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687B1 -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687B1
KR102136687B1 KR1020180074109A KR20180074109A KR102136687B1 KR 102136687 B1 KR102136687 B1 KR 102136687B1 KR 1020180074109 A KR1020180074109 A KR 1020180074109A KR 20180074109 A KR20180074109 A KR 20180074109A KR 102136687 B1 KR102136687 B1 KR 10213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matode
movement
led light
detected
irradi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312A (ko
Inventor
이진태
사티쉬쿠마라즈세이크룬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68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2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분석 방법은 독성 약물이 투여되어 움직임이 멈춘 선충에게 백색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선충을 동영상으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을 설정시간 동안 분석하여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선충이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선충에게 LED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충의 생존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수 치사 농도(LC50)의 독성 약물을 투여하여 움직임이 멈춘 선충에게 파란색 및 자외선 LED 조명을 조사하여 선충의 생존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분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NEMATODE DESTRUCTION ANALYSIS USING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를 조사하여 독성 약물을 투여한 선충의 생존 여부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형동물문(phylum Nematoda)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무척추 동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포식자가 없어 복제가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선충류는 생태계 내에서 유포되어 숙주 또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다양한 생물체를 감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선충류는 마약에 대한 신속한 저항성을 발달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기후 및 화학적 스트레스 요인에 저항력이 강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독성 화학 물질이나 살충제에 노출되면 선충류가 마비되거나 사멸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반수 치사량의 독성 화학 물질에 노출된 선충은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더라도 생존해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아이버멕틴(ivermectin)은 마비를 일으키며 인간의 혈액 순환시 마이크로필라리아(microfilariae)는 사멸하지만 성충은 사멸되지 않는다.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은 분자 생물학, 유전학 또는 약물 및 화학 물질의 독성 연구에 보편적인 모델로 간주된다. 예쁜꼬마선충 모델은 설치류 모델의 사용에 대한 대안을 제공한다. 프랭크 로텐버그(Frank R. Lautenberg) 21세기 법의 화학 안전은 미국 환경 보호국이 독성 시험에 "비 척추 동물" 모델을 사용할 가능성을 모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선충 생물 검사는 농업, 임업, 수의학, 분자 생물학, 신경 독성학, 유전 독성학 및 유전학을 포함한 여러 생물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최근 들어 박테리아나 효모에 감염된 예쁜꼬마선충이 생체내 항균력을 검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자세히는 전염성 약물 스크리닝 또는 납 화합물 독성 평가 분석에 선충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에는 육안으로 선충의 사멸 유무를 구별했기 때문에 정확한 판별이 어려웠다. 그 이유는 선충류 사망률의 지표로서 운동성이나 비 활동성의 부족을 사용하지만 선충류가 털갈이나 맹독에 노출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동작을 멈추고 있어 죽은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웜 사멸률을 평가할 때 높은 변동성 및 가양성 결과로 인해 실험데이터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충류의 독성 분석은 종종 액체 배지(M9) 완충액 또는 멸균 증류수에서 실시하며, 선충류 사멸률은 백색 투과광(360-760nm) 하에서 현미경 관찰 및 수동 계산 또는 알루미늄 와이어로 웜에 접촉하여 평가되나, 현재 액체 배지에서 선충류 사멸률을 계산하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은 부재한 실정이며, 유동 세포 계측법(COPASTM Biosort, 형광 활성 세포 분류 (FACS))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된 기술은 일부 실험실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비용 및 공정 제한으로 인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5749호(2013.10.01.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LED를 조사하여 독성 약물을 투여한 선충의 생존 여부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분석 방법은 독성 약물이 투여되어 움직임이 멈춘 선충에게 백색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선충을 동영상으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을 설정시간 동안 분석하여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선충이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선충에게 LED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충의 생존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백색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는 반수 치사 농도(LC50)의 독성 약물이 투여된 상기 선충에게 상기 백색 조명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LED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는 청색(Blue) LED 조명 또는 자외선(UV) LED 조명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LED 조명의 펄스 전류에 5초 이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픽셀값 변화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LED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선충에게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은, 독성 약물이 투여되어 움직임이 멈춘 선충에게 백색 조명과 LED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 모듈; 상기 조명이 조사된 선충을 동영상으로 기록하는 기록 모듈; 및 상기 동영상을 설정시간 동안 분석하여 설정시간 이내에 상기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선충이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선충이 사멸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반수 치사 농도(LC50)의 독성 약물을 투여하여 움직임이 멈춘 선충에게 파란색 및 자외선 LED 조명을 조사하여 선충의 생존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분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기록된 영상을 이용하여 선충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이용하여 생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abamectin)을 투여한 예쁜꼬마선충의 유충(C. elegans juveniles)의 생존률과 조명별 생존률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예쁜꼬마선충의 타임스탬프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소나무 재선충(B. xylophilus) 성충과 유충에 대해 백색 조명과 청색 LED 조명 및 자외선 LED 조명에서의 반응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충에게 조사되는 레이저 조명과 LED 조명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은, 조명 모듈(100), 기록 모듈(200) 및 판단 모듈(300)을 포함한다.
먼저, 조명 모듈(100)은 독성 약물이 투여되어 움직임이 멈춘 선충(400)에게 백색 조명(110)과 LED 조명(120 또는 130)을 조사한다.
이때, 조명 모듈(100)은, 반수 치사 농도(LC50)의 독성 약물이 투여된 선충(400)에게 백색 조명(110)을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은 청색(Blue) LED 조명(120) 또는 자외선(UV) LED 조명(130)이 적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 외에도 녹색(green) LED 조명이 더 적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록 모듈(200)은 조명이 조사된 선충(400)을 동영상으로 기록한다.
마지막으로 판단 모듈(300)은 현미경 이미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록된 동영상을 설정시간 동안 분석하여 설정시간 이내에 선충(4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되, 움직임이 감지되면 선충(400)이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선충(400)이 사멸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판단 모듈(300)은, 동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픽셀값 변화를 이용하여 선충(400)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한다.
백색 조명(110)을 조사한 선충(4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청색(Blue) LED 조명(120) 또는 자외선(UV) LED 조명(130)을 조사하여 선충(4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재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백색 조명(110)을 조사한 후 선충(4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조명 모듈(100)은 청색(Blue) LED 조명(120)을 조사하여 선충(400)의 움직임 여부를 재 판단하고, 재 판단 결과 선충(4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자외선(UV) LED 조명(130)을 이용하여 선충(400)의 움직임 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백색 조명(110) 조사 후 움직임이 멈춘 선충(400)에게 청색(Blue) LED 조명(120)과 자외선(UV) LED 조명(130)을 추가로 조사하여 총 3회에 걸쳐 선충(400)의 사멸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조명 모듈(100)은 LED 조명(120 또는 130)이 선충(400)에게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조사하고, 판단 모듈(300)은 LED 조명(120 또는 130)의 펄스 전류에 5초 이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방법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조명 모듈(100)이 독성 약물이 투여되어 움직임이 멈춘 선충에게 백색 조명을 조사한다(S310).
바람직하게는 반수 치사 농도(LC50)의 독성 약물이 투여된 선충(400)에게 백색 조명(110)을 조사한다.
그 다음 기록 모듈(200)이 선충(400)을 동영상으로 기록한다(S320).
그 다음 판단 모듈(300)이 S320 단계에서 기록된 동영상을 설정시간 동안 분석하여 선충(4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선충(400)이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고(S370),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선충(400)에게 LED 조명(120 또는 130)을 조사한다(S340).
판단 모듈(300)은 S320 단계에서 기록된 동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픽셀값 변화를 이용하여 선충(400)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고, 선충(400)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조명 모듈(100)은 청색(Blue) LED 조명(120) 또는 자외선(UV) LED 조명(130)을 조사한다.
이때, 조명 모듈(100)은 청색(Blue) LED 조명(120) 또는 자외선(UV) LED 조명(130)이 선충(400)에게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조사한다.
그 다음 판단 모듈(300)이 설정시간 이내에 선충(400)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350).
자세히는 LED 조명(120 또는 130)의 펄스 전류에 5초 이내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마지막으로, 판단 모듈(300)은 S350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선충(400)의 생존 유무를 검출하는데, 선충(400)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선충(400)이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고(S370),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선충(400)이 완전히 사멸한 것으로 판단한다(S360).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실험에 의해 입증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방법의 정확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는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abamectin)을 투여한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을 실험 대상으로 하며 백색 조명(110)과, 청색 LED 조명(120) 또는 자외선 LED 조명(130)을 이용하여 선충의 생존 유뮤를 분석한다.
이러한 실험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분석 방법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한 하나의 실험예이므로 독성 약물을 아바멕틴으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아바멕틴 이외에도 선충을 사멸시킬 수 있는 다른 종류의 독성 약물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abamectin)을 투여한 예쁜꼬마선충의 유충(C. elegans juveniles)의 생존률과 조명별 생존률을 비교한 도면이다.
자세히는 도 4의 A는 아바멕틴의 투여량에 따른 예쁜꼬마선충의 유충에 대한 생존률(그래프는 평균 ± SEMs로 표시됨. ** P <0.01 대 비처리 대조군 대비)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다양한 조명에 노출된 예쁜꼬마선충의 유충의 생존율 (그래프는 평균±SEMs로 표시됨. **P<0.01 대 백색 조명 컨트롤, 그리고 ***P<0.001 대 백색 조명 컨트롤)을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C는 조명별 선충의 움직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의 A에서와 같이 백색광으로 현미경 계수법을 이용하면 아바멕틴의 반수 치사량은 5㎍/mL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B에서와 같이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예쁜꼬마선충의 유충은 백색 조명(110)을 조사했을때의 평균 생존율은 38±9%로 나타났고, 청색 LED 조명(120)을 조사했을때의 평균 생존율은 80±8%(오차율 ~ 40 %)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LED 조명(130)을 조사했을때의 평균 생존율은 90±4%(오차율 ~ 50 %)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에서 알 수 있듯이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예쁜꼬마선충의 유충은 백색 조명(110)에서는 반응이 감지되지 않았고, 청색 LED 조명(120) 및 자외선 LED 조명(130)에서 각각 10초 및 2초 이내에 반응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예쁜꼬마선충의 타임스탬프 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성충에게 백색 조명(110)과 청색 LED 조명(120)을 각각 조사했을 때의 타임스탬프 영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유충에게 백색 조명(110)과 청색 LED 조명(120)을 각각 조사했을 때의 타임스탬프 영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와 B에서 모두 백색 조명(110)이 조사되었을때는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았고, 청색 LED 조명(120)이 조사되었을때는 움직임이 감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도 5의 B에 도시된 유충의 경우 청색 LED 조명(120)에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방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실험예에 사용된 예쁜꼬마선충 이외에 소나무 재선충에 아마벡틴 10㎍/mL를 투여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소나무 재선충(B. xylophilus) 성충과 유충에 대해 백색 조명과 청색 LED 조명 및 자외선 LED 조명에서의 반응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소나무 재선충(B. xylophilus)의 조명에 따른 생존률을 비교한 그래프(그래프는 평균 ±SEMs로 표시됨, ** P <0.01 대 백색 조명 제어 및 *** P <0.001 대 백색 조명 제어)이고, 도 6의 B는 소나무 재선충(B. xylophilus) 성충에 청색 LED 조명(120)을 조사한 뒤 10초가 경과된 후의 영상이고, 도 6의 C는 반수 치사량의 아바멕틴을 투여한 소나무 재선충(B. xylophilus)에 각각 백색 조명(110), 청색 LED 조명(120) 및 자외선 LED 조명(130)을 조사했을 때 움직임 변화를 나타낸 영상이다.
도 6의 A에서 백색 조명(110)을 조사했을때의 평균 생존율은 24±4%로 나타났고, 청색 LED 조명(120)을 조사했을때의 평균 생존율은 51±2%(오차율 ~ 27%)로 나타났으며, 자외선 LED 조명(130)을 조사했을때의 평균 생존율은 61±2%(오차율 ~ 37 %)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백색 조명(110)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계수하였던 종래의 방법은 오차율이 매우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청색 LED 조명(120) 또는 자외선 LED 조명(13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계수하는 방법은 오차율이 확연하게 낮아졌음을 확인할 수있다.
또한, 도 6의 C의 i는 청색 LED 조명(120)에서 10초 후 움직임이 포착되었고, 자외선 LED 조명(130)에서 2초 후 움직임이 포착된 것으로 판단되어 사멸한 것처럼 보였던 소나무 재선충(B. xylophilus)이 생존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C의 ii는 청색 LED 조명(120)과 자외선 LED 조명(130)에서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소나무 재선충(B. xylophilus)이 진짜 사멸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충에게 조사되는 레이저 조명과 LED 조명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레이저 광의 간섭성 빔이 선충의 국부 위치에 조사된 것을 나타내고, 도 7의 B는 LED 광의 비 간섭성 빔이 선충의 표면 전체에 조사된 것을 나타낸다.
도 7의 A는 레이저 조명이 샘플(선충)의 국부 위치에만 조사되므로 샘플이 사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7의 B에서와 같이 비 간섭성 LED 조명이 샘플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LED 조명의 전력 분포는 50마리 또는 그 이상의 선충을 포함하는 샘플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어 빠른 시간내에 생존 또는 사멸한 선충을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반수 치사 농도(LC50)의 독성 약물을 투여하여 움직임이 멈춘 선충에게 파란색 및 자외선 LED 조명을 조사하여 선충의 생존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분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기록된 영상을 이용하여 선충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이용하여 생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조명 모듈 110 : 백색 조명
120 : 청색 LED 조명 130 : 자외선 LED 조명
200 : 기록 모듈 300 : 판단 모듈
400 : 선충

Claims (12)

  1.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분석 방법에 있어서,
    반수 치사 농도(LC50)의 독성 약물이 투여되어 움직임이 멈춘 선충에게 백색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선충을 동영상으로 기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을 설정시간 동안 분석하여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선충이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선충에게 LED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
    상기 LED 조명의 펄스 전류에 5초 이내에 상기 동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픽셀값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선충의 생존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을 조사하는 단계는,
    상기 백색 조명을 조사한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청색(Blue) LED 조명을 조사하여 선충의 움직임 여부를 재 판단하고, 재 판단 결과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자외선(UV) LED 조명을 조사하여 선충의 움직임 여부를 최종 판단하되, 상기 LED 조명이 선충에게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조사하는 선충 사멸 분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반수 치사 농도(LC50)의 독성 약물이 투여되어 움직임이 멈춘 선충에게 백색 조명과 LED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 모듈;
    상기 조명이 조사된 선충을 동영상으로 기록하는 기록 모듈; 및
    상기 동영상을 설정시간 동안 분석하여 상기 LED 조명의 펄스 전류에 5초 이내에 상기 동영상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픽셀값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되, 움직임이 감지되면 상기 선충이 살아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선충이 사멸한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판단 모듈은,
    상기 백색 조명을 조사한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청색(Blue) LED 조명을 조사하여 선충의 움직임 여부를 재 판단하고, 재 판단 결과 선충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자외선(UV) LED 조명을 조사하여 선충의 움직임 여부를 최종 판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선충에게 상기 LED 조명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조사하는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74109A 2018-06-27 2018-06-27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09A KR102136687B1 (ko) 2018-06-27 2018-06-27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109A KR102136687B1 (ko) 2018-06-27 2018-06-27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12A KR20200001312A (ko) 2020-01-06
KR102136687B1 true KR102136687B1 (ko) 2020-07-22

Family

ID=6915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109A KR102136687B1 (ko) 2018-06-27 2018-06-27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6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777B1 (ko) * 1998-12-23 2002-06-24 이상일 윤충류또는갑각류를이용한독성조사방법
KR101314633B1 (ko) * 2011-01-28 2013-10-04 (주)제이엠이엔비 생물 독성 시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024036B1 (ko) * 2011-01-28 2011-03-22 (주)청암휴엔텍 질산화 박테리아를 이용한 생태 독성 감지 시스템
KR101886796B1 (ko) * 2016-12-06 2018-08-09 한국화학연구원 토양의 독성 평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12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3768B (zh) 光子栅栏
Colin et al. Fluvalinate resistance of Varroa jacobsoni Oudemans (Acari: Varroidae) in mediterranean apiaries of France
Martín-Vega et al. 3D virtual histology at the host/parasite interface: visualisation of the master manipulator, Dicrocoelium dendriticum, in the brain of its ant host
O’Callaghan et al. New live screening of plant-nematode interactions in the rhizosphere
Rajasekharan et al. LED based real-time survival bioassays for nematode research
Pichler et al. Th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air cells encoding mechanical stimuli in the lateral line of zebrafish
Saveer et al. Characterization of chemosensory responses on the labellum of the malaria vector mosquito, Anopheles coluzzii
Sprando et al. A method to rank order water soluble compounds according to their toxicity using Caenorhabditis elegans, a Complex Object Parametric Analyzer and Sorter, and axenic liquid media
Tamizhazhagan et al. The toxicity effect of monocrotophos 36% e. C on the haematology, Labeo rohita (Hamilton, 1882)
WO2020218501A1 (ja) 線虫トラップ用プレート、およびその利用
US20210298297A1 (en) Mosquito attractants
van Roy et al. Optical identification of bumblebee species: effect of morphology on wingbeat frequency
Arenas et al. Early olfactory experience modifies neural activity in the antennal lobe of a social insect at the adult stage
Staniek et al. Odour of domestic dogs infected with Leishmania infantum is attractive to female but not male sand flies: Evidence for parasite manipulation
KR102136687B1 (ko) Led를 이용한 선충 사멸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Hu et al. StyletChip: a microfluidic device for recording host invasion behaviour and feeding of plant parasitic nematodes
Villarini et al. In vitro genotoxicity of terbutryn evaluated by the alkaline single-cell microgel-electrophoresis" comet" assay
Venkataraman et al. Acute toxicity and blood profile of freshwater fish, Clarias batrachus (Linn.) exposed to malathion
Tariq et al. Using head-mounted ethanol sensors to monitor olfactory information and determine behavioral changes associated with ethanol-plume contact during mouse odor-guided navigation
Caballero‐Huertas et al. Reviewing Pseudoloma neurophilia infections in the popular zebrafish model
Fuehrer et al. Endoparasites of rodents from the Chittagong Hill Tracts in Southeastern Bangladesh.
Seo et al. Rapid eco-toxicity analysis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HNS) using morphological change detection in Dunaliella tertiolecta
Zhu et al. Comparison of modes of action between fish and zebrafish embryo toxicity for baseline, less inert, reactive and specifically-acting compounds
Muid et al. Zinc phosphide induced DNA damage in the blood cells of Gallus sp. using comet DNA assay
Slobodyanik et al. Blood morphology in dogs with dirofilaria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