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166B1 -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166B1
KR102135166B1 KR1020190020437A KR20190020437A KR102135166B1 KR 102135166 B1 KR102135166 B1 KR 102135166B1 KR 1020190020437 A KR1020190020437 A KR 1020190020437A KR 20190020437 A KR20190020437 A KR 20190020437A KR 102135166 B1 KR102135166 B1 KR 102135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walnut
extract
aspen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은
이선근
김준헌
서상태
고상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2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1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체에 침입하거나 영향을 미쳐 식물체의 대사기능이나 구조 변화가 생리적으로 정상이 아닌 상태를 유발하는 병원균, 특히 호두나무탄저병균 (glomerella cingulate)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anti-microbial agent and extraction method of hyun poplar showing excellent anti-microbial effect on walnut anthracnose}
본 발명은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체에 침입하거나 영향을 미쳐 식물체의 대사기능이나 구조 변화가 생리적으로 정상이 아닌 상태를 유발하는 병원균, 특히 호두나무탄저병균 (glomerella cingulate)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인 인구증가로 인해 야기된 식량확보라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화학농약을 이용한 병충해 및 잡초 방제방법은 농업생산력 증대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화학농약의 남용은 농약중독, 지하수 오염, 토양오염, 농산물에의 잔류, 및 각종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 개체 출현 등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그리하여, UN 환경개발회의의 리오 선언 이후 지구환경 보호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었고, 그린 라운드 협약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화학농약의 남용을 제한하고,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미생물 자체 또는 그 기능을 이용한 생물 농약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하면서 식물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길항 미생물을 선발하고,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용 무공해 농약(biocide)의 개발은 시급한 과제이다.
일반적으로 식물 병원균에 의한 농작물의 병은 해충, 잡초와 더불어 농작물의 안정적 생산에 매우 큰 제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병원균의 방제를 위한 방법으로서는 재배환경을 개선해 주는 물리적 방법, 살균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 및 미생물 등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물리적 방제만으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화학적 방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화학농약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와 농약제제 저항성 병원균의 출현으로 방제효과가 크게 저하되었다. 따라서 이의 대체 방안으로서 길항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길항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의 원리는 이들이 생산하는 항생물질에 의한 항생작용, 세포벽 분해효소에 의한 기생 또는 포식작용, 그리고 영양물 경쟁이나 거점(niche) 경쟁 등을 통한 병원균의 밀도 감소 또는 발병능력 감소 및 비병원성 균주 또는 약병원성 균주를 이용하는 교차보호(cross protection)와 기주 저항성 유도 등에 주된 작용기작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트리코데르마 속과 글리오클라디움 속이 분비하는 항생물질 또는 휘발성 물질, 독소, 특수한 저해물질에 의한 진균병의 억제작용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기생 또는 포식작용에 의한 길항작용에 대해서도 최근 들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데 길항 세균들이 분비하는 진균의 세포벽 분해효소 등에 의한 병원균의 용해작용이 주된 작용기작으로 알려져 있다.
호두나무[Juglans regia L. (= J. sinensis Dode)]는 가래나무과(Jugland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아시아, 유럽 및 아메리카 대륙에 약 15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 중 8종이 재배되고 우리나라에는 4세기 말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호두나무는 목재가 단단하고 윤기가 있어 고급가구나 공예목, 내장재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종실을 식용으로 애용하고 있다. 종실은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되고 강장제나 변비를 없애는데 효험이 있으며, 기름은 피부병 치료에 효과가 좋다고 보고되는 등 쓰임새가 많은 나무이다. 재배는 연평균 12℃ 등온선을 중심으로 난대 중부에서 온대 중부에 걸쳐 이루어지며, 천안, 영동, 김천, 무주지역이 주요 산지이다. 재배면적은 약 1,200ha로 단위면적(ha) 당 수확량이 2.5톤에 달하며, 총생산량은 1,000여 톤/년으로 약 11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두나무에 발생하는 병해로는 탄저병, 흰가루병, 검은가지마름병, 갈색고약병 등 14병해가 우리나라에 보고되어 있으며 아직 이들 병해에 대한 피해상황 및 방제방법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현실이다. 특히, 탄저병은 호두나무 재배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병해이다.
탄저병은 비교적 따뜻하고 습한 지역에서 많이 발생되고 주로 잎, 엽병(가지), 종실에 발생하며, 병든 잎과 가지는 기형으로 뒤틀리고 조기 낙엽이 되기 때문에 생장이 저하된다. 또한 어린 묘목에 탄저병이 발생되면 치명적인 피해를 받게 되며, 종실에 병이 발생되면 종실이 부패되고 저장 중에도 계속 병이 전파되어 농가소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탄저병은 1987년 우리나라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영동, 김천, 부여 등 대부분 호두나무 생산지에서 약 15~30%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최근 밀식과 관리부족에 의한 수세약화로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등록된 약제가 없어 탄저병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에 호두나무탄저병을 유발하는 글로메렐라 신굴레이트(glomerella cingulate)를 방제할 수 있는 방법 및 방제 약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식물체에 침입하거나 영향을 미쳐 식물체의 대사기능이나 구조 변화가 생리적으로 정상이 아닌 상태를 유발하는 병원균, 특히 호두나무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e)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하여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 CHCl3)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물과 혼합하고, 형성된 물층을 회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물층을 정제하여 수용성 분획물을 얻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호두나무탄저병균은 글로메렐라 신굴레이트(glomerella cingulat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수 추출은 90 ~ 150℃의 온도에서 증류수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열수 추출은 은사시나무 및 증류수를 1 : 1 ~ 5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시나무는 은사시나무의 형성층을 포함하는 수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정제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헥산(Hexane) : 디클로로메테인(Dicholoromethane) :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 6 ~ 8 : 4 ~ 6 : 1 ~ 3 부피비의 전개용매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3단계의 혼합은 초음파 조사하는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은 은사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물과 혼합하여 형성된 물층을 정제한 수용성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정제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헥산(Hexane) : 디클로로메테인(Dicholoromethane) :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 6 ~ 8 : 4 ~ 6 : 1 ~ 3 부피비의 전개용매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은사시나무는 은사시나무의 형성층을 포함하는 수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호두나무탄저병균은 글로메렐라 신굴레이트(glomerella cingulat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천연 항균제는 앞서 언급한 항균제 조성물을 포함하고,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이용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알려진 식물 추출방법을 적용하여 추출된 추출물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본 발명의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 상기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 CHCl3)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한 클로로포름 분획물 또는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물과 혼합하여 형성된 물층을 정제한 수용성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식물체에 침입하거나 영향을 미쳐 식물체의 대사기능이나 구조 변화가 생리적으로 정상이 아닌 상태를 유발하는 병원균, 특히 호두나무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e)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물 병원균에 의한 농작물의 병은 해충, 잡초와 더불어 농작물의 안정적 생산에 매우 큰 제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병원균의 방제를 위한 방법으로서는 재배환경을 개선해 주는 물리적 방법, 살균제를 이용한 화학적 방법 및 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학적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물리적 방제만으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화학적 방제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화학농약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와 농약제제 저항성 병원균의 출현으로 방제효과가 크게 저하되었다. 따라서 이의 대체 방안으로서 길항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방제에 관한 연구가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한편, 호두나무에 발생하는 병해로는 탄저병, 흰가루병, 검은가지마름병, 갈색고약병 등의 병해가 우리나라에 보고되어 있으며 아직 이들 병해에 대한 피해상황 및 방제방법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현실이다. 특히, 탄저병은 호두나무 재배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병해이다. 최근 밀식과 관리부족에 의한 수세약화로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등록된 약제가 없어 탄저병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식물체에 침입하거나 영향을 미쳐 식물체의 대사기능이나 구조 변화가 생리적으로 정상이 아닌 상태를 유발하는 병원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가지는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호두나무탄저병균은 호두나무탄저병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병원균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로메렐라 신굴레이트(glomerella cingulate)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은사시나무(학명 : Populus tomentiglandulosa)는 사시나무(P. davidiana)와 은백양(P. alba) 사이에서 생긴 자연잡종이다. 생물학적 분류로 식물계(Plantae)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버드나무목(Salicales) 버드나뭇과(Salicaceae)에 속화는 식물체로서, 수피가 은색이며 군식하면 특히 낙엽이 진 후의 겨울철 수간이 아름다워 가로수 식재나 유도식재, 완충식재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은사시나무는 다른 명칭으로 현사시나무로 불리기도 하는데, 구체적으로, 현사시나무는 사시나무(P. davidiana)와 은백양(P. alba) 사이에서 생긴 인공잡종으로서 은사시나무와 동일한 학명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은사시나무는 인공잡종인 현사시나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나무의 구조를 살펴보면, 수간의 안쪽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심재부와 변재부를 포함하는 목질부, 형성층 및 수피로 구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나무의 형성층을 중심으로 형성층의 바깥쪽에는 수피가 형성될 수 있고, 형성층의 안쪽에는 목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은사시나무는 은사시나무의 형성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은사시나무의 형성층을 포함하고, 은사시나무의 수피 및 목질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먼저,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하여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하고 열을 가하는 열수 추출을 통해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사시나무는 90 ~ 150℃, 바람직하게는 110 ~ 130℃의 온도에서 증류수를 용매로 추출하여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추출물을 수득하기 우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을 통해 은사시나무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이유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것이며, 만일 열수 추출이 아닌 메탄올, 에탈올 등의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여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수득한다면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추출물이 수득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하는데 있어서, 추출시간은 추출시간은 10분 ~ 100분, 바람직하게는 20 ~ 60분, 추출 횟수는 1 ~ 4 번, 바람직하게는 2 ~ 3번일 수 있다.
또한, 열수 추출은 은사시나무 및 증류수를 1 : 1 ~ 5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2 ~ 4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 CHCl3)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2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를 더 증대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보다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하여 은사시나무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 CHCl3)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2단계를 통해 은사시나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농축하여 클로로포름 농축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농축을 통해, 제조된 클로로포름 농축물은 더욱 우수한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를 보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클로로포름 분획물 또는 농축물을 물과 혼합하고, 형성된 물층을 회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물층을 정제하여 수용성 분획물을 얻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를 더 증대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제4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된 수용성 분획물은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 및 클로로포름 분획물보다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나아가, 제3단계의 혼합은 초음파 조사하는 조건에서 수행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 또는 농축물을 충분히 물에 녹여 물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혼합 횟수는 1 ~ 4번, 바람직하게는 2 ~ 3번일 수 잇다.
또한, 제4단계의 정제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및 세파텍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헥산(Hexane) : 디클로로메테인(Dicholoromethane) :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 6 ~ 8 : 4 ~ 6 : 1 ~ 3 부피비, 바람직하게는 6.5 ~ 7.5 : 4.5 ~ 5.5 : 1.5 ~ 2.5 부피비의 전개용매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은사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앞서 언급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추출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농축한 클로로포름 농축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물과 혼합하여 형성된 물층을 정제한 수용성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수득 및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고, 제조한 농축물을 물과 혼합하여 형성된 물층을 정제한 수용성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은사시나무는 은사시나무의 형성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은사시나무의 형성층을 포함하고, 은사시나무의 수피 및 목질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은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상기 호두나무탄저병균은 글로메렐라 신굴레이트(glomerella cingulate)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앞서 언급한 항균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를 제공하며, 상기 천연 항균제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준비예 1 : 은사시나무의 형성층을 포함한 수피 제조
수원 소재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유전자원부의 은사시나무 수간을 채취한 후, 형성층을 포함한 수피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1
1-1.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 제조
적당한 크기로 분쇄된 준비예 1의 은사시나무의 수간에서 분리된 형성층을 포함한 수피를 그늘에서 건조하고, 건조한 수피에 증류수를 1 : 3 중량비로 가한 후, 고압멸균기(autoclave)를 이용하여120℃에서 40분씩 3회 반복 추출하였고, 여과지로 여과하여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2.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 제조
제조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 CHCl3) 유기용매로 용매분획하고, 이를 3회 반복 추출하였고, 여과지로 여과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제조하고, 이를 농축하여 클로로포름 농축물을 수득하였다.
1-3. 클로로포름 농축물의 수용성 분획물 제조
수득한 클로로포름 농축물을 초음파세척기를 사용하여 물과 2 ~ 3회 반복하여 혼합한 후, 물층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물층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O2 column chromatography, 헥산(Hexane) : 디클로로메테인(Dicholoromethane) :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 7 : 5 : 2 부피비의 전개용매 조건에서 수행)를 실시하여 정제하였고, 수용성 분획물 1 및 2을 얻었다.
실험예 1
호두나무탄저병의 병원균인 글로메렐라 신굴레이트(glomerella cingulate)을 25℃, 암조건에서 48시간동안 지름 9cm PDA배지(감자한천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항균활성 검정을 위해서 상기 PDA 배지에 Tween 80 0.03%를 1ml 분주한 뒤, 거즈를 이용하여 포자를 순수분리하였다. 그 후 혈구계산판(Hemocytometer)을 이용하여 포자 농도를 10Х104 spores/ml에 맞춘 뒤, PDA배지에 접종하였다. 접종된 PDA배지 위에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를 올려 놓고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분획물 1, 2 및 Negative control(증류수)를 각각 4㎍씩 분주하고, 25℃ 암조건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억제대(Inhibition zone) 크기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항균활성 검정은 3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병원균
(speices)
억제대(mm)
Negative control 수용성 분획물 1 수용성 분획물 2
글로메렐라 신굴레이트
(glomerella cingulate)

-

18.8 ± 0.80

24.8 ± 0.62
표 1과 같이 은사시나무에서 추출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9)

  1.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하여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 CHCl3)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수득하는 제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물과 혼합하고, 형성된 물층을 회수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물층을 정제하여 수용성 분획물을 얻는 제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두나무탄저병균은 글로메렐라 신굴레이트(glomerella cingulat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은 90 ~ 150℃의 온도에서 증류수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은 은사시나무 및 증류수를 1 : 1 ~ 5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사시나무는 은사시나무의 형성층을 포함하는 수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헥산(Hexane) : 디클로로메테인(Dicholoromethane) :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 6 ~ 8 : 4 ~ 6 : 1 ~ 3 부피비의 전개용매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혼합은 초음파 조사하는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은사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은사시나무 추출물은 은사시나무를 열수 추출한 은사시나무 열수 추출물을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추출용매로 분획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물과 혼합하여 형성된 물층을 정제한 수용성 분획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헥산(Hexane) : 디클로로메테인(Dicholoromethane) :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 6 ~ 8 : 4 ~ 6 : 1 ~ 3 부피비의 전개용매 조건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은사시나무는 은사시나무의 형성층을 포함하는 수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호두나무탄저병균은 글로메렐라 신굴레이트(glomerella cingulat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항균제 조성물.
  18. 제10항의 항균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항균제는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균제.
KR1020190020437A 2019-02-21 2019-02-21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135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437A KR102135166B1 (ko) 2019-02-21 2019-02-21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437A KR102135166B1 (ko) 2019-02-21 2019-02-21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166B1 true KR102135166B1 (ko) 2020-07-17

Family

ID=7183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437A KR102135166B1 (ko) 2019-02-21 2019-02-21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1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65A (ko) * 2020-06-09 2021-12-16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호두나무 탄저병 및 갈색썩음병 방제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024A (ko) * 2007-08-24 2009-02-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현사시나무 수피로부터 분리한 신규 살리신 유도체 및 이의분리방법
KR20130010061A (ko) * 2011-07-15 2013-01-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현사시 나무 수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107612A (ko) * 2015-03-04 2016-09-19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항균제 조성물 및 리지나뿌리썩음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107615A (ko) * 2015-03-04 2016-09-19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천연 살선충 조성물 및 살선충 활성을 갖는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107611A (ko) * 2015-03-04 2016-09-19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항균제 조성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1024A (ko) * 2007-08-24 2009-02-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현사시나무 수피로부터 분리한 신규 살리신 유도체 및 이의분리방법
KR20130010061A (ko) * 2011-07-15 2013-01-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현사시 나무 수피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20160107612A (ko) * 2015-03-04 2016-09-19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항균제 조성물 및 리지나뿌리썩음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107615A (ko) * 2015-03-04 2016-09-19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천연 살선충 조성물 및 살선충 활성을 갖는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60107611A (ko) * 2015-03-04 2016-09-19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항균제 조성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865A (ko) * 2020-06-09 2021-12-16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호두나무 탄저병 및 갈색썩음병 방제 조성물
KR102443912B1 (ko) 2020-06-09 2022-09-19 대한민국 호두나무 탄저병 및 갈색썩음병 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bu Joseph et al. Bioefficacy of plant extracts to control Fusarium solani f. sp. melongenae incitant of brinjal wilt
Cohen et al. Extracts of Inula viscosa control downy mildew of grapes caused by Plasmopara viticola
EP2806743B1 (de) Antifungale formulierungen enthaltend einen rheum-wurzelextrakt zur bekämpfung von pflanzenkrankheiten
Salehan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Cosmos caudatus extracts against seven economically important plant pathogens
Islam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our medicinally important plants in Bangladesh
DE102007004500B4 (de) Verwendung einer einen Extrakt aus Sapindus beinhaltenden Formulierung zur Behandlung einer durch Pilze und/oder Oomyceten unterstützten oder verursachten Pflanzenerkrankung
Seema et al. In vitro studies of some plant extracts against Rhizoctonia solani Kuhn infecting FCV tobacco in Karnataka Light Soil, Karnataka, India
US20120121742A1 (en) Plant extracts for use as phytochemicals
Chatterjee et al. Potential of an endophytic fungus Alternaria tenuissima PE2 isolated from Psidium guajava L. for the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Javaid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moniliforme and its management by methanolic extract of Coronopus didymus
KR101837622B1 (ko) 빌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Sahayaraj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three fern extracts on causative agents of groundnut early leaf spot and rust diseases
Bekheet et al. Antifungal effects of Ficus sycomorus and Pergularia tomentosa aqueous extracts on some organs in Bufo regularis treated with Aspergillus niger
KR102135166B1 (ko)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탄저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748147B1 (ko) 항균제 조성물 및 리지나뿌리썩음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748152B1 (ko) 참나무시들음병균의 생장을 억제하기 위한 항균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천연 항균제
KR102159034B1 (ko) 산옥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솜털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35164B1 (ko) 항균제 조성물 및 호두나무갈색썩음병균의 생장 억제 효과가 우수한 은사시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090057503A (ko) 봄베이 육두구 과육 유래 살선충물질과 추출물을 이용한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 조성물 및 그의 방제방법
KR102069118B1 (ko) 푸른곰팡이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자주꿩의다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이의 용도
Bamidele Antifungal potency of Aframomum melegueta (alligator pepper) seed extracts on postharvest rot fungi of two citrus species
KR102069114B1 (ko) 솜털곰팡이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자주꿩의다리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이의 용도
CN102485001A (zh) 藁本提取物在防治柑桔病虫害上的应用
KR102339423B1 (ko) 은행나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Meena et al. Antifungal Activity of Leaf Extracts of Polyalthia longifolia (Sonn.) Benth. and Hook. F. against Rhizoctonia solan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