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041B1 - 환자 수술용 무영등 - Google Patents

환자 수술용 무영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041B1
KR102135041B1 KR1020180055710A KR20180055710A KR102135041B1 KR 102135041 B1 KR102135041 B1 KR 102135041B1 KR 1020180055710 A KR1020180055710 A KR 1020180055710A KR 20180055710 A KR20180055710 A KR 20180055710A KR 102135041 B1 KR102135041 B1 KR 102135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laser pointer
control unit
surgery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1169A (ko
Inventor
김남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8005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04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363Use of fiducial p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37Visible markers
    • A61B2090/3945Active visible markers, e.g. light emitting di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수술용 무영등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조명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패널 중 하나와 결합되고 환자의 시술 부위에 격자 무늬를 포인팅하여 좌우대칭 시술을 지원하는 레이저 포인터, 상기 레이저 포인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조명패널을 제1 면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방향 조절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조명패널의 점등과 레이저 포인터의 점등을 독립 또는 종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제공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레이저 포인팅 영역을 이용해 시술 부위의 대칭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시술 부위를 스캐닝하고 변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 수술용 무영등{SURGICAL LIGHT FOR PATIENT OPERATION}
본 발명은 환자 수술용 무영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레이저 포인팅 영역을 이용해 시술 부위의 대칭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시술 부위를 스캐닝하고 변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에 관한 것이다.
무영등은 수술시 광원을 집중시켜 시술 부위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전등 장치 중 하나로, 시술자의 시야 확보를 도와 치료의 정확성과 예후를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장비이다. 과거에는 주로 외과적 수술을 요하는 곳에서 사용되었으나 임플란트가 대중화됨에 따라 최근에는 의원급 개인치과에서도 많이 구비하고 있다.
기존 무영등은 다수의 할로겐 전구로 수술 부위에 조명을 비춰, 그림자가 생기는 부위 없이 골고루 광원이 도달하도록 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최근에는, LED를 사용하여 할로겐 전구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지보수 비용도 절약할 수 있는 무영등이 사용되고 있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를 이용한 PN 접합이라고 불리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다. 발광은 PN 접합에서 전자가 가지는 에너지가 직접 빛 에너지로 변환되기 때문에 거시적으로 열이나 운동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전극으로부터 반도체에 주입된 전자와 양공은 다른 에너지띠 (전도띠나 원자가띠)를 흘러 PN 접합부 부근에서 띠틈을 넘어 재결합한다. 재결합할 때 거의 띠틈에 상당한 에너지가 광자, 즉 빛으로 방출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 0822886(2008.04.10)호는 무영등에 관한 것으로, 봉형 심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노출되게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되되 발광다이오드의 광출사축이 외주면과 수직한 방사 방향이 되게 어레이된 광원 모듈과, 중앙의 결합구를 통해 광원 모듈이 결합되며 발광다이오드의 광출사축을 따라 입사된 광을 봉형 심체의 연장방향인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분할된 다수의 띠 형태의 섹터 반사면이 계단 형태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 리플렉터 및 광원모듈을 리플렉터에 대해 수직상으로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무영등은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함과 아울러 상호 다른 색상의 발광다이오드 칩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어 연색성, 조도 및 색온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08156(2016.03.25)호는 치과 진료용 무영등에 관한 것으로, 치과 진료 및 치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의 구강내의 치료 부위에 대하여 조명을 하는 치과용 진료등으로서, 내측으로 구성 요소 배치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으로 배치되고 반사면이 타원면인 반사경, 상기 반사경의 제1 초점 상에 배치되는 발광 수단, 상기 반사경의 제2 초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경에서 반사된 광이 중앙으로 통과하는 조리개 및 상기 조리개를 통과한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를 포함하는 치과 진료용 무영등을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 0822886(2008.04.1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08156(2016.03.25)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레이저 포인팅 영역을 이용해 시술 부위의 대칭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시술 부위를 스캐닝하고 변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본체부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조절해 시술 부위에 수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술 부위 조도를 기초로 조명패널의 점등을 제어하고, 복수의 수술 단계들(surgery phases) 마다 레이저 포인터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환부 변화 지수를 기초로 열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인 지점을 표시할 수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환자 수술용 무영등은 적어도 하나의 조명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패널 중 하나와 결합되고 환자의 시술 부위에 격자 무늬를 포인팅하여 좌우대칭 시술을 지원하는 레이저 포인터, 상기 레이저 포인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조명패널을 제1 면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방향 조절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조명패널의 점등과 레이저 포인터의 점등을 독립 또는 종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포인팅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절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시술 부위를 주기적으로 적외선 촬영하여 적외선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 시술 부위의 조도를 기초로 상기 조명패널의 점등을 제어하고, 복수의 수술 단계들(surgery phases) 마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술 단계들 각각의 시작 과정에서 수신된 제1 스캐닝된 이미지와 해당 수술 단계의 완료 과정에서 수신된 제2 스캐닝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환부 변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캐닝된 이미지들 간의 열 차이를 상기 환부 변화 지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부 변화 지수를 기초로 상기 열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인 지점을 검출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포인팅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제어 과정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광원 모양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수술용 무영등은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레이저 포인팅 영역을 이용해 시술 부위의 대칭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환자의 시술 부위를 스캐닝하고 변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수술용 무영등은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본체부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레이저 포인터를 조절해 시술 부위에 수술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수술용 무영등은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술 부위 조도를 기초로 조명패널의 점등을 제어하고, 복수의 수술 단계들(surgery phases) 마다 레이저 포인터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수술용 무영등은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환부 변화 지수를 기초로 열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인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의 본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의 제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이 레이저를 통해 지방 흡입술을 시술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시술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자 수술용 무영등(100)은 본체부(110)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환자 시술 부위를 향하는 제1 면에 조명패널(112), 레이저 포인터(114) 및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을 결합할 수 있고, 이면에 조절암(116)을 결합할 수 있다. 복수의 본체부(110)는 하나의 환자 수술용 무영등(1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제어부(120)와 유선 또는 블루투스, WiFi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본체부(110)들은 제어부(12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조명패널(112), 레이저 포인터(114), 조절암(116) 및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20)는 본체부(11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패널(112)의 점등 및 조사 각도, 레이저 포인터(114)의 점등 및 조사 각도, 조절암(116)의 위치,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의 촬영 여부 및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의 열 이미지 스캐닝 여부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본체부(110)와 컨트롤러(122) 및 디스플레이부(124)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환자 시술 부위의 조도를 기초로 조명패널(112)의 점등을 자동으로 제어하고, 기설정된 특정 수술 단계들(surgery phases)에서 레이저 포인터(114)의 점등을 자동으로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조명패널(112) 및 레이저 포인터(114)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본체부(110)들과 블루투스, WiFi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본체부(1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컨트롤러(122) 및 디스플레이부(124)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의 본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조명 패널(112), 레이저 포인터(114), 조절암(116) 및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패널(112)은 광원을 집중시켜 수술 부위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의료장비에 해당할 수 있고, 복수의 LED들을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명패널(112)은 조명도와 연색성이 높고, 방사열 및 손 그림자 등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발열방지 필터, 복수의 반사경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조명패널(112)은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환부를 비출 수 있도록 유연하고 고정이 잘되는 지지대와 연결되고 다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114)는 시술 부위 내의 시술 위치를 레이저로 포인팅하는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포인터(114)는 시술 위치를 포인팅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표시되는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광원은 원형 모양, 삼각형 모양 및 사각형 모양 등에 해당하는 형태로 시술 위치를 시술 부위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포인터(114)는 조명패널(112)이 구비된 면과 동일한 본체부(110)의 일면에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과 이웃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LED조명들 및 복수의 레이저 포인터(114)의 배치 형태에 따라 본체부(110)은 다양한 외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포인터(114)는 일정한 간격으로 촘촘하게 배열된 복수의 레이저 포인팅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시술 부위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포인팅 장치를 제어하여 실제 시술 부위를 포인팅하는 레이저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술 부위의 크기가 커서 레이저로 표시하는 영역을 넓게 하려고 할 경우 제어부(120)는 첫 번째 레이저 포인팅 장치가 포인팅하고 두 번째부터 네 번째 레이저 포인팅 장치는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다섯 번째 레이저 포인팅 장치가 포인팅하고 여섯 번째부터 여덟 번째 레이저 포인팅 장치는 동작하지 않도록 복수의 레이저 포인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조절암(116)은 조명패널(112), 레이저 포인터(114) 및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이 결합된 본체부(110)의 제1 면이 다양한 각도에서 환부를 향할 수 있도록 유연하고 고정이 잘되는 지지대와 연결되고 다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본체부(110)의 제2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절암(116)은 관절 좌표형 머니퓰레이터에 해당하는 기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조절암(116) 불규칙하게 형성된 작업영역에서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여 마치 인간 팔의 상박 및 하박과 같은 동작을 할 수 있는 제1 및 제2 지지대와 관절로 구성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은 수술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술대에 누워 있는 환자의 환부를 비추는 조명 역할을 수행하는 조명패널(112)의 하단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은 조명패널(112)이 비추는 방향으로 조명패널(112) 아래에 있는 수술대 및 환자 등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은 이미지 센서에 해당하는 TOF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TOF 센서들은 제어부(120)가 촬영된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수술 단계(surgery phase)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TOF 센서들은 촬영된 이미지가 기준 이미지와 일치하면 일치한 시점의 수술 단계(surgery phase)를 해당 수술 단계(surgery phase)로 판단할 수 있다. TOF 센서들은 직접 입력된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수술 단계들(surgery phase) 마다 이미지를 직접 입력하여 스스로 수술 단계(surgery phase)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TOF 센서들은 최초로 촬영된 하나의 이미지를 수술 전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TOF 센서들은 수술 전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어부(120)로 전송하여 수술 단계들(surgery phases)의 진행 과정에 따른 변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변화 지수 정보는 제어부(120)의 디스플레이부(12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은 열 이미지 센서에 해당하는 복수의 적외선 카메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적외선 카메라들은 최초로 촬영된 하나의 이미지를 수술 전 이미지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적외선 카메라들은 수술 전 이미지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제어부(120)로 전송하여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검출된 경우 레이저 포인터(114)를 이용해 검출된 지점을 포인팅 할 수 있다.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은 반드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고, 광전소자를 이용한 다양한 센서, 동작 감지 센서 및 영상물을 촬영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의 제어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20)는 컨트롤러(122) 및 디스플레이부(124)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환자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술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장치는 환자 시술용 무영등(100)를 통해 직접적으로 입력된 환자 정보뿐만 아니라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 등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수집한 시술 관련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시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의 촬영 주기, 데이터의 저장 형태 및 촬영 화질 등을 사전에 설정하고 조절암(116)을 제어하여 조명패널(112), 레이저 포인터(114) 및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이 결합된 본체부(110)의 제1 면이 다양한 각도에서 환부를 향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2)는 시술이 개시된 시점에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의 촬영을 자동으로 시작하고, 시술이 종료된 시점에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의 촬영을 자동으로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2)는 시술 부위 내의 특정 위치에서 일정 이상의 온도가 검출된 경우 레이저 포인터(114) 및 디스플레이부(124)를 통해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22)는 수술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환자 시술 부위의 변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시술이 종료된 경우 현재 환자의 시술 부위 적외선 이미지와 시술 전의 적외선 이미지를 기초로 환부 변화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부 변화 지수는 각각의 이미지를 특정 수의 섹션으로 분해한 후 각 섹션 내부의 RGB 값을 검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미리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을 통해 시술 부위를 결정하고 레이저 포인터(114)를 제어하여 시술 위치를 레이저로 포인팅할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시술자에게 수술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확인 없이도 환자의 시술 부위 및 시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22)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로부터 수집한 센싱 정보를 기초로 시술자의 동작을 검출하고 시술 개시 시점부터 시술 종료 시점까지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의 촬영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22)는 이미지를 통해 시술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고, 열 이미지를 통해 시술이 개시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시술이 개시된 이후 특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마다 수술 단계(surgery phase)가 바뀐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시술 개시 시점에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의 촬영을 개시하고 시술 종료 시점에 적외선 카메라 모듈(18)의 촬영을 종료함으로써 시술 진행 과정에 대한 이미지 또는 열 이미지를 자동으로 촬영하여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4)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스캐닝된 열 이미지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거나 또는 환부 변화 지수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4)는 시술이 개시되기 전에 환자의 신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4)는 시술이 진행되는 도중에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재생할 수 있고, 이미지 상에 환부 변화 지수 등 다른 시술에 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2)는 시술 부위에 대한 영상 화면 상에 시술 부위 내의 환부 변화 지수 및 환부 발열 대한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이 레이저를 통해 지방 흡입술을 시술하는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컨트롤러(122)는 시술할 환자에 대한 신체 이미지를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을 통해 입력 받을 수 있고, 시술자의 동작을 감지하거나 수동으로 입력된 신호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114)를 제어하여 수술대에 위치한 환자의 시술 부위를 레이저로 표시할 수 있다(그림 (a)). 또한, 컨트롤러(122)는 레이저 포인터(114)를 제어하여 시술 부위 내부에 향후의 시술 위치를 레이저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22)는 시술자의 동작을 감지한 경우 자동으로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의 촬영을 제어할 수 있고, 수술대에 위치한 환자의 촬영 영상 및 사전에 입력 받은 환자의 신체 데이터를 기초로 시술 부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22)는 레이저 포인터(114)를 제어하여 시술 부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격자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그림 (a)).
다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22)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에 의해 검출된 발열량을 기초로 일정 온도 이상인 시술 부위를 레이저 포인터(114)를 제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시술 부위의 발열량 따라 레이저 포인터(114)의 포인팅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2)는 시술 위치를 원형의 포인팅 영역으로 표시할 수 있고, 해당 시술 위치의 온도가 높을수록 레이저의 포인팅 영역에 해당하는 원형의 크기를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다(그림 (b)).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22)는 해당 위치에서의 필요 시술에 따라 레이저의 포인팅 영역의 모양 또는 크기가 변경되도록 레이저 포인터(11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22)는 기준 지방 흡입량을 결정하고 기준 지방 흡입량에 대한 포인팅 영역의 기준 크기를 매칭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22)는 기준 지방 흡입량과 필요 지방흡입량을 비교하여 필요 지방흡입량에 매칭되는 포인팅 영역의 크기를 산출할 수 있고, 레이저 포인터(114)를 제어하여 산출된 크기에 맞춰 포인팅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22)는 해당 위치에서의 필요 지방흡입량을 기초로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된 레이저의 포인팅 영역의 크기를 레이저 광원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8047921208-pat00001
여기에서, R은 레이저 포인팅 영역의 크기를, k는 비례 상수를, S는 필요 지방흡입량을, W는 시술 부위의 가로를, H는 시술 부위의 세로를, F는 시술 부위 내 지방량을 나타낸다. 레이저 포인팅 영역의 크기 R은 포인팅 영역이 원형으로 표시될 경우 원의 지름에 해당할 수 있다. 필요 지방흡입량 S 및 시술 부위 내 지방량 F는 단위로 g을 사용할 수 있다. R, W 및 H는 단위로 mm를 사용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팅 영역의 크기는 시술 부위의 크기에 영향을 받을 수 있고, 특히 시술 부위의 가로 및 세로 길이 중 더 작은 길이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포인팅 영역의 크기는 필요 지방흡입량을 기준으로 결정되고, 시술 부위 내에 존재하는 지방량에 대한 필요 지방흡입량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시술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 환자 수술용 무영등(100)은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을 통해 시술 부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단계 S510). 환자 수술용 무영등(100)은 컨트롤러(122)를 통해 적외선 카메라 모듈(118)로부터 획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술 부위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520). 환자 수술용 무영등(100)은 컨트롤러(122)를 통해 레이저 포인터(114)를 제어하여 수술중 일정 온도 이상의 시술 부위를 검출할 수 있다(단계 S530). 환자 수술용 무영등(100)은 디스플레이부(124)를 통해 환부 변화 지수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54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환자 수술용 무영등 110: 본체부
112: 조명패널 114: 레이저 포인터
116: 조절암 118: 적외선 카메라 모듈
120: 제어부 122: 컨트롤러
124: 디스플레이부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조명패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패널 중 하나와 결합되고 환자의 시술 부위에 격자무늬를 포인팅하여 좌우대칭 시술을 지원하는 레이저 포인터;
    상기 레이저 포인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패널을 제1 면에 결합하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방향 조절 가능한 본체부; 및
    상기 조명패널의 점등과 레이저 포인터의 점등을 독립 또는 종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 시술 부위의 조도를 기초로 상기 조명패널의 점등을 제어하고, 복수의 수술 단계들(surgery phases) 마다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포인팅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조절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시술 부위를 주기적으로 적외선 촬영하여 적외선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적외선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술 단계들 각각의 시작 과정에서 수신된 제1 스캐닝된 이미지와 해당 수술 단계의 완료 과정에서 수신된 제2 스캐닝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환부 변화 지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캐닝된 이미지들 간의 열 차이를 상기 환부 변화 지수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부 변화 지수를 기초로 상기 열 차이가 특정 기준 이상인 지점을 검출하여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포인팅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인팅 위치의 제어 과정에서 상기 레이저 포인터의 광원 모양도 함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수술용 무영등.
KR1020180055710A 2018-05-16 2018-05-16 환자 수술용 무영등 KR102135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10A KR102135041B1 (ko) 2018-05-16 2018-05-16 환자 수술용 무영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710A KR102135041B1 (ko) 2018-05-16 2018-05-16 환자 수술용 무영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69A KR20190131169A (ko) 2019-11-26
KR102135041B1 true KR102135041B1 (ko) 2020-08-26

Family

ID=6873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710A KR102135041B1 (ko) 2018-05-16 2018-05-16 환자 수술용 무영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149B1 (ko) * 2020-01-08 2021-07-16 최홍희 의료용 다목적 레이저 포인팅장치
KR102379240B1 (ko) * 2020-06-25 2022-03-25 조현주 근막마사지의 가이드장치
KR102555278B1 (ko) * 2021-04-29 2023-07-1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식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환자의 피판 촬영장치
CN117693101B (zh) * 2024-01-31 2024-04-19 双鸭山市人民医院 一种骨科手术灯智能调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8578A1 (ja) * 2014-06-25 2015-12-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投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886B1 (ko) 2006-06-19 2008-04-17 (주)에스디엠 무영등
WO2008154000A1 (en) * 2007-06-08 2008-12-18 Cynosure, Inc. Thermal surgery safety suite
KR20110041051A (ko) * 2009-10-15 2011-04-21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디지털 수술방 제어시스템
KR101608156B1 (ko) 2014-12-04 2016-04-0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용 무영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8578A1 (ja) * 2014-06-25 2015-12-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投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1169A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041B1 (ko) 환자 수술용 무영등
EP2512121B1 (en) Illumination device
CN105050537B (zh) 牙科照射装置、牙科照射系统
US10057451B2 (en) Astral lamp device having detachable and angle-controllable LED module blocks and method of setting the same
CN103542337B (zh) 自动手术照明装置及手术自动照明控制方法
KR20200047548A (ko) 조명 시스템
JP2021512733A (ja) 関心領域の検出及び照明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10261175A1 (en) Multiple channel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fluorescence guided surgery
CN105122943A (zh) 特性化光源和移动设备的方法
CN1942136A (zh) 脸面拍照装置
JP2002232768A (ja) 全周囲画像撮影装置
CN107997737A (zh) 眼部成像系统、方法及装置
CN108324240A (zh) 眼底相机
EP3815471A1 (en) Lighting devices with automatic lighting adjustment
US20130155233A1 (en) Monitoring camera
JP2010194160A (ja) 眼底カメラ
Lee et al. Solid-state semiconductors are better alternatives to arc-lamps for efficient and uniform illumination in minimal access surgery
CN105042342A (zh) 防眩光可视手术室无影灯系统
CN203731109U (zh) 具摄像功能的移动式led无影灯
JP2002324403A (ja) 視野照明装置
CN106407964B (zh) 一种利用可见光源采集虹膜的装置、方法及终端设备
CN108770146B (zh) 多场景变化智控照明装置
EP1699347B1 (en) Rapid switching slit scan image capture system
Vorobyov et al. Features of Lighting Equipment for Spatially Complex and Dynamically Changing Work Environments
JP4812505B2 (ja) 無影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