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792B1 - Belt buckle - Google Patents

Belt buck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792B1
KR102133792B1 KR1020190037287A KR20190037287A KR102133792B1 KR 102133792 B1 KR102133792 B1 KR 102133792B1 KR 1020190037287 A KR1020190037287 A KR 1020190037287A KR 20190037287 A KR20190037287 A KR 20190037287A KR 102133792 B1 KR102133792 B1 KR 102133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uckle
fixed
rotating
gu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2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덕상
유경태
Original Assignee
유덕상
유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상, 유경태 filed Critical 유덕상
Priority to KR102019003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6Attachment of buckle to strap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2Buckle with fixed prong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lt buckle which comprises: a guide block fixing a belt with only insertion of the belt without rotating a buckle main body when the belt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uckle main body and allowing the belt to be put out by rotating the buckle main body only when the fixed belt is put out and, at the same time, returning the belt to a position in which the belt can be inserted again; the buckle main body including a rotational fixing part; and a fixing member including a support band. Accordingly, the belt buckle provides an effect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wherein a user can easily and quickly use the belt buckle without complexity and inconvenience.

Description

혁대 버클{Belt buckle} Belt buckle

본 발명은 혁대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버클 본체에 벨트를 삽입하여 고정시 그 버클 본체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벨트 삽입만으로도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된 벨트를 빼낼 경우에만 버클 본체를 회전시켜 빼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벨트를 삽입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 혁대 버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lt buckle, and more specifically, by inserting a belt into the buckle body, so that the buckle body is fixed only by inserting the belt without rotating the buckle body when fixing, and the buckle body is rotated to pull out only when the fixed belt is removed. It relates to a belt buckle that allows it to be brought back to a position where it can be reinserted at the same time as possible.

일반적으로 혁대는 바지가 흘러내지 않도록 착용하는 물품으로, 바지의 고리에 끼워 착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일단에 결합되어 삽입되는 타잔을 고정 및 해제하는 버클로 구성된다. In general, the belt is an article that is worn so that the pants do not flow out, and is composed of a belt that fits on the hook of the pants and wraps the wearer's waist, and a buckle that fixes and releases the tarzan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belt.

벨트를 고정하고 해제하는 방식에는 먼저, 벨트에 동일한 간격으로 각각의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으로 버클에 형성된 고리를 끼워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되는 바, 이 같은 방식은 착용자의 신체 상태, 즉 배가 부른 정도의 차이로 인해 벨트를 고정하고 풀어 줘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As a method of fixing and releasing the belt, first, a method of forming each through hole in the belt at equal intervals and fixing a ring formed in a buckle with the through hole is us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alling, it has the trouble of fixing and releasing the belt.

그에 따라 근래에는 일명 자동벨트, 즉 버클과 함께 벨트의 고정 및 해제가 미세한 폭으로 조절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so-called automatic belt, that is, a one-touch method in which the fixing and releasing of the belt with a buckle can be adjusted to a fine width is mainly used.

통상적인 원터치 방식은 버클 본체의 일단에 일면으로 고정돌기 형성되어 레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축 형태의 회전체와, 벨트의 일면에 상기 회전체의 고정돌기가 맞물려 고정되도록 복수 개의 맞물림홈이 일정구간 형성된다. Conventional one-touch method is a fixed projec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uckle body is provided with a shaft-shaped rotating body rotatably provided by a lever, and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to be fixed by engaging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rotating body on one surface of the belt A certain section is formed.

그러나 이러한 원터치 방식에 있어, 벨트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해 버클 본체에 마련되는 회전체의 레버는 반듯이 그 버클 본체의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게 위치함으로써, 기능은 우수할 수 있으나 버클 본체 디자인에는 상당히 제한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in this one-touch method, the lever of the rotating body provided on the buckle body to fix or release the belt is positioned to protrude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uckle body, so that the function may be excellent, but the buckle body design is considerably limited. It has a disadvantage.

또한, 버클 본체의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는 레버는 착용자의 의복과도 많은 간섭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lever protruding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uckle body ha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interference with the wearer's clothing.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원터치 방식을 적용하되, 회전체에 구비되는 레버 없이 버클 본체를 회전시켜 고정 또는 해제하는 방식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ne-touch method has been conventionally applied, but a technique of fixing or releasing the buckle body by rotating the buckle body without a lever provided on the rotating body has been proposed.

먼저,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4312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버클 주체의 끝에 고정을 위한 조편을 형성하고, 벨트의 일면에 상기 조편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요철을 걸이편이 형성되어 버클 주체 또는 벨트를 움직여 고정하는 의복용 벨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First, as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6-43124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Art Document 1'), a piece for fixing is formed at the end of the buckle body, and the piece is inserted and fixed on one side of the belt. There has been proposed a technique such as a belt for a garment that is formed with a hook piece to form a concavo-convex that can become a buckle body or a belt by moving it.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275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12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구비된 회전체를 본체의외주연과 대응되는 형태의 레버를 회전시켜 벨트를 고정하는 방식의 허리띠용 벨트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provided in the main body as disclosed i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4275 and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57122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art document 2') A technique such as a belt for a belt in which a belt is fixed by rotating a lever corresponding to a peripheral edge has been proposed.

또, 본 출원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351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버클 본체에 회전체를 일체화시켜 그 버클 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벨트로의 고정 또는 해제되는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the belt is rotated by rotating the buckle body by integrating the rotating body into the buckle body as publish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3512 (hereinafter referred to as'prior technical document 3'), in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was previously filed and registered. A technique for fixing or releasing the furnace has also been proposed.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43124호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Hei 6-43124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4275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427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122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5712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3512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0953512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벨트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하여 벨트 또는 버클을 유동성을 크게, 즉 고정을 위한 조편의 높이만큼 벨트 또는 버클을 움직여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However, the prior art document 1 has a disadvantage of in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in that the belt or the buckle must be used by moving the belt or the buckle as much as the height of the piece for fixing, to increase the fluidity of the belt or buckle to fix or release the belt.

선행기술문헌 2 내지 3은 벨트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버클 본체와 대응되는 형태의 레버 또는 버클 본체 전체를 회전시킨 후 벨트를 삽입 또는 인출해야 함으로써, 이 또한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Prior art documents 2 to 3 are required to insert or withdraw the belt after rotating the entire lever body or the lever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buckle body in order to fix or release the belt, which also has a disadvantage of a cumbersome and inconvenient user.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본 출원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선행기술문헌 3을 토대로 개량한 것으로, 버클 본체에 벨트를 삽입하여 고정시 그 버클 본체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벨트 삽입만으로도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된 벨트를 빼낼 경우에만 버클 본체를 회전시켜 빼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벨트를 삽입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 혁대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an improvement based on prior art document 3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belt is rotated when the belt is inserted into the buckle body and fixed. It is to provide a belt buckle that allows the belt body to be rotated and pulled out only when the fixed belt is pulled out, and returns to a position where the belt can be inserted again, while allowing the belt to be fixed without inserting the belt.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과제는 벨트를 고정하는 어떠한 방식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적 구성을 제공한다. Another specific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cal configuration applicable to any method of fixing the bel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적 해결수단은 혁대 버클로서, 버클 본체; 상기 버클 본체의 끝단 양측에 배면 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각 연결 플랜지 사이에 상기 버클 본체의 배면과의 사이로 삽입되는 벨트의 배면을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부; 상기 가이드 블록부상에 삽입되는 벨트에 의해 회전된 후 복귀하면서 그 벨트를 고정하는 회전 고정구; 선단 양측에 상기 가이드 블록부의 양측 각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감싸지도록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배면에 회전되면서 맞물림편에 의해 벨트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버클 본체의 배면과 가이드 블록부 사이로 삽입되는 벨트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 밴드;를 포함한다. Specific technical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belt buckle, the buckle body; A guide block portion for guiding while supporting a rear surface of a belt insert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buckle body between each connecting flange formed integrally extending toward the rear surface at both ends of the buckle body; A rotating fixture that rotates by the belt inserted on the guide block portion and then secures the belt while returning; A fixing member formed on each side of the front end so as to be rotatably wrapped on each side on each side of the guide block, and fixed to the end of the belt by an engaging piece while being rotated on the rear surface; And support band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to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belt insert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buckle body and the guide block.

상기 버클 본체는 플레이트 형태 또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다. The buckle body is either formed in a plate shape or a ring shape.

상기 버클 본체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 고정구는 가이드 블록부에 형성되는 홈부에서 일단에 형성된 축이 축 결합되고 타단은 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회전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핀 결합되는 부분에는 그 회전 고정구의 회전과 복귀되도록 비틀림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몸체 상에 벨트의 배면에 형성되는 요철 형태의 복수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이나 상기 회전 몸체 상에 벨트의 배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복수의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스토퍼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상에 벨트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삽입 고리 가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다.
The buckle body is any one of a flat or curved surface.
The rotating fixture includes a rotating body in which a shaft formed at one end is axially coupled to a groove formed in a guide block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the other end to be pin-coupled, and the pin-coupled portion is rotated and returned to the rotating fixture. Further comprising a torsion spring is interposed, the fixed piece is formed to be fix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grooves of the uneven shap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elt on the rotating body or fixedly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elt on the rotating body It is either one of a plurality of stopper protrusions formed to be fixed and an insertion ring formed to be inserted and fixed by a through hole formed in a belt on the rotating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가이드 블록부와 고정부재 사이에는 버클 본체를 전방 측으로 회전시켜 벨트에 고정된 회전 고정구의 고정을 해제시켜 벨트가 인출된 후 다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부의 홈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복귀 비틀림 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복귀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회전 고정구에 형성된 절개홈을 통과하여 가이드 블록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Between the guide block portion and the fixing member, the buckle body is rotated to the front side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rotating fixture fixed to the belt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of the guide block portion so that it can be returned after the belt is withdrawn. It is provided with a return torsion spring, one end of the return torsion spring passes through the incision groove formed in the rotating fixture and is fixed to the guide block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상기 각 연결 플랜지의 끝단에는 버클 본체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회전 고정구의 고정을 해제 후 복귀시 후방 측으로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한 턱을 형성하되, 상기 제한 턱은 연결 플랜지의 끝단 하단에 지지 밴드와 맞닿는 수직면이다. At the end of each connection flange, the buckle body is rotated forwar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rotating fixture, and then, upon returning, a limiting jaw is formed to limit the rotation so that no further rotation is made to the rear side. It is a vertical surface that abuts the support band.

본 발명은 버클 본체에 벨트를 삽입하여 고정시 그 버클 본체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벨트 삽입만으로도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된 벨트를 빼낼 경우에만 버클 본체를 회전시켜 빼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벨트를 삽입할 수 있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혁대 버클을 사용함에 있어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의 편리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elt to be pulled out by rotating the buckle body only when the fixed belt is pulled out, as well as allowing the belt to be fixed without inserting the belt without rotating the buckle body when the belt is inserted into the buckle body. By returning to a position that can be, it has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use that can be used quickly and conveniently without the hassle or inconvenience of using the belt buckle for the wearer.

또한, 벨트를 고정하는 어떠한 방식에도 적용 가능한 기술적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technical configuration that can be applied to any method of fixing the belt, it also provides convenience that can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the method for fixing the bel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배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 사시도,
1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배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mbined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혁대는 착용자의 바지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벨트와 버클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conventional belt is made of a belt and a buckle to prevent the wearer's pants from flowing down.

최근에는 버클과 함께 벨트의 고정 및 해제가 미세한 폭으로 조절할 수 있는, 즉 일명 자동버클인 원터치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Recently, it is mainly used to apply a one-touch method, that is, an automatic buckle, in which a belt can be fixed and released in a fine width with a buckle.

통상적인 원터치 방식은 버클 본체의 일단에 일면으로 고정돌기 형성되어 레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축 형태의 회전체와, 벨트의 일면에 상기 회전체의 고정돌기가 맞물려 고정되도록 복수 개의 맞물림홈이 일정구간 형성된다. Conventional one-touch method is a fixed projection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uckle body is provided with a shaft-shaped rotating body rotatably provided by a lever, and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to be fixed by engaging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rotating body on one surface of the belt A certain section is formed.

그러나 이러한 원터치 방식에 있어, 벨트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해 버클 본체에 마련되는 회전체의 레버는 반듯이 그 버클 본체의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게 위치함으로써, 기능은 우수할 수 있으나 버클 본체 디자인에는 상당히 제한시키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in this one-touch method, the lever of the rotating body provided on the buckle body to fix or release the belt is positioned to protrude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uckle body, so that the function may be excellent, but the buckle body design is considerably limited. It has a disadvantage.

또한, 버클 본체의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는 레버는 착용자의 의복과도 많은 간섭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lever protruding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uckle body ha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interference with the wearer's cloth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도 레버가 버클 본체의 상부나 하부로 돌출되지 않는 원터치 방식을 적용하되, 회전체에 구비되는 레버 없이 버클 본체를 회전시켜 고정 또는 해제하는 방식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of applying a one-touch method in which the lever does not protrude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buckle body has been conventionally proposed, but a technique of fixing or releasing the buckle body by rotating the buckle body without a lever provided on the rotating body has been proposed.

허 나, 이 또한 벨트를 고정 또는 해제하기 위해서는 반듯이 버클 본체와 대응되는 형태의 레버 또는 버클 본체 전체를 회전시킨 후 벨트를 삽입 또는 인출해야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However, in order to fix or release the belt, it is necessary to insert or withdraw the belt after rotating the entire lever body or the lever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buckle body, which causes a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user.

본 발명은 버클 본체에 벨트를 삽입하여 고정시 그 버클 본체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벨트 삽입만으로도 고정되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된 벨트를 빼낼 경우에만 버클 본체를 회전시켜 빼낼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belt to be pulled out by rotating the buckle body only when the belt is inserted, as well as allowing the belt to be fixed by inserting the belt without rotating the buckle body when the belt is inserted into the buckle body.

본 발명에 따른 혁대 버클은 원하는 다양한 형태나 모양으로의 제작이나 공지된 부착 또는 인쇄 방식 등에 의한 장식 등을 표현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로고나 문구 등을 표시할 수 있는 버클 본체(10)를 포함한다. The belt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ckle body 10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logos or phrases, as well as expressing a production in various shapes and shapes desired or decoration by a known attachment or printing method.

여기서, 상기 버클 본체(10)는 통상적인 플레이트 형태 또는 링 형태(도 5 참조)로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버클 본체(10)는 평면 또는 착용되는 지점과 거부감 없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buckle body 10 is one of those formed in a conventional plate shape or a ring shape (see FIG. 5), and the buckle body 10 can be formed in a flat or curved surface so as not to be repelled with a worn point. have.

다시 말해서, 플레이트 형태의 버클 본체는 다양한 장식이나 문구, 로고 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링 형태의 버클 본체는 가공이 쉬우면서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In other words, the plate-shaped buckle bod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reely express various decorations, stationery, logos, etc., and the ring-shaped buckle body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process and easy to manufacture in various forms.

또한, 상기 버클 본체(10)의 끝단 양측에 배면 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각 연결 플랜지(12) 사이에 상기 버클 본체(10)의 배면과의 사이로 삽입되는 벨트(B)의 배면을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가이드 블록부(20)와, 상기 가이드 블록부(20)상에 삽입되는 벨트(B)에 의해 회전된 후 복귀하면서 그 벨트(B)를 고정하는 회전 고정구(3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back side of the belt (B) insert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buckle body (10) between each connection flange (12) formed integrally extending toward the back side on both ends of the buckle body (10) is supported. It includes a guide block portion 20 to guide while rotating, and a rotating fixture 30 for fixing the belt B while returning after being rotated by a belt B inserted on the guide block portion 20.

상기에서, 가이드 블록부(20)는 연결 플랜지(12) 사이에 벨트(B)의 배면을 지지하는 블록 형태(22)와, 그 블록 형태(22)의 양 측면과 연결 플랜지(12) 사이에 연결되면서 후술하는 고정부재의 연결고리가 연결 고정되는 각각의 축부(24)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공지된 조립방식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In the above, the guide block portion 20 is between the connection flange 12, the block form 22 for supporting the back surface of the belt B, and between both sides of the block form 22 and the connection flange 12 Each shaft portion 24 to which the connecting ring of the fixing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and fixed while being connected is integrally formed or fixed by a known assembly method.

상기에서, 회전 고정구(30)는 가이드 블록부(20)에 형성되는, 즉 블록 형태(22)에 형성되는 홈부(22A)에 일단이 축 결합되고 타단은 핀 결합되되, 상기 핀 결합되는 부분에는 그 회전 고정구(30)의 회전과 복귀되도록 비틀림 스프링(31)이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핀에 감싸져 일단은 가이드 블록부에 타단은 회전 고정구에 지지되어 회전 고정구의 회전과 복귀되도록 한다. In the above, the rotary fixture 30 is formed in the guide block portion 20, that is, one end is axially coupled to the groove portion 22A formed in the block form 22, and the other end is pin-coupled, and the pin-coupled portion is The torsion spring 31 is further interposed to rotate and return the rotation fixture 30. That is, the torsion spring is wrapped in a pin so that one end is supported by a rotating fixture at one end of the guide block so that the rotation and rotation of the rotating fixture are restored.

그에 따라 버클 본체를 회전하지 않고도 벨트를 삽입함에 따라 그 벨트의 가압에 의해 회전 고정구가 회전되어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이고, 삽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회전 고정구는 다시 복귀되면서 벨트를 고정하게 된다. Accordingly, as the belt is inserted without rotating the buckle body, the rotating fixture is rotated and inserted smoothly by the pressure of the belt, and when the insertion is completed, the rotating fixture is returned again to fix the belt.

그로 인해 종래 선행기술문헌들과 같이 버클 본체로 벨트 삽입에 따른 버클 본체를 회전시킬 필요없이 간단하면서 편리하게 벨트를 삽입시켜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For this reason, as in the prior art documents,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conveniently insert a belt and quickly fix it without having to rotate the buckle body according to the belt insertion into the buckle body.

그리고 상기에서 상기 회전 고정구(30)는 가이드 블록부(20)에 형성되는 홈부(22A)에서 일단에 형성된 축(32A)이 축 결합되고 타단은 핀(33)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회전 몸체(32)를 포함하되, 상기 핀 결합되는 부분에는 그 회전 고정구(30)의 회전과 복귀되도록 비틀림 스프링(31)이 개재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 몸체(32) 상에 벨트(B)의 배면에 형성되는 요철 형태의 복수 홈(B1)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3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은 회전 몸체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로 제작하여 공지된 방식에 의해 회전 몸체와 결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In the above, the rotating fixture 30 is a rotating body in which a coupling groove in which a shaft 32A formed at one end is axially coupled and a pin 33 is coupled at the groove portion 22A formed in the guide block portion 20 is formed. Including the (32), the torsional spring 31 is interposed in the pin-engaged portion so as to return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fixture 30.
In addition, a fixing piece 34 is formed on the rotating body 32 to be fix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rooves B1 in the uneven shap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elt B. The fixing piec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ting body, as well as manufactured separately and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rotating body by a known method.

그로 인해 벨트가 삽입될 때는 회전 고정구의 회전 몸체와 고정편이 회전되어 원활하게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복귀되면서 고정편이 벨트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refore, when the belt is inserted, the rotating body and the fixed piece of the rotating fixture are rotated and inserted smoothly, and after insertion, the fixed piece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belt to maintain a fixed state.

또한, 상기 회전 고정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몸체(32) 상에 벨트(B)의 배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복수의 스토퍼 돌기(35A)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 몸체(32)에 통상적인 끼움 방식, 슬라이딩 방식 또는 핀 고정방식 등에 의해 고정되는 스토퍼 몸체(35)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stopper protrusions 35A are formed on the rotating body 32 so as to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belt B on the rotating body 32 as shown in FIG. 4. It can be formed of a stopper body 35 fixed by a conventional fitting method, a sliding method or a pin fixing method.

다시 말해서, 상기 스토퍼 몸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스토퍼 돌기는 벨트의 배면에 홈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그 배면에 복수의 스토퍼 돌기가 맞물어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스토퍼 몸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몸체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스토퍼 돌기가 형성된 반대 측에 가이드 블록부에 고정되는 상기 회전 몸체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가이드 블록부에 직접 조립하여도 무방하다. In other words, when a plurality of stopper protrusions formed on the stopper body are not formed with grooves on the back surface of the belt, the plurality of stopper protrusions are structured to engage and fix the plurality of stopper protrusions on the back surface. At this time, the stopper body may be fixed to the rotating body as shown, and of course, the stopper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rotating body fixed to the guide block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stopper protrusion is formed and assembled directly to the guide block portion. It is also okay.

이러한, 도 4의 제2 실시 예는 벨트에 별도의 복수의 홈이 형성되지 않는 타입의 벨트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4 is to apply to a belt of a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separate grooves are not formed in the belt.

또, 상기 회전 고정구(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몸체(32) 상에 벨트(B)에 형성되는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통상적인 관통공(B2)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삽입 고리(36)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otary fixture 30 is inserted to be fixed to be inserted into a conventional through-hole (B2) formed at the same interval formed in the belt (B) on the rotating body 32, as shown in FIG. It may include a ring (36).

상기에서, 회전 고정구인 회전 몸체에 삽입 고리가 적용될 때에는 버클 본체는 플레이트 형태가 아니라 링 형태로 형성된 것을 적용한다. In the above, when the insertion ring is applied to the rotating body which is a rotating fixture, the buckle body is applied in a ring shape, not a plate shape.

이러한 도 5의 제3 실시 예 또한 동일 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벨트에 적용되는 실시 예이다. The third embodiment of FIG. 5 is also an embodiment applied to a belt having through holes formed at equal intervals.

그리고 선단 양측에 상기 가이드 블록부(20)의 양측 각 축부(24)에 회전 가능하게 감싸지도록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고리(42)가 형성되며 배면에 회전되면서 맞물림편(44)에 의해 벨트(B)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40) 및 상기 고정부재(40)의 양 측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버클 본체(10)의 배면과 가이드 블록부(20) 사이로 삽입되는 벨트(B)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 밴드(50);를 포함한다. And each connecting ring 42 is formed to be rotatably wrapped on each side of each shaft portion 24 of the guide block portion 20 at both ends of the guide block. )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40 to which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is fixed and the fixing member 40 to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belt B insert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buckle body 10 and the guide block 20. It includes; support band 50 to.

상기한 고정부재(40)는 본 출원의 선 등록권리인 선행기술문헌 3과 대응소유하며, 다만 지지 밴드가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만 상이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above-described fixing member 40 is owned by the prior art document 3, which is the pre-registration right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only the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band is assembled by a conventional method is different,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여기서, 상기 가이드 블록부(20)와 고정부재(40) 사이에는 버클 본체(10)를 전방 측으로 회전시켜 벨트(B)에 고정된 회전 고정구(30)의 고정을 해제시켜 벨트(B)가 인출된 후 다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부(20)의 홈부(22A)에 형성되는 수용홈(22A-1)으로 삽입되는 복귀 비틀림 스프링(60)을 구비하되, 상기 복귀 비틀림 스프링(60)의 일단은 회전 고정구(30)에 형성된 절개홈(38)을 통과하여 가이드 블록부(20)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부재(40)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Here, between the guide block portion 20 and the fixing member 40, the buckle body 10 is rotated to the front side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rotating fixture 30 fixed to the belt B, and the belt B is pulled out. It is provided with a return torsion spring (6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2A-1)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22A) of the guide block portion 20 so that it can be returned again, but, of the return torsion spring (60) One end passes through the incision groove 38 formed in the rotating fixture 30 and is fixed to the guide block part 2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40.

다시 말해서, 버클 본체로 삽입된 벨트가 회전 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벨트를 버클 본체로 빼내고자 그 버클 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가이드 블록부 상에 구비되는 회전 고정구 또한 회전되면서 벨트의 배면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됨에 따라 벨트를 버클 본체로부터 빼낼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as the belt inserted into the buckle body is fixed by the rotating fixture, the rotating fixture provided on the guide block portion is also rotated and fixed from the back of the belt while rotating the buckle body to pull the belt out of the buckle body. As this is released, the belt can be removed from the buckle body.

이때, 복귀 비틀림 스프링은 버클 본체의 회전되는 반경을 제한함과 아울러 벨트가 빠진 상태에서 다시 버클 본체를 회전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return torsion spring serves to limit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buckle body, and to return the buckle body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again while the belt is removed.

그로 인해 착용자로 하여금 벨트를 버클 본체로부터 빼내고자 할 때에 버클 본체를 전방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회전 고정구의 고정이 해제되어 원활하게 빼낼 수 있음은 물론 다시 버클 본체를 회전되기 전으로 복귀시킴에 따라 착용자로 하여금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erefore, when the wearer wants to remove the belt from the buckle body, as the buckle body is rotated forward, the fixing of the rotating fixture is released and can be smoothly removed, as well as the wearer as the buckle body is returned to before it is rotated. It has a condition that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even more.

한편, 상기 각 연결 플랜지(12)의 끝단에는 버클 본체(1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회전 고정구(30)의 고정을 해제 후 복귀시 후방 측으로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한 턱(12A)을 형성하되, 상기 제한 턱(12A)은 연결 플랜지(12)의 끝단 하단에 지지 밴드(50)와 맞닿는 수직면이다. 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each connection flange 12, the buckle body 10 is rotated forwar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rotating fixture 30, and then, upon returning, the restriction jaw 12A restricts rotation from being made to the rear side. To form, the restriction jaw (12A) is a vertic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nd 50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flange (12).

다시 말해서, 각 연결 플랜지의 끝단을 곡면으로 형성할 경우, 회전 후 해제 비틀림 스프링에 의해 후방 측으로 더 회전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를 제지하여 벨트를 삽입하기 전의 정위치로 버클 본체를 위치시킨다. In other words, if the ends of each connection flange are formed in a curved surface, it can be further rotated to the rear side by a release torsion spring after rotation, so this is restrained to position the buckle body in the correct position before inserting the belt.

그로 인해 사용자로 하여금 벨트를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한 더욱더 편리한 편리성을 제공한다. This provides a more convenient convenience for the user to insert and fasten the belt.

10 : 버클 본체 12 : 연결 플랜지
12A : 제한 턱 20 : 가이드 블록부
22 : 블록 형태 22A : 홈부
22A-1 : 수용홈 24 : 축부
30 : 회전 고정구 31 : 비틀림 스프링
32 : 회전 몸체 32A : 축
32B : 결합 홈 33 : 핀
34 : 고정편 35 : 스토퍼 몸체
35A : 스토퍼 돌기 36 : 삽입 고리
38 : 절개홈 40 : 고정부재
42 : 연결고리 44 : 맞물림편
50 : 지지 밴드 60 : 해제 비틀림 스프링
10: buckle body 12: connecting flange
12A: Limited chin 20: Guide block
22: block type 22A: groove
22A-1: Receiving groove 24: Shaft
30: rotating fixture 31: torsion spring
32: rotating body 32A: shaft
32B: Coupling groove 33: Pin
34: Fixed piece 35: Stopper body
35A: Stopper projection 36: Insert ring
38: incision groove 40: fixing member
42: link 44: interlocking
50: support band 60: release torsion spring

Claims (7)

혁대 버클로서,
버클 본체;
상기 버클 본체의 끝단 양측에 배면 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각 연결 플랜지 사이에 상기 버클 본체의 배면과의 사이로 삽입되는 벨트의 배면을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블록 형태와, 그 블록 형태의 양 측면과 연결 플랜지 사이를 연결하면서 고정부재의 연결고리가 연결 고정되는 각각의 축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방식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가이드 블록부;
상기 가이드 블록부상에 삽입되는 벨트에 의해 회전된 후 복귀하면서 그 벨트를 고정하는 회전 고정구;
선단 양측에 상기 가이드 블록부의 양측 각 축부에 회전 가능하게 감싸지도록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고리가 형성되며 배면에 회전되면서 맞물림편에 의해 벨트의 끝단이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면으로 결합되어 상기 버클 본체의 배면과 가이드 블록부 사이로 삽입되는 벨트의 전면을 지지하는 지지 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 고정구는 가이드 블록부에 형성되는 홈부에서 일단에 형성된 축이 축 결합되고 타단은 핀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회전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핀 결합되는 부분에는 그 회전 고정구의 회전과 복귀되도록 비틀림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몸체 상에 벨트의 배면에 형성되는 요철 형태의 복수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편이나 상기 회전 몸체 상에 벨트의 배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복수의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어 고정되는 스토퍼 몸체 또는 상기 회전 몸체 상에 벨트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삽입 고리 가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이며,
상기 가이드 블록부와 고정부재 사이에는 버클 본체를 전방 측으로 회전시켜 벨트에 고정된 회전 고정구의 고정을 해제시켜 벨트가 인출된 후 다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부의 홈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으로 삽입되는 복귀 비틀림 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복귀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은 회전 고정구에 형성된 절개홈을 통과하여 가이드 블록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혁대 버클.
As a belt buckle,
Buckle body;
A block shape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back surface of the belt insert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buckle body between each connection flange formed integrally extending toward the back surface at both ends of the buckle body,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block form. A guide block portion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f the shaft portions to which the connection rings of the fixing member are connected and fixed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connection flanges, or is coupled and fixed by an assembly method;
A rotating fixture that rotates by a belt inserted on the guide block portion and then secures the belt while returning;
A fixing member formed on each side of the front end so as to be rotatably wrapped on each side on each side of the guide block, and fixed to the end of the belt by an engaging piece while being rotated on the rear surface; And
It includes a support ban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xing member to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belt inserted between the back surface of the buckle body and the guide block;
The rotating fixture includes a rotating body in which a shaft formed at one end is axially coupled to a groove formed in a guide block portion and a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the other end to be pin-coupled, and the pin-coupled portion is rotated and returned to the rotating fixture. Further comprising a torsion spring is interposed, the fixed piece is formed to be fix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grooves of the uneven shap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elt on the rotating body or fixedly fix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belt on the rotating body It is one of a plurality of stopper protrusions are formed so as to be fixed to the stopper body or the insertion ring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belt on the rotating body,
Between the guide block portion and the fixing member, the buckle body is rotated to the front side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rotating fixture fixed to the belt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of the guide block portion so that it can be returned after the belt is withdrawn. A belt buckle comprising a return torsional spring, wherein one end of the return torsional spring passes through an incision groove formed in a rotating fixture and is fixed to the guide block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제1항에 있어,
상기 버클 본체는 플레이트 형태 또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인 혁대 버클.
According to claim 1,
The buckle body is a belt buckle, which is any one of a plate shape or a ring shape.
제2항에 있어,
상기 버클 본체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인 혁대 버클.
According to claim 2,
The buckle body is a belt buckle that is any one of a flat or curved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
상기 각 연결 플랜지의 끝단에는 버클 본체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회전 고정구의 고정을 해제 후 복귀시 후방 측으로 더 이상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한 턱을 형성하되, 상기 제한 턱은 연결 플랜지의 끝단 하단에 지지 밴드와 맞닿는 수직면인 혁대 버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the end of each connection flange, the buckle body is rotated forward to release the fixation of the rotating fixture, and then, upon returning, a limiting jaw is formed to limit the rotation so that no further rotation is made to the rear side. A belt buckle that is a vertical surface that abuts the support band.
KR1020190037287A 2019-03-29 2019-03-29 Belt buckle KR102133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287A KR102133792B1 (en) 2019-03-29 2019-03-29 Belt buck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287A KR102133792B1 (en) 2019-03-29 2019-03-29 Belt buck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792B1 true KR102133792B1 (en) 2020-07-21

Family

ID=7183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287A KR102133792B1 (en) 2019-03-29 2019-03-29 Belt buck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92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003U (en) * 1980-02-29 1981-09-29
JPS6013009U (en) * 1983-07-08 1985-01-29 小川金属工業有限会社 Batsukuru
JPH0643124A (en) 1992-07-22 1994-02-18 Seiko Instr Inc Foreign matter analysis
KR200234224Y1 (en) * 1998-10-15 2001-10-25 윤성연 Belt buckle
KR100953512B1 (en) 2009-07-01 2010-04-21 유덕상 The buckle of waist belt
KR20110004275U (en) 2009-10-23 2011-04-29 유성호 Buckle for belt
KR20110010896U (en) * 2010-05-17 2011-11-23 유성호 Buckle for belt
KR200457122Y1 (en) 2010-03-05 2011-12-06 유성호 Buckle for bel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8003U (en) * 1980-02-29 1981-09-29
JPS6013009U (en) * 1983-07-08 1985-01-29 小川金属工業有限会社 Batsukuru
JPH0643124A (en) 1992-07-22 1994-02-18 Seiko Instr Inc Foreign matter analysis
KR200234224Y1 (en) * 1998-10-15 2001-10-25 윤성연 Belt buckle
KR100953512B1 (en) 2009-07-01 2010-04-21 유덕상 The buckle of waist belt
KR20110004275U (en) 2009-10-23 2011-04-29 유성호 Buckle for belt
KR200457122Y1 (en) 2010-03-05 2011-12-06 유성호 Buckle for belt
KR20110010896U (en) * 2010-05-17 2011-11-23 유성호 Buckle for be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750B2 (en) Detachable and rotatable clip
AU2002218131B2 (en) Strap for a full respirator mask
KR101550223B1 (en) Waist belt
US2766500A (en) Spectacle suspender clamp
CN109938443B (en) Goggles with replaceable buckle
US11340655B2 (en) Electronic device
CN113475825B (en) Belt structure and wrist-wearing device
KR102133792B1 (en) Belt buckle
US10973269B2 (en) Belt, buckle coupled with a strap to form the belt and strap coupled with the buckle to form the belt
WO2002025354A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eyeglasses while being worn
JP2008167789A (en) Ornament
US4198732A (en) Adjustable clasp construction for bracelets and the like
US11439212B2 (en) Easy attach back for pierced ear type earrings
KR101557827B1 (en) Detachable button assembly
CN210929917U (en) Button on baby clothes
KR20110004275U (en) Buckle for belt
WO2019019771A1 (en) Belt
JP6432011B1 (en) Fastener with adjustable length of jewelry
JP2005152350A (en) Clasp
JP3241497U (en) clip on earrings
CN112741405B (en) Watch assembly and intelligent watch
CN209915166U (en) Belt fastener and belt with same
JP3028114U (en) Ring
KR200170112Y1 (en) A shoulder band coupling for brassiere
KR200363956Y1 (en) Buckle for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