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794B1 -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 Google Patents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794B1
KR102131794B1 KR1020180164663A KR20180164663A KR102131794B1 KR 102131794 B1 KR102131794 B1 KR 102131794B1 KR 1020180164663 A KR1020180164663 A KR 1020180164663A KR 20180164663 A KR20180164663 A KR 20180164663A KR 102131794 B1 KR102131794 B1 KR 102131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node
information
vehicle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024A (ko
Inventor
박용덕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8016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7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75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to or through Device to Device [D2D] links, e.g. direct-mode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04W28/0967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 H04W28/0983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for optimizing bandwidth or through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또는 모바일)과 네트워크(인프라) 간의 부하를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개념을 이용하여, 인프라를 컨트롤러로 각 차량과 모바일을 컨트롤러의 하위 노드로 정의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분산할 수 있도록 한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개념을 통해, 인프라를 컨트롤러로 각각의 차량을 노드로 결정한 상태에서, 차량 간 통신을 통해 각 차량에서 이웃 차량 간의 스루풋(throughput)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각각의 차량에서 컨트롤러인 인프라에 헤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인프라에서 최단 시간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하 분산을 위해 자신과 통신할 하위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한 하위 노드를 통해 도로 정보를 모든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을 구현한다.

Description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Vehicle-network load balancing method in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본 발명은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모바일)과 네트워크(인프라) 간의 부하를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개념을 이용하여, 인프라를 컨트롤러로 각 차량과 모바일을 컨트롤러의 하위 노드로 정의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분산할 수 있도록 한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운전자에게 주변 도로, 교통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해주는 서비스인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가 상용화되면, 도로 위의 수많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중 차량과 차량 간 통신(V2V)보다 차량과 네트워크 간 통신(V2I)이 일대 다 통신으로써 많은 부하를 발생한다.
도로 위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공유하기 위해서, 다양한 네트워크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Vehicular Ad-hoc Network, VANET)는 모바일 애드혹 네트워크(Mobile Ad-hoc Network, MANET)의 일부 내지 변용 기술로서, 공공 안전과 지능형 교통 서비스(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를 위한 차량 대 차량(Vehicle to Vehicle, V2V) 또는 차량 대 인프라(Vehicle to Infra, V2I)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 애드혹 네트워킹 기술은 IEEE 80211p 및 IEEE 1609 표준을 포함하는 프로토콜 스택인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로 표준화되었다.
미국 교통부 산하 국가도로 교통 안전국(NHTSA)은 V2V 통신의 궁극적인 목적을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도로 교통의 전체적인 안정성을 높이는 것에 두고 있다. 이 기관은 이를 위해 2016년에 차량의 V2V 기능 탑재를 강제하는 법안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VANET 환경에서 라우팅 기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동 노드들이 무작위적으로 움직이는 환경인 MANET과 달리, VANET에서는 이동하는 차량 노드들이 도로와 교통량, 제한속도 및 교통신호 등에 따라 통제된 움직임을 보이는 환경에서 차량 노드 사이의 통신(V2V), 또는 이동하는 차량 노드와 고정된 노변 기지국 사이의 통신(V2I)을 제공하며, 차량 노드의 고속 이동성 및 빈번한 토폴러지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통신 프로토콜의 세부적인 규칙들이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하여, 차량 노드들 사이의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VANET의 매체 접근 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제안되어 있다.
한편, 도로 위의 모든 정보를 공유하고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데이터 처리 기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 에도 도로 위의 정보를 공유 및 처리하기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방향성 안테나를 각각 가지는 소스 차량 노드와 목적 차량 노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소스 차량 노드가, 유효 통신 범위 중에서 목적 차량 노드의 방향으로는 송신될 데이터의 양에 관한 RDF 메시지를 송신하고, 유효 통신 범위 중에서 나머지 방향으로는 송신될 데이터의 양에 관한 SDF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목적 차량 노드의 방향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및 데이터 송신이 끝난 후에, 만약 목적 차량 노드로부터 ACK 메시지가 수신되면, 목적 차량 노드에 대해 통신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용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매체 접근제어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개미 군집 최적화 기법 기반의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 라우팅 방법은,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 장치들의 각각이, 대중교통 차량 노드로부터 전파되는 노선상의 관심 지점들의 제1차량 밀도 정보와 관심 지점 간 도로들의 제2차량 밀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제1 및 제2차량 밀도 정보에 기초하여 목적 노드까지 라우팅 경로 및 라우팅 방법을 각각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의 라우팅 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패킷을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부하 분산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통신 모듈을 통하여 복수의 이웃한 링크 각각에 대한 부하 임계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부하 임계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웃한 링크 각각에 대하여, 과부하 링크 여부를 판단하고, 패킷을 수신하여, 수신한 패킷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라우팅 경로에 따라 수신한 패킷을 전송하되, 미리 설정된 라우팅 경로에 과부하 링크로 판단된 링크가 포함되는 경우, 복수의 이웃한 링크에 대하여 페로몬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복수의 이웃한 링크에 대한 페로몬 지수 및 복수의 이웃한 링크에 대한 현재 부하량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라우팅 경로를 변경하고, 변경된 라우팅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네트워크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5913(2015.07.06. 등록)(방향성 안테나 기반의 차량용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매체 접속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애드혹 네트워크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33087(2015.06.25. 등록)(개미 군집 최적화 기법 기반의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 라우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58326(2017.07.10. 등록)(네트워크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 및 종래기술은 차량과 차량 간의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여, 차량 간에 발생하는 데이터는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반면, 차량과 네트워크(인프라)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기법은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실제, 차량과 차량 간 통신(V2V)보다 차량과 네트워크 간 통신(V2I)이 일대 다 통신으로써 더 많은 부하를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또는 모바일)과 네트워크(인프라) 간의 부하를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개념을 이용하여, 인프라를 컨트롤러로 각 차량과 모바일을 컨트롤러의 하위 노드로 정의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도록 한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은, (a)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개념을 통해, 인프라를 컨트롤러로 각각의 차량을 노드로 결정한 상태에서, 차량 간 통신을 통해 각 차량에서 이웃 차량 간의 스루풋(throughput)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각각의 차량에서 컨트롤러인 인프라에 헤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인프라에서 최단 시간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하 분산을 위해 자신과 통신할 하위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d) 상기 결정한 하위 노드를 통해 도로 정보를 모든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a)단계의 스루풋 정보는 지정된 시간 내에 전송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b)단계의 헤더 정보는 자신과 통신하는 차량 정보와, 해당 경로의 스푸룻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하위 노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차량 간의 스루풋 정보를 기초로 최단시간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위 노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모바일)과 네트워크(인프라) 간의 부하를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개념을 이용하여, 인프라를 컨트롤러로 각 차량과 모바일을 컨트롤러의 하위 노드로 정의하여 네트워크 부하를 분산하여, 최적의 다량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네트워크 개념 도이다.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개념을 도입하여 인프라를 컨트롤러(10)로 설정하고, 나머지 차량 및 모바일을 하위 노드(21 - 25)로 설정한 것이다. 노드는 노드 A(Node A)(21), 노드 B(Node B)(22), 노드 C(Node C)(23), 노드 D(Node D)(24), 노드 E(Node E)(25)로 구성되고, 그 중 하나만 컨트롤러(10)와 직접적으로 통신을 하는 하위 노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노드를 5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적은 노드 또는 더 많은 노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작용 됨을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SDN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Software Defined Network)"이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네트워크 경로 설정과 제어 및 복잡한 운용관리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을 말한다.
과거에는 개별 네트워크 장비에서 제어 기능을 분리할 수 없었다. 그러나 SDN에서는 접근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 제어 영역이 분리되면서,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이 가능하여 네트워크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로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SDN은 네트워크 제어 기능이 물리적 네트워크와 분리돼 있는 구조다. 아키텍처는 크게 물리적인 인프라 레이어,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 나뉜다. 예컨대, SDN은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제어 기능이 기존의 스위치나 라우터 등의 하드웨어와 별도로 분리돼야 하고, 데이터 전달 기능과도 역시 분리돼 개발 및 실행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갖췄다.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은 인프라인 SDN 컨트롤러에 집중돼 있다. 그 결과 네트워크 운영자와 관리자는 분산돼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에서 손수 코드를 입력해서 관리하기보다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단순화해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다.
즉, SDN은 개방돼 있고 모듈화로 확장돼 있으면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 특징이다. 때문에 낮은 성능의 CPU가 장착된 하드웨어 스위치도 활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네트워크 제어 기능이 기존 스위치와 라우터 등 하드웨어와 분리돼 있어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SDN 개념을 C-ITS에 적용하여, 차량(또는, 모바일)과 네트워크(인프라) 간의 수많은 다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이하 네트워크라 함은 인프라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a)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개념을 통해, 인프라를 컨트롤러(10)로 각각의 차량(21 - 25)을 노드로 결정한 상태에서, 차량 간 통신을 통해 각 차량에서 이웃 차량 간의 스루풋(throughput)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 (b) 각각의 차량에서 컨트롤러인 인프라(10)에 헤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0), (c) 상기 인프라(10)에서 최단 시간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하 분산을 위해 자신과 통신할 하위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S30 - S40), (d) 상기 결정한 하위 노드를 통해 도로 정보를 모든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DN 개념을 통해 인프라를 컨트롤러(10)로 설정하고, 차량 및 모바일을 노드(21 - 25)로 설정한다.
이어, 단계 S10에서 노드인 차량(21 - 25)은 차량 간 통신(V2V)을 통해 각 차량에서 이웃 차량 간의 스루풋(throughput)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스루풋 정보는 지정된 시간 내에 전송된 정보를 포함한다. 이로써 차량 간에 서로 이웃 차량 간의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이어, 단계 S20에서 각각의 차량에서 컨트롤러인 인프라(10)에 헤더 정보를 전송한다. 여기서 헤더 정보는 자신과 통신하는 차량 정보와, 해당 경로의 스루풋 정보를 포함한다. 기존에는 하나의 컨트롤러와 그 하위 모든 노드들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모든 정보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데이터양도 많아지고, 이로 인해 데이터 처리 지연도 발생한다. 반면에 본 발명은 1차적으로 인프라(10)와 모든 노드(21 - 25) 들이 통신을 하되, 간단한 헤더 정보만을 송수신하여 전체적인 데이터양을 줄이고, 데이터 처리 지연도 억제한다.
다음으로, 단계 S30 및 S40에서 인프라(10)는 최단 시간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하 분산을 위해 자신과 통신할 하위 노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하위 노드 결정은, 헤더 정보에 포함된 각각의 차량 간의 스루풋 정보만을 이용하여, 최단시간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단 시간 라우팅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한 라우팅 경로를 기반으로 하위 노드를 결정한다. 상기 하위 노드의 결정은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최단시간 경로 계산 알고리즘은 데이터 통신 처리 분야에서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단계 S50에서 상기 결정한 하위 노드(예를 들어, 노드 C)를 통해 도로 정보를 모든 차량으로 전송한다.
예컨대, 도 1은 하위 노드로 노드 C(23)가 결정된 경우이다.
인프라(10)와 차량(21 -25) 간 통신 부하를 줄이기 위해, 상기 가정에서 얻은 헤더 정보를 바탕으로, 차량 C를 하위 노드로 결정하고, 상기 인프라(10)의 커버리지 안에 있는 모든 차량에게 도로 정보를 전달한다.
즉, 인프라(10)는 하위 노드(23)와만 통신을 하여, 도로 정보를 차량에게 전송한다. 하위 노드인 노드 C(23)는 노드 A(21), 노드 D(24) 및 노드 E(25)와 통신을 통해 도로 정보를 전송하며, 노드 A(21)는 다시 노드 B(22)와 연결되어 하위 노드(23)로부터 수신한 도로 정보를 노드 B(22)로 전송한다.
이로써 인프라는 자신의 커버리지내에 있는 모든 차량 들과 직접적으로 통신할 필요가 없으며, 스루풋을 이용한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위 노드만 결정하고, 그 하위 노드들과만 통신을 통해 도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식으로 부하를 분산함으로써, 전체적인 데이터 송수신 양을 줄임과 동시에 데이터 처리 시간도 단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인프라(컨트롤러)
21 - 25: 노드

Claims (5)

  1.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에서 SDN 개념을 적용하여 부하를 분산하는 방법으로서,
    (a)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개념을 통해, 인프라를 컨트롤러로 각각의 차량을 노드로 결정한 상태에서, 차량 간 통신을 통해 각 차량에서 이웃 차량 간의 스루풋(throughput)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각각의 차량에서 컨트롤러인 인프라에 헤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컨트롤러에서 최단 시간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하 분산을 위해 자신과 통신할 하위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트롤러에서 결정한 하위 노드를 통해 도로 정보를 모든 차량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는 스루풋 정보를 통해 이웃 차량 간에 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스루풋 정보는 지정된 시간 내에 전송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b)단계의 헤더 정보는 자신과 통신하는 차량 정보와, 해당 경로의 스루풋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서, 상기 (c)단계는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하위 노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5. 청구항 1에서, 상기 (c)단계는 차량 간의 스루풋 정보를 기초로 최단시간 경로 계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위 노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KR1020180164663A 2018-12-19 2018-12-19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KR102131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63A KR102131794B1 (ko) 2018-12-19 2018-12-19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663A KR102131794B1 (ko) 2018-12-19 2018-12-19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024A KR20200076024A (ko) 2020-06-29
KR102131794B1 true KR102131794B1 (ko) 2020-07-09

Family

ID=71400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663A KR102131794B1 (ko) 2018-12-19 2018-12-19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2781A (zh) * 2022-08-17 2022-09-13 北京理工大学 一种集中式软件定义的车道保持网络化控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061B1 (ko) * 2012-01-13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방법
JP5866111B2 (ja) * 2012-02-03 2016-02-17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ディスカバリー 株式会社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的ルーティング方法、及びそ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装置
KR101448944B1 (ko) * 2012-11-15 2014-10-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라우팅 장치
KR101668426B1 (ko) * 2014-12-12 2016-10-28 주식회사 케이티 Sdn 상에서 최적 경로 계산 시스템 및 방법
KR101535913B1 (ko) 2015-02-05 2015-07-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방향성 안테나 기반의 차량용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매체 접속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애드혹 네트워크 장치
KR101533087B1 (ko) 2015-02-09 2015-07-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개미 군집 최적화 기법 기반의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 라우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애드혹 네트워크 장치
KR102608190B1 (ko) * 2015-11-23 2023-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애드혹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101758326B1 (ko) 2015-12-29 2017-07-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네트워크에서의 부하 분산 방법
CN114900797A (zh) * 2016-12-30 2022-08-12 英特尔公司 用于无线电通信的方法和设备
KR20190138950A (ko) * 2018-06-07 2019-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이동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 He et al., "SDN enabled high performance multicast in vehicular networks", 2016 IEEE 84th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VTC-Fall), pp. 1-5, IEEE(2016.09.30.)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024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228B2 (en)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a multi-technology communication network
CN109565459B (zh) 无线通信网络中端点到边缘节点的交互
Abolhasan et al. Software-defined wireless networking: centralized, distributed, or hybrid?
Villas et al. Drive: An efficient and robust data dissemination protocol for highway and urban vehicular ad hoc networks
WO2018119667A1 (zh) 一种中继传输的方法、相关设备及系统
Ahmed et al. A comprehensive survey on handover management for vehicular ad hoc network based on 5G mobile networks technology
US11212213B2 (en) Link management and routing in hybrid mesh networks
EP333421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routing a data packet
Srivastava et al. Analysis of Quality of Service in VANET
Aparecido Data dissemination in vehicular networks: Challenges, solutions, and future perspectives
Purohit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various MANET routing protocols for adaptability in VANET environment
Elavarasan et al. An efficient fuzziness based contiguous node refining scheme with cross-layer routing path in WSN
KR102131794B1 (ko)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에서 차량-네트워크 간 부하 분산방법
Pirzadi et al. A novel routing method in hybrid DTN–MANET networks in the critical situations
Pandey et al. Advanced AODV routing based on restricted broadcasting of route request packets in MANET
Chbib et al. A cross‐layered scheme for multichannel and reactive routing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Ju et al. An efficient gateway discovery algorithm with delay guarantee for VANET-3G heterogeneous networks
WO2015048995A1 (en) Integration of cellular and ieee 802.11 networks in vanets
Hakiri et al. Software-defined wireless mesh networking for reliable and real-time smart city cyber physical applications
Kasana et al. Multimetric next hop vehicle selection for geocasting in vehicular ad-hoc networks
Soni et al. A bandwidth-efficient and quick response traffic congestion control qos approach for VANET in 6G
Abada et al. Improving relay selection scheme for connecting VANET to internet over IEEE 802.11 p
Ahmed An effective handover management based on SINR and software‐defined network over urban vehicular ad hoc networks
Abd El-atty et al. Interoperability Framework for Vehicular Connectivity in Advanced Heterogeneous Vehicular Network
Ye et al. Intelligent Resource Management for Network Slicing in 5G and Beyo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