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621B1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621B1
KR102135621B1 KR1020197004820A KR20197004820A KR102135621B1 KR 102135621 B1 KR102135621 B1 KR 102135621B1 KR 1020197004820 A KR1020197004820 A KR 1020197004820A KR 20197004820 A KR20197004820 A KR 20197004820A KR 102135621 B1 KR102135621 B1 KR 102135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louver
indoor unit
louvers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8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96928A (en
Inventor
히로시 츠노
나오유키 후시미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존슨 컨트롤즈 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9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9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6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복수의 취출구와, 상기 각 취출구에 설치되고 취출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루버를 구비한다. 실내기의 정지 시에는 상기 루버는 상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됨과 함께, 상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를 완전 폐쇄 각도로 하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 시에 상기 루버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상기 루버의 각도 중 최소 각도를 제1 각도로 하고, 최대 각도를 제2 각도로 했을 때, 난방 운전 시에, 복수의 상기 취출구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의 각도가,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제1 각도보다도 작은 제3 각도로 설정되고, 다른 상기 취출구의 루버는 오토 스윙 또는 하향 취출로 설정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take port, a plurality of ejection ports provided to surround the intake port, and a plurality of louvers provided at each of the ejection ports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ejection direction.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the louve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ejection opening, and the angle of the louver at the time of stopping the indoor unit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ejection opening is set to a completely closed angle, and the louver when the indoor unit is operated Equipped with a remote control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the minimum angle of the angle of the louver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 to the first angle, when the maximum angle to the second angle, during heating operation, a plurality of the outlet , The angle of the louvers of some of the blowout ports is set to a third angle that is greater than the fully closed angle which is the angle of the louver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is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and the louvers of the other blowout ports are set to auto swing or down blow do.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복수의 취출구를 갖고, 각각의 취출구의 풍향을 제어하기 위한 루버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4방향 천장 카세트형의 실내기에 적합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air outlets and having a louver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of each air outlet,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 four-way ceiling cassette type indoor unit.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서, 복수의 취출구(예를 들어 4개)를 갖고, 각각의 취출구의 풍향을 제어하기 위한 루버를 구비하는 천장 카세트형의 것이 있다.As an indoor unit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there is a ceiling cassette type having a plurality of blowout ports (for example, four) and a louver for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of each blowout port.

통상,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루버는, 유저가 리모컨으로 설정한 풍향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특정한 운전 조건에서는, 상기 실내기 그 자체가 강제적으로 루버를 제어하여 풍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난방 개시 시에, 실내를 신속히 데우는 난방 운전 기동 제어를 실시하고 있을 때나, 통상의 난방 운전 시에, 실내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 불균일을 개선하는 제어 등을 실시하고 있을 때이다.Usually, the louver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figured to be the wind direction set by the user with the remote control, but under certain driving conditions, the indoor unit itself is configured to forcibly control the louver to change the wind direction. have. For example, it is when heating operation start control is performed to quickly heat a room at the start of heating, or control to improve temperature unevenness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oom during normal heating operation.

상술한 난방 운전 기동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8-320145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실내 유닛)의 것에서는, 난방 운전 개시 시(난방 운전 기동 시)에, 루버 각도를 하측 방향을 향하여 따뜻한 공기를 실내의 거주 공간 내로 직접적으로 취출하여 대류 난방시켜서 실내를 데운다. 그리고, 실내 온도와 설정 온도의 차가 소정값 이내로 되었을 때, 루버를 상하로 스윙시키고, 또한 소정 시간 경과 후, 취출 공기의 풍향을 천장면에 대략 평행한 방향(수평 취출)으로 제어하여 복사 난방 운전으로 이행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0005]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heating operation start control, there is on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320145 (Patent Document 1). In the indoor unit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described in this patent document 1, at the start of heating operation (at the start of heating operation), the warm air is drawn directly into the living space of the room with the louver angle directed downward. Heat the room by heating with convection. Then,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is within a predetermined value, the louver is swinged up and down,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wind direction of the blown air is controll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eiling surface (horizontal blowout) to operate radiant heating. It is described that the transition to.

이에 의해, 실내 온도의 저하를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천장 부근의 난기의 복사열에 의해, 실내의 거주자에게 난기 기류를 느끼게 하지 않는 쾌적한 난방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Thereby, it has been described that, while effectively preventing the decrease in the indoor temperature, the radiant heat of the warm air in the vicinity of the ceiling enables comfortable heating without causing the indoor occupant to feel warm air flow.

또한, 통상의 난방 운전 시에, 실내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 불균일을 개선하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 종래 기술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96666호 공보(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에서는, 온도 불균일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 온도 불균일 해소 제어부는 루버의 스윙 동작을 개시시키고, 소정 조건이 만족시켜진 경우에 스윙 동작을 정지시키고, 그 후 루버가 하향 자세를 채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Moreover, as a conventional technique in which control for improving the temperature unevenness i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oom during normal heating operation i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1-196666 (Patent Document 2). In this patent document 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emperature is non-uniform, the temperature non-uniformity canceling control unit starts a swing operation of the louver, stops the swing operation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n the louver moves downward. Control to adopt is described.

일본 특허 공개 평8-320145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Hei 8-320145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96666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1-196666

상기 특허 문헌 1의 것에서는, 난방 개시 시에는 루버 각도를 하측 방향을 향하여 대류 난방시켜서 실내를 데우고, 실내 온도와 설정 온도의 차가 소정값 이내로 되었을 때, 루버를 상하로 스윙시켜서, 천장 부근과 사람이 있는 바닥면 부근의 양쪽을 데울 수 있다.In Patent Document 1, when heating is started, the louver angle is convectively heated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to heat the room, an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om temperature and the set temperature falls within a predetermined value, the louver is swinging up and down to swing around and to the person. You can heat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with this.

또한, 상기 특허 문헌 2의 것에서는, 온도 불균일 상태가 되면, 루버의 스윙 동작을 개시시키고, 소정 조건이 만족되면 스윙 동작을 정지시켜서, 루버가 하향 자세를 채용하도록 제어하여, 온도 불균일을 경감하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atent document 2, when the temperature is in a non-uniform state, the swing operation of the louver is started, and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the swing operation is stopped to control the louver to adopt a downward posture, so as to reduce the temperature non-uniformity. Doing.

그러나, 흡입구를 둘러싸도록 복수(예를 들어 4)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경우, 난방 운전 시에, 모든 루버를 하향으로 하거나, 모든 루버를 상하로 스윙 동작을 행하면, 모든 취출구의 풍향이 동시에 하향 취출로 되는 상태가 발생한다. 모든 취출구의 풍향이 동시에 하향 취출로 결정되면, 취출 공기가 실내 공간에 퍼지기 전에 상기 흡입구에 흡입되어버리는 현상, 즉 쇼트 서킷이 발생하기 쉬워져, 난방 능력이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for example, 4) outlets to surround an inlet, if all the louvers are turned downward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or all the louvers are swinging up and down, all the outlets At the same time, the stat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of the air is blown downward occurs. When the wind directions of all the blowout ports are simultaneously determined to be blown downward, there is a problem that blown air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before spreading into the indoor space, that is, a short circuit is likely to occur, and the heating ability is deteriorated.

또한, 상기 흡입구에 흡입 공기 온도 센서가 설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쇼트 서킷이 발생하면, 상기 흡입 공기 온도 센서에 취출 공기가 닿음으로써, 흡입 공기 온도 센서는 실제의 실내 공기 온도보다도 높은 온도를 검지하여, 불필요한 난방 정지(서모 오프)를 야기한다는 과제도 있다.In addition, it is common for an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to be installed at the intake port. When a short circuit occurs, by blowing air in contact with 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the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detects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actual indoor air temperature. Therefore, there is also a problem of causing unnecessary heating stop (thermo-off).

또한, 4개의 취출구를 구비하는 실내기에 있어서,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를 완전 폐쇄 위치(운전 정지 시의 위치)로 함으로써, 나머지의 취출구에 있어서의 풍속을 증가시켜서 상하 온도차가 작은(온도 불균일이 작은) 실내 환경을 창출하도록 한 것도 있지만, 루버를 완전 폐쇄 위치로 하면 고온 공기의 풍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루버가 휜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In addition, in an indoor unit having four blowout ports, by setting the louvers of some blowout ports to the fully closed position (the position at the time of stopping the operation), the wind speed at the remaining blowout ports is increased, so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is small (the temperature unevenness is small. ) There is a thing to create an indoor environment, but when the louver is in a completely closed pos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uver breaks because the air pressure of hot air acts.

본 발명의 목적은, 쇼트 서킷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루버의 휨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얻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suppress a short circuit and also prevent bending of a louv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복수의 취출구와, 상기 각 취출구에 설치되고 취출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루버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실내기의 정지 시에는 상기 루버는 상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됨과 함께, 상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 각도를 완전 폐쇄 각도로 하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 시에 상기 루버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상기 루버의 각도 중 최소 각도를 제1 각도로 하고, 최대 각도를 제2 각도로 했을 때, 난방 운전 시에, 복수의 상기 취출구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의 각도가,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제1 각도보다도 작은 제3 각도로 설정되고, 다른 상기 취출구의 루버는 오토 스윙 또는 하향 취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conditioner having a suction port, a plurality of blowout ports installed to surround the su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louvers provided at each blowout port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a blowing direction. In the indoor unit of the,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the louve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ejection opening, and the louver angle at the time of stopping the indoor unit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ejection opening is set to a completely closed angle, and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is operated. A remote control is provided to set the operation of the louver at a time, and when the minimum angle is the first angle and the maximum angle is the second angle among the angles of the louvers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 a plurality of heating operations are performed. Of the above-mentioned take-out ports, the angle of the louvers of some of the take-out ports is set to a third angle that is greater than the fully closed angle which is the angle of the louver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is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and the louvers of the other take-out ports are auto swing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take out downward.

본 발명에 따르면, 쇼트 서킷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루버의 휨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suppressing a short circuit and also preventing bending of a louver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도 2에 도시하는 취출구 중 1개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루버가 완전 폐쇄 상태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취출구 중 1개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실내기 운전중의 루버의 최소 각도(제1 각도)와 최대 각도(제2 각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취출구 중 1개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루버의 제3 각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루버가 제3 각도인 상태에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서의 루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어서,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 모든 루버가 하향 취출로 된 경우의 쇼트 서킷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서의 루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교반 운전 시에 있어서의 루버 동작과, 취출 공기의 흐름 및 흡입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서의 루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서의 루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xample 1 of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main part of the ejection opening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a view in which the louver is completely close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main part of the blowout port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a view showing a minimum angle (first angle) and a maximum angle (second angle) of a louver during indoor unit opera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main part of the blowout port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third angle of the louver in the first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in a state where the louver shown in FIG. 5 is a third angle.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 at the time of the starting operation in the indoor unit of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nd the subsequent stirring operation.
FIG.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short circuit phenomenon in the case where all the louvers are taken out downwards in the starting operation and in the subsequent stirring operation in FIG. 7.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 at the time of starting operation and the subsequent stirring operation in Example 1 of 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movement at the time of the stirring operation shown in FIG. 9, the flow of blow-out air, and the flow of intake air.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 at the time of starting operation and the subsequent stirring operation in Example 2 of 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 at the time of starting operation and the subsequent stirring operation in Example 3 of the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rawings. In each figure, the parts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실시예 1Example 1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실시예 1을 도 1∼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먼저, 도 1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 1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First,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실외기와 냉매 배관으로 접속되어서 냉매 회로가 형성되고, 냉매가 순환되어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이 실내기(1)는 소위 천장 카세트형이며, 실내의 천장 등에 매립되는 하우징(2)과, 이 하우징(2)의 하면 개구를 막게 설치된 화장 패널(3) 등을 구비하고, 상기 화장 패널(3)에는, 중앙에 설치되고,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4)와, 이 흡입구(4)를 둘러싸도록 4군데 설치된 공기의 취출구(5)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indoor unit 1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an outdoor unit (not shown) and a refrigerant pipe to form a refrigerant circuit, and the refrigerant is circulated to constitute a refrigeration cycle. This indoor unit (1) is a so-called ceiling cassette type, and includes a housing (2) embedded in the ceiling of the room, a makeup panel (3) installed to close the lower surface opening of the housing (2), and the like, and the makeup panel (3). ) Is provided at the center, and has an intake port 4 for sucking in indoor air, and an air outlet port 5 for four air provided to surround the intake port 4.

상기 흡입구(4)에는 흡입 그릴(6)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각 취출구(5)에는, 각각 상기 취출구(5)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취출 방향을 조절하는 루버(7)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루버(7)는 실내기(1)가 정지되어서, 완전 폐쇄로 되어 있는 상태, 즉 루버 각도가 완전 폐쇄 각도(0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완전 폐쇄란 취출구(5)를 완전히 막고 있는 상태뿐만 아니라, 루버가 취출구를 거의 막도록, 거의 수평으로 되어 있어서 개구 면적이 최소가 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하고 있다.A suction grill 6 is installed in the suction port 4, and a louver 7 for adjusting a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blown out from the blowing port 5 is installed in each of the blowing ports 5 so as to be rotatable. have. In addition, in the louver 7 shown in FIG. 1, the indoor unit 1 is stopped, and it is in the state of being fully closed, ie, the state of the louver angle being a fully closed angle (0 degree). The complete closing includes not only the state in which the extraction port 5 is completely blocked, but also a state in which the louvers are almost horizontal so that the extraction area is almost closed, and thus the opening area is minimized.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실내기(1)의 종단면도이다. 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 내의 중앙부에는 모터(8)와, 이 모터(8)의 회전축에 접속된 원심팬(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8)는 상기 하우징(2)의 천장판 중앙에 고정되어 있다.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ndoor unit 1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2, a motor 8 and a centrifugal fan 9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of the motor 8 are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housing 2. The motor 8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ceiling plate of the housing 2.

또한, 상기 원심팬(9)을 둘러싸도록, 그 원심팬(9)의 주위에는 평면에서 보아 구(口)자상의 열교환기(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열교환기(10)는 크로스 핀형의 핀 앤드 튜브 열교환기이다. 또한, 이 열교환기(10)의 하부에는 그 열교환기(10)에서 발생하는 결로수를 받기 위한 드레인 팬(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드레인 팬(11)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발포 스티롤제의 단열재가 사용되고, 상기 열교환기(10)의 하단을 따른 물받이홈이 형성되고, 이 물받이홈에 상기 열교환기(10)의 하단부가 들어가 있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드레인 팬(11)을 구성하는 단열재와 일체, 또는 별체의 단열재로 취출구(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o surround the centrifugal fan 9, a spherical heat exchanger 10 is provided around the centrifugal fan 9 in plan view. The heat exchanger 10 is a cross finned fin and tube heat exchanger. In addition, a drain pan 11 for receiving condensation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r 10 is provided below the heat exchanger 10. As the drain pan 11, a thermal insulation material made of foamed styrol is generally used, a water receiving groove along the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r 10 is formed, and a lower end of the heat exchanger 10 enters the water receiving groov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outlet 5 is formed integrally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constituting the drain pan 11 or as a separate heat insulating material.

20은 실내의 천장이며, 상기 실내기(1)는 상기 천장(20)에 상기 하우징(2)의 부분이 매립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화장 패널(3)은 상기 하우징(2)보다도 한층 큰 정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의 하면을 덮도록 상기 천장(20)을 따라서 배치되고, 실내 공간에 노출되어 있다.20 is an indoor ceiling, and the indoor unit 1 is provided with a portion of the housing 2 embedded in the ceiling 20. The decorative panel 3 is formed in a square shape larger than the housing 2 and is disposed along the ceiling 20 so as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2 and is exposed to the indoor space.

상기 화장 패널(3)의 취출구(5)에 설치되어 있는 루버(7)는 도 2에서는 완전 폐쇄 위치(루버 각도가 0도)로 되어 있어, 실내기(1)의 운전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내기(1)가 운전 개시되면, 상기 취출구(5)를 개방하도록, 상기 루버(7)는 회동되어, 하향 취출나 가로 취출(수평 취출) 등, 유저가 리모컨(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설정한 소정의 각도로 고정된다. 또는 유저가 리모컨으로, 루버(7)의 동작을 오토 스윙으로 설정하면, 루버(7)는 최소 각도부터 최대 각도의 범위이며,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한다.The louver 7 installed at the outlet 5 of the decorative panel 3 is in a completely closed position (the louver angle is 0 degrees) in FIG. 2,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is stopped. have. When the indoor unit 1 is started to operate, the louver 7 is rotated to open the ejection port 5, such as downward ejection or horizontal ejection (horizontal ejection), set by a user from a remote control (not shown) It is fixed at an angle. Alternatively, when the user sets the operation of the louver 7 to auto swing with the remote control, the louver 7 is in a range from a minimum angle to a maximum angle, and performs an auto swing operation.

또한, 상기 실내기(1)의 운전이 개시되면, 실내 공기가 상기 흡입구(4) 및 흡입 그릴(6)을 통하여 상기 원심팬(9)의 흡입부(12)로부터 흡입되고, 그 원심팬(9)의 토출부(13)부터 외주 방향으로 토출된다. 상기 원심팬(9)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0)를 통과하여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이 공조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0)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2)의 내주면에서 형성되는 풍로(14)를 통하여, 상기 화장 패널(3)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취출구(5)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is started, indoor air is sucked from the suction part 12 of the centrifugal fan 9 through the suction port 4 and the suction grill 6, and the centrifugal fan 9 )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13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fter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entrifugal fan (9)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10) and is cooled or heated, the air conditioning air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 It is taken out indoors from the blowout openings 5 formed in the makeup panel 3 through the air passages 14.

이때, 상기 루버(7)가 하향 취출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공조 공기는 하방으로 취출되고, 가로 취출의 각도로 설정되어 있으면, 거의 가로 방향(수평 방향)으로 취출된다. 또한, 전술한 오토 스윙으로 설정된 경우, 루버(7)는 최소 각도에서 최대 각도의 범위이며,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므로, 상기 공조 공기는, 상기 루버(7)의 움직임에 따라서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부터 수직에 가까운 방향까지 취출된다.At this time, when the louver 7 is set at an angle of downward blowout, the air conditioning air is blown downward, and when set at an angle of horizontal blowout, it is blown out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it is set to the above-described auto swing, the louver 7 is in a range from a minimum angle to a maximum angle, and performs an auto-swing operation,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air is moved from a direction close to horizontal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louver 7. It is taken out in a direction close to the vertical.

또한, 도 2에 있어서, 15는 상기 원심팬(9)의 하방에 배치되고, 중앙부로 서서히 직경을 작게 하면서 상기 원심팬(9)의 흡입부(12)를 향하여 상승된 개구부를 갖는 벨 마우스이며, 이 벨 마우스(15)는 상기 흡입구(4)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상기 원심팬(9)에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벨 마우스(15)는 상기 드레인 팬(11)과 함께, 상기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을, 상기 원심팬(9)의 흡입측과 취출측으로 구획하고 있다.In addition, in Fig. 2, 15 is a bell mouse disposed below the centrifugal fan 9 and having an opening raised toward the suction part 12 of the centrifugal fan 9 while gradually decreasing its diameter toward the center. , This bell mouth 15 is for guiding air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4 to the centrifugal fan 9. In addition, the bell mouth 15, together with the drain pan 11,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2 into the suction side and the extraction side of the centrifugal fan 9.

16은 실내기(1)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기판 등을 수납하고 있는 전기품 상자이며, 이 전기품 상자(16)는 상기 벨 마우스(15)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17은 상기 흡입 그릴(6)의 상측에 설치된 흡입 필터이다.16 is an electrical appliance box that houses a control board or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and this electrical appliance box 16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ell mouth 15. 17 is a suction filt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grill (6).

이어서, 루버(7)가 완전 폐쇄 상태, 즉 루버(7)가 완전 폐쇄 각도(0도)의 상태에서의 루버(7) 부근의 구성을, 도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 도 2에 도시하는 취출구 중 1개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루버가 완전 폐쇄 각도 상태인 도면이다. 상기 실내기(1)의 운전이 정지되면, 상기 루버(7)는 도 3에 도시하는 완전 폐쇄 각도의 상태로 되어, 실내기(1)의 정지중에 이물이 실내기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실내기 정지 시의 의장성을 향상시키고 있다.Next, a configuration in the vicinity of the louver 7 in the state where the louver 7 is in the fully closed state,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louver 7 is in the fully closed angle (0 degre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main part of the ejection opening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louver is in a fully closed angle state. When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 is stopped, the louver 7 is in a state of a completely closed angle as shown in FIG. 3, and prevents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door unit while the indoor unit 1 is stopped. The design at the time of suspension is improved.

루버(7)의 완전 폐쇄 각도(0도)란, 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취출구(5)를 완전히 막는 상태는 아니고, 루버(7)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와, 취출구(5)를 형성하고 있는 화장 패널(3)의 벽면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며, 루버(7)와 취출구(5)의 벽면이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fully closed angle (0 degree) of the louver 7 is, as shown in Fig. 3, generally not in a state of completely blocking the outlet 5,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louver 7, A slight gap is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s of the decorative panel 3 forming the take-out port 5, and the wall surface of the louver 7 and the take-out port 5 is configured not to interfere.

또한, 도 3에 있어서, 3a는 상기 취출구(5)를 형성하고 있는 발포 스티롤제 등의 단열재이다.In addition, in FIG. 3, 3a is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foamed styrol agent, which forms the blow-out port (5).

상기 루버(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취출구(5)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부터 타단부에 걸쳐서 연장하는 가늘고 긴 판상 또는 날개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루버(7)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심축(18)에 설치 부재(19)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중심축(18)은 그 양단측에 배치된 지지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테핑 모터 등에 의해, 그 회동이 제어된다.As shown in FIG. 1, the louver 7 is formed in an elongated plate shape or a wing shape extending from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ake-out port 5 to the other end, and this louver 7 has its length. It is fixed to the central axis 18 extending in the direction through the installation member 19. The central shaft 18 is rotatably supported by a support member (not shown) disposed on both ends thereof, and its rotation is controlled by a stepping motor or the like.

도 4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취출구 중 1개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실내기 운전중의 루버의 최소 각도와 최대 각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4는 실내기(1)가 운전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루버(7)의 동작 범위를 나타내고 있고, 실선으로 나타내는 루버(7a)는 리모컨(도시하지 않음)으로 유저가 설정할 수 있는 루버(7)의 최소 각도(제1 각도)를 나타내고,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루버(7b)는 리모컨으로 유저가 설정할 수 있는 루버(7)의 최대 각도(제2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main part of the outlet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a view showing a minimum angle and a maximum angle of the louver during indoor unit operation. That is, Fig. 4 shows the operating range of the louver 7 while the indoor unit 1 is being operated, and the louver 7a indicated by a solid line is a louver (settable by a user with a remote control (not shown)) The minimum angle (first angle) of 7), and the louver 7b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dicates the maximum angle (second angle) of the louver 7 that can be set by the user with the remote control.

상기 루버(7)가 최소 각도(제1 각도)의 위치(7a)에 설정되면, 취출구(5)로부터 취출되는 공조 공기는 거의 수평 방향으로 취출되는 가로 취출 운전이 된다. 한편, 상기 루버(7)가 최대 각도(제2 각도)의 위치(7b)에 설정되면, 취출구(5)로부터 취출되는 공조 공기는 거의 수직 방향으로 취출되는 하향 취출 운전이 된다.When the louver 7 is set at the position 7a at the minimum angle (first angle), the air-conditioning air blown out from the blowout port 5 becomes a horizontal blowout operation taken out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uver 7 is set at the position 7b at the maximum angle (second angle), the air-conditioning air blown out from the blowout port 5 becomes a downward blowout operation blown out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실내기(1)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상기 완전 폐쇄 각도를 0도로 했을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최소 각도(제1 각도)를 예를 들어 28도라고 하고, 상기 최대 각도(제2 각도)를 예를 들어 64도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최소 각도(제1 각도)는 예를 들어 27∼30도 정도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최대 각도(제2 각도)는 예를 들어 60∼70도 정도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mpletely closed angle which is the angle of the louver at the time of stopping the indoor unit 1 shown in FIG. 3 is set to 0 degrees, in this embodiment, the minimum angle (first angle) is referred to as 28 degrees, for example. The maximum angle (second angle) is, for example, 64 degrees. In addition, the said minimum angle (1st angle) may be set arbitrarily in the range of about 27-30 degree, for example. Further, the maximum angle (second angle) may be arbitrarily set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about 60 to 70 degrees.

실내기(1) 운전중의 상기 루버(7)의 각도는, 전술한 최소 각도와 최대 각도에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할뿐만 아니라, 전술한 최소 각도와 최대 각도 사이를 몇도 단위로 복수 단계,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최소 각도를 1단째, 최대 각도를 7단째로 하여, 상기 1단째와 7단째의 사이에 5단계(2단째∼6단째)의 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루버(7)의 각도는 7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그것보다 많게 해도 되고, 작게 해도 된다. 또한, 루버 각도를 무단계로 임의의 각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The angle of the louver 7 while driving the indoor unit 1 is not only settable with the remote control at the above-mentioned minimum angle and maximum angle, but also can be set with multiple steps and remote control between the above-mentioned minimum angle and maximum angle in several degree units. It is possible. For example,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inimum angle is the first stage and the maximum angle is the seventh stage, and the angle of the five stages (second stage to sixth stage) can be set between the first and seventh stages.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louver 7 is not limited to seven steps, and may be made larger or smaller than that. Further, the louver angle may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set at an arbitrary angle steplessly.

리모컨으로 상기 루버(7)의 동작을 오토 스윙으로 설정하면, 루버(7)는 오토 스윙 설정 개시 시의 각도, 예를 들어 최소 각도인 1단째로부터 순차 2단째, 3단째, …로 각도가 최대 각도인 7단째까지 증가하고, 그 후, 역방향으로 순차 6단째, 5단째, …로 최소 각도인 1단째까지 감소하는 것과 같은 왕복 동작을 반복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louver 7 is set to auto swing using the remote control, the louver 7 is sequentially rotated from the first stage, which is the minimum angle, for example, the second stage, the third stage, the third stage,… The furnace angle increases to the 7th stage, which is the maximum angle, and thereafter, sequentially in the 6th, 5th,… Repeat the reciprocating motion such as decreasing to the first angle, the minimum angle.

또한, 오토 스윙은 1단째∼7단째의 사이의 왕복 동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3단째∼7단째의 왕복 동작을 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오토 스윙 시에는, 루버 각도가 무단계로 원활하게 변화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uto swing is not limited to the reciprocating operation between the 1st to 7th stages,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for example, a reciprocating operation from the 3rd to 7th stages. In addition, the auto-swing can be configured to smoothly change the louver angle steplessly.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난방 운전에 있어서, 외기 온도와 실온의 온도차가 매우 큰 고부하 운전 시에는, 따뜻한 공기가 하측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풍향을 하향 취출로 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지만, 취출 공기를 충분히 바닥면까지 도달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a heating operation, in a high load opera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is very large, the wind direction is downwardly blown out so that warm air is supplied downward. Although it is lost, there is a case where the blown-out air cannot be sufficiently reached to the bottom surface.

또한, 실내기(1)의 취출구(5)의 개구 면적을 작게 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4개 설치되어 있는 상기 취출구(5)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 폐쇄 위치(운전 정지 시의 위치)로 함으로써, 나머지의 취출구에 있어서의 풍속을 증가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means for reducing the opening area of the outlet 5 of the indoor unit 1, the louvers of some of the outlets of the four outlets 5 provided are completely closed as shown in FIG. It is also conceivable to increase the wind speed at the remaining outlet by setting the position (the position at the time of stopping the operation).

그러나, 일부의 취출구(5)의 루버(7)를 완전 폐쇄 위치로 하여 실내기를 운전하면, 완전 폐쇄 위치로 된 루버는, 취출 공기의 풍압에 의해 크게 휨과 함께, 상기 취출 공기는 고온이기 때문에, 수지제의 루버는 장시간 운전되면 소성 변형을 야기하기 쉽다는 과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indoor unit is operated with the louver 7 of some of the blowout ports 5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the louver in the fully closed position is greatly deflected by the wind pressure of the blown air, and the blown air is high in temperature. , The resin louver has a problem that it is easy to cause plastic deformation when operated for a long time.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을, 도 5 및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취출구 중 1개의 주요부 단면도이며,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루버의 제3 각도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루버가 제3 각도인 상태에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is embodiment that solves the above-described problem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of the main outlet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a diagram explaining a third angle of the louver in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6 is a third angle of the louver shown in Fig. 5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action in the phosphorus state.

도 5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루버(7)의 위치(7a)는 상기 루버(7)가 최소 각도(제1 각도)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동일하게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루버(7)의 위치(7b)는 상기 루버(7)가 최대 각도(제2 각도)의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루버(7)의 위치(7a, 7b)는 리모컨(도시하지 않음)으로 설정 가능한 루버(7)의 각도이며, 종래의 실내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기능이다. 또한, 상기 루버(7)는 상기 제1 각도 위치(7a)부터 상기 제2 각도 위치의 범위에서 오토 스윙하는 기능도 일반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하다.In Fig. 5, the position 7a of the louver 7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dicates the case where the louver 7 is set to the position of the minimum angle (first angle), and the louver (1) The position 7b of 7) shows the case where the louver 7 is set to the position of the maximum angle (second angle). The positions 7a and 7b of these louvers 7 are the angles of the louvers 7 that can be set by a remote control (not shown), and are a function generally provided in conventional indoor units. In addition, the louver 7 is also generally equipped with a function to auto swing in the range of the first angular position 7a to the second angular position, and can be set by a remote controller.

본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하는 4개의 취출구(5)에 있어서의 각각의 루버(7)의 각도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하는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루버 각도 0도)보다도 크고 또한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상기 루버(7)의 최소 개방도인 제1 각도보다도 작은 제3 각도의 위치(7c)에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angle of each louver 7 in the four outlets 5 shown in FIG. 1 is an angle of the louver when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3 is stopped, as shown in FIG. 5. It is configured to be set at a position 7c at a third angle that is larger than a fully closed angle (a louver angle of 0 degrees) and smaller than a first angle that is the minimum opening degree of the louver 7 that can be set by a remote controller.

상기 루버(7)의 제3 각도의 위치(7c)는 유저가 리모컨으로 설정할 수 있는 각도가 아니고, 난방 운전의 운전 개시 시 등, 미리 정한 소정의 운전 조건의 경우에,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등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루버(7)의 각도 위치이다.The position 7c of the third angle of the louver 7 is not an angle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 by the user, and in the case of predetermined driving conditions, such as when the heating operation starts,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 1) It is an angular position of the louver 7 which is automatically set from a control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the back.

예를 들어 상기 제1 각도가 28도일 경우, 상기 제3 각도는, 실내기 정지 시의 완전 폐쇄 각도인 0도보다도 크고, 유저가 리모컨으로 설정할 수 있는 최소 각도인 상기 제1 각도(28도)보다도 작은 각도, 예를 들어 14도 등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3 각도는, 14도에는 한정되지 않고, 5∼25도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18도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하면 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angle is 28 degrees, the third angle is greater than 0 degrees, which is a completely closed angle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is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28 degrees), which is a minimum angle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ler. It is set to a small angle, for example 14 degrees. The third angle is not limited to 14 degrees, and may be arbitrarily set within a range of 5 to 25 degrees, preferably 10 to 18 degrees.

즉, 본 실시예는,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루버(7)의 각도인 최소 각도(제1 각도)를 1단째로 하고, 최대 각도(제2 각도)를 7단째로 한 경우, 상기 제3 각도는 0.5단째의 각도에 상당하고, 이 0.5단째의 각도는, 유저가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루버 각도가 아니고, 실내기(1)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 장치로부터, 소정의 운전 조건의 경우에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각도이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minimum angle (first angle) that is the angle of the louver 7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 is set to the first stage, and the maximum angle (second angle) is set to the seventh stage, the third angle is Corresponds to the angle of the 0.5th stage, and the angle of the 0.5th stage is not an louver angle that can be set by a remote control by a user, but is automatically set in the case of a predetermined driving condition from a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indoor unit 1 or the like. to be.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루버(7)를 상기 제3 각도(0.5단째의 각도)의 위치(7c)에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공기 조화기가 미리 정한 소정의 운전 조건인 경우에, 복수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일부의 취출구(5)의 루버(7)가 상기 제3 각도의 위치(7c)에 설정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each louver 7 is configured to be set at the position 7c at the third angle (the 0.5-th angle), and the air conditioner is in a predetermined operation condition predetermined in advance. Therefore, among the louvers 7 of the plurality of blowout ports 5, some of the louvers 7 of the blowout ports 5 are set at the position 7c at the third angle.

일부의 취출구(5)의 루버(7)가 상기 제3 각도(루버의 완전 폐쇄 각도보다 크고 제1 각도보다도 작은 각도)의 위치에 설정됨으로써, 도 6에 해칭의 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5)의 벽면과 루버(7)의 단부 사이에 작은 간극(2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간극(21)으로부터 기류를 취출시킬 수 있으므로, 풍압에 의한 루버의 휨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루버(7)의 휨을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고온의 공기를 실내로 취출하는 경우일지라도 루버가 소성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As the louver 7 of some of the blowout ports 5 is set at the position of the third angle (an angle greater than the fully closed angle of the louver and less than the first angle), as shown by the hatching circle in FIG. 6, the blowout port ( A small gap 21 can be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of 5) and the end of the louver 7. Therefore, since the air flow can be taken out from the gap 21, the bending of the louver due to wind pressure can be reduced. Therefore, since the deflection of the louver 7 can be suppressed to a small exten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louver even in the case of blowing out high-temperature air into the room.

또한,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되는 상기 루버(7)는 소정 시간마다 순차 전환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또한, 다른 취출구(5)의 루버(7)는 상기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루버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다른 루버(7)는 오토 스윙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임의의 루버의 각도로 설정된다.In addition, the louvers 7 set at the third angle may be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switched every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the louver 7 of the other outlet 5 has a louver operation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 That is, the other louvers 7 are set to auto swing, or to an angle of an arbitrary louver.

공기 조화기의 미리 정한 상기 소정의 운전 조건이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운전 조건이며, 다음과 같은 운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복수의 취출구의 루버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가, 예를 들어 실내기(1)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자동적으로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되게 구성하면 된다.The predetermine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air conditioner are, for example, the following operating conditions, and when the following operations are performed, the louvers of some of the outlets of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for example, indoor units ( It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t the third angle from a control device (not shown) provided in 1).

(1) 난방 운전이 설정된 경우.(1) When heating operation is set.

(2) 난방 운전 시나 냉방 운전 시에, 외기 온도와 실온의 온도차가 미리 정한 소정의 온도차 이상으로 큰 고부하 운전 조건에서 운전되는 경우.(2) In the case of heating operation or cooling operati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ifference, and is operated under high load operation conditions.

(3) 난방 운전 시나 냉방 운전 시에, 취출 공기를 바닥면 부근 등 통상보다 멀리까지 도달시키는 고속 취출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3) In the case of heating operation or cooling operation, when the high-speed blow setting is made to reach the blown air farther than normal, such as near the floor surface.

(4) 난방 운전 시 등에 취출 풍속을 크게 하고, 실내의 상부와 하부의 온도차를 작게 하는 교반 운전이 설정된 경우, 또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가 자동적으로 교반 운전을 실행하는 경우.(4) When a stirring operation is set to increase the blow-off wind speed during heating operation or to decrease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room, or when the control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automatically performs the stirring operation.

또한, 상기 제3 각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리모컨으로 임의의 루버를, 상기 제3 각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고속 취출 설정 등이 이루어진 경우에, 공기 조화기의 제어 장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각도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1)(3)(4) 중 어느 운전이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2)의 조건에서 운전되는 경우나 상기 (4)의 교반 운전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어느 하나의 취출구(5)의 루버(7)의 각도가 상기 제3 각도 위치로 설정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does not set the arbitrary louver to the third angle using the remote contro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igh-speed blowing setting or the like is made, the control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This is the automatically set angle. For example, when any of the operations (1)(3)(4) described above is set, or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2) or when the stirring operation of (4)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e Automatically from the control device, the angle of the louver 7 of any one of the outlets 5 is set to the third angle position.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된 루버 부분의 취출구(5)의 개구 면적은 작아지기 때문에, 그 취출구(5)로부터 취출되는 풍량은 대폭으로 저감되어, 다른 취출구(5)로부터의 취출 풍속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취출 공기를 바닥면 등 충분히 먼 위치까지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By constituting in this way, since the opening area of the blowout port 5 of the louver portion set at the third angle becomes small, the amount of air blown out from the blowout port 5 is drastically reduced, and the blowout wind speed from the other blowout port 5 is reduced. Can be increased enoug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ch the blowing air to a sufficiently distant position such as a floor surface.

또한,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된 루버 부분의 취출구(5)에서는, 그 취출구(5)의 벽면과 상기 루버(7)의 단부 사이에 전술한 작은 간극(21)을 형성할 수 있어, 이 간극(21)으로부터 기류를 취출시킬 수 있으므로, 풍압에 의한 루버(7)의 휨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원심팬(9)의 회전수를 증가시켜, 다량의 고온 공기를 실내로 취출하는 경우에도, 루버(7)의 휨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루버(7)가 소성 변형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Further, in the blowout port 5 of the louver portion set at the third angle, the above-described small gap 21 can be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of the blowout port 5 and the end of the louver 7, and this gap ( Since airflow can be taken out from 21), the bending of the louver 7 by wind pressure can be reduced. Therefore, even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entrifugal fan 9 is increased, and even when a large amount of high temperature air is blown out into the room, bending of the louver 7 can be reduced, so that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louver 7 can also be suppressed. have.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미리 정한 소정의 운전 조건이 되면, 복수의 상기 취출구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의 각도를 상기 제3 각도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구성 대신에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operating condition is set, an angle of a louver of a part of the outlets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is set to the third angle, but instead of this configuration, th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You may do it.

즉, 상기 소정의 운전 조건으로 된 경우, 복수의 취출구(5)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7)의 각도를, 바로 상기 제3 각도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고, 먼저 루버(7)가 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소정 시간만큼, 먼저 완전 폐쇄 각도로 유지하고, 그 후,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루버(7)를 상기 제3 각도로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determined driving condition, the angle of the louver 7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blowout ports 5 is not controlled by the third angle, but the louver 7 first undergoes plastic deformation. It may be maintained at a fully closed angle first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at does not occur, and thereafter, the louver 7 may be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루버(7)가 완전 폐쇄 각도로 유지되어 있는 때에는,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된 경우보다도, 다른 취출구(5)로부터의 취출 풍속을 더욱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 취출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완전 폐쇄 각도로 제어된 상기 루버(7)가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 전에 그 루버(7)를 상기 제3 각도로 제어하므로, 루버(7)의 소성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when the louver 7 is maintained at the fully closed ang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blowing speed from the other blowing ports 5 more than when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Can be further improved. Moreover, since the louver 7 controlled at the fully closed angle controls the louver 7 to the third angle before causing plastic deformation, an effect that plastic deformation of the louver 7 can also be prevented is obtained.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최소 각도를 제1 각도로 하고,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제1 각도보다도 작은 루버 각도를 제3 각도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inimum angle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ler is the first angle, and the louver angle that is larger than the fully closed angle which is the angle of the louver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is the third angle. Instead, it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즉, 루버를 오토 스윙시키는 기능을 갖는 경우, 오토 스윙 시의 루버의 최소 각도를 제1 각도로 하고,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제1 각도보다도 작은 루버 각도를 제3 각도로 설정해도 된다.That is, in the case of having the function of auto-swinging the louver, the minimum angle of the louver at the time of auto-swing is the first angle, and the louver angle greater than the fully closed angle which is the angle of the louver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is set. The third angle may be se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 취출 설정 등이 이루어진 경우 등, 미리 정한 소정의 운전 조건에서는, 복수의 상기 취출구(5)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7)의 각도를,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0도)보다도 크고 또한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또는 오토 스윙 시의 최소 각도인 제1 각도보다도 작은 제3 각도로 설정되고, 다른 취출구의 루버(7)는 상기 제2 각도 또는 오토 스윙으로 설정되므로, 복수의 취출구(5)의 일부 취출구로부터의 고속 취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각 취출구(5)에 설치되어 있는 루버(7)의 휨을 억제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of the louvers 7 of some of the outlets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5 is stopped under predetermined predetermined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when high-speed extraction is set or the like. It is set to a third angle which is larger than the full closing angle (0 degrees) which is the angle of the city louver and which can be set by a remote control or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which is the minimum angle during auto-swing, and the louver 7 of the other outlet i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set at 2 angles or auto swing,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flection of the louvers 7 provided at each of the outlets 5 while enabling high-speed extraction from a portion of the outlets of the plurality of outlets 5.

이어서, 종래의 실내기(1)에 있어서의 루버 동작과 본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실내기(1)에 있어서의 루버 동작을 도 7∼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서의 루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도 7에 있어서,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 모든 루버가 하향 취출로 된 경우의 쇼트 서킷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 1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의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서의 루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교반 운전 시에 있어서의 루버 동작과, 취출 공기의 흐름 및 흡입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Next, the louver operation in the conventional indoor unit 1 and the louver operation in the indoor unit 1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 at the time of starting operation in the indoor unit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and at the subsequent stirring operation, and Fig. 8 is at the time of starting operation and subsequent stirring operation in Fig. 7. A diagram for explaining a short circuit phenomenon when all the louvers are taken out downward, and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 at the start-up operation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t the subsequent stirring operation.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 during the stirring operation shown in Fig. 9, the flow of the blow-out air and the flow of the intake air.

종래의 실내기에 있어서, 난방 운전의 기동 운전 시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A∼7D)가 전술한 제2 각도(하향 취출), 즉 최대 각도로 제어되고, 그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에 모든 상기 루버(7A∼7D)의 전부가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여, 교반 운전이 실시된다. 또한, 교반 운전은 소정 시간 행해지고, 그 후에는 통상 운전이 된다.In the conventional indoor unit, during the start-up operation of the heating operation, as shown in FIG. 7, the louvers 7A to 7D of the four extraction ports 5 shown in FIG. 1 have the above-described second angle (downward take-out) ), that is, controlled at the maximum angle, and th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ll of the louvers 7A to 7D perform an auto-swing operation, and agitation oper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reafter it becomes normal operation.

이 때문에, 난방 기동 운전 시에는, 4개의 모든 취출구(5)의 풍향이 동시에 제2 각도(하향 취출)로 된다. 또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실시되는 상기 교반 운전 시에는 모든 루버(7A∼7D)가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이 오토 스윙 동작 중에 4개의 모든 루버(7A∼7D)가 동시에 상기 제2 각도(하향 취출)로 되는 경우도 있다.For this reason, in the heating start operation, the wind direction of all four blowout ports 5 is set to the second angle (downward blowou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since all the louvers 7A to 7D perform an auto swing operation during the stirring operation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ll of the four louvers 7A to 7D are simultaneously rotated at the second angle ( In some cases, it may be taken downward.

이와 같이, 4개의 모든 루버(7A∼7D)가 하향 취출로 되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된 따뜻한 취출 공기(22)가 실내 공간(R)에 퍼지기 전에, 실내기(1)의 중앙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흡입구(4)에 흡입되는 현상, 즉 쇼트 서킷 현상(쇼트 서킷의 흐름(23)을 참조)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공기 조화기의 난방 능력이 저하됨과 함께, 가열된 고온의 취출 공기를 바로 흡입하기 때문에, 공기 조화기의 효율도 저하된다는 과제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ll four louvers 7A to 7D are blown downward, as shown in FIG. 8, before the heated warm blown air 22 is spread to the indoor space R, the center of the indoor unit 1 The phenomenon of being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4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short circuit phenomenon (refer to the flow 23 of the short circuit) is liable to occur.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ting ability of the air conditioner is lowered, and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is also lowered because the high-temperature hot air is sucked in immediately.

또한, 도 8에 있어서, 24는 실내 공간(R)을 형성하고 있는 바닥면(F) 부근으로부터 상기 실내기(1)의 흡입구(4)에 흡입되는 실내 냉기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in FIG. 8, 24 shows the flow of indoor cold air sucked into the intake port 4 of the indoor unit 1 from the vicinity of the floor surface F forming the indoor space R.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실시예 1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도 9 및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전술한 쇼트 서킷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A∼7D)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된다. 본 실시예 1에 있어서도, 난방 기동 운전 시에는, 4개의 모든 취출구(5)의 루버(7A∼7D)의 풍향이 동시에 상기 제2 각도(하향 취출)로 제어되는 점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제어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first embodiment, which solves the above problems of the indoor unit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In the first embodiment, in order to improve the short circuit phenomenon described above, the louvers 7A to 7D of the four outlets 5 shown in Fig. 1 are controlled as shown in Fig. 9. Also in the first embodiment, in the heating start operation, the wind direction of the louvers 7A to 7D of all four blowout ports 5 is simultaneously controlled at the second angle (downward blowout), as shown in FIG. 7. Are controlled together.

본 실시예 1의 실내기(1)가 도 7, 도 8에 도시하는 종래의 것과 상이한 점에서는, 난방 기동 운전이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실시되는 교반 운전에 있어서의 루버(7A∼7D)의 제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반 운전으로 되면,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3개의 취출구(5)의 루버(7B∼7D)는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여 교반 운전이 실시되는데,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일부의 취출구(5)의 루버(7A)에 대해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제어되는 것이다.The indoor unit 1 of the firs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one shown in Figs. 7 and 8, and is the control of the louvers 7A to 7D in the stirring operation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heating start operation. .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among the louvers 7 of the four ejection openings 5, the louvers 7B to 7D of the three ejection openings 5 perform an auto swing operation to perform agitation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louver 7A of the blowout port 5 of some of the louvers 7 of the blowout port 5, as shown in FIG. 9, it is controlled by the third angle (horizontal blowout) described using FIG. will be.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는 도 3에 도시하는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루버 각도 0도)보다도 크고 또한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상기 루버(7)의 최소 개방도인 제1 각도(1단째 각도)보다도 작은 각도(0.5단째 각도)이며, 예를 들어 14도 등의 각도이다.The third angle (taken out horizontally or higher) is greater than the fully closed angle (the louver angle 0 degrees), which is the angle of the louver at the time of stopping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3, and is the minimum opening degree of the louver 7 that can be set by a remote controller. It is an angle smaller than one angle (the first stage angle) (the 0.5th stage angle), for example, an angle such as 14 degrees.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루버(7)의 제3 각도의 위치(7c)는 유저가 리모컨으로 설정할 수 있는 각도가 아니고, 미리 정한 소정의 운전 조건이 된 경우에,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 등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 장치로부터 자동적으로 설정되는 루버(7)의 각도 위치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sition 7c of the third angle of the louver 7 is not an angle that can be set by the user with a remote control, and when a predetermined driving condition is set in adva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 1) It i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louver 7 which is set automatically from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back.

종래의 것에서는, 상기 교반 운전 시에는 모든 루버(7A∼7D)가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이 오토 스윙 동작 중에 4개의 모든 루버(7A∼7D)가 하향으로 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쇼트 서킷 현상을 발생하는 과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 1에서는, 하나의 취출구(5)의 루버(7A)를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하므로,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conventional one, all the louvers 7A to 7D perform an auto-swing operation during the stirring operation, so all four louvers 7A to 7D may go downward during this auto-swing operation, in which case , As described in FIG. 8, there was a problem that a short circuit phenomenon occurs.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1, since the louver 7A of one blow-out port 5 is made into the said 3rd angle (taken out horizontally or more), the following effect is acquired.

즉,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각도가 되어 있는 상기 루버(7A)를 구비하는 취출구(5)로부터는, 취출 공기(22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 공간(R)의 상방(천장(20)측)으로 취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루버(7A)를 구비하는 취출구(5)의 하방에는 흡입 공기의 통과로(25)가 형성되므로, 실내 공간(R)에 있어서의 하방의 냉기가, 실내 공기의 흐름(24)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기(1)의 흡입구(4)로부터 용이하게 흡입된다. 이 결과, 고온의 취출 공기의 일부가, 바로 흡입구(4)로부터 흡입되어버리는 쇼트 서킷 현상(도 8 참조)을 억제할 수 있어, 가열된 고온의 취출 공기가 바로 흡입구로부터 흡입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실내 공간(R)에 있어서의 하방의 냉기를 효율적으로 실내기(1)에 흡입시킬 수 있으므로, 공기 조화기의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as shown by the blow-out air 22a from the blow-out port 5 provided with the said louver 7A at a 3rd angle, it is above the ceiling space R (ceiling). (20) side). For this reason, since the passage 25 of the intake air is formed below the outlet 5 provided with the louver 7A, the cold air below in the indoor space R flows into the indoor air flow 24. As shown, it is easily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4 of the indoor unit 1.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short circuit phenomenon (see FIG. 8) in which a part of the high-temperature blowing air is sucked directly from the suction port 4, and by suppressing the suction of the heated high-temperature blowing air directly from the suction port, Since the cold air in the indoor space R can be efficiently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the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can also be improved is obtained.

또한, 상기 루버(7A)가 상기 제3 각도의 위치로 설정되므로, 도 6에 해칭의 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5)의 벽면과 루버(7)의 단부 사이에 작은 간극(2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극(21)으로부터 기류를 취출시킬 수 있으므로, 풍압에 의한 루버(7A)의 휨을 저감할 수 있어, 고온의 공기를 실내로 취출하는 경우일지라도 루버가 소성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louver 7A is set to the position of the third angle, a small gap 21 is formed between the wall surface of the outlet 5 and the end of the louver 7 as shown by the hatched circle in FIG. 6. Can form. Therefore, since the air flow can be taken out from the gap 2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ending of the louver 7A due to wind pressure, so that even if the high temperature air is blown into the room,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louver. Is also obtain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의하면, 쇼트 서킷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루버의 휨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된 루버 이외의 루버를 갖는 취출구(5)로부터는 고속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 is an effect that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suppress a short circuit and also prevent bending of a louver can be obtained. In addition, high-speed take-out is possible from the take-out port 5 having a louver other than the louver set at the third angle.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난방 기동 운전의 동작은, 유저가 고부하 난방 모드 등을 설정한 경우에 이루어지는 것이며, 고부하 난방 모드 등이 설정되어 있으면, 공기 조화기는 자동적으로 도 9에 도시하는 난방 기동 운전의 동작을 실시한다. 난방 운전의 개시 직후에는 상기 기동 운전이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0분 정도 실시되고, 그 후 교반 운전으로 이행한다. 이 교반 운전은 10분 정도 실시되고, 그 후에는 유저가 리모컨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통상 운전으로 이행한다.The operation of the heating start operation shown in FIG. 9 is performed when the user sets a high load heating mode or the like, and when the high load heating mode or the like is set, the air conditioner automatically starts the heating start operation shown in FIG. 9. To perform the operation.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heating operation, the start-up operation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30 minutes, after which a shift to the stirring operation. This stirring operation is carried out for about 10 minutes, after which the routine shifts to a normal operation that can be freely set by the user with the remote control.

실시예 2Example 2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실시예 2를, 도 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내기(1)의 기본 구성은, 도 1∼도 6,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 2가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1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10,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is omitted,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t will be explained mainly.

도 11은,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서의 루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난방 기동 운전 시에는, 4개의 모든 취출구(5)의 루버(7A∼7D)의 풍향이 동시에 상기 제2 각도(하향 취출)로 제어되는 점에서는 도 7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게 제어된다.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 during the start-up operation and the subsequent agitation operation in Example 2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lso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heating start operation, the wind direction of the louvers 7A to 7D of all four blowout ports 5 is simultaneously controlled at the second angle (downward blowout), as shown in FIG. 7. It is controlled equally.

본 실시예 2의 실내기(1)가 상술한 실시예 1과 상이한 점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난방 기동 운전이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실시되는 교반 운전에 있어서의 루버(7A∼7D)의 제어이다. 본 실시예 2에서는, 교반 운전이 되면, 먼저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3개의 취출구(5)의 루버(7B∼7D)는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여 교반 운전이 실제 실시되지만,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일부의 취출구(5)의 루버(7A)에 대해서는,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제어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unit 1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that, as shown in Fig. 11, louvers 7A to 7D in a stirring operation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heating start operation. It's control.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first, among the louvers 7 of the four ejection openings 5, the louvers 7B to 7D of the three ejection openings 5 perform an auto swing operation to actually perform the stirring operation. , With respect to the louvers 7A of the blowout ports 5 of some of the louvers 7 of the four blowout ports 5, as shown in FIG. 9, they are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horizontal blowout or higher).

단, 본 실시예 2에서는, 루버(7A)가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되는 것은 미리 결정된 일정 시간이며, 그 후,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3개의 취출구(5)의 루버(7A, 7C, 7D)가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여 교반 운전이 실시되도록 하고,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일부의 취출구(5)의 루버(7B)가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제어되어 고정된다.However,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ime for the louver 7A to be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after which, of the louvers 7 of the four outlets 5, three of the outlets 5 The louvers 7A, 7C, and 7D perform an auto-swing operation to perform agitation operation, and the louvers 7B of some of the outlets 5 of the louvers 7 of the four outlets 5 have the third angle ( It is fixed by being controlled by taking out horizontally.

또한, 일정 시간 경과하면, 이번에는, 3개의 취출구(5)의 루버(7A, 7B, 7D)가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여 교반 운전이 실시되고, 루버(7)C에 대해서는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고정되도록 제어되고, 또한 일정 시간 경과하면, 다음으로는, 3개의 취출구(5)의 루버(7A∼7C)가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여 교반 운전이 실시되고, 루버(7D)가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고정되도록 제어된다. 이후에는, 일정 시간마다 순차 동일한 동작이 반복되어서 교반 운전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교반 운전 종료 후에는 통상 운전으로 이행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time has elapsed, this time, the louvers 7A, 7B, and 7D of the three outlets 5 perform an auto-swing operation and agitation operation is performed, and the third angle (horizontal) for the louver 7C Abnormal blowout), an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louvers 7A to 7C of the three blowout ports 5 perform an automatic swing operation to perform stirring operation, and the louver 7D is described above. It is controlled to be fixed at a third angle (taken out horizontally). Subsequently, the same operation is repeated sequentially for a predetermined time so that the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In addition, after completion of the stirring operation, the operation proceeds to normal operation.

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 운전 시에, 제3 각도가 되는 루버를, 일정 시간 경과마다 순차 전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As shown in Fig. 11,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louvers at the third angle during the stirring operation so as to be sequentially switched every predetermined time.

즉,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되는 루버 하방의 실내 공간은 데워지기 어렵게 되지만, 본 실시예 2의 구성으로 함으로써, 실내 온도의 치우침을 완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That is, although the indoor space below the louver at the third angle (taken out horizontally) becomes difficult to warm,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lleviate the bias of the indoor temperature is obtained by mak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실시예 3Example 3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실시예 3을, 도 1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실시예 3에 있어서의 기동 운전 시와 그 후의 교반 운전 시에서의 루버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실내기(1)의 기본 구성은, 도 1∼도 6,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본 실시예 3이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Fig.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louver operation at the time of the starting operation and the subsequent stirring operation in Example 3 o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n addition,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indoor unit 1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nd 10, the description of the same parts is omitted, and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t parts.

본 실시예 3에 있어서는, 난방 기동 운전 시에,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일부(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루버(7A 및 7C)의 풍향이 동시에 상기 제2 각도(하향 취출)로 제어되고, 다른 루버(7B 및 7D)는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제어되도록 한 것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during the heating start operation, the wind direction of the louvers 7A and 7C of some (two in this embodiment) of the louvers 7 of the four outlets 5 is simultaneously the second angle It is controlled by (downward takeout), and the other louvers 7B and 7D are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takeout above horizontal).

또한, 본 실시예 3에서는, 난방 기동 운전이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실시되는 교반 운전에 있어서의 루버(7A∼7D)의 제어에 대해서는,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어된다. 즉, 본 실시예 3에서는, 교반 운전이 되면,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3개의 취출구(5)의 루버(7B∼7D)는 오토 스윙 동작을 행하여 교반 운전이 실시되어, 4개의 취출구(5)의 루버(7) 중 일부의 취출구(5)의 루버(7A)에 대해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제어되게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control of the louvers 7A to 7D in the stirring operation performed after the heating start operation has elapse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controlled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in FIG. 9. That is, in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stirring operation is performed, among the louvers 7 of the four blowing ports 5, the louvers 7B to 7D of the three blowing ports 5 perform an auto swing operation to perform stirring operation. , With respect to the louvers 7A of some of the blowout ports 5 of the louvers 7 of the four blowout ports 5, as shown in FIG. 12, it is configured to be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horizontal blowout or higher). .

본 실시예 3에 의하면, 난방 기동 운전 시에 있어서의 하향 취출 운전 시에 있어서, 일부의 루버(7B, 7D)는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되어 있으므로, 다른 루버(7A, 7C)로부터 하향으로 취출되는 풍속을 더욱 증속한 고속 취출이 가능하게 되어, 실내 공간에 있는 사람의 주변 온도를 조기에 상승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루버(7B, 7D)는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되어 있으므로, 이들 루버(7B, 7D)를 구비하는 취출구(5)의 하방에는 흡입 공기의 통과로(25)(도 10 참조)가 형성되고, 실내 공간(R)에 있어서의 하방의 냉기가 실내기(1)의 흡입구(4)로부터 용이하게 흡입되므로, 도 8에서 설명한 쇼트 서킷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the downward take-out operation during the heating start operation, some of the louvers 7B, 7D are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and thus take out downward from the other louvers 7A, 7C. High-speed take-off can be achieved by increasing the wind speed, thereby obtaining an effect that the ambient temperature of a person in an indoor space can be raised early. In addition, since the louvers 7B and 7D are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a passage 25 for intake air (see FIG. 10) is provided below the outlet 5 having these louvers 7B and 7D. Since it is formed and the cold air below in the indoor space R is easily sucked from the intake 4 of the indoor unit 1, the short circuit phenomenon described in FIG. 8 can also be suppressed.

또한, 난방 기동 운전이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실시되는 교반 운전에 있어서의 루버(7A∼7D)의 제어는, 도 9에 도시하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쇼트 서킷을 억제하면서, 실내 공간의 공기 전체를 전부 데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louvers 7A to 7D in the agitation operation performed after the heating start operation has elapse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the same as in Example 1 shown in FIG. 9, while suppressing the short circuit, the entire air in the indoor space is suppressed. You can heat it all up.

또한, 본 실시예 3에서는, 난방 기동 운전 및 교반 운전 중 어느 경우에도, 일부의 루버가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되므로,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풍압에 의한 루버의 휨을 저감할 수 있어, 고온의 공기를 실내로 취출하는 경우일지라도 루버가 소성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hird embodiment, in either of the heating start operation and the agitation operation, since some of the louvers are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the bending of the louvers due to wind pressure can be reduc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louver even when the hot air is blown out into the room.

또한, 상술한 실시예 3의 설명에서는, 난방 기동 운전 시에는 루버(7B, 7D)를 제3 각도로 제어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제3 각도로 제어하는 루버는 7A, 7C여도 되고, 또는 4개의 루버 중 어느 하나의 루버만을 상기 제3 각도로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교반 운전 시에는 루버(7A)를 제3 각도로 제어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제3 각도로 제어하는 루버는, 4개의 루버 중 임의의 1개의 루버를 상기 제3 각도로 제어하면 되거나, 또는 임의의 복수의 루버를 상기 제3 각도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Embodiment 3 described above, an example was described in which the louvers 7B and 7D are controlled at a third angle during the heating start operation, but the louvers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may be 7A and 7C, or 4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only one of the louvers at the third angle. In addition, although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louver 7A at a third angle during stirring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the louver controlling at a third angle may control any one of the four louvers at the third angle, or Or you may make it the structure which controls arbitrary some louvers to the said 3rd ang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하면, 흡입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복수의 취출구와, 상기 각 취출구에 설치되고 취출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루버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난방 운전 시에는, 복수의 상기 취출구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의 각도를, 완전 폐쇄 각도보다도 크고 또한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최소 각도인 제1 각도보다도 작은 제3 각도로 설정되고, 다른 취출구의 루버는 하향 취출 또는 오토 스윙으로 설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된 루버 이외의 루버가, 동시에,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최대 각도인 제2 각도가 된 경우에도,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된 루버의 하방에는 실내 공기(냉기)를 흡입하는 통과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쇼트 서킷을 억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plurality of blowers installed to surround the inlet and a plurality of louvers provided in each blower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blowing direction In the indoor unit of the heating operation, the angle of the louvers of a part of the outlets among the plurality of outlets is set to a third angle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which is larger than the fully closed angle and which is the minimum angle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ler. The louver of the other take-out port is set to a downward take-out or an auto swing. Therefore, even when a louver other than the louver set at the third angle is at the same time a second angle which is a maximum angle that can be set by a remote controller, the indoor air (cold air) is sucked under the louver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Since the passage can be secured, the short circuit can be suppressed.

즉,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된 루버를 설치한 취출구로부터는 수평 방향 이상의 각도로 공기가 취출되기 때문에, 그 루버 하방에는, 실내 공간 하방의 냉기가 실내기의 흡입구에 흡입되는 통과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쇼트 서킷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at is, since air is blown out at an angl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lower outlet provided with the third angle-controlled louver, a passage is formed below the louver in which cold air in the room space is sucked into the inlet of the indoor unit. Therefore, short circuit generation can be suppressed.

또한, 복수의 상기 취출구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를 상기 제3 각도로 설정하므로, 다른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풍속을 증대할 수 있고, 실내 공간에 있는 사람의 주변의 온도를 조기에 상승시키거나, 교반 운전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되어 있는 루버에는, 고온 공기의 풍압이 작용하는 것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루버가 휘어서 소성 변형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Further, since the louvers of a part of the plurality of outlets are set to the third angle, the wind speed blown out from other outlets can be increas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s of the person in the indoor space is increased early, Stirr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 action of the wind pressure of the hot air to the louver set at the third angle, an effect that the plastic deformation can also be suppressed by bending the louver is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여러가지 변형예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 1∼3에서는, 난방 기동 운전 시에, 전체 루버를 제2 각도(하향 취출) 또는 일부의 루버를 제3 각도(수평 이상 취출)로 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전체 루버를 오토 스윙으로 설정하거나, 일부의 루버를 상기 제3 각도로 설정하고, 다른 루버를 오토 스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included. For example, in Examples 1 to 3 described above, an example is described in which the entire louver is a second angle (downward take-out) or a portion of the louvers is a third angle (horizontal or more take-out) during the heating start-up operation. The louver may be set to auto swing, or some louvers may be set to the third angle, and may be configured to auto swing other louvers.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며,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easi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having all the configurations described.

1: 실내기
2: 하우징
3: 화장 패널
3a: 단열재
4: 흡입구
5: 취출구
6: 흡입 그릴
7: 루버
7a: 최소 각도(제1 각도)의 위치
7b: 최대 각도(제2 각도)의 위치
8: 모터
9: 원심팬
10: 열교환기
11: 드레인 팬
12: 흡입부
13: 토출부
14: 풍로
15: 벨 마우스
16: 전기품 상자
17: 흡입 필터
18: 중심축
19: 설치 부재
20: 천장
21: 간극
22, 22a: 취출 공기
23: 쇼트 서킷의 흐름
24: 실내 공기의 흐름
25: 흡입 공기의 통과로
F: 바닥면
R: 실내 공간
1: Indoor unit
2: housing
3: makeup panel
3a: insulation
4: Inlet
5: outlet
6: suction grill
7: Louver
7a: position of the minimum angle (first angle)
7b: position of the maximum angle (second angle)
8: Motor
9: Centrifugal fan
10: heat exchanger
11: drain pan
12: suction
13: discharge section
14: Furnace
15: Bell Mouse
16: electrical appliance box
17: suction filter
18: Central axis
19: no mounting
20: ceiling
21: clearance
22, 22a: Blowing air
23: Short circuit flow
24: indoor air flow
25: passage of intake air
F: bottom
R: Indoor space

Claims (10)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복수의 취출구와, 상기 각 취출구에 설치되고 취출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루버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실내기의 정지 시에는 상기 루버는 상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됨과 함께, 상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를 완전 폐쇄 각도로 하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 시에 상기 루버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상기 루버의 각도 중 최소 각도를 제1 각도로 하고, 최대 각도를 제2 각도로 했을 때,
난방 운전 시에, 복수의 상기 취출구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의 각도가,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제1 각도보다도 작은 제3 각도로 설정되고, 다른 상기 취출구의 루버는 오토 스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suction port, a plurality of blowout port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louvers provided in each blowout port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blowing direction,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the louve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blowout port, and the angle of the louver at the time of stopping the indoor unit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blowout port is set to a completely closed angle,
When a driving unit of the indoor unit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louver, the minimum angle of the angle of the louver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 is the first angle, and when the maximum angle is the second angle,
At the time of heating operation, the angle of the louvers of some of the blowout ports among the plurality of blowout ports is set to a third angle that is greater than the fully closed angle which is the angle of the louver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is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and the other blowout ports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uver is set to auto sw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흡입구의 둘레에 루버를 설치한 취출구가 4군데 설치되어 있는 4방향 실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unit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oor unit is a four-way indoor unit having four outlets provided with a louver around the suction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되는 루버는, 소정 시간 완전 폐쇄 각도로 유지된 후,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uver set at the third angle is maintained at a completely closed angl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제1항에 있어서,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의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를 0도로 했을 때, 상기 제1 각도는 27∼30도의 범위이며, 상기 제2 각도는 60∼70도의 범위이며, 각각 임의로 설정되고, 또한 상기 제3 각도는 5∼25도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fully closed angle, which is the angle of the louver at the time of stopping the indoor unit, is set to 0 degrees, the first angle is in the range of 27 to 30 degrees, the second angle is in the range of 60 to 70 degrees, and each is arbitrarily set, and the third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is arbitrarily set within a range of 5 to 25 degre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는 10∼18도의 범위에서 임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4,
The third angle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s arbitrarily set in the range of 10 to 18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난방 운전 개시 시에는, 모든 상기 취출구의 루버가 하향 취출로 설정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복수의 상기 취출구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 각도가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되고, 다른 상기 취출구의 루버는 오토 스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At the start of the heating operation, the louvers of all the blowout ports are set to downward blowout,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louver angles of some of the blowout ports are set to the third angle, and the louvers of the other blowout ports ar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as an auto sw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되는 루버는 소정 시간마다 순차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uvers set at the third angle are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switched every predetermined time.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복수의 취출구와, 상기 각 취출구에 설치되고 취출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복수의 루버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있어서,
실내기의 정지 시에는 상기 루버는 상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됨과 함께, 상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 각도를 완전 폐쇄 각도로 하고,
상기 실내기의 운전 시에 상기 루버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리모컨을 구비하고, 상기 리모컨으로 설정 가능한 루버 각도 중 최소 각도를 제1 각도, 최대 각도를 제2 각도로 했을 때,
난방 운전 시에, 복수의 상기 취출구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의 각도가, 실내기 정지 시의 루버 각도인 완전 폐쇄 각도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제1 각도보다도 작은 제3 각도로 설정되고, 다른 상기 취출구의 루버는 하향 취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I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having a suction port, a plurality of blowout port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suction port, and a plurality of louvers provided in each blowout port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blowing direction,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the louver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blowout port, and the louver angle at the time of stopping the indoor unit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blowout port is set to a completely closed angle,
When a driving unit of the indoor unit is provided with a remote control for setting the operation of the louver, when the minimum angle of the louver angle that can be set by the remote control is the first angle and the maximum angle is the second angle,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the angle of the louvers of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the outlets is set to a third angle that is greater than the fully closed angle which is the louver angle when the indoor unit is stopped and is smaller than the first angle, and the other of the outlets The louver is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 to downward blow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흡입구의 둘레에 루버를 설치한 취출구가 4군데 설치되어 있는 4방향 실내기이며,
난방 운전 개시 직후의 기동 운전 시에는, 4개의 상기 취출구 중,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는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됨과 함께, 다른 상기 취출구의 루버는 하향 취출로 설정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일부의 취출구의 루버는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되고, 다른 복수의 취출구의 루버를 오토 스윙시켜서 교반 운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indoor unit is a four-way indoor unit in which four extraction ports are provided with a louver around the suction port.
During the start-up operation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heating operation, among the four outlets, the louvers of some of the outlets are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while the louvers of the other outlets are set to downward extraction,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om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uver of the blow-out port is set at the third angle, and agitation is performed by auto-swinging the louvers of a plurality of other blow-out por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각도로 설정되는 루버는, 소정 시간 완전 폐쇄 각도로 유지된 후, 상기 제3 각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uver set at the third angle is maintained at a completely closed angl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controlled at the third angle.
KR1020197004820A 2018-02-06 2018-02-06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1356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3966 WO2019155513A1 (en) 2018-02-06 2018-02-06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928A KR20190096928A (en) 2019-08-20
KR102135621B1 true KR102135621B1 (en) 2020-07-20

Family

ID=67548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820A KR102135621B1 (en) 2018-02-06 2018-02-06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208850A1 (en)
EP (1) EP3751212A4 (en)
JP (1) JP6609722B1 (en)
KR (1) KR102135621B1 (en)
CN (1) CN110352321B (en)
WO (1) WO2019155513A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324A (en) 1999-10-12 2001-04-27 Matsushita Refrig Co Ltd Air conditioner
JP2001174043A (en) 1999-12-20 2001-06-29 Fujitsu General Ltd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JP2007024453A (en) 2005-07-21 2007-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JP2011069591A (en) 2009-09-28 2011-04-07 Daikin Industries Ltd Control device
WO2011093343A1 (en) 2010-01-26 2011-08-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Ceiling-mounte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WO2017208404A1 (en) 2016-06-01 2017-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8627B2 (en) 1995-05-25 2004-07-2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N101839522B (en) * 2009-03-20 2013-09-04 海尔集团公司 Air conditioner and wind direc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11196666A (en) 2010-03-24 2011-10-06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JP4495778B1 (en) * 2009-10-08 2010-07-07 デンショー株式会社 Embedded ceiling air conditioner and remote controller
JP2011185591A (en) * 2010-02-15 2011-09-22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device
JP5267628B2 (en) * 2011-08-31 2013-08-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JP2013113469A (en) * 2011-11-28 2013-06-10 Fujitsu General Ltd Air conditioner
JP5692327B1 (en) * 2013-09-30 2015-04-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N104713164B (en) * 2013-12-11 2017-07-21 海尔集团公司 A kind of embedded air-conditioner indoor set
JP6570916B2 (en) * 2015-08-13 2019-09-04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Indoor unit, air conditioner equipped with the same, control method for indoor unit, and control progra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324A (en) 1999-10-12 2001-04-27 Matsushita Refrig Co Ltd Air conditioner
JP2001174043A (en) 1999-12-20 2001-06-29 Fujitsu General Ltd Ceiling embedded type air conditioner
JP2007024453A (en) 2005-07-21 2007-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Air conditioner
JP2011069591A (en) 2009-09-28 2011-04-07 Daikin Industries Ltd Control device
WO2011093343A1 (en) 2010-01-26 2011-08-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Ceiling-mounte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ing device
WO2017208404A1 (en) 2016-06-01 2017-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9155513A1 (en) 2020-02-27
EP3751212A1 (en) 2020-12-16
US20200208850A1 (en) 2020-07-02
WO2019155513A1 (en) 2019-08-15
KR20190096928A (en) 2019-08-20
EP3751212A4 (en) 2021-08-25
CN110352321B (en) 2021-03-05
CN110352321A (en) 2019-10-18
JP6609722B1 (en)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9741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2007198641A (en) Floor-mounted air conditioning indoor unit
JP6498598B2 (en)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JP613573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3184925A1 (en) Control device, air-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3562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90130846A (en)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18334927B2 (en) Ceiling-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885556B1 (en) Air conditioner
JP2007333356A (en) Blowing out structure for ceiling embedded type indoor machine unit
CN101932885A (en) Air conditioner
JP4749352B2 (en) Air conditioner
CN108474581B (e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213562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6418147B2 (en) air conditioner
JP4619983B2 (en) Air conditioner
CN113606667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JP2008151477A (en) Floor-installed air conditioner
CN108474582B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4851629B2 (en) Air conditioning method and air conditioner
JP6936571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2243186A (en) Ceiling installation type air conditioner
JPH0639973B2 (en)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JP659288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16591961U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