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97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973B1
KR102135973B1 KR1020130036050A KR20130036050A KR102135973B1 KR 102135973 B1 KR102135973 B1 KR 102135973B1 KR 1020130036050 A KR1020130036050 A KR 1020130036050A KR 20130036050 A KR20130036050 A KR 20130036050A KR 102135973 B1 KR102135973 B1 KR 102135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ice
refrigerator
driving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217A (ko
Inventor
정진
김도형
서국정
손봉수
안병석
장도윤
박경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973B1/ko
Priority to EP14159523.1A priority patent/EP2787307B1/en
Priority to US14/230,366 priority patent/US9664429B2/en
Priority to CN201410130973.7A priority patent/CN104101166B/zh
Publication of KR20140120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6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therwise than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04Friction clutches with means for actuating or keeping engaged by a force derived at least partially from one of the shafts to be connected
    • F16D13/06Friction clutches with means for actuating or keeping engaged by a force derived at least partially from one of the shafts to be connected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therwise than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10Friction clutches with clutch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a wheel-rim,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6Ice-crusher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냉장고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커플러와, 구동 커플러의 구동력을 이송 부재에 전달하는 연결 부재로서, 구동 커플러와의 연결 과정 중에 구동 커플러와의 간섭이 발생한 경우에 회전하되, 소정의 각도에서 이송 부재와는 무관하게 공회전하는 연결 부재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송 부재에 얼음의 로드가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연결 부재가 자연스럽게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커플러와 연결 부재는 충격없이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아이스 버킷의 이송 부재와, 이송 모터 간의 동력 전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저장하는 가전 기기이다. 냉장고에는 사용의 편리성을 위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특히, 얼음을 생성하고,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고, 저장된 얼음을 디스펜서로 토출시키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제빙 장치가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자동 제빙 장치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과, 아이스 버킷의 얼음을 이송시키도록 아이스 버킷의 내부에 마련되는 이송 부재와, 이송 부재를 구동시키는 이송 모터를 포함한다. 이송 부재는 커플링 장치를 통해서 이송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커플링 장치는 이송 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종동 커플러와,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구동 커플러로 구성되고,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가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가 구동되면 구동 모터의 구동력이 이송 부재로 전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동 커플러는 종동 커플러 측으로 돌출되는 절곡부들을 갖고, 종동 커플러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리브들을 갖는다.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가 연결되면, 종동 커플러의 리브들의 사이에 구동 커플러의 절곡부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구동 커플러가 회전하면 구동 커플러의 절곡부가 종동 커플러의 리브의 측면에 접촉되어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를 연결하는 중에, 구동 커플러의 절곡부가 종동 커플러의 리브의 전면에 충돌되어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를 연결하려고 할 때에 구동 커플러의 절곡부와 종동 커플러의 리브가 서로 간섭되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충돌로 인한 충격으로 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며,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의 연결을 위해 아이스 버킷을 뺏다가 다시 장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이스 버킷을 이송 모터에 장착할 시에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의 위치에 무관하게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가 큰 충격 없이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는 커플링 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즉,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를 연결하려고 할 때에 구동 커플러의 절곡부와 종동 커플러의 리브가 서로 간섭되는 위치에 있어도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의 연결이 가능한 커플링 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외관 디자인이 향상되고 사용자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는 커플링 장치를 갖는 냉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와,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과, 상기 아이스 버킷의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부재;와, 상기 이송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결합되는 구동 커플러; 및 상기 구동 커플러의 구동력을 이송 부재에 전달하는 연결 부재로서, 상기 구동 커플러와의 연결 과정 중에 상기 구동 커플러와의 간섭이 발생하여도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상기 이송 부재와 무관하게 공회전함으로써 연결 과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부재에 느슨하게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연결 부재의 리브에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연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이송 부재의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중공을 갖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원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반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리브가 통과하는 통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과홈은 상기 연결 부재가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상기 지지 부재를 가압하지 않고 혼자 공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리브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연결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위치 조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는 지지 부재 및 이송 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지지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이송 부재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부재의 공회전 방향은 상기 연결 부재가 구동력을 상기 이송 부재에 전달하도록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제빙 장치;와,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저장된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부재를 갖는 아이스 버킷;과,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커플러; 및 상기 이송 부재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종동 커플러; 를 포함하고, 상기 종동 커플러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 중 일부의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구동 커플러와의 결합 시에 상기 구동 커플러의 가압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후퇴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 중에 일부의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구동 커플러에 가압되어 축방향을 따라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구동 커플러는 상기 후퇴한 슬라이드 부재에 인접한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동 커플러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동 커플러는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를 지지하는 필러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동 커플러는 상기 필러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 커플러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가할 때, 상기 구동 커플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면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커플러는 삽입 돌기와, 상기 도어의 개방 시에 상기 삽입 돌기를 히든시키도록 상기 삽입 돌기의 외부에 진퇴 가능하게 마련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가 상기 삽입 돌기를 히든시키도록 상기 커버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아이스 버킷을 이송 모터에 장착할 시에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의 위치에 관계없이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버킷은 도어에 마련되고 이송 모터는 본체에 마련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의 개방 시에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가 히든되므로, 냉장고의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커플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가 이송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의 기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를 연결할 때 충돌이 발생하여 종동 커플러의 연결 부재가 시계 방향으로 공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이어서 구동 모터가 구동하여 구동 커플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이어서 구동 커플러가 종동 커플러의 리브의 측면에 접촉하여 연결 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어에 제빙 장치가 마련되고 본체에 구동 장치가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11는 도 10의 냉장고의 구동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의 냉장고의 구동 장치의 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0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의 단면도.
도 15는 도 10의 냉장고의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가 결합될 때 삽입 돌기가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를 밀고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구동 모터가 구동되어 삽입 돌기가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0의 냉장고의 슬라이드 부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냉장고(1)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저장실(20,21)과, 저장실(20,21)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1)과, 외상(11)의 내측에 마련되어 저장실(20,21)을 형성하는 내상(12)과, 외상(11)과 내상(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저장실(20,21)을 단열시키는 단열재(13)를 포함한다.
저장실(20,21)은 수평 격벽(22)에 의해 상부의 냉장실(20)과 하부의 냉동실(21)로 구획될 수 있다. 냉장실(20)은 식품을 출납할 수 있도록 전면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개방된 전면은 냉장실 도어(20a)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0a)는 힌지 부재(23)에 의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0a)의 배면에는 도어 포켓(24)이 마련될 수 있다.
냉동실 도어(21a)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냉동실 도어(21a)의 배면에는 바스켓이 마련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압축기(14)와, 응축기(15)와, 증발기(16)와, 팽창 밸브(미도시)와, 송풍팬(17)을 포함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냉각 사이클을 순환시켜 냉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냉기를 저장실(20,21)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냉장실(20)의 상부 일측에는 냉장실(20)과 구획되는 제빙실(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빙실(26)은 구획벽(27)에 의해 냉장실(20)과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실(26)은 제빙실(26)의 내부로 연장되는 냉매관(29)으로부터 직접 냉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러나, 도시하지는 않지만, 제빙실(26) 외부에서 생성된 냉기가 별도의 덕트를 통해서 제빙실(26) 내부로 공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빙실(26)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와,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30)이 마련된다.
제빙 장치는 물을 제공받아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트레이(40)와, 제빙 트레이(40)의 얼음을 제빙 트레이(40)에서 분리시키는 스크레이퍼(4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30)에는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50)와, 얼음을 분쇄시키는 분쇄 장치(55)가 마련될 수 있다.
냉장실 도어(20a)에는 냉장실 도어(20a)를 열지 않고서도 제빙실(26)의 얼음 또는 냉장실(20)의 물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6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펜서(60)는 취출공간(61)과, 작동 스위치(62)와, 아이스 버킷(30)의 토출구(31)와 취출공간(61)을 연결시키는 슈트(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부재(50)는 대략 나선 형상을 갖고,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부재(50)가 회전하면 아이스 버킷(50)의 얼음은 수평 방향으로 분쇄 장치(55) 또는 토출구(3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송 부재(50)는 제빙실(26)에 마련된 구동 모터(70)로부터 구동력을 공급받는다. 특히, 구동 모터(70)는 제빙실(26)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데 반해, 아이스 버킷(30)은 제빙실(26)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70)와 이송 부재(50)에는 아이스 버킷(30)이 제빙실(26)에서 분리되면 상호 연결이 해제되고 아이스 버킷(30)이 제빙실(26)에 장착되면 상호 연결되어 동력을 주고받을 수 있는 커플링 장치가 마련된다.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커플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가 이송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의 기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커플링 장치는 구동 모터(70)의 구동축(71)에 결합되는 구동 커플러(100)와, 이송 부재(50)의 회전축(51)에 결합되는 종동 커플러(200)로 구성된다. 종래 이러한 커플링 장치에서 문제가 되었던 것은 아이스 버킷(30)이 제빙실(26)에 장착될 때 구동 커플러(100)와 종동 커플러(200)가 충돌하면서 상호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이었다.
본원 발명의 커플링 장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아이스버킷(30)이 제빙실(26)에 장착될 때, 구동 커플러(100)와 종동 커플러(200)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원 발명의 커플링 장치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커플러(100)는 대략 'ㄷ'자 꺽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 커플러(100)는 축공(111)이 형성되는 지지부(110)와, 지지부(110)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축공(111)에는 구동 모터(70)의 구동축(71)이 결합될 수 있다. 구동 커플러(100)는 구동축(7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절곡부(120)는 종동 커플러(200)의 리브(212)의 전면에 충돌한 경우에 리브(212)를 가압하여 공회전시키기 위한 경사면(120a)과, 리브(212)의 측면을 가압하여 종동 커플러(20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가압면(120b)을 갖는다.
한편, 종동 커플러(200)는 이송 부재(5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이송 부재(50)에 결합되되 구동 커플러(100)와의 연결 과정에서 구동 커플러(100)와의 간섭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송 부재(50)에 대해 소정 각도 상대 회전함으로써 간섭이 해소되고 따라서 연결 과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이송 부재(50)에 느슨하게 결합되는 연결 부재(210)와, 이송 부재(50)에 결합되어 연결 부재(210)와 이송 부재(50)와의 느슨한 결합을 매개하는 지지 부재(220) 및 고정 부재(230)와, 연결 부재(210)의 지지 부재(22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도록 연결 부재(210)와 지지 부재(220)를 연결하는 위치 조정 스프링(24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210)는 원통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211)와, 가이드부(211)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고 구동 커플러(100)의 절곡부(120)에 접촉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리브(212)와, 위치 조정 스프링(24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제 1 스프링 결합부(213)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211)는 바닥벽(211a)과 측벽(211b)과 내부 공간(211c)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211)는 개방된 일면을 가질 수 있다. 바닥벽(211a)에는 이송 부재 회전축(51)과 고정 부재(230)가 관통하는 관통공(211d)이 형성된다. 바닥벽(211a)의 외측으로는 아이스 버킷(30)에 지지되는 지지벽(211e)이 돌출된다.
한편, 구동 커플러(100)와의 연결 과정에서 구동 커플러(100)의 절곡부(120)의 가압면(120b)이 리브(212)의 전면에 충돌하면 리브(212)에 회전력이 가해진다. 이때, 연결 부재(210)는 이송 부재(50)와는 무관하게 공회전하게 된다.
만약, 구동 커플러(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력을 전달한다고 할 때, 연결 부재(210)의 공회전의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왜냐하면, 구동 커플러(100)의 절곡부(120)의 경사면(120a)은 연결 부재(210)를 가압면(120b)의 반대측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이다.
지지 부재(220)는 연결 부재(2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연결 부재(210)의 리브(212)에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지지 부재(220)는 연결 부재(210)의 내부 공간(211c)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220)는 중공(221a)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몸통부(221)와, 몸통부(221)의 일단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부(211)의 측벽(211b)을 지지하는 원반부(222)와, 몸통부(221)의 타단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이드부(211)의 바닥벽(211a)을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223)와, 위치 조정 스프링(240)의 타단이 결합되는 제 2 스프링 결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원반부(222)의 반경은 대략 연결 부재(210)의 내주면의 반경에 대응되거나 다소 작을 수 있다. 원반부(222)에는 연결 부재(210)의 리브(212)가 통과하는 통과홈(222a)이 형성된다.
이 통과홈(222a)은 리브(212)가 소정 각도 범위에서 지지 부재(220)를 가압하지 않고 혼자 회전할 수 있도록 리브(212)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리브(212)와, 통과홈(222a)의 에지(222b) 사이에는 연결 부재(210)가 접촉하지 않고 공회전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D,도 6)이 형성된다.
위치 조정 스프링(240)은 연결 부재(210)에 마련되는 제 1 스프링 결합부(213)에 일단이 결합되고, 지지 부재(220)에 마련되는 제 2 스프링 결합부(224)에 타단이 결합된다. 위치 조정 스프링(240)은 코일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위치 조정 스프링(240)은 구동 커플러(100)에 의해 연결 부재(210)에 가해지는 가압이 사라지는 경우에 연결 부재(210)를 초기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즉, 위치 조정 스프링(240)은 연결 부재(210)의 리브(212)와 통과홈(222a)의 에지(222b) 사이에 소정 간격(D)이 형성되도록 연결 부재(210)를 탄성 지지한다.
고정 부재(230)는 지지 부재(220)를 이송 부재(50)에 결합시킨다. 고정 부재(230)는 지지 부재(22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 부재(230)는 지지 부재(220)의 중공(221a)에 삽입되어 지지 부재(220)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일례로 지지 부재(220)의 중공(221a)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고정 부재(230) 역시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지지 부재(220)와 고정 부재(23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230)는 이송 부재(50)에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일례로 고정 부재(230)에는 이송 부재 회전축(51)이 삽입될 수 있는 암나사부(231a)가 형성되고, 이송 부재 회전축(51)에는 암나사부(231a)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52)가 형성되어, 고정 부재(231a)와 이송 부재 회전축(51)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지 부재(220)와 고정 부재(230)와 이송 부재(50)는 모두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0)와 고정 부재(230)와 이송 부재(50)를 일체로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고정 부재(230)는 지지 부재(220) 및 이송 부재(50)에 결합되는 몸체부(231)와, 지지 부재(2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몸체부(213)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냉장고의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를 연결할 때 충돌이 발생하여 종동 커플러의 연결 부재가 시계 방향으로 공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이어서 구동 모터가 구동하여 구동 커플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이어서 구동 커플러가 종동 커플러의 리브의 측면에 접촉하여 연결 부재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시작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다른 냉장고의 커플링 장치의 동작을 정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커플러(100)와 종동 커플러(200)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종동 커플러(200)의 연결 부재(210)는 위치 조정 스프링(240)에 의해 기본 위치로 탄성 지지된다.
즉, 연결 부재(210)의 리브(212)와 지지 부재(220)의 사이에는 연결 부재(210)가 공회전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D)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커플러(100)와 종동 커플러(200)가 연결을 해 접근할 때, 구동 커플러(100)가 연결 부재(210)의 리브(212)의 전면에 간섭되어 충돌하면, 구동 커플러(100)의 경사면(120a)에 의해 리브(212)에 회전력이 가해지고 연결 부재(2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결 부재(210)가 회전하더라도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리브(212)가 지지 부재(220)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연결 부재(210)의 회전력은 지지 부재(220)에 전달되지 않으며 연결 부재(210) 혼자만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210)가 소정 각도 범위에서 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이유는 아이스 버킷(30)에 저장된 얼음의 로드로 인해 이송 부재(50)가 회전하기 어려운 경우에도 이송 부재(50)와 무관하게 연결 부재(210)는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아이스 버킷(30)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 부재(50)에 로드를 주고 있는 상황에서도 연결 부재(210)는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으며, 이로써, 구동 커플러(100)의 절곡부(120)는 연결 부재(210)의 리브(212)의 측방으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고 구동 커플러(100)와 종동 커플러(200)는 원활하게 연결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구동 모터(70)가 구동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커플러(100)가 회전할 수 있다. 계속 회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커플러(100)의 절곡부(120)의 가압면(120b)이 연결 부재(210)의 리브(212)의 측면을 가압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0은 도어에 제빙 장치가 마련되고 본체에 구동 장치가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301)는 본체(310)와, 본체(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320)과, 저장실(32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냉기 공급 장치는 저장실(320)을 영하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저장실(320)은 냉동실일 수 있다.
본체(310)는 저장실(320)을 형성하는 내상(312)과, 내상(312)의 외측에 결합되는 외상(311)과, 내상(312)과 외상(311)의 사이에 배치되는 단열재(313,도 12)를 포함한다. 단열재(313)로는 발포 우레탄 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내상(312)과 외상(311)을 결합한 후에 내상(312)과 외상(311)의 사이에 우레탄 원액을 발포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본체(310)에는 저장실(3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도어(320a)가 힌지(3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어(320a)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340)와, 제빙 장치(34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330)이 마련된다. 제빙 장치(340)는 저장실(320)의 냉기에 의해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330)은 제빙 장치(34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도어(320a)의 배면에 마련된다. 아이스 버킷(330)은 제빙 장치(340)에서 낙하된 얼음을 수용하는 저장 공간(331)과, 얼음을 분쇄할 수 있는 분쇄 공간(332)을 가질 수 있다.
저장 공간(331)과 분쇄 공간(332)은 상호 수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분쇄 공간(332)의 하부에는 아이스 버킷(330)의 얼음이 토출되는 토출구(334)가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334)는 얼음을 디스펜서의 취출 공간으로 안내하는 슈트(3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스 버킷(330)에는 얼음을 이송시키는 이송 부재(335)와, 얼음을 분쇄하는 분쇄 장치(336)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 부재(335)는 대략 나선 형상을 갖고,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부재(335)가 회전하면 아이스 버킷(330)의 얼음은 수평 방향으로 분쇄 장치(336) 또는 토출구(334)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체(310)에는 이송 장치 및 분쇄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가 마련된다.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370,도 12)와 구동 모터(370)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380)을 포함한다.
한편, 냉장고는 이와 같이 도어(320a)의 배면에 마련되는 아이스 버킷(330)의 이송 부재(335)와, 본체(310)에 마련되는 구동 모터(370) 간에 동력 전달을 위한 커플링 장치를 구비한다.
커플링 장치는 구동 모터(370)의 구동축(370a)에 결합되는 구동 커플러(400 )와, 이송 부재(335)의 회전축(335a)에 결합되는 종동 커플러(500)로 구성된다. 도어(320a)의 개방 시에 구동 커플러(400)와 종동 커플러(500)는 상호 분리되고, 도어(320a)의 폐쇄 시에는 구동 커플러(400)와 종동 커플러(500)는 상호 연결되어 동력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 본원 발명의 커플링 장치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1는 도 10의 냉장고의 구동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의 냉장고의 구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370)와 구동 모터(370)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380)을 포함한다. 구동 모터(370)의 구동력은 전동부(381)를 통해 적절히 감속되어 구동축(370a)으로 전달된다. 전동부(381)는 감속 기어 또는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커플러(400)는 구동축(370a)에 결합되어 구동축(370a)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커플러(400)는 연결 브라켓(410)을 통해 구동축(370a)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410)은 대략 'ㄷ' 자의 꺽쇠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동축(370a)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축(370a)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축(370a)에는 연결 브라켓(410)을 고정하기 위한 너트(420)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 커플러(400)는 제 1 결합부(430)와, 커버(460)와, 제 1 스프링(47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430)는 연결 브라켓(410)에 결합되어 연결 브라켓(4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 1 결합부(430)는 대략 원반 형태를 갖는 원반부(431)와, 원반부(431)에서 돌출되는 삽입 돌기(432)를 포함할 수 있다. 원반부(431)에는 제 1 스프링(470)을 지지할 수 있는 스프링 지지부(43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결합부(430)는 종동 커플러(500)의 제 2 결합부(510,도 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결합부(430)의 삽입 돌기(432)는 제 2 결합부(510)의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도 15) 중 일부의 슬라이드 부재(520a,도 17)와, 필러 부재(530,도 15)를 밀고 들어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 모터(370)가 구동되면, 삽입 돌기(432)는 밀고 들어간 슬라이드 부재(520a)에 인접한 슬라이드 부재(520b)의 측면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커버(460)는 도어(320a)의 개방 시에 삽입 돌기(432)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 돌기(432)를 히든시킬 수 있다. 여기서, 히든시킨다는 의미는 삽입 돌기(432)가 돌출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는 의미이다. 즉, 커버(460)가 삽입 돌기(432)의 상면부(432a)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삽입 돌기(432)의 측면부(432b)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삽입 돌기(432)가 히든되면, 외관 디자인이 향상될 수 있고, 사용자가 냉장고의 사용 중에 삽입 돌기(432)에 접촉되어 부상 및 불편을 겪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커버(460)는 삽입 돌기(432)가 통과하는 개구(461)를 갖는다. 커버(460)는 삽입 돌기(432)의 외부에서 삽입 돌기(432)를 히든시키거나 또는 노출시킬 수 있도록 모터 구동축(370a)의 축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하게 마련된다.
커버(460)는 제 1 스프링(47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제 1 스프링(4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돌기(432)의 양측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제 1 스프링(470)은 삽입 돌기(432)를 히든시키도록 커버(460)를 탄성 지지한다. 제 1 스프링(470)은 압축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커버(460)는 종동 커플러(500)의 가이드부(505)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축방향을 따라 후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삽입 돌기(432)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가압이 사라지면 제 1 스프링(470)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460)는 다시 삽입 돌기(432)를 히든시키는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모터 하우징(380)은 제 1 모터 하우징(382)과, 제 2 모터 하우징(38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모터 하우징(382)은 내상(312)과 외상(311)의 사이에 단열재(313)를 파고 들어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모터 하우징(382)은 내상(312)과 단열재(3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1 모터 하우징(382)은 저장실(320) 측으로 개구된다.
이때, 단열재를 발포시키기 전에 내상(312)에 제 1 모터 하우징(382)을 임시로 고정시키고, 제 1 모터 하우징(382)이 내상(312)에 가고정된 후에 단열재를 발포시킴으로써, 단열재의 자체의 접착력을 통해서 제 1 모터 하우징(382)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모터 하우징(385)은 제 1 모터 하우징(382)의 개구에 결합된다. 제 2 모터 하우징(385)과 제 1 모터 하우징(382)은 각각 결합공(386,383)을 갖고,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결합공(386,383)에 체결될 수 있다.
제 2 모터 하우징(385)은 구동 모터(37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387)을 형성하도록 저장실(320) 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88)를 갖는다.
또한, 제 2 모터 하우징(385)에는 제 1 결합부(430)와 제 2 결합부(510)의 결합 시에는 제 2 결합부(510)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389)가 형성된다.
한편, 저장실(320)에는 부피가 얇고 작은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미니 드로어(39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미니 드로어(390)는 제 2 모터 하우징(385)의 돌출부(388)를 가려서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다. 제 2 모터 하우징(385)의 돌출부(388)가 미니 드로어(390)에 의해 가려져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0의 냉장고의 종동 커플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냉장고의 구동 커플러와 종동 커플러가 결합될 때 삽입 돌기가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의 일부를 밀고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구동 모터가 구동되어 삽입 돌기가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0의 냉장고의 슬라이드 부재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종동 커플러(500)는 베이스부(510)와, 가이드부(505)와, 제 2 결합부(510)와, 복수의 제 2 스프링(540)과, 제 3 스프링(5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결합부(510)는 다시 원주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와,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는 필러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가이드부(505)를 지지한다. 베이스부(510)는 이송 부재(335)에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베이스부(510)는 이송 부재 회전축(335a)이 결합되는 축공(510a)과, 베이스부(51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아이스 버킷(330)에 지지되는 플랜지부(510b)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505)는 베이스부(510)의 내부 공간에 베이스부(510)에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부(505) 역시 이송 부재의 회전축(335)에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가이드부(505)와, 베이스부(510)와, 이송 부재(335)는 함께 회전한다.
가이드부(505)에는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와, 복수의 제 2 스프링(540)과, 필러 부재(530)와, 제 3 스프링(55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506)이 마련된다. 수용공간(506)을 구획하는 가이드벽(507)은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와, 필러 부재(530)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 2 결합부(510)는 구동 커플러의 제 1 결합부(430)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것으로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는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와,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어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를 지지하는 필러 부재(530)를 포함한다.
각각의 슬라이드 부재(520)는 상호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드 부재(520)는 이송 부재(335)의 축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필러 부재(530) 역시 축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할 수 있다.
각각의 슬라이드 부재(520)는 제 1 결합부(430)의 삽입 돌기(432)에 접촉되는 슬라이드 접촉면(521)을 갖고, 필러 부재(530) 역시 제 1 결합부(430)의 삽입 돌기(432)에 접촉되는 필러 접촉면(531)을 갖는다.
제 2 결합부(510)를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바라볼 때, 복수의 슬라이드 접촉면(521)은 원주 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고 실질적으로 상호 빈틈이 없이 나열된다. 또한, 외곽의 복수의 슬라이드 접촉면(521)과 중앙의 필러 접촉면(531) 역시 실질적으로 상호 빈틈이 없이 나열된다.
따라서, 제 2 결합부(510)를 외측에서 축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 2 결합부(510)는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와, 필러 부재(530)에 의해 완전히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슬라이드 부재(520)는 제 2 스프링(54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고, 필러 부재(530) 역시 제 3 스프링(550)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와, 필러 부재(530)는 복수의 슬라이드 접촉면(521)과, 필러 접촉면(531)이 대략 편평하게 형성되도록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20a)의 개방 시에 종동 커플러(500)는 울퉁 불퉁하지 않고 편평한 접촉면을 가지므로 외관 디자인을 해치지 않는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20a)가 닫히면서 삽입 돌기(432)가 제 2 결합부(510)에 접촉할 때, 삽입 돌기(432)는 제 2 결합부(510)의 복수의 슬라이드 부재(520) 중에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있는 일부의 슬라이드 부재(520a)와, 중앙의 필러 부재(530)를 밀고 들어 갈 수 있다.
이때, 밀려 들어간 일부의 슬라이드 부재(520a)와, 밀려 들어간 필러 부재(53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한다.
이 상태에서 구동 모터(370)가 구동 되어 삽입 돌기(432)가 회전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돌기(432)는 밀려 들어간 슬라이드 부재(520a)에 인접한 슬라이드 부재(520b)의 측면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돌기(432)의 회전력이 슬라이드 부재(520)에 더욱 잘 전달될 수 있도록 각각의 슬라이드 부재(520)의 측면은 삽입 돌기에 면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슬라이드 부재(520)는 삽입 돌기(432)에 면접촉하는 면접촉부(522)를 가질 수 있다.
구동 모터(370)가 정지되고 도어(320a)가 개방되면, 밀려 들어 갔던 슬라이드 부재(520b) 및 필러 부재(530)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 위치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커플링 장치는 도어(320a)가 닫히면서 구동 커플러(400)와 종동 커플러(500)의 연결 시에 구동 커플러(400)의 위치에 상관 없이 항상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외관 및 안전성이 향상되고, 구동 커플러(400)의 삽입 돌기(432)와 종동 커플러(500)의 슬라이드 부재(520)가 면접촉하게 되므로 동력 전달의 효율이 향상된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냉장고 100 : 구동 커플러
200 : 종동 커플러 210 : 연결 부재
212 : 리브 220 : 지지 부재
222a : 통과 홈 230 : 고정 부재
400 : 구동 커플러 500 : 종동 커플러
520 : 슬라이드 부재 530 : 필러 부재
540 : 제 2 스프링 550 : 제 3 스프링

Claims (17)

  1.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장치;
    상기 제빙 장치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상기 아이스 버킷의 얼음을 이송하는 이송 부재;
    상기 이송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결합되는 구동 커플러;
    상기 구동 커플러의 구동력을 이송 부재에 전달하는 연결 부재로서, 상기 구동 커플러와의 연결 과정 중에 상기 구동 커플러와의 간섭이 발생하여도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상기 이송 부재와 무관하게 공회전함으로써 연결 과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부재에 느슨하게 결합되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의 리브에 접촉하여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연결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이송 부재의 회전축에 결합시키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중공을 갖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원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부는 상기 연결 부재의 리브가 통과하는 통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홈은 상기 연결 부재가 소정 각도의 범위에서 상기 지지 부재를 가압하지 않고 혼자 공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리브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상기 연결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를 연결하는 위치 조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지지 부재 및 이송 부재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지지 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이송 부재는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의 공회전 방향은 상기 연결 부재가 구동력을 상기 이송 부재에 전달하도록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036050A 2013-04-02 2013-04-02 냉장고 KR10213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50A KR102135973B1 (ko) 2013-04-02 2013-04-02 냉장고
EP14159523.1A EP2787307B1 (en) 2013-04-02 2014-03-13 Refrigerator
US14/230,366 US9664429B2 (en) 2013-04-02 2014-03-31 Coupling mechanism for an ice bucke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ice bucket
CN201410130973.7A CN104101166B (zh) 2013-04-02 2014-04-02 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050A KR102135973B1 (ko) 2013-04-02 2013-04-02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217A KR20140120217A (ko) 2014-10-13
KR102135973B1 true KR102135973B1 (ko) 2020-07-21

Family

ID=5028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050A KR102135973B1 (ko) 2013-04-02 2013-04-02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64429B2 (ko)
EP (1) EP2787307B1 (ko)
KR (1) KR102135973B1 (ko)
CN (1) CN1041011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3890A1 (en) 2012-06-07 201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9989291B2 (en) * 2014-07-14 2018-06-05 Nidec Servo Corporation Ice machine discharge assembly ratchet structure
KR101732166B1 (ko) 2015-06-18 2017-05-0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1598B1 (ko) * 2016-03-10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6016880B (zh) * 2016-05-27 2018-09-1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制冰机储冰盒组件及冰箱
KR102435200B1 (ko) * 2017-09-29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5992A (ko) * 2019-01-08 202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2739A1 (en) 2003-12-22 2005-06-23 Sannasi Ashok K. Refrigerator and ice mak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9827A (en) * 1971-01-14 1972-05-02 Gen Motors Corp Storage receptacle and agitator for refrigerator ice making machines
US4176527A (en) * 1978-07-13 1979-12-04 Whirlpool Corporation Ice crusher for refrigerator
US5273219A (en) * 1993-01-11 1993-12-28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Ice dispenser
US5956998A (en) * 1996-06-06 1999-09-28 Fenelon; Paul J. Stress reduction gear and apparatus using same
US6442954B1 (en) * 2001-07-02 2002-09-03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hopper icemaking refrigerator
US6868748B2 (en) * 2003-05-02 2005-03-22 Arvinmeritor Technology, Llc Compound gear joining
KR100565606B1 (ko) * 2003-08-26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1272398B1 (ko) * 2006-09-20 2013-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뱅크용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하는 냉장고용 아이스뱅크
KR100934185B1 (ko) * 2007-10-31 2009-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킹 장치
KR20090054088A (ko) * 2007-11-26 2009-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얼음공급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20110146335A1 (en) * 2009-12-22 2011-06-2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8408016B2 (en) * 2010-04-27 2013-04-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maker with rotating ice mold and counter-rotating ejection assembly
US8839933B1 (en) * 2010-06-23 2014-09-23 Logan Clutch Corporation PTO clutch assembly
CN102818411A (zh) * 2012-08-08 2012-12-12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出冰系统及冰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2739A1 (en) 2003-12-22 2005-06-23 Sannasi Ashok K. Refrigerator and ice mak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01166A (zh) 2014-10-15
KR20140120217A (ko) 2014-10-13
EP2787307A3 (en) 2015-04-29
US9664429B2 (en) 2017-05-30
CN104101166B (zh) 2018-04-06
EP2787307A2 (en) 2014-10-08
US20140290300A1 (en) 2014-10-02
EP2787307B1 (en)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973B1 (ko) 냉장고
US8973392B2 (en) Refrigerator
US9212841B2 (en) Refrigerator
US9885510B2 (en) Refrigerator
KR102189239B1 (ko) 냉장고
CN103363753A (zh) 冰箱和制造所述冰箱的方法
KR20130078531A (ko) 냉장고
KR101504214B1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130078532A (ko) 냉장고
KR20130028324A (ko) 냉장고
KR101761738B1 (ko) 냉장고
CN107621106B (zh) 冰箱
EP2235450A2 (en) Ice bank for refrigerator
CN111148953B (zh) 冰箱
US10816255B2 (en) Refrigerator
KR20110072393A (ko) 냉장고
US20240053081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