) 간의 결합은 가압 방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may be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a pressing method or a sliding meth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링유닛(100) 및 제1결합유닛(200)을 서로 결합한 뒤 상기 배관(P) 내부의 손상영역에 설치하고, 상기 제1결합유닛(200)에 상기 연결유닛(500), 상기 제2결합유닛(300) 및 상기 고정유닛(400)을 결합하여 상기 배관(P)의 내면 사이에 상기 충진재(I)를 충진함으로써 상기 배관(P)의 내면을 보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amage area inside the piping P after coupling the ring unit 10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200 to each other, and the first coupling unit 200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P) by filling the filling material (I)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P) by combining the connection unit 500,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and the fixing unit 400 to Can reinforce.

그리고 이와 같이 보강된 상기 배관(P) 및 배관 내부 보강장치는 경화된 충진재(I)에 의해 결합상태가 보강되어 상기 배관(P)의 강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배관(P) 내부에 흐르는 유체가 상기 제2결합유닛(300) 및 상기 고정유닛(400)과 접촉하여 유동함으로써 추가적인 충진재(I)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ed pipe (P) and th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of the pipe are reinforced in a bonding state by the hardened filler (I), so that the strength of the pipe (P) increases, and the fluid flowing inside the pipe (P) By flow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upling unit 300 and the fixing unit 400,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additional filler (I).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연결유닛(500)의 다양한 변형 형태를 제시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nd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nnection unit 500 are present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연결유닛(600)을 제1결합유닛(200)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60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200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연결유닛(600)은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결합유닛(200)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양단부 각각에는 돌출된 형태의 제1보조연결부(602)가 형성된 형태를 가진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the connection unit 600 has the same length a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200 spaced apart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pipe P. It is formed to have, but both ends have a first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602 of a protruding form.

또한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상기 제1베이스부(210)에는 상기 연결유닛(600)의 제1보조연결부(602)가 안착되는 보조안착홈(245)이 형성된다.In addition, an auxiliary seating groove 245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602 of the connection unit 600 is seated is formed in the first base portion 210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즉 본 실시예는 상기 연결유닛(600)에 돌기 형태의 제1보조연결부(602)가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상기 보조안착홈(245)에 상기 제1보조연결부(602)만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이 가능하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602 in the form of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onnecting unit 600, and the first auxiliary connecting portion 602 is formed in the auxiliary seating groove 245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 Can be combined by inserting only.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연결유닛(700)을 제1결합유닛(200)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70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200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연결유닛(700)은 도 9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연결유닛(600)과 같이 상기 배관(P)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결합유닛(200)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0, the connection unit 700 i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P as the connection unit 600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200.

다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유닛(700)의 양단부 각각에는 상기 제1결합유닛(200)의 상기 제1베이스부(210)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1베이스부(210)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제2보조연결부(702)가 형성된다는 것이 제2실시예와 다르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ase portion 210 protrudes so as to contac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portion 210 of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unit 700. It is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a pair of second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702 to be sandwiched therebetween is forme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제1결합유닛(200)에 별도의 홈을 형성하지 않고도 상기 연결유닛(700)을 직접 제1결합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unit 700 can be direct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200 without forming a separate groove in the first coupling unit 200.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연결유닛(500, 600, 7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wit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units 500, 600, and 7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보강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component is combined in the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제1결합유닛(200)에 제1통로형성부가 구비되지 않으며, 또한 고정유닛(800)의 형태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1, the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is not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unit 200, and the shape of the fixing unit 800 is formed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제1통로형성부가 구비되지 않음으로 인해 연결통로(S)의 공간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since the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is not provided, the space of the connecting passage S can be used more widely.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유닛(800)은 제1삽입부(810)와, 상기 제1삽입부(810)보다 폭이 작게 형성되고, 한 쌍의 보조후크(354)와 체결되는 제2삽입부(8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유닛(800)은 단면 상 'T'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삽입부(820)의 양측으로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간은 상기 연결통로(S)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다양한 구성을 수용하는 것으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unit 800 has a first insertion portion 810,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810, and a second insertion engaged with a pair of auxiliary hooks 354 Includes part 820. That is, the fixing unit 800 has a'T' shape on a cross section, and empty spac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insertion unit 820. Such a space can be utilized as accommodating various configurations therein as in the connection passage 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링유닛
102: 이음부
200: 제1결합유닛
210: 제1베이스부
220: 링고정부
230: 제1고정결합부
240, 260: 제1통로형성부
250a: 제1연결부
250b: 제2연결부
300: 제2결합유닛
310: 제2베이스부
330: 제2고정결합부
340, 360: 제2통로형성부
350: 접촉부
400, 800: 고정유닛
500, 600, 700: 연결유닛
P: 배관
B: 연통공간
100: ring unit
102: joint
200: first coupling unit
210: first base
220: Ringo Government
230: first fixed coupling unit
240, 260: first passage forming unit
250a: first connection
250b: second connection
300: second coupling unit
310: second base portion
330: second fixed coupling unit
340, 360: second passage forming unit
350: contact
400, 800: fixed unit
500, 600, 700: connecting unit
P: Piping
B: Communication space

Claims (20)

배관의 내주면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는 링유닛;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배관의 내주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유닛이 고정되는 링고정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로부터 상기 배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1결합유닛; 및
상기 제1고정결합부와 결합되는 제2고정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결합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배관의 중심 방향으로 향한 면이 배관의 새로운 내벽을 형성하는 제2결합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링고정부에는 상기 링유닛이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유닛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강재를 변형시켜 링 형태를 형성하되, 강재의 양단부가 소정 길이만큼 겹치는 이음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음부에 대응되는 링고정부는 상기 강재의 양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다른 링고정부보다 긴 삽입 깊이를 가지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A ring unit formed in a ring shap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first bas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a ring fix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from the first base portion, and a ring fixing portion to which the ring unit is fixed; and protruding from the first base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pipe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units including a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and spac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nd
A second coupling unit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including a second fixe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a surface facing toward the center of the pipe forming a new inner wall of the pipe;
It includes,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ring uni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ring fixing portion,
The ring unit forms a ring shape by deforming the steel material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s a joint where both ends of the steel material overlap a predetermined length,
The ring fix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joint portion has an insertion depth longer than that of other ring fixing portions so that both ends of the steel material can be inser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 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상기 링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배관 내부 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pipe inner reinforcement device having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first base portion to fix the ring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유닛은,
복수 개가 상기 배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관 내부 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upling unit,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pieces are interconnec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ip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유닛의 일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1결합유닛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의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1결합유닛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가 형성된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connection unit coupled to the other end of another adjacent first coupling uni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coupling unit, and a first coupling unit coupled to one end of another adjacent first coupling uni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upling unit. Reinforcing device inside the pipe with 2 connecting part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가 삽입되는 홈 형태로 형성된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a pipe reinforcement device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into which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is inse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결합부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고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fixing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fixing protrus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fixing coupling portion is reinforced inside the pipe including a second fixing protrusion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ing protrusions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결합부는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돌기 사이로 돌출된 보조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돌기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제1고정돌기 사이에 삽입되되, 상기 한 쌍의 제2고정돌기 사이에는 상기 보조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fixed coupl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protrusion protruding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ed protrusions,
The second fixing protrusion is provided with a pair and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irst fixing protrusions, between the pair of second fixing protrusions, the secondary groove is inserted into the pipe groove reinforcement device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유닛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고정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통로형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유닛은 상기 제1통로형성부와 결합되어 내부에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제2통로형성부를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upling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formed between a pair of first fixed coupling portions adjacent to each other,
The second coupling unit is a pipe reinforcement device including a second passage form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to form a connecting passage therei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로형성부는 상기 제1통로형성부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어 사이에 상기 연결통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통로형성돌기를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passage forming portion is elong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 pair of passage forming protrusions forming the connecting passage therebetwee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형성돌기에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통로형성부는 상기 걸림홈에 걸려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A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passage forming protrusion,
The first passage forming portion is a pipe reinforcement device including a locking projec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상기 제1결합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unit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unit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first coupling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결합유닛의 이격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유닛의 상기 제1베이스부에는 상기 연결유닛의 양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seating grooves in which both ends of the connection unit are seated in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결합유닛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양단부 각각에는 돌출된 형태의 제1보조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유닛의 상기 제1베이스부에는 상기 연결유닛의 제1보조연결부가 안착되는 보조안착홈이 형성된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in the protruding form is formed at each of both ends,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an auxiliary seat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auxiliary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seated in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coupling uni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결합유닛의 이격 거리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양단부 각각에는 상기 제1베이스부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제1베이스부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는 한 쌍의 제2보조연결부가 형성된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ir of first coupling units spaced a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ipe, each of both ends protruding to contac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portion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a pair of second auxiliary connecting portions that allow the first base portion to be sandwiched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유닛은,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유닛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호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관 내부 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coupling unit,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provided with a plurality and formed to be interconnect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upling unit.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유닛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인접한 다른 제2결합유닛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a contact portion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upling unit in contact with another adjacent second coupling unit.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결합유닛 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
상기 제1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배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3연장부;
를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act portion,
A first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upling unit;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A thir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in an inner direction of the pipe;
Pipe reinforcement device including a.
제17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결합유닛의 서로 접촉된 한 쌍의 접촉부를 감싸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배관 내부 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A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unit that wraps and secures a pair of contact por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of a pair of second coupling units adjacent to each other.
KR1020200008963A 2020-01-23 2020-01-23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Ring Unit KR102140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963A KR102140455B1 (en) 2020-01-23 2020-01-23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R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963A KR102140455B1 (en) 2020-01-23 2020-01-23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R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455B1 true KR102140455B1 (en) 2020-08-03

Family

ID=7204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963A KR102140455B1 (en) 2020-01-23 2020-01-23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R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4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17B1 (en) * 2023-02-07 2023-10-12 한복규 Reinforcing device inside the pipe with adjustable inner diamet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387A (en) * 2000-05-01 2001-11-09 Ashimori Ind Co Ltd Repairing method for existing conduit, repairing material used for it and repaired conduit
KR20050041765A (en) 2003-10-31 2005-05-04 봉화토건 합자회사 Sewer pipe repairing process
KR101956018B1 (en) * 2018-09-07 2019-03-08 이처례 Piping Internal Repair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1387A (en) * 2000-05-01 2001-11-09 Ashimori Ind Co Ltd Repairing method for existing conduit, repairing material used for it and repaired conduit
KR20050041765A (en) 2003-10-31 2005-05-04 봉화토건 합자회사 Sewer pipe repairing process
KR101956018B1 (en) * 2018-09-07 2019-03-08 이처례 Piping Internal Repai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17B1 (en) * 2023-02-07 2023-10-12 한복규 Reinforcing device inside the pipe with adjustable inner diame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018B1 (en) Piping Internal Repair Device
US20150322676A1 (en) Splice sleeve with elliptical or compound curve cross section
EP3450632B1 (en) Prestressed tube s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O2001084037A1 (en) Duct repairing material, repairing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KR102140455B1 (en) Piping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Ring Unit
JP2001311387A (en) Repairing method for existing conduit, repairing material used for it and repaired conduit
JP2010150807A (en) Structure, method and member for fixing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structure
KR101604726B1 (en) Culvert connected by shear connecting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JP6518354B2 (en) Connecting member for lining pipe
KR101606101B1 (en) Steel composite hollow rc submerged floating tunnels using prestressed method and method thereof
KR101642049B1 (en) Member for connecting sheath of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056663B1 (en) Seismic retrofit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exisiting buildings using cft columns
KR102459330B1 (en) Reinforcing device inside the pipe with adjustable inner diameter
JP2010174555A (en) Anchor structure using anticorrosive prestressed concrete strand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nticorrosive prestressed concrete strand assembly, and composite anchor member
JP2005240969A (en) Method of regenerating existing tube
KR101991071B1 (en) Corrugated steel plate concrete composite structure reinforced with anchor and stud
KR200452669Y1 (en) Assembling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ulvert
KR20130136874A (en) Logitudinal divided girder
KR20220168259A (en) Modular Combination Type Pipe Repair Device
KR101330024B1 (en) Flexible connec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for facilities
KR102588517B1 (en) Reinforcing device inside the pipe with adjustable inner diameter
KR102173078B1 (en) Pipe Internal Reinforcement Device Having Internal Side Forming Unit Having Inserting Type Fastening Member
KR200174059Y1 (en) Connection structure being used for cut-off plate
KR20170138817A (en) 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PHC Piles with Tube Member
KR20190133094A (en)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Pre-flexed Seismic Reinforcement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