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758B1 -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758B1
KR102130758B1 KR1020140070271A KR20140070271A KR102130758B1 KR 102130758 B1 KR102130758 B1 KR 102130758B1 KR 1020140070271 A KR1020140070271 A KR 1020140070271A KR 20140070271 A KR20140070271 A KR 20140070271A KR 102130758 B1 KR102130758 B1 KR 102130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t
filter system
sub
focus val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475A (ko
Inventor
김지민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7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6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 G02B7/365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image sharpness techniques, e.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generating autofocus signals by analysis of the spatial frequency components of the im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Abstract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은, 입력 영상을 소정 크기의 복수 개의 서브 블록으로 나누는 영상 분할부,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에 대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여 DCT 계수를 출력하는 DCT 연산부, 상기 DCT 계수에 기 설정된 출력 비율을 적용하여 변환된 DCT 계수를 출력하는 디스케일러부,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의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변환된 DCT 계수를 가산하여 해당 위치의 주파수 성분을 출력하는 가산부 및 상기 가산부의 가산 결과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여 초점 값을 생성하는 초점 값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AUTO FOCUSING FILTER SYSTEM BASED ON DISCRETE COSINE TRANSFORM}
본 발명은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수 연산을 이용하여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고, 다양한 영상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주파수 성분을 조합하여 초점 값을 생성할 수 있는 AF 필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uto-Focusing(자동 초점, AF) 시스템은 렌즈의 위치에 따라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을 AF 필터를 통해 처리하여 초점 값(focus value)을 얻는다. 도 1은 렌즈 위치에 따른 초점 값을 그린 그래프(focus value curve)로서 AF 시스템은 산봉우리(peak)를 형성하는 렌즈 위치를 영상의 선명도(sharpness)가 최상인 지점으로 판단하고 렌즈의 위치를 해당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필터는 영상이 선명할수록 고주파 성분이 증가하는 성질을 이용한 고주파 통과 필터가 주로 사용되며, 실제로는 해당 응용에 최적화 되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는 입력 값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해주는 기법으로서, 매우 우수한 수치 해석학적 장점을 제공함으로써 영상 처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AF 시스템에서는 DCT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주파수 성분들 중 하나 이상의 고주파 성분들을 추출하고 조합하여 고주파 통과 필터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때 필터의 출력을 초점 값으로 사용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074884호, 잡음에 강인한 초점값을 이용한 자동초점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빠른 연산 속도를 갖는 AF 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영상 환경에서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AF 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은, 입력 영상을 소정 크기의 복수 개의 서브 블록으로 나누는 영상 분할부,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에 대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여 DCT 계수를 출력하는 DCT 연산부, 상기 DCT 계수에 기 설정된 출력 비율을 적용하여 변환된 DCT 계수를 출력하는 디스케일러부,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의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변환된 DCT 계수를 가산하여 해당 위치의 주파수 성분을 출력하는 가산부 및 상기 가산부의 가산 결과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여 초점 값을 생성하는 초점 값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CT 연산부는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에 대하여 1차원 또는 2차원 DCT 연산을 수행하며, 상기 DCT 계수는 상기 DCT 연산 결과 값에 n(n은 2x, x는 양의 정수)을 곱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케일러부는 상기 DCT 계수에 1/2k(k는 2k가 n 보다 작은 양의 정수)를 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점 값 생성부는 상기 가산부의 가산 결과에서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기 위한 비트(bit)를 포함하는 비트맵(bitmap)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선택된 비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들을 합하여 초점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빠른 연산 속도를 갖는 AF 필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영상 환경에서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AF 필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렌즈 위치에 따른 초점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한 프레임의 영상에 대하여 DCT 연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할부의 처리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T 연산부 및 디스케일러부의 처리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산부의 처리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초점 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비트맵(bitmap)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을 이용하는 AF 필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AF 필터 시스템(100)은, 영상 분할부(110), DCT 연산부(120), 디스케일러부(130), 가산부(140) 및 초점 값 생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할부(110)는 입력 영상을 소정 크기의 복수 개의 서브 블록으로 나누는 역할을 수행하고, DCT 연산부(120)는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에 대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을 수행하여 DCT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서브 블록이 N×N의 크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N은 정수이며, N의 크기는 DCT 연산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영상 분할부(110)는 한 장(frame)의 영상을 N×N 크기의 복수 개의 서브 블록으로 나누는데, 상기 서브 블록의 N×N개의 데이터는 각각 해당 위치의 픽셀 값에 해당한다.
이산 코사인 변환(DCT)은 화면에 불규칙하게 퍼져 있는 픽셀 값을 주파수 축으로 변환하여 저주파 성분에서 고주파 성분에 이르기까지 여러 주파수 성분으로 나누며, 영상의 에너지를 저주파 성분에 집중시킨다. H.261, JPEG, MPEG 등의 여러 국제 표준의 핵심기술로 자리 잡고 있는 DCT는 8×8 크기의 블록 단위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분할부(110)에서 서브 블록으로 나누어진 영상은 상기 DCT 연산부(120)가 DCT 계수를 계산하기 위한 픽셀 값을 제공한다.
상기 DCT 연산부(120)는 상기 서브 블록에 대하여 1차원 또는 2차원의 DCT 연산을 수행하여 DCT 계수를 상기 디스케일러부(130)로 출력한다. 2차원 DCT는 일반적으로 1차원 DCT를 2번 수행함으로써 구현된다.
2차원 DCT는 가로 방향으로 DCT를 하고, 변환된 값들을 다시 한 번 세로 방향으로 DCT 하게 되며, MPEG, H.261, H.262 및 H.263에서는 8×8 DCT를 하고, H.264는 4×4 DCT를 한다.
한편, DCT 연산을 통해 얻어진 계수는 소수점 이하의 값을 갖는데, 이러한 부동 소수점 연산은 별도의 부동 소수점 처리기와 상황에 따라 연산 처리에 수십 클럭(clock)을 소비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동 소수점 연산을 정수 연산으로 변환하여 DCT 연산을 수행한다.
정수 연산은 부동 소수점 연산에 비해 정밀도가 떨어지는데 연산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각 DCT 원 계수(original coefficients)에 양의 정수 n을 곱한 결과의 정수 부분을 DCT 연산 계수로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 n은 2x(x는 양의 정수) 값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종래 기술에 따른 AF 필터에서는 위와 같은 DCT 연산을 수행한 후 각 주파수 성분에 해당하는 값을 다시 n으로 나누면 원 계수를 사용한 DCT 연산의 정수 부분의 출력 값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소수점 이하의 값들이 버려지기 때문에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되는 초점 값(focus value)들의 대소 비교가 경우에 따라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위치 별 초점 값이 소수점 이하 값에서 달라지는 경우, 어느 위치가 정확한 초점 위치에 더 가까운 위치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의 AF 필터를 적용하는 경우, 잘못된 렌즈 위치를 초점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케일러부(130)를 사용한다. 상기 디스케일러부(130)는 상기 DCT 연산부(120)에서 출력된 상기 DCT 계수에 기 설정된 출력 비율을 적용하여 변환된 DCT 계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출력 비율은 1/2k일 수 있으며, k는 2k가 n 보다 작게 되는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케일러부(130)로부터 출력된 값은 DCT 원 계수에 n/2k가 곱해진 값이 될 수 있다.
상기 k 값은 필요한 정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허용 가능한 비트 사이즈(bit width)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FPGA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시스템 자원(resource)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1차원 DCT인 경우, DCT 연산을 한 번 수행하면 원래의 DCT 원 계수에 n/2k이 곱해진 결과 값이 산출되는데, AF 필터 시스템에서는 렌즈 위치 별로 입력되는 영상의 정확한 DCT 결과 값 보다 선택된 주파수 성분들로 구성되는 AF 초점 값의 대소 비교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처리 방식을 통해 정수 연산을 수행하면서도 렌즈 위치 별 AF 초점 값 대소 비교를 더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2차원 DCT인 경우에는, 상술한 1차원 DCT가 한 번 더 수행되는 것이므로, 원래의 DCT 원 계수에 (n/2k)2이 곱해진 결과 값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산부(140)는, 상기 서브 블록의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변환된 DCT 계수를 가산하여 해당 위치의 주파수 성분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산부(140)는 전체 M개의 서브 블록에서 동일한 위치의 변환된 DCT 계수들을 모두 합하여 초점 값 생성에 필요한 주파수 성분들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N×N 크기의 서브 블록 M개로 이루어진 프레임(frame)에 대하여 DCT 연산을 수행하는 경우, (0,0)부터 (N-1,N-1)까지 총 N×N개의 변환된 DCT 계수가 출력되며, 상기 변환된 DCT 계수는 동일한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하여 M개씩 출력된다.
상기 가산부(140)는, 각각의 좌표에 해당하는 M개의 변환된 DCT 계수를 모두 합하여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주파수 성분 중 i번째 행과 j번째 열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파수 성분은 동일한 위치 또는 좌표에서의 M개의 변환된 DCT 계수를 합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초점 값 생성부(150)는 상기 가산부(140)의 가산 결과에서 기 설정된 위치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여 초점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위치(또는, 좌표) (i,j)에서의 변환된 DCT 계수는 해당 위치에서의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며, (0,0)은 DC 성분을 나타내고 나머지 좌표는 AC 성분을 나타낸다. (0,1)에서 (N-1,N-1)으로 갈수록 고주파 성분을 나타내고, 초점 값을 계산하는데 있어서 N×N개의 값을 모두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부 선택된 위치의 주파수 성분만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초점 값 생성부(150)는 다양한 영상 환경에 맞추어 적절한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여 초점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한 프레임의 영상에 대하여 DCT 연산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한 장의 프레임(frame)을 복수 개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하여 DCT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DCT 연산부(120)는 M개의 서브 블록 각각에 대하여 N×N 번의 DCT 연산을 수행하여 DCT 계수를 출력하고, 디스케일러부(130)는 DCT 계수에 초점 값 생성을 위한 적절한 출력 비율을 적용한다.
도 3의 N×N 크기의 서브 블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Figure 112014054227245-pat00001
값은, 위치(i,j)에서의 변환된 DCT 계수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분할부의 처리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영상 분할부(110)는 입력된 영상을 N×N 크기의 복수 개의 서브 블록으로 나누는데, 이렇게 나누어진 상기 서브 블록의 N×N 개의 데이터는 해당 위치에서의 픽셀 값을 나타낸다. N×N 크기의 서브 블록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0,0)부터 (N-1,N-1)까지의 데이터를 갖는 매트릭스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분할부(110)를 거쳐 처리된 영상은 DCT 연산부(120) 및 디스케일러부(130)의 처리를 거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CT 연산부 및 디스케일러부의 처리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한 픽셀 값이 DCT 연산부(120) 및 디스케일러부(130)에 의한 처리를 거쳐 N×N 개의 변환된 DCT 계수로 변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DCT 계수는 해당 위치에서의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1차원 DCT 연산이 수행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DCT 원 계수에 n/2k가 곱해진 값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산부의 처리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가산부(140)는 M개의 서브 블록의 N×N 개의 변환된 DCT 계수를, 각각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는 성분끼리 합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 (0,0) 위치에 해당하는 변환된 DCT 계수를 첫 번째 서브 블록부터 M번째 서브 블록까지 더하고, 이러한 작업을 (N-1,N-1) 위치까지 계속하게 된다.
상기 초점 값 생성부(150)는 (0,0)부터 (N-1,N-1)까지의 주파수 성분 중에서 미리 선택된 주파수 성분만을 더하여 최종적으로 초점 값을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초점 값을 계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분할된 서브 블록에 대하여 DCT 연산부(120) 및 디스케일러부(130)에서의 처리를 거친 변환된 DCT 계수 중에서 동일한 행과 열에 해당하는 계수들을 가산한다. 이때, 가산부(140)는 상기 변환된 DCT 계수에 절대값을 취하여 가산하고, 동일한 위치에 해당하는 변환된 DCT 계수를 모두 가산한 주파수 성분을 산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N×N 개의 주파수 성분이 산출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4054227245-pat00002
여기서, FC(i,j)는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주파수 성분 중 i번째 행 및 j번째 열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나타내며,
Figure 112014054227245-pat00003
는 N×N 크기의 K 번째 서브 블록에 대한 DCT 연산 처리 후, i번째 행 및 j번째 열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나타낸다.
상기 초점 값 생성부(150)는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계산된 N×N 개의 FC 값, 즉 주파수 성분들 중에서 기 설정된 위치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고, 선택된 주파수 성분들을 더하여 초점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상기 FC 값을 전체 서브 블록의 개수 M으로 나누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는 FPGA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나누기 처리기와 추가적인 연산 시간이 필요한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100)은 이러한 나누기 과정 없이 정수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빠른 연산 속도를 제공하며, 필요한 정밀도에 따라 적절한 k 값을 선택하여 2k로 나누어 주는 방법을 적용한다.
AF 필터 시스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을 구성하는 각 주파수 성분의 정확한 값 보다는 렌즈 위치 별로 획득되는 초점 값을 비교하여 초점 값이 최고가 되는 위치를 판단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대소 비교에 있어서 전체 서브 블록의 개수 M으로 나누는 과정이 생략되더라도 그 결과는 달라지지 않으며, 자원 사용과 연산 속도 측면에서 더 효율적인 방식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비트맵(bitmap)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N×N 크기의 영상에 대해서는 총 N×N 개의 비트가 존재하고, 각각의 비트는 (0,0)에서부터 (N-1,N-1)까지의 위치에 대응한다. 또한, 각각의 비트는 0 또는 1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값이 1인 비트는 대응하는 위치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며, 값이 0인 비트는 대응하는 위치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값이 0인 경우를 선택, 1인 경우를 미선택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카메라는 구동 장소와 시간에 따라 입력되는 영상의 주파수 특성이 다양해질 수 있다. DCT 연산은 입력 영상을 주파수 성분들로 분해하는데, 이때 AF 필터 시스템이 특정 상황에 최적화된 고정된 주파수 선택 구조를 가지는 경우 다양한 영상 입력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잡음 신호가 많은 영상 환경에서는 잡음 성분이 많이 반영되는 주파수 성분을 배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은 다양한 영상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고 조합하여 초점 값을 출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8은 초점 값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구조와 이를 통한 처리 과정을 의사코드로 나타낸 것으로서, 영상 환경에 따라 주파수 성분을 가변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비트맵(bitmap) 데이터 구조를 사용한다.
비트맵의 각 비트(bit)는 영상의 N×N 개의 위치와 1:1 대응되는 구조로서, 해당 비트를 '온(on)' 또는 '오프(off)'로 함으로써 대응되는 위치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비트맵은 4×4 크기의 영상을 예로써 설명하며, 16개(4×4)의 비트가 존재한다.
4×4 크기의 영상에서, 초점 값 계산에 (0,1), (0,2), (1,0), (1,1), (2,0)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비트맵에서 2, 3, 5, 6, 9번째 비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비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주파수 성분을 합산함으로써 초점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초점 값 생성부(150)에서는 비트맵을 통하여 선택된 주파수 성분들을 추출하여 선택된 주파수 성분들의 합으로 초점 값을 출력한다. 성분들의 평균값이 아닌 합으로 출력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자원과 연산의 효율성 및 정확도를 위해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AF 필터 시스템을 이용하는 AF 필터링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AF 필터링 방법은, 입력영상 분할 단계(S110), DCT 계수 연산 단계(S120), 디스케일링(Descaling) 단계(S130), 주파수 성분 가산 단계(S140) 및 초점 값 생성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F 필터링 방법을 구현하는데 포함되는 각각의 단계(S110 내지 S150)들은 앞서 설명한 AF 필터 시스템(100)에서 대응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소정 크기의 입력 영상이 입력되면 AF 필터 시스템은, 입력영상 분할 단계(S110)에서 일정 크기의 서브 블록으로 입력 영상을 분할할 수 있다. 이렇게 분할된 복수 개의 서브 블록 각각에 대하여, DCT 계수 연산 단계(S120)에서는 이산 코사인 변환을 통해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이 갖는 픽셀 값을 주파수 성분인 DCT 계수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케일링 단계(S130)에서 AF 필터 시스템은, 상기 DCT 계수에 기 설정된 출력 비율을 적용하여 변환된 DCT 계수를 출력하고, 주파수 성분 가산 단계(S140)에서는 각각의 서브 블록에서 동일한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변환된 DCT 계수를 합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점 값 생성 단계(S150)에서 AF 필터 시스템은, 영상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 주파수 성분들을 합하여 초점 값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F 필터링 방법은, 정수 연산을 이용하여 변환된 DCT 계수를 생성하고, 변환된 DCT 계수의 합을 전체 서브 블록의 개수로 나누어주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자원 및 연산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AF 필터 시스템 110: 영상 분할부
120: DCT 연산부 130: 디스케일러부
140: 가산부 150: 초점 값 생성부

Claims (5)

  1. 입력 영상을 소정 크기의 복수의 서브 블록들로 나누는 영상 분할부;
    상기 복수의 서브 블록들 각각에 대하여 이산 코사인 변환을 수행하여 DCT 계수를 출력하는 DCT 연산부;
    상기 DCT 계수에 기 설정된 출력 비율을 적용하여 변환된 DCT 계수를 출력하는 디스케일러부;
    상기 복수의 서브 블록들의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변환된 DCT 계수들을 가산하여 위치별 주파수 성분을 출력하는 가산부; 및
    상기 가산부의 가산 결과에서 기 설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여 초점 값을 생성하는 초점 값 생성부를 포함하는 AF 필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T 연산부는 상기 각각의 서브 블록에 대하여 1차원 또는 2차원 DCT 연산을 수행하며,
    상기 DCT 계수는 상기 DCT 연산 결과 값에 n(n은 2x, x는 양의 정수)을 곱한 값인 AF 필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케일러부는 상기 DCT 계수에 1/2k(k는 2k가 n 보다 작은 양의 정수)를 곱하여 출력하는 AF 필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값 생성부는 상기 가산부의 가산 결과에서 상기 기 설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을 선택하기 위한 비트(bit)를 포함하는 비트맵(bitmap)을 이용하는 AF 필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값 생성부는 선택된 비트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들을 합하여 초점 값을 생성하는 AF 필터 시스템.
KR1020140070271A 2014-06-10 2014-06-10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 KR102130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71A KR102130758B1 (ko) 2014-06-10 2014-06-10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71A KR102130758B1 (ko) 2014-06-10 2014-06-10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475A KR20150141475A (ko) 2015-12-18
KR102130758B1 true KR102130758B1 (ko) 2020-07-06

Family

ID=5508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271A KR102130758B1 (ko) 2014-06-10 2014-06-10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7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4423A (ja) * 2000-07-24 2002-02-08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6163350A (ja) * 2004-12-09 2006-06-22 Samsung Electro Mech Co Ltd 離散的コサイン変換係数を用いたカメラの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カメラの自動調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433B1 (ko) 2010-12-28 2012-11-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잡음에 강인한 초점값을 이용한 자동초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4423A (ja) * 2000-07-24 2002-02-08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6163350A (ja) * 2004-12-09 2006-06-22 Samsung Electro Mech Co Ltd 離散的コサイン変換係数を用いたカメラの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カメラの自動調節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475A (ko)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rtuz et al. Analysis of focus measure operators for shape-from-focus
WO2018216207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Ma et al. New strategy for image and video quality assessment
CN101366279A (zh) 自适应的运动搜索范围
JP2005354685A (ja) パターン適応型フィルターリングによる映像信号の平滑化装置及びその平滑化方法
US11943419B2 (en) Depth of field image refocusing
JP2018101982A5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Zaveri et al. A novel region based multifocus image fusion method
Xiao et al. Feature redundancy mining: Deep light-weight image super-resolution model
Tsai et al. Focus profile modeling
Shin et al. Expanded adaptive scaling normalization for end to end image compression
KR102130758B1 (ko) Dct 기반 af 필터 시스템
Vadhi et al. An image fusion technique based on hadamard transform and HVS
JP2011077958A (ja) 次元圧縮装置、次元圧縮方法及び次元圧縮プログラム
KR100843099B1 (ko)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78391B1 (ko) 이산여현변환/역이산여현변환 방법 및 장치
JP6555814B2 (ja) 直交変換処理装置、逆直交変換処理装置、符号化装置、復号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519781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Oral et al. A comparative study for image fusion
KR102215289B1 (ko) 비디오 인페인팅 동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Zaveri et al. A novel two step region based multifocus image fusion method
Al-Samaraie et al. Colored satellites image enhancement using wavelet and threshold decomposition
Morris et al. Two Stage Spatial Domain Image Fusion Techniques
JP5362099B2 (ja) 符号化装置
KR101775273B1 (ko) 이미지들 사이의 상관관계 획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