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837B1 - Pillow for babies and/or infants - Google Patents

Pillow for babies and/or inf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837B1
KR102139837B1 KR1020150165355A KR20150165355A KR102139837B1 KR 102139837 B1 KR102139837 B1 KR 102139837B1 KR 1020150165355 A KR1020150165355 A KR 1020150165355A KR 20150165355 A KR20150165355 A KR 20150165355A KR 102139837 B1 KR102139837 B1 KR 102139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pillow
core
infants
suppor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3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62726A (en
Inventor
다비드 베르데 산체스
인 천 로
Original Assignee
다비드 베르데 산체스
인 천 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비드 베르데 산체스, 인 천 로 filed Critical 다비드 베르데 산체스
Publication of KR20160062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7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8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38Bed linen
    • A47G9/0253Pillow s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 A61G7/07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for the head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10Type of patient
    • A61G2200/14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edding Item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영아 또는 유아의 머리를 수용하기 위해 평탄하지 않은 변형 가능한 코어를 구비하며, 이 변형 가능한 코어가 그 외부에 가스와 액체가 코어의 내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가스와 액체 불투과성인 장벽층을 둘러싸는 3차원 직조층을 가지는 영아 및/또는 유아용 베개이다.It has a non-flat deformable core to accommodate the head of an infant or toddler, and the deformable core has a gas and liquid impermeable barrier layer on the outside to prevent gas and liquid from reaching the inside of the core. It is an infant and/or infant pillow with a surrounding three-dimensional weave layer.

Figure R1020150165355
Figure R1020150165355

Description

영아 및/또는 유아용 베개{Pillow for babies and/or infants}Pillows for infants and/or infants {Pillow for babies and/or infants}

본 발명은 영아 및/또는 유아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두개골의 형성과 성장 동안에 발생될 수 있는 두개골 변형을 치료 및/또는 예방할 수 있는 인체공학적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and/or infant pil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rgonomic pillow capable of treating and/or preventing skull deformation that may occur during the formation and growth of the skull.

두개골(cranium)은 출생시부터 성장과 경화 과정(solidification)을 겪게 된다. 두개골은 다섯 살에 전용량(full capacity)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두개골은 육아(영아 및 유아)기와 아동기에 성장하게 된다.The cranium undergoes growth and solidification from birth. The skull reaches full capacity at the age of five. Therefore, the skull grows in parenting (infant and infant) and childhood.

두개골 변형(cranial deformation)은 선천적 기형일 수도 있고 질병이나 체위(postural)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압력이 인가(exert)되지 않는 영역에서 두뇌와 두개골이 더 빨리 성장하므로, 부적절한 표면에 계속 눕혀두면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Cranial deformation may be congenital anomalies or may be caused by a disease or postural. In the latter case, the brain and skull grow faster in areas where pressure is not exerted, so if you keep lying on an inappropriate surface, deformation may occur.

상술한 두개골 기형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영아나 유아의 두개골에 균일한 압력을 인가시키기 위한 다양한 베개가 현재 공지되어 있다. 이들 베개는 평탄(flat)하지 않으며 고정 또는 제거 가능한 직물 슬리이브(textile sleeve)로 둘러싸인 변형 가능한 코어(deformable core)로 제작된다. 변형 가능한 코어는 영아 또는 유아의 머리의 형상을 본뜬 것이다. 변형 가능한 코어는 비변형상태에서 영아 또는 유아의 머리를 수용하는 특정 영역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예를 들어 인입 영역(depressed area) 또는 "골짜기 영역(valley area)"이다.Various pillows for applying uniform pressure to the skull of an infant or toddler are currently know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above-described skull deformities. These pillows are not flat and are made of a deformable core surrounded by a fixed or removable textile sleeve. The deformable core mimics the shape of the head of an infant or toddler. The deformable core is known to have a specific area to accommodate the head of an infant or toddler in an unstrained state, for example a depressed area or a “valley area”.

상술한 공지의 베개는 영아 또는 유아의 머리에 균일한 압력이 인가되도록 목적한 것으로, 이들이 표준적인 베개에 비해 더 균일하게 분포된 압력을 인가시킨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지만, 이 공지의 베개가 완전히 균일한 방식으로 압력을 분배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앙 인입부가 어떤 형태 또는 형상의 특징으로 구비되어야 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The above-mentioned known pillow is intended to apply a uniform pressure to the head of an infant or toddler, and it is easy to see that they apply a more uniformly distributed pressure compared to a standard pillow, but this known pillow is completely uniform It is not well known that the pressure is not distributed in one way and that the central inlet must be provided with features of some form or shap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그러나 변형 가능한 베개의 사용은 영아나 유아의 질식(suffocation)이라는 고유의 위험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베개의 재질은 영아나 유아의 구토물(regurgitation products)이 침(drool)이나 토사(vomit)로 인한 질식을 유발하지 않도록 액체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 JP2006239047A는 상부가 수분을 흡수하여 배출을 담당하는 하부로 이송시키는 베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불투수성(impermeable material)이거나 액체의 배출에 일시적 장벽이 될 수 있는 재질은 완전히 사용이 금지되어야 할 것으로 간주된다. 이에 따라 공기가 통하는(air-permeable) 재질로 충전된 도넛형(toroidal) 베개를 개시하는 영국특허 GB1299925A에 개시된 것처럼 내부 공극율(interior hollowness)이 높은 발포형(foam-like)의 변형 가능한 재질이 사용된다. 이 베개에서 액체는 중력의 작용으로 베개의 하부로 이동하여 비극적인 결과를 피하게 된다.However, the use of a deformable pillow creates an inherent risk of infant or infant suffocation. The material of the pillow should be a material that can quickly discharge the liquid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regurgitation products do not cause suffocation due to drool or vomit. For example, Japanese Patent JP2006239047A discloses a pillow whose upper portion absorbs moisture and transports it to the lower portion responsible for discharge. Therefore, materials that are impermeable or that can be a temporary barrier to the discharge of liquids are considered to be completely banned. Accordingly, a foam-like deformable material having high interior hollowness is used, as disclosed in British Patent GB1299925A, which discloses a toroidal pillow filled with an air-permeable material. do. In this pillow, the liquid moves to the bottom of the pillow under the action of gravity, avoiding the tragic consequences.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발포형 공극(hollow) 재질은 영아나 유아에게 날숨으로 내쉰(exhaled) CO2의 흡입(inhalation)이라는 새로운 위험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나 유아의 돌연사(sudden death)를 야기하는 유아 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의 주요 원인중 하나이다.However,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foamed hollow materials pose a new risk of exhaled CO 2 inhalation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is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which causes sudden death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연구에 의하면, 발포 코어 내의 공극 영역(hollow area)의 존재가 이러한 문제에 기여한다. 코어의 내부에 있는 공기가 적절한 속도로 보충되지 않아 CO2 수준이 점차 증가되므로, 영아나 유아가 호흡을 하면 베개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는데, 각 연속적 호흡마다 가용한 산소는 점차 덜 남고 날숨으로 내쉰 CO2를 들이쉬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 study conducted by the applicant, the presence of a hollow area in the foam core contributes to this problem. As the air inside the core is not replenished at the proper rate, the CO 2 level is gradually increased, so when an infant or toddler breathes, it inhales the air from the pillow. CO 2 is inhal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low that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본 발명은 특히 영아 또는 유아의 머리를 수용하기 위한 변형 가능한 코어를 구비하며, 이 변형 가능한 코어가 가스나 액체가 코어의 내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가스와 액체의 불투과성 장벽층(barrier)을 둘러싸는 3차원 직조층(three-dimensional woven layer)을 외부에 가지는 영아 및/또는 유아용 베개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includes a deformable core for accommodating the head of an infant or toddler, the deformable core surrounding an impermeable barrier layer of gas and liquid such that gas or liquid does not reach the interior of the core. Disclosed is an infant and/or infant pillow having a three-dimensional woven layer on the outside.

바람직하기로 3차원 직조층 및/또는 불투과성 장벽층은 액체가 고이지 않도록 평탄 영역을 벗어난 둥근 형태(rounded shape)를 가지며, 이에 따라 상술한 이유로 영아나 유아가 질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Preferably, the three-dimensional woven layer and/or the impermeable barrier layer has a rounded shape outside the flat area so that the liquid does not accumulate, and thus it is impossible for infants and toddlers to suffocate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 가능한 코어가 베개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영역을 구성하고, 불투과성 장벽층은 그 내부에 CO2 가스의 축적을 방지하는 반면, 3차원 직조층은 영아가 베개를 통해 숨을 쉬더라도 오염되지 않은 공기를 영아의 폐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기능한다. 이는 또한 고이도록(stagnate) 남겨두면 영아를 질식시킬 수 있는 침(drool), 토사(vomit) 등을 영아의 입과 콧구멍으로부터 멀리 전송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ormable core constitutes an area adapted to perform the main function of the pillow, and the impermeable barrier layer prevents the accumulation of CO 2 gas therein, while the three-dimensional weave layer allows the infant to pass through the pillow. It functions with the purpose of allowing uncontaminated air to be transported to the infant's lungs even when breathing. It also transfers drool, vomit, etc., which can suffocate the infant if left to be stagnate, away from the infant's mouth and nostrils.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3차원 직조층은 8mm 이하, 바람직하기로 7mm 이하의 최대 두께를 가지며, 2mm 이상, 바람직하기로 5mm 이상의 최소 두께를 가진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hree-dimensional woven layer has a maximum thickness of 8 mm or less, preferably 7 mm or less, and a minimum thickness of 2 mm or more, preferably 5 mm or mor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3차원 직조층은 내부용적의 90%가 공극이어서 공기와 액체의 양호한 투과성을 보장한다. 3차원 직조 재질이 모든 방향으로(in all dimensions) 개방되어 있다는 사실과 함께 이 투과성이 불투과성 코어를 가지는 경우라도 베개가 높은 공기 투과성을 가지도록 하여 질식의 위험이 없도록 보장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three-dimensional woven layer has 90% of its interior volume being voids, ensuring good permeability of air and liquid. Along with the fact that the three-dimensional woven material is open in all dimensions, even if this permeable core has an impermeable core, it ensures that the pillow has a high air permeability so that there is no risk of suffocation.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DIN EN ISO 9237 기준으로 540 mm/s보다 크고, 더 바람직하기로 800 mm/s보다 큰 투과성을 가진다.In particula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ermeability greater than 540 mm/s,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800 mm/s, based on DIN EN ISO 9237.

바람직하기로, 가스와 액체 불투과성 장벽층은 변형 가능한 재질의 코어를 둘러싸는 불투과성 외부 커버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gas and liquid impermeable barrier layer consists of an impermeable outer cover surrounding the core of the deformable material.

선택적으로, 장벽층은 코어 자체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코어는 불투과성 재질로 구성된다.Optionally, the barrier layer may consist of the core itself, which core is made of an impermeable material.

바람직하기로, 베개는 영아나 유아의 머리를 수용하는 인입부(depression)를 구비하며, 이 인입부는 베개의 중간 높이에 위치하는 지지영역으로 채워지는 개구부(opening)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곡면으로 경사진 영역으로 구성되며, 지지영역이 변형 가능한 재질을 구비하여 경사가 지지영역에 대해 130°보다 큰 각도를 형성한다. Preferably, the pillow is provided with a depression for receiving the head of an infant or toddler, the inlet being curved with a curved surface positioned to surround an opening filled with a support area located at an intermediate height of the pillow. It is composed of a photographic region, and the supporting region is provided with a deformable material, so that an inclination forms an angle greater than 130°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region.

바람직하기로, 지지영역은 5 내지 9mm의 두께를 가진다.Preferably, the support area has a thickness of 5 to 9 mm.

더 바람직하기로 지지영역은 평탄하다.More preferably, the support area is flat.

더욱 바람직하기로, 베개는 지지영역을 베개의 나머지 부분과 분리(isolate)시키는 분리요소를 가진다.More preferably, the pillow has a separating element that isolates the support area from the rest of the pillow.

또한 바람직하기로, 분리요소는 바느질 땀(stitched cord)이다. 바느질 땀은 지지영역과 3차원 직조층이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계에 형성된다. 이때 코어 및 장벽층은 이 경계에 연결되지 않고 떨어져 있다.Also preferably, the separating element is stitched cord. Sewing stitches are form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upport area and the three-dimensional woven layer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core and barrier layers are not connected to this boundary and are separated.

바람직하기로, 베개는 직물 재질로 제조된 커버시트(covering sheet) 내에 위치하는 변형 가능한 재질의 코어로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기로 코어는 예를 들어 발포재질 등의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조된다.Preferably, the pillow is formed of a core of a deformable material located in a covering sheet made of a textile material. More preferably, the core is made of a deformable material, such as a foam material.

더욱 바람직하기로, 직물 재질은 압력의 분배를 추가적으로 보조하는 3차원 직물 재질이다. 3차원 직물 재질은 폴리에스터 직물 재질이 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fabric material is a three-dimensional fabric material that further assists the distribution of pressure. The three-dimensional fabric material may be a polyester fabric material.

본 발명의 주제인 베개는 직물 슬리이브(textile sleeve)로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직물 슬리이브의 재질은 바람직하기로 다공성(porous) 및 투과성 직물이 될 수 있다. The pillow, which is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can be surrounded by a textile sleeve. Also, the material of the fabric sleeve may preferably be a porous and permeable fabric.

더 바람직하기로, 경사와 지지영역 사이의 각도는 135°보다 크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경사와 지지영역 사이의 각도는 140° 이상이다.More preferably, the angle between the slope and the support area is greater than 135°. More preferably, the angle between the slope and the support area is 140° or more.

유리하게는, 경사는 분리요소(separated element)의 영역에서의 지지영역과 150° 이하의 각도를 형성한다. Advantageously, the slope forms an angle of 150° or less with the support area in the area of the separated element.

유사하게 유리하게는, 지지영역은 원형이고 50mm 이하의 직경을 가진다. Similarly advantageously, the support area is circular and has a diameter of 50 mm or less.

더욱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지지영역이 원형이고 50mm보다 작고 40mm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를 구비한다.More advantageous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area is circular and has a diameter of less than 50 mm and greater than 40 mm.

바람직하기로, 베개는 Shore 00 경도가 45 내지 55이다.Preferably, the pillow has a Shore 00 hardness of 45 to 55.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베개는 450 mm/s보다 큰, 더 바람직하기로 800 mm/s보다 큰 공기 투과성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베개는 900 mm/s보다 큰 공기 투과성을 가진다.According to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pillow has an air permeability greater than 450 mm/s,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800 mm/s. More preferably, the pillow has an air permeability greater than 900 mm/s.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예시적이지만 비제한적인 예로 본 발명의 주제인 베개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면이 첨부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베개의 제1 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베개를 포함하여 다른 재질들에서 CO2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 X 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Y 축은 CO2 농도를 %로 나타낸다.
For a clearer understanding, an illustrative but non-limiting example has been attached to the drawings of embodiments of the pillow,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lan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the CO 2 concentration in other materials, including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X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Y axis represents CO 2 concentration in %.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베개(1)는 중간 높이에서 공기 투과성 직물층(21)에 덮인 중앙 개구부(2)를 가진다. 베개(1)는 평탄하지 않은 변형 가능한 코어(deformable core; 3)를 구비하며, 가스와 액체 불투과성의 장벽층(barrier; 7)으로 덮여 있다. 3차원 직조층(4)이 이 장벽층(7)을 둘러싸고, 이 층(4) 위에는 마지막 층으로 직물 재질(5)로 제조된 고정 또는 제거 가능한 직물 슬리이브가 위치하는데, 바람직하기로 역시 3차원 직조(three-dimensional weave)이다.1 and 2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low 1 has a central opening 2 covered by an air-permeable fabric layer 21 at a medium height. The pillow 1 has a non-flat deformable core 3 and is covered with a gas and liquid impermeable barrier layer 7. A three-dimensional weave layer (4) surrounds this barrier layer (7), on top of which is a fixed or removable fabric sleeve made of fabric material (5) as the last layer, preferably also 3 It is a three-dimensional weave.

개구부(2)를 지나면서 3차원 직물 재질은 층(4)의 나머지 부분을 통과하며 층(21)을 분리(isolate)시키는 바느질 땀(stitched cord; 6) 덕분에 장벽층(7)을 덮는 시트(sheet; 4)의 나머지 부분과 전혀 다른 기계적 거동을 가진다.The sheet covering the barrier layer 7 thanks to the stitched cord 6 passing through the opening 2 and passing through the rest of the layer 4 and isolating the layer 21 It has a completely different mechanical behavior from the rest of (sheet; 4).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3)는 둥근 경사(rounded slope)를 가지는 골짜기(valley)를 형성하는데, 이 경사는 개구부(2)를 덮는 직물층(21)과 각도(A)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 2, the core 3 forms a valley having a rounded slope, which forms an angle A with the fabric layer 21 covering the opening 2 do.

개구부(2)를 덮는 박막(직물층; 21)은 예를 들어 층(4)이 제조된 것과 동일한 3차원 직물 등의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조된다. 이 변형 가능한 재질은 영아의 두개골 후부 상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130° 이상인 경사와 직물 시트(21) 간의 각도(A)와 결합되어. 이 재질은 머리 상의 압력을 더 적절히 분배한다.The thin film (fabric layer) 21 covering the opening 2 is made of, for example, a deformable material, such as three-dimensional fabric, in which the layer 4 is manufactured. This deformable material reduces the pressure on the back of the infant's skull. Combined with the angle (A) between the fabric sheet 21 and the slope over 130°. This material distributes the pressure on the head more appropriately.

변형 가능한 코어(3)는 가스와 액체 불투과성인 시트로 제조된 장벽층(7)으로 덮여있다. 이 장벽층은 평탄한 영역에서 발생되는 액체의 고임(accumulation)을 방지하기 위해 둥근 형태(rounded shape)를 가진다. 또한 가스 불투과성 장벽층은 영아 또는 유아가 날숨으로 내쉰 CO2가 베개의 내부로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deformable core 3 is covered with a barrier layer 7 made of a gas and liquid impermeable sheet. The barrier layer has a rounded shape to prevent accumulation of liquids generated in the flat region. In addition, the gas impermeable barrier layer prevents the accumulation of CO 2 exhaled by an infant or infant into the interior of the pillow.

반면, 장벽층(7)을 둘러싸는 층(4)은 내부 용적의 적어도 90%가 공극으로 구성되어 매우 다공성(porous)이고 투과성(permeable)이 된다.On the other hand, the layer 4 surrounding the barrier layer 7 is made of pores with at least 90% of its internal volume being very porous and permeable.

바람직하기로, 변형 가능한 재질 시트(4)의 두께는 8mm 이하, 더 바람직하기로 6mm 이하이고, 이 시트의 최소 두께는 2mm 이상, 더 바람직하기로 5mm 이상이다.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deformable material sheet 4 is 8 mm or less, more preferably 6 mm or less, and the minimum thickness of this sheet is 2 mm or more, more preferably 5 mm or more.

바람직하기로, 개구부(2)는 원형이며 50mm보다 작은, 더 바람직하기로 40mm 과 50mm 사이의 크기이다.Preferably, the opening 2 is circular and smaller than 50 mm, more preferably between 40 mm and 50 mm in size.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앞 도면들의 것과 같거나 비슷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식별한다. 이 실시예에서 불투과성 장벽층은 코아(43, 43') 자체로 형성되는데, 이 코어는 불투과성 재질로 제조된다. 변형 가능한 재질 시트(4)가 이 코어를 둘러싼다. 이 실시예에서, 코어는 발포형 재질로 만들어져 그 표면에 구멍이 없이 불투과성을 보장하도록 마감된다.FIG. 3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s those in the previous figures are identifi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is embodiment, the impermeable barrier layer is formed of the cores 43 and 43' itself, and the core is made of an impermeable material. A deformable material sheet 4 surrounds this core. In this embodiment, the core is made of foamed material and finished to ensure impermeability without a hole in its surface.

본 발명의 주제인 베개의 구조는 그 내부에 CO2의 축적을 방지할 수 있고 그 표면으로부터 액체의 즉각적인 배출을 촉진하는 베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도(respiratory tract)의 기계적 차단에 의한 질식(asphyxiation)을 방지한다. 이 구조는 또한 다른 연령의 영아와 유아의 두개골 기형을 방지 및 심지어 교정이 가능하게 한다.The structure of the pillow, which is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accumulation of CO 2 therein and enables the production of a pillow that promotes the immediate discharge of liquid from its surface, thereby choking by mechanical blockage of the respiratory tract. Prevent (asphyxiation). This structure also prevents and even corrects skull deformities in infants and toddlers of different ages.

CO2와 관련된 효과의 입증을 위해, 인간이 내쉰 날숨의 조성과 유사한 가스를 본 발명의 주제인 베개의 재질을 포함한 다른 재질들에 주입(driven)하는 실험이 수행되었다. 재질들은 분당 25 호흡의 유량으로 방출되는 공기에 1시간 동안 노출되었다. 실험의 주제인 다른 재질들간의 비교를 위해 센서가 CO2 축적 수준을 10분 주기로 측정했다. 도 4는 다른 재질들의 CO2 농도의 시간적 변화를 도시하는데, 시간축(X)은 초 단위, CO2축(Y)은 % 단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베개(300)은 CO2 축적 위험이 낮은 재질로 간주되는 면직 시트를 가진 매트리스(400)에 가깝고, 양피(sheepskin; 200)이나 유아 돌연사 증후군에 의한 영아와 유아의 사망을 일으키는 농도 수준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직물로 둘러싸인 폴리스티렌(100)에 비해 상당히 낮다.To demonstrate the effects associated with CO 2 ,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which a gas similar to the composition of exhalation exhaled by humans was driven into other materials, including the material of the pillow, which is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s were exposed to air released at a flow rate of 25 breaths per minute for 1 hour. For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materials, which are the subject of the experiment, the sensor measured the CO 2 accumulation level every 10 minutes. Figure 4 shows the temporal change of the CO 2 concentration of different materials, the time axis (X) is in seconds, and the CO 2 axis (Y) is in %. As shown, the pillow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 to the mattress 400 having a cotton sheet, which is considered to be a material having a low risk of CO 2 accumulation, and the infants and toddlers due to sheepskin (sheepskin 200) or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I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polystyrene (100) surrounded by fabrics known to cause concentration levels that cause death.

4mm 두께의 3차원 직조층(4)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베개에 대한 공기 투과성 시험 역시 수행되었다.이 시험은 DIN EN ISO 9237 "공기에 대한 직물의 투과성의 측정"에 따라 수행되어 10회의 세탁후 946 mm/s와 953 mm/s의 값을 얻었다.An air permeability test was also carried out for the pillow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ing a 3 mm weave layer 4 of 4 mm thickness. This test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DIN EN ISO 9237 "Measurement of the permeability of the fabric for air" 10 washes After that, the values of 946 mm/s and 953 mm/s were ob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은 다음 청구범위들의 최광범위한 해석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s examples of preferred embodiments, they should not be considered as limiting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broadest interpretation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9)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에 있어서,
영아 또는 유아의 머리형태를 수용하기 위한 평탄하지 않은 변형 가능한 코어;
가스와 액체가 상기 코어의 내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코어를 둘러싸는 가스와 액체 불투과성인 장벽층;
상기 장벽층을 둘러싸는 3차원 직조층; 및
상기 베개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영아나 유아의 머리의 지지영역으로 채워진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영역은 상기 직조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만 상기 직조층과의 경계에서 바느질 땀이 형성되어 상기 직조층과 다른 기계적 거동을 가지게 되고,
상기 코어 및 상기 장벽층은 상기 경계에 연결되지 않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In infant or infant pillow,
An uneven, deformable core for accommodating the head shape of an infant or toddler;
A gas and liquid impermeable barrier layer surrounding the core to prevent gas and liquid from reaching the interior of the core;
A three-dimensional weave layer surrounding the barrier layer; And
It includes an opening filled with the support area of the head of the infant or infant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pillow,
The support reg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oven layer, but sewing stitches are formed at the boundary with the woven layer to have a different mechanical behavior from the woven layer.
The core and the barrier layer are not connected to the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ant or infant pillow.
제1항에 있어서,
불투과성 장벽층이 평탄한 영역이 없이 둥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impermeable barrier layer has a round shape without a flat area.
제1항에 있어서,
직조층이 8mm 이하의 최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Pillow for infants or toddl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ven layer has a maximum thickness of 8 m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직조층이 7mm 이하의 최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Pillow for infants or toddl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ven layer has a maximum thickness of 7 m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직조층이 2mm 이상의 최소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woven layer has a minimum thickness of 2 mm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직조층이 5mm 이상의 최소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woven layer has a minimum thickness of 5 mm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3차원 재질이 내부 용적의 적어도 90%가 공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Pillow for infants or toddl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material has at least 90% of the interior volume void.
제1항에 있어서,
가스와 액체 불투과성의 장벽층이 변형 가능한 재질의 코어를 둘러싸는 불투과성 외부 커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rier layer of gas and liquid impermeability consists of an impermeable outer cover surrounding a core of deforma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가스와 액체 불투과성의 장벽층이 불투과성 재질의 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gas and liquid impermeable barrier layer is composed of an impermeable core.
제1항에 있어서,
머리를 수용하기 위한 인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입부는 상기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곡면이면서 경사진 영역으로 구성되며, 경사는 경사와 지지영역의 합류 영역에서 지지영역에 대해 135°보다 큰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It has an inlet for accommodating the head, and the inlet is composed of a curved and inclined area positioned to surround the opening, and the inclination has an angle greater than 135°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rea in the confluence area of the inclination and support area.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제10항에 있어서,
지지영역이 5 내지 9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0,
Pillow for infants or toddl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area has a thickness of 5 to 9 mm.
제10항에 있어서,
중앙 지지영역이 평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0,
Pillow for infants or toddlers characterized by a flat central support area.
제10항에 있어서,
경사와 지지영역 간의 각도가 135°보다 크고 15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0,
An infant or toddler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between the slope and the support area is greater than 135° and less than 150°.
제10항에 있어서,
중앙 지지영역이 원형이고 50m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0,
Pillow for infants or toddl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support area is circular and has a diameter of 50 mm or less.
제10항에 있어서,
중앙 지지영역이 원형이고 40m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The method of claim 10,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support area is circular and has a diameter of 40 m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직조층이 직물 슬리이브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According to claim 1,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woven layer is surrounded by a fabric sleeve.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45 내지 55 사이의 Shore 00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The pillow is an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ore 00 hardness between 45 and 55.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적어도 900 mm/s의 공기 투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아 또는 유아용 베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The pillow is an infant or infant pi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air permeability of at least 900 mm/s.
삭제delete
KR1020150165355A 2014-11-25 2015-11-25 Pillow for babies and/or infants KR1021398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P201431749 2014-11-25
ES201431749A ES2571628B1 (en) 2014-11-25 2014-11-25 Pillow for babies and / or inf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726A KR20160062726A (en) 2016-06-02
KR102139837B1 true KR102139837B1 (en) 2020-07-31

Family

ID=5469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355A KR102139837B1 (en) 2014-11-25 2015-11-25 Pillow for babies and/or infant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20817A9 (en)
EP (1) EP3025621B1 (en)
KR (1) KR102139837B1 (en)
CN (1) CN105615440B (en)
ES (2) ES2571628B1 (en)
TW (1) TWI67730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1292A1 (en) * 2016-07-28 2018-02-01 株式会社エアウィーヴ Bedding and cover sheet for bedding
CN106308282A (en) * 2016-08-23 2017-01-11 安徽霞珍羽绒股份有限公司 Adjustable down-filled pillow
US11317728B2 (en) * 2019-01-16 2022-05-03 Beth Rogers Knee pillow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9409A1 (en) * 2011-07-19 2013-01-24 Jiajing Usa, Inc. Comfort customizable pillow
US20140189955A1 (en) * 2013-01-10 2014-07-10 Bedgear, Llc Pillow protect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9138D0 (en) * 1990-09-01 1990-10-17 Slumberland Plc Articles of bedding and the like
US5708998A (en) * 1995-03-08 1998-01-20 Anabolic Laboratories, Inc. Cervical pillow
USD381233S (en) * 1995-03-09 1997-07-22 Anabolic Laboratories, Inc. Cervical pillow
USD383026S (en) * 1995-03-09 1997-09-02 Anabolic Laboratories, Inc. Cervical pillow
GB9518425D0 (en) * 1995-09-08 1995-11-08 Codd Gerard C Therapeutic pillow
US6052850A (en) * 1999-01-23 2000-04-25 Salido; Cynthia R. Head support device for infants
US6708355B1 (en) * 2002-10-10 2004-03-23 Seda Chemical Products Co., Ltd. Collapsible outdoor pillow structure
IES20030849A2 (en) * 2003-11-12 2005-02-09 Lancastria Ltd A mattress
TW200611659A (en) * 2004-06-18 2006-04-16 Jtmd Llc Foam core pillow or mattress allowing adjustment for rebound speed
US8332978B2 (en) * 2006-05-04 2012-12-18 Steven Warnock Method for correcting deformational plagiocephaly and other cranial deformations
CN201263563Y (en) * 2008-06-25 2009-07-01 品赫贸升股份有限公司 High-elasticity ventilated pillow
ES1069689Y (en) * 2009-01-22 2009-08-06 Think Pipe Line S L N E PILLOW FOR THE PREVENTION OF CRANIAL DEFORMITIES IN NEWBORN.
US20120023676A1 (en) * 2010-07-31 2012-02-02 Hansen Christian K Orthopedic pillow having oblong central aperture
CA2716467A1 (en) * 2010-10-01 2012-04-01 Latisha D. Hubley Air pillow
US8707485B1 (en) * 2011-06-13 2014-04-29 Susan Conley Therapeutic support pillow
ES1075387Y (en) * 2011-06-29 2011-12-27 Servicio Andaluz De Salud HOSPITAL CUSHION
CN202269768U (en) * 2011-09-08 2012-06-13 郑川 Pillowslip
CN203483198U (en) * 2013-07-30 2014-03-19 苏州美山子制衣有限公司 Vertical cotton baby pillow
CN103356023B (en) * 2013-07-30 2015-11-04 苏州美山子制衣有限公司 A kind of vertical cotton baby pillow
JP6180859B2 (en) * 2013-09-10 2017-08-16 デルタ工業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integral foam mo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9409A1 (en) * 2011-07-19 2013-01-24 Jiajing Usa, Inc. Comfort customizable pillow
US20140189955A1 (en) * 2013-01-10 2014-07-10 Bedgear, Llc Pillow pro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77308B (en) 2019-11-21
EP3025621B1 (en) 2018-06-13
CN105615440A (en) 2016-06-01
ES2681485T3 (en) 2018-09-13
ES2571628B1 (en) 2017-03-03
EP3025621A1 (en) 2016-06-01
KR20160062726A (en) 2016-06-02
ES2571628A1 (en) 2016-05-26
US20160143463A1 (en) 2016-05-26
TW201618696A (en) 2016-06-01
US20180220817A9 (en) 2018-08-09
CN105615440B (en) 201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837B1 (en) Pillow for babies and/or infants
JP5705987B2 (en) Breathable infant bedding
US20090217458A1 (en) Sleep aid
US20180242753A1 (en) Support Cushions Including A Support Insert With A Bag For Directing Air Flow,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urface Temperature Of Same
JP2016511040A (en) Infant seat bed
KR200483330Y1 (en) Functional pillow
US20140289968A1 (en) Mattresses
JP2003061791A (en) Bedding
JP2016202485A (en) Baby bed
CN109310216B (en) Bedding and sheet for bedding
KR101942361B1 (en) Breathable pillow
KR200467001Y1 (en) Baby pillow
EP3045084B1 (en) Baby mattress
JP2008035970A (en) Mattress device and bed device
WO2019097433A1 (en) Breathable bed cover
CN208909584U (en) A kind of infant's Pillow for mother and infant
JPH0232262Y2 (en)
TWM564971U (en) Ventilating pad structure
CN212346094U (en) Adjustable sponge pillow
CN207590353U (en) A kind of parent children share mattress
US20220039562A1 (en) Baby incline sleeper
CN206354798U (en) A kind of pillow
JP2019526366A (en) Infant bed with sudden death prevention function
KR20100003188U (en) Nursing survey
KR20200078206A (en) Infant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