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961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961B1
KR102130961B1 KR1020190002655A KR20190002655A KR102130961B1 KR 102130961 B1 KR102130961 B1 KR 102130961B1 KR 1020190002655 A KR1020190002655 A KR 1020190002655A KR 20190002655 A KR20190002655 A KR 20190002655A KR 102130961 B1 KR102130961 B1 KR 102130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unition
blockchain
server
weap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수용
아닉
김재오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2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5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asymmetric-key encryption or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e.g. key signature or public key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04L2209/3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블록체인서버와 연계하여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부여된 식별코드로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등록을 수행함과 아울러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출고 요청된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고 및 출고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을 포함한 출납 관리를 수행하는 보관소 단말기; 상기 보관소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생체정보 및 기생성된 공개키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납이 이루어지도록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며, 상기 스마트 계약에 의해 출납을 검증하는 상기 블록체인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WEAPONRY AND AMMUNITION USING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납시 보안성이 강화되어 신뢰성을 보장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군대 또는 경찰서 등의 무기류 및 탄약류를 소지하는 장소에서 무기류 및 탄약류의 관리를 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총알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도난에 취약함으로 특별한 관심이 요구되며, 무기류 및 탄약류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으로는 불법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접근 위협에 대한 적절한 보안을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고 유연한 무기류 및 탄약류 출납 관리와 더불어 도난 및 데이터 변조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보안성이 강화된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한편 블록체인은 네트워크 참여자간에 복제되고 공유되는 데이터 구조로서, 보안성을 강화하기 위해 데이터 불변성, 익명성, 암호화 등과 같은 속성을 지원한다.
따라서, 무기류 및 탄약류의 출납 관리를 위한 블록체인의 개념을 활용하여 안전하고 보안성이 강화된 새로운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0933222호 (2009.12.14.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군수 물품인 무기류 및 탄약류의 출납을 체계적이며 보안성이 강화된 형태로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블록체인서버와 연계하여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부여된 식별코드로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등록을 수행함과 아울러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출고 요청된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고 및 출고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을 포함한 출납 관리를 수행하는 보관소 단말기; 상기 보관소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생체정보 및 기생성된 공개키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납이 이루어지도록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며, 상기 스마트 계약에 의해 출납을 검증하는 상기 블록체인서버;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관소 단말기는 기저장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재고량를 포함한 출납정보를 기반으로 출고 요청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고 요청서를 생성하며, 상기 블록체인서버는 상기 출고 요청서를 전송받아 출고 요청서에 포함된 출납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서버는 상기 스마트 계약의 계약 사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분산 저장된 복수의 계약 사본을 상호 비교하여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서버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고, 기생성된 공개키 및 상기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상기 보관소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증서버; 상기 인증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보관소 단말기와 인증서버를 중개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고 요청시 출납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출고 요청서를 토대로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며, 스마트 계약을 유효성을 검증하여 출납을 관리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출고 요청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납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출고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 요청시 출납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재고서버;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생성된 스마트 계약을 전송받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계약관리서버; 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관소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 등록을 위한 개인정보를 상기 인증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인증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수행결과를 전송받아 사용자 인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재고서버로부터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속성정보를 제공받거나 출납 관리를 위한 출납정보를 제공받는 통신부; 사용자가 사용자 등록 과정을 위해 개인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생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부; 각종 알람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 경고음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증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거나 무기류 및 탄약류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상기 재고서버와 연계하여 검증하는 인증부; 각종 알람이 필요한 경우에 알람 팝업창을 통하여 외부에 그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상기 속성정보 또는 출납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코드를 감지하여 상기 인증부에 전송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공개키를 생성하며, 상기 보관소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공개키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져 인증 결과를 상기 보관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보관소 단말기에서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고유한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관리서버를 통하여 재고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보관소 단말기에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납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관소 단말기를 통하여 출고 요청시 출납정보를 포함한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여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출고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 요청시 상기 스마트 계약을 토대로 블록체인 기반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여 반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식별코드, 속성정보 및 재고량을 상기 보관소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기 재고서버에 상기 식별코드, 속성정보 및 재고량을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재고서버는 상기 식별코드, 속성정보 및 재고량을 전송받아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기구축된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재고장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관소 단말기에서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고 요청하는 단계; 상기 보관소 단말기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고 요청시 출납정보를 포함한 출고 요청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출고 요청서를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스마트 계약을 계약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계약관리서버는 스마트 계약의 계약 사본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보관소 단말기는 사용자의 반환 요청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보관소 단말기는 인증된 사용자의 반환 요청시, 관리서버에 스마트 계약을 요청하는 단계; 관리서버는 계약관리서버로부터 스마트 계약을 전송받아 스마트 계약에 포함된 출납정보를 토대로 계약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보관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보관소 단말기는 검증 결과에 따라 유효한 계약에 대해서 반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관리서버는 스마트 계약을 만료하고 해당 스마트 계약을 삭제하는 단계; 관리서버는 재고서버에 반환에 따른 출납정보에 대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기구축된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재고서버에 있는 재고장부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반환 요청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에 따라 제공된 출납정보가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스마트 계약 내용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보관소 단말기에 반환 재요청하는 단계; 상기 보관소 단말기는 반환 요청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에 따라 제공된 출납정보가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스마트 계약 내용과 일치하지 않으면 팝업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통하여 외부에 경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공개키를 생성하며, 상기 보관소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공개키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져 인증 결과를 상기 보관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무기류 및 탄약류를 출납할 때 사용자 인증 과정을 거치며, 출납 과정이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통해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변경 불가능하며, 권한 없이는 데이터 변조 또는 삭제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보안성이 강화되어 출납 관리가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각 서버들이 별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다중 블록체인 망에 의해 출납정보 및 스마트 계약이 관리되므로 보안성이 한층 강화되어 신뢰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보관소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의 물품 등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의 물품 요청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의 물품 반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의 스마트 계약 유효성 검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의 유효성 검사에 이용되는 스마트 계약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보관소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은 보관소 단말기(100), 블록체인서버(200)를 포함한다.
보관소 단말기(100)는 군수 물품인 무기류 및 탄약류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소에 마련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서버(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로 연결되고, 블록체인서버(200)와 연계하여 사용자(S)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S) 인증을 수행하며, 무기류 및 탄약류에 새로운 고유한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등록을 수행할 수 있고, 출고 및 반환 과정에서 해당 무기류 및 탄약류를 확인하기 위해 식별코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보관소 단말기(100)는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등록되지 않은 무기류와 탄약류는 제외시키고 등록된 무기류와 탄약류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자(S)는 무기류 및 탄약류를 소지할 수 있는 대상으로 예컨대 군인, 경찰 등이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보관소 단말기(100)가 구비되는 보관소는 무기류 보관소와 탄약류 보관소가 별도로 마련되어 체계적으로 분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보관소 단말기(100)는 보관소와 일체화된 형태인 스마트 캐비닛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기류는 총기류, 중화기류, 무장운송수단(예컨대, 탱크, 자주포)에 장착되는 부품(예컨대 포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약류는 각종 탄약, 수류탄, 연막탄, 섬광탄, 포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식별코드를 부여하기 위해 무기류 또는 탄약류 각각에 고유한 RFID 태그, 이차원바코드, QR코드와 같은 코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보관소 단말기(100)에는 RF 통신과 같이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이 내장될 수 있다.
나아가 RFID 태그를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부착하는 경우 보안상 무단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에 부착하거나, 태그 훼손시 훼손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태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서버(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하여 보관소 단말기(100)와 연결되는 내부 망이 블록체인 형태로 이루어진 서버로, 기구축된 내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키 및 개인키를 생성하고, 공개키와 사용자(S)의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S) 인증을 수행하고,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여 무기류 및 탄약류에 대한 출납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서버(200)는 스마트 계약의 계약 사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분산 저장된 복수의 계약 사본을 상호 비교하여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즉 블록체인은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로, 수많은 분산 노드들이 스마트 계약의 정보를 공유하고, 최종 결정은 모든 노드의 합의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노드의 운영자에 의한 임의 조작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그 주체 자체도 계약 정보를 임의로 조작할 수 없다.
나아가 블록체인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의 기능을 세분화하고 연계망을 통하여 물품의 출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도록 인증서버(210), 관리서버(220), 재고서버(230) 및 계약관리서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220)는 중앙에 위치한 연계서버로서, 인증서버(210), 재고서버(230) 및 계약관리서버(240)와 연계하여 무기류 및 탄약류의 출납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세분화된 각각의 인증서버(210), 관리서버(220), 재고서버(230) 및 계약관리서버(240)는 도 1의 개념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인증서버(210)는 관리서버(220)의 통제에 의해 사용자(S)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인증서버(210)는 보관소 단말기(100)에 허용된 사용자(S)만 접근하여 무기류 및 탄약류를 출납할 수 있도록 사용자(S)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인증서버(210)의 사용자(S) 등록 프로세스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인증서버(210)는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고 사용자(S)의 생체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S) 등록 및 추후 출납시 사용자(S) 인증에 사용할 수 있다.
관리서버(220)는 미리 구축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서버(210), 재고서버(230), 계약관리서버(240)와 연계하여 무기류 및 탄약류의 출납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220)는 인증서버(210)와 연계하여 인증서버(210)의 사용자(S) 인증 과정을 확인하고, 인증된 사용자(S)의 출납 요청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여 계약관리서버(240)에 전송하여 관리한다.
또한, 관리서버(220)는 계약관리서버(240)와 연계하여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을 검증하며 출납정보를 제공하는 재고서버(230)와 연계하여 무기류 및 탄약류에 대한 출납을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계약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가상 형식의 실제 계약을 나타내는 작은 바이트(byte) 크기의 파일 형식을 갖는 계약으로, 예컨대 이더리움(Ethereum)과 같은 분산 컴퓨팅 플랫폼을 활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스마트 계약은 공개키 인증을 통해 보관소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S) 입력에 의해 작성된 출고 요청서를 토대로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고 요청에 의해 출납정보를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출고 요청서는 관리서버(220)에 접속 가능한 권한을 갖는 사용자(S, 예컨대 군대 상급 관리자)에 의해 직접 관리서버(220)에서 작성될 수도 있다. 출고 요청 프로세스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재고서버(230)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재고량을 주기적으로 저장하고, 출납에 대한 정보로서 출납정보를 저장하며 관리서버(220)의 요청시 제공하는 서버이다.
즉 재고서버(230)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식별코드, 재고량, 속성정보, 출납정보 등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저장하며, 저장된 정보를 요청받아 관리서버(2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속성정보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 각각의 고유한 속성에 대한 정보로서, 예컨대 무기류의 총기에 해당하면 해당 총기에 대한 속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즉, 총기라면 속성정보에 총기의 유형, 해당 총기의 재고량, 식별코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출납정보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식별코드, 출고한 사용자(S)의 개인식별코드, 출고일시, 반환예약일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고량,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량,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재고량, 요청서식별코드, 스마트계약고유코드, 반환일시, 반환이유, 누락이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재고량 및 출납정보는 갱신될 때마다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계약관리서버(240)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납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스마트 계약을 관리서버(220)로부터 전송받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보관소 단말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인증부(140), 표시부(150) 및 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관리서버(220)와 연계하여 사용자(S) 등록을 위한 개인정보를 인증서버(210)에 제공하며, 인증서버(210)에서 사용자(S) 인증을 수행한 수행결과를 전송받아 사용자(S) 인증 결과를 사용자(S)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통신부(110)는 재고서버(230)로부터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속성정보를 제공받거나 출납 관리를 위한 출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S)가 사용자(S) 등록 과정을 위해 개인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S) 인증에 필요한 생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생체정보는 암호, 홍채, 지문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S) 등록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S)의 고유한 개인식별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각종 알람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 경고음 등을 출력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각종 알람이 필요한 경우는 가령 스마트 계약되지 않은 무기류 또는 탄약류를 출고 요청하거나 재고량이 부족한 경우 등이 될 수 있다.
인증부(140)는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인증서버(210)와 연계하여 사용자(S) 인증을 수행하거나 무기류 및 탄약류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재고서버(230)와 연계하여 검증할 수 있다.
나아가 인증부(140)는 식별코드 형태가 RFID 태그인 경우 태그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태그가 미부착되거나 무단 훼손된 무기류 및 탄약류를 미인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각종 알람이 필요한 경우에 알람 팝업창을 통하여 외부에 그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부가적인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S)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부가적인 정보는 이를 테면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속성정보가 될 수 있다.
속성정보는 사용자(S)가 출고 요청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해 상세하게 확인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속성정보는 무기류와 탄약류들에 대해서 물품 등록 과정을 통하여 재고서버(23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S)는 표시부(150)를 통하여 출고에 필요한 무기류와 탄약류의 유형 및 속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코드를 감지하여 인증부(14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증서버(210)에서 수행되는 사용자(S) 등록 프로세스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증서버(210)는 허가된 사용자(S)가 보관소 단말기(100)에 접근하여 무기류 및 탄약류를 출납할 수 있도록 사용자(S) 등록을 먼저 수행한다.
인증서버(210)는 관리서버(220)의 통제에 의해 사용자(S) 등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인증서버(210) 또는 관리서버(220)의 각 블록체인 노드에는 사용자(S)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개인식별코드와 키 쌍(개인키 및 공개키)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S)가 사용자(S) 등록을 위해 관리서버(220)를 통하여 인증서버(210)에 개인정보를 제공하면 제공된 개인정보와 개인키를 고유하게 만드는 타임스탬프를 사용하여 개인키를 생성한다.
이러한 개인키의 생성에는 현재의 타임스탬프와 사용자(S)의 개인정보 집합을 입력으로 한 단방향성 변환함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단방향성 변환함수는 예컨대 해시 함수(Hash Function)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해시 함수는 특정 입력(x)에 대해서 항상 같은 출력(hash(x))을 가지며, 출력값으로부터 입력값을 찾기 충분히 어려운 단방향성을 가지면 충분한 기능을 제공하는 함수가 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해시 함수의 예로 SHA(Secure Hash Algorithm) 256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으며, SHA 256 알고리즘 해시 함수를 사용한 키 생성 프로세스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112019002668512-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9002668512-pat00002
는 현재 타임스탬프이고
Figure 112019002668512-pat00003
는 사용자(S)가 제공하는 개인정보 집합이다.
Figure 112019002668512-pat00004
를 타원 곡선상의 좌표의 집합이라고 가정하면,
Figure 112019002668512-pat00005
여기서
Figure 112019002668512-pat00006
는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생성된 공개키이다. 공개키(
Figure 112019002668512-pat00007
)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납시 사용자(S) 인증을 위해 사용된다.
등록된 사용자(S)가 무기류와 탄약류를 출납하기 위해서는 관리서버(220) 또는 인증서버(210)를 통해 공개키(
Figure 112019002668512-pat00008
)를 확인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의 물품 등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무기류 및 탄약류에 대한 재고를 확보한 상태에서 사용자(S)의 출납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물품 등록 과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해당 물품이 무기류인지 탄약류인지 미리 항목이 분류되어 설정될 수 있다(S100). 이를 테면, 항목이 무기류인 경우는 탄약류의 식별코드와 식별코드 일부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무기류에 대한 항목과 탄약류에 대한 항목이 별도로 구분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항목이 정해지면 무기류인 경우 저장해야 하는 모든 무기류에 식별코드를 부여한다(S102, S104).
식별코드가 부여된 무기류는 출납이 가능하도록 무기류 보관소에 보관되고, 해당 무기류에 대한 식별코드 및 속성정보가 관리서버(220)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S106, S112).
또한 S102 단계에서 기 설정된 항목에 의해 분류된 탄약류의 경우 각각에 고유한 식별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S108).
식별코드가 부여된 탄약류는 출납이 가능하도록 탄약류 보관소에 보관되고, 해당 탄약류에 대한 식별코드 및 속성정보가 관리서버(220)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S110, S112).
다음 단계로 관리서버(220)를 통해 재고서버(230)를 동기화한다(S112).
동기화 과정에서 관리서버(220)는 재고서버(230)에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식별코드, 속성정보, 재고량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재고서버(230)에 등록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해 식별코드, 속성정보, 재고량을 전송하면 재고서버(230)에서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어 블록체인에 추가되고 재고장부가 업데이트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의 물품 요청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S)가 보관소 단말기(100) 또는 관리서버(220)를 통해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고 요청서를 작성하여 요청한다(S200). 출고 요청서를 작성하기 위해 보관소 단말기(100) 또는 관리서버(220)에서는 사용자(S) 인증이 선행되어 수행될 수 있다.
출고 요청서는 하기의 수학식 3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Figure 112019002668512-pat00009
여기서 Φ는 출고 요청서이며,
Figure 112019002668512-pat00010
는 무기류의 재고량이며,
Figure 112019002668512-pat00011
는 탄약류의 재고량이다. 출고 요청서에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재고량를 포함한 출납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보관소 단말기(100)는 관리서버(220) 또는 재고서버(230)와 연계하여 출고 요청서에서 요청된 항목들에 대해 출고 가능한 수량을 확인한다(S202). 재고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요청한 사용자(S)에게 재고량이 충분하지 않음을 팝업 메시지나 경고음을 통하여 알리고, 재입력을 요청한다.
또한 관리서버(220)는 출고 요청서를 기반으로 하기의 수학식 4에 의해 스마트 계약을 생성한다(S204).
Figure 112019002668512-pat00012
여기서, Ψ를 스마트 계약이라고 하고,
Figure 112019002668512-pat00013
는 무기류의 재고량이며,
Figure 112019002668512-pat00014
는 탄약류의 재고량이다.
또한
Figure 112019002668512-pat00015
이고,
Figure 112019002668512-pat00016
이며 m과 n은 각각 무기류와 탄약류의 개수이며, τ는 타임스탬프이다.
관리서버(220)에서 생성된 스마트 계약은 계약관리서버(240)로 전송되어 계약 사본을 복사하여 계약관리서버(240)의 블록체인을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에 별도로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출납 요청시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이 각각의 계약 사본을 비교하여 검증될 수 있다.
Figure 112019002668512-pat00017
를 포함하는 스마트 계약의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관리서버(220)는 계약관리서버(240)와 연계하여 무기류와 탄약류의 출고 요청시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 검사를 위해 계약관리서버(240)의 모든 블록체인 노드들에 분산 저장된 스마트 계약의 계약 사본을 상호 비교하여 검증할 수 있다.
검증 이후에는 스마트 계약의 계약 사본 하나가 보관소 단말기(100)로 전송된다(S206).
보관소 단말기(100)에 접속하려면 사용자(S)는 생성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사용자(S) 인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사용자(S) 인증 과정은 공개키와
Figure 112019002668512-pat00018
의 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ρ는 암호, 홍채, 지문 등의 생체정보를 나타낸다.
보관소 단말기(100)는 스마트 계약과 계약 체결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식별코드를 검사한다. 사용자(S)는 스마트 계약에 의해 할당된 물품 및 요청된 출고량에 대한 항목만 출고할 수 있으며, 더 많은 항목 또는 다른 항목을 출고하려고 하면 보관소 단말기(100)는 표시부(150)를 통해 알람 팝업창을 보내거나 출력부(130)를 통해 소리를 내어 경고할 수 있다.
이후 출고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항목들(예컨대 출고된 물품 및 출고 수량)의 출납정보에 해당하는 새로운 블록들이 생성되어 재고서버(230)에 기구축된 블록체인과 결합되고, 재고서버(230)의 재고장부에는 블록체인들을 기반으로 한 출납정보가 업데이트된다(S208).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의 물품 반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S)가 보관소 단말기(100)에 접근하여 사용자(S) 인증을 거쳐 무기류를 반환할 수 있다.
보관소 단말기(100)는 전술한 요청 과정을 통해 사용자(S)에게 발급된 스마트 계약의 항목을 확인하여 반환할 물품이 무기류인지 또는 탄약류인지 확인한다(S300).
반환할 물품이 탄약류인 경우, 사용자(S)가 보관소 단말기(100)에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탄약류를 반환할 수 있다.
보관소 단말기(100)는 탄약류에 부여된 식별코드 및 해당 사용자(S)에게 발급된 스마트 계약이 있는 반환 물품을 확인한다(S304).
보관소 단말기(100)는 재고서버(230)를 통하여 반환된 탄약류의 수량을 확인한다(S306).
또한 보관소 단말기(100)는 사용자(S)가 입력부(120)를 통하여 입력된 반환 이유를 생성하여 반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S308).
보관소 단말기(100)는 관리서버(220)에 해당 탄환류의 반환에 대해 출납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통보한다(S310).
반환 물품이 탄약류인 경우, 해당 탄약류의 반환에 따라 제공된 출납정보가 해당 탄약류의 스마트 계약 내용과 일치하지 않으면 보관소 단말기(100)는 팝업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통하여 외부에 경고한다.
관리서버(220)는 재고서버(230)와 연계하여 출납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고, 검증 결과 유효한 계약에 대해서 해당 탄환류에 대한 스마트 계약을 만료하고 해당 스마트 계약을 삭제한다(S312).
관리서버(220)는 계약관리서버(240)와 연계하여 무기류와 탄약류의 반환 요청시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 검사를 위해 계약관리서버(240)의 모든 블록체인 노드들에 분산 저장된 스마트 계약의 계약 사본을 상호 비교하여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 검증 과정에서 반환 요청시 사용자(S)로부터 제공된 출납정보와 스마트 계약에 포함된 출납정보를 대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관리서버(220)는 재고서버(230)에 반환에 따른 출납정보에 대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기구축된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재고서버(230)에 있는 재고장부에 업데이트한다(S314).
전술한 S300단계에서 반환 물품이 무기류인 경우 사용자(S)가 보관소 단말기(100)에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전술한 탄약류의 반환 과정을 동일한 과정을 거쳐 무기류를 반환할 수 있다(S302, S310, S312, S314).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의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 검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반환되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스마트 계약을 통해 반환이 이루어지는 프로세스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스마트 계약에서는 공개키 인증을 통해 작성된 출고 요청서를 토대로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납정보를 포함하도록 정의된다.
보관소 단말기(100)는 반환된 무기류의 사용 계약한 내용이 맞는지 스마트 계약에 포함된 출납정보를 통하여 확인한다(S400).
보관소 단말기(100)는 사용자(S)가 반환 물품의 무기류가 아닌 무기류를 반환하면 사용자(S)에게 반환 물품의 무기류를 반환하도록 요청한다(S402, S412).
사용자(S)가 반환 물품의 무기류를 반환하면 보관소 단말기(100)는 반환 과정을 계속 진행한다.
보관소 단말기(100)는 스마트 계약 내용을 토대로 누락된 무기류의 여부를 확인한다(S404).
누락된 무기류가 있는 경우, 보관소 단말기(100)는 누락된 무기류의 수량을 계산하고 카운팅을 마친 후 해당 사용자(S)에게 해당 무기류를 반환하지 않는 누락 이유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누락된 무기류의 수량 및 누락 이유를 포함한 출납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20)에 통보한다(S406, S408, S410).
관리서버(220)는 반환 물품의 무기류에 대한 스마트 계약을 만료하고, 재고서버(230)에 반환에 따른 출납정보의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기구축된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재고서버(230)에 있는 재고장부를 업데이트한다(S426).
상기 S402 단계에서 누락된 무기류가 없는 경우, 보관소 단말기(100)는 관리서버(220)에 통보하여 반환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
보관소 단말기(100)는 반환된 탄약류가 사용 계약한 내용이 맞는지 스마트 계약 내용을 통하여 확인한다(S414).
사용자(S)가 반환 물품이 아닌 탄약류를 반환하면 보관소 단말기(100)는 해당 사용자(S)에게 스마트 계약 기간동안 출고한 탄약류를 반환하도록 요청한다(S422).
사용자(S)가 반환 물품의 탄약류를 반환하면 보관소 단말기(100)는 반환 과정을 계속 진행한다.
보관소 단말기(100)는 반환된 탄약류의 수량을 확인한다(S416, S418).
보관소 단말기(100)는 수량 확인 후 사용된 탄약류가 있는 경우, 사용된 수량을 계산하고, 카운팅이 끝난 후, 사용자(S)에게 해당 탄약의 반환 이유를 등록하도록 요청한다(S418, S420).
누락된 탄약류의 수량 및 반환 이유를 포함한 출납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220)에 통보한다(S428).
관리서버(220)는 반환 물품에 해당하는 탄약류에 대한 스마트 계약을 만료하고, 재고서버(230)에 반환에 따른 출납정보의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기구축된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재고서버(230)에 있는 재고장부를 업데이트한다(S430, S432).
S416 단계에서 만약 사용된 탄약이 없는 경우, 보관소 단말기(100)는 S428 단계부터 계속 수행한다.
100 : 보관소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인증부 150 : 표시부
160 : 감지부 200 : 블록체인서버
210 : 인증서버 220 : 관리서버
230 : 재고서버 240 : 계약관리서버
S : 사용자

Claims (12)

  1.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블록체인서버와 연계하여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부여된 식별코드로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등록을 수행함과 아울러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출고 요청된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고 및 출고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을 포함한 출납 관리를 수행하는 보관소 단말기 및
    상기 보관소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생체정보 및 기생성된 공개키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납이 이루어지도록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며, 상기 스마트 계약에 의해 출납을 검증하는 상기 블록체인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소 단말기는
    기저장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재고량를 포함한 출납정보를 기반으로 출고 요청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고 요청서를 생성하며,
    상기 블록체인서버는
    상기 출고 요청서를 전송받아 출고 요청서에 포함된 출납정보를 토대로 상기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서버는
    상기 스마트 계약의 계약 사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분산 저장된 복수의 계약 사본을 상호 비교하여 스마트 계약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서버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토대로 개인키 및 공개키를 생성하고, 기생성된 공개키 및 상기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결과를 상기 보관소 단말기에 제공하는 인증서버;
    상기 인증서버와 연계하여 상기 보관소 단말기와 인증서버를 중개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고 요청시 출납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출고 요청서를 토대로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며, 스마트 계약을 유효성을 검증하여 출납을 관리하는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출고 요청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대한 출납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출고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 요청시 출납정보를 제공하는 재고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생성된 스마트 계약을 전송받아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계약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소 단말기는
    상기 관리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 등록을 위한 개인정보를 상기 인증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인증서버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수행결과를 전송받아 사용자 인증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재고서버로부터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속성정보를 제공받거나 출납 관리를 위한 출납정보를 제공받는 통신부;
    사용자가 사용자 등록 과정을 위해 개인정보를 입력하거나 상기 생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부;
    각종 알람이 필요한 경우에 대해 경고음 등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증서버와 연계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거나 무기류 및 탄약류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상기 재고서버와 연계하여 검증하는 인증부;
    각종 알람이 필요한 경우에 알람 팝업창을 통하여 외부에 그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상기 속성정보 또는 출납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부여된 고유한 식별코드를 감지하여 상기 인증부에 전송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공개키를 생성하며,
    상기 보관소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공개키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져 인증 결과를 상기 보관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7.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보관소 단말기에서 무기류 또는 탄약류에 고유한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관리서버를 통하여 재고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보관소 단말기에서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납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보관소 단말기를 통하여 출고 요청시 출납정보를 포함한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여 출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및
    출고된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 요청시 상기 스마트 계약을 토대로 블록체인 기반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하여 반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식별코드, 속성정보 및 재고량을 상기 보관소 단말기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블록체인 기반의 상기 재고서버에 상기 식별코드, 속성정보 및 재고량을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재고서버는 상기 식별코드, 속성정보 및 재고량을 전송받아 해당 데이터에 대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기구축된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재고장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소 단말기에서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고 요청하는 단계;
    상기 보관소 단말기는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출고 요청시 출납정보를 포함한 출고 요청서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출고 요청서를 기반으로 스마트 계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스마트 계약을 계약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계약관리서버는 스마트 계약의 계약 사본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에 분산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보관소 단말기는 사용자의 반환 요청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보관소 단말기는 인증된 사용자의 반환 요청시, 관리서버에 스마트 계약을 요청하는 단계;
    관리서버는 계약관리서버로부터 스마트 계약을 전송받아 스마트 계약에 포함된 출납정보를 토대로 계약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검증 결과를 보관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보관소 단말기는 검증 결과에 따라 유효한 계약에 대해서 반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관리서버는 스마트 계약을 만료하고 해당 스마트 계약을 삭제하는 단계 및
    관리서버는 재고서버에 반환에 따른 출납정보에 대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여 기구축된 블록체인에 추가하고 재고서버에 있는 재고장부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반환 요청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에 따라 제공된 출납정보가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스마트 계약 내용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보관소 단말기에 반환 재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보관소 단말기는 반환 요청된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반환에 따라 제공된 출납정보가 해당 무기류 또는 탄약류의 스마트 계약 내용과 일치하지 않으면 팝업 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통하여 외부에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개인키를 생성하고,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공개키를 생성하며,
    상기 보관소단말기의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상기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인증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인증서버에서 상기 생체정보 및 상기 공개키의 조합에 의해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져 인증 결과를 상기 보관소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방법.
KR1020190002655A 2019-01-09 2019-01-09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0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55A KR102130961B1 (ko) 2019-01-09 2019-01-09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2655A KR102130961B1 (ko) 2019-01-09 2019-01-09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961B1 true KR102130961B1 (ko) 2020-07-07

Family

ID=7160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655A KR102130961B1 (ko) 2019-01-09 2019-01-09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6278A1 (de) * 2021-12-30 2023-07-06 Luniklabs Gmbh Munitionsüberwachungssystem und verfahren zur munitionsüberwach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222B1 (ko) 2009-07-01 2009-12-22 대한민국 무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41054A (ko) * 2017-09-06 2018-04-2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JP2018197832A (ja) * 2017-05-25 2018-12-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ブロックチェーン更新システム、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ブロックチェーン更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222B1 (ko) 2009-07-01 2009-12-22 대한민국 무기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197832A (ja) * 2017-05-25 2018-12-1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ブロックチェーン更新システム、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ブロックチェーン更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41054A (ko) * 2017-09-06 2018-04-23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의 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6278A1 (de) * 2021-12-30 2023-07-06 Luniklabs Gmbh Munitionsüberwachungssystem und verfahren zur munitionsüberwach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60036A1 (en) Blockchain-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control on remote internet-enabled resources
US20220311618A1 (en) Nested blockchain system
US106358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 to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20230177445A1 (en) Crowdsourced delivery based on a set of requirements
US201903022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rone position determination
US8793496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cure optimistic mechanisms for constrained devices
EP34558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assets
US20190205547A1 (en) Providing and checking the validity of a virtual document
CN109637637A (zh) 基于区块链的医疗管理系统
JP2019219780A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53316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a product in a computer network and system
CN105096134A (zh) 用于验证数字实体及聚合对象来源的安全方案的系统及方法
US20190362305A1 (en) Systems and Methods Exception Handling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20190363884A1 (en) System and Methods for Multi-Variant Tracking
US20070067633A1 (en) Method for securely managing an inventory of secure coprocessors in a distributed system
US20210367938A1 (en) Biometrically-enhanced verifiable credentials
US20230216683A1 (en) Physio-digital non-fungible token system
US201903869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vehicle authentication
CN111163034A (zh) 区块链网络及其电子锁控制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Buldin et al. Next generation industrial blockchain-based wireless sensor networks
KR102130961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무기류 및 탄약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063188A (zh) 在通信网络中的认证和/或标识方法
KR101195162B1 (ko) 마커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5183A (ko) 마커를 이용한 정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20200184430A1 (en) Electronic ticket management system, electronic ticket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ticket managemen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