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799B1 -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799B1
KR102136799B1 KR1020180102888A KR20180102888A KR102136799B1 KR 102136799 B1 KR102136799 B1 KR 102136799B1 KR 1020180102888 A KR1020180102888 A KR 1020180102888A KR 20180102888 A KR20180102888 A KR 20180102888A KR 102136799 B1 KR102136799 B1 KR 10213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spectrum
target object
eeg
exc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478A (ko
Inventor
김기범
이가영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0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79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탐지된 EEG 신호를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정의 타임구간 각각에 포함된 EEG 신호에 대해 FFT 연산을 수행하여 뇌파 주파수의 스펙트럼을 도출하며, 도출된 스펙트럼값 중에서 제1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를 합산한 합산스펙트럼값을 산출하는 EEG 스펙트럼 부분 합산부,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산출된 합산스펙트럼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및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슈미트 트리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을 산출하는 누계 산출부 및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누적값이 제3, 제4 스레시홀드를 최초로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1, 제2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타겟 오브젝트가 수월하게 조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ARGET OBJECT USING BRAINWAVE}
본 발명은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뇌파를 이용하여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뇌세포는 독특한 모양의 규칙적인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것을 뇌파라 한다. 1929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한스 베르거가 처음으로 머리에 외상을 입은 환자의 두개골 피하에 2개의 백금 전극을 넣어 뇌파를 기록하고 이를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이하 “EEG”라 칭함)라 하였다.
상기 EEG를 분석하여 뇌의 이상여부가 분석될 수 있으며, 증폭된 EEG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가 직접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이에, EEG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기기를 보다 정확하고 정교하게 조작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9501호(공개일 : 2016.7.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단일 뇌파만을 이용하여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는 탐지된 EEG 신호를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정의 타임구간 각각에 포함된 EEG 신호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수행하여 뇌파 주파수의 스펙트럼을 도출하며, 도출된 스펙트럼값 중에서 제1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를 합산한 합산스펙트럼값을 산출하는 EEG 주파수 부분 합산부; 상기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산출된 상기 합산스펙트럼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및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슈미트 트리거;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을 산출하는 누계 산출부; 및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3 임계값을 최초로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1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의 제1 동작이 수행된 후,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4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2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겟 오브젝트는 원격 비행 오브젝트이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원격 비행 오브젝트가 이륙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방법은, 탐지된 EEG 신호를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정의 타임구간 각각에 포함된 EEG 신호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수행하여 뇌파 주파수의 스펙트럼을를 도출하며, 도출된 주파수값 중에서 제1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를 합산한 합산스펙트럼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산출된 상기 합산스펙트럼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및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3 임계값을 최초로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1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의 제1 동작이 수행된 후,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4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2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겟 오브젝트는 원격 비행 오브젝트이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원격 비행 오브젝트가 이륙하는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첫째로, EEG 신호 하나만으로 제어 대상 오브젝트의 동작이 정확하고 정교하게 조작될 수 있다.
둘째로, 제어 대상 오브젝트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의 의도가 보다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다.
셋째로, 뇌파가 특정 세기 이상으로 특정 시간 동안 지속될 때,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조작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동작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EG를 이용하여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EEG를 이용하여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EG를 이용하여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EG를 이용하여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100, 이하에서는 “조작 장치”라 칭함)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USER)의 하나의 뇌파 신호 즉, 단일 EEG 신호를 이용하여 타겟 오브젝트(3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별도의 추가적인 동작, 조치가 없더라도 타겟 오브젝트(300)가 조작될 수 있다. 타겟 오브젝트(300)는 드론과 같은 원격 비행 오브젝트일 수 있으며, 구현시에는 다양한 전자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오브젝트(300)가 제어되는 사용자(USER)의 뇌파 신호는 주로 14Hz 내지 30㎐의 베타파 및 30Hz 내지 50Hz의 감마파일 수 있다. 뇌의 정신활동이 활발(또는 뇌 신경회로의 활성이 강화)해지면, 뇌파에서 베타파와 감마파 성분이 증가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USER)는 집중상태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타겟 오브젝트(300)가 조작되는 주파수 대역을 14Hz 내지 50Hz로 상정하여 기술하나, 구현시에는 더 넓은 주파수 대역 또는 더 좁은 주파수 대역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EEG 감지기(200)는 Raw EEG를 시간에 따라 탐지하여 조작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EEG 감지기(200)는 Raw EEG 신호를 감지하는 EEG 신호 탐지부, EEG 신호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뇌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장치(100)는 EEG 감지기(200)로부터 Raw EEG를 시간에 따라 수집하여,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타겟 오브젝트(300)를 조작하는 신호를 타겟 오브젝트(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조작 장치(100)는 사용자가 실제로 타겟 오브젝트(300)를 조작하려는 의도를 파악하여 이에 대응되도록 타겟 오브젝트(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의 블록도를 참고하여 도 1에 개시된 EEG를 이용하여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조작 장치(100)는 통신부(110), EEG 스펙트럼 부분합산부(120), 슈미트 트리거(130), 누계 산출부(140), 제어 모듈(150), 디스플레이(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상기 조작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조작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EEG 감지기(200)로부터 EEG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현시에는 더 많은 통신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EEG 스펙트럼 부분합산부(120)는 수집되는 Raw EEG 신호들을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타임구간은 Raw EEG 가 수집되는 단위로 EEG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다만 EEG 신호의 주파수가 500Hz 라면 소정의 타임구간은 1초일 수 있으며, 1초 동안 500 주기의 EEG 신호가 수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소정의 타임구간이 1초인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1초에 500 주기의 EEG 신호가 있는 경우, EEG 스펙트럼 부분합산부(120)는 500회에 걸쳐서 EEG 신호를 수집한 후, 수집된 EEG 신호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연산을 수행하여 시간영역을 주파수영역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EEG 스펙트럼 부분합산부(120)는 FFT 를 수행하여 뇌파 주파수의 스펙트럼을 도출하고 도출된 스펙트럼 중에서 제1 임계값을 넘는 스펙트럼값만 합산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타임 구간마다 합산된 주파수를 합산스펙트럼값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EEG 스펙트럼 부분합산부(120)는 승산부를 이용하여 FFT 를 수행한 스펙트럼과 제1 임계값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즉, EEG 스펙트럼 부분합산부(120)는 소정 타임 구간마다 특정 주파수값 이상의 데이터만 수집하여 타겟 오브젝트(300)를 조작하려는 사용자의 의도를 보다 수월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슈미트 트리거(130, Schmitt Trigger)는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합산된 합산스펙트럼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및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슈미트 트리거(130)는 합산스펙트럼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에 대해 On(1)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합산스펙트럼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영역에 대해 Off(0)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임계값은 슈미트 트리거(130)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제2 임계값은 슈미트 트리거(130)가 시간 영역에서의 합산스펙트럼값이 적정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짓는 한계값으로, 보다 사용자의 집중도가 높은 영역으로 선별될 수 있다.
누계 산출부(140)는 슈미트 트리거(130)에 의해 제2 임계값을 넘는 영역의 누계를 산출하는 모듈에 해당된다. 누계 산출부(140)는 부분 누적 합계(Sectional Cumulative Sum) 방식으로 합산스펙트럼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을 누적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 스펙트럼의 누적값을 기준으로 타겟 오브젝트(300)의 조작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어 모듈(150)은 2초 내지 4초 가량 일관된 세기로 베타파가 출력되는 경우 타겟 오브젝트(300)를 구동시키는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 주파수의 누적값이 제3 임계값을 최초로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1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다. 가령, 제어 모듈(150)은 제어 대상 오브젝트인 원격 비행 오브젝트가 이륙(Take Off)하기 위해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3 임계값을 최초로 초과하는 시점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조작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모듈이며, 타겟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명령이 정확하게 어떤 명령인지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어 모듈(150)은 타겟 오브젝트(3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타겟 오브젝트(300)가 특정의 동작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150)은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1 동작이 수행된 후,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4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2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4 임계값은 제3 임계값보다 큰 값일 수 있다. 가령, 타겟 오브젝트가 드론인 경우 제3 임계값에 따라 이륙된 후, 더 신중한 명령이 입력되게 제4 임계값을 제3 임계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구현예에 따라서는, 제4 임계값이 제3 임계값보다 더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동작은 이륙 후 방향 전환, 속도 제어, 카메라 촬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160)는 제어 모듈(150)이 연산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어 모듈(150)의 제어에 따라 타겟 오브젝트(300)의 동작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50)은 디스플레이(160) 상에 현재 Raw EEG, 각 임계값, 합산스펙트럼값, 합산스펙트럼 누적값 및 타겟 오브젝트(300)의 위치, 동작 현황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 모듈(150)에 의해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서버 형태의 거대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양한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EG를 이용하여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 장치(100)가 소정의 타임구간 동안 EEG 신호를 수집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 모듈(150)은 시간에 따른 EEG 신호(310)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소정의 타임 구간(310_1, 310_2) 동안의 EEG 신호를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모듈을 통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여 스펙트럼을 계산하고, 이때 소정의 제1 임계값의 주파수를 초과하는 스펙트럼값을 추출하여 합산할 수 있다. 합산시에는 제1 임계값과 FFT 연산이 승산기에 의해 승산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타임 구간 동안의 합산스펙트럼값들(B1, B2, …, Bn)이 산출될 수 있으며, 합산 스펙트럼값의 성격은 뇌파 중에서 베타파 또는 감마파와 연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 장치(100)가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상황을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고하면, 조작 장치(100)는 소정의 타임구간 동안 수집된 합산 주파수(B)를 슈미트 트리거(130)를 통해 온 및 오프로 분류할 수 있다.
누계 산출부(140)는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값들을 누적하여 부분합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150)은 소정 수준을 초과한 경우, 사용자가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작 장치(100)가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500번이 될 때까지 카운트(N)를 증가시키면서 raw EEG 를 수신한다(S510 내지 S525), 카운트가 500회에 다다르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모듈을 통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며, 주파수가 특정 주파수를 넘는 주파수부터 주파수의 맥스값까지 합산을 수행하여 합산스펙트럼값(B)를 산출할 수 있다(S530 및 S535).
여기서, 500번은 EEG 의 주파수가 500Hz 인 경우를 위해 임의로 설정된 값이며, 구현 예에 따라 다른 주파수 및 횟수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510 내지 S535 가 합산스펙트럼값 B를 생성하는 단계라면, 단계 S540 내지 S580 은 생성된 합산스펙트럼 B로부터 드론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에 해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임계값을 넘는 합산스펙트럼값의 경우 누적 계수(P)에 더하고, 누적 계수(P)가 제3 임계값 (또는 제4 임계값)를 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동작 명령을 타겟 오브젝트에 전송하고, 플래그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최초 동작 명령이 내려질 때, 플래그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가령, 최초 동작되는 경우가 이륙 명령인 경우, 타겟 오브젝트가 이륙하면 플래그가 1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단일 채널에서 탐지된 EEG 신호를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정의 타임구간 각각에 포함된 EEG 신호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수행하여 뇌파 주파수의 스펙트럼을 도출하며, 도출된 스펙트럼값 중에서 제1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를 합산한 합산스펙트럼값을 산출하는 EEG 주파수 부분 합산부;
    상기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산출된 상기 합산스펙트럼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및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슈미트 트리거;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을 산출하는 누계 산출부; 및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3 임계값을 최초로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1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의 제1 동작이 수행된 후,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4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2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오브젝트는 원격 비행 오브젝트이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원격 비행 오브젝트가 이륙하는 동작인,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4.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방법은,
    단일 채널에서 탐지된 EEG 신호를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구분하고, 구분된 소정의 타임구간 각각에 포함된 EEG 신호에 대해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수행하여 뇌파 주파수의 스펙트럼을를 도출하며, 도출된 주파수값 중에서 제1 임계값을 넘는 주파수를 합산한 합산스펙트럼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타임구간 별로 산출된 상기 합산스펙트럼값이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및 제2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3 임계값을 최초로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1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의 제1 동작이 수행된 후, 상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영역 별로 누적된 합산스펙트럼 누적값이 제4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 대상 오브젝트가 제2 동작되도록 상기 제어 대상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오브젝트는 원격 비행 오브젝트이며,
    상기 제1 동작은 상기 원격 비행 오브젝트가 이륙하는 동작인,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방법.
KR1020180102888A 2018-08-30 2018-08-30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136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88A KR102136799B1 (ko) 2018-08-30 2018-08-30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888A KR102136799B1 (ko) 2018-08-30 2018-08-30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78A KR20200025478A (ko) 2020-03-10
KR102136799B1 true KR102136799B1 (ko) 2020-07-22

Family

ID=6980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888A KR102136799B1 (ko) 2018-08-30 2018-08-30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7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589B1 (ko) * 2008-03-14 2010-07-16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음수 텐서 분해를 이용한 뇌파의 주파수 특징 추출 방법
KR101656739B1 (ko) 2014-12-26 2016-09-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 기반의 착용형 로봇의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478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5405A1 (en) Mental state estimation using feature of eye movement
US20180125356A1 (en) Age estimation using feature of eye movement
WO2011092044A3 (en) Video stream processing
US20180144100A1 (en) Triggered sensor data capture in a mobile device environment
EP3045889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4510601A5 (ko)
US20220142135A1 (en) Insect specimen analysis system
CN112630799B (zh) 用于输出信息的方法和装置
US202300436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ving thing presence detection using a radar system
US2013032369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personal coordination analysis and training
US201202591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peak from biological signal
US20220030116A1 (en) Echo Detection
US20140095257A1 (en) Analyzing user actions in a social graph
WO2015082231A3 (en) Processor for processing skin conductance data and device for detecting at least one stage of burnout and/or chronic fatigue syndrome of a living being
US20210256250A1 (en) Method for predicting intention of user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JP2020511659A5 (ko)
CN106933247B (zh) 无人机的控制方法、装置及系统
US10984363B2 (en) Summarization of a recording for quality control
KR102136799B1 (ko) 뇌파로 타겟 오브젝트를 조작하는 장치 및 방법
US10166421B2 (en) Cognitive solution to enhance firefighting capabilities
US20230267029A1 (e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peration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10366602A1 (en) Signal-processing device, analysis system, signal-processing method, and signal-processing program
US20170300822A1 (en) Adaptive window size segmentation for activity recognition
KR102190458B1 (ko) 뇌-기계 접속 기술 체험용 교육 장치 및 방법
Rizk et al. Optimizing the automatic selection of spike detection thresholds using a multiple of the noise le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