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197B1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Google Patents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34197B1 KR102134197B1 KR1020170058355A KR20170058355A KR102134197B1 KR 102134197 B1 KR102134197 B1 KR 102134197B1 KR 1020170058355 A KR1020170058355 A KR 1020170058355A KR 20170058355 A KR20170058355 A KR 20170058355A KR 102134197 B1 KR102134197 B1 KR 1021341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e
- connector
- male
- female
- locking jaw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493 welding typ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693 Cercopithec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40 pour-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숫놈부 또는 암놈부 형태의 파일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일연결구 중 숫놈부 파일연결구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 상단에 돌출되는 파일결합부와 상기 볼트머리 하단에 돌출되되 외측면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삽입형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암놈부 파일연결구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 하단에 돌출되는 파일결합부와 상기 볼트머리 상단에 돌출되되 내측면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과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 사이에는 쐐기스프링이 개재되어 숫놈부 파일연결구가 암놈부 파일연결구에 결합되었을 때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외측면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내측면에도 걸림턱을 형성하되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과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는 쐐기스프링에 의해 숫놈부 파일연결구와 암놈부 파일연결구 사이에서 쐐기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파일간 연결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male or female file connector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lower concrete pile, the male file connector of the file connector is a bolt head and a file projecting over the top of the bolt head It consists of an insertion type connection part having a locking jaw on an outer surface,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lt head, and the female file connector is a file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lt head and the bolt head and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bolt head. Consists of a cylindrical connecting portion having a locking jaw on the side, and a wedge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locking jaw of the male file connector and the locking jaw of the female file connector so that the male file connector is easily coupled to the female file connector. To provide a weld-free type concrete pile connector configured not to be separated,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locking jaw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le file connection, and a locking jaw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emale file connection. However, by making the wedge action between the male file connector and the female file connector by the wedge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locking jaw of the male file connector and the female file connector, a fast and convenient connection is made by making a solid coupling.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enables file-to-file connections.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와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양단에 서로 대응되는 암수형태의 다수개 파일연결구와 쐐기스프링을 사용하여 용접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파일 간 연결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동시에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type concrete pile connector, and more specifically, without using a welding method using a plurality of male and female pile connectors and wedge spring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lower concrete pile. It relates to a concrete pile connector that facilitates the connection between piles and at the same time enables a solid connection.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파일은 연약지반의 강화나 건물과 같은 건축물의 지지를 위해 지반에 타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제작을 위해서는 마감판과 마감판 사이에 다수개의 강선을 걸고 상기 마감판을 견인장치와 볼트로 체결한 다음 상기 견인장치로 마감판을 잡아 당겨 팽팽하게 긴장시킨 다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회전 후 양생시킴으로써 원통형 연결구 형상의 콘크리트파일을 얻게 된다.In general, the concrete pile is used to pour on the ground to reinforce the soft ground or to support structures such as buildings. For the production of the concrete pile, a number of steel wires are placed between the finishing plate and the finishing plate to attach the finishing plate. After tightening with a traction device and bolting, the tension plate is pulled and tensioned by the traction device, and then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and rotated and cured to obtain a concrete file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connector.
상기한 콘크리트파일은 다져야할 지반이 깊은 경우는 하나의 콘크리트파일의 길이만으로는 곤란하므로 두개의 콘크리트파일을 서로 맞대고 조인트 캡을 용접으로 연결하거나, 파일 걸쇠 등를 이용해 연결하기도 한다.Since the above concrete pile is difficult to be grounded only when the length of one concrete pile is to be compacted, the two concrete piles are joined to each other and the joint caps are connected by welding, or they are connected using a pile clasp.
상기와 같은 조인트 캡의 일례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52128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조인트 캡(1)(1') 각각은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결합판(2)(2')을 형성하고, 그 결합판(2)(2')에 콘크리트 파일의 말단부 외주를 감싸는 파일 결합밴드(3)(3')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조인트 캡(1)(1')은 결합판(2)(2')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그 맞대어진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6)하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용접을 위해서는 상기 결합판(2)(2') 각각의 가장자리에는 결합판(2)(2')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용접용 홈(5)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용접 경사부(4)(4')가 결합판(2)(2')의 프레스 가공시 절곡 형성된다.An example of such a joint cap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52128, as shown in FIGS. 4 and 5, each of a pair of joint caps (1)(1') is press-processed with an iron plate. A coupling plate (2) (2') is formed, and the coupling plate (2) (2') has a structure in which a pile coupling band (3) (3')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a concrete pile is integrally coupled. The pair of
본 출원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인트캡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용접이 가능한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를 등록특허 제10-1543388호로 선출원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joint cap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applicant has previously filed a concrete file connector that can be welded as Patent No. 10-1543388.
그런데 상기한 콘크리트 파일연결구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의 상부연결플레이트 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하부연결플레이트 상단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을 한쌍의 반원형 파일 걸쇠로 걸고 파일 걸쇠는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By the way, the above-described concrete pile connector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at the bottom of the upper connecting plate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d a locking jaw formed at the top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of the lower concrete pile. Has a structure so that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lower concrete pile can be connected by fastening with bolts.
그런데 이는 하부 콘크리트 파일 위에 상부 콘크리트 파일을 얹었을 때 서로 수평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상부 콘크리트 파일와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걸림턱을 일치시키기 곤란하여 파일 걸쇠로 걸어 결합하기 매우 힘든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locking jaws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lower concrete pile because the locking jaws are not formed to prevent horizontal movement of each other when the upper concrete pile is placed on the lower concrete pile. It has disadvantages.
종래의 파일 연결 방법은 또한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을 서로 맞댄 다음 볼트 등으로 체결하는 방식이어서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양단이 서로 맞대고 있는 수평방향으로는 미끌리기 쉬워 결합작업이 매우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The conventional pile connection method is also a method in which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lower concrete pile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then fastened with bolts, so it is easy to sli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 both ends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lower concrete pil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making the bonding operation very difficult. It has disadvantages.
[선행기술문헌][Advanced technical literature]
1. 국내 등록특허 제10-1543388호1. 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543388
2. 국내 특허출원 제10-2009-0102364호 2. Domestic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102364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본 발명은 상부 콘크리트 파일와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양단에 서로 대응되는 암수형태의 다수개 파일연결구를 형성하고, 이들을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수평으로의 미끌림을 방지하는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며, 또한 이들 수놈형태의 파일연결구의 외측면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암놈형태의 파일연결구의 내측면에도 역시 걸림턱을 형성하되 상기 수놈형태 파일연결구의 걸림턱과 암놈형태 파일연결구의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는 쐐기스프링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고 견고한 파일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forms a plurality of male and female pile connecto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lower concrete pile, and engages them to prevent horizontal sliding. In addition, a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le-type file connector, and a locking jaw is also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emale-type file connector, but the locking jaw and the female file connector of the male type file connector are form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fast, convenient and robust file-to-file connection by engaging the wedge springs interposed between the locking jaw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숫놈부 또는 암놈부 형태의 파일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일연결구 중 숫놈부 파일연결구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 상단에 돌출되는 파일결합부와 상기 볼트머리 하단에 돌출되되 외측면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삽입형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암놈부 파일연결구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 하단에 돌출되는 파일결합부와 상기 볼트머리 상단에 돌출되되 내측면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과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 사이에는 쐐기스프링이 개재되어 숫놈부 파일연결구가 암놈부 파일연결구에 결합되었을 때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Looking at the so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plurality of male or female file connector tha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lower concrete pile, the file connector, the file connector The male male file connector is composed of a bolt head and a file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bolt head and an insertion-type connec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locking jaw on an outer surface, wherein the female file connector is a bolt head and the Consists of a file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lt head and a cylindrical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locking jaw on the inner surface, and a wedge between the locking jaw of the male file connecting port and the locking jaw of the female file connecting 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interposed so that the male file connector is not easily separated when coupled to the female file connecto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은 경사면과 쐐기스프링이 탄성에 의해 벌어질 때 삽입되기 위한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jaw of the female file connector is configured to form a concave groove for insertion when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wedge spring are opened by elasticit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쐐기스프링은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삽입형 연결부와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원통형 연결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되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삽입시에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가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고 숫놈부 파일연결구가 삽입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쐐기스프링의 일측면이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쐐기작용을 하게 되어 숫놈부 파일연결구가 암놈부 파일연결구로 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dge spring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cylindrical connection of the male and female file connectors and the male and female file connectors, but is opened by elasticity when the male file connector is inserted. When the file connector is caught in the locking jaw and the male file connector is ac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the one side of the wedge spring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and acts as a wedge, so that the male file connector is separated from the female file connector.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configured so as not to b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쐐기스프링은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dge sp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has a triangular shap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외측면에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내측면에도 걸림턱을 형성하되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과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 사이에 개재되는 쐐기스프링에 의해 숫놈부 파일연결구와 암놈부 파일연결구 사이에서 쐐기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속하면서도 편리한 파일간 연결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the above-describ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jaw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le file connector, and a locking jaw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emale file connector, but the locking jaw of the male fil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female file connector.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enables fast and convenient file-to-file connection by making a solid connection by making a wedge action between the male file connector and the female file connector by a wedge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locking jaws.
도 1은 종래 파일연결구의 참고도.
도 2는 종래 파일연결구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참고 단면도.
도 8은 파일연결구에 의해 파일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파일연결구가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으로써, (가)도는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이 쐐기스프링을 막 밀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나)도는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이 쐐기스프링을 완전히 밀쳐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다)도는 결합 후 쐐기스프링이 걸림턱에 걸려 숫놈부 파일연결구가 암놈부 파일연결구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1 is a reference diagram of a conventional file connector.
Figure 2 is a 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conventional file connector.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Fig.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le connector and the file.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file connector and the file.
8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les are combined by a file connector.
Figure 9 is a view illustrating the process in which the fil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in order, (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jaw of the male file connector is just starting to push the wedge spring, and (B) is the male part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locking jaw of the file connector completely pushes the wedge spring, and (C)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male file connector is firmly coupled to the female file connector after engaging. drawi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only to refer to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addition, the singular forms used herein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herein, the meaning of “comprising” embodies certain properties, regions, integers, steps, actions, elements, and/or components, and other specific properties, regions, integers, steps, actions, elements, components, and/or groups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Although not defined differently,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thos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dictionary-defined terms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related technical documents and currently disclosed contents, and are not interpreted as ideal or official meanings unless defined.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erspective views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s are expected, for example variations in manufacturing methods and/or specifications.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form by manufacturing. For example, areas depicted or described as flat may have properties that are generally rough/rough and nonlinear. Also, portions shown as having sharp angles can be rounded. Therefore, the reg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approximate in nature, and their shapes are not intended to show the exact shapes of the regions, and are not intended to narro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weldless type concrete pi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파일연결구와 파일의 결합상태를 보인 참고 단면도이고, 도 8은 파일연결구에 의해 파일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파일연결구가 결합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 도면으로써, (가)도는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이 쐐기스프링을 막 밀치기 시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나)도는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이 쐐기스프링을 완전히 밀쳐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다)도는 결합 후 쐐기스프링이 걸림턱에 걸려 숫놈부 파일연결구가 암놈부 파일연결구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state of Figure 3,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file connector and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a fil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le, FIG.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le is coupled by a file connector, and FIG. 9 is a sequence of processes in which the fil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As a drawing, (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jaw of the male file connector is just starting to push the wedge spring, and (B)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where the locking jaw of the male file connector is completely pushing the wedge spring. One figure, (C)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le wedge spring is firmly coupled to the female file connector after the wedge spring is caught on the engaging jaw.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First, it should be noted that, among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100)는 연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파일(A) 두개를 서로 맞대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A)을 편의상 위에서 연결되는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아래에서 연결되는 하부 콘크리트 파일로 구분하기로 한다.The
이때 본 발명 파일 연결구(100)는 두개의 콘크리트 파일(A)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즉 상부 콘크리트 파일과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숫놈부 또는 암놈부 형태의 파일연결구(110,120)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present
상기 파일연결구 중 숫놈부 파일연결구(110)는 볼트머리(111)와 상기 볼트머리(111) 상단에 돌출되는 파일결합부(110a)와 상기 볼트머리(111) 하단에 돌출되되 외측면에 걸림턱(112a)을 구비하는 삽입형 연결부(112)로 이루어진다.Among the file connector, the
이때 볼트머리(111)는 숫놈부 파일연결구(110)를 파일(A)에 연결할 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몽키와 같은 공구에 의해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파일결합부(110a)를 파일(A)에 형성된 너트(B)에 나사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파일결합부(110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때 파일결합부(110a)는 파일(A)에 나사결합이 아닌 용접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상기 암놈부 파일연결구(120)는 볼트머리(121)와 상기 볼트머리(121) 하단에 돌출되는 파일결합부(120a)와 상기 볼트머리(121) 상단에 돌출되되 내측면에 걸림턱(122a)을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부(122)로 이루어진다.The female
이때 볼트머리(121) 역시 암놈부 파일연결구(120)를 파일(A)에 연결할 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역시 상기 파일결합부(120a)의 외주면에도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파일결합부(120a)도 파일(A)에 나사결합이 아닌 용접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걸림턱(112a)과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의 걸림턱(122a) 사이에는 쐐기스프링(130)이 개재되어 숫놈부 파일연결구(110)가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에 결합되었을 때 쐐기스프링(130)이 쐐기작용을 하여 이들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않다.Therefore, a
이때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삽입형 연결부(112)는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의 원통형 연결부(1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의 원통형 연결구(122) 내측 직경은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삽입형 연결부(112)의 외측 직경보다 좀 더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외측면에는 걸림턱(112a)이 형성되되 삽입, 즉 진행방향을 향해 경사진 상태이다.A locking
상기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의 원통형 연결구(121)는 내측면에 걸림턱(122a)이 형성되는데, 이는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걸림턱(112a)과 대응되는 구조이다. The
상기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의 걸림턱(122a)에는 경사면(122b)과 오목홈(122c)이 구비되는데, 상기 오목홈(122c)은 쐐기스프링(130)이 개재되어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이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에 결합되었을 때 쐐기스프링(130)의 쐐기작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이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으로 부터 쉬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쐐기스프링(130)은 코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의 걸림턱(122a)와 동일한 패턴의 나선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한다The locking
또한 상기 오목홈(122c)은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이 진입될 때 쐐기스프링(130)의 벌어질 공간을 확보해주기 위한 것으로,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걸림턱(112a)이 쐐기스프링(130)을 타고 넘을 때 상기 쐐기스프링(130)은 탄성에 의해 벌어지면서 암놈부 파일연결구(120) 걸림턱(122a)의 오목홈(122c)으로 끼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cave groove (122c) is to secure a space to open the
만일 상기 오목홈(122c)와 같은 공간이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의 걸림턱(122a)에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쐐기스프링(130)이 벌어질 공간이 없어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이 진입될 수 없게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If a space such as the
이처럼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걸림턱(112a)의 진입에 따른 탄성에 의해 벌어졌던 쐐기스프링(130)은 다시 직경이 좁아지면서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걸림턱(112a)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따라서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을 뺄려고 하면, 즉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걸림턱(112a)에 걸려있던 쐐기스프링(130)이 따라 올라오게 되는데 이때 쐐기스프링(130)이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의 걸림턱(122a) 경사면(122b) 끝단부에 걸리면서 더이상 빠질 수 없게 된다. 즉 쐐기스프링(130)이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와 암놈부 파일연결구(120) 사이에서 쐐기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rying to pull out the
이처럼 쐐기스프링(130)은 쐐기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단면이 삼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s such,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은 상부 콘크리트 파일와 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파일연결구(110,120)를 서로 맞물리게, 즉 상부 콘크리트 파일의 파일연결구를하부 콘크리트 파일의 파일연결구에 삽입만 하면 곧바로 결합되어 연결의 편리함과 신속함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structure is coupled to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pile connector of the lower concrete pile (110,120) to each other, that is, simply inserting the pile connector of the upper concrete pile into the pile connector of the lower concrete pile, it is combined immediately and convenient and quick connection You can plan to do 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의 삽입형 연결구(112)와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의 원통형 연결구(112,122) 끝단에 안내면(110a,120a)을 형성하여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에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안내면(110a,120a)에 의해 서로 안내되어 보다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guide surface (110a,120a) at the ends of the cylindrical connector (112,122) of the male connector (112) of the male
이처럼 본 발명은 서로 연결하고자 하는 파일(A)의 양단에 다수개의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와 암놈부 파일연결구(120)이 각각 결합된 상태이고, 이들 숫놈부 파일연결구(110)와 암놈부 파일연결구(120)만 서로 결합시키면 파일(A)이 결합되는 구조인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described below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equivalent claims.
100: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
110: 숫놈부 파일연결구 110a: 안내면
112: 삽입형 연결구 112a: 걸림턱 120: 암놈부 파일연결구 120a: 안내면
122: 원통형 연결구 122a: 걸림턱
122b: 경사면 122c: 오목홈
A: 콘크리트 파일 B: 너트
C: 강선 100: concrete pile connector
110: Male
112:
122:
122b:
A: Concrete pile B: Nut
C: Steel wire
Claims (4)
상기 파일연결구 중 숫놈부 파일연결구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 상단에 돌출되는 파일결합부와 상기 볼트머리 하단에 돌출되되 외측면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삽입형 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암놈부 파일연결구는 볼트머리와 상기 볼트머리 하단에 돌출되는 파일결합부와 상기 볼트머리 상단에 돌출되되 내측면에 걸림턱을 구비하는 원통형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과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 사이에는 쐐기스프링이 개재되어 숫놈부 파일연결구가 암놈부 파일연결구에 결합되었을 때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에 오목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쐐기스프링은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삽입형 연결부와 암놈부 파일연결구의 원통형 연결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되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삽입시에 탄성에 의해 벌어졌다가 숫놈부 파일연결구의 걸림턱에 걸리게 되고 숫놈부 파일연결구가 삽입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면 쐐기스프링의 일측면이 경사면에 밀착되면서 쐐기작용을 하게 되어 숫놈부 파일연결구가 암놈부 파일연결구로 부터 분리될 수 없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타입의 콘크리트 파일 연결구.In the plurality of male or female pile connection port coupled to one end of the upper concrete pile and the lower concrete pile,
Among the file connectors, the male file connector consists of a bolt head, a file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bolt head, and an insertion-type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locking jaw on an outer surface,
The female file connection port consists of a bolt head and a file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lt head and a cylindrical connection portion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bolt head and having a locking jaw on the inner surface.
A concave groove in the locking jaw of the female file connector so that the male file connector is not easily separated when the male fil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female file connector by interposing a wedge spring between the locking jaw of the male file connector and the female file connector. Let it form,
The wedge spring is sli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male-type file connector and the cylindrical connection of the female file connector, but is opened by elasticity when the male file connector is inserted, and then is caught by the locking jaw of the male file connector. When the force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insertion of the sub-pile connector, one side of the wedge spring adheres to the inclined surface and acts as a wedge, so that the male file connector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female file connector. Welding type concrete pil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The wedge spring is a welded type concrete pi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section is configured to have a triangular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8355A KR102134197B1 (en) | 2017-05-10 | 2017-05-10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8355A KR102134197B1 (en) | 2017-05-10 | 2017-05-10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3944A KR20180123944A (en) | 2018-11-20 |
KR102134197B1 true KR102134197B1 (en) | 2020-07-15 |
Family
ID=64568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8355A KR102134197B1 (en) | 2017-05-10 | 2017-05-10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41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152447A (en) * | 2021-04-21 | 2021-07-23 | 中建铁路投资建设集团有限公司 | Novel hollow pile connecting componen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99414A (en) * | 2013-02-02 | 2014-08-12 | 장혜란 | re-bar coupler by push and grab |
KR101846820B1 (en) * | 2016-08-29 | 2018-04-09 | (주) 지앤디 | units of piles-joint |
-
2017
- 2017-05-10 KR KR1020170058355A patent/KR102134197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3944A (en) | 2018-1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70054417A (en) | Threaded sleeve for coupling the thr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 |
WO2016197597A1 (en) | Connecting piece for connecting two objects and prefabricated member connected using connecting piece | |
KR200409526Y1 (en) | Threaded sleeve for coupling the threaded deformed reinforcing bars | |
WO2015026223A1 (en) | End plate | |
KR101132690B1 (en) | Reinforcing bar coupler | |
KR102134197B1 (en)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
KR101902007B1 (en) | Steel wire coupler and concrete fix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543388B1 (en)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
CN210857199U (en) | Concrete precast pile connecting device and concrete pile foundation | |
KR20170059840A (en) | a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 |
KR20150096554A (en) | coupler for joinning of rebar | |
KR102255423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nnecting plate for a concrete pile | |
KR102144569B1 (en)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
KR101190382B1 (en) | Sliding type reinforcing iron rod connecting device | |
KR200469561Y1 (en) | Scaffolding frame scaffolding poles connected devices | |
CN106759306A (en) | A kind of prestressed concrete prefabricated pile mechanical splice device | |
KR102062152B1 (en) | One-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
KR101199848B1 (en) | Steel Bar With Connecter For Torque Shear Bolt | |
CN206368363U (en) | A kind of prestressed concrete prefabricated pile mechanical splice device | |
JP5597509B2 (en) | Lightning protection connector | |
CN106946134B (en) | A kind of roof pressing type elevator counterweight block casting die | |
KR102110224B1 (en)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connecting plate thereof | |
KR20190027066A (en) |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for hooped reinforcement | |
CN205875134U (en) | Anti tubular pile end plate of dialling | |
KR102687076B1 (en) | Connecting plate of a concrete p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1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627 Effective date: 20200605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