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260B1 -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260B1
KR102133260B1 KR1020130070662A KR20130070662A KR102133260B1 KR 102133260 B1 KR102133260 B1 KR 102133260B1 KR 1020130070662 A KR1020130070662 A KR 1020130070662A KR 20130070662 A KR20130070662 A KR 20130070662A KR 102133260 B1 KR102133260 B1 KR 102133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ves
essential oil
jujube
seeds
tu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431A (ko
Inventor
강선철
아닐야답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70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26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61K36/725Ziziphus, e.g. juj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튤립나무 잎으로부터 정유를 분리하는 단계와; 대추씨로부터 정유를 분리한 후 튤립나무 잎 정유와 1:1(v/v)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의 항염증 효과를 실험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으며 본 발명은 강력한 항염증 활성이 있으면서 부작용이 덜한 천연 항염증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leaves of Liriodendron tulipifera and seeds of Ziziphus jujuba}
본 발명은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튤립나무(Liriodendron tulipifera)는 Magnoliaceae군에 속하는 식물로 옐로우 포플러로 알려져 있다. L.tulipifera은 세스퀘테르펜, 아포핀, 알칼로이드 등을 비롯한 피토케이칼이 존재하여 의약계에서 널리 응용된다(Chen, 1978). L.tulipifera의 나무껍질은 네이티브 아메리칸(Native Americans)에 의해 강장제, 흥분제 및 해열제로 사용되었고 마찬가지로 말라리아에 관련된 간헐열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바 있다(Rafinesque, 1928). 최근에 암세포에 대한 리피페로라이드의 및 FPTase의 저해효과가 보고된 바 있으며(Moon, 2007) L. tulipifera 줄기의 항산화 및 항증식성이 Wang에 의해 보고되었다(2011).
한편, 대추(ZiZiphus jujuba)는 피임, 진통 및 항당뇨 등 약리적 특성을 가진 식용열매로서 전통의약에서는 대추씨를 불면증 및 불안해소에 이용하였으며 최근에는 성인병에서 대사 장애 조절을 위한 치료적 식이요법으로 효과적인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L. tulipifera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7557호가 개시되어 있으나 대추씨 유래 정유의 항염증 활성에 관하여, 특히 튤립나무 잎에서 분리한 정유와 대추씨에서 분리한 정유 혼합물의 항염증 활성에 관하여는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튤립나무 잎으로부터 정유를 분리하는 단계와; 대추씨로부터 정유를 분리한 후 튤립나무 잎 정유와 1:1(v/v)로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의 항염증 효과를 실험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강력한 항염증 활성이 있으면서 부작용이 덜한 천연 항염증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한 일반대추씨(ZiZiphus jujuba )(오른쪽) 및 산대추씨(왼쪽)를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에서 분리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 함량은 1 내지 30%(v/v),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v/v)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공시시료
TPA(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및 하이드로코르티존(hydrocortisone)은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St.L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고 다른 모든 시약은 일등급으로 사용하였다.
실험동물
5주령 수컷 Blab/c 은 오리엔트 바이오(Oriend Bio, Busan, Korea)에서 구입하여 폴리프로필렌 우리(우리당 3마리)에 넣어서 표준 실험실 식이와 물을 임의로 공급하였다. 상기 실험동물을 냉난방 장치가 설치된 방에서 12:12 시간 명암주기로 실험 1주일 전부터 사육하였다. 실온(약 23℃) 및 습도(약 60%)는 자동조절되었다.
실시예 :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로부터 정유 분리
튤립나무 잎은 경산시에서 2012년 8월에 수집하여 공기 건조시킨 후 클레벤저(clevenger) 유형의 장치를 이용하여 500g을 갈아서 3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hydrodistillation)하였다. 무수 황산나트륨(Na2SO4)을 이용하여 튤립 원유(crude oil)를 건조시키고 4℃에서 밀봉된 유리병에 담아 추가 실험이 있을 때까지 보존하였다.
클레벤저 유형의 장치로 대추씨 250g을 분쇄하여 3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하였다. 수득한 정유를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고 밀봉한 유리병에 담아 보관하였다.
실험예 : 마우스에서 TPA -유발 염증 분석
실험 전에 튤립나무 잎에서 분리한 정유와 대추씨에서 분리한 정유를 1:1(v/v)로 혼합한 후 올리브유에 용해시켜 10%(v/v)로 제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피부염증을 유발하기 위해 TPA(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를 AOO 시약(아세톤:올리브유=4:1)에 용해시킨 다음 Blab/c 쥐의 귀 내부 및 외부 표피에 10μL를 각각 적용하여 귀 두께와 피부 수분함량을 증가시켰다. 현재 다양한 염증성 피부 질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하이드로코르티존(hydrocortisone)을 양성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0-9mm 범위의 휴대용 두께 측정기로 TPA 처리전과 TPA 처리 4시간 후의 귀 두께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TPA 처리가 귀 두께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킨 반면, 본 발명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혼합정유의 국소처리로 귀 두께의 증가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비처리군(0.24±0.01mm)에 비하여 TPA 단독처리군(0.73±0.02mm)에서 3배 이상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본 발명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혼합정유 처리군(0.30±0.01mm)은 대추씨 정유 단독처리군(0.64±0.02mm)에 비하여 2.5배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054831470-pat00001

Claims (3)

  1. 튤립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잎 및 대추(ZiZiphus jujuba)씨를 각각 분쇄하여 수증기로 증류시켜 수득되는 정유를 1:1(v/v)로 혼합한 것으로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13-아세테이트(TPA)-유도성 피부 염증 억제능을 갖는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의 제조방법.
  2. 튤립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잎 및 대추(ZiZiphus jujuba)씨를 각각 분쇄하여 수증기로 증류시켜 수득되는 정유를 1:1(v/v)로 혼합한 것으로 1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볼-13-아세테이트(TPA)-유도성 피부 염증 억제능을 갖는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증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의 함량은 1 내지 30%(v/v)인 것이 특징인 항염증 조성물.
KR1020130070662A 2013-06-19 2013-06-19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33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662A KR102133260B1 (ko) 2013-06-19 2013-06-19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662A KR102133260B1 (ko) 2013-06-19 2013-06-19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31A KR20140147431A (ko) 2014-12-30
KR102133260B1 true KR102133260B1 (ko) 2020-07-13

Family

ID=52676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662A KR102133260B1 (ko) 2013-06-19 2013-06-19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2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067B1 (ko) * 2009-10-01 2012-06-21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항염 활성과 항미생물성을 갖는 참식나무 정유 추출물 및 그 용도
KR101207557B1 (ko) * 2010-02-05 2012-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8207B1 (ko) * 2011-11-30 2014-10-10 (주)제주사랑농수산 온주 밀감 꽃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Vol. 16, No. 7/8, pp. 627-630, 1988. (Available online 18 January 2003)
Int. J. Mol. Sci. 14(1), 1698-1712, 2013.01.15
석사학위논문, 함상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 산림이용학, 2012.02.28
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샤리프, 생물공학과 2012.02.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431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varaj et al.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algesic effect of Aloe vera leaf extract in rats
Tabassum et al. Effects of leaf extracts of Moringa oleifera on regulation of hypothyroidism and lipid profile
Miladiyah Analges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Manihot esculenta Crantz leaves in mice
Paul et al. Anti-inflammatory and protective properties of Aloe vera leaf crude gel in carrageenan induced acute inflammatory rat models
Kumar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evaluation of analgesic,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eganum harmala Linn., seeds in rodents
Olayemi et al. Anti-inflammatory studies of yam (Dioscorea esculenta) extract on wistar rats
Rivera et al. Bioactive constituents in ethanolic extract leaves and fruit juice of Morinda citrifolia
Vanderlinde et al. Evaluation of the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acetone extract from Anacardium occidentale L
Duru et al. Phytochemical evaluation and health risk assessment of honey from an Apiary in Amizi, Ikuano local government area, Abia State, Nigeria
Purwasih et al. The potency of Binahong leaves (Anredera cordifolia (Ten.) Steenis) to recovery process of wound in the livestock
Arowora et al.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of Datura metel on blood lipid profile of male albino rats
Sachan et al.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stem bark of Spondias mangifera Willd.
Mensah et al.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melina diffusa (Commelinaceae)
KR102133260B1 (ko) 튤립나무 잎 및 대추씨 정유를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Das et al. Evaluation of antinociceptive, anti-inflammatory and anxiolytic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 of Terminalia citrina leaves
Nirupama et al.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on the hypoglycaemic potential of Ashwagandha (Withania somnifera) root
Shrilakshmi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leaf and leaf derived callus extracts of Callicar patomentosa L.: An endemic medicinal plant of Western Ghats, Karnataka, India on carrageenan induced rat paw edema
Okolo et al. Screening for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 and fractions of Morinda lucida stem bark and detection of bioactive secondary metabolite
Ahmed et al. The effect of Eruca sativa alcoholic extract in decreasing the induced toxicity of liver and kidney in mice
Chadzopulu et al. Unique mastic resin from Chios
Choudhury et al. Effects of Psidium guajava aqueous extract on testosterone and serum lipid profile of albino rats
Alshathly et al. Inhibition of Ehrlich ascites carcinoma by Lactuca serriola in Swiss albino mice
Timai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 of Kaempferia rotunda rhizome in rats
Soni et al. EVALUATION OF ANTIULCER, ANTI-INFLAMMATORY & ANALGESIC POTENTIAL OF CUCURBITA PEPO. VAR. FASTIGATA SEED EXTRACTS.
Vahdani et al. Effect of Allium cepa seed extract on serum testosterone in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