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616B1 -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616B1
KR102131616B1 KR1020120142214A KR20120142214A KR102131616B1 KR 102131616 B1 KR102131616 B1 KR 102131616B1 KR 1020120142214 A KR1020120142214 A KR 1020120142214A KR 20120142214 A KR20120142214 A KR 20120142214A KR 102131616 B1 KR102131616 B1 KR 10213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door
air
indoor unit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2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74047A (en
Inventor
홍준기
박찬정
홍현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616B1/en
Publication of KR2014007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5Power, e.g. by voltage or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청정신호가 입력되면 유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고, 온도조절신호가 입력되면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가스로 냉각 또는 가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는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서 사용된 냉매가스를 압축 및 상변환하여, 상기 실내기로 재공급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여부를 판별하는 연결감지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연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purifying filter that filters contaminants contained in incoming indoor air when an air cleaning signal is input. An indoor unit operating in a mode and operating in a temperature control mode to control the indoor temperature by cooling or heating the incoming indoor air with refrigerant gas when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is input; An outdoor unit that compresses and phase-converts refrigerant gas used in the indoor unit and supplies it to the indoor unit again; And after performing a connection detection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outputs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when the connection is detected,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if the connection is not detected Can.

Figure R1020120142214
Figure R1020120142214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Air conditioning system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ontrol method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기와 실외기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that can be used separately from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간에 적정 온도와 습도를 갖도록 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구성 부품이 하나의 제품 안에 구비되는 일체형과,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다. 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for supplying air harmonized to have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an indoor space, and can be divided into an integral type in which component parts are provided in one product and a separate type that is divided into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매가스를 압축, 응축, 팽창 그리고 증발시키는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여 실내 공간의 공기를 냉방할 수 있으며, 특히,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외기에서 냉매가스를 압축 및 응축한 후, 실내기에 상기 냉매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실내기에서 냉매가스를 팽창 및 증발하는 방식으로 실내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can cool the air in the indoor space by performing a refrigeration cycle of compressing, condensing, expanding, and evaporating the refrigerant ga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eparate air conditioner, after compressing and condensing the refrigerant gas in an outdoor unit, the indoor unit By supplying the refrigerant gas to the indoor air can be cooled by expanding and evaporating the refrigerant gas in the indoor unit.

다만,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내기와 실외기 모두 고정된 위치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에 필터 등을 포함하여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도, 상기 실내기가 고정된 위치 주변에 대하여만 공기청정이 가능하였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etachable air conditioner, it is common to use both indoor and outdoor units at fixed locations. Therefore, even if the indoor unit can perform an air cleaning function by including a filter or the like, air cleaning is possible only around a fixed position of the indoor unit.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6003호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16003

본 발명은 실내기와 실외기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er that can be used separately from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청정신호가 입력되면 유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고, 온도조절신호가 입력되면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가스로 냉각 또는 가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는 실내기; 상기 온도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 및 상변화하여, 상기 실내기로 재공급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에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 이상 변화하지 않으면,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n air cleaning mode that filter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coming indoor air when an air cleaning signal is input, and cools the incoming indoor air when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is input. An indoor unit operating in a temperature control mode that controls indoor temperature by cooling or heating with gas; An outdoor unit for compressing and phase-changing the refrigerant ga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and re-supplying it to the indoor unit; And a controller that outputs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is disconnected, and outputs the air cleaning signal if the indoor temperature does not change ove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range for a preset time. It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청정신호가 입력되면 유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고, 온도조절신호가 입력되면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가스로 냉각 또는 가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는 실내기; 상기 온도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 및 상변화하여, 상기 실내기로 재공급하는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여부를 판별하는 연결감지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냉방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연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an air cleaning mode that filter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coming indoor air when an air cleaning signal is input, and cools the incoming indoor air when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is input. An indoor unit operating in a temperature control mode that controls indoor temperature by cooling or heating with gas; An outdoor unit for compressing and phase-changing the refrigerant ga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and re-supplying it to the indoor unit; And after performing a connection detection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outputs the cooling signal when the connection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for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if the connection is not detected may be included have.

여기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냉매가스를 전송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가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에서 탈착되면, 분리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탈착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air conditioner is a pipe connecting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o transmit the refrigerant gas; And a detachment sensor that outputs a sepa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piping unit is detached from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air cleaning signal when the separation signal is input.

여기서 상기 탈착센서는,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와 접점을 형성하는 돌기; 및 상기 배관부와 상기 실내기가 결합하면 상기 돌기에 의하여 입력부에 압력이 인가되고, 상기 입력부에 인가되는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분리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esorption sensor includes a projection provided on the piping portion to form a contact with the indoor unit; And a micro switch that outputs the separation signal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input unit by the protrusion when the pipe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upled, 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put unit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탈착센서는,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와 접점을 형성하는 자석; 및 상기 배관부와 상기 실내기가 결합하면 상기 자석의 자기장에 의하여 스위치가 폐쇄되고, 상기 자기장이 해제되면 상기 스위치가 개방되면서 상기 분리신호를 출력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desorption sensor includes a magnet provided on the piping portion to form a contact with the indoor unit; And a reed switch outputting the separation signal while the switch is closed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when the piping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upled, and the switch is opened when the magnetic field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의 전원공급단자에 포함된 분리판별용 단자에 기 설정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Here, if the current or voltage of a predetermined size is not applied to the separ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utdoor unit, 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air cleaning signal.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냉매가스에 대한 압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Here, if the compression of the refrigerant gas is not sensed within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may output the air cleaning signal.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 및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기의 냉매가스 압축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may detect whether or not refrigerant gas is compressed in the outdoor unit by us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and current used in the outdoor unit.

여기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유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냉매가스의 열팽창에 따른 흡열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액화된 냉매가스의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실내열교환부; 및 공기흐름을 형성하여 상기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기 내부로 유입하는 실내팬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indoor unit, a filter unit for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coming indoor air; An indoor heat exchange unit that cools the indoor air using an endothermic action according to thermal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gas or heats the indoor air using an exothermic action of liquefied refrigerant gas; And an indoor fan that forms an air flow to introduce the indoor air into the indoor unit.

여기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에서 팽창된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된 냉매가스를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냉매가스를 액화하거나, 상기 냉매가스를 열팽창하여 기화하는 실외열교환부; 및 공기흐름을 형성하여 상기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기에 공급하는 실외팬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utdoor unit, a compression unit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gas expanded in the indoor unit; An outdoor heat exchange unit that heat-exchang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gas with outdoor air, and liquefies the refrigerant gas or thermally expands the refrigerant gas; And an outdoor fan that forms an air flow and supplies the outdoor air to the outdo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청정모드 또는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가 냉방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실내기로 냉매가스를 제공하는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감지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이 감지되면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연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연결판별단계; 상기 온도조절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냉매가스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고, 상기 실외기는 상기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 및 상변화하여 상기 실내기로 공급하는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는 온도조절동작단계; 및 상기 공기청정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실외기의 동작은 중단하는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는 공기청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unit operating in an air cleaning mode or a temperature control mode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ignal, and providing refrigerant gas to the indoor unit when the indoor unit operates in a cooling mode.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an outdoor unit, and performs a connection detection operation to detect a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outputs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when the connection is detected, and air if the connection is not detected. A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of outputting a clean signal;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is output, the indoor unit cools or heats the incoming air using the refrigerant gas, and the outdoor unit operates in a temperature control mode that compresses and phase changes the refrigerant gas again and supplies it to the indoor unit.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step; And when the air cleaning signal is output, it may include an air cleaning step of operating in an air cleaning mode to filter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indoor unit using a filter unit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여기서 상기 연결판별단계는, 상기 실내기에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실내온도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내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 이상 변화하지 않으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determining step includes: outputting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unit; Measuring a temperature change of the room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f the indoor temperature does not change over a preset temperature range,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여기서 상기 연결판별단계는, 탈착센서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냉매가스를 전송하는 배관부의 탈착을 감지하여 분리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nection comprises: a detachment sensor connecting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o detect desorption of a pipe unit transmitting the refrigerant gas, and outputting a separation signal; And when the separation signal is detected,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여기서 상기 연결판별단계는, 상기 실외기의 전원공급단자에 포함된 분리판별용 단자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전기신호의 크기의 이하이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in, the connection determining step includes: sensing an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separation discriminating terminal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utdoor unit; And if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preset electrical signal,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여기서 상기 연결판별단계는, 상기 실외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외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전력량의 크기 이하이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on determining step includes: measuring a size of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outdoor unit; And if the size of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outdoor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olution means of the above-mentioned subject does not list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is invention.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may be understoo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에 의하면,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연결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기를 따로 분리하여 별도의 공기청정기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여름철에 실내 냉방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었던 공기조화장치의 활용도를 높여 4계절 내내 공기청정기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door temperature by connecting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and separate the indoor unit and use it as a separate air purifier It is possible to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air conditioner, which was mainly used for indoor cooling in the summer, and use it as an air purifier throughout the four season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외기와 분리된 후, 실내기의 위치에 대한 제한이 없으므로, 상기 실내기를 위치를 자유롭게 옮겨 가면서 공기청정기로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outdoor unit,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location of the indoor unit, so that the indoor unit can be freely moved and utilized as an air purifier. Ca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면 자동으로 상기 실내기는 공기청정기로 동작한다. 즉, 상기 실내기를 공기청정기로 이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separated, the indoor unit automatically operates as an air cleaner. That is,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set separately to use the indoor unit as an air purifi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공기청정모드 및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ir cleaning mode and a cooling mode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directly connected', but also'indirectly connected' with other elements in between. Includes. In addition, "including" a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stead of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기(10), 실외기(20), 제어부(30) 및 배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ndoor unit 10, an outdoor unit 20, a control unit 30, and a piping unit 40.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종래의 공기조화기(특히, 에어컨 등)는, 냉매가스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실내기와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 및 응축하는 실외기를 배관부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별도로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는 전혀 예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실내기 내부에 필터부와 실내팬 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내기만을 따로 분리하여 공기청정기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especially, an air conditioner, etc.) is configured to connect an indoor unit that cools indoor air using refrigerant gas and an outdoor unit that compresses and condenses the refrigerant gas through a piping unit.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t is not intended to separately use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separately. Therefore, even when the indoor unit includes a configuration such as a filter unit and an indoor fan, only the indoor unit is separated and air is separated. It was not possible to use it as a purifier.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상기 실내기를 별도의 공기청정기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상기 실내기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의 공기청정기로서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indoor unit as a separate air purifier,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eparately move only the indoor unit.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unit as an air purifier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냉매가스를 실외기에서 압축 및 응축한 후 실내기에서 팽창하는 순방향의 순환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상기 냉매가스를 실외기에서 팽창 및 압축하고 실내기에서 응축하는 역방향의 순환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상기 냉매가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공기에 대한 냉각 및 가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esses and condenses refrigerant gas in an outdoor unit and then cools the indoor air using forward circulation that expands in the indoor unit, or expands and compresses the refrigerant gas in an outdoor unit. The indoor air can be heated by using a reverse circulation condensing in the indoor unit. That is,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door temperature by performing at least one of cooling and heating for the indoor air by using the circulation of the refrigerant ga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는, 필터부(11), 실내열교환부(12) 및 실내팬(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온도센서(14, 14'), 습도센서(15) 및 먼지센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door unit 1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lter unit 11, an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and an indoor fan 13, and additionally a temperature sensor 14 , 14'), a humidity sensor 15 and a dust sensor 16.

필터부(11)는, 상기 실내기(10)로 유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11)는 복수개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처리 필터(prefilter), 헤파 필터(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탈취필터 및 각종 기능성 필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처리 필터는 비교적 큰 먼지나 머리카락, 애완동물의 털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능성 필터는 항균, 꽃가루, 집진드기, 세균, 박테리아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헤파 필터는 미세한 먼지, 실내 곰팡이 등 각종 세균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탈취 필터는 실내의 각종 악취와 유해가스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필터, 기능성 필터, 헤파 필터 및 탈취필터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에서 사용되는 필터라면 어떠한 것도 상기 필터부(11)에 포함하여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lter unit 11 may filter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indoor unit 10. Here, the filter unit 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lters, and may include a prefilter, a HEPA filter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a deodorizing filter, and various functional filters. The pre-treatment filter can remove relatively large dust, hair, and pet hair, and the functional filter can remove antibacterial, pollen, tick, bacteria, and bacteria. In addition, the HEPA filter can remove various types of bacteria, such as fine dust and mold, and the deodorizing filter can function to remove various odors and harmful gases in the room. In addition to the pretreatment filter, the functional filter, the HEPA filter and the deodorizing filter, any filter that is generally used in an air purifier can include any filter in the filter unit 11 to perform an air cleaning function.

실내열교환부(12)는, 냉매가스의 열팽창에 따른 흡열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유입된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액화된 냉매가스를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may cool the introduced indoor air by using an endothermic action according to thermal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gas, or heat the indoor air by using the exothermic action of the liquefied refrigerant gas.

상기 실내열교환부(12)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냉각하는 경우에는, 실외기(20)의 압축부(21)에서 상기 냉매가스가 압축되고 실외열교환부(22)에서 액화된 후, 상기 실내열교환부(12)로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냉매가스는 상기 실내열교환부(12)에서 기화, 팽창하여 상기 실내기(10)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에 포함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부(12)에서 열을 빼앗기고 냉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된 실내공기는 온도가 낮아지면 이슬점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액화되어 상기 실내공기의 습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부(12)는 실내공기의 냉각동작뿐만 아니라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제거하는 제습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When cooling the indoor air using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after the refrigerant gas is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unit 21 of the outdoor unit 20 and liquefi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Thereafter, the refrigerant gas may be vaporized and expand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to absorb hea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 That is, the introduced indoor air may be taken away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and cooled. At this tim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troduced indoor air decreases, a dew point may be reached, and in this cas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indoor air may be liquefied to lower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Therefore, the heat exchange part 12 may perform not only the cooling operation of the indoor air, but also a dehumidifying operation for removing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indoor air.

반면에, 상기 실내열교환부(12)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경우에는, 실외기(20)의 실외열교환부(22)에서 액화된 상태의 냉매가스가 기화, 팽창할 수 있으며, 상기 기화된 냉매가스는 상기 압축부(21)에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로 압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는 상기 실내열교환부(12)로 전송되어 유입되는 실내공기에 열을 공급하고 액화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가 실내열교환부(12)에서 발열하여 실내공기에 열을 빼앗기고 액화되어 응축될 수 있다. 이후, 액화된 냉매가스는 다시 상기 실외기(20)의 실외열교환부(22)로 전송되어, 상기 실외열교환부(22)에서 기화 및 팽창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oor air is heated using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the refrigerant gas in the liquefied state in the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of the outdoor unit 20 may vaporize and expand, and the vaporized The refrigerant gas may be compressed by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gas in the compression unit (21). Thereafter,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gas may be transferred to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to supply heat to the inflowing indoor air and be liquefied. That is,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refrigerant gas may be generated in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to take heat away from the indoor air, liquefy and condense. Thereafter, the liquefied refrigerant gas is transmitt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of the outdoor unit 20 again, and may be vaporized and expanded in the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실내팬(13)은 상기 실내기(10) 내부에 구비된 모터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에 의하여 필터부(11)로 유입되어 실내열교환부(12)를 거쳐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팬(13)의 회전으로 형성된 공기흐름에 의하여, 실내기(10) 외부의 실내공기가 상기 실내기(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실내기(10)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필터부(11)에 의하여 여과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열교환부(12)에 의하여 냉각되거나 가열될 수 있다. The indoor fan 13 can be rotated by a motor provided inside the indoor unit 10, and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11 by the rotation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Can form. That is, indoor air outside the indoor unit 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 by the air flow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indoor fan 13. Thereafter,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door unit 10 may b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11, and may be cooled or heated by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추가적으로, 상기 실내기(10)는 내부에 포함된 센서들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 습도 및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온도센서(14)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공기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습도센서(15)를 이용하여 실내공기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먼지센서(16)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14), 습도센서(15) 및 먼지센서(16)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실내기(10)의 동작 제어를 달리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센서(14)가 측정한 온도값을 바탕으로 상기 열교환부(12)가 냉각하는 실내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습도센서(15)가 측정한 습도값을 바탕으로 상기 열교환부(12)에서의 제습동작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센서(16)가 측정한 오염도를 기준으로, 상기 필터부(11)에 의한 공기청정기능의 수행정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실내팬(13)의 회전속도 및 운전시간, 상기 열교환부(12)의 운전시간 및 운전주기를 조절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냉각정도, 제습정도 및 공기청정기능의 수행정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들의 측정값에 따른 실내기(10)의 동작제어는 제어부(3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실내열교환부(12)에도 온도센서(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온도센서(14')를 이용하여 상기 열교환부(12)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Additionally, the indoor unit 10 may measure temperature, humidity, and pollution of the indoor air using sensors included therein.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can be measured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14, and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can be measured using the humidity sensor 15. In additi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indoor air can be measured using the dust sensor (16). Here,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indoor unit 1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temperature sensor 14, the humidity sensor 15, and the dust sensor 16.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cooled by the heat exchanger 12 is adjusted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14 or the heat exchange is performed based on the humidity value measured by the humidity sensor 15. The degree of dehumidifying operation in the part 12 can be adjust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the air cleaning function by the filter unit 11 based o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measured by the dust sensor 16. Here, the cooling speed, the dehumidification degree and the performance degree of the air cleaning function, etc. ar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rotation speed and operation time of the indoor fan 13, the operation time and operation cycle of the heat exchanger 12, and the like. Can be controlled. Here,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indoor unit 10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nsors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30. In addition,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may also be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14', and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 unit 12 using the temperature sensor 14'.

상기 실내기(10)는 필터부(11) 및 실내열교환부(12)를 포함하므로, 앞서 살핀바와 같이, 공기청정동작 및 온도조절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10)는 공기청정동작이나 온도조절동작 중 어느 하나만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청정동작과 함께 온도조절동작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실내기(10)가 상기 실외기(20)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동작이나 제습동작을 수행할 수 없으며 공기청정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Since the indoor unit 10 includes a filter unit 11 and an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air cleaning operation and a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as previously described. Here, the indoor unit 10 may perform only one of the air cleaning operation and the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the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together with the air cleaning operation. In particular, when the indoor unit 10 is separated from the outdoor unit 20, the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or the dehumidification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and only the air clea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상기 실내기(10)의 동작은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실내기(10)는 상기 제어부(30)가 공기청정신호(Ctr_clean)을 입력하면 공기청정동작을 수행하고, 온도조절신호(Ctr_cool)가 입력되면 온도조절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30)에서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의 분리가 감지되면, 상기 공기청정신호(Ctr_clean)를 출력하여 상기 실내기(10)가 공기청정기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0, and the indoor unit 10 performs an air cleaning operation when the control unit 30 inputs an air cleaning signal Ctr_clean, and the temperature When the control signal Ctr_cool is input, a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particular, when the separation of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is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30, the indoor air cleaner 10 may be operated as an air cleaner by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Ctr_clean.

도2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2(a)와 같이, 실내기(10)를 실외기(20)와 분리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기(10)는 실외기(20)와 분리되어 온도조절동작이나 제습동작을 수행할 수 없으나, 상기 실내기(10)의 내부에 포함된 필터부(11) 및 실내팬(13)을 이용하여 공기청정기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를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실내에 복수개의 방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10)를 이동하여 각각의 방에서 상기 실내기(10)의 공기청정기능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 show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s shown in FIG. 2(a), the indoor unit 10 may be used separately from the outdoor unit 20. That is, the indoor unit 10 is separated from the outdoor unit 20 and cannot perform a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or a dehumidification operation, but uses the filter unit 11 and the indoor fan 13 included in the interior unit 10. It can be used as an air purifier.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a), since the indoor unit 10 can be freely moved and used, convenience in use can be improved. Fo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ooms in the room, it is possible to move the indoor unit 10 to utilize the air cleaning function of the indoor unit 10 in each room.

도2(b)는 상기 실내기(10)가 실외기(20)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실내기(10)는, 고정된 위치에서 상기 실외기(20)로부터 냉매가스를 제공받아 온도조절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에어컨이나 온풍기 등과 같이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2(b)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상기 배관부(40)만 연결되면 상기 실내기(10)를 이동하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실외기(20)의 위치를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
FIG. 2(b)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indoor unit 10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20. In this case, the indoor unit 10 receives a refrigerant gas from the outdoor unit 20 at a fixed position, thereb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You can do That is, it can be utilized as a conventional general air conditioner or a warm air fan. However, since FIG. 2(b) shows an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indoor unit 10 while moving the indoor unit 10 only when the piping unit 40 is connected. In some cases,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position of the outdoor unit 20.

실외기(20)는 온도조절신호(Ctr_cool)에 따라 냉매가스를 압축 및 상변화하여 상기 실내기(10)에서 냉방동작이나 가열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냉방동작시에는 상기 실내기(10)에서 기화, 팽창된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 및 응축 처리하여 상기 실내기(10)로 다시 공급할 수 있으며, 가열동작시에는 상기 실외기(20)에서 팽창된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상기 실내기(10)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기(20)는 압축부(21), 실외열교환부(22) 및 실외팬(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door unit 20 may compress and phase change the refrigerant ga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Ctr_cool to perform the cooling operation or the heating operation in the indoor unit 10. That is, during the cool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gas that has been evaporated and expanded in the indoor unit 10 may be compressed and condensed again to be supplied back to the indoor unit 10, and during the heating operation, the refrigerant gas expanded in the outdoor unit 20 By compressing again, a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gas may be supplied to the indoor unit 10. Specifically, the outdoor unit 20 may include a compression unit 21, an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and an outdoor fan 23.

압축부(21)는, 전기에너지에 의하여 구동하는 펌프를 이용하여 팽창된 냉매가스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팽창된 냉매가스를 압축하게 되면,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21)에서 생성된 고온 고압의 냉매가스는 이후 실외열교환부(22)나 실내열교환부(12)로 공급될 수 있다. The compression unit 21 may compress the expanded refrigerant gas using a pump driven by electric energy. When the expanded refrigerant gas is compressed,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gas may be generated.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gas generated in the compression unit 21 may then be supplied to the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or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실외열교환부(22)는, 상기 압축된 냉매가스를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냉매가스를 액화하거나, 실내기(10)가 공급하는 액화된 냉매가스를 실외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냉매가스를 기화 및 팽창시킬 수 있다.The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exchang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gas with outdoor air flowing in to liquefy the refrigerant gas, or heats the liquefied refrigerant gas supplied by the indoor unit (10) with outdoor air to vaporize the refrigerant gas. And expandable.

여기서, 실외팬(23)은 상기 실외열교환부(22)로 상기 실외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상기 실외팬(23)의 회전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흐름에 의하여 상기 실외열교환부(22)는 강제로 열교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실외기(20)에서 압축 및 상변화된 냉매가스는 배관부(40)를 따라 상기 실내기(10)로 공급될 수 있다. Here, the outdoor fan 23 is to supply the outdoor air to the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the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is forced to heat exchange by the air flow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outdoor fan 23 can do. Thereafter, the refrigerant gas compressed and phase-changed in the outdoor unit 20 may be supplied to the indoor unit 10 along the pipe portion 40.

상기 실외기(20)는 상기 냉매가스의 압축 및 상변화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실내기(10)가 분리되어 공기청정기로 동작하면 상기 실외기(20)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The outdoor unit 20 is configured for compression and phase change of the refrigerant gas, and when the indoor unit 10 is separated and operated as an air cleaner, the outdoor unit 20 may not be used.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는 실외기(20)와 분리되어 별도의 공기청정기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 사이의 연결여부를 판별하는 연결감지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감지결과에 따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분리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실내기(10)는 공기청정기로 동작하므로 공기청정신호(Ctr_clean)를 출력하여 상기 실내기(10)를 공기청정기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door unit 10 may be separated from the outdoor unit 20 and operate as a separate air cleane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 may perform a connection detection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connected, and may be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onnection detection result.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separated, since the indoor unit 10 operates as an air cleaner, the air cleaner signal Ctr_clean is output to control the indoor unit 10 with an air cleaner. can do.

반면에,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결합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실내기(10)는 온도조절기능 및 제습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온도조절신호(Ctr_cool)를 출력하여 상기 실내공기의 실내온도를 조절하거나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실외기(20)의 동작은 중단하고 실내기(10)를 구동하여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결합된 경우에도 사용자의 입력이나 설정상태에 따라 상기 공기청정신호(Ctr_clean)을 출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combined, the indoor unit 10 may perform a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and a dehumidification function. Therefore, the control unit 30 may output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Ctr_cool to adjust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indoor air or the humidity of the indoor air. Additionally, wh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connected,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20 and drive the indoor unit 10 to operate in an air cleaning mode. Accordingly, even wh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combined, the control unit 30 may output the air cleaning signal Ctr_clean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setting state.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감지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 사이의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다양한 방법의 연결감지동작을 설명한다.
Here, the control unit 40 may perform a connection detection operation in various ways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is performed. Hereinafter, the connection detection operation of the various methods will be described.

먼저, 탈착센서(50)에서 분리신호(Sig_div)가 출력되어 상기 제어부(30)로 입력되면,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분리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공기청정신호(Ctr_clean)을 출력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센서(50)는 배관부(40)가 상기 실내기(10)에서 탈착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상기 탈착센서(50)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 리드 스위치(reed switch), 홀 센서(hall sensor), 또는 압력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when the separation signal Sig_div is output from the detachable sensor 50 and input to the control unit 30,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separated and outputs the air cleaning signal Ctr_clean. can do. As illustrated in FIG. 1, the desorption sensor 50 may determine whether the piping unit 40 is detached from the indoor unit 10, and the desorption sensor 50 is a micro switch, It may include a reed switch (reed switch), a hall sensor (hall sensor), or a pressure sensor.

예를들어, 상기 마이크로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탈착센서(50)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기(10)에 마이크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실내기(10)와 연결되는 배관부(40)의 끝단에 돌기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실내기(10)와 접점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실내기(10)와 배관부(40)가 연결되면 상기 돌기는 상기 마이크로 센서의 입력부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가 상기 마이크로 센서의 입력부에 삽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센서는 상기 돌기의 삽입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배관부(40)와 상기 실내기(10)가 분리되면, 상기 돌기는 상기 마이크로 센서의 입력부에 더 이상 압력을 인가하지 않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전기적 신호의 생성이 중단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센서는 상기 배관부(40)의 돌기에 의한 압력인가가 해제된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신호(Sig_div)를 출력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detachable sensor 50 is implemented using the micro sensor, a micro sensor is provided in the indoor unit 10, and an end portion of a piping unit 40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10 is provided. Protrusions can be provided. The protrusion forms a contact point with the indoor unit 10. Wh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piping unit 40 are connected, the protrusion may apply pressure to the input of the micro sensor. That is, the protrusion can be implemented to be inserted into the input portion of the micro sensor. In this case, the micro-sensor can detect the insertion of the protrusion and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o this. Then, when the piping part 40 and the indoor unit 10 are separated, the protrusion no longer applies pressure to the input of the micro sensor, and in this case, the genera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may be interrupted or deformed. have. Therefore, the micro-sensor can detect that the pressure application due to the projection of the piping portion 40 is released, and output the separation signal Sig_div correspondingly.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탈착센서(50)로서 리드 스위치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기(10)에 상기 리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부(40)의 끝단에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배관부(40)와 상기 실내기(10)가 연결되면, 상기 배관부(40)의 끝단에 구비된 자석의 자기장에 의하여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이 닫힐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부(40)가 상기 실내기(10)에서 분리되면, 상기 배관부(40)의 끝단에 구비된 자석이 멀어지게 되어,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은 더 이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개방되며, 상기 전기적 신호의 생성은 중단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접점의 개방으로부터 상기 배관부(40)와 실내기(10)의 연결 해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분리신호(Sig_div)를 출력할 수 있다. In a similar way, a reed switch can be used as the detachable sensor 50. That is, the indoor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the reed switch, and a magnet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pipe portion 40. Thereafter, when the pipe 40 and the indoor unit 10 are connected, a contact of the reed switch may be closed by a magnetic field of a magnet provided at an end of the pipe 40, and an electrical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generated. Can be generated. Here, when the pipe portion 40 is separated from the indoor unit 10, the magnet provided at the end of the pipe portion 40 is moved away, and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can no longer be kept closed and open. The generation of the electrical signal may be interrupted or modified. Accordingly, the reed switch can detect disconnection of the piping unit 40 and the indoor unit 10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ct point, and may output the separation signal Sig_div correspondingly.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는 경우는, 상기 배관부(40) 끝단에 의한 압력이 상기 압력센서에 인가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상기 배관부(40)와 실내기(10) 사이의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관부(40) 끝단에 위치한 자석에 의한 자기장의 세기의 변화를 상기 홀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여, 상기 배관부(40)와 실내기(10) 사이의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When using the pressure sensor,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ping unit 40 and the indoor unit 10 is based on whether or not pressure from the end of the piping unit 40 i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In addition, when using the hall sensor, the change i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by the magnet located at the end of the pipe portion 40 is detected through the hall sensor,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pipe portion 40 and the indoor unit 10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여기서는, 상기 마이크로 센서, 리드 스위치, 압력센서 및 홀 센서가 실내기(10)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대로 상기 배관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내기(10)와 배관부(40)의 연결이 아니라, 상기 실외기(20)와 배관부(40)의 연결여부를 통하여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의 연결여부를 판별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micro sensor, the reed switch, the pressure sensor and the hall sensor are exemplified in the case where they are located in the indoor unit 10,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be located in the pipe portion. In addi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is determined through whether or not the outdoor unit 20 and the pipe unit 40 are connected, rather than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pipe unit 40. It is also possible.

여기서, 상기 실내기(10)와 상기 배관부(40)는 원터치 니플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부(40)와 실내기(10)를 연결할 때 조이거나 푸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없으므로, 별도의 공구없이 용이하게 실내기(10)와 배관부(40)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와 배관부(40) 사이에도 상기 원터치 니플구조가 활용될 수 있다.
Here, the indoor unit 10 and the piping portion 40 may be connected in a one-touch nipple structure. That is, when connecting the piping unit 40 and the indoor unit 10,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tightening or loosening, so that the indoor unit 10 and the piping unit 40 can be easily connected or disconnected without a separate tool. have. The one-touch nipple structure may also be utilized between the outdoor unit 10 and the pipe portion 40.

또한, 제어부(30)는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의 연결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실내기(10)에 온도조절신호(Ctr_cool)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온도조절신호(Ctr_cool)에 따라, 실외기(20)에서 압축 및 상변화된 냉매가스가 상기 실내기(1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는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으며, 실내온도는 변화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분리된 상태이면, 상기 온도조절신호(Ctr_cool)에 불구하고 상기 실외기(20)의 냉매가스는 상기 실내기(10)로 유입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실내기(10)에서의 실내공기 냉각이나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온도조절신호(Ctr_cool)를 출력하여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한 후, 상기 온도센서(14)의 실내온도(Sig_temp)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의 결합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에 온도조절신호(Ctr_cool)을 출력한 후, 기 설정된 시간동안 실내온도(Sig_temp)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 이상 변화하지 않으면,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분리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공기청정신호(Ctr_clean)을 출력하여, 상기 실내기(10)를 공기청정기로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14 )는 상기 실내열교환부(12)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실내온도(Sig_tem)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부(12)의 온도가 변화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온도조절동작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may output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Ctr_cool) to the indoor unit 1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connected. That is, when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connected, refrigerant gas compressed and phase-changed in the outdoor unit 20 may be supplied to the indoor unit 1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Ctr_cool. Therefore, the indoor unit 10 may cool or heat the incoming indoor air, and the indoor temperature may change. On the other hand, if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separated, the refrigerant gas of the outdoor unit 20 does not flow into the indoor unit 10 despite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Ctr_cool. That is, indoor air cooling or heating in the indoor unit 10 is not perform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 outputs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Ctr_cool to cool or heat the indoor air, and then detects the change in the indoor temperature (Sig_temp) of the temperature sensor 14 in the indoor uni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mbination of the (10) and the outdoor unit (20). Here, after outpu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Ctr_cool) to the indoor unit, if the indoor temperature (Sig_temp) does not change over the preset temperature range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separated. can do. Thereafter, the control unit 30 may output the air cleaning signal Ctr_clean and use the indoor unit 10 as an air cleaner. Here, the temperature sensor 14 ma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 part 12 to be the indoor temperature (Sig_tem). That i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heat exchange unit 12 changes.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실외기(20)의 전원공급단자에 포함된 분리판별용 단자에 인가되는 전류 또는 전압의 크기를 감지하여, 상기 실내기(10) 및 실외기(20)의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기(20)의 실외팬(23), 압축부(21) 등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동작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외기(20)는 전원연결코드를 통하여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20)의 전원공급단자에 상기 전원연결코드를 연결한 후, 상기 전원연결코드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상기 실외기(20)에 상용교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단자에는 분리판별용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용교류전원에 상기 전원연결코드가 연결되면 상기 분리판별용 단자로 기 설정된 크기의 전류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별용 단자에 상기 기 설정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실외기(20)에 대한 전원공급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실외기(20)에 전원이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실외기(20)는 동작할 수 없으므로,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는 분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20)는 상기 분리판별용 단자에 기 설정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음을 제어부(30)에 알릴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공기청정신호(Ctr_clean)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detects the amount of current or voltage applied to the separ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utdoor unit 20,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connected. Can discriminate. Specifically, since the outdoor fan 23, the compression unit 21, etc. of the outdoor unit 20 may operate only when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he outdoor unit 20 receives external power through a power connection cord. Can. That is, after connecting the power connection cor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utdoor unit 20, the commercial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outdoor unit 20 by connecting the power connection cord to an outlet. Here, the power supply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terminal, and when the power connection cord is connected to the commercial AC power, a current or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ay be applied to the separation termi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outdoor unit 20 is supplied with power by detecting whether a current or voltage of the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terminal for separation. If the power is not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20, since the outdoor unit 20 cannot operate,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may be considered to be separated. Accordingly, the outdoor unit 20 may inform the control unit 30 that a current or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not applied to the separation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30 outputs the air cleaning signal Ctr_clean. can do.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부(30)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냉매가스에 대한 압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실내기(10)와 실외기(20)가 분리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의 실내열교환부(12)에서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기 위해서는 냉매가스가 압축되고 상변화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 및 상변화하는 실외기(20)의 압축부(21) 및 실외열교환부(22)가 동작하여야, 상기 실내기(10)가 실내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압축부(21)가 냉매가스를 압축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실내기(10) 및 실외기(20)의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부(21)의 재기동시간이 통상 3분정도되므로, 상기 실내기(10)를 냉방운전한 후 5분 이내에 상기 압축부(21)가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실내기(10)가 분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압축부(21)에 인가되는 전류값의 변화나, 상기 실외기(20)에서 소모되는 소비 전력량을 통하여 상기 압축부(21)에서의 냉매가스의 압축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if the compression of the refrigerant gas is not detected within a preset time, the control unit 30 may determine that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separat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ol or heat the indoor air flowing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 part 12 of the indoor unit 10, the refrigerant gas needs to be compressed and phase-changed. That is, the compression unit 21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 unit 22 of the outdoor unit 20 that compresses and phase-changes the refrigerant gas must operate, so that the indoor unit 10 can cool or heat the indoor ai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 may detect whether the compression unit 21 compresses the refrigerant gas, and determine whether the indoor unit 10 and the outdoor unit 20 are connected. Specifically, since the restart time of the compression unit 21 is usually about 3 minutes, if the compression unit 21 does not operate within 5 minutes after cooling the indoor unit 10, the indoor unit 10 is separated. It can be regarded as being done. Here,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refrigerant gas is compressed in the compression unit 21 through a change in the current value applied to the compression unit 21 or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outdoor unit 20. You may.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은, 연결판별단계(S10), 온도조절동작단계(S20) 및 공기청정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determining step (S10), a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step (S20) and an air cleaning step (S30).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연결판별단계(S10)는,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감지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실외기로부터 압축 및 상변화된 냉매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실내공기에 대한 냉각이나 가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경우에는 실외기로부터 냉매가스를 공급받을 수 없으므로, 상기 실내공기 냉각이나 가열동작은 수행할 수 없으며, 상기 실내기에 구비된 필터 등을 이용한 공기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판별단계(S10)에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것으로 판별되면,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실내기가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연결된 것으로 판별되면,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하여 실내기가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실내공기를 냉각이나 가열하지 않고 공기청정기능만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여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10 ), a connection detection operation for detec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connected. Here, wh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connected, since the compressed and phase-changed refrigerant gas can be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for the indoor air can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separated, since the refrigerant gas cannot be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the indoor air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and an air cleaning function using a filter provided in the indoor unit is performed. Can.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separated in the connection determining step (S10), the indoor unit may be operated in the air cleaning mode by outputting an air cleaning signal.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connected,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may be output to allow the indoor unit to operate in a temperature control mode. However, wh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connected,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only the air cleaning function without cooling or heating the indoor air, so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air cleaning signal and operate in the air cleaning mode.

여기서, 상기 연결판별단계(S10)는, 먼저 상기 실내기에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실내공기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 이상 변화하지 않으면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공기가 냉각 또는 가열되어 실내온도가 변화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온도조절신호에 불구하고 상기 실내기는 실내공기에 대한 냉각이나 가열이 불가능하므로, 실내온도의 변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조절신호 출력 후, 실내온도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의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신호 출력 후 실내온도의 변화가 없으면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는 분리된 것이므로,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Here, in the connection determining step (S10), after first outputting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unit, if the indoor air does not change over a preset temperature range,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may be considered to be separated. Wh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connected, the indoor air is cooled or heated to change the indoor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However, wh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separated, despite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the indoor unit cannot cool or heat the indoor air, so there may be no change in the indoor temperature. Therefore, after outputting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connected in a manner that detects a change in the indoor temperature. Her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indoor temperature after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is output,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separated, and thus the air cleaning signal can be output.

또한, 상기 연결판별단계(S10)는, 탈착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를 연결하여 냉매가스를 전송하는 배관부의 탈착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상기 탈착센서에서 상기 배관부의 탈착이 감지되면 분리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것으로 판별하여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센서는 마이크로 센서, 리드 스위치, 홀 센서, 압력센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탈착센서를 이용하여 실내기와 실외기의 분리여부를 판별하는 내용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10),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can be determined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using a detachment sensor to detect the detachment of the piping unit transmitting the refrigerant gas. have. That is, when the detachment sensor detects detachment of the pipe portion, a separation signal may be output, and when the separation signal is detected,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may be determined to be separated and the air cleaning signal may be output. Here, the detachable sensor may be implemented using a micro sensor, a reed switch, a hall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the like. The content of determining whether to separate the indoor unit from the outdoor unit using the detachable sensor has been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또한, 상기 연결판별단계(S10)는, 상기 실외기의 전원공급단자에 포함된 분리판별용 단자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감지한 후, 상기 전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전기신호의 크기 이하이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를 동작하려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하므로, 상기 실외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실외기와 실내기는 분리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기의 전원공급단자에 외부전원의 전력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공급단자에 포함된 분리판별용 단자에도 기 설정된 전기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신호의 인가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determining step (S10), after detecting the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separ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utdoor unit, if the size of the electrical signal is less than the preset electrical signal size, the An air cleaning signal can be output. That is, since the power must be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to operate the outdoor unit, if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outdoor unit,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separated. Specifically, when electric power of an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utdoor unit, a preset electrical signal may be applied to the separ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connected by using whether or not the electric signal is appli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separated, the air cleaning signal may be output.

추가적으로, 상기 연결판별단계(S10)는, 상기 실외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실외기와 실내기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실외기의 실외팬 및 압축기의 동작에 의하여 사용되는 전력량이 많을 수 있으나, 상기 실외기와 실내기가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실외기의 사용이 없으므로 상기 실외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이 거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전력량의 크기 이하이면,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nection determining step (S10) may determine whether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re connect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outdoor unit. That is, wh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the amount of power used by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fan and the compressor of the outdoor unit may be large, but wh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separated, there is no use of the outdoor unit, so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outdoor unit There may be little. 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outdoor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may be determined to be separated, and an air cleaning signal may be output.

상기 온도조절신호가 출력되면 온도조절동작단계(S20)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기는 상기 냉매가스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고, 상기 실외기는 상기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 및 상변화하여 상기 실내기로 공급하는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반면에, 공기청정신호가 출력되면 공기청정단계(S30)로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실외기의 동작은 중단하여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모드 및 공기청정모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is output, the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step S20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indoor unit may operate in a temperature control mode that cools or heats the indoor air introduced using the refrigerant gas, and the outdoor unit compresses and phase changes the refrigerant gas again and supplies it to the indoor unit.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cleaning signal is output, the air cleaning step (S30) may be performed, and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indoor unit are filtered using a filter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is stopped to enter the air cleaning mode. It can work. Since the temperature control mode and the air cleaning mode have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apparent that compon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실내기 11: 필터부
12: 실내열교환부 13: 실내팬
14, 14' 온도센서 15: 습도센서
16: 먼지센서 20: 실외기
21: 압축부 22: 실외열교환부
23: 실외팬 30: 제어부
40: 배관부 50: 탈착센서
S10: 연결판별단계 S20: 온도조절동작단계
S30: 공기청정단계
10: indoor unit 11: filter unit
12: indoor heat exchange unit 13: indoor fan
14, 14' temperature sensor 15: humidity sensor
16: Dust sensor 20: Outdoor unit
21: compression unit 22: outdoor heat exchange unit
23: outdoor fan 30: control
40: piping 50: desorption sensor
S10: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S20: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step
S30: air cleaning step

Claims (16)

삭제delete 공기청정신호가 입력되면 유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고, 온도조절신호가 입력되면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매가스로 냉각 또는 가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는 실내기;
상기 온도조절신호에 따라,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 및 상변화하여, 상기 실내기로 재공급하는 실외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여부를 판별하는 연결감지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연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실외기의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실내기로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실내기가 상기 공기청정모드로만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냉매가스를 전송하는 배관부; 및
상기 배관부가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에서 탈착되면, 분리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탈착센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When the air cleaning signal is input, it operates in an air cleaning mode that filters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coming indoor air, and when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is input, it controls the room temperature by cooling or heating the incoming indoor air with refrigerant gas. An indoor unit operating in a mode;
An outdoor unit for compressing and phase-changing the refrigerant ga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and re-supplying it to the indoor unit;
After performing a connection detecting oper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is performed, if the connection is not detected,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is stopped and the air cleaning signal is output to the indoor unit, so that the indoor unit is in the air cleaning mode only.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operate;
A piping unit connecting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o transmit the refrigerant gas; And
When the piping portion is detached from the indoor unit or the outdoor unit,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a detachable sensor for outputting a sepa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리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n air conditioning device that outputs the air cleaning signal when the separation signal is inpu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센서는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와 접점을 형성하는 돌기; 및
상기 배관부와 상기 실내기가 결합하면 상기 돌기에 의하여 입력부에 압력이 인가되고, 상기 입력부에 인가되는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분리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sorption sensor
Protrusions provided in the piping portion to form a contact with the indoor unit; And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micro switch that outputs the separation signal when pressure is applied to an input unit by the protrusion when the pipe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upled, and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input unit is releas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센서는
상기 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기와 접점을 형성하는 자석; 및
상기 배관부와 상기 실내기가 결합하면 상기 자석의 자기장에 의하여 스위치가 폐쇄되고, 상기 자기장이 해제되면 상기 스위치가 개방되면서 상기 분리신호를 출력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sorption sensor
A magnet provided on the piping portion to form a contact with the indoor unit; And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reed switch outputting the separation signal while the switch is closed by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when the piping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upled, and the switch is opened when the magnetic field is releas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의 전원공급단자에 포함된 분리판별용 단자에 기 설정된 크기의 전류 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n air conditioning device that outputs the air cleaning signal when a current or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not applied to the separ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utdoo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냉매가스에 대한 압축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An air conditioning device that outputs the air cleaning signal when compression of the refrigerant gas is not detected within a preset tim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 및 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외기의 냉매가스 압축여부를 감지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rol unit
An air conditione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refrigerant gas is compressed in the outdoor unit by using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and current used in the outdoo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상기 유입되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냉매가스의 열팽창에 따른 흡열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액화된 냉매가스의 발열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실내열교환부; 및
공기흐름을 형성하여 상기 실내공기를 상기 실내기 내부로 유입하는 실내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indoor unit
A filter unit for filter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coming indoor air;
An indoor heat exchange unit that cools the indoor air using an endothermic action according to thermal expansion of the refrigerant gas or heats the indoor air using an exothermic action of liquefied refrigerant gas; And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an indoor fan that forms an air flow and introduces the indoor air into the indoo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에서 팽창된 상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압축된 냉매가스를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냉매가스를 액화하거나, 상기 냉매가스를 열팽창하여 기화하는 실외열교환부; 및
공기흐름을 형성하여 상기 실외공기를 상기 실외기에 공급하는 실외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outdoor machin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compression unit compressing the refrigerant gas expanded in the indoor unit;
An outdoor heat exchange unit that exchang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gas with outdoor air flowing in to liquefy the refrigerant gas or thermally expands the refrigerant gas; And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an outdoor fan that forms an air flow and supplies the outdoor air to the outdoor unit.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청정모드 또는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는 실내기 및 상기 실내기가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실내기로 냉매가스를 제공하는 실외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의 연결을 감지하는 연결감지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연결이 감지되면 상기 실내기로 온도조절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연결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실내기로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연결판별단계;
상기 온도조절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실내기는 상기 냉매가스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실내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고, 상기 실외기는 상기 냉매가스를 다시 압축 및 상변화하여 상기 실내기로 공급하는 온도조절모드로 동작하는 온도조절동작단계; 및
상기 공기청정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실외기의 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실내기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상기 실외기의 동작은 중단하는 공기청정모드로만 동작하는 공기청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판별단계는
탈착센서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냉매가스를 전송하는 배관부의 탈착을 감지하여 분리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an indoor unit operating in an air cleaning mode or a temperature control mode according to the input control signal and an outdoor unit providing refrigerant gas to the indoor unit when the indoor unit operates in a temperature control mode,
A connection discrimination step of performing a connection detection operation to detect a connection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outputting a temperature control signal to the indoor unit when the connection is detected, and outputting an air cleaning signal to the indoor unit if the connection is not detected ;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signal is output, the indoor unit cools or heats the incoming air using the refrigerant gas, and the outdoor unit operates in a temperature control mode that compresses and phase changes the refrigerant gas again and supplies it to the indoor unit. Temperature control operation step; And
When the air cleaning signal is output, an air cleaning step of operating only in an air cleaning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is stopped and the pollutants contained in the indoor air flowing into the indoor unit are filtered using a filter unit and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unit is stopped. It includes,
The connection determination step
A desorption sensor connecting between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to detect desorption of a pipe portion transmitting the refrigerant gas, and outputting a separation signal; And
And when the separation signal is detected,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별단계는
상기 실외기의 전원공급단자에 포함된 분리판별용 단자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신호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전기신호의 크기의 이하이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nection
Sensing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separation terminal included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of the outdoor unit; And
And if the magnitude of the electric signal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electric signal size,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별단계는
상기 실외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외기에서 사용되는 전력량의 크기가 기 설정된 전력량의 크기 이하이면, 상기 공기청정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connection
Measuring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outdoor unit; And
And if the size of the amount of power used in the outdoor unit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outputting the air cleaning signal.
KR1020120142214A 2012-12-07 2012-12-07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31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14A KR102131616B1 (en) 2012-12-07 2012-12-07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14A KR102131616B1 (en) 2012-12-07 2012-12-07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047A KR20140074047A (en) 2014-06-17
KR102131616B1 true KR102131616B1 (en) 2020-07-09

Family

ID=5112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214A KR102131616B1 (en) 2012-12-07 2012-12-07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61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027B1 (en) 2018-03-05 2020-04-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managing air to reduce indoor radon concentration using compressed ai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760A (en) * 2000-08-08 2002-02-20 토마스 이. 데이비스 Connecting Line Wiring Error Sensing Method in Separating Air-conditioner
KR20060016003A (en) 2004-08-16 2006-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Driving method of split type air conditioner
KR20120077233A (en)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Water supply controll system for 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047A (en) 201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70892A1 (en) Air conditioner,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nd program
CN105333566A (en) Control methods for fresh air heat exchange air conditioning system and system
JP2004218853A (en) Air conditioner
EP1083390A2 (en) Air conditioner having dehumidifying and ventilating functions
US10260762B2 (en) Dehumidification device with mode selection control
NZ570587A (en) Dehumidifier
TWI580907B (en) Dehumidifier
KR20170121103A (en) Apparatus for dehumidif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GB2545114A (en) Dehumidifying device
KR102300902B1 (en) Apparatus for dehumidifi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22386A (en) Defrosting method for dehumidifier and dehumidifier apparatus having defrosting fuction
KR102131616B1 (e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70571B1 (en) Air conditioner with humidification module without water supply
KR1020376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heat exchanger
KR20100073699A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KR102043170B1 (en) Overload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ir cleaning dehumidifier
CN204085128U (en) A kind of heat pump dryer with dehumidification function
JP2007212080A (en) Air conditioner
JP4856015B2 (en) Air conditioner
KR20140076661A (en)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251615A (en) Heat pump dryer with dehumidifying function
JP2010051914A (en) Dehumidifying apparatus
KR101926374B1 (en) Appartus and method for air clearing and dehumidification
JP2012197980A (en) Air conditioner
JP7233538B2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