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720B1 -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720B1
KR102133720B1 KR1020190063253A KR20190063253A KR102133720B1 KR 102133720 B1 KR102133720 B1 KR 102133720B1 KR 1020190063253 A KR1020190063253 A KR 1020190063253A KR 20190063253 A KR20190063253 A KR 20190063253A KR 102133720 B1 KR102133720 B1 KR 102133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x
cable
belt
connec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재
Original Assignee
이명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재 filed Critical 이명재
Priority to KR1020190063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5Details of the rope or band, e.g. shape or colour co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탄성력이 상이한 라텍스 케이블을 사용자의 체격조건에 맞게 교환하여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격 및 체력에 맞게 탄성력을 최적화할 수 있어 근력을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강화 합성섬유로 직조되며, 고정된 구조물에 밴딩된 2개의 벨트(130), 벨트(13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위치를 설정하는 2개의 제1버클(140), 벨트(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2개의 제2버클(240), 제1버클(140)에 결합된 연결벨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2개의 연결링(160), 연결링(160)에 결합되어 연장된 연결벨트에 결합하는 2개의 연결부(150), 사용자가 운동할 때 사용하는 2개의 손잡이(110), 연결부(150)와 손잡이(110)를 연결하며, 탄성력에 의하여 운동의 효과를 가지게 하는 3줄의 라텍스케이블(120) 2개로 이루어지되; 라텍스케이블(120)은, 적색의 제1라텍스케이블(120a)과, 황색의 제2라텍스케이블(120b)과, 청색의 제3라텍스케이블(120c)로 각각 구분되며, 각각의 라텍스케이블은 탄성계수 및 탄성복원력이 상이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a sports apparatus using latex cables}
본 발명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탄성력이 상이한 라텍스 케이블을 사용자의 체격조건에 맞게 교환하여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격 및 체력에 맞게 탄성력을 최적화할 수 있어, 근력을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건강증진과 체력단련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운동방식과 단련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운동기구의 종류로는 지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러닝 머신이나 사이클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기구와, 근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력 운동기구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에서, 근력 운동기구는 중량물이 와이어 또는 프레임에 연결된 구조가 대부분이다. 즉 근력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신체의 특정 부위를 이용하여 중량물에 연결된 와이어 또는 프레임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미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중량물을 간접적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해 근력을 단련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근력 운동기구는 고가이며, 설치면적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헬스장 등이나 별도의 운동을 할 수 있는 시설에 설치되어 가정에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가정에서도 근력운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지만, 이러한 운동기구들은 특정 신체부위를 운동할 수 있는 특화된 구조로, 다양한 운동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가정에서도 다양한 신체부위를 운동할 수 있는 운동기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탄성케이블을 구비한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탄성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소정길이로 늘어날 수 있는 탄성케이블(1), 탄성케이블(1)의 각 말단에 연결된 한 쌍의 손잡이(2), 분리가능하며, 각 단부는 상기 각 손잡이(2)를 수용하고 가이드 하기 위한 U형상의 요크(yoke)(3)를 구비한 기다란 바(4)를 포함하여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탄성케이블을 구비한 운동기구는 탄성케이블(1)이 연결된 손잡이(2)와 바(4)가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탄성케이블(1)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손잡이(2) 또는 바(4) 중 어느 것을 잡고 운동하여도 바(4)로부터 손잡이(2)에 연결된 탄성케이블(1)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안전한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탄성케이블(1)을 따라 이동가능한 걸고리(5)가 구비됨으로써, 걸고리(5)를 도어 등의 홈에 끼워 탄성케이블(1)의 일부가 도어에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2)를 당기는 동작을 통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운동기구는, 탄성케이블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7894호(2015.07.08. 공개)
본 발명은 종래 운동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력이 상이한 라텍스 케이블을 사용자의 체격조건에 맞게 교환하여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체격 및 체력에 맞게 탄성력을 최적화할 수 있어, 근력을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강화 합성섬유로 직조되며, 고정된 구조물에 밴딩된 2개의 벨트, 벨트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위치를 설정하는 2개의 제1버클,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는 2개의 제2버클, 제1버클에 결합된 연결벨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2개의 연결링, 연결링에 결합되어 연장된 연결벨트에 결합하는 2개의 연결부, 사용자가 운동할 때 사용하는 2개의 손잡이, 연결부와 손잡이를 연결하며, 탄성력에 의하여 운동의 효과를 가지게 하는 3줄의 라텍스케이블 2개로 이루어지고, 손잡이는 사용자가 운동할 때 손으로 파지하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연결공이 일측에 타측으로 관통되어 연결벨트가 삽입된 파지부와, 단면이 타원인 원통형 형상이며, 양측에는 관통공이 구비되어, 연결벨트가 결합된 고정부와, 고정부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2고정공과, 제2고정공의 상부에 제2고정공보다 지름이 협소한 제2절개부가 형성된 포켓이 구비되고, 포켓은 3개이고, 포켓의 상측직경은 하측직경 보다 넓게 구비되어, 라텍스케이블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라텍스케이블은, 양측 끝단에 확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에 의하여 확장된 머리부를 가지며, 머리부의 내부에 고형물이 삽입되고, 적색의 제1라텍스케이블과, 황색의 제2라텍스케이블과, 청색의 제3라텍스케이블로 각각 구분되며, 각각의 라텍스케이블은 탄성계수 및 탄성복원력이 상이하고, 파지부는 파지부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통공의 형상이며, 양측 끝단부분의 확개된 형상을 가지는 벤츄리관과, 벤츄리관의 내면으로부터 파지부의 외면을 관통하는 통공형상의 흡입공과, 돌기가 구비되되, 돌기는, 파지부의 외면에 돌출되고, 원주형의 목부와, 목부의 상부면에 목부의 직경보다 큰 머리부가 형성되고, 머리부의 외면에는 소돌기가 돌출되고, 파지부와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벨트에 장력센서를 설치하고, 파지부에 장력표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버클은, 판재의 형상이며, 중앙에 공간을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양측면에 설치된 측벽과, 양 측벽 사이의 일측내벽에 고정되어 연결벨트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봉과, 양 측벽 사이의 타측내벽에 고정되어 벨트를 지지하는 차단판과, 양 측벽 사이 및 고정봉과 차단판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힌지와,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끝단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절곡부가 형성된 상부회전판 및 하부회전판과, 힌지와 상부회전판 및 하부회전판 사이에 결합되며, 상부회전판 및 하부회전판이 벨트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된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는. 육면체의 박스 형상이고, 중앙에는 제1고정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고정공의 지름보다 협소한 제1절개부가 구비되고, 제1고정공의 양측에는 고정슬롯이 관통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파지부에는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고무재질은, 고무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수제인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부, 카본블랙 20 내지 25 중량부, 코발트 1 내지 2 중량부, 퀴논-이민계 산화방지제 3 내지 8 중량부, 이소부틸렌 5 내지 20 중량부, 페놀수지 10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체격 및 체력에 맞게 탄성력을 최적화할 수 있어 근력을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지부의 외면에 부착된 땀 또는 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는 효과 및 사용자의 손과 마찰력을 향상시켜, 파지의 효과를 최대화하면서, 직경에 차이가 있는 목부의 사이로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하는 땀을 효율적으로 증발시키거나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탄성케이블을 구비한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라텍스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제1버클과 연결부의 결합상태도.
도 4는 제1버클의 단면도.
도 5는 제2버클의 사시도.
도 6은 라텍스케이블의 정면도.
도 7은 손잡이의 사시도.
도 8은 고정부의 평면도.
도 9는 연결부의 사시도.
도 10은 고정부와 연결부에 라텍스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파지부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12는 돌기의 확대사시도.
도 13은 손잡이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탄성케이블을 구비한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라텍스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제1버클과 연결부의 결합상태도, 도 4는 제1버클의 단면도, 도 5는 제2버클의 사시도, 도 6은 라텍스케이블의 정면도, 도 7은 손잡이의 사시도, 도 8은 고정부의 평면도, 도 9는 연결부의 사시도, 도 10은 고정부와 연결부에 라텍스케이블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100)는, 손잡이(110), 라텍스케이블(120), 벨트(130), 제1버클(140), 제2버클(240), 연결부(150), 연결링(160)으로 대별된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의 각각의 구성은 2개씩 구비되어 두세트로 형성되며, 라텍스케이블(120)은 3줄로 연결될 수 있다.
벨트(130)는, 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장력을 지탱할 수 있는 강화 합성섬유를 직조하여 제조되며, 상기 벨트를 도어의 상,하 또는 좌,우로 밴딩한다. 상기 벨트는 고정된 구조물이면, 책상 또는 화장실의 수건걸이 등에 밴딩하여 결합할 수있음은 물론이다.
제1버클(140)은, 상기 벨트(130)의 일정부분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제1버클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벨트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으로서,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 측벽(142), 차단판(143), 힌지(144), 토션스프링(145), 고정봉(1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벽(142)은, 판재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2개가 중앙에 일정공간을 형성하면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봉(146)은, 양측벽(142) 사이의 일측내벽에 고정되어 연결벨트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차단판(143)은, 양측벽(142) 사이의 타측내벽에 고정되어 벨트(130)를 지지한다.
상기 힌지(144)는, 양측벽(142) 사이에 고정봉과 차단판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고정되며, 후술하는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은, 힌지(1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끝단에는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차단판(143)에 지지되는 벨트(130)를 압압하여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며, 타측에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파지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145)은, 힌지(144)와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 사이에 결합되어 있어,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을 벨트(13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되어 있으며, 토션스프링은 탄성력을 일정한 방향으로 부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 및 도면의 도시를 생략한다.
이와 같은 제1버클(140)은, 사용자가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을 손가락으로 압압하면,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은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서, 벨트(130)는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의 끝단에 형성된 톱니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결국 제1버클은 벨트(130)의 상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러한 제1버클을 사용자가 운동하기 편리한 위치로 이동시킨 후 손가락으로 압압하는 것을 해제하면,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은 토션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차단판에 지지된 벨트(130)를 압압하게 되는 것이어서, 제1버클(140)을 벨트(130) 상면의 필요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버클(240)은, 벨트(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일정한 공간을 두고 형성된 측편판(242)의 내부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한 고정편(241)에 의하여 벨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배낭, 가방 등에서 벨트 또는 띠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구성이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링(160)은, 제1버클(140)의 고정봉(146)에 결합된 연결벨트의 타단이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링에는 후술하는 연결부(150)를 2개 또는 3개 결합한다.
연결부(150)는. 연결링(160)에 결합된 연결벨트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육면체의 박스 형상을 하고 있고, 중앙에는 원통형의 제1고정공(151)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제1고정공(151)의 지름보다 협소한 제1절개부(152)가 구비되어 있어, 후술하는 라텍스케이블(120)을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제1고정공(151)의 양측에는 고정슬롯(153)이 관통되어 구비되어 있어 연결벨트가 결합된다.(도 3 및 도 9 참조)
라텍스케이블(120)은, 연결부와 손잡이를 연결하며, 탄성력에 의하여 운동의 효과를 가지게 하는 것으로서, 양측 끝단에 확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면에 의하여 확장된 머리부(121)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부의 내부에 고형물(123)이 삽입되어 있어, 연결부(150)의 고정공(151)과 후술하는 손잡이(110)의 포켓(114)에 라텍스케이블(120)을 결합한 후 머리부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는 기능을 가지게 한다.(도 6 참조)
상기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라텍스케이블(120)은, 적색의 제1라텍스케이블(120a), 황색의 제2라텍스케이블(120b), 청색의 제3라텍스케이블(120c)로 각각 구분되며, 각각의 라텍스케이블은 탄성계수 및 탄성복원력이 상이하며, 색깔별로 탄성력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력에 차이가 있는 각각의 라텍스케이블은 사용자가 신체조건에 맞도록 한가지 색상만의 라텍스케이블을 선택하거나, 색깔을 달리하여 복수로 선택함으로서 사용자가 정밀하게 탄성력을 조절하여 운동을 할 수 있다.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운동할 때 파지하는 부분으로, 파지부(111), 고정부(113), 포켓(114)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파지부(111)는, 사용자가 운동할 때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원통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내부에는 연결공(112b)이 일측에 타측으로 관통되어 구비되어 연결벨트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113)는, 단면이 타원인 원통형 형상을 하고 있으며, 양측에는 관통공(112a)이 구비되어 있어, 연결벨트가 관통되어 결합된다.
상기 포켓(114)은, 고정부(113)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이 원형인 제2고정공(114a)과 상부에는 제2고정공(114a)보다 지름이 협소한 제2절개부(114b)가 형성되어 있어, 라텍스케이블(120)을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포켓(114)의 상측직경(D)은 하측직경(d) 보다 넓게 구비되어, 라텍스케이블의 머리부(12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라텍스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의 이용관계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벨트(130)를 도어 등의 고정물에 제2버클(240)을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하여 밴딩한 후, 제1버클(140)을 이용하여 연결벨트의 위치를 특정한다. 연결벨트의 위치가 사용자의 운동에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면, 연결부와 손잡이의 포켓 사이에 필요한 정도의 탄성력을 가지는 라텍스케이블을 늘려서 포켓의 제2절개부 및 연결부의 제1절개부에 삽입하여 결합으로써, 연결하고, 손잡이를 당기는 동작을 반복하여 운동한다.
이러한 라텍스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체격 및 체력에 맞게 탄성력을 최적화할 수 있어 근력을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파지부의 제2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파지부는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써, 운동에 의하여 손에서 땀이나게 되는데 이 땀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파지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파지부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돌기의 확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파지부(210)는, 벤츄리관(211), 흡입공(212), 돌기(213)를 포함하고 있다.
벤츄리관(211)은, 파지부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통공의 형상으로 하고 있으며, 양측 끝단부분의 확개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벤츄리관은 파지부의 전,후 또는 좌,우 또는 상,하를 관통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흡입공(212)은, 상기 벤츄리관의 내면으로부터 파지부(210)의 외면을 관통하는 통공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돌기(213)는, 파지부(210)외면에 돌출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외면에 돌출된 원주형의 목부(213b)와 목부(213b)의 상부면에 목부의 직경보다 큰 머리부(213a)가 구비되어 있으며, 머리부의 외면에는 소돌기(213c)가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지부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파지부를 잡고 운동을 하게되면 파지부가 전,후,좌,우,상,하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이동하게 되고, 파지부가 이동하면, 공기가 벤츄리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렇게 벤츄리관의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에 유속에 의하여 벤츄리관 내부의 압력이 파지부 외면의 공기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이러한 음압에 의하여 파지부의 외면에 부착된 땀 또는 습기가 흡입되어 벤츄리관의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파지부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는 사용자의 손과 마찰력을 향상시켜, 파지의 효과를 최대화하면서, 직경에 차이가 있는 목부의 사이로 공기가 순환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하는 땀을 효과적으로 증발시키거나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돌기의 외면에 형성된 소돌기는 사용자의 손이 땀에 의하여 가려워진 것을 긁어주는 효과와 마찰력을 더욱 향상시켜 파지력을 더욱 더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손잡이의 제2실시예에 관한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사용자가 운동을 할 때, 라텍스케이블의 탄성력을 보다 용이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손잡이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파지부(111)와 고정부(113)를 연결하는 연결벨트에 장력센서(S)를 설치하고, 파지부(111)에 액정상태의 장력표시부(M)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손잡이 당기면 장력센서가 그 힘을 측정하여 장력표시부에 수치로 나타내고, 이 수치를 기준으로 각각의 라텍스케이블을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라텍스케이블의 탄성력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파지부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파지부에는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로 피복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그 고무재질의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재질은 고무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수제인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부, 카본블랙 20 내지 25 중량부, 코발트 1 내지 2 중량부, 퀴논-이민계 산화방지제 3 내지 8 중량부, 이소부틸렌 5 내지 20 중량부, 페놀수지 10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고무조성물은 내구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내구수명을 가지면서, 내열노화성이 향상되고, 고무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노화특성이 우수하여 재료수명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고무재질이 피복된 파지부는 마찰저항력을 향상시켜, 파지부에서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벨트의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벨트(130) 및 연결벨트이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며, 벨트에는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강부재가 내장되어 있는데,
보강부재는 섬유재질이 직조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섬유재질은 아라미드원사 100중량부에 대하여 비닐에스터수지 50~56 중량부 및 그라파이트 2~3 중량부, 소르비톨 5-10중량부, 에폭시수지 7~9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보강부재는 벨트의 내구성, 내마모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100:운동기구 110:손잡이
111,210:파지부 112a:관통공
112b:연결공 113:고정부
114:포켓 120:라텍스케이블
120a:제1라텍스케이블 120b:제2라텍스케이블
120c:제3라텍스케이블 121:머리부 122:경사면 123:고형물
130:벨트 140:제1버클
141a:상부회전편 141b:하부회전편
142:측벽 143:차단판
144:힌지 145:토션스프링
146:고정봉 150:연결부
151:제1고정공 152:제1절개부
153:고정슬롯 160:연결링
211:벤츄리관 212:흡입공
213:돌기 213a:머리부
213b:목부 213c:소돌기
240:제2버클 241:고정편
S:장력센서 M:표시부

Claims (14)

  1. 강화 합성섬유로 직조되며, 고정된 구조물에 밴딩된 2개의 벨트(130),
    벨트(130)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위치를 설정하는 2개의 제1버클(140),
    벨트(130)의 길이를 조절하는 2개의 제2버클(240),
    제1버클(140)에 결합된 연결벨트의 타단에 결합되는 2개의 연결링(160),
    연결링(160)에 결합되어 연장된 연결벨트에 결합하는 2개의 연결부(150),
    사용자가 운동할 때 사용하는 2개의 손잡이(110),
    연결부(150)와 손잡이(110)를 연결하며, 탄성력에 의하여 운동의 효과를 가지게 하는 3줄의 라텍스케이블(120) 2개로 이루어지고,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운동할 때 손으로 파지하는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내부에는 연결공(112b)이 일측에 타측으로 관통되어 연결벨트가 삽입된 파지부와,
    단면이 타원인 원통형 형상이며, 양측에는 관통공(112a)이 구비되어, 연결벨트가 결합된 고정부(113)와,
    고정부(113)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2고정공(114a)과, 제2고정공(114a)의 상부에 제2고정공(114a)보다 지름이 협소한 제2절개부(114b)가 형성된 포켓(114)이 구비되고,
    포켓(114)은 3개이고, 포켓(114)의 상측직경(D)은 하측직경(d) 보다 넓게 구비되어, 라텍스케이블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라텍스케이블(120)은,
    양측 끝단에 확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22)이 형성되고, 경사면에 의하여 확장된 머리부(121)를 가지며, 머리부의 내부에 고형물(123)이 삽입되고,
    적색의 제1라텍스케이블(120a)과, 황색의 제2라텍스케이블(120b)과, 청색의 제3라텍스케이블(120c)로 각각 구분되며, 각각의 라텍스케이블은 탄성계수 및 탄성복원력이 상이하고,
    파지부는,
    파지부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통공의 형상이며, 양측 끝단부분의 확개된 형상을 가지는 벤츄리관(211)과,
    벤츄리관(211)의 내면으로부터 파지부의 외면을 관통하는 통공형상의 흡입공(212)과,
    돌기(213)가 구비되되,
    돌기(213)는,
    파지부의 외면에 돌출되고, 원주형의 목부(213b)와, 목부(213b)의 상부면에 목부의 직경보다 큰 머리부(213a)가 형성되고,
    머리부(213a)의 외면에는 소돌기(213c)가 돌출되고,
    파지부와 고정부(113)를 연결하는 연결벨트에 장력센서(S)를 설치하고, 파지부에 장력표시부(M)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제1버클(140)은,
    판재의 형상이며, 중앙에 공간을 형성되도록 이격되어 양측면에 설치된 측벽(142)과,
    양 측벽(142) 사이의 일측내벽에 고정되어 연결벨트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봉(146)과,
    양 측벽(142) 사이의 타측내벽에 고정되어 벨트(130)를 지지하는 차단판(143)과,
    양 측벽(142) 사이 및 고정봉과 차단판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힌지(144)와,
    힌지(1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 끝단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절곡부가 형성된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과,
    힌지(144)와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 사이에 결합되며, 상부회전판(141a) 및 하부회전판(141b)이 벨트(130)를 누르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부여된 토션스프링(14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150)는.
    육면체의 박스 형상이고, 중앙에는 제1고정공(151)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부에는 제1고정공(151)의 지름보다 협소한 제1절개부(152)가 구비되고, 제1고정공(151)의 양측에는 고정슬롯(153)이 관통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파지부에는 사용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재질이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14. 청구항 제13항에 있어서,
    고무재질은,
    고무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수제인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부, 카본블랙 20 내지 25 중량부, 코발트 1 내지 2 중량부, 퀴논-이민계 산화방지제 3 내지 8 중량부, 이소부틸렌 5 내지 20 중량부, 페놀수지 10 내지 20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무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20190063253A 2019-05-29 2019-05-29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KR10213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53A KR102133720B1 (ko) 2019-05-29 2019-05-29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253A KR102133720B1 (ko) 2019-05-29 2019-05-29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720B1 true KR102133720B1 (ko) 2020-07-15

Family

ID=7160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253A KR102133720B1 (ko) 2019-05-29 2019-05-29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723B1 (ko) * 2020-09-23 2021-05-13 광주도시관리공사 하체 강화 운동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632Y1 (ko) * 2004-09-13 2005-03-16 강정희 줄넘기용 손잡이
US20150133278A1 (en) * 2013-11-08 2015-05-14 Kayo Technology, Inc. Mountable exercise apparatus
KR20150077894A (ko) 2013-12-30 2015-07-08 유석종 탄성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150117618A (ko) * 2014-04-10 2015-10-20 충-푸 창 벨트 당김 운동 장치
CN207575677U (zh) * 2017-11-27 2018-07-06 安徽即刻动身健身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臂力训练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632Y1 (ko) * 2004-09-13 2005-03-16 강정희 줄넘기용 손잡이
US20150133278A1 (en) * 2013-11-08 2015-05-14 Kayo Technology, Inc. Mountable exercise apparatus
KR20150077894A (ko) 2013-12-30 2015-07-08 유석종 탄성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KR20150117618A (ko) * 2014-04-10 2015-10-20 충-푸 창 벨트 당김 운동 장치
CN207575677U (zh) * 2017-11-27 2018-07-06 安徽即刻动身健身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臂力训练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723B1 (ko) * 2020-09-23 2021-05-13 광주도시관리공사 하체 강화 운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9265A (en) Elastic pull-type exerciser
US5746687A (en)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US5234395A (en) Adjustable asymmetric-resistance upper body exerciser
US6315701B1 (en) Portable exercise machine
US6524226B2 (en) Exercise device
US20150182779A1 (en) Cable Attachment Release Mechanism
US20150283420A1 (en)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9254405B1 (en) Variable resistant exercise band, device containing same and exercise method
US4290600A (en) Push-pull physical exercising device
US7086991B2 (en) Rope climbing simulator
US8062193B2 (en) Exercise apparatus
US3462142A (en) Variable friction type exercising device
US10265570B2 (en) Exercise machine with flexible handles
US20100093502A1 (en) Exercise device and method of jump rope exercise using two separate ropes
AU2015101871A4 (en)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20190201732A1 (en) Belt pulling exercise apparatus
US20170144009A1 (en) Resistance Member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an Exercise Apparatus
KR102133720B1 (ko) 라텍스 케이블을 이용한 운동기구
US20170203145A1 (en) Conditioning Rope with Exchange Handle
US7192390B2 (en) Expander type exercise device
US3592467A (en) Stretchable exerciser with detachable auxiliary handgrip
KR20150077894A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US11433269B1 (en) Exercise apparatus
KR200451841Y1 (ko) 다기능 로우프 밴드 운동기구
US7846079B1 (en) Lightweight portable training device to simulate kaya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