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096B1 -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096B1
KR102131096B1 KR1020190050848A KR20190050848A KR102131096B1 KR 102131096 B1 KR102131096 B1 KR 102131096B1 KR 1020190050848 A KR1020190050848 A KR 1020190050848A KR 20190050848 A KR20190050848 A KR 20190050848A KR 102131096 B1 KR102131096 B1 KR 102131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ed lamp
unit
sig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8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0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0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0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2Line-of-sight transmission over an extended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2LED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4/00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4/002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carrier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6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V2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vehicles based o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 particular, a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vehicles based on an LED lamp installed at a vehicle being driven comprises: a data generating unit which generates a data frame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modulation unit which modulates the data frame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ng unit based on a color shift keying (CSK) modulation method; a transmitting unit which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by controlling the LED lamp installed at the vehicle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ion unit; a receiving unit which is installed at the vehicle and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of an adjacent vehicle; and a distortion prevention unit which is installed at the vehicle to remove debris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or prevent the rainwater or the debris from being attached to the LED lamp so as to preven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from being distorted due to the debris or the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vehicles based o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lamp installed at the vehicle is used and the CSK method is applied such that a larger quantity of correction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nd distributed to other vehicles in a stable and efficient manner.

Description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이용하여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inter-vehicle communication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supporting inter-vehicle communication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ing an LED lamp installed in a vehicle.

지능형 자동차(Smart Car) 기술 분야에서 중요한 이슈는 교통정보의 수집과 분배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교통 정보에는 특정 도로 구간의 정체 또는 지체 현황, 사고 현황, 통행량, 통행 속도 등과 같이 거시적인 교통 환경과 관련된 정보 및 운행 속도, 목적지, 이동 경로 등 차량 정보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An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smart car technology is to provide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distribution stably and efficiently. The traffic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macroscopic traffic environment, such as traffic congestion or delay, a traffic accident, traffic speed, and vehicle information such as vehicle speed, destination, and travel route.

차량에 제공되는 교통 정보는 도로 면에 설치된 마그네틱 루프 센서, 지상에 설치된 교통 정보 수집 카메라, 차량에 설치된 위치정보 모듈 등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기초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교통 정보 관리 센터에 제공되었다. 이와 같은 교통 정보는 전광판 등을 통해 주행 중인 차량에 제공될 수 있었다.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to the vehicle was collected through a magnetic loop sensor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camera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nstalled on the vehicle, and the collected basic data is provided to the traffic information management center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came. Such traffic information could be provided to a vehicle driving through an electronic signboard.

한편, 위와 같은 교통 정보의 제공은 매우 기초적인 수준의 정보 제공 방식으로서,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자율 주행 등과 같은 지능형 자동차의 고도화된 기능을 위해서는 주행 중인 차량이 능동적으로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하거나 또는 주행 중인 차량이 주위 주행 차량에 운행 정보를 직접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이 요구되는데, 이는 기존의 중앙 집중형 교통 정보 수집 및 분배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보다 고도화된 지능형 자동차 운행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직접적인 차량간 통신 방식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vision of the traffic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s a very basic level of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the advanced function of an intelligent vehicle such as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utonomous driving, the vehicle in motion actively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or providing a driving vehicle to directly provide driving information to a surrounding driving vehicle is required, which is limited by the existing centralized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distribu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direct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method to support a more advanced intelligent vehicle driving system.

차량간 통신을 위해서는 특정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장치가 탑재될 것이 요구된다. 차량간 통신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물리 계층의 특성이 고려되는데, 이는 주파수 특성 등으로 인한 통신 커버리지(coverage) 또는 간섭에 대한 저항성 등이 물리 계층의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통신 프로토콜 중 무선 근거리 통신(Wireless Local Area Network)은 그 커버리지가 운행 중인 차량간 거리를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차량의 통행이 혼잡할 경우 간섭 저항성이 낮아 무선 근거리 통신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크게 저하된다. 또한 무선 근거리 통신은 차량에 추가적인 통신 설비 등을 구비해야 하며, 기존 일반적인 무선 근거리 통신 방식 이외의 무선 매체 접근 방식이 정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적용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it is required that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pecific communication protocol is mounted. In order to be used for inter-vehicl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layer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protocol are considered, because communication coverage due to frequency characteristics or resistance to interference may be determined by characteristics of the physical layer. Among the currently used communication protocols,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can sufficiently cover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in which the coverage is running. However, when the traffic of the vehicle is congested, the interference resistance is low, and the data transmission speed of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is greatly reduced. In addition, the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ust have an additional communication facility, etc. in the vehicle, and there may be a problem in its applicability since a wireless medium access method other than the existing general wireless local area communication method needs to be defined.

등록특허공보 제10-1964175호: 차량통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차량통신 서비스 제공 단말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64175: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sion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이용하여 인접된 차량으로 교통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based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traffic information to an adjacent vehicle using an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은 주행 중인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CSK(Color Shift Keying) 변조 기법을 기반으로 변조시키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조절하여 상기 변조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유닛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인접된 차량의 수신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유닛과,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을 제거하거나 빗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왜곡방지유닛을 구비한다.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an LED lamp installed in a driving vehicle, generating data generating a data frame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The control unit modulates the data frame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on unit based on a CSK (Color Shift Keying) modulation technique, and adjusts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a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ion unit. The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the receiving un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of the adjacent vehicle, and installed in the vehicle by the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In order to preven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from being distorted, a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is removed, or a distortion preventing unit for preventing rainwater or foreign matter from being attached to the LED lamp.

상기 변조부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CSK 변조 기법에 따라 컬러 코딩(color coding)하여 색상 맵핑(color mapping)하되, 상기 색상 맵핑은 R,G,B 엘이디 광원 각각의 출력 파워인 Pi, Pj, Pk의 세기(intensity)에 의해서 포인트(xp, yp)가 결정되며, 상기 엘이디 광원의 출력 세기와 xy 좌표와의 관계는 하기의 수학식에 결정되고,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맵핑 상태에 따라 상기 엘이디 램프의 R,G,B 엘이디 광원을 조절하고, The modulator performs color mapping by color coding the data frame according to the CSK modulation technique, wherein the color mapping is based on the output powers of the R, G, and B LED light sources Pi, Pj, and Pk. The point (xp, yp) is determined by the intens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intensity of the LED light source and the xy coordinate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and the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mapping state of the LED lamp. Adjust the R,G,B LED light source,

(수학식)(Mathematics)

xp = Pi x xi + Pj x xj + Pk x xkxp = Pi x xi + Pj x xj + Pk x xk

yp = Pi x yi + Pj x yj + Pk x ykyp = Pi x yi + Pj x yj + Pk x yk

Pi + Pj + Pk = 1,Pi + Pj + Pk = 1,

여기서, 포인트 (xi, yi), (xj, yj), (xk, yk)는 R, G, B LED 광원의 xy 좌표이고, 포인트(xp, yp)는 4-CSK 변조를 통해 변조된 심볼의 좌표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points (xi, yi), (xj, yj), (xk, yk) are the xy coordinates of the R, G, and B LED light sources, and points (xp, yp) are symbols of the modulated signal through 4-CSK modulation. It is preferably coordinates.

상기 왜곡방지유닛은 상기 엘이디 램프 표면에 빗물이 맺히거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 상하측의 상기 차량 표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외부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차단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vehicle surfac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D lamp to prevent rain or contaminants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LED lamp,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protruding out of the vehicle. .

상기 왜곡방지유닛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들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로부터 입사된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anti-distor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nti-reflection member that is installed on opposite sides of the blocking plates to prevent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from the LED lamp.

상기 왜곡방지유닛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들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와, 상기 송신유닛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를 통해 신호가 전송시 상기 분사노즐에서 에어가 분사되도록 상기 에어공급부를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distortion prevention unit is installed on each of the blocking plates,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for injecting air toward the LED lamp, and an ai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injection nozzles to supply air to the injection nozzle, and to the transmission unit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ir supply so that air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상기 왜곡방지유닛은 상기 차량이 주행 시 상기 차량의 상부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엘이디 램프 측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엘이디 램프 상측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차량 표면에 설치되되,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로가 마련되고, 일단부에 상기 유동로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유동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guide member for guiding a portion of air flowing rearwar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to flow toward the LED lamp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guide member has one end of the vehicle. It is installed on the top, the other end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LED lamp, there is provided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flow, and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at one end. An inlet is formed so that an outlet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can be discharged.

상기 왜곡방지유닛은 상기 엘이디 램프의 표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 측으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유동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더 구비한다.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guide member so that hot air is supplied to the LED lamp side to prevent ice from forming on the surface of the LED lamp, and a heating member for he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is provided. Have more.

상기 엘이디 램프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등신호를 표시하는 메인 엘이디 모듈과, 상기 메인 엘이디 모듈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송신유닛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신호광을 발생시키는 서브 엘이디 모듈과, 상기 서브 엘이디 모듈에서 발생되는 신호광의 광축선 상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광이 인접된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상하폭을 축소시키되, 상기 신호광의 수신 가능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좌우폭은 확장시키는 렌즈모듈을 구비한다. The LED lamp is installed in a case installed in the vehicle, a main LED module installed in the case, and displaying a back signal of the vehicle, and the case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main LED module, by the modulator. In order to display the modulated signal, a sub-LED module that generates signal light to the outside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tting unit, and is install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signal light generated from the sub-LED module, the signal light is adjacent to the driver's field of view of the driver A lens module is provided to reduce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to prevent the interference, and to exp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to expand the receiveable range of the signal light.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접된 차량의 엘이디 램프로부터 조사된 상기 신호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부가 마련된 광수신 센서와, 상기 광수신 센서로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토대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산출하는 정보제공부와, 상기 수신부로 입사되는 상기 신호광의 입사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광수신 센서에 설치되는 입사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사제한부는 상기 광수신 센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광수신 센서의 수신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신부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인입공간으로 상기 신호광이 인입될 수 있도록 수신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신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 상기 본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개폐플레이트와, 상기 수신부로 입사되는 상기 신호광의 입사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개폐 이동부와, 상기 광수신 센서를 통해 다수의 신호광이 수신될 경우, 상기 차량의 전방에 인접된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광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구의 개방범위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개폐플레이트들이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 이동부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receiving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vehicle, receives the signal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lamp of an adjacent vehicle and a light receiving sensor provided with a receiving unit, and the data frame based on the signal light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sensor It has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calculating, and an incident limiting unit installed in the light receiving sensor so as to limit the incidence range of the signal light incident on the receiving unit, and the incident limiting unit is installed in the light receiving sensor. A receiving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receiving part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can be drawn in, an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receiving part, a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port is formed so that the signal light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the receiving port can be opened and closed.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lates slidably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 so as to be slid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n opening and closing moving unit for moving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s so as to limit the incidence range of the signal light incident on the receiving unit And, when a plurality of signal light is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sensor,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to reduce the opening range of the receiving port so as to selectively receive only the signal light provided from a vehicle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n opening/clos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moving unit so as to move in a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사용하되 CSK 방식이 적용되어 보다 많은 양의 교정 정보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다른 차량들에 제공 및 분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bu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and distribute a larger amount of correction information to other vehicles stably and efficiently by applying the CSK metho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의 왜곡방지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레벨 4-CSK 변조 기법의 성상 맵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레벨 8-CSK 변조 기법의 성상 맵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레벨 16-CSK 변조 기법의 성상 맵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레벨 4-CSK 변조시 광 맵핑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왜곡방지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왜곡방지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왜곡방지유닛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왜곡방지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의 입사제한부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based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of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stellation mapping of a modulation level 4-CSK modulation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constellation mapping of a modulation level 8-CSK modulation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stellation mapping of a modulation level 16-CSK modulation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light mapping in modulation level 4-CSK mod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distortion preven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distortion preven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of a distortion preven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tortion prevent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incidence limit unit of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 form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actual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100)에 대한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based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100)은 주행 중인 선행 차량 및 후행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선행 차량은 자차를 포함한 주변 교통 정보를 후행 차량에 전송할 수 있고, 후행 차량 역시 선행 차량 및 후행 차량의 후행 차량에 차량 주행정보가 포함된 교통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선행 차량 및 후행 차량은 교통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구비한 엘이디 램프 기반 전조등 및 후미등, 별도로 장착한 통신용 엘이디 조명 송수신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based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preceding vehicle and a trailing vehicle while driving. The preceding vehicle may transmit surrounding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the host vehicle to the following vehicle, and the following vehicle may also transmit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o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following vehicle of the following vehicle.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following vehicle may use the LED lamp-based headlights and tail lights, which are provided by themselves, to transmit traffic information, and separately installed communication LED ligh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s.

도 2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2 to 7 show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100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100)은 주행 중인 차량(11)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차량(11)의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110)와, 상기 데이터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CSK(Color Shift Keying) 변조 기법을 기반으로 변조시키는 변조부(120)와, 상기 변조부(120)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11)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15)를 조절하여 상기 변조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유닛(130)과, 상기 차량(11)에 설치되며, 인접된 차량(11)의 수신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11)의 운전자에게 상기 데이터 프레임에 포함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수신유닛(미도시)과, 상기 차량(11)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15)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15)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15)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을 제거하거나 빗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엘이디 램프(15)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왜곡방지유닛(15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based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the traff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in 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100 based on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driving vehicle 11. Data generation unit 110 for generating a data frame including, a modulation unit 120 for modulating the data frame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ion unit 110 based on a CSK (Color Shift Keying) modulation technique, and the modulation Transmission unit 130 for transmitting the modulated signal by adjusting the LED lamp 15 installed in the vehicle 11 according to the signal modulated by the unit 120, and is installed in the vehicle 11, adjacent A receiving unit (not shown) that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unit of the vehicle 11 and provides traff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fram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1, and is installed in the vehicle 11 In order to preven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15 from being distorted by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15, the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15 is removed or rainwater or foreign matter is removed. It is provided with a distortion preventing unit 150 to prevent it from being attached to the LED lamp 15.

데이터 생성부(110)는 송신하고자 하는 차량 주행 및 주변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수신유닛에서 데이터 프레임을 해석하는데 필요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헤더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헤더는 데이터 프레임의 변조 기법을 지시하는 변조 기법 필드 및 데이터 프레임의 길이를 지시하는 길이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헤더 및 데이터 프레임을 포함하여 데이터 유닛이라 한다. 상기 데이터 유닛은 비트 시퀀스로 생성될 수 있는데, 데이터 유닛 내에서 프레임 헤더는 데이터 프레임의 전단에 위치하여 수신유니ㅈ에 의해 먼저 수신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The data generation unit 110 may generate a data frame including vehicle driving and surrounding traffic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and may generate a frame header including control information necessary to interpret the data frame in the receiving unit. The frame header may include a modulation scheme field indicating a modulation scheme of a data frame and a length field indicating a length of a data frame. Here, it is called a data unit including a frame header and a data frame. The data unit may be generated as a bit sequence. In the data unit, the frame header may be implemented so that it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data frame and first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이때, 데이터 생성부(110)는 차량(11)의 OBD(On Board Diagnostics)에 연결되어 차량 주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OBD(On Board Diagnostics)는 차량(11)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차량(11) 내부 센서로서, 예컨대, 속도 센서, 가속도 센서, 도어 개폐센서, 급정차 감지 센서, 브레이크 페달 조작 감지 센서 등을 통해서 차량(11)의 감속도 및 감가속도를 포함한 차량(11) 내 모든 주행정보를 감지할 뿐아니라, 운행시간, 운행거리, 사고감지, 일정 운전 기간 중의 시간 및 거리, 급가속 및 급제동의 여부 등의 정보나 냉각수, 브레이크 오일, 엔진 오일, 엔진의 RPM, 진동, 소리, 타이어 공기압, 차량의 가속도, 감가속도, 평균속도, ABS 및 에어백 등 안전 장비 이상 유무, 배터리 전압 등를 수집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data generating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On Board Diagnostics (OBD) of the vehicle 11 to obtain vehicle driving information. The OBD (On Board Diagnostics) is a vehicle 11 internal sensor provided in advance in the vehicle 11, for example, through a speed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door opening/closing sensor, a sudden stop detection sensor, a brake pedal operation detection sensor, etc. Not only does it detect all the driving information in the vehicle 11, including the deceleration and deceleration of the vehicle 11, but also the driving time, driving distance, accident detection, time and distance during a certain driving period, whether rapid acceleration and sudden braking, etc. It is a device that can collect information of safety equipment such as coolant, coolant, brake oil, engine oil, engine RPM, vibration, sound, tire pressure, vehicle acceleration, deceleration, average speed, ABS and airbag, battery voltage, etc. Can.

또한, 데이터 생성부(110)는 교통신호를 포함한 주변 교통 정보가 저장된 교통관리기관의 관리서버에 연결되어 교통신호를 포함한 차량 주변 교통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교통신호에는 교통신호의 변경 시점, 현재 표시되는 교통신호 종류 등이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data generating unit 110 is connected to a management server of a traffic management institution that stores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traffic signals, and collects traffic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including traffic signals. The traffic signal includes a time point for changing the traffic signal, the type of traffic signal currently displayed, and the like.

변조부(120)는 스크램블러(121), 채널 부호화모듈(122), 변조기(123) 및 DAC(124)가 포함된다. The modulator 120 includes a scrambler 121, a channel coding module 122, a modulator 123, and a DAC 124.

상기 스크램블러(121)는 데이터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데이터 유닛의 비트 시퀀스를 스크램블링할 수 있다. 스크램블링은 비트 시퀀스의 암호화, 반복적 패턴을 가지는 비트 블록 방지, 비트 값들의 연속성 방지 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램블러(121)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15개의 지연기(D)와, 2개의 합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클램블러의 생성 다항식 g(D)는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The scrambler 121 may scramble the bit sequence of the data unit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or 110. Scrambling may be used to ensure encryption of a bit sequence, prevention of bit blocks having repetitive patterns, and prevention of continuity of bit values. Here, the scrambler 121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may include 15 retarders (D) and 2 summers. Through this, the generation polynomial g(D) of the scrambler i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19044737953-pat00001
Figure 112019044737953-pat00001

여기서, D는 단일 비트 지연요소이다. Here, D is a single bit delay element.

채널 부호화모듈(122)은 스크램블러(121)에 의해 스크램블링된 비트 시퀀스를 부호화한다. 채널 부호화는 채널을 통한 정보의 전송 중 수신측이 오류를 검출 정정할 수 있도록 하고, 채널 상의 잡음, 간섭, 페이딩(fading) 등을 극복하여 성능을 향상시키고, 비트 시퀀스를 심볼화함에 있어서 그 차이를 두드러지게 하여 수신단 측에서 오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부호화는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으로, Reed Solomon(64,32)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The channel encoding module 122 encodes a bit sequence scrambled by the scrambler 121. Channel coding enables the receiving side to detect and correct errors during transmission of information through a channel, overcomes noise, interference, and fading on the channel, improves performance, and differs in symbolizing bit sequences. It can be performed to stand out by preventing the mistaken by the receiving end. Here, the encoding is a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method, and a Reed Solomon (64, 32) method may be applied.

변조기(123)는 채널 부호화기에 의해 부호화된 비트 시퀀스를 CSK(Color Shift Keying) 변조 기법을 기반으로 변조하는 것으로서, 코딩유닛(125) 및 맵핑유닛(126)을 구비한다. The modulator 123 modulates the bit sequence encoded by the channel encoder based on a color shift keying (CSK) modulation technique, and includes a coding unit 125 and a mapping unit 126.

코딩유닛(125)은 채널 부호화모듈(122)에 의해 부호화된 비트 시퀀스를 특정 성상맵핑(constellation mapping) 기법에 따라 x, y컬러 좌표계로 맵핑시킨다. 여기서, 성상맵핑 기법은 변조기(123)에 의해 구현된 CSK 변조 레벨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CSK 변조 레벨은 4, 8 및 16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coding unit 125 maps the bit sequence encoded by the channel coding module 122 to an x, y color coordinate system according to a specific constellation mapping technique. Here, the constellation mapping techniqu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SK modulation level implemented by the modulator 123.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SK modulation level may be one of 4, 8 and 16.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조 레벨4-CSK 변조 기법의 성상맵핑을 나타낸 도면이 게시되어 있다. 4 is a diagram showing a constellation mapping of a modulation level 4-CSK modulation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포인트 I,J,K는 CSK기반 통신에 사용되는 엘이디 램프(15)의 각 중심 파장(center wavelength)의 위치를 나타낸다. P0 내지 P3는 4레벨 CSK에서의 각 심볼을 나타낸다. 심볼 P1, P2 및 P3는 I-J-K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해당한다. 심볼 P0는 I-J-K 삼각형의 중심점일 수 있다. 따라서, 4레벨 CSK 변조 기법을 적용시 2비트가 하나의 심볼로 맵핑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points I, J, and K indicate the position of each center wavelength of the LED lamp 15 used for CSK-based communication. P0 to P3 represent each symbol in the 4-level CSK. Symbols P1, P2 and P3 correspond to each vertex of the I-J-K triangle. The symbol P0 may be the center point of the I-J-K triangle. Therefore, 2 bits are mapped to one symbol when the 4-level CSK modulation technique is applied.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조 레벨 8-CSK 변조기(123)법의 성상맵핑을 나타낸 도면이 게시되어 있다. 5 is a diagram showing a constellation mapping of a modulation level 8-CSK modulator 123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포인트 I,J,K는 CSK기반 통신에 사용되는 엘이디 램프(15)의 각 중심 파장의 위치를 나타낸다. S0 내지 S7은 변조 레벨8-CSK에 사용되는 8개의 심볼을 나타낸다. 심볼 S0, S4와 S7은 I-J-K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해당한다. 심볼S1과 S2는 선 JK와 선 JI를 1:2의 비율로 나누는 지점이다. 포인트 B와 C는 선JI와 JK의 중심점이다. 심볼 S6은 선KI의 중심점이다. 포인트 A는 B-S6-I 삼각형의 중심점이다. 포인트D는 C-K-S6 삼각형의 중심점이다. 심볼S3은 선AB를 1:2의 비율로 나누는 지점이고, 심볼S5는 선DC를 1:2의 비율로 나누는 지점이다. 따라서, 레벨8-CSK 변조 기법을 적용시 3비트가 하나의 심볼로 맵핑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points I, J, and K indicate the position of each central wavelength of the LED lamp 15 used for CSK-based communication. S0 to S7 represent eight symbols used for modulation level 8-CSK. The symbols S0, S4 and S7 correspond to each vertex of the I-J-K triangle. The symbols S1 and S2 are the points dividing the line JK and line JI in a ratio of 1:2. Points B and C are the central points of Sun JI and JK. The symbol S6 is the center point of the line KI. Point A is the center point of the B-S6-I triangle. Point D is the center point of the C-K-S6 triangle. Symbol S3 is a point dividing line AB at a ratio of 1:2, and symbol S5 is a point dividing line DC at a ratio of 1:2. Therefore, 3 bits are mapped to one symbol when the level 8-CSK modulation technique is applied.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조레벨 16-CSK 변조 기법의 성상맵핑을 나타낸 도면이 게시되어 있다. 6 is a diagram showing a constellation mapping of a modulation level 16-CSK modulation techniq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포인트 I,J,K는 CSK기반 통신에 사용되는 엘이디 램프(15)의 각 중심 파장의 위치를 나타낸다. P0 내지 P15는 변조 레벨 16-CSK에 사용되는 16개의 심볼을 의미한다. 심볼 P5, P10과 P15는 I-J-K 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해당한다. 심볼 P2와 P8은 선JK를 1:3의 비율로 나누는 지점이다. 심볼P3와 P12는 선JI를 1:3의 비율로 나누는 지점이다. 심볼 P11과 P14는 선KI를 1:3의 비율로 나누는 지점이다. 심볼 P0은 I-J-K삼각형의 줌심점이다. 심볼 P1, P4, P6, P7, P9와 P13은 각 작은 삼각형의 중심점이다. 따라서, 변조 레벨 16-CSK 변조 기법을 적용시 4비트가 하나의 심볼에 맵핑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points I, J, and K indicate the position of each central wavelength of the LED lamp 15 used for CSK-based communication. P0 to P15 mean 16 symbols used for modulation level 16-CSK. Symbols P5, P10 and P15 correspond to each vertex of the I-J-K triangle. Symbols P2 and P8 are points where the line JK is divided by a ratio of 1:3. The symbols P3 and P12 are points where the line JI is divided by a ratio of 1:3. Symbols P11 and P14 are points where line KI is divided by a ratio of 1:3. The symbol P0 is the zoom center point of the I-J-K triangle. The symbols P1, P4, P6, P7, P9 and P13 are the center points of each small triangle. Therefore, 4 bits are mapped to one symbol when the modulation level 16-CSK modulation technique is applied.

맵핑유닛(126)은 코딩유닛(125)을 통해 맵핑된 심볼의 xy 좌표를 기반으로 광원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상기 광원 제어 정보는 엘이디 램프(15)를 구성하는 R,G,B 엘이디 광원의 세기(intensity)를 조절하기 위한 출력 파워 관련 정보이다. The mapping unit 126 determines light source control information based on the xy coordinates of symbols mapped through the coding unit 125. The light source control information is output power related information for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R, G, and B LED light sources constituting the LED lamp 15.

맵핑유닛(126)의 기능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조레벨 4-CSK 변조시 광 맵핑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The function of the mapping unit 126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light mapping in modulation level 4-CSK modu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포인트 (xi, yi), (xj, yj), (xk, yk)는 엘이디 램프(15)의 R, G, B 엘이디 광원의 xy 좌표를 나타낸다. 포인트(xp, yp)는 변조레벨4-CSK 변조를 통해 변조된 심볼의 좌표에 해당한다. 도 10에서, R, G, B 엘이디 광원 각각의 출력 파워인 Pi, Pj, Pk의 세기(intensity)에 의해서 포인트 (xp, yp)가 결정된다. 각 LED 광원의 출력 파워 세기와 xy 좌표와의 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points (xi, yi), (xj, yj), and (xk, yk) represent the xy coordinates of the R, G, and B LED light sources of the LED lamp 15. Points (xp, yp) correspond to coordinates of symbols modulated through modulation level 4-CSK modulation. In FIG. 10, points (xp, yp) are determined by the intensity of the output powers of each of the R, G, and B LED light sources, Pi, Pj, and P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power intensity of each LED light source and the xy coordinates can be defined by Equation 2 below.

Figure 112019044737953-pat00002
Figure 112019044737953-pat00002

맵핑유닛(126)에 의해 결정된 출력 파워 신호는 Pi, Pj, Pk는 DAC(124)를 통해 송신유닛(130)으로 전달된다. 이때, 맵핑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출력 파워 신호가 송신유닛(130)으로 제공되기 전에 엘이디 램프(15)의 엘이디 광원의 수명 노화 및 성능 열화를 보완하기 위해 채널 추정 시퀀스가 적용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The output power signals determined by the mapping unit 126 are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unit 130 through the DACs 124, Pi, Pj, and Pk. At this time, a channel estimation sequence may be applied to compensate for aging and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LED light source of the LED light source 15 before the output power signal provided from the mapping unit is provided to the transmission unit 130.

송신유닛(130)은 DAC(124)을 통해 송신된 출력 파워 신호에 따라 엘이디 램프(15)의 엘이디 광원에서 광을 출력시킨다. The transmitting unit 130 outputs light from the LED light source of the LED lamp 15 according to the output power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AC 124.

한편, 엘이디 램프(15)를 통해 가시광의 형태로 제공된 교통정보를 타 차량의 수신유닛에서 수신함에 있어서, 가시광의 특서으로 인해 성능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색상 불균형, 다중 색간 간섭, 타 조명으로부터의 간섭 등이 차량간 통신상 간섭을 야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정지해있는 두 통신 장비와의 가시광 통신 보다 속도 및 방향이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차량간 가시광 통신에 있어서 보다 두드러질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높은 레벨의 CSK 변조 기법을 적용하여 단순히 처리율을 상승시키는 것은 통신 방식의 신뢰성 측면에서 오히려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데이터 유닛을 전송함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헤더와, 실제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에 적용되는 CSK 레벨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receiving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in the form of visible light through the LED lamp 15 in the receiving unit of another vehicle, performance deterioration may occur due to a special feature of visible light. For example, multi-color imbalance, multi-color interference, interference from other lights, and the like may cause communication interference between vehicles. This phenomenon may be more prominent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in which speed and direction are continuously changed tha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ith two stationary communication equipment. Therefore, simply increasing the throughput by applying a higher level CSK modulation technique is a factor that decreases efficiency in terms of reliability of the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in transmitting the data unit, the frame header including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CSK level applied to the data frame including the actual traffic information can be set differently.

제어 정보의 수신은 보다 높은 신뢰성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낮은 레벨의 CSK 변조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일예로, 가장 낮은 레벨인 4-CSK 변조를 적용하여 송신할 수 있다. 반면, 데이터 프레임은 프레임 헤더에 적용되는 CSK 레벨과 같거나 보다 높은 레벨의 변조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더와 데이터 프레임이 각기 다른 레벨의 변조 기법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수신단에서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프레임 헤더의 변조 방식 필드가 필요할 수 있다. Since reception of control information needs to maintain higher reliability, a low level CSK modulation technique can be applied. For example, it may be transmitted by applying the lowest level 4-CSK modulation. On the other hand, the data frame may apply a modulation scheme having a level equal to or higher than the CSK level applied to the frame header. As described above, although different levels of modulation schemes are applied to the header and the data frame, a modulation method field of the frame header may be required to allow the receiving end to demodulate data normally.

추가적으로, 프레임 헤더에는 고정된, 가장 낮은 레벨의 4-CSK 변조 기법이 적용됨을 기본으로 하되, 데이터 프레임에 적용되는 CSK 변조 레벨은 송신유닛(130)이 탑재된 차량(11)의 주행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교통 정체가 있는 도로에서 저속으로 주행 중인 차량(11)의 경우, 주위에서 제공되는 교통 정보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데이터 처리율(Throughput)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저속으로 주행되는 차량(11)의 경우, 간섭 등 가시광 통신 성능을 열화시키는 요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보다 높은 레벨의 CSK 변조 기법이 사용되어도 어느 정도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반대로, 고속으로 주행하는 환경에서는 주행 중인 차량(11) 주위에 타 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분포하기 때문에, 전달할 교통 정보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고, 이는 다소 낮은 처리율의 전송 방식으로도 정보의 전달에 부족함이 없을 수 있다. 반면, 고속 주행은 가시광 통신의 성능 열화를 보다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차원에서 낮은 레벨의 CSK 변조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rame header i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a fixed, lowest level 4-CSK modulation technique, but the CSK modulation level applied to the data frame depends on the driv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11 equipped with the transmitting unit 130. It can be set variab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vehicle 11 running at a low speed on a road with traffic congestion, since the amount of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urroundings may be relatively larg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ata throughpu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vehicle 11 running at a low speed, since the influence of a factor deteriorat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performance such as interference is relatively low, reliability can be maintained to some extent even when a higher level CSK modulation technique is used. Conversely, in a high-speed driving environment, since other vehicles are relatively less distributed around the vehicle 11 being driven, the amount of traffic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is relatively small, which is insufficient for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even with a somewhat low throughput transmission method. There may not be. On the other hand, since high-speed driving can cause more degradation of the performance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 low level CSK modulation technique may be used in terms of reliability.

수신유닛은 엘이디 램프(15)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프레임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차량(1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차량(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접된 차량(11)의 엘이디 램프(15)로부터 조사된 신호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부가 마련된 광수신 센서와, 상기 광수신 센서로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토대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차량(11)의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제공부를 구비한다. The receiving unit is install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vehicle 11 so as to receive a signal for a data frame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15. The receiving unit is installed on the vehicle 11, the light receiving sensor provided with a receiving unit so as to receive the signal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lamp 15 of the adjacent vehicle 11, and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at calculates the data frame based on the signal light and provides the calculated data frame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11.

광수신 센서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복수개가 차량(1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타 차량(11)의 엘이디 램프(15)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광을 수신한다. 상기 광수신 센서는 광을 수신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 감지 수단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량한다. Although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sensors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11, respectively, to receive signal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15 of the other vehicle 11. Since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a light sensing means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o receive light, detailed description is abundant.

상기 정보제공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수신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광으로부터 데이터 유닛을 산출하고, 산출된 데이터 유닛에 포함된 차량(11)의 주행 정보 또는 교통정보를 산출하는 산출모듈과, 상기 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구비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모듈은 차량(11)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11)의 운전자 또는 동승자에게 해당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자율주행 차량(11)의 경우, 산출모듈은 산출된 정보를 차량(11)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제공한다. Although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is not illustrated in the drawing, a calcul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data unit from signal light received from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calculating driving information or traff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11 included in the calculated data unit, and the calculation It has a display module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module. Here, the display module is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11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driver or passenger of the vehicle 11.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utonomous vehicle 11, the calculation module provides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a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autonomous driving of the vehicle 11.

한편, 왜곡방지유닛(150)은 상기 엘이디 램프(15) 표면에 빗물이 맺히거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15) 상하측의 상기 차량(11) 표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차량(11)의 외부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차단 플레이트(151)를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istortion prevention unit 150 is installed on each surface of the vehicle 11 above and below the LED lamp 15 to prevent rainwater from forming on the surface of the LED lamp 15 or foreign matter from being attached, and the The vehicle 11 includes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151 protruding from the outside.

상기 차단 플레이트(151)는 엘이디 램프(15) 상하측의 차량(11) 표면에 설치되며, 차량(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차단 플레이트(151)는 엘이디 램프(15)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 플레이트(151)에 의해 이물질 또는 빗물이 엘이디 램프(15)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엘이디 램프(15)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에 의해 엘이디 램프(15)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 blocking plate 151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11 above and below the LED lamp 15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vehicle 11. At this time, the blocking plate 151 is preferably exten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ED lamp 15. The blocking plate 151 prevents foreign matter or rainwate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LED lamp 15 so tha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15 is distorted by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15. Is prevented.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100)은 차량(11)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15)를 사용하되 CSK 방식이 적용되어 보다 많은 양의 교정 정보를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다른 차량(11)들에 제공 및 분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based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the LED lamp 15 installed in the vehicle 11, but the CSK method is applied to stably and efficiently correct a large amount of correction informa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provided and distributed to other vehicles (11).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왜곡방지유닛(21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8 illustrates a distortion prevention unit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왜곡방지유닛(210)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151)들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15)로부터 입사된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재(211)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nti-distortion unit 210 is installed on each of opposite sides of the blocking plates 151, and further includes an anti-reflection member 211 preventing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from the LED lamp 15. To be equipped.

상기 반사방지부재(211)는 차단 플레이트(151)의 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엘이디 램프(15)에서 생성된 광 중 차단 플레이트(151)로 입사된 광의 반사를 방지하므로 반사광에 의해 엘이디 램프(15)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anti-reflection member 211 is formed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ing plate 151 to prevent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on the blocking plate 151 among the light generated by the LED lamp 15, so the LED lamp ( 15) to preven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distortion.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왜곡방지유닛(22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9 illustrates a distortion prevention unit 2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왜곡방지유닛(220)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151)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15)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221)과, 상기 분사노즐(221)들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221)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222)와, 상기 송신유닛(130)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15)를 통해 신호가 전송시 상기 분사노즐(221)에서 에어가 분사되도록 상기 에어공급부(222)를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223)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tortion prevention unit 220 is installed on each of the blocking plates 151,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221 for spraying air toward the LED lamp 15, and the injection nozzle 221 It is installed in the air supply unit 222 for supplying air to the injection nozzle 221, and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15 by the transmission unit 130, the air from the injection nozzle 221 It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control unit 223 to control the air supply unit 222 so that the injection.

상기 분사노즐(221)은 다수개가 차단 플레이트(151)에 각각 설치되어 에어를 분사한다. 이때, 차단 플레이트(151)들 중 상측에 위치한 차단 플레이트(151)에 설치된 분사노즐(221)은 하방으로 에어를 분사하고, 하측에 위치한 차단 플레이트(151)에 설치된 분사노즐(221)은 상방으로 에어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the injection nozzles 221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blocking plate 151 to inject air. At this time, among the blocking plates 151, the injection nozzle 221 installed on the blocking plate 151 located on the upper side injects air downward, and the injection nozzle 221 installed on the blocking plate 151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directed upward. It is preferably installed to inject air.

에어공급부(222)는 상기 분사노즐(221)들에 연결된 에어공급관(224)과, 상기 에어공급관(224)에 설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225)를 구비한다. 상기 콤프레셔(225)는 차량(11)의 내부 즉, 트렁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ir supply unit 222 includes an air supply pipe 224 connected to the injection nozzles 221 and a compressor 225 installed in the air supply pipe 224 to supply high pressure air. The compressor 225 is preferably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11, that is, in the trunk.

분사 제어부(223)는 송신유닛(130)에 연결되어 송신유닛(130)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15)를 통해 신호가 전송시 상기 분사노즐(221)에서 에어가 분사되도록 에어공급부(222)의 콤프레셔(225)를 제어한다. The injection control unit 223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unit 130 of the air supply unit 222 so that air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221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15 by the transmission unit 130 The compressor 225 is controlled.

상기 왜곡방지유닛(220)은 분사노즐(221)로부터 분사된 에어에 의해 엘이디 램프(15)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이 제거될 수 있고, 엘이디 램프(15)의 표면에 에어 막을 형성하므로 엘이디 램프(15)의 표면에 빗물 또는 이물질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220 may remove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LED lamp 15 by air injected from the spray nozzle 221, and form an air film on the surface of the LED lamp 15. Rainwater or foreign matter may be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LED lamp 15.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왜곡방지유닛(23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0 illustrates a distortion prevention unit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왜곡방지유닛(230)은 상기 차량(11)이 주행 시 상기 차량(11)의 상부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엘이디 램프(15) 측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31)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230 is a guide for guiding a portion of the air flowing backwar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11 to flow toward the LED lamp 15 when the vehicle 11 is traveling A member 231 is provided.

상기 가이드부재(231)는 전단부가 차량(11)의 상부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차량(11)의 표면 즉, 엘이디 램프(15) 상측의 차량(11) 측면에 설치되도록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231)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로(232)가 마련되고, 전단부에 유동로(232)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233)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유동로(232)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234)가 형성되어 있다. The guide member 231 is formed to be bent downwar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11, and the rear end portion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11, that is, on the side of the vehicle 11 above the LED lamp 15. . The guide member 231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232 through which air can flow, and an inlet 233 i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flow path 232 at the front end, and flow at the bottom. An outlet 234 is formed so that air passing through the furnace 232 can be discharged.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재(231)가 차량(11)의 후방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15) 측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가이드부재(231)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11)의 전방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15)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guide member 231 is installed on the LED lamp 15 sid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11 is shown, the guide member 231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vehicle 11 It may be installed on the LED lamp 15 side installed in front of.

차량(11)이 주행시 차량(11) 상부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는 가이드부재(231)에 의해 가이드되어 엘이디 램프(15) 측으로 유동하는데, 해당 공기 유동에 의해 엘이디 램프(15)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이 제거될 수 있고, 엘이디 램프(15)의 표면에 에어 막을 형성하므로 엘이디 램프(15)의 표면에 빗물 또는 이물질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When the vehicle 11 travels, some of the air that flows backwar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11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231 and flows toward the LED lamp 15 side, which is caused by the air flow.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surface may be removed, and an air film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ED lamp 15 to prevent rainwater or foreign matter from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LED lamp 15.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왜곡방지유닛(24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1 illustrates a distortion prevention unit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왜곡방지유닛(240)은 상기 엘이디 램프(15)의 표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15) 측으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231)의 유동로(232)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로(232)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241)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240 is a flow path of the guide member 231 so that hot air is supplied to the LED lamp 15 side to prevent ice from being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ED lamp 15 A heating member 241 installed on the 232 to he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232 is further provided.

상기 가열부재(241)는 공급된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선이 적용되며, 가이드부재(2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동로(232)를 통과하여 엘이디 램프(15)측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The heating member 241 is applied with an electric heating wire generated by the supplied electricity,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member 231 and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232 to heat the air injected to the LED lamp 15 side.

가열부재(241)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엘이디 램프(15) 측으로 공급되므로 엘이디 램프(15)에 얼음이 생성되는 것이 방지되어 해당 얼음에 의해 엘이디 램프(15)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air heated by the heating member 241 is supplied to the LED lamp 15 side, ice is prevented from being generated in the LED lamp 15, so tha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15 is distorted by the ice. Can be prevented.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30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2 illustrates a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300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엘이디 램프(310)는 상기 차량(11)에 설치된 케이스(311)와, 상기 케이스(311)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11)의 등신호를 표시하는 메인 엘이디 모듈(312)과, 상기 메인 엘이디 모듈(312)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케이스(311)에 설치되며, 상기 변조부(120)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송신유닛(130)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신호광을 발생시키는 서브 엘이디 모듈(313)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LED lamp 310 is a case 311 installed in the vehicle 11 and a main LED module 312 installed in the case 311 and displaying an equal signal of the vehicle 11 ), and is installed in the case 311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main LED module 312, and externally controlled by the transmitting unit 130 to display a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120. It has a sub-LED module 313 for generating a low signal light.

상기 케이스(311)는 차량(11)의 후방 또는 전방에 설치되며, 광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311)는 내부에 메인 엘이디 모듈(312) 및 서브 엘이디 모듈(313)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The case 311 is installed at the rear or front of the vehicle 11, and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so that light can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ase 311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main LED module 312 and the sub LED module 313 are installed.

메인 엘이디 모듈(312)은 케이스(311) 내부에 설치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R,G,B 엘이디 광원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인 엘이디 모듈(312)은 차량(11)으로부터 입력된 등신호에 따라 광을 조사한다. 즉, 메인 엘이디 모듈(312)은 전조등 신호, 브레이크 등 신호 등을 표시한다. The main LED module 312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311,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R, G, and B LED light sources are provided. The main LED module 312 irradiates light according to the back signal input from the vehicle 11. That is, the main LED module 312 displays a headlight signal, a brake light signal, and the like.

서브 엘이디 모듈(313)은 케이스(311) 내부에 설치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송신유닛(130)에 제어에 따라 신호광을 발생시키기 위해 R,G,B 엘이디 광원이 마련되어 있다.The sub LED module 313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311,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R, G, and B LED light sources are provided in the transmitting unit 130 to generate signal light under control.

한편, 상기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300)은 상기 서브 엘이디 모듈(313)에서 발생되는 신호광의 광축선 상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광이 인접된 차량(11)의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상하폭을 축소시키되, 상기 신호광의 수신 가능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좌우폭은 확장시키는 렌즈모듈(320)을 구비한다. Meanwhile, the visible light communication-based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300 is install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signal light generated by the sub-LED module 313, and prevents the signal light from interfering with the driver's field of view of the adjacent vehicle 11 In order to reduce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the lens module 320 is provided to exp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in order to expand the recep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상기 렌즈모듈(32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서브 엘이디 모듈(313)에서 발생된 신호광의 광축선 상에 설치되어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상하폭을 축소시키는 축소판과, 신호광의 조사방향을 기준으로 축소판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좌우폭을 확장시키는 확장렌즈를 구비한다. Although the lens module 32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install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signal light generated by the sub-LED module 313 and reduces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signal light irradiation range, and is based on the signal light irradiation direction. As it i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thumbnail is provided with an expansion lens to expand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signal light irradiation range.

상기 축소판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광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되, 서브 엘이디 모듈(313)에서 생성된 신호광이 통과되도록 통과구가 형성된다. 이때, 통과구는 좌우폭보다 상하폭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the thumbnail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formed of a light-impermeable material, and a passage is formed so that signal light generated by the sub-LED module 313 passe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hole is formed to have a smaller vertical width than a horizontal width.

한편, 렌즈모듈(320)은 상술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호광의 조사범위를 상하폭은 축소시키되, 좌우폭을 확장시킬 수 있는 렌즈 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lens module 3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but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is reduced by the upper and lower widths, and any lens means capable of extending the left and right widths is possible.

상술된 바와 같이 렌즈모듈(320)은 서브 엘이디 모듈(313)로부터 조사되는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상하폭을 축소시키므로 상기 신호광이 인접된 차량(11)의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 또한, 렌즈모듈(320)에 의해 서브 엘이디 모듈(313)로부터 조사되는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좌우폭이 확장되므로 보다 많은 차량(11)의 수신유닛이 해당 신호광을 수신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ens module 320 reduces the upper and lower widths of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emitted from the sub-LED module 313, so that the signal light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driver's field of view of the adjacent vehicle 11, In addition, sinc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emitted from the sub-LED module 313 are extended by the lens module 320, the receiving unit of more vehicles 11 can receive the signal light.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유닛(33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13 shows a receiving unit 3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신유닛(330)은 인접된 차량(11)의 엘이디 램프(310)로부터 조사된 상기 신호광을 수신할 수 있는 광수신 센서의 수신부(341)로 입사되는 상기 신호광의 입사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광수신 센서에 설치되는 입사제한부(35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receiving unit 330 is an incident range of the signal light incident on the receiver 341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capable of receiving the signal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lamp 310 of the adjacent vehicle 11 In order to limit it, an incident limiting unit 350 installed in the light receiving sensor is further provided.

상기 입사제한부(350)는 상기 광수신 센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광수신 센서의 수신부(341)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354)이 마련되며, 상기 수신부(341)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인입공간(354)으로 상기 신호광이 인입될 수 있도록 수신구(355)가 형성된 본체(351)와, 상기 수신구(355)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구(355)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 상기 본체(351)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개폐플레이트(352)와, 상기 수신부(341)로 입사되는 상기 신호광의 입사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플레이트(352)를 이동시키는 개폐 이동부(353)와, 상기 광수신 센서를 통해 다수의 신호광이 수신될 경우, 상기 차량(11)의 전방에 인접된 차량(11)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광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구(355)의 개방범위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개폐플레이트(352)들이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 이동부(353)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The incident limiting part 350 is installed on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an inlet space 354 is provided to allow the receiving part 341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to be introduced therein, which is opposite to the receiving part 341. On the side, the main body 351 having a receiving opening 355 to allow the signal light to enter the receiving space 354 and the center of the receiving opening 355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opening 355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plates 352 slidably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351 as a referenc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s 352 so as to limit an incident range of the signal light incident on the receiver 341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moving unit 353 and a plurality of signal light is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sensor,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receive only the signal light provided from the vehicle 11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vehicle 11 In order to reduce the opening range of the receiving port 355, an opening/closing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moving unit 353 is provided so that the opening/closing plates 352 move in mutually adjacent directions.

상기 본체(351)는 광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수신구(3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신구(355)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351 is formed of a light-impermeable material, and the receiving port 355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receiving hole 355 is formed in a squar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or an oval shape.

개폐 플레이트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수신구(355)의 상하폭보다 더 큰 상하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폐 플레이트들은 수신구(355)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개폐 플레이트는 광 불투과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to have a larger vertical width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receiving port 355.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s are slidably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 355. 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preferably formed of a light-impermeable material.

개폐 이동부(35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개폐 플레이트들의 후면 하단에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되, 다수의 기어이가 마련된 복수의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들에 각각 치합될 수 있도록 본체(35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개폐 이동부(353)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개폐 플레이트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Although the opening/closing moving part 353 is not shown in the drawing, i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ar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s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rack ge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ear teeth, and the main body to be meshed with the rack gears (351) a plurality of pinion gears rotatably install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rotation motor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inion gears to rotate the pinion gears to move the opening/closing plate. Meanwhile, the opening/closing moving part 353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driving means capable of moving the opening/closing plates is possible.

개폐 제어부는 상기 개폐 이동부(353)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광수신 센서에 연결되어 광수신 센서로부터 다수의 신호광이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구(355)의 개방범위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개폐플레이트(352)들이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 이동부(353)의 회전모터를 제어한다. The opening/clos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closing moving unit 353, and is connected to the light receiving sensor to receive a plurality of signal lights from the light receiving sensor, to reduce the opening range of the receiving port 355, the opening/closing plate ( The rotating motors of the opening/closing moving part 353 are controlled so that the 352) are moved in directions adjacent to each other.

입사제한부(350)에 의해 광수신 센서를 통해 다수의 신호광이 수신될 경우, 본체(351)의 수신구(355)의 개방된 범위 좌우폭이 축소되므로 차량(11)의 좌우측 차선에 위치한 차량(11)으로부터 생성된 신호광들은 본체(351)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해당 차량(11)과 동일 차선에 위치한 선행 차량(11)의 신호광만을 수신하여 신호광의 수신율이 향상될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signal lights are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sensor by the incidence limiter 350, the left and right lanes of the vehicle 11 are reduced becaus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open range of the receiving port 355 of the main body 351 are reduced ( Since the signal lights generated from 11)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main body 351, the reception rate of the signal lights can be improved by receiving only the signal lights of the preceding vehicle 11 located in the same lane as the corresponding vehicle 11.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
110: 데이터 생성부
120: 변조부
121: 스크램블러
122: 채널 부호화모듈
123: 변조기
124: DAC
125: 코딩유닛
126: 맵핑유닛
130: 송신유닛
150: 왜곡방지유닛
151: 차단 플레이트
100: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110: data generation unit
120: modulator
121: scrambler
122: channel coding module
123: modulator
124: DAC
125: coding unit
126: mapping unit
130: transmitting unit
150: distortion prevention unit
151: blocking plate

Claims (9)

주행 중인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CSK(Color Shift Keying) 변조 기법을 기반으로 변조시키는 변조부;
상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조절하여 상기 변조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유닛;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인접된 차량의 수신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을 제거하거나 빗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왜곡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왜곡방지유닛은 상기 엘이디 램프 표면에 빗물이 맺히거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 상하측의 상기 차량 표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외부로 돌출형성된 복수의 차단 플레이트;
상기 차단 플레이트들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 측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들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노즐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 및
상기 송신유닛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를 통해 신호가 전송시 상기 분사노즐에서 에어가 분사되도록 상기 에어공급부를 제어하는 분사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
In the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in driving,
A dat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data frame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data frame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or based on a color shift keying (CSK) modulation technique;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by adjusting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A receiving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receiving unit of an adjacent vehicle;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to preven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from being distorted by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or rainwater or foreign matter is the LED lamp It is provided with a distortion preventing unit to prevent being attached to,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is installed on each surface of the vehicle above and below the LED lamp to prevent rain or contaminants from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LED lamp, and a plurality of blocking plates protruding outside the vehicle;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blocking plates to inject air toward the LED lamp;
An ai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injection nozzles to supply air to the injection nozzles; And
The injection unit controls the air supply unit so that air is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by the transmission unit.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부는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상기 CSK 변조 기법에 따라 컬러 코딩(color coding)하여 색상 맵핑(color mapping)하되, 상기 색상 맵핑은 R,G,B 엘이디 광원 각각의 출력 파워인 Pi, Pj, Pk의 세기(intensity)에 의해서 포인트(xp, yp)가 결정되며, 상기 엘이디 광원의 출력 세기와 xy 좌표와의 관계는 하기의 수학식에 결정되고,
상기 수신유닛은 맵핑 상태에 따라 상기 엘이디 램프의 R,G,B 엘이디 광원을 조절하고,
(수학식)
xp = Pi x xi + Pj x xj + Pk x xk
yp = Pi x yi + Pj x yj + Pk x yk
Pi + Pj + Pk = 1,
여기서, 포인트 (xi, yi), (xj, yj), (xk, yk)는 R, G, B LED 광원의 xy 좌표이고, 포인트(xp, yp)는 4-CSK 변조를 통해 변조된 심볼의 좌표인,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dulator performs color mapping by color coding the data frame according to the CSK modulation technique, wherein the color mapping is based on the output powers of the R, G, and B LED light sources Pi, Pj, and Pk. The point (xp, yp) is determined by the intens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intensity of the LED light source and the xy coordinate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he receiving unit adjusts the R, G, and B LED light sources of the LED lamp according to the mapping state,
(Mathematics)
xp = Pi x xi + Pj x xj + Pk x xk
yp = Pi x yi + Pj x yj + Pk x yk
Pi + Pj + Pk = 1,
Here, points (xi, yi), (xj, yj), (xk, yk) are the xy coordinates of the R, G, and B LED light sources, and points (xp, yp) are symbols of the modulated signal through 4-CSK modulation. Coordinate,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방지유닛은 상기 차단 플레이트들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로부터 입사된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distortion unit is further provided on each of opposite sides of the blocking plates to prevent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from the LED lamp;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삭제delete 주행 중인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CSK(Color Shift Keying) 변조 기법을 기반으로 변조시키는 변조부;
상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조절하여 상기 변조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유닛;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인접된 차량의 수신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을 제거하거나 빗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왜곡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왜곡방지유닛은 상기 차량이 주행 시 상기 차량의 상부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엘이디 램프 측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엘이디 램프 상측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차량 표면에 설치되되, 내부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동로가 마련되고, 일단부에 상기 유동로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유동로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된,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
In the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in driving,
A dat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data frame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data frame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or based on a color shift keying (CSK) modulation technique;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by adjusting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A receiving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receiving unit of an adjacent vehicle;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to preven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from being distorted by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or rainwater or foreign matter is the LED lamp It is provided with a distortion preventing unit to prevent being attached to,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guide member that guides a part of the air flowing backward along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to flow toward the LED lamp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The guide member, one e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hicle, the other end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vehicle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side of the LED lamp, a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an flow inside is provided, and at one end An inlet is form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flow path, and an outlet is formed to allow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to be discharged at the other e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방지유닛은 상기 엘이디 램프의 표면에 얼음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 측으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의 유동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재;를 더 구비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tortion preven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guide member so that hot air is supplied to the LED lamp side to prevent ice from being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LED lamp, a heating member for heating ai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Further comprising,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주행 중인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기반으로 하는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교통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프레임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부;
상기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CSK(Color Shift Keying) 변조 기법을 기반으로 변조시키는 변조부;
상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엘이디 램프를 조절하여 상기 변조된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유닛;
상기 차량에 설치되며, 인접된 차량의 수신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유닛; 및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에 의해 상기 엘이디 램프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빗물을 제거하거나 빗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엘이디 램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왜곡방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엘이디 램프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의 등신호를 표시하는 메인 엘이디 모듈;
상기 메인 엘이디 모듈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변조부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송신유닛의 제어에 따라 외부로 신호광을 발생시키는 서브 엘이디 모듈; 및
상기 서브 엘이디 모듈에서 발생되는 신호광의 광축선 상에 설치되며, 상기 신호광이 인접된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상하폭을 축소시키되, 상기 신호광의 수신 가능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상기 신호광의 조사범위의 좌우폭은 확장시키는 렌즈모듈;을 구비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
In the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in driving,
A data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data frame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of the vehicle;
A modulator for modulating the data frame generated by the data generator based on a color shift keying (CSK) modulation technique;
A transmission unit that transmits the modulated signal by adjusting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A receiving unit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receiving unit of an adjacent vehicle; And
Remove the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to prevent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LED lamp from being distorted by foreign matter or rainwater attached to the LED lamp installed in the vehicle, or rainwater or foreign matter is the LED lamp It is provided with a distortion preventing unit to prevent being attached to,
The LED lamp
A case installed in the vehicle;
A main LED module installed in the case and displaying a back signal of the vehicle;
A sub-LED module installed in the case adjacent to the main LED module and generating signal light to the outside under control of the transmitting unit to display a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or; And
It is installed on the optical axis of the signal light generated by the sub-LED module, to reduce the upper and lower width of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to prevent the signal light from interfering with the driver's field of view of the adjacent vehicle, the receiving range of the signal light In order to exp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irradiation range of the signal light, a lens module to expan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유닛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접된 차량의 엘이디 램프로부터 조사된 상기 신호광을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부가 마련된 광수신 센서;
상기 광수신 센서로 입사된 상기 신호광을 토대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을 산출하는 정보제공부; 및
상기 수신부로 입사되는 상기 신호광의 입사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광수신 센서에 설치되는 입사제한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사제한부는
상기 광수신 센서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광수신 센서의 수신부가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신부에 대향되는 측면에, 상기 인입공간으로 상기 신호광이 인입될 수 있도록 수신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수신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측 상기 본체에,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개폐플레이트;
상기 수신부로 입사되는 상기 신호광의 입사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개폐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개폐 이동부; 및
상기 광수신 센서를 통해 다수의 신호광이 수신될 경우, 상기 차량의 전방에 인접된 차량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광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구의 개방범위를 축소하기 위해 상기 개폐플레이트들이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개폐 이동부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는,
가시광 통신 기반 차량간 통신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8,
The receiving unit
It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light receiving sensor provided with a receiving unit to receive the signal light irradiated from the LED lamp of the adjacent vehicle;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calculating the data frame based on the signal light incident on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d
It is provided with; an incidence limiter installed in the light receiving sensor so as to limit the incidence range of the signal light incident on the receiver;
The entrance limit is
As being installed in the light receiving sensor, an inlet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receiving part of the light receiving sensor can be introduced therein, and on a side opposite to the receiving part, a receiving hole is provided so that the signal light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let space. Formed body;
A plurality of opening/closing plates slidably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receiving port so as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port;
An opening/closing moving unit for moving the opening/closing plate to limit an incident range of the signal light incident on the receiving unit; And
When a plurality of signal lights are received through the light receiving sensor,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order to reduce the opening range of the receiving port so as to selectively receive only signal lights provided from vehicles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vehicle. Equipped with; opening and clos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moving unit to move to,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20190050848A 2019-04-30 2019-04-30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KR1021310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848A KR102131096B1 (en) 2019-04-30 2019-04-30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848A KR102131096B1 (en) 2019-04-30 2019-04-30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096B1 true KR102131096B1 (en) 2020-08-05

Family

ID=7204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848A KR102131096B1 (en) 2019-04-30 2019-04-30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09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518B1 (en) * 2016-11-03 2017-05-02 공대원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vehicles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devices supporting the same
KR101896831B1 (en) * 2017-03-24 2018-09-07 윤종구 Intelligent headlight system for bicycles
KR101964175B1 (en) 2017-11-15 2019-04-02 올래디오 주식회사 Method and terminal for providing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518B1 (en) * 2016-11-03 2017-05-02 공대원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vehicles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devices supporting the same
KR101896831B1 (en) * 2017-03-24 2018-09-07 윤종구 Intelligent headlight system for bicycles
KR101964175B1 (en) 2017-11-15 2019-04-02 올래디오 주식회사 Method and terminal for providing vehicle communication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518B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vehicles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devices supporting the same
Memedi et al. Vehicular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A survey
Kim et al.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VLC-based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s under fog conditions
Yoo et al. Demonstration of vehicula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based on LED headlamp
Cailean et 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Application to cooperation between vehicles and road infrastructures
CN105122081B (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ange information for vehicle
US201600653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een communication for intelligent mobile internet of things
Zheng et al. Visible light communications-recent progresses and future outlooks
CN107264385A (en) The adaptive illuminator of cooperation communicated using vehicle-to-target or object
US11245469B2 (en) Line-of-sight optical communication for vehicle-to-vehicle (v2v) and vehicle-to-infrastructure (v2i)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CN104159783A (en) Controllable high luminance illumination with moving light-sources
CN105291959A (en) Two-dimensional self-adaptive headlamp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car et al. Dimming support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 intelligent transportation and traffic system
CN109450536A (en) A kind of vehicle Internet of things system and communication means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N110134125A (en) Vehicular automatic driving method, apparatus and vehicle
Turan et al. Vehicular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KR102131096B1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bualhoul et al. Enhancing the field of view limitation of visible light communication-based platoon
CN107554404A (en) A kind of car headlamp of Intelligent adjustment
Yeasmin et al. Traffic control management and road safety using vehicle to vehicle data transmission based on Li-Fi technology
CN106183961A (en) Illumination and/or signal designation light-emitting device for vehicle
CN105959062A (en) Dual-rate visible light communication transmitter based on LED vehicle lamps
CN108923856A (en) Transmitting terminal LED car lamp automatic control device based on vehicle-mounte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arè et al.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and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pplications: An overview
Vitek et al. Influence of camera setting on vehicle-to-vehicle vlc employing undersampled phase shift on-off key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