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304B1 - Folding baby bidet - Google Patents

Folding baby bid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304B1
KR102132304B1 KR1020200019100A KR20200019100A KR102132304B1 KR 102132304 B1 KR102132304 B1 KR 102132304B1 KR 1020200019100 A KR1020200019100 A KR 1020200019100A KR 20200019100 A KR20200019100 A KR 20200019100A KR 102132304 B1 KR102132304 B1 KR 10213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fant
coupled
backrest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광순
Original Assignee
박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순 filed Critical 박광순
Priority to KR102020001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3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6Auxiliary or portable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infant bidet which includes: a frame which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a toilet seat and in which a wash part including a drain on a lower portion thereof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a backrest par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to be foldable; a back mounting part which is coupled into the backrest part to be vertically movable and on which a back portion of an infant is mounted; and leg mounting parts which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frame on which the wash part is mounted so that the leg mounting parts are horizontally movable and on which leg portions of the infant are mounted inside.

Description

접이식 유아용 비데 {Folding baby bidet}Folding baby bidet {Folding baby bidet}

개시된 내용은, 좌변기 상에 구비되어 사용되는 유아용 비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유아용 비데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content relates to an infant bidet provided on the toilet seat and us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infant bidet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rame.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inclusion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변기는 화장실 내 설치하여 이용자의 용변을 처리하기 위한 위생기구로서, 이용자의 배수 레버 조작에 따라 저수조에 채워진 세척수가 변기 내부로 쏟아지면서 이용자의 용변을 정화조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In general, a toilet is installed in a toilet and is a sanitary mechanism for handling a user's toilet,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discharging the user's toilet to the septic tank while washing water fi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is poured into the toilet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of the drain lever.

이러한 변기는 화장실 바닥에 고정 설치되며 이용자가 앉을 수 있게 좌판이 구비된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공급 가능한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가 구성되어 있다.The toile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toilet, and includes a main body equipped with a seat plate so that a user can sit there, and a reservoir for storing washable water that can be supplied inside the main body.

그러나 통상적인 변기의 대부분은 좌판이 어른의 체형에 맞게 그 규격이 표준화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하며, 변기 사용중 신체의 일부가 변기 안으로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However, most of the common toilet seats are very inconvenient for infants and children to use because the seat plate is standardized and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an adult, and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such as a part of the body falling into the toilet bowl while using the toilet. .

따라서 유아들이 변기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아용 좌판을 일체 또는 별도로 적용할 수 있게 제작하거나 유아전용의 변기를 제작하는 등 다양한 유형의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technology developments have been made, such as manufacturing the infant seat plate so that it can be used seamlessly or separately, or manufacturing the infant-only toilet.

상기와 같은 유아전용 변기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0365호에는 중앙에 배뇨통안착부가 관통 형성된 의자좌판 양측으로 지지측판이 일체 결합되고 등받이판이 위치하는 상기 지지측판의 후측에 변기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상부의자변기와, 상기 상부의자변기가 안착되어 일체 결합되는 받침대상판 중앙에 배뇨통통과부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상판 양측으로는 받침측판이 일체 결합된 하부받침대와, 상기 상부의자변기의 배뇨통안착부와 하부받침대의 배뇨통통과부에 함께 삽입 안착되고 전방 단부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 배뇨통 및 시트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변기이용의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올바린 용변습관을 자연스럽게 길러줄 수 있는 분리되는 의자식 아동변기가 공지되어있다.As a prior art disclosed in relation to the toilet for infants as described above, in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20365, a support side plate is integr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a chair seat plate through which a urination tube seating portion is penetrated in the center, and the back side plate is located. A lower seat with an upper seat and a toilet seat lid hinged to open and close the toilet seat, and a urination passage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seat on which the upper seat is seated and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urine seating part of the upper toilet seat and the urine passage passing part of the lower pedestal and seated together, the front end includes a urine container and a seat cushion formed with a handle protruding. A separate chair-type child toilet that can naturally nurture is known.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42762호에는 엉덩이안착부가 구비되는 좌대를 일체로 형성한 변기몸체를 구성하여 상기 좌대 후방 양측에는 팔걸이받침대를 수직으로 돌출형성하고, 최후단에는 힌지결합부와 등받이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좌대의 힌지결합부에는 팔걸이가 자중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등받이의 하단을 힌지 결합하여 절첩가능하도록 형성하여서, 상기 등받이를 펼칠 시에는 등받이가 등받이받침대에 지지되고 팔걸이가 동시에 펼쳐지면서 팔걸이가 팔걸이받침대에 올려져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며, 등받이를 접을 시에는 팔걸이받침대 상면에 올려진 팔걸이가 동시에 접혀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받침이 해지되고 자중에 의해접혀지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이 매우 편리하면서 보관이 매우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간이변기가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42762 constitutes a toilet body integrally formed with a seat with a hip seating part, vertically protruding armrests on both sides of the seat, and at the rear end, a hinged joint and a backrest. Forming the hinge of the base,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which is coupled so that the armrest is rotatable by its own weight, is hinged and formed to be foldable. When the backrest is opened, the backrest is supported by the backrest and the armrest is supported. At the same time, it is unfolded, so that the armrests are placed on the armrests to keep it horizontal, and when folding the backrest, the armrests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rmrests are folded at the same time and move forward, so that the support is released and folded by its own weight. A simple toilet for an infant is known which is very convenient and very easy to store.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0365호 및 제342762호의 경우에는 양자 모두 휴대성을 갖는 이동식 조립구조를 이루며 유아의 배변을 매번 비운 후 세척하는 과정을 요하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유아 개인용으로는 적합할 수 있으나 여러 유아들이 함께 생활하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등 유아교육시설에의 적용이 곤란하고, 사용상 매번 세척작업으로 관리가 매우 불편하며, 휴대성에 따른 가벼운 소재(예를 들면, 플라스틱 등)를 사용하여 변기의 내구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s No. 320365 and No. 342762, both of them form a portable assembly structure having portability and require a process of emptying and washing the baby's bowel movement every time. It may be suitable, bu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here several infants live together, and it is very inconvenient to manage each washing operation for use, and light materials (for example, plastic) are used due to portabilit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toilet bowl is poor.

또한,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등에 기존 변기형태를 축소하여 고정형의 변기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한 명의 교사가 여러 명의 유아를 관리 지도한다는 특성상 교실과 화장실을 오가며 일일이 상황을 확인해야만 하기 때문에 생활지도와 함께 용변지도를 진행하기 곤란하고 어려우며, 변기를 사용하는 유아의 관리소홀로 인해 안전성이 결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applying a fixed type of toilet by reducing the existing toilet type in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because one teacher manages and teaches several infants,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ituation in the classroom and bathroom, so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situation with the living instruction. It was difficult and difficult to proceed, and there was a problem of lack of safety due to neglect of a child's management using a toilet.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20365호1.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20365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42762호2.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342762

개시된 내용은, 유아의 배설물을 좌변기로 이동시켜 별도의 배설물 처리과정이 필요없고, 길이 조절 및 접이가 가능하여, 가정, 유치원 등의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 및 보관이 가능한 유아용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disclosed content is to provide a bidet for an infant that can be used and stored regardless of a place such as a home or a kindergarten by moving the excrement of the infant to the toilet and eliminating the need for a separate excrement treatment process and length adjustment and folding.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Also,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pparent that another technical problem may be deriv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된 내용은, 좌변기 상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하부에 배수구를 포함하는 세면부가 안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아의 등부위가 안착되는 등안착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결합 되며, 내측에 유아의 다리부위가 안착 되는 다리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losed contents are provided spaced apart on the toilet sea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backrest portion fold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the backrest portion including a drain hole are mov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ack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hild's back is seated and a horizontally movabl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leg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child's leg is seated.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세면부가 안착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방에 신축가능하게 결합 되는 후방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펼쳤을때,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이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단에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rame is composed of a front frame on which the three sides are seated and a rear frame tha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frame, and the front end of the backrest is rotated at an upper rear of the front frame. When possib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backrest is extended, the rear side of the backrest portion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fram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길이조절부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lower side of the frame, one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frame and includes a length adjusting portion extending forward, the rear frame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t is characterized by moving.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길이조절부와 상기 후방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길이조절부 사이에는 각 단을 연결하되, 상기 제1길이조절부가 회동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and a second length adjusting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frame, wherein the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and the Each end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length adjusting portions, and the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hinge portion enabling rotation.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안착되는 유아의 낙상을 방지하며, 상기 등받이부를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접었을 때, 내측에 상기 프레임이 위치하는 안전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both sides of the backrest are projected upward to prevent falls of an infant seated on the backrest, and when the backrest is folded forward of the frame, the frame is positioned insid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ailing.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안전난간부의 일측에는 상기 등받이부에 안착되는 유아의 시선을 끄는 모빌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one side of the safety railing is characterized in that a mobile that catches the eye of an infant seated on the backrest is formed.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후방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높이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단은 수직방향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height of the rear frame is formed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frame, and the upper end of the rear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vertical length adjustment is possible.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다리안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몸체부와 상기 이동몸체부에 상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부의 내측에는 함입형성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s, the leg seat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body portion that is horizontally coupled to both upper sides of the frame and a seating plate portion that is capable of vertical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mobile body, and the seating portion. The inner side of the plat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ating surface that is embedded.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안착판부는 상기 이동몸체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seating plate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moving body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lat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to a predetermined angle and extending inward. It is characterized by.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일단은 상기 배수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좌변기의 내측에 놓여, 상기 세면부에 담기는 유아의 배설물이 내부통로를 통해 상기 좌변기로 흘러들어가는 이동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one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rain, the other end is placed inside the toilet seat, and includes a moving tube portion in which the feces contained in the toilet bowl flows into the toilet bowl through an internal passage. It is characterized by.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방프레임은 지면에 대해 수직되며,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내부로 출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disclosed content, the front frame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is composed of a vertical frame in which a plurality is arranged in parallel, and a first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and an upper side of the rear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horizontal frame is fix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removab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개시된 내용에 따른 접이식 유아용 비데는 프레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세면부의 배수구가 좌변기와 이동관부에 의해 연결되어, 유아의 배설물을 바로 처리 가능하여, 증대된 보관용이성 및 사용용이성을 제공한다.The foldable infant bidet 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i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rame, and the drainage port of the toilet is connected by the toilet seat and the moving pipe part, so that the feces of the infant can be processed immediately, thereby providing increased storage and ease of use.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측면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단면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2 is a side view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3 is a use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개시된 내용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10) 상에 구비되어 유아의 배변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유아용 비데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contents, as shown in FIGS. 1 and 2, relates to a bidet for an infant provided on the toilet seat 10 to facilitate bowel processing of the infant.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좌변기(10) 상에 이격 되게 구비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2, the frame 100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on the toilet seat (10).

프레임(100)이 좌변기(10) 상에 이격되게 구비되기 위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직프레임(200)이 지면에 대해 수직 되게 형성된다.In order for the frame 100 to be spaced apart on the toilet 10, as shown in FIGS. 1 and 2,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00 are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다수개의 수직프레임(200)은 일정한 배열로 형성되는데, 프레임(100)에 안착되는 세면부(20)와 유아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고려할 때, 지면에 대해 전술한 무게가 가장 안정적으로 지탱되는 사각형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00 is formed in a constant arrangement, when considering the supporting force for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toilet part 20 and the infant seated on the frame 100, the above-mentioned weight with respect to the ground is the most stable support It is preferably made of an array of squares.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세면부(20)가 안착되고,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좌변기(10)가 위치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하부와 상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toilet part 2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the left toilet 10 is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for this purpose, FIGS. 1 to 3 As shown in FIG. 3, empty spaces should be formed at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frame 100.

세면부(20)의 배수구(21)와 좌변기(10)에는 후술할 이동관부(800)가 결합되어 세면부(20)에 모이는 유아의 배설물이 좌변기(10)로 흘러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이동관부(800)는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프레임(100)의 내부에도 이동관부(800)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야 한다.The drain pipe 21 and the toilet seat 10 of the toilet part 20 are combined with a moving pipe part 8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excrement of infants gathered at the toilet part 20 flows into the toilet bowl 10. 80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frame 100, the interior of the frame 100 should also be formed with a space to which the movable tube portion 800 can be coupled.

위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프레임(1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제조단가와 무게를 줄여 운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20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바(bar)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개의 수직프레임(200)은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열되고, 다른 수직프레임(200)이 축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이격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he frame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in order to increase the ease of transport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weight, as shown in Figure 1, the vertical frame 200 has a constant length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bar shape,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0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vertical frames 200 are preferably formed to be spaced symmetrically in the axial direction. .

이렇게 배열되는 수직프레임(200)의 상단에는 각 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00)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상부는 직사각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A horizontal frame 300 connecting each en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00 arranged in this way, whereby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has a rectangular or rectangular space. Is form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세면부(20)가 안착 되는데, 이때 세면부(20)는 전술한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사각형 형태의 공간에 안착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washing face portion 2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wherein the washing face portion 20 is seated in a rectangular spac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

이러한 프레임(100)의 크기, 즉 수직프레임(200) 간의 길이방향, 축방향의 간격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frame 100, that is, the longitudinal and axial spacing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00 may be variously formed.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좌변기(10)가 위치하여야 하고, 상부에는 세면부(20)가 안착 되어야 하는 것인바, 프레임(100)의 수평방향의 길이 즉 수직프레임(200) 간의 길이방향의 간격은 세면부(20)의 길이에 대응하는 값을 갖게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의 길이 즉 폭은 세면부(20)의 폭 및 좌변기(10)의 폭보다 크거나 상응하는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left toilet 10 should b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100, and the toilet part 20 should be seated at the upper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rame 100. The length, that is, the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frames 200 is formed to have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wash section 20, and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that is, the width, the width of the wash section 20 and the toilet seat 10 I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배수구(21)를 포함하는 세면부(20)의 형상 등은 공지의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 and the like of the washing face portion 20 including the drain 21 is a well-known technique, and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은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1 and 2, the frame 100 is composed of a front frame 110 and a rear frame 130.

전방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전술한 세면부(20)가 안착 된다.The above-mentioned face portion 20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110.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수직프레임(200)과 이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00)에 의해, 전방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사각형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세면부(20)가 안착 된다.To this end, as described above, by a vertical frame 200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horizontal frame 300 connecting them, a square-shaped spac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110, and the space The toilet part 20 is seated.

수직프레임(200)의 상부에는 각 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00)이 형성되어 사각형 형태를 이루게 된다.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200, a horizontal frame 300 connecting each end is formed to form a square shape.

또한, 수평프레임(300)의 중간에는 측면에 놓인 수평프레임(300)의 내면을 연결하는 작은 길이의 수평프레임(300)이 더 형성됨으로써, 프레임(100)을 전방프레임(110)과 후방프레임(130)으로 구획함과 동시에 세면부(20)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In addition, in the middle of the horizontal frame 300, the horizontal frame 300 of a small length conne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300 placed on the side is further formed, thereby making the frame 100 the front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 At the same time as the partition 130) provides a space for the toilet 20 is seated.

이를 다시 정리하면, 전방프레임(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수직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고, 후방프레임(130)은 전방프레임(110)의 수직프레임(20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2개의 수직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진다.In summary, the front frame 110 is composed of four vertical frames 200, as shown in FIG. 1, and the rear frame 130 is parallel to the vertical frame 200 of the front frame 110. It consists of two vertical frames 200 that are form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30)은 전방프레임(110)의 후방에 신축 가능하게 결합 된다.1 to 3, the rear frame 130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frame 110.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수직프레임(200)의 상단에는 각 단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00)이 형성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 horizontal frame 300 connecting each en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20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300)은 전방프레임(110)의 수직프레임(200) 상단을 연결하는 제1수평프레임(310)과, 제1수평프레임(310)과 후방프레임(130)의 수직프레임(200)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수평프레임(320)으로 이루어 진다.1 and 2, the horizontal frame 300 includes a first horizontal frame 310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00 of the front frame 110,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0 and the rear It consists of a second horizontal frame 320 connecting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200 of the frame 130.

이때, 제2수평프레임(320)과 제1수평프레임(310)은 다단봉 구조로 이루어져, 수평방향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0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0 are made of a multi-stage rod structure, so that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djusted.

제2수평프레임(320)과 제1수평프레임(310)은 내부가 관통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수평프레임(320)의 직경이 제1수평프레임(3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0 and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0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formed,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0.

이에 의해, 사용자가, 후방프레임(130)을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2수평프레임(320)이 제1수평프레임(310)의 내면으로 출납되어 제2수평프레임(320)의 수평이동이 조절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moves the rear frame 130 back and forth,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0 is transfer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0 to adjust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0. .

제2수평프레임(320)의 일단은 후방프레임(130)에 결합 되어 있어, 제2수평프레임(320)의 수평이동에 의해 종국적으로는 후방프레임(130)의 수평방향으로의 신축이동이 조절된다.One end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0 is coupled to the rear frame 130, so that horizontal movement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0 ultimately adjust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ear frame 1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400)는 일단이 후방프레임(130)의 일측에 결합 되고, 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1 to 3, one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frame 130, and is extended forward.

길이조절부(400)의 일단이 후방프레임(130) 중 지면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되는 수직프레임(200)의 일단에 결합되는데, 길이조절부(400)는 연장형성될 수 있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400)의 일단이 끼움되는 별도의 연결부재(30)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One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vertical frame 200 that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mong the rear frames 130,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0 may be formed extending, Figure 1 to Figure As shown in 3, one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0 may be coupled through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30.

길이조절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300)의 하측에 수평프레임(300)과 평행 되게 형성된다.1 and 2,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0 is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frame 300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300.

길이조절부(40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직선으로 형성되는 수평프레임(300)과 평행을 유지하기 위해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400 may be variously formed,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aight shape to maintain parallelity with the horizontal frame 300 formed in a straight line.

수평프레임(300)의 하측에 형성되는 길이조절부(400)에 의해 수직프레임(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프레임(210)과 제2수직프레임(220)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각각의 수직길이는 길이조절부(400)가 형성되는 지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ertical frame 200 is formed by the length adjusting unit 40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frame 300, the first vertical frame 210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It can be divided into, each of the vertical length may vary depending on the point where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0 is formed.

길이조절부(400)의 타단은 전방프레임(110)의 각 수직프레임(200)을 관통하되 전방프레임(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oth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400 penetrates each vertical frame 200 of the front frame 110 bu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10.

이를 위해, 전방프레임(110)의 수직프레임(200) 일면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through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00 of the front frame 110.

길이조절부(400)의 타단이 전방프레임(110)의 수직프레임(200) 일면을 각 관통하여, 전방프레임(110)의 최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프레임(200)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타단은 손잡이 기능을 하게된다.The other end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400 penetrates through on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200 of the front frame 110, a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vertical frame 200 positioned at the foremost side of the front frame 110, the other end Will act as a handle.

길이조절부(400)의 타단이 관통홀을 관통결합되는데 있어서, 관통홀의 내면과 길이조절부(400) 외면 사이에는 고무 패킹 등의 패킹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other end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400 penetrates the through hole, a packing member such as rubber packing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400.

이를 통해, 길이조절부(400)의 관통홀을 통한 수평이동이 원활하게 된다.Through this, the horizontal movement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400 becomes smooth.

이러한 길이조절부(400)의 수평이동에 의해 후방프레임(130)의 전후방 수평이동을 조절할 수 있다.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ear frame 130 may be adjusted by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ength adjusting unit 400.

또한, 길이조절부(400)가 전방프레임(110) 및 후방프레임(130)의 각 수직프레임(200)을 연결함으로써, 프레임(10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frame 100 is improved by connecting the vertical frames 200 of the front frame 110 and the rear frame 130 by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0.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400)는 제1길이조절부(410)와 제2길이조절부(420)로 이루어진다.2 and 3, the length adjustment unit 400 is composed of a first length adjustment unit 410 and a second length adjustment unit 420.

제1길이조절부(4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10)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2길이조절부(420)는 후방프레임(130)의 하측에 형성된다.2, the first length adjustment unit 41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110, and the second length adjustment unit 42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frame 13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길이조절부(410)의 일단은 전방프레임(110)의 최 전방에 위치하는 수직프레임(2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1 and 2, one end of the first length adjustment unit 410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outward of the vertical frame 200 located at the front of the front frame 110.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길이조절부(410)의 일단이 후방프레임(130)의 수평이동을 조절하는 손잡이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unit 410 functions as a handle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ear frame 130.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길이조절부(410)와 제2길이조절부(420) 사이에는 각 단을 연결하는 힌지부(43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3. A hinge part 430 connecting each en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length adjustment part 410 and the second length adjustment part 420.

즉, 전방프레임(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길이조절부(410)의 후단과, 후방프레임(13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길이조절부(420)의 전단이 힌지부(430)에 의해 결합된다.That is, the rear end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unit 41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110 and the front end of the second length adjusting unit 42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frame 130 are the hinge unit 430. It is combined by.

이러한 힌지부(430)에 의해 제1길이조절부(410)는 상하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The first length adjusting part 410 is rotatable up and down by the hinge part 430.

힌지부(430)에 의한 힌지결합은 공지의 기술인 바, 종류, 결합구조 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inged coupling by the hinge portion 430 is a known techniqu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ypes, coupling structures, and the like are omitted.

힌지부(430)가 형성되는 지점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제1길이조절부(410)는 후방프레임(130)의 전방이동시 상하로 회동(접어)되어야 함으로, 힌지부(4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프레임(110)의 최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프레임(200)의 외측에 위치하여야 한다.The point at which the hinge portion 430 is forme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The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410 must be rotated up and down (folded) when the front frame 130 is moved forward, so that the hinge portion 430 is also shown. As shown in 1, it should be located outside of the vertical frame 200, which is located in the forefront of the front frame 110.

이를 위해, 힌지부(430)는 제1수평프레임(310)의 하측에 형성되는 구역범위(전방프레임(110))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hinge portion 430 is preferably formed in a zone range (front frame 110) formed under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0.

또한, 힌지부(430)의 위치는 제1길이조절부(410)의 회동에 있어 길이제한이 되는 바, 이점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hinge portion 430 is a length limitation in the rotation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410, and it is preferable to determine in consideration of the advantage.

즉 힌지부(430)가 제1길이조절부(410)의 전방부에 형성된다면, 상하 회동시 접어지는 길이가 줄어 들게 되며, 제2길이조절부(420)의 후방부에 형성된다면 상하 회동시 접어지는 길이가 너무 길어져, 하방으로 접을시 제1길이조절부(410)의 하단이 제2수직프레임(220)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더 둘출되게 되어 지면에 세워 보관이 어려워 지는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if the hinge portion 430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410, the length of folding is reduced when it is rotated up and down, and if it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second length adjusting portion 420, it is rotated up and down. The length of the folding is too long, and when folded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unit 410 is exposed more downwards tha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ore it on the ground.

따라서, 힌지부(430)는 제1길이조절부(410)의 전단에서 힌지부(430)까지의 길이가 제2수직프레임(220)의 수직길이와 상응하거나 이보다 작은 값을 갖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hinge portion 430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length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410 to the hinge portion 430 corresponds to or less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220. It is preferred.

이러한 힌지부(430)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제1길이조절부(410)는 후방프레임(130)을 전방으로 이동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접어짐으로써 전체적인 부피가 줄어들고 이에 의해 보관 및 운반 용이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rear frame 130 is moved forward, the first length adjusting unit 410 hinged by the hinge unit 430 decreases the overall volume and is thereby stored and stor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ase of transport increase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500)는 프레임(100)의 후방 상부에 폴딩 가능하게 결합 된다.1 to 3, the backrest part 500 is foldably coupled to the rear upper part of the frame 100.

등받이부(50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등받이부(500)의 내측에는 유아의 등부위가 안착되는 등안착부(510)가 형성되고, 등안착부(510)에는 유아의 등부위가 지지되는 면적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등받이부(5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직대(530)가 서로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프레임(100)의 후방 상부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backrest part 500 may be variously formed. Inside the backrest part 500, a backrest part 510 in which an infant's back is seated is formed, and the backrest part 510 is provided with an infant's back part. Since the area where the stomach is supported must be formed, the backrest part 500 is parallel to the rear upper part of the frame 100 in which two vertical stands 530 are symmetrically arranged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s preferably formed.

수직대(530) 사이에는 프레임(100)의 간격 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A space corresponding to the interval of the frame 100 is formed between the vertical stands 530.

등받이부(5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0)의 후방 상부에 폴딩 가능하게 결합 된다.1 to 3, the backrest portion 500 is foldably coupled to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frame 100.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프레임(310)의 후방 상부에 회동연결부(540)가 형성되고, 회동연결부(540)에 수직대(530)의 일단이 결합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1 and 2, a pivoting connection part 540 is formed at a rear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0 and a vertical band 530 of the pivoting connection part 540 is formed. Once it is combined.

회동연결부(540)와 수직대(530)는 각 프레임(100)에 각각 결합되어 대칭으로 이룬다.The rotation connecting portion 540 and the vertical stand 53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each frame 100 to form a symmetry.

수직대(530)와 회동연결부(540)는 수직대(53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The vertical stand 530 and the rotation connecting portion 540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vertical stand 530.

이러한 수직대(530)가 회동연결부(540)에 결합되어 전후 회동이 가능한 구조 및 결합방법은 공지의 기술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vertical stand 530 is coupled to the rotation connecting portion 540, a structure and a coupling method capable of rotating back and forth are known technique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수직대(530)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등받이부(500)를 후방으로 펼쳤을때 수직대(530)의 말단(도면상 상부)이 후방프레임(130)의 상단에 고정되어야 등받이부(500)가 프레임(100)상에 지지되는 것인바, 수직대(530)의 길이는 적어도, 제2수평프레임(320)의 길이와 같거나 긴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vertical stand 53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When the backrest part 500 is extended to the rear, the end of the vertical stand 530 (the upper part in the drawing) should b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rear frame 130. Since the 500 is supported on the frame 100, the length of the vertical stand 53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valu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0.

만약, 수직대(530)의 길이가 제2수평프레임(3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면, 수직대(530)의 말단(도면상 상부)이 후방프레임(130)의 상부에 고정 또는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If the length of the vertical stand 53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horizontal frame 320, the end of the vertical stand 530 (top in the drawing) cannot be fixed or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ar frame 130. there is a problem.

다시 말해, 등받이부(500)를 후방으로 펼쳤을때, 수직대(530)의 후면 또는 말단이 후방프레임(130)의 상단에 고정 또는 지지되어 등받이부(500)에 안착되는 유아의 무게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backrest part 500 is extended to the rear, the back or end of the vertical stand 530 is fixed or supported at the top of the rear frame 130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infant seated on the backrest part 500. Will be.

이러한 등받이부(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프레임(300)과 상방으로 소정각도를 이루게 형성된다.1 and 2, the backrest portion 500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upward with the horizontal frame 300.

이는 등받이부(500)에 유아를 안착시켜 배설물 등을 처리시, 유아로 부터 발생되는 배설물이 하부로 향하게 하여 세면부(20)에 잘 모이게 함과 동시에 보호자가 편하게 유아를 씻게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sure that the infant is seated on the backrest portion 500 to treat feces and the like, so that the excrement generated from the infant faces downward and gathers well on the washbasin 20, and at the same time, the guardian is comfortable to wash the infant.

수평프레임(300)과 등받이부(500)가 이루는 내각은 다양한 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binet formed by the horizontal frame 300 and the backrest 500 may be formed at various angles.

이를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30)의 높이는 전방프레임(110)의 높이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2, the height of the rear frame 13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frame (110).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방프레임(110)을 이루는 4개의 수직프레임(200)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후방프레임(130)을 이루는 2개의 수직프레임(200)의 높이는 전방프레임(110)의 높이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된다.In detail, four vertical frames 200 constituting the front frame 110 have the same height, and two vertical frames 200 constituting the rear frame 130 have a height of the front frame 110. It is formed to have a value greater than the height.

이를 통해 등받이부(500)는 수평프레임(300)과 상방으로 소정각도를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다.Through this, the backrest portion 500 is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upward with the horizontal frame 300.

수평프레임(300)과 등받이부(500)가 이루는 내각은 다양한 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binet formed by the horizontal frame 300 and the backrest 500 may be formed at various angles.

이를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130)의 상단은 수직방향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2, the upper end of the rear frame 130 is formed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수직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일 예로 다단봉 구조 또는 텔레스코프(telescope)식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adjustable structure may be variously formed, for example, a multi-step structure or a telescope type structure.

보호자는 이러한 후방프레임(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등받이부(500)의 각도를 조절 할수 있다. 즉, 후방프레임(130)의 높이를 높여 각도를 증가시키거나, 높이를 줄여 각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guardian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rear frame 130 to adjust the angle of the backrest 500. That is, the height of the rear frame 130 may be increased to increase the angle, or the height may be reduced to decrease the angle.

수직대(530)의 말단에는 하부에 홈이 형성되는 고정부(5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531)의 홈에는 후방프레임(130)의 상단, 즉 수직대(530)의 상단이 삽입결합되어. 등받이부(500)의 수직대(530)에 의한 고정력 및 결합력이 증대된다.An end portion of the vertical stand 530 may be formed with a fixing part 531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d an upper end of the rear frame 130, that is,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stand 530, may be formed in the groove of the fixing part 531. Inserted and coupled. Fixing force and engagement force by the vertical stand 530 of the backrest part 500 are increas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500)의 내측에는 등안착부(510)가 형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a back seating portion 510 is formed inside the backrest portion 500.

등안착부(51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유아의 등부위가 안착되어 지지되는 점을 고려하여,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유아의 등부위를 커버하는 면적을 제공하고, 중앙부가 외측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ck seating portion 5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Considering that the back portion of the infant is seated and supported,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as a whole to provide an area covering the back portion of the infa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to be curved outward.

등안착부(510)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유아의 가벼운 무게와 이동 또는 보관시 용이성을 고려하여, 가벼운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back seating portion 5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or aluminum, and is preferably formed of light plastic in consideration of the infant's light weight and ease of movement or storage.

또한, 등안착부(510)의 전면에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으로 형성되는 패드가 더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d formed of silicon, rubber, or the like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ck seating portion 510.

이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마찰에 의해 등받이부(500)에 안착되는 유아가 미끌어 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유아에게 푹신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infant from being seated on the backrest 500 due to friction of silicone or rubber, and to provide the infant with fluffynes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안착부(510)는 등받이부(500)의 내측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 된다.1 and 2, the back seating portion 510 is coupled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backrest portion 500.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결합 되는 방법은 다양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안착부(510)의 양단에는 중앙이 관통 형성되는 중공을 포함하고, 중공을 통해 수직대(530)에 결합되는 등연결부(520)를 포함한다.There are various ways in which the shangdong can be combined,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both ends of the back seat 510 include a hollow through which the center is formed, and through the hollow to the vertical stand 530. It includes a back connection 520 to be coupled.

이러한 등연결부(520)는 프레임의 양 측에 형성되는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530)에 각각 결합되고, 각 등연결부(520) 사이에 등안착부(510)가 형성된다.The back connections 52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vertical stands 530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frame, and the back seats 510 are formed between the back connections 520.

이때, 중공의 구경은 수직대(530)의 구경과 동일하거나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hollow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same or greater value than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stand (530).

등연결부(520)와 등안착부(510)는 각각 제조되어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사출이나 압출을 통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는데, 제조단가와 조립용이성을 고려할 때, 압출이나 사출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ck connection portion 520 and the back seat portion 510 are each manufactured and can be combined by a coupling member or integrally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or extrusion. In consideration of manufacturing cost and ease of assembly, the back connection portion 520 and the back connection portion 510 may be integrated. It is preferably formed of.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난간부(550)는 등받이부(500)의 양측에 상방으로 돌출형성된다.1 and 2, the safety railing portion 550 is protruded upward on both sides of the backrest portion 500.

안전난간부(550)는 등받이부(500)에 안착되는 유아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길이와 높이를 갖게 형성되어야 한다.The safety railing portion 550 is intended to prevent the infant from falling on the backrest portion 500 and must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length and height.

길이와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안전난간부(550)는 등받이부(500)에 안착되는 유아가 옆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여야 하므로 유아의 평균적키와 몸무게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The length and height may be variously formed, and the safety railing part 550 should function to prevent the infant seated on the backrest part 500 from falling to the side, and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the infant. .

안전난간부(5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비어있는 일반적인 난관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단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safety railing portion 55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shown in FIGS. 1 and 2,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that the inner side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mpty hollow tube.

안전난간부(5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레임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수직대(530)의 상면에 각각 결합 된다.The safety railings 550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vertical stands 530 formed symmetrically in each frame, as shown in FIGS. 1 and 2.

이러한 안전난간부(550)는 수직대(53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고, 수직대(530)를 포함하는 등받이부(500)는 전후방으로 회동이 가능한 것으로, 등받이부(500)를 전방으로 회동하여 폴딩할때, 안전난간부(550)의 상부는 프레임의 하면을 향하게 되어 접어지게 된다.The safety railing part 55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stand 530, and the backrest part 500 including the vertical stand 530 is capable of rot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pivots the backrest part 500 forward. When folding, the upper part of the safety railing part 550 faces the lower surface of the frame and is folded.

이때, 폴딩된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난간부(550) 사이 또는 내측에 프레임이 위치하게 형성되어야 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folded state, the frame should be formed between the safety railings 550 or inside.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대(530)는 제1수평프레임(31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ure 3, the vertical stand 530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0.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난간부(550)의 일측에는 유아의 시선을 끄는 모빌(1)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one side of the safety railing 550 may be formed with a mobile 1 that draws the child's gaze.

이를 통해, 보호자는 유아의 배설물 처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guardian can facilitate excrement treatment of the infant.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부(20)가 안착 되는 전방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유아의 다리부가 안착 되는 다리안착부(600)가 형성된다.1 to 3, a leg seating portion 600 in which a leg portion of an infant is seated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frame 110 on which the washing face portion 20 is seated.

다리안착부(6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양측 즉 제1수평프레임(310)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결합 된다.The leg seat 600 is horizontal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that is, the first horizontal frame 310,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안착부(600)는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 되는 이동몸체부(610)와 유아의 다리가 안착 되는 안착판부(620)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S. 1 to 3, the leg seating portion 600 includes a moving body portion 610 mov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a seating plate portion 620 on which the infant's legs are seated.

이동몸체부(610)가 프레임 상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법은, 전술한 등연결부(520)가 수직대(530)에 결합되는 방법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method in which the movable body part 610 is horizontally coupled on the frame is the same as the method in which the above-described back connection part 520 is coupled to the vertical stand 530,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안착판부(6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다리를 내측으로 구부리고 있는 유아의 특성을 고려할 때, 안착판부(6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동몸체부(610)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지지판(630)과 제1지지판(63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연장형성되는 제2지지판(650)으로 이루어진다.The seating plate portion 6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 bending the leg inward, the seating plate portion 620 is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ving body portion 610 It is composed of a first support plate 630 extending upwardly from and a second support plate 650 extending i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630.

안착판부(620)의 길이 즉 제1지지판(630) 및 제2지지판(650)의 길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절곡되는 각도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seating plate portion 620, that is, the length of the first support plate 630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650 may be variously formed, and the angle of bending may also be variously formed.

또한 제1지지판(630)의 말단과 제2지지판(650)의 일단에 좌우 회동이 가능한 회동부재를 더 구비하여, 제2지지판(650)의 절곡각도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late 630 and the end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5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ivoting member capable of rotating left and right, so that the bending angl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50 can be adjus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621)은 안착판부(620)의 내측에 함입형성된다.1, the seating surface 621 is embedded in the seating plate portion 620.

안착면(621)은 안착판부(620)의 상부에서 하부로 함입형성되는 것으로, 안착면(621)은 홈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eating surface 621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top of the seating plate portion 620, and the seating surface 62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이를 통해 유아의 다리는 안착면(62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rough this, the infant's leg is stably fixed to the seating surface 62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안착부(600)는 이동몸체부(610)에 상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 된다.As shown in Figure 3, the leg seat 600 is coupled to the movable body portion 610 is possible to adjust the up and down angle.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몸체부(610)의 외측에는 안착판부(620)의 상하 각도 조절시 회전축을 형성하기 위한 제1회전홀(611)이 형성된다.In more detail, as illustrated in FIGS. 4 to 6, a first rotation hole 611 for forming a rotation axis when adjusting the up and down angle of the seating plate portion 62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oving body portion 610. Is formed.

제1지지판(630)의 하단에는 이동몸체부(610)의 외면에 끼움되는 끼움부(631)가 형성된다.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support plate 630, a fitting portion 631 that is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portion 610 is form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631)의 일면에는 제1회전홀(611)과 대응되는 제2회전홀(641)이 형성되고, 바 형태의 고정부재가 제1회전홀(611)과 제2회전홀(641)을 일체로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다리안착부(600)의 상하 각도 조절시 회전축을 형성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a second rotation hole 6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rotation hole 611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631, and a bar-shaped fixing member is provided in the first rotation hole 611. The second rotating hole 641 is integrally penetrated and fixed, thereby forming a rotating shaft when adjusting the vertical angle of the leg seat 600.

끼움부(63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끼움부(631)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판부(620)의 각도조절을 위한 다수개의 스토퍼홀(64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1지지판(630)의 하부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끼움몸체부(640)가 형성된다.The fitting portion 63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S. 2 and 4, the fitting portion 631 has a plurality of stopper holes 643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seating plate portion 620. Since it should be formed at intervals, a fitting body 640 formed in a circular shape is formed below the first support plate 630.

이러한 끼움몸체부(640)는 이동몸체부(610)의 양측면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된다.The fitting body parts 640 a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part 610, respectively.

이동몸체부(6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이동몸체부(610)의 제1회전홀(611)과, 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끼움몸체부(640)의 제2회전홀(641)에 바형태의 고정부재가 관통되어 고정됨으로써 이동몸체부(610)의 양측면에 회전축을 형성하게 된다.The first rotating hole 611 of the moving body portion 610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oving body portion 610, and the second rotating hole 641 of the fitting body portion 640 formed corresponding to the bar shape By fixing the fixing member is penetrated to form a rotation axis on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portion 61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몸체부(640)에는 다수개의 스토퍼홀(643)이 제2회전홀(641)을 중심으로 외측 원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stopper holes 643 are formed in the fitting body portion 64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ound the second rotation hole 641.

스토퍼홀(643)의 개수 및 간격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개수와 간격은 다리안착부(600)의 각도 조절의 범위가 되는 것인 바, 사용자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개수와 간격을 정할 수 있다.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stopper holes 643 may be variously formed, and the number and spacing are the ranges of the angle adjustment of the leg seat 600, so that the user can variously set the number and spacing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Can b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631)의 하부, 더욱 상세하게는 끼움몸체부(640)에서 연장형성되는 제1지지판(630)의 하면과 이동몸체부(610)의 상면과 접하게 되는 부분에 내측으로 절삭되는 원호면(63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lower portion of the fitting portion 631, 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630 formed extending from the fitting body portion 6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portion 610 is in contact with A circular arc surface 633 cut inward is formed in the portion.

이러한 원호면(633)에 의해, 다리안착부(600)의 상하 각도 조절시, 이돔몸체부와의 간섭을 줄여, 다리안착부(600)의 상하 이동을 원활히 해준다.By adjusting the up and down angle of the leg seating portion 600 by the circular arc surface 633, interference with the body of the dome is reduced to facilitat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eg seating portion 6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몸체부(610)에는 끼움몸체부(640)와 맞닿는 부분에 스토퍼부(70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stopper portion 700 is formed on the moving body portion 610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fitting body portion 640.

스토퍼부(700)는 이동몸체부(610)의 외면 즉 끼움몸체부(640)의 내면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스토퍼부(700)는 이동몸체부(610)의 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part 70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body part 610, that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body part 640, and the stopper part 700 is formed on the side or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part 610. Can be.

스토퍼부(7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몸체부(610)의 내부에 매립되는 스토퍼하우징(710)과 상면에 스토퍼돌기(721)가 형성되는 스토퍼판(720)과 일단은 스토퍼하우징(710)의 내부 하부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스토퍼판(720)의 하부에 지지되는 탄성부(730)로 이루어 진다.5 and 6, the stopper portion 700 and the stopper housing 710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moving body portion 610 and the stopper protrusion 721 is formed on the top surface 720 and One end is supported by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housing 710, the other end is made of an elastic portion 730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stopper plate 720.

스토퍼하우징(710)이 이동몸체부(610)에 매립되기 위해 이동몸체부(610)의 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결합홀(613)이 형성되며, 스토퍼하우징(710)은 결합홀(613)을 통해 이동몸체부(610)의 내부에 매설이 된다.In order for the stopper housing 710 to be embedded in the moving body portion 610, coupling holes 613 are formed on the side or both sides of the moving body portion 610, and the stopper housing 710 moves through the coupling hole 613 It is buried inside the body portion 610.

결합홀(613)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결합홀(613)에 스토퍼하우징(7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 할 수 있는데, 내부에 탄성부(730)와 스토퍼판(720)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일방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hole 613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the stopper housing 71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the coupling hole 613, and an elastic portion 730 and a stopper plate 720 must be provided therein. Therefore, a space is formed inside, and one side is preferably formed by opening.

스토퍼하우징(7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원통형의 이동몸체부(610)의 형상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결합홀(613)도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topper housing 7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cylindrical moving body portion 610, and correspondingly, the coupling hole 613 ) Is also preferably formed in a circle.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730)는 스토퍼하우징(7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예로 코일스프링인 경우, 일단은 스토퍼하우징(710)의 내부 하부면에 결합된다.5 and 6, the elastic portion 730 is provided inside the stopper housing 71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oil spring, one end is coupled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housing 710.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스토퍼판(720)의 하면에 결합된다.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plate 720.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판(720)의 상면에는 스토퍼돌기(721)가 일방으로 돌출형성된다.5 and 6, a stopper protrusion 721 is protruded in one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plate 720.

스토퍼판(72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원형으로 형성되는 결합홀(613)에 대응하여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의 중앙부에 스토퍼돌기(721)가 형성된다.The stopper plate 72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Preferably, the stopper plate 721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613 formed in a circular shape.

스토퍼돌기(721) 또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스토퍼돌기(721)는 스토퍼홀(643)에 끼움결합되어 다리안착부(600) 각도 조절시, 일정한 각도에서 다리안착부(600)의 고정을 하게 하는 것으로 스토퍼홀(643)에 상응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pper protrusion 721 may also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he stopper protrusion 721 is fitted to the stopper hole 643 to adjust the angle of the leg seat 600 when the leg seat 600 is fixed at a certain angle. It is desirable to be formed to have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stopper hole (643).

스토퍼하우징(710)의 개구된 부분에는 중앙에 출납홀(741)이 형성되는 마감판(740)이 결합된다.The opening portion of the stopper housing 710 is coupled to a closing plate 740 in which a withdrawal hole 741 is formed in the center.

마감판(74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토퍼하우징(7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출납홀(741)에는 스토퍼돌기(721)가 출납되는 것으로, 출납홀(741)의 형상은 스토퍼돌기(721)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closing plate 740 may be variously formed, an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opper housing 710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circular plate, and the stopper protrusion 721 is provided in the withdrawal hole 741. ) Is to be put in and out, and the shape of the putting in and out hole 741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stopper protrusion 721.

이러한 탄성부(730)에 의해 스토퍼돌기(721)가 출납하게 되는 스토퍼부(700)는 다리안착부(600)의 상하 이동시 스토퍼돌기(721)와 스토퍼홀(643)이 정합을 이루게 될때, 스토퍼돌기(721)가 스토퍼홀(64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에 의해 다리안착부(600)가 일정한 각도에서 고정된다.When the stopper protrusion 721 through which the stopper protrusion 721 is moved in and out by the elastic portion 730, when the stopper protrusion 721 and the stopper hole 643 form a match when the leg seat 600 moves up and down, the stopper The protrusion 721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hole 643 and fixed, whereby the leg seat 600 is fixed at a certain angle.

정합을 이루지 않을 때는, 즉 다리안착부(600) 각도 조절시 끼움몸체부(640)의 내면에 의해 스토퍼돌기(721)가 가압되어, 스토퍼하우징(7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When the mating is not achieved, that is, when the angle of the leg seat 600 is adjusted, the stopper protrusion 721 is press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body 640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stopper housing 71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관부(800)는 배수구(21)에 탈착 가능하게 결 합 된다.As shown in Figure 2, the moving pipe portion 8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rain (21).

이동관부(800)의 내부에는 세면부(20)에 담기는 유아의 배설물이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된다.Inside the moving tube portion 800 is formed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xcrement of the infant contained in the wash section 20 is moved.

이동관부(8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미사용시 보관을 용이하게 위해, 길이조절이 가능한 주름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tube portion 8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in order to facilitate storage when not in us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with adjustable length.

이동관부(800)의 일단이 배수구(2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하다.There are various methods in which one end of the moving pipe part 8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rain port 21.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관부(800)의 일단에는 이동연결부(810)가 형성되며, 이동연결부(810)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연결턱(811)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a moving connection portion 8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moving tube portion 800,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jaws 811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moving connection portion 810.

또한 배수구(21)의 하부 외측에는 연결턱(811)에 대응되는 배수턱(23)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rainage jaws 23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jaws 811 may be formed on the lower outer side of the drainage outlet 21.

이동연결부(810)는 배수구(21)에 하부에 삽입되고, 이때 배수턱(23)과 연결턱(811)이 서로 교차되어 배열된다.The moving connection part 810 is inserted into the drain port 21 at the bottom, and the drainage jaw 23 and the connecting jaw 811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그 후 사용자가 이동연결부(81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연결턱(811)이 배수턱(23)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관부(800)가 세면부(20)에 고정된다.Thereafter, when the user rotates the movable connection portion 810 in one direction, the connection jaw 811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rainage jaw 23 and the moving tube portion 800 is fixed to the wash section 20.

이동연결부(810)는 배수구(21)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이동연결부(810)의 직경이 배수구(21)의 직경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connection portion 810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rain hole 21, and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moving connection portion 810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diameter of the drain hole 2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관부(800)의 타단은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 구비되는 좌변기(10)의 내측에 놓이게 되고, 세면부(20)에 담기는 유아의 배설물 등이 이동관부(800)의 통로를 통해 바로 좌변기(10)로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2, the other end of the moving tube portion 800 is placed inside the left toilet 10 provid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frame, and the excrement of infants, etc. contained in the toilet part 20 are moved tube portion 800 ) Through the passage directly to the left toilet (10).

이를 통해, 보호자는 유아의 배설물을 손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guardian can easily and quickly dispose of the infant's fece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present all technical spiri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application.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ny altered or modified form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모빌
10 : 좌변기
20 : 세면부
21 : 배수구
23 : 배수턱
30 : 연결부재
100 : 프레임
110 : 전방프레임
130 : 후방프레임
200 : 수직프레임
210 : 제1수직프레임
220 : 제2수직프레임
300 : 수평프레임
310 : 제1수평프레임
320 : 제2수평프레임
400 : 길이조절부
410 : 제1길이조절부
420 : 제2길이조절부
430 : 힌지부
500 : 등받이부
510 : 등안착부
520 : 등연결부
530 : 수직대
531 : 고정부
540 : 회동연결부
550 : 안전난간부
600 : 다리안착부
610 : 이동몸체부
611 : 제1회전홀
613 : 결합홀
620 : 안착판부
621 : 안착면
630 : 제1지지판
631 : 끼움부
633 : 원호면
640 : 끼움몸체부
641 : 제2회전홀
643 : 스토퍼홀
650 : 제2지지판
700 : 스토퍼부
710 : 스토퍼하우징
720 : 스토퍼판
721 : 스토퍼돌기
730 : 탄성부
740 : 마감판
741 : 출납홀
800 : 이동관부
810 : 이동연결부
811 : 연결턱
1: Mobile
10: toilet seat
20: wash section
21: drain
23: drainage jaw
30: connecting member
100: frame
110: front frame
130: rear frame
200: vertical frame
210: first vertical frame
220: second vertical frame
300: horizontal frame
310: 1st horizontal frame
320: second horizontal frame
400: length adjusting part
410: first length adjustment unit
420: second length adjustment unit
430: hinge
500: backrest
510: back seat
520: back connection
530: vertical stand
531: fixing part
540: rotating connection
550: safety railing
600: leg seat
610: moving body part
611: 1st rotation hall
613: coupling hole
620: seating plate
621: seating surface
630: first support plate
631: fitting part
633: Wonho-myeon
640: fitting body
641: 2nd rotating hall
643: Stopper hole
650: second support plate
700: stopper part
710: stopper housing
720: stopper plate
721: stopper protrusion
730: elastic part
740: finishing plate
741: Cashier Hall
800: moving tube part
810: mobile connection
811: connecting jaw

Claims (11)

좌변기 상에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부에는 하부에 배수구를 포함하는 세면부가 안착 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유아의 등부위가 안착되는 등안착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 상부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결합 되며, 내측에 유아의 다리부위가 안착 되는 다리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세면부가 안착되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방에 신축가능하게 결합 되는 후방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등받이부의 전방 단부가 상기 전방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펼쳤을때, 상기 등받이부의 후면이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단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A frame which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on the toilet seat, and has a toilet seat portion including a drain hole at the lower portion;
A backrest portion fold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back seating part which is mov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ckrest part and seats the back of an infant; And
A horizontal movement is coupled to the front upper part of the frame, and includes a leg seating part on which an infant's leg is seated inside.
The frame consists of a front frame on which the three sides are seated and a rear frame that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ont frame,
The front end of the backres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rear of the front frame,
When the rear portion of the back portion is extended to the rear, a folding baby bide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portion of the back portion is supported on the top of the rear frame.
삭제delete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프레임은 상기 길이조절부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one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frame and includes a length adjusting portion extending forwardly,
The rear frame is a folding bidet for inf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horizontal movement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길이조절부와 상기 후방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길이조절부와 상기 제2길이조절부 사이에는 각 단을 연결하되, 상기 제1길이조절부가 회동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frame and a second length adjusting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frame,
A folding baby bidet comprising a hinge portion that connects each end between the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and the second length adjusting portion, and that the first length adjusting portion is rotatable.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양측에는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에 안착되는 유아의 낙상을 방지하며, 상기 등받이부를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접었을 때, 내측에 상기 프레임이 위치하는 안전난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th sides of the backrest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to prevent falling of the infant seated on the backrest portion, and when the backrest portion is folded forward of th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fety railing portion located inside the frame Folding baby bidet.
청구항 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난간부의 일측에는 상기 등받이부에 안착되는 유아의 시선을 끄는 모빌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Foldable infant bidet, characterized in that a mobile to catch the eye of the infant seated on the backrest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afety railing.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높이는 상기 전방프레임의 높이보다 큰 값을 갖게 형성되며,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단은 수직방향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of the rear frame is formed to have a larger value than the height of the front frame, the upper end of the rear frame is a folding baby bidet,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length can be adjusted.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안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몸체부와 상기 이동몸체부에 상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착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판부의 내측에는 함입형성되는 안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g seating portion includes a moving body portion that is horizontally movable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frame and a seating plate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movable body for vertical adjustment.
Foldable infant bide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ating surface that is embedded in the seating plate portion.
청구항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판부는 상기 이동몸체부에서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되는 제2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seating plate portion includes a first supporting plat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moving body portion, and a second supporting plate folding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inward from one end of the first supporting plate.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배수구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좌변기의 내측에 놓여, 상기 세면부에 담기는 유아의 배설물이 내부통로를 통해 상기 좌변기로 흘러들어가는 이동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rain, the other end is placed on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the folding infant bide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ing tube that flows into the toilet seat through the internal feces of the infant contained in the toilet bowl .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프레임은 지면에 대해 수직되며,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부 일측에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수평프레임의 내부로 출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제2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유아용 비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frame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is composed of a vertical frame in which a plurality is arranged in parallel, and a first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top of the vertical frame,
A folding baby bidet comprising a second horizontal fram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ar frame and the other end removab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first horizontal frame.
KR1020200019100A 2020-02-17 2020-02-17 Folding baby bidet KR102132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00A KR102132304B1 (en) 2020-02-17 2020-02-17 Folding baby bid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00A KR102132304B1 (en) 2020-02-17 2020-02-17 Folding baby bid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304B1 true KR102132304B1 (en) 2020-07-09

Family

ID=7160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100A KR102132304B1 (en) 2020-02-17 2020-02-17 Folding baby bid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30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2706B1 (en) * 1999-07-22 2001-04-10 First Years Inc. Tub-stool combination
KR100320365B1 (en) 1996-04-30 2002-04-22 고지마 아키로 Polycarbodiimide compou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treatment method of article
KR100342762B1 (en) 1993-06-28 2002-11-18 와이어쓰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ubstituted phenethylamine as active ingredient
US20080155743A1 (en) * 2006-12-28 2008-07-03 Gisele Allen Shower apparatus for securing infant and toddler
KR20120057992A (en) * 2010-11-29 2012-06-07 배종훈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KR101744613B1 (en) * 2015-09-15 2017-06-08 김휘욱 Baby with bidet func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762B1 (en) 1993-06-28 2002-11-18 와이어쓰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ubstituted phenethylamine as active ingredient
KR100320365B1 (en) 1996-04-30 2002-04-22 고지마 아키로 Polycarbodiimide compou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resin composition and treatment method of article
US6212706B1 (en) * 1999-07-22 2001-04-10 First Years Inc. Tub-stool combination
US20080155743A1 (en) * 2006-12-28 2008-07-03 Gisele Allen Shower apparatus for securing infant and toddler
KR20120057992A (en) * 2010-11-29 2012-06-07 배종훈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KR101744613B1 (en) * 2015-09-15 2017-06-08 김휘욱 Baby with bidet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1634B (en) Child's chair
US7665157B2 (en) Child's toilet training chair
US7533425B2 (en) Juvenile bathtub
US8893317B2 (en) Toilet training device
US7631370B2 (en) Toilet training device for small children
JP2008523928A (en) Toilet training, bathing and toilet equipment for infants, toddlers and preschoolers
US3905051A (en) Toilet seat chair
KR101030052B1 (en) Portable toilet bowl
US8317268B2 (en) Portable footrest for use when sitting on a toilet
CA1083754A (en) Restroom, especially for disabled persons
KR102132304B1 (en) Folding baby bidet
US8776279B2 (en) Toilet training system
KR20150102606A (en) A Toilet seat
KR102304234B1 (en) toilet seat with food rest
KR200381596Y1 (en) A toilet stool for a baby
KR200399753Y1 (en) Portable toilet bowl
KR100807347B1 (en) The commode for infant
KR20110113993A (en) Portable toilet for child
KR20200072248A (en) Split-type multipurpose chair
KR101219246B1 (en) Toilet and shower for baby
KR101914165B1 (en) Safety Toilet Stool for Infant
KR101823590B1 (en) Portable chamber pot
KR200320365Y1 (en) A Children Toilet Stool Separable For Chair Type
KR200166119Y1 (en) Bathing/excreting chair capable of deploying and moving
JP5781788B2 (en) Simple support device for small urinal and storage box / toilet seat that can store th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