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281B1 - Wardrobe with auto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 - Google Patents

Wardrobe with auto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281B1
KR102135281B1 KR1020200016490A KR20200016490A KR102135281B1 KR 102135281 B1 KR102135281 B1 KR 102135281B1 KR 1020200016490 A KR1020200016490 A KR 1020200016490A KR 20200016490 A KR20200016490 A KR 20200016490A KR 102135281 B1 KR102135281 B1 KR 102135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drobe
hanger rod
opening
connection support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연순
전지환
Original Assignee
유연순
전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순, 전지환 filed Critical 유연순
Priority to KR102020001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28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2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2Wardrobes with extensible garment-holder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drobe with a hanger bar. More specifically, rails are fixed and formed on an inner wall of a wardrobe, a hanger bar and a slide bar slid along the rail are formed between the rails. A connection support and a variable adjustment rod are hinge-coupled between the slide bar and an opening/closing door of the wardrobe. One end of the variable adjustment rod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from the connection support to automatically withdraw the hanger bar in the wardrobe with the opening/closing door of the wardrobe to the front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of the wardrobe is opened and rotated, to easily take out and wear clothing or hang clothing on the hanger bar. The hanger bar in a front withdrawal state is automatically inserted into the wardrobe simply by an operation of closing the opening/closing door in an open state to provide excellent user convenience. The hanger bar is withdrawn to the front of the wardrobe to easily take out or hang clothing or the like to provide efficiency. An automatic appearing means for the hanger bar consists of simple components to allow excellent mass production and to provide excellent durability, thereby exhibiting an effect of extending the service life.

Description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Wardrobe with auto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Wardrobe with auto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

본 발명은 옷걸이봉이 구비된 옷장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로 된 옷장의 여닫이 개폐도어를 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옷장 내부의 옷걸이봉이 옷장의 전,후측을 향해 슬라이딩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더욱 손쉽게 옷을 걸어 수납하거나 옷을 꺼내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옷장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rdrobe equipped with a hanger rod, and more specifically, in a process of operat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wardrobe in various forms, the hanger rod inside the wardrobe is automatically configured to slide out or insert toward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wardrobe. It relates to a wardrobe that makes it easier to hang clothes for storage or take out clothes to wear.

일반적으로 옷장이라 함은 목재 혹은 철재 등을 이용하여 전면에 개폐도어가 마련된 육면체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옷장의 내부 상측에는 가로 방향으로 옷걸이봉이 장착되어 있고 옷장의 내부 하측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된 서랍 혹은 수납칸 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Generally, a wardrobe is a hexahedron shape in which an opening/closing door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by using wood or steel, and a hanger rod is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wardrobe, and various sizes and sizes on the lower side of the wardrobe as needed. There is a drawer or storage box in the form.

이때, 통상적인 옷장의 경우 상기 옷걸이봉이 옷장의 전,후 방향 내부의 중간 지점에 가로 형태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옷걸이봉에 다양한 종류의 옷을 옷걸이를 사용하여 구김없이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ardrobe, the hanger rod is fixedly installed in a horizontal shape at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ardrobe, and various types of clothes can be stored and stored on the hanger rod without wrinkles. will be.

또한, 상기의 옷걸이봉은 원형의 관체 혹은 타원형의 관체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 옷걸이봉의 양측 끝단은 옷장의 내부 양측벽에 고정된 안치구에 끼워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옷걸이봉을 편리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필요에 의해 상기 옷걸이봉을 제거하여 옷장 내부 공간 전체를 온전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anger rod is generally made of a circular tubular body or an oval tubular body, and both ends of the hanger rod are conveniently assembled and installed as they are fixed by inserting them into an anchor fixed to both side walls of the closet. Of course,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hanger rod as needed and use the entire space inside the closet intact.

특히,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 옷걸이봉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더욱 다양한 형태로의 진일보된 작용 및 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17000호와 같이 장롱의 천정판에 부착시키기 위한 행거가 상부에 수개 부착되고 하부가 트여지는 봉형상의 걸이봉과; 전자유니트에 회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걸이봉의 트여진 하부로 끼워 조립되는 형광등과; 상기 형광등을 장롱 도어가 개폐될 때 접점 단속되어 점소등 제어시키는 접점스위치와; 상기 걸이봉의 행거를 천정판에 취부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천정판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부재를 비스로 체결 고정되며 그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파여져 이 숫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도록 암나사부가 파여지고, 행거의 상부에서 회전 자유롭게 마감캡이 축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마감캡이 나사 체결하여서 구성되는 것에 의해, 그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장농의 옷걸이봉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Particularly, it is being made to produce advanced actions and effects in more various forms through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hanger rod, and attaching it to the ceiling plate of the wardrobe as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17000. A hanger rod in which several hangers for attachment are attached to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is opened; A fluorescent lamp assembled in a circuit-connected state to the electronic unit and fitted under the open bottom of the hook; A contact switch for controlling the point light by controlling the contact point when the fluorescent lamp is opened and closed; In the hanger consisting of a fixing means for attaching the hanger to the ceiling plate; The fixing means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ceiling plate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member with a screw, and a male screw portion is dug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crewed to the male screw portion, and the closing cap is freely rotated on the top of the hanger. By being configured by screwing the fixing member and the closing cap, a hanger rod of Jangongnong has been created and registered for easy and easy installation.

또한, 공개특허 제10-2018-0008011호와 같이 옷걸이 대에 있어서 옷을 걸 수 있도록 지지하게 위쪽에 돌출부가 움직일 수 있도록 홈이 있는 긴 봉형으로 형성한 봉 몸체, 돌출부가 부착되어 있고 이를 회전시킬 수 있게 금속 또는 합성수지 줄 또는 컨베어 벨트로 구성한 견인줄, 옷이 걸린 옷걸이를 정렬되도록 한쪽으로 밀어 주는 구형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한 견인돌기, 구동롤러를 구동시켜 견인줄을 가동하도록 한 서보모터, 서보모터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건전지를 내부할 수 있는 홈과 서보모터가 내장된 사면체로 형성한 전원부로 구성된 옷 정렬기를 갖는 옷걸이 대가 안출된 바 있다.In addition, as i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8011, a rod body formed of a long rod-shaped groove with a groove so as to support a hook to move to support clothes to be hung on a hanger stand is attached and rotated. Towing lin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line or conveyor belt to enable, towing protrusion formed of spherical or inclined surface that pushes the clothes hanger to one side to align, Servo motor to drive the towing line by driving the driving roller, power to the servo motor A hanger stand having a clothes aligner composed of a power supply unit formed of a tetrahedron having a groove and a servo motor built therein to transfer the battery has been devised.

이어, 등록특허 제10-1820859호와 같이 알루미늄을 압출하여 구성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착탈부재와, 하방으로 조명을 발광하는 엘이디모듈과, 상기 엘이디모듈의 조명을 하방으로 확산하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확산커버로 이루어지는 옷걸이봉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엘이디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건전지가 수납되는 건전지홀더가 형성된 착탈부재가 슬라이딩에 의해 착탈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전원공간부와; 엘이디모듈이 상기 경사부에 밀착되어 경사를 이루고 결합되는 조명공간부와; 상측의 전원공간부와 하측의 조명공간부를 구분하는 경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착탈부재는 프레임에 형성된 센서홀에 결합되며 사용자 또는 도어의 동작을 감지하여 엘이디모듈을 작동하는 감지센서와, 프레임에 형성된 절개부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엘이디모듈을 작동하는 스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확산커버는 경사부 및 엘이디모듈과 동일한 경사를 이루며 슬라이딩에 의해 조명공간부의 개방된 하측에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이 구비된 옷걸이봉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Subsequently, as shown in Patent No. 10-1820859, a frame constructed by extruding aluminum, a detachable member coupled to be detachable inside the frame, an LED module emitting light downward, and lighting of the LED module In a hanger rod made of a diffusion cover made of a synthetic resin made of a semi-transparent material that diffuses downward, the frame is provided so that a detachable member having a battery holder for storing a plurality of batteries so as to supply power to the LED module can be detached by sliding. A combined power space unit; A lighting space unit in which the LED modu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portion to form an inclined portion; Consists of an inclined portion separating the upper power space portion and the lower light space portion, the detachable member is coupled to the sensor hole formed in the frame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or the door and a sensor for operating the LED module, frame It is coupled to the incision formed in the at least one of the switches that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LED module, the diffusion cover forms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portion and the LED module, coupled to the open lower side of the lighting space portion by sliding Hanger rods with LED ligh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 has been created and registered.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2779호와 같이 장농이나 붙박이장, 서랍장 등에 설치되는 의류 및 속옷이나 기저귀 등의 악취와 세균 박테리아, 대장균, 곰팡이균 등을 제거하고, 문짝에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람이 감지되면 살균엘이디가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작된 살균 엘이디조명 옷걸이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Also, as shown in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9-0002779, it removes bad odors such as clothing, underwear, diapers, and germs, bacteria, E. coli, and fungi, which are installed in cabinets, built-in cabinets, and drawers, and is equipped with a switch on the door. When a person is detected, a sterilized LED lighting hanger has been devised so as not to affect the human body by blocking irradiation of the sterilized LED.

그러나, 기존의 옷장 내 옷걸이봉은 전기한 바와 같이 대부분 옷장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옷걸이봉 자체의 구조적 개선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친 것으로, 정작 옷을 수납하거나 꺼내어 착용하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한 것이다.However, the hanger rods in the existing wardrobe are mostly limited to the structural improvement of the hanger rod itself in a fixed state inside the wardrobe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oblem in the process of storing or removing clothes is not solved. It is not possible.

즉, 통상적으로 옷장 내 옷걸이봉은 옷장 내부의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옷이 걸려진 상태의 옷걸이를 상기 옷걸이봉에 걸어 상기의 옷이 구김없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의 옷걸이봉에 옷걸이를 걸거나 꺼내고자 하는 경우 키가 작거나 어린아이 혹은 노인의 경우에는 옷걸이봉의 높이가 높아 상당히 부담스러운 것이다.That is, the hanger rod in the wardrobe is usually fix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wardrobe, so that the hanger in a hanging state is hung on the hanger rod so that the clothes can be stored without wrinkles. If you want to hang or remove the hanger on the rod, it is quite burdensome because the height of the hanger rod is small or the height of the hanger rod for young children or the elderly.

이는, 상기의 옷장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의한 것으로 롱코트 혹은 롱패딩이나 원피스 등과 같이 비교적 길이가 긴 형태의 옷을 보관하기 위해 상기의 옷걸이봉은 옷장의 내부 상측에 최대한 상승된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손을 최대한 높게 깊숙히 집어넣어 옷걸이를 걸거나 꺼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This is a method for sufficiently utilizing the space inside the wardrobe. In order to store clothes having a relatively long shape, such as a long coat or a long padding or a dress, the hanger rod is raised to the maximum inside of the wardrobe as much as possible. As it is installed, in the case of a user having a short height as described above, it is inconvenient to hang or pull out a hanger by inserting a hand as deep as possible.

따라서, 상기의 옷걸이봉에 옷걸이를 걸거나 꺼내기 위한 별도의 막대를 추가로 구비 혹은 제공하여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상기의 막대를 통해 옷걸이봉으로부터 옷을 꺼내거나 걸어 보관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도 클 뿐만 아니라 지극히 비경제적인 것이다. Therefore, in the case of a user who is short by providing or providing a separate rod for hanging or pulling a hanger on the hanger rod, the user needs to take out or hang clothes from the hanger rod through the rod and store them. Not only is it large, it is extremely uneconomical.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17000 (2001.01.05. 등록)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20-0217000 (Registration on Jan. 5, 200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8-0008011 (2018.01.24.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8-0008011 (published on January 24, 2018) 대한민국등록특허 10-1820859 (2018.01.16. 등록)Korea Registered Patent 10-1820859 (Registration on January 16, 2018)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2019-0002779 (2019.11.06. 공개)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20-2019-0002779 (released on November 6, 2019)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옷장 내 측벽에 레일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 레일 사이에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옷걸이봉과 슬라이드바를 형성하며, 상기 슬라이드바와 옷장의 개폐도어 사이에는 연결지지대 및 가변조절대를 힌지 결합하되, 상기 가변조절대의 일단은 연결지지대로부터 길이조절되도록 구성함에 따라,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rail fixed to the side wall in the wardrobe, to form a hanger rod and a slide bar sliding along the rail between the rails, and a connection support between the slide ba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wardrobe. And hinged to the variable control, but one end of the variable control is configured to be adjusted in length from the connection support,

상기 개폐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에 따라 연결지지대 및 가변조절대와 결합된 슬라이드바 및 옷걸이봉이 자동으로 전면으로 인출 또는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여, 상기 옷걸이봉으로부터 옷을 손쉽게 꺼내어 착용하거나 옷걸이봉에 편리하게 옷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한 특징의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opening/closing door, the slide bar and the hanger rod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support and the variable adjuster are automatically pulled out or inserted into the front, so that the clothes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hanger rod and worn or conveniently on the hanger ro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rdrobe equipped with an automatic disengagement means for a hanger rod having a feature to allow clothes to ha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옷장 내 측벽에 한 쌍의 레일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레일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게 한 슬라이더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대향의 슬라이더에는 상,하로 위치되게 한 슬라이드바와 옷걸이봉의 양 끝단이 각기 결합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바와 옷장의 개폐도어 사이에는 별도 구비의 연결지지대 및 상기 연결지지대에 삽입되는 가변조절대를 각기 힌지 결합하여 구성하되,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fixedly formed a pair of rails on the side walls in the wardrobe, coupled to the slider to be moved along the rail on each rail, the opposite slider, the upper, The both ends of the slide bar and the hanger rod which are positioned downward are fixed to each other, and between the slide ba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wardrobe, a separately provided connection support and a variable adjustment insert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upport are configured by hinged engagement,

상기 슬라이드바에는 유동관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연결지지대의 일측단이 상기 유동관과 힌지 결합되게 하고, 상기 연결지지대는 일측단으로부터 삽입홈을 길이방향 내측으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으로 가변조절대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가변조절대의 타측단은 옷장의 개폐도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 작동에 따라 상기 옷걸이봉이 옷장의 전,후 방향으로 레일을 따라 자동으로 슬라이딩 출몰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slide bar is formed by coupling a flow tube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is hinged with the flow tube, and the connection support forms an insertion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so that one side of the variable contro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adjuster is configured to be hinged to a fixed bracket that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of the closet, an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the hanger rod automatically moves along the rai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loset. It is made to be configured to slide in and out.

본 발명은, 옷장의 개폐도어를 개방 회전시키면 이와 함께 자동으로 옷장 내 옷걸이봉이 전면으로 인출되므로 손쉽게 옷을 꺼내어 착용하거나 옷걸이봉에 걸어둘 수 있는 것이고, 개방 상태의 개폐도어를 닫는 동작만으로도 전면 인출 상태의 옷걸이봉이 자동으로 옷장 내부를 향하여 삽입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은 물론 옷걸이봉이 옷장 전면부로 인출됨에 따라 보다 손쉽게 옷 등을 꺼내거나 걸어둘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것이며, 상기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은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대량 생산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내구성이 뛰어나 사용 수명의 연장 효과가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of the wardrobe is opened and rotated, the hanger rods in the wardrobe are automatically pulled out to the front, so that the clothes can be easily taken out and worn or hung on the hanger rods, and the front door is pulled out only by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open/close door. Since the hanger rod in the state is automatically inserted toward the inside of the wardrobe, it is very efficient in use, and it is very efficient because the hanger rod can be more easily taken out or hanged as the drawer is pulled out to the front of the wardrobe. The appearance means has a very simple configuration, which is excellent in mass productivity as well as excellent durability,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본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평면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정면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레일 단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도어 닫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의한 평면 결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도어 개방과정을 보인 평면 작용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도어 개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의한 평면 작동 상태도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hanger rod automatic appearanc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main perspective view of a hanger rod automatic appearance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hanger rod automatic appearanc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hanger rod han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ront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hanger rod automatic appearanc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rail end of the hanger rod automatic appearanc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closed state of the automatic hanging means of the hanger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of the plane coupled by FIG. 7;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door opening process of the automatic hanging means of the hanger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pening state of the automatic hanging means of the hanger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lan view of the operation state of FIG. 10;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No,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ubsequently,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are pres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with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본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평면 전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정면 전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의 레일 단부 확대도이다.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hanger rod automatic appea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main perspective view of a hanger rod automatic appear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main parts of the automatic hang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hanger rod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front of the hanger rod automatic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automatic hanger r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larged view of the rail end.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옷장 내 옷걸이봉 자동 출몰수단은, 옷장(100)의 내부 양측 측벽(101)(101')에 옷장(100)의 전,후 방향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레일(10)(10')을 각기 고정 형성하고, 상기 레일(10)(10')에는 슬라이드바(30) 및 옷걸이봉(40)의 양단에 고정된 한 쌍의 슬라이더(20)(20')가 각각 삽입되는 것으로, 양측 레일(10)(10')에 각기 결합되는 슬라이더(20)(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드바(30)와 옷걸이봉(40)은 상,하 상호 이격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automatic hanger rod in the wardrob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rails 10 fixed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wardrobe 100 on the inner side walls 101 and 101' of both sides of the wardrobe 100 ) (10') are fixedly formed, and the rail (10) (10') has a slide bar (30) and a pair of sliders (20, 20') fixed to both ends of the hanger rod (40), respectively. As being inserted, the slide bars 30 and the hanger rods 40 positioned between the sliders 20 and 20',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ails 10 and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 have it.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30)에는 별도 구비의 연결지지대(50)가 결합되고 상기 옷장(100)의 개폐도어(110)에는 상기 연결지지대(50)의 내측으로 일단이 삽입된 가변조절대(60)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연결지지대(50)는 슬라이드바(30)에 결합된 유동관(70)에 상호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가변조절대(60)는 개폐도어(110)에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80)에 상호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lide bar 3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nection support 50 is coupled to the opening/closing door 110 of the closet 100, one end of which is inserted into the variable support 60 of the connection support 50. ) Is coupled, the connection support 50 is hinged to each other on the flow pipe 70 coupled to the slide bar 30, and the variable adjustment support 60 is fixed bracket installed fixed to the opening/closing door 110 ( 80) is hinged to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옷장(100)의 개폐도어(110)를 회전 개방시키면 가변조절대(60)와 연결지지대(50)가 끌려나오는 동시에 유동관(70)이 슬라이딩바(30)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라이드바(30)와 옷걸이봉(40) 및 양측의 슬라이더(20)(20')를 함께 옷장(100) 전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옷장(100)의 전면부에 위치한 옷걸이봉(40)으로부터 옷을 꺼내어 착용하거나 옷을 걸어두는데 매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Therefore,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110 of the wardrobe 100 is rotated open, the variable adjustment base 60 and the connection support 50 are pulled out while the flow pipe 70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sliding bar 30. The slide bar 30, the hanger rod 40 and the sliders 20 and 20' on both sides are moved together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oset 100, from the hanger rod 40 located at the front side of the closet 100. It is very convenient to take out clothes to wear or hang clothes.

이때, 상기의 레일(10)(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압출 성형된 것을 필요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 상,하부에는 반구형의 수용절곡부(11)(11')가 각기 상호 대향 형태로 만들어져 있는 것이고, 상기 슬라이드(20)(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용절곡부(11)(11')와 대응하는 형태로 된 반구형의 유동계지부(21)(21')가 상,하측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용절곡부(11)(1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동계지부(21)(21')로 인해 상기 슬라이더(20)(20')가 레일(10)(1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움질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ails 10 and 10' are cut and used to be extruded continuous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a required length, and the hemispherical accommodating bending portions 11 and 1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re each made in a mutually opposite form, and on one side of the slides 20 and 20', a hemispherical flow stop 21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bends 11 and 11' (21')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slider 20, 20' due to the flow stops 21 and 21' inserted into the receiving bent portions 11 and 11'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ails 10 and 10'.

또한, 각관 혹은 원형관 형태로 된 슬라이드바(30)에 대응 형상을 갖고 삽입되는 유동관(70)은 상기 슬라이드바(3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유동관(70)의 일측으로는 상,하 방향으로의 끼움공(71)이 형성된 힌지결합부(72)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연결지지대(50)의 끝단 하측으로 돌출된 힌지축부(52)가 상기 끼움공(71)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유동관(70)과 연결지지대(50) 간의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flow pipe 70 is inserted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de bar 30 in the form of a square pipe or a circular pipe can be flo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bar 30, to one side of the flow pipe 70 The hinge coupling portion 72 is formed with a fitting hole 7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protruded, the hinge shaft portion 52 protruding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50 to the fitting hole 71 As it is inserted, the hinge connection between the flow pipe 70 and the connection support 50 is made.

이어, 상기 연결지지대(5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형성되는 삽입홈(51)으로는 상기 가변조절대(60)의 일측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홈(51)이 형성된 연결지지대(50)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홈(51)과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게 한 가변슬롯(53)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홈(51)으로 끼워진 가변조절대(60)는 상기 가변슬롯(53)을 통해 노출되는 것이고, 상기 가변조절대(60)의 끝단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걸림구(62)는 가변슬롯(53)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변슬롯(53)의 길이 범위 내에서만 유동될 수 있는 것으로, 결국 상기 가변조절대(60)는 가변슬롯(53)의 길이 범위 내에서 상기 연결지지대(50)에 대한 길이 조절 형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Subsequently, as the insertion groove 51 formed i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50, one side of the variable adjustment base 60 is inserted, and the insertion groove 51 is formed. A variable slot 53 through which the insertion groove 51 communicates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support 50, so that the variable adjustment table 60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1 has the variable slot 53 ), and the fastener 62 coupl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the ends of the variable adjuster 60 is located inside the variable slot 53 and only within the length range of the variable slot 53 As it can be flowed, in the end, the variable adjuster 60 is combined into a length-adjustable form for the connection support 50 within the length range of the variable slot 53.

또한, 상기 옷장(100)의 개폐도어(110) 내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80)은 개폐도어(110)에 볼트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8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고정브라켓(80)의 상측에는 수직 방향의 삽입공(82)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가변조절대(60)의 끝단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회전축부(61)가 상기 삽입공(82)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80)과 가변조절대(60)의 상호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80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10 of the closet 100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81 for fixing bolts to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10 is formed through, fixing bracket 80 ), the insertion hole 82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hrough, and the rotation shaft portion 61 protruding toward the lower end of the variable adjustment base 60 is fixed as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82 The hinge hinge between the bracket 80 and the variable control unit 60 is made.

이어, 상기와 같은 고정브라켓(80)의 하측으로는 일체로 연결 성형된 걸고리부(83)를 함께 형성함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80)의 걸고리부(83)를 이용하여 의복이나 악세사리 혹은 가방이나 모자 등을 걸어둘 수도 있을 것이다.Subsequently,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80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as an integrally connected and formed hook portion 83 together with the hook portion 83 of the fixing bracket 80, such as clothes, accessories or bags. You may be able to hang a hat, etc.

또한, 상기 레일(10)(10')의 끝단 즉, 옷장(100)의 개폐도어(110)를 향하는 레일(10)(10')의 단부에는 별도 구비의 마감캡(90)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 마감캡(90)의 일측에는 상기 레일(10)(10')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멈춤턱(9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멈춤턱(91)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고정공(92)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공(92)으로 삽입되는 고정볼트(도면에서는 미도시함)가 상기 레일(10)(10')을 관통하여 옷장(100)의 측벽(101)(101')에 나사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rail (10) (10'), that is, the end of the rail (10) (10') facing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10 of the wardrobe 100 is coupled to form a separate closing cap 90, , On one side of the closing cap 90, a stopper 91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ail 10 and 10' protrudes, and the stopper 91 is transversely fixed to the stopper 91 92), a fixing bolt (not shown in the drawing)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92 penetrates through the rails 10 and 10', and the side walls 101 and 101' of the closet 100 It can be configured to be screwed on.

이에 따라, 상기 마감캡(90)에 의해 유해한 단부를 갖는 레일(10)(10')의 끝단에 대한 안전한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마감캡(90)과 레일(10)(10')이 옷장(100)의 측벽(101)(101')에 견고하게 동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마감캡(90)에 의해 레일(10)(10') 내 슬라이더(20)(20')가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as well as to ensure a safe finish to the end of the rail (10) (10') having a hazardous end by the closing cap 90, as well as the closing cap 90 and the rail (10) (10') It is to be fixed to the sidewalls 101 and 101' of the wardrobe 100 firmly and simultaneously, and the sliders 20 and 20' in the rails 10 and 10' are removed by the closing cap 9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따라서,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옷장(100)의 개폐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브라켓(80)에 힌지 결합된 가변조절대(60)의 걸림구(62)가 연결지지대(40)의 가변슬롯(53) 내 일측 끝단까지 후퇴한 상태를 갖게 되고, 상기 연결지지대(50)가 힌지 결합된 유동관(70)은 슬라이드바(30)의 일측에 편향된 상태를 갖게 될 것이며, 상기 레일(10)(10') 상의 슬라이더(20)(20')는 옷장(100)의 내부로 후퇴하여 상기의 옷걸이봉(40)의 옷장(100)의 내부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s 7 and 8, in the closed and open doors 110 of the closet 100, the fastener 62 of the variable adjustment base 60 hinged to the fixed bracket 8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In the variable slot (53) of (40) will have a retracted state to one end, the connection support 50 is hinged flow tube 70 will have a deflected state on one side of the slide bar (30), The sliders 20 and 20' on the rails 10 and 10' retreat to the interior of the wardrobe 100 to produce a state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int inside the wardrobe 100 of the hanger rod 40. Is done.

따라서, 상기의 옷걸이봉(40)의 옷장(100)의 내부 중간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옷걸이봉(40)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옷을 옷걸이 등을 통해 걸어놓을 경우 옷장 내 뒷판이나 개폐도어(110)와의 간섭없이 안정적인 수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lothes of various types are hung through a hanger or the like using the hanger rod 40 because it is located inside the intermediate point of the wardrobe 100 of the hanger rod 40, the back plate or opening/closing door 110 in the wardrobe. It will maintain a stable storage state without interference with.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의 개폐도어(110)가 개방 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도 9의 도시와 같이 개폐도어(110) 및 고정브라켓(80)은 가변조절대(60)를 잡아당기게 되는 것이고, 연결지지대(50)에 삽입되어 있던 가변조절대(60)는 연결지지대(50)의 가변슬롯(53) 범위 내에서 연결지지대(50)로부터 연장된 형태로 인출되는 것이고, 상기 가변조절대(60)의 걸림구(62)가 가변슬롯(53) 내 타측단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연결지지대(50)이 당김력이 작용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110 is rotated to the open state by the user, the opening/closing door 110 and the fixing bracket 80, as illustrated in FIG. 9, pull the variable control unit 60. , The variable support 6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upport 50 is drawn out in an extended form from the connection support 50 within the range of the variable slot 53 of the connection support 50, and the variable control ( At the same time that the locking port 62 of the 60) is engaged to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slot 53, the connecting support 50 acts as a pulling force.

이에, 상기의 연결지지대(50)에 작용하는 당김력은 슬라이드바(30)를 옷장(100) 전면으로 끌어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의 연결지지대(50)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유동관(70)은 연결지지대(50)의 각도 변화에 따라 슬라이드바(3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여 상기 슬라이드바(30) 및 옷걸이봉(40)이 옷장(100) 전면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Thus, the pulling force acting on the connection support 50 is to act as a force to pull the slide bar 30 to the front of the wardrobe 100, and in this process, the connection support 50 and the hinge are engaged. The flow pipe 7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 bar 30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connection support 50 so that the slide bar 30 and the hanger rod 40 are moved to the front of the closet 100. .

또한, 상기 슬라이더(20)(20') 역시 레일(10)(10')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레일(10)(10')을 따라 옷장(100)의 전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개폐도어(110)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가변조절대(60)의 인출 길이가 최대가 됨과 동시에 옷걸이봉(40) 역시 옷장(100)의 전면부까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liders 20 and 20' also move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loset 100 along the rails 10 and 10' while stably maintaining a state coupled to the rails 10 and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closing door 110 is completely opened,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length of the drawer of the variable adjustment table 60 becomes maximum and at the same time, the hanger rod 40 is also the front part of the closet 100. Until then, it will produce a completely withdrawn state.

특히,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110)가 더 개방 회전되는 경우를 감안하여 상기 레일(10)(10') 내 슬라이더(20)(20')의 추가 이동구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전기한 레일(10)(10') 끝단의 마감캡(90)은 상기 슬라이더(20)(20')의 멈춤수단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의 개폐도어(110)가 과도하게 회전 개방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secure an additional movement section of the sliders 20 and 20' in the rails 10 and 10' in view of the case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doors 110 are further rotated in the above-described state. The closing cap 90 at the ends of the rails 10 and 10' will serve as a stopper for the sliders 20 and 20' while the opening/closing door 110 is opened and rotated excessively. Will block things.

따라서, 상기와 같이 개폐도어(110)의 개방 회전에 따라 옷장(100) 내부에 위치하고 있던 옷걸이봉(40)이 전면부로 자동 인출되므로, 옷걸이봉(40)에 옷을 걸어두거나 옷걸이봉(40)에 걸려진 옷을 손쉽게 꺼내어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a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1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anger rod 40 located inside the closet 100 is automatically withdrawn to the front portion, hang clothes on the hanger rod 40 or hanger rod 40 You can easily take out the clothes hanging on them and wear them.

또한, 상기의 옷걸이봉(40)은 슬라이드바(30)의 하측에 이격 형성되어 있으므로, 옷걸이봉(40)에 옷걸이 등을 무수히 걸어놓더라도 상기 슬라이드바(30)와 연결지지대(50) 및 가변조절대(60)와는 간섭되지 않는 것이고, 이들 슬라이드바(30)와 연결지지대(50) 및 가변조절대(60)는 통상적인 옷장 내 불필요한 공간에 해당되는 옷걸이봉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옷장의 내부 가용공간을 침범하지도 않아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hanger rod 4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ide of the slide bar 30, even if a hanger or the like is hanged numerous times on the hanger rod 40, the slide bar 30 and the connecting support 50 and the variable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adjuster 60, these slide bars 30 and the connection support 50 and the variable adjuster 60 ar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ger rod corresponding to the unnecessary space in the normal wardrobe and the inside of the wardrobe It is very efficient because it does not invade the available space.

이어, 상기와 같은 옷걸이봉(40)의 전면 인출 상태에서 회전 개방 상태인 개폐도어(110)를 닫힘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키면 길이 인출된 상태의 가변조절대(60)가 연결지지대(50)의 삽입홈(51)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과정에서 가변조절대(60)의 걸림구(62)가 가변슬롯(53)의 끝단과 간섭을 일으키는 순간 상기 유동관(70)을 통해 슬라이드바(30)에는 후퇴 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후퇴압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바(30)와 옷걸이봉(40)은 물론 상기 슬라이더(20)(20')가 레일(10)(10')을 따라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110, which is in a rotationally open state, is rotated again in the closed direction from the front draw-out state of the clothes hanger rod 40, the variable adjustment stand 60 in the length drawn state inserts the connection support 50. It is to enter into the groove 51, and in this process, the fastener 62 of the variable adjuster 60 causes the end of the variable slot 53 to interfere with the slide bar 30 through the flow tube 70. The retraction pressure is applied, and the slide bar 30 and the hanger rod 40, as well as the sliders 20, 20', are retracted along the rails 10, 10' by the retraction pressure. will be.

또한, 상기의 개폐도어(110)를 완전히 닫게 되면 상기 옷걸이봉(40)은 옷장(100) 내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기존 옷장의 본래 형태와 목적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door 110 is completely closed, the hanger rod 40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int in the closet 100 to faithfully perform the original shape and purpose of the existing closet.

이처럼 본 발명의 옷장은 개폐도어(110)를 개방시키는 과정만으로도 옷장(100) 내 옷걸이봉(40)의 자동 인출이 이루어져 옷을 꺼내 입거나 다시 걸어두는데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개방 상태인 개폐도어(110)를 다시 닫는 동작만으로도 인출 상태의 옷걸이봉(40)이 옷장 내부로 함몰 삽입되어 본래의 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구조적 간단함은 물론 옷장의 효율적인 사용에도 매우 이상적인 특징을 연출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rd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nvenient to take out clothes or hang them again by automatically taking out the clothes hanger rods 40 in the wardrobe 100 only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10, and thus opening and closing the clothes. Even with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door 110 again, the hanger rod 40 in the pull-out state is inserted into the wardrobe to maintain the original position, so it is not only structurally simple but also very ideal for efficient use of the wardrob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옷장은, 여닫이 형태로 된 캐비넷이나 사물함 혹은 옷장 등에 적용 가능할 것이고, 필요에 따라 상기 레일(10)(10')과 슬라이더(20)(20') 간의 결합 구조를 직선형 베어링 구조 혹은 서랍의 측부에 결합되는 다단 레일구조로 변경 가능할 것이며, 상기 연결지지대(50)와 가변조절대(60)의 결합 구조 역시 스프링 로드 연결체와 같이 길이 조절 형태를 갖는 연결수단으로 변경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Such a ward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licable to a cabinet or locker or wardrobe in the casement type, and if necessary,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ails 10, 10' and sliders 20, 20' is a linear bearing structure. Alternatively, it may be changed to a multi-stage rail structure coupled to the side of the drawer,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on support 50 and the variable adjustment support 60 may also be changed to a connection means having a length adjustment type, such as a spring rod connection. will be.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10,10' : 레일 11,11' : 수용절곡부
20,20' : 슬라이더 21,21' : 유동계지부
30 : 슬라이드바
40 : 옷걸이봉
50 : 연결지지대 51 : 삽입홈
52 : 힌지축부 53 : 가변슬롯
60 : 가변조절대 61 : 회전축부
62 : 걸림구
70 : 유동관 71 : 끼움공
72 : 힌지결합부
80 : 고정브라켓 81 : 체결공
82 : 삽입공 83 : 걸고리부
90 : 마감캡 91 : 멈춤턱
92 : 고정공
100 : 옷장 101,101' : 측벽
110 : 개폐도어
10,10': Rail 11,11': Receiving bending part
20,20': Slider 21,21': Flow stop
30: slide bar
40: hanger rod
50: connection support 51: insertion groove
52: hinge shaft 53: variable slot
60: variable control unit 61: rotating shaft portion
62: hang
70: flow pipe 71: fitting hole
72: hinge coupling
80: fixing bracket 81: fastener
82: insertion hole 83: hook
90: closing cap 91: stop jaw
92: fixed hole
100: closet 101,101': side wall
110: open/close door

Claims (7)

옷장(100) 내 측벽(101)(101')에 한 쌍의 레일(10)(10')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레일(10)(10')에는 레일(10)(10')을 따라 이동되게 한 슬라이더(20)(20')를 결합 형성하며, 상기 대향의 슬라이더(20)(20')에는 상,하로 위치되게 한 슬라이드바(30)와 옷걸이봉(40)의 양 끝단이 각기 결합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드바(30)와 옷장(100)의 개폐도어(110) 사이에는 별도 구비의 연결지지대(50) 및 상기 연결지지대(50)에 삽입되는 가변조절대(60)를 각기 힌지 결합하여 구성하되,
상기 슬라이드바(30)에는 유동관(70)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연결지지대(50)의 일측단이 상기 유동관(70)과 힌지 결합되게 하고, 상기 연결지지대(50)는 일측단으로부터 삽입홈(51)을 길이방향 내측으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51)으로 가변조절대(6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가변조절대(60)의 타측단은 옷장(100)의 개폐도어(110)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80)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개폐도어(110)의 개폐 작동에 따라 상기 옷걸이봉(40)이 옷장(100)의 전,후 방향으로 레일(10)(10')을 따라 슬라이딩 출몰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A pair of rails 10 and 10' is fixed to the side walls 101 and 101' in the closet 100, and the rails 10 and 10' are provided on the rails 10 and 10'. The sliders 20 and 20' are formed to be moved along, and the opposite ends of the slide bars 30 and the hanger rods 40 ar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liders 20 and 20'. Each of the fixed and coupled, between the slide bar 3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10 of the wardrobe 10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nection support 50 and the variable control 6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support 50 Each is composed of hinges,
The slide bar 30 is formed by coupling the flow pipe 70 so that one side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50 is hinged with the flow pipe 70, and the connection support 5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51 from one side end. )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one side of the variable adjustment base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1, and the other end of the variable adjustment base 60 is an opening/closing door 110 of the closet 10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to be hinged to the fixed bracket 80 coupled to, the hanger rod 4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110, the rail 10, 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wardrobe 100 ') A closet equipped with an automatic take-off means for a hanger r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lide in and out.
제 1항에 있어서,
레일(10)(10')은 길이방향을 따라 반구형으로 절곡된 수용절곡부(11)(11')가 상,하단에 일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20)(20')는 일측면에 상기 수용절곡부(11)(11')로 삽입되게 한 반구형의 유동계지부(21)(2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절곡부(11)(11')에 대한 유동계지부(21)(21')의 삽입을 통해 상기 레일(10)(10')에 대한 슬라이더(20)(20')의 길이방향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s 10 and 10' have receiving bends 11 and 11' bent in a hemispheric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re formed at one side on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the sliders 20 and 20' are on one side. The hemispherical flow stops 21 and 21' which ar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bends 11 and 11' are formed to protrude, and the flow stops 21 relative to the accommodation bends 11 and 11' are formed. ) (21') through the insertion of the rail (10) (10') for the slider 20, (20') is configured so that the longitudinal flow is made, the automatic hanging means for the hanger rod is provided Wardrobe.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드바(30)에 결합되는 유동관(70)의 일측에는 끼움공(71)을 갖는 힌지결합부(7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대(50)의 일측 끝단 하부에는 상기 끼움공(71)으로 삽입되는 힌지축부(5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동관(70)과 연결지지대(50)의 상호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According to claim 1,
A hinge coupling portion 72 having a fitting hole 71 is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flow pipe 70 coupled to the slide bar 30, and the fitting hole 71 is formed at a lower end of one end of the connection support 50 The wardrobe equipped wit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a hanger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shaft portion (52) inserted into the structure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flow pipe (70) and the connection support (50).
제 1항에 있어서,
개폐도어(110)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80)은 횡방향으로 복수 개의 체결공(81)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수직의 삽입공(82)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조절대(60)의 일측 끝단 하부에는 상기 삽입공(82)으로 결합되는 회전축부(6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브라켓(80)과 가변조절대(60)의 상호 힌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bracket 80 mounted on the opening/closing door 110 ha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81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vertical insertion holes 82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one end of the variable adjustment base 60 is formed. On the lower portion, a rotating shaft portion 61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82 is formed to protrude, and the hanger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bracket 80 and the variable adjustment base 60 are configured to be hinged to each other. Wardrobe equipped with automatic means of appearance.
제 4항에 있어서,
고정브라켓(80)은, 하측으로 걸고리부(83)를 연장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ed bracket 80 is a wardrobe equipped with an automatic appearance means for a hanger rod, which is formed by extending the hook portion 83 to the lower side.
제 1항에 있어서,
연결지지대(50)의 일측에는 상기의 삽입홈(51)과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는 가변슬롯(53)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가변조절대(60)의 일측 끝단에는 걸림구(62)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삽입홈(51)으로 끼워진 가변조절대(60)의 단부에 상기 걸림구(62)가 가변슬롯(53)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 고정하여, 상기 걸림구(62) 및 가변슬롯(53)에 의해 상기 가변조절대(60)가 가변슬롯(53)의 길이 범위 내에서 유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According to claim 1,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support 50, the insertion slot 51 and the variable slot 53 communi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through, and the one end of the variable control unit 60 is formed with a hook 62. However, the engaging hole 62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variable slot 53 at the end of the variable adjustment table 60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1, so that the locking hole 62 and the variable slot 53 ) By the variable adjustment table 60 is configured to flow within the length of the variable slot 53, a closet equipped with an automatic hanging means for the hanger rod.
제 1항에 있어서,
레일(10)(10')의 끝단에는 레일(10)(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멈춤턱(91)을 갖는 마감캡(90)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 멈춤턱(91)에 형성된 고정공(92)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가 레일(10)(10')을 관통하여 옷장(100)의 측벽(101)(101')에 나사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봉에 대한 자동 출몰수단이 구비된 옷장.
According to claim 1,
At the ends of the rails 10 and 10 ′, a closing cap 90 having a stop chin 91 inserted into the rail 10 and 10 ′ is coupled, but fixed to the stop chin 91 Automatic fastening for a hanger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bolt inserted into the ball 92 penetrates the rails 10 and 10' and is screwed to the side walls 101 and 101' of the closet 100. Wardrobe with means.
KR1020200016490A 2020-02-11 2020-02-11 Wardrobe with auto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 KR1021352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90A KR102135281B1 (en) 2020-02-11 2020-02-11 Wardrobe with auto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490A KR102135281B1 (en) 2020-02-11 2020-02-11 Wardrobe with auto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281B1 true KR102135281B1 (en) 2020-07-17

Family

ID=7183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490A KR102135281B1 (en) 2020-02-11 2020-02-11 Wardrobe with auto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281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7000Y1 (en) 2000-10-02 2001-03-15 김영신 hanger set in furniture
JP2001149147A (en) * 1999-11-30 2001-06-05 Taisei Corp Hanger
US20100059462A1 (en) * 2008-09-09 2010-03-11 Dean Adare Jones Mechanical Closet
KR20120005551U (en) * 2011-01-25 2012-08-02 최성자 Slide clothes hanger
CN202681161U (en) * 2012-04-23 2013-01-23 刘礼新 Object placing shelf arranged in wardrobe
KR101820859B1 (en) 2016-08-10 2018-01-22 방영준 Hanger rod with LED lighting
KR20180008011A (en) 2016-07-15 2018-01-24 고명지 Hagger with Cloth arranger
KR20180011986A (en) * 2016-07-26 2018-02-05 한준교 The closet designed for better usage of space
KR20190002779U (en) 2018-04-29 2019-11-06 최영철 Sterilization and deodorizing hanger LED lighting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9147A (en) * 1999-11-30 2001-06-05 Taisei Corp Hanger
KR200217000Y1 (en) 2000-10-02 2001-03-15 김영신 hanger set in furniture
US20100059462A1 (en) * 2008-09-09 2010-03-11 Dean Adare Jones Mechanical Closet
KR20120005551U (en) * 2011-01-25 2012-08-02 최성자 Slide clothes hanger
CN202681161U (en) * 2012-04-23 2013-01-23 刘礼新 Object placing shelf arranged in wardrobe
KR20180008011A (en) 2016-07-15 2018-01-24 고명지 Hagger with Cloth arranger
KR20180011986A (en) * 2016-07-26 2018-02-05 한준교 The closet designed for better usage of space
KR101820859B1 (en) 2016-08-10 2018-01-22 방영준 Hanger rod with LED lighting
KR20190002779U (en) 2018-04-29 2019-11-06 최영철 Sterilization and deodorizing hanger LED ligh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603B2 (en) Extendable rack
US20080087619A1 (en) Space saving hat and purse storage device
US20090289537A1 (en) Leveling system
CN103549791B (en) A kind of upset bed
US20170332782A1 (en) Contractible storage apparatus
CN114554907A (en) Suspended storage enclosure
KR20140002384A (en) Rail assembly of bathroom cabinet
KR102135281B1 (en) Wardrobe with auto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
KR102210430B1 (en) Wardrobe with sliding structure of hanger rod
KR20170089059A (en) Shelf Fasteners for System Furniture
CN208709013U (en) A kind of external hanging type guide rail interlock
ES2548830T3 (en) Support device for furniture
CN214510174U (en) Anti-toppling type household wardrobe
KR101506879B1 (en) Hanger rod guides
EP1444921B1 (en) Multiple extractible trousers rack for closets and wardrobes
CN214317424U (en) Multifunctional combined wardrobe
CN212630454U (en) Support frame
KR200475384Y1 (en) Sliding Door Guide Device of Storage Closet
KR20170100949A (en) A hanger device for furniture
US10415744B1 (en) Hinge hanger and accessory components
CN215761156U (en) Drawer type safe
CN208510330U (en) Parados cabinet
CN218279015U (en) Wardrobe
CN212927471U (en) Guide block structure for preventing glass from shaking
KR200464656Y1 (en) Furniture module having accessories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