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075B1 -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075B1
KR102135075B1 KR1020180129565A KR20180129565A KR102135075B1 KR 102135075 B1 KR102135075 B1 KR 102135075B1 KR 1020180129565 A KR1020180129565 A KR 1020180129565A KR 20180129565 A KR20180129565 A KR 20180129565A KR 102135075 B1 KR102135075 B1 KR 102135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ws
conversation
message
writing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7990A (ko
Inventor
강장묵
이상원
Original Assignee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글로벌사이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2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07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보도 지침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기반 및 방송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창을 통해서 수신한 대화 상대방의 제1 대화 메시지의 작성 형식이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대화 메시지가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된 경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대화창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ROVIDING FAKE NEWS ALERT SERVICE THROUGH SYNTACTIC ANALYSIS OF INSTANT MESSAGES BASED ON NEWS WRITING AND BROADCAST GUIDELINE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짜 뉴스는 정식 언론 매체나 뉴스 편집 권한을 갖는 포털 사이트를 통해서 유포되기보다는,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와 같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사이트나 인스턴트 메신저의 채팅방, 밴드와 카카오톡 같은 폐쇄형 소셜 망 등을 통해서 유통된다.
SNS나 메신저를 통한 가짜 뉴스의 유포는 확산속도나 파급력이 크며, 가상의 페르소나를 형성한 친구나 지인의 연락처를 통해서 사회적 관계와 신뢰가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신뢰할 수 있는 지인이나 지인의 지인을 통해서 유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의심 없이 뉴스의 내용을 사실로서 받아들이게 된다. 또한, 공식 언론 매체에서 제공하는 신뢰성 있는 뉴스 기사의 형식을 갖추거나 이를 교묘하게 인용하는 형식을 따르기 때문에 진위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특히, 최근에는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이용자가 많아지면서, 단체 채팅방에서 공유되는 텍스트 형태의 뉴스나 유튜브 영상을 통해서 정치나 시사 이슈를 접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채팅방을 통해서 얻은 정보를 진짜로 믿으면서도 정규 뉴스나 신뢰할 만한 매체를 통해서 제작되는 뉴스는 아예 읽지도 않는 정보 취약 계층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생의 중반기에 인터넷을 접하게 된 세대 중 일부는 다양한 미디어 형태의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쏟아지는 뉴스의 진위를 구별하는 연습이 부족하여, 보고 싶은 정보만 습득하거나 듣고 싶은 주장만 듣게 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특히, 선거철이 되면 메신저의 채팅방을 통해서 뉴스의 형식을 갖추지도 않은 가짜 뉴스들이 범람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자연어 처리기술을 통해서 뉴스의 문장을 분석하고, 문맥상 불일치 하는 문장을 찾거나, 신뢰할 수 있는 유사한 뉴스와 비교하여 가짜 뉴스임을 판단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SNS 사이트의 사용자 반응을 분석하여, 조회수의 급격한 증가, 1인 사용자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행위, 또는 평소 활동이 없던 사용자의 갑작스러운 왕성한 활동과 같은 이상 패턴을 모아 가짜 뉴스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공개된 SNS나 뉴스 포털 사이트에 공유되는 뉴스에 대해서는 가능하지만, 제대로 형식이 갖추어지지 않은 텍스트 뉴스와 폐쇄적이고 사생활 보호에 민감한 채팅방과 같은 곳에서 공유되는 가짜 뉴스 및 폐쇄형 SNS로 설계된 메신저에에 대해서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뉴스 작성 지침(방송 보도 지침 포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창을 통해서 수신한 대화 상대방의 제1 대화 메시지의 작성 형식이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대화 메시지가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된 경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 결과,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대화창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비교 뉴스를 분석하여 상기 비교 뉴스의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초로 요약 뉴스를 생성(초록 작성)하고, 상기 요약 뉴스를 상기 대화창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문맥 분석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핵심 키워드를 기초로 뉴스 포털 사이트나 정규 언론사의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연관 뉴스 기사를 검색하는 단계와, 뉴스 제작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기자 검증 사이트 등 활용)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관련 뉴스 중 뉴스 제작자 신뢰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뉴스를 비교 뉴스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비교 뉴스의 링크를 상기 대화창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는 단계(또는 형식 요건을 기준으로 소설이나 시 등이 아닌 뉴스 기사 형식의 육하원칙에 해당하는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충실도 검증 등)와, 상기 위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경고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대화 메시지를 상기 대화창에 표시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은 정규 언론사별 뉴스 작성 지침과 뉴스 기사를 대비하여 패턴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 대상 뉴스 기사의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판단하도록 모델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평소 특정 언론사가 시계열 상에서 주장한 이념, 사상, 주장에서 멀어진 경우(유클리드 거리 계산법 등 적용) 등은 가짜뉴스 가능성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창을 통해서 수신한 대화 상대방의 제1 대화 메시지의 작성 형식이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메시지 형식 확인부와, 상기 제1 대화 메시지가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된 경우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와, 상기 계산 결과,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대화창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고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은 정규 언론사별 뉴스 작성 지침과 뉴스 기사를 대비하여 패턴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 대상 뉴스 기사의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판단하도록 모델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를 제공하는 비교 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비교 뉴스를 분석하여 상기 비교 뉴스의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초로 요약 뉴스를 생성하고, 상기 요약 뉴스를 상기 대화창에 제공하는 요약 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뉴스 제공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문맥 분석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는 키워드 도출 모듈과 상기 핵심 키워드를 기초로 뉴스 포털 사이트나 정규 언론사의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연관 뉴스 기사를 검색하는 뉴스 기사 검색 모듈과, 뉴스 제작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관련 뉴스 중 뉴스 제작자 신뢰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뉴스를 비교 뉴스로 선정하는 비교 뉴스 선정 모듈과, 상기 선정된 비교 뉴스의 링크를 상기 대화창에 제공하는 뉴스 링크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는 모델 적용 모듈과, 상기 위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모듈과,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정합성 계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경고메시지 표시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대화 메시지를 상기 대화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1 대화창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컨트롤을 통해 가짜 뉴스 판단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화면에 제2 대화창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대화창을 통해서, 가짜 뉴스 판단을 위한 제1 대화 메시지가 입력되면,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뉴스 가이드라인 중심의 육하원칙 준수 여부 등을 계산)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 결과,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제2 대화창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은 정규 언론사별 뉴스 작성 지침과 뉴스 기사를 대비하여 패턴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 대상 뉴스 기사의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판단하도록 모델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를 상기 제2 대화창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와,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경고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대화 메시지를 상기 제2 대화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대화창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대화 상대방에게도 보낼 것인지를 여부에 대한 사용자 의사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의사에 따라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제1 대화창에 제공하는 정보 공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1 대화창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컨트롤을 통해 가짜 뉴스 판단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화면에 제2 대화창을 제공하는 제2 대화창 제공부와, 상기 제2 대화창을 통해서, 가짜 뉴스 판단을 위한 제1 대화 메시지가 입력되면,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와, 상기 계산 결과,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제2 대화창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고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를 상기 제2 대화창에 제공하는 비교 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는 모델 적용 모듈과, 상기 위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모듈과,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정합성 계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경고메시지 표시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대화 메시지를 상기 제2 대화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2 대화창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대화 상대방에게도 보낼 것인지를 여부에 대한 사용자 의사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의사에 따라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제1 대화창에 제공하는 정보 공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하면, 인스턴트 메신저 기반의 폐쇄된 채팅방에서 메시지 형태로 공유되는 가짜 뉴스에 대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학습한 뉴스 작성 지침 모델을 적용하여 가짜 뉴스 가능성을 판단하고, 신뢰성 있는 비교 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진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짜 뉴스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채팅방의 모든 대화자가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가짜 뉴스의 확산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으며, 폐쇄형 망 내에서도 사용자가 의심이 가는 뉴스 기사에 대해서 본 제안 기술을 적용하여 해당 뉴스를 분석하면 육하원칙 또는 가이드라인 준수 수준을 도식화하여 가짜 뉴스 여부를 판단하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구성인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구성인 비교 뉴스 제공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의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의 비교 뉴스 제공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10,20) 간에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방(60)에서 주고받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해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장치(100)와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뉴스 작성 지침이라는 용어는 뉴스 작성 지침, 방송 가이드라인, 방송 보도 지침, 뉴스 편집 지침 등 뉴스 기사를 작성하고 유포하거나 방송하기 위한 모든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포괄하는 의미이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10)가 대화 상대방(20)으로부터 가짜 뉴스로 의심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면,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에 해당 인스턴트 메시지를 적용하여 가짜 뉴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뉴스 검색을 통해서 가짜 뉴스로 의심되는 인스턴트 메시지의 팩트 체크 또는 육하원칙의 준수 수준 등을 위한 비교 뉴스(40)를 사용자(10)와 대화 상대방(20)에게도 전달하여 가짜 뉴스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
가짜 뉴스는 정식 언론사에서 제작된 것처럼 정식 뉴스 형식을 갖추고 배포되거나 메신저의 대화방 내에서 텍스트 메시지 형태로 유포될 수 있다. 정식 뉴스 형식을 갖춘 경우는 주로 뉴스 링크를 통해서 공유되지만,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방에서 공유되는 가짜 뉴스의 형태는 뉴스 텍스트를 복사해서 붙여 넣기 하는 방식으로 공유된다. 따라서 정규 뉴스 기사와 같은 방법으로 가짜뉴스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사적인 대화방의 메시지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은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문장의 형식만을 점검하여 가짜 뉴스 여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대화방에서의 의심스런 뉴스 및 방송 기사에 대하여 가짜 뉴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과, 사용자가 직접 진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비교 뉴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제 설명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와 방법은 대화방에 전달된 대화 메시지를 분석하여 뉴스 메시지 형식이라면, 구문 분석을 통해서 가짜 뉴스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을 기초로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하여 가짜 뉴스를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메시지 형식 확인부(110), 지침 정합성 계산부(120), 경고 메시지 표시부(130), 비교 뉴스 제공부(140) 및 요약 뉴스 제공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릭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메시지 형식 확인부(110)는 인스턴트 메신저(60)의 대화창을 통해서 수신한 대화 상대방(20)이 대화창을 통해 보낸 제1 대화 메시지의 작성 형식이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대화 메시지를 자연어 처리하고, 구문 분석을 통해서 사용자 간의 일반 대화 메시지 인지, 또는 뉴스기사 형식의 문장을 복사해서 붙여 넣은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비록, 대화 메시지가 요약이나 편집 등을 통해서 정식 뉴스 형식과는 다르게 변형되었지만, 일반 대화체와 소식을 전달하는 전달체의 형식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전달체의 형식 중에서도 형식적인 문장과 인용문 형식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면 뉴스형식의 메시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뉴스 형식의 문장을 선별하는 기술은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지침 정합성 계산부(120)는 제1 대화 메시지가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된 경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에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뉴스 및 방송 가이드라인) 정합성을 계산할 수 있다.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은 정규 언론사별 뉴스 작성 지침 또는 편집/보도 가이드라인과 기존의 뉴스 기사를 대비하여 패턴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 대상 뉴스 기사의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판단하도록 모델링한 모델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평소 언론사 A가 시계열 상에서 주장한 이념, 사상, 주장으로부터 먼거리로 좌표가 떨어져 보이는 경우(유클리드 거리 계산 등 적용) 등은 가짜뉴스 가능성을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뉴스 작성 지침이라는 용어는 방송 가이드라인 방송 보도 지침 등 뉴스 기사를 작성하기 위한 모든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포괄하는 의미이다.
경고 메시지 표시부(130)는 지침 정합성 계산부(120)의 계산 결과, 작성 지침 정합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미만이라면, 인스턴트 메신저(60)의 대화창을 통해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짜 뉴스를 조심하세요", "가짜 뉴스 확률 99%입니다" 등의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신저(60)의 대화창을 통해 전달하여 사용자(10,20)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 표시부(130)는 경고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신저(60)의 대화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 표시부(130)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와 연관되는 기사 검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수단을 대화창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은 버튼 컨트롤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인스턴트 메신저(60)의 대화창에 대화 메시지 형태로 전달할 수도 있다.
비교 뉴스 제공부(140)는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40)를 채팅방(6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비교 뉴스는 링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요약 뉴스 제공부(150)는 비교 뉴스(40)를 분석하여 비교 뉴스(40)의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초로 요약 뉴스를 생성하고, 상기 요약 뉴스를 대화창(60)에 제공할 수 있다. 요약 뉴스는 대화창에 텍스트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뉴스를 요약하는 방법은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구성인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12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구성인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120)는 모델 적용 모듈(121), 가중치 부여 모듈(122) 및 정합성 계산 모듈(12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에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120)의 각 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모델 적용 모듈(121)은 대화 상대방(20)으로부터 전달된 제1 대화 메시지를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여, 도출된 각 문장에 지침 위반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치/통계에 대한 출처가 없거나 인용문 형식임에도 불구하고 출처 표시 없는 문장을 도출하여, 위반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또는 6H원칙에 해당하지 않거나 통상의 6H원칙이 포함되지 않은 뉴스임을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가중치 부여 모듈(122)은 지침 위반의 종류나 성격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정합성 계산 모듈(123)은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여, 지침 위반 건수와 가중치를 고려하여 지침 정합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침 정합성이 미리 정한 임계치 미만일 경우 가짜 의심 뉴스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다른 구성인 비교 뉴스 제공부(12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일 구성인 비교 뉴스 제공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비교 뉴스 제공부(140)는 핵심 키워드 도출 모듈(141), 뉴스 기사 검색 모듈(142), 비교 뉴스 선정 모듈(143) 및 뉴스 링크 제공 모듈(14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40)를 채팅방(60)을 통해 제공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뉴스 제공부(140)의 각 구성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핵심 키워드 도출 모듈(141)은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문맥 분석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할 수 있다. 핵심 키워드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문장을 분리한 후에 TF-IDF(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등의 키워드 분류 기법을 이용해서 도출할 수 있다. 키워드 도출 방법은 알려진 방법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뉴스 기사 검색 모듈(142)은 상기 핵심 키워드를 기초로 뉴스 포털 사이트나 정규 언론사의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연관 뉴스 기사를 검색할 수 있다.
비교 뉴스 선정 모듈(143)은 뉴스 제작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400)나 기자 검증 사이트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관련 뉴스 중 뉴스 제작자 신뢰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뉴스를 비교 뉴스로 선정할 수 있다. 뉴스 제작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에는 기자 검증 자료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교 뉴스는 신뢰성 있는 언론사와 기자가 작성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호 비교를 위해서 복수의 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비교뉴스를 이용해서 가짜 뉴스로 의심되는 제1 대화 메시지의 내용에 대하여 사실 확인을 할 수 있다. 비교 뉴스는 초록화를 통해 간략한 문장으로 바꿀 수 있다. 그리고 가짜뉴스로 의심되는 뉴스와 해당 초록을 비교하여, 초록과 가짜뉴스 간의 각 문장, 단어 또는 구문의 거리를 분석하고, 거리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면 가짜뉴스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B가 대화 상대방 A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서 대화 중에, 대화 상대방 A로부터 뉴스 형식의 대화 메시지(91)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는 대화 상대방 A가 보낸 메시지(91)가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되었는지 분석할 수 있다. 만일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된 것을 공유하는 것이라면,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맞게 작성되었는지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할 수 있다. 즉, 문장의 작성 형식을 점검하여 뉴스의 신뢰도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대화창(11)에 경고 메시지(92)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문장 중에,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단어나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메시지(93)를 대화창(11)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B에게 팩트 체크를 위한 비교 뉴스의 확인 의사를 묻는 대화메시지(94)를 대화창(11)에 내보낸 후, 사용자 B의 응답에 따라서 비교 뉴스를 검색하여 해당 뉴스의 링크(95)와 뉴스 요약(96)을 대화창(11)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을 기초로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하여 가짜 뉴스를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메시지 형식 확인단계(S110), 지침 정합성 계산단계(S120), 경고 메시지 표시단계(S130), 비교 뉴스 제공단계(S140) 및 요약 뉴스 제공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메시지 형식 확인단계(S110)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창을 통해서 수신한 대화 상대방의 제1 대화 메시지의 작성 형식이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대화 메시지를 자연어 처리하고, 구문 분석을 통해서 사용자 간의 일반 대화인지 뉴스기사 형식의 문장을 복사해서 붙여 넣은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지침 정합성 계산단계(S120)는 제1 대화 메시지가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된 경우, 정규 언론사별 뉴스 작성 지침과 뉴스 기사를 대비하여 패턴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 대상 뉴스 기사의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판단하도록 모델링한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할 수 있다.
경고 메시지 표시단계(S130)는 작성 지침 정합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미만이라면,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창을 통해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와 함께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 표시단계(S130)는 제1 대화 메시지와 연관되는 기사 검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수단을 대화창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은 버튼 컨트롤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대화 메시지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비교 뉴스 제공단계(S140)는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를 채팅방에 제공할 수 있다. 비교 뉴스는 링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요약 뉴스 제공단계(S150)는 비교 뉴스를 분석하여 비교 뉴스의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초로 요약 뉴스를 생성하고, 상기 요약 뉴스를 대화창에 텍스트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 단계(S120)의 역할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의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단계(S120)는 모델 적용 단계(S121), 가중치 부여 단계(S122) 및 정합성 계산 단계(S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 단계의 각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모델 적용 단계(S121)는 대화 상대방으로부터 전달된 제1 대화 메시지를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여, 도출된 각 문장에 지침 위반 태그를 부착할 수 1있다. 예를 들면, 수치/통계에 대한 출처가 없거나 인용문 형식임에도 불구하고 출처 표시가 없는 문장을 도출하고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가중치 부여 단계(S122)는 지침 위반의 종류나 성격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정합성 계산 단계(S123)는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여, 지침 위반 건수와 가중치를 고려하여 지침 정합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지침 정합성이 미리 정한 임계치 미만일 경우 가짜 의심 뉴스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비교 뉴스 제공단계(S120)가 수행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의 비교 뉴스 제공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 뉴스 제공단계(S140)는 핵심 키워드 도출 단계(S141), 뉴스 기사 검색 단계(S142), 비교 뉴스 선정 단계(S143) 및 뉴스 링크 제공 단계(S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뉴스 제공단계(S140)의 각 과정은 설명될 수 있다.
핵심 키워드 도출 단계(S141)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문맥 분석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할 수 있다. 핵심 키워드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문장을 분리한 후에 TF-IDF와 같은 키워드 분류 기법을 이용해서 도출할 수 있다. 키워드 도출 방법은 알려진 방법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뉴스 기사 검색 단계(S142)는 상기 핵심 키워드를 기초로 뉴스 포털 사이트나 정규 언론사의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연관 뉴스 기사를 검색할 수 있다.
비교 뉴스 선정 단계(S143)는 뉴스 제작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관련 뉴스 중 뉴스 제작자 신뢰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뉴스를 비교 뉴스로 선정할 수 있다.
비교 뉴스는 신뢰성 있는 언론사와 기자가 작성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호 비교를 위해서 복수의 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비교뉴스를 이용해서 가짜 뉴스로 의심되는 제1 대화 메시지의 내용에 대하여 사실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은 메신저의 대화방에 전달된 대화 메시지를 분석하여 뉴스 메시지 형식인 경우에 가짜 뉴스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와 관련되어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제 설명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와 방법은 가짜 뉴스로 의심되는 대화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가짜 뉴스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을 기초로 사용자 요구에 의하여 가짜 뉴스를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제2 대화창 제공부(310), 지침 정합성 계산부(320), 경고 메시지 표시부(330), 비교 뉴스 제공부(340), 요약 뉴스 제공부(350) 및 정보 공유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제2 대화창 제공부(310)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1 대화창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컨트롤을 통해 가짜 뉴스 판단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화면에 제2 대화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대화창 제공부(310)는 사용자 간에 대화가 진행중인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1 대화창에 버튼 컨트롤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수단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대화 상대방으로부터 진위가 의심되는 뉴스 텍스트를 전달받는 경우, 상기 버튼 컨트롤을 이용하여 가짜 뉴스 확인 요청을 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가짜 뉴스 확인 요청이 발생하면, 제2 대화창 제공부(310)는 단말의 화면에, 별도의 제2 대화창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대화창은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300), 즉 로봇과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이기 때문에, 제1 대화창의 대화 상대방은 제2 대화창의 대화 내용을 알 수 없다.
사용자는 제1 대화창의 대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뉴스성 텍스트 메시지를 복사하여, 제2 대화창에 입력할 수 있다. 제1 대화창은 팝업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제1 대화창과 제2 대화창 간에 화면 전환이 가능한 일반적인 대화창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대화창이 제공되는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침 정합성 계산부(320)는 제2 대화창을 통해서, 가짜 뉴스 판단을 위한 제1 대화 메시지가 입력되면, 정규 언론사별 뉴스 작성 지침과 뉴스 기사를 대비하여 패턴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 대상 뉴스 기사의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판단하도록 모델링한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200)에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뉴스 작성 지침 중심의 육하원칙에 따른 단어나 문장의 존재 여부와 이에 대한 부연설명을 충실하게 하였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경고 메시지 표시부(330)는 지침 정합성 계산부(320)의 계산 결과, 작성 지침 정합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미만이라면,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2 대화창을 통해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 표시부(330)는 경고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2 대화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 표시부(330)는 제1 대화 메시지와 연관되는 기사 검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수단을 상기 제2 대화창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은 버튼 컨트롤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제2 대화창에 대화 메시지 형태로 전달할 수도 있다.
비교 뉴스 제공부(340)는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를 제2 대화창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비교 뉴스는 링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비교 뉴스 제공부(340)는 제1 대화 메시지의 문맥 분석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는 키워드 도출 모듈과 상기 핵심 키워드를 기초로 뉴스 포털 사이트나 정규 언론사의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연관 뉴스 기사를 검색하는 뉴스 기사 검색 모듈과, 뉴스 제작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관련 뉴스 중 뉴스 제작자 신뢰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뉴스를 비교 뉴스로 선정하는 비교 뉴스 선정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요약 뉴스 제공부(350)는 비교 뉴스를 분석하여 비교 뉴스의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초로 요약 뉴스를 생성하고, 상기 요약 뉴스를 제2 대화창에 텍스트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요약 뉴스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신문사나 방송사 또는 기자의 기사 원문을 요약한다. 그리고 의심 뉴스와 거리를 비교하여 거리에 따라서 가짜뉴스로 판단하는 방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뉴스를 요약하는 방법은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 공유부(360)는 제2 대화창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대화 상대방에게도 보낼 것인지를 여부에 대한 사용자 의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서 제1 대화창으로 화면을 전환하여, 경고 메시지나 비교뉴스를 제1 대화창에 제공하여 대화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가 제공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B가 대화 상대방 A와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서 대화 중에, 대화 상대방 A로부터 뉴스 형식의 대화 메시지(91)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 B가 메시지(91)의 진위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대화창(11) 하단에 표시된 <가짜뉴스확인>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사용자 B가 버튼(401)을 클릭한 순간,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화면에는 가짜 뉴스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팝업(402)(또는, 별도의 대화창)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 B가 대화창(11)에서 메시지(91)를 복사하여 팝업(402)의 텍스트 입력 필드에 입력 후, <전송>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장치는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고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제2 대화창(12)으로 화면 전환을 하고, 제2 대화창(12)을 통해 경고 메시지(92)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A는 제2 대화창(12)을 통해 로봇과 사용자 B가 주고받는 내용을 알지 못한다.
또한,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문장 중에,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메시지(93)를 제2 대화창(12)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2 대화창(12)을 통해 사용자에게 대화 상대방에게도 가짜 뉴스임을 알릴 것인지에 대한 질의(97)를 하고,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받을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에서 로봇의 정보 공유 여부를 묻는 질의(97)에 대한 사용자 B의 응답(98)에 따라서, 대화 상대방 A와의 대화창(11)으로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전환된 대화창(11)에 경고 메시지(92)와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메시지(93)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화면이 전환된 상태(11)에서 사용자 B에게 팩트 체크를 위한 비교 뉴스를 확인할지를 묻는 대화메시지(94)를 대화창(11)에 내보낸 후, 사용자 B의 응답에 따라서 비교 뉴스를 검색하여 해당 뉴스의 링크(95)와 뉴스 요약(96)을 대화창(1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을 기초로 사용자 요구에 의하여 가짜 뉴스를 판별하고 사용자에게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제2 대화창 제공단계(S310), 지침 정합성 계산단계(S320), 경고 메시지 표시단계(S330), 비교 뉴스 제공단계(S340), 요약 뉴스 제공단계(S350) 및 정보 공유단계(S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제2 대화창 제공단계(S310)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1 대화창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컨트롤을 통해 가짜 뉴스 판단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화면에 제2 대화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대화창 제공단계(S310)는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1 대화창에 버튼 컨트롤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수단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제1 대화창을 통해 대화 상대방으로부터 진위가 의심되는 뉴스 텍스트를 전달받는 경우, 제공된 버튼 컨트롤을 이용하여 가짜 뉴스 확인 요청을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이 발생하면, 단말의 화면에 별도의 제2 대화창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2 대화창은, 로봇과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이기 때문에, 제1 대화창의 대화 상대방은 제2 대화창의 대화 내용을 알 수 없다. 사용자는 제1 대화창과 제2 대화창의 화면 전환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제1 대화창의 대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한 뉴스성 텍스트 메시지를 복사하여, 제2 대화창에 입력할 수 있다. 제1 대화창은 팝업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제1 대화창과 화면 전환이 가능한 일반적인 대화창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대화창이 제공되는 형태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침 정합성 계산단계(S320)는 제2 대화창을 통해서, 가짜 뉴스 판단을 위한 제1 대화 메시지가 입력되면, 정규 언론사별 뉴스 작성 지침과 뉴스 기사를 대비하여 패턴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 대상 뉴스 기사의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판단하도록 모델링한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할 수 있다.
경고 메시지 표시단계(S330)는 지침 정합성 계산 결과, 작성 지침 정합성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 미만이라면,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2 대화창을 통해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2 대화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 표시단계(S330)는 제1 대화 메시지와 연관되는 기사 검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 수단을 상기 제2 대화창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은 버튼 컨트롤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제2 대화창에 대화 메시지 형태로 전달할 수도 있다.
비교 뉴스 제공단계(S340)는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를 제2 대화방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비교 뉴스는 링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의 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요약 뉴스 제공단계(S350)는 비교 뉴스를 분석하여 비교 뉴스의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초로 요약 뉴스를 생성하고, 상기 요약 뉴스를 제2 대화창에 텍스트 메시지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뉴스를 요약하는 방법은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정보 공유단계(S360)는 제2 대화창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대화 상대방에게도 보낼 것인지를 여부에 대한 사용자 의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응답에 따라서 제1 대화창으로 화면을 전환하여, 경고 메시지, 비교뉴스나 요약 뉴스를 제1 대화창에 제공하여 대화 상대방과 공유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인스턴트 메신저 기반의 폐쇄된 채팅방에서 메시지 형태로 공유되는 가짜 뉴스에 대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학습한 뉴스 작성 지침 모델을 적용하여 가짜 뉴스 가능성을 판단하고, 신뢰성 있는 비교 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진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짜 뉴스 여부를 판단한 결과 채팅방의 모든 대화자가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가짜 뉴스의 확산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실제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하며, ROM, RAM, CD, DV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창을 통해서 수신한 대화 상대방의 제1 대화 메시지의 작성 형식이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대화 메시지가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된 경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 결과,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대화창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고, 상기 위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뉴스를 분석하여 상기 비교 뉴스의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초로 요약 뉴스를 생성하고, 상기 요약 뉴스를 상기 대화창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문맥 분석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핵심 키워드를 기초로 뉴스 포털 사이트나 정규 언론사의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연관 뉴스 기사를 검색하는 단계와,
    뉴스 제작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관련 뉴스 중 뉴스 제작자 신뢰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뉴스를 비교 뉴스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비교 뉴스의 링크를 상기 대화창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경고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대화 메시지를 상기 대화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뉴스 작성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대화창을 통해서 수신한 대화 상대방의 제1 대화 메시지의 작성 형식이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메시지 형식 확인부와,
    상기 제1 대화 메시지가 뉴스 기사 형식으로 작성된 경우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와,
    상기 계산 결과,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대화창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고 메시지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은 정규 언론사별 뉴스 작성 지침과 뉴스 기사를 대비하여 패턴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 대상 뉴스 기사의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판단하도록 모델링한 것이고,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고, 상기 위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뉴스 검색을 통해서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진위를 점검할 수 있는 비교 뉴스를 제공하는 비교 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뉴스를 분석하여 상기 비교 뉴스의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초로 요약 뉴스를 생성하고, 상기 요약 뉴스를 상기 대화창에 제공하는 요약 뉴스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 뉴스 제공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의 문맥 분석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핵심 키워드를 도출하는 키워드 도출 모듈과
    상기 핵심 키워드를 기초로 뉴스 포털 사이트나 정규 언론사의 웹사이트를 검색하여 연관 뉴스 기사를 검색하는 뉴스 기사 검색 모듈과,
    뉴스 제작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관련 뉴스 중 뉴스 제작자 신뢰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뉴스를 비교 뉴스로 선정하는 비교 뉴스 선정 모듈과,
    상기 선정된 비교 뉴스의 링크를 상기 대화창에 제공하는 뉴스 링크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메시지 표시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대화 메시지를 상기 대화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2.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1 대화창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컨트롤을 통해 가짜 뉴스 판단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화면에 제2 대화창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대화창을 통해서, 가짜 뉴스 판단을 위한 제1 대화 메시지가 입력되면,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 결과,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제2 대화창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은 정규 언론사별 뉴스 작성 지침과 뉴스 기사를 대비하여 패턴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판단 대상 뉴스 기사의 뉴스 작성 지침 정합성을 판단하도록 모델링한 것이고,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고, 상기 위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경고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대화 메시지를 상기 제2 대화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대화창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대화 상대방에게도 보낼 것인지를 여부에 대한 사용자 의사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의사에 따라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제1 대화창에 제공하는 정보 공유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7. 사용자 요청 기반의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인스턴트 메신저의 제1 대화창에 제공되는 사용자 입력 컨트롤을 통해 가짜 뉴스 판단 요청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말의 화면에 제2 대화창을 제공하는 제2 대화창 제공부와,
    상기 제2 대화창을 통해서, 가짜 뉴스 판단을 위한 제1 대화 메시지가 입력되면,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적용하여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와,
    상기 계산 결과,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이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라면, 상기 제2 대화창에 소정의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경고 메시지 표시부와,
    상기 제2 대화창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대화 상대방에게도 보낼 것인지를 여부에 대한 사용자 의사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의사에 따라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제1 대화창에 제공하는 정보 공유부를 포함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8. 삭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 계산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를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 적용하여, 뉴스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도출하는 모델 적용 모듈과,
    상기 위반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문장이나 단락에 상기 뉴스 작성 지침 분석 모델에서 제공하는 가중치를 부여하는 가중치 부여 모듈과,
    상기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를 기초로 상기 작성 지침 정합성을 계산하는 정합성 계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경고메시지 표시부는
    상기 제1 대화 메시지 내의 작성 지침에 위반하는 문장이나 단락을 강조 표시하여 재편집한 제2 대화 메시지를 상기 제2 대화창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20. 삭제
KR1020180129565A 2018-10-29 2018-10-29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13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65A KR102135075B1 (ko) 2018-10-29 2018-10-29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65A KR102135075B1 (ko) 2018-10-29 2018-10-29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90A KR20200047990A (ko) 2020-05-08
KR102135075B1 true KR102135075B1 (ko) 2020-07-17

Family

ID=7067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65A KR102135075B1 (ko) 2018-10-29 2018-10-29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749B1 (ko) * 2020-06-01 2021-05-21 석보라 최초 게시자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86580B1 (ko) * 2022-04-15 2023-10-10 양재미디어 주식회사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언어 모델을 이용한 뉴스 편집 업무 지원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1388A1 (en) * 2011-06-10 2013-11-21 Lucas J. Myslinski Method of and system for fact checking flagged comments
KR101869815B1 (ko) * 2017-06-22 2018-06-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집단지성을 이용한 뉴스 판단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1388A1 (en) * 2011-06-10 2013-11-21 Lucas J. Myslinski Method of and system for fact checking flagged comments
KR101869815B1 (ko) * 2017-06-22 2018-06-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집단지성을 이용한 뉴스 판단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hatsApphasafakenews(2018.08.23.)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990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7983B2 (en) Detecting, classifying, and enforcing policies on social networking activity
Gao et al. Online app review analysis for identifying emerging issues
US11886555B2 (en) Online identity reputation
EP265785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cessing public opinion topics
EP27530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monitoring and searching social networking media
US9984427B2 (en) Data ingestion module for event detection and increased situational awareness
US9720904B2 (en) Generating training data for disambiguation
US10839013B1 (en) Generating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relationships among a set of articles an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set of articles
US9887944B2 (en) Detection of false message in social media
US94262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nalysis of social media messages
US11019371B2 (en) Control of content broadcasting
US10956522B1 (en) Regular expression generation and screening of textual items
US101166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display-screen security and privacy
Boididou et al. Learning to detect misleading content on twitter
Gupta et al. Combating fake news: Stakeholder interventions and potential solutions
US20200118009A1 (en) Improved onboarding of entity data
WO2023216494A1 (zh) 基于联邦学习的用户服务策略确定方法及装置
KR20220153518A (ko) 이벤트 신호들에 기초한 타깃 웹 및 소셜 미디어 메시징
KR102135075B1 (ko) 뉴스 작성 지침 및 방송 보도 지침 기반의 인스턴트 메시지의 구문 분석을 통한 가짜 뉴스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43275B1 (ko) 오프라인 오브젝트에 관한 콘텐츠 자동 생성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WO2022126962A1 (zh) 基于知识图谱的引导教唆语料的检测方法及其相关设备
US20230080618A1 (en) Heterogeneous Graph Clustering Using a Pointwise Mutual Information Criterion
US9678982B2 (en) Accessibility advisement system for digital assets
US11880649B1 (en) Selecting a template for transforming source data using a cognitive engine
US20240134946A1 (en) Online identity repu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