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499B1 -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 - Google Patents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499B1
KR102130499B1 KR1020150000178A KR20150000178A KR102130499B1 KR 102130499 B1 KR102130499 B1 KR 102130499B1 KR 1020150000178 A KR1020150000178 A KR 1020150000178A KR 20150000178 A KR20150000178 A KR 20150000178A KR 102130499 B1 KR102130499 B1 KR 10213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access
access device
terminal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712A (ko
Inventor
김동용
김영두
신홍석
이종호
오교상
권용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4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1Transcoding devices; Rate adapta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래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화 기반으로 동작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단말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은 다수의 접속 장치로 구성되는 사이트별로 각각 접속 컨트롤러를 할당하고, 특정 사이트 내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사이트에 기 할당된 접속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속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설정된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어느 하나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확인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Description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METHOD FOR CONTROLLING OF TRAFFIC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트래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화 기반으로 동작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단말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공항 등과 같은 특정 서비스 제공 사이트(site)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무선랜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핵심적인 장치 중의 하나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 불리는 접속 장치이다. 이러한 접속 장치는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처럼 휴대형 단말기에 대하여 기지국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며, 통신망의 접속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접속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업, 공항 등과 같이 특정 서비스 제공 사이트별로 구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속 장치는 이동통신망의 지지국과는 다르게 처리하는 주파수 대역, 출력 및 커버리지가 짧아 사용자에게 원활한 무선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이트 내의 많은 접속 장치의 설치는 물론 많은 사이트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사이트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로 원활한 무선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사이트 내의 복수의 접속 장치와 연동하여 접속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인 접속 컨트롤러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방식은 사이트별로 접속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접속 컨트롤러를 물리적으로 구축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사이트별로 접속 컨트롤러를 물리적으로 구축하여 할당해야 하며, 사이트 내의 수용 가능한 접속 장치의 수에 따라 유기적으로 접속 컨트롤러에 대한 성능 설계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복수의 접속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접속 컨트롤러에 대한 구축이 필요하며, 아울러,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트래픽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70488호, 2012년 6월 29일 공개 (명칭: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가상화 기반으로 동작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단말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은 다수의 접속 장치로 구성되는 사이트별로 각각 접속 컨트롤러를 할당하고, 특정 사이트 내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사이트에 기 할당된 접속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속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설정된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어느 하나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확인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 중 다운링크(DOWNLINK) 트래픽이 존재하는 단말을 활성화 상태의 단말로 확인하여 카운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사이트 내의 모든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든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의 평균 값을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에 상기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나눈 값에 기 설정된 가중치(weight factor)를 적용하여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중치는 단말로 서비스되는 패킷 서비스 종류 또는 단말이 접속한 서비스 사이트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 트래픽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접속 장치로 구성되는 사이트별로 각각 접속 컨트롤러를 할당하고, 특정 사이트 내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사이트에 기 할당된 접속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속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설정된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는 통합 관리 서버의 명령에 따라 트래픽량 제한(rate limit)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 설정 모듈; 상기 기능 설정 모듈을 통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 모듈; 상기 기능 설정 모듈을 통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전송 속도 확인 모듈; 및 상기 단말 확인 모듈을 통해 확인된 상기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상기 전송 속도 확인 모듈을 통해 확인된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단말의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트래픽을 제어하는 트래픽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의하면, 가상화 기반으로 동작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단말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제어할 수 있어, 한정된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단말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해 유효 트래픽량 산출 시, 접속 장치와의 전송 속도, 활성화된 상태의 단말 수 및 단말로 서비스되는 패킷 서비스 종류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하여 가변적으로 도출함으로써, 트래픽 제어를 위한 최적의 유효 트래픽량 산출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단말의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으며, 단말 간 차등 QoS(Quality of Service) 서비스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의 통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은 가상화 기반으로 동작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가 단말(100)에 대한 통신망(1000) 접속을 지원하는 접속 장치(200)를 통해 발생되는 호 처리, 인증, 과금 등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를 처리하며, 접속 장치(200)에 연결된 단말(100)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일 사이트(site) 내에 어느 하나의 접속 장치(200)와 연결되어, 연결된 접속 장치(200)를 통해 통신망(1000)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단말(100)은 IEEE 802.11 프로토콜에 따라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 장치(200)를 능동적 또는 수동적 방식으로 탐색하고, 탐색된 접속 장치(200)와 접속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어느 하나의 접속 장치(200)와 접속이 완료되면, 통신망(1000), 즉, 코어망(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의 인터넷망(미도시)에 연결된 웹 서버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접속 장치(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통신망(1000)의 접속을 지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가 본 발명의 접속 장치(200)에 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0)의 통신망(1000)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접속 장치(200)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200)는 하나 이상이 모여 일정 범위를 커버하는 사이트(site)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트는 회사, 학교와 같이 논리적 특성이 동일한 일 지점이 될 수 있으며, 반경 100m 이내와 같이, 일정 크기의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사이트는 바람직하게 복수의 접속 장치(200)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100)의 접속 장치(200)에 접속에 따라 발생되는 각종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장치인 접속 컨트롤러가 사이트별로 각각 할당되고, 상기 사이트 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 장치(2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했다. 예를 들어, 사이트가 100개 존재할 경우, 각 사이트 내의 접속 장치(20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접속 컨트롤러 또한 100개가 필요해야 했다. 또한, 제1 사이트와 제2 사이트를 구성하는 접속 장치(200)의 수는 서로 다를 수 있는 데, 서로 다른 접속 장치(200)의 수를 포함하는 사이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어 장치를 구축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워 수용 접속 장치(200)의 수에 따라 유기적으로 제어 장치를 구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은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가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접속 장치(200)를 통해 발생되는 각종 시그널링 메시지를 처리하는 제어 장치인 접속 컨트롤러를 생성하여 할당하고, 접속 장치(200)를 통해 발생되는 각종 시그널링 메시지의 처리와 함께, 단말(100)에 대한 트래픽 제어가 가능하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사이트별로 사이트 내의 접속 장치(200)를 통해 발생되는 각종 메시지 처리를 위한 접속 컨트롤러를 생성, 변경, 삭제하는 과정을 지원하고, 접속 장치(200)를 통해 발생되는 각종 메시지를 해당 접속 컨트롤러가 처리하는 과정 전반을 지원하게 된다. 즉, 단말(100)의 통신망(1000) 접속을 위한 호 처리 및 인증과 같은 절차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메시지를 가상화 기술로 구현된 접속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한 통계 처리 등과 같이 과금을 위한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접속 장치(200)와 상기 접속 장치(200)가 구성하는 사이트에 미리 할당되어 생성된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 내의 접속 컨트롤러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기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송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기 정해진 프로토콜이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200)와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 간에 사전에 미리 정의된 규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의 메시지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에 대한 지정된 포트 정보 및 해당 접속 장치(200)에 할당된 접속 컨트롤러의 아이피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터널링된 터널링 메시지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단말(100)과 접속 장치(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TCP/IP 프로토콜을 따르는 일반적인 메시지인 반면, 접속 장치(200) 및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 간에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미리 정의된 UDP 프로토콜을 따르며, 상기 단말(100)과 접속 장치(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터널링 헤더를 부가한 터널링 메시지를 의미한다. 이때의 터널링 헤더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에 대응하여 지정된 포트(port) 정보(예컨대 2233) 및 접속 장치(200)에 할당된 접속 컨트롤러의 아이피 주소 정보를 포함하여, 접속 장치(200)를 통해 발생되는 메시지가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의 해당 접속 컨트롤러로 전달될 수 있도록 가상의 터널링 구간(본 발명에서는 R6 터널링 구간으로 지칭함)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00)에 대한 트래픽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고, 상기 접속 컨트롤러에 할당된 접속 장치(200)에 연결된 단말(100)의 트래픽을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별도의 OS(Operating System)를 통해 동작할 수 있는 통신 장치를 구비하며, 이때의 통신 장치가 상술한 단말(100)의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단말(100)의 트래픽을 제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의 접속 컨트롤러는 접속 장치(200) 간의 호 처리, 인증, 과금 등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다양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의 통신 장치가 단말(100)로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가 통신 장치를 통해 유효 트래픽을 산출하고, 산출된 유효 트래픽을 이용하여 단말(100)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통합 관리 서버(400)와 연동하여 접속 컨트롤러를 생성 및 등록하고, 해당 사이트 내에 위치하는 접속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접속 컨트롤러로 미리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관리 서버(4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과정을 지원하는 구성 요소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400)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의 가용 자원을 고려하여 다수의 접속 장치(200)로 구성되는 사이트에 대한 접속 컨트롤러를 가상화 방식에 따라 생성되는 과정을 지원한다. 그리고, 생성된 접속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상기 접속 컨트롤러가 커버하는 사이트를 구성하는 접속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이트에 50대의 접속 장치(200)가 존재하는 경우, 통합 관리 서버(400)는 50대의 접속 장치(200)를 수용하도록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 내의 자원을 할당하여 접속 컨트롤러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50대의 접속 장치(200)에 대한 정보를 접속 컨트롤러로 제공하여 등록함으로써, 접속 컨트롤러가 등록된 접속 장치(200) 간에 발생된 메시지에 대한 처리 및 트래픽 제어 처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게 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하나의 사이트에 100대의 접속 장치(200)가 존재하는 경우, 통합 관리 서버(400)는 100대의 접속 장치(200)를 수용하도록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 내의 자원을 할당하여 접속 컨트롤러 생성하고 해당 접속 장치(200)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400)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접근을 지원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통합 관리 서버(400)를 통해 접속 장치(200)를 비롯한 다양한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는 통합 관리 서버(400)를 통해 단말(100)의 트래픽 제어를 위한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합 관리 서버(400)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와 TCP/IP 프로토콜에 따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접속 장치(200)와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 간에는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른 터널링 구간을 생성하여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반면, 통합 관리 서버(400)와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TCP/IP 프로토콜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필요 시마다 TCP 세션을 생성하고 종료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TCP 세션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을 통해, 사이트를 구성하는 접속 장치(200)의 수를 고려하여 유기적으로 접속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접속 컨트롤러를 구축할 수 있으며, 또한, 사이트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컨트롤러를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화 기술을 통해 접속 컨트롤러를 구축함으로써, 시스템 구축 및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 절감 시 시스템 가용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통합 관리 서버(400) 및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가 서로 분리되어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상기 통합 관리 서버(400) 및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가 단일의 클라우드 솔루션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일의 클라우드 솔루션 시스템의 일 모듈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하나의 통합 관리 서버(400)와 하나의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 만을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통합 관리 서버(400)가 관리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복수 개 존재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에서의 트래픽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1000)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단일의 통신망 형태보다는 다양한 종류, 예컨대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된 통신망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1000)은 접속 장치(200)가 위치하는 사이트를 기준으로 동일한 사내 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외부 망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의 주요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의 통신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가상화 기술을 통해 동작하는 가상화 서버를 의미한다. 이러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상 머신인 접속 컨트롤러(330), 호스트 OS(320) 및 주변 장치(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 OS(320) 및 주변 장치(310)는 호스트 머신을 의미한다. 여기서, 호스트 머신은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접속 컨트롤러를 생성할 수 있는 실제 물리적인 서버를 의미하며, 호스트 OS(320)는 상기 호스트 머신에서 구동되는 OS를 의미한다. 아울러, 주변 장치(310)는 호스트 머신의 실제 물리적인 하드웨어 자원으로, 통신 장치(311), 저장 장치(312) 등의 각종 하드웨어 자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주변 장치(310)가 정보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311), 정보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저장 장치(312)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중 호스트 OS(320)는 하이퍼바이저(32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321)는 통합 관리 서버(400)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접속 컨트롤러(330)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퍼바이저(321)는 전 가상화, 반 가상화 방식 등 다양한 가상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버추얼 머신 모니터(Virtual Machine Monitor)로 불릴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퍼바이저(321)는 리눅스 커널 기반 가상화 머신(KVM)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동등한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제공하는 다른 하이퍼바이저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하이퍼바이저(321)는 가상 머신(300)의 하드웨어를 모방하는 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에뮬레이터(미도시)는 가상 머신인 접속 컨틀롤러(330) 생성과 자원 할당을 하이퍼바이저(321)에 요청하고, 접속 컨트롤러(330)과의 입출력(I/O)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에뮬레이터(미도시)는 접속 컨트롤러(330)별로 매핑되어 동작될 수 있으며, 각 접속 컨트롤러(330)별로 매핑되는 에뮬레이터(미도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에뮬레이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퍼바이저(321)는 통합 관리 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가용 자원에 대한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통합 관리 서버(400)에 의해 할당된 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컨트롤러(330)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400)로부터 상기 접속 컨트롤러(330)에 매핑된 사이트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 장치(200)에 대한 정보, 즉 IP 정보가 수신되면, 생성된 상기 접속 컨트롤러(330)에 대응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하이퍼바이저(321)는 주변 장치(310)의 통신 장치(311)을 통해 접속 장치(20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접속 컨트롤러(330), 즉 상기 접속 장치(200)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접속 컨속 컨트롤러(330)를 확인하고, 확인된 접속 컨트롤러(330)로 상기 메시지가 전달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하이퍼바이저(321)는 주변 장치(310)의 통신 장치(311)를 통해 단말(100)에 대한 트래픽 제어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 장치(311)로부터 단말(100)이 사용한 트래픽량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해당 접속 컨트롤러(330)로 전달하여, 상기 접속 컨트롤러(330)가 단말(100)의 트래픽 사용량에 대한 과금 처리를 수행하도록 그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은 통신 장치(3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311)는 호스트 OS(320)와 다른 별도의 OS에 의해 동작될 수 있는 독립적인 장치, 예컨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장치(311)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 내의 호스트 OS(320)에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통신 장치(311)는 통신 서버의 형태로,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통신 장치(311)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통신 장치(311)는 트래픽 제어 기능 관점에서, 기능 설정 모듈(311a), 단말 확인 모듈(311b), 전송 속도 확인 모듈(311c) 및 트래픽 제어 모듈(31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기능 설정 모듈(311a)은 통합 관리 서버(400)의 명령에 따라 트래픽량 제한(rate limit) 기능을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기능 설정 모듈(311a)은 해당 접속 컨트롤러(330)로부터 통합 관리 서버(400)가 전달한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명령에 따라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통합 관리 서버(400)의 명령에 따라 통신 장치(311)의 기능 설정 모듈(311a)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능 설정 모듈(311a)이 자동적으로 트래픽량 제한 기능 설정이 필요한 지 여부를 검사하여,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통합 관리 서버(400)의 개입 없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단말 확인 모듈(311b) 및 전송 속도 확인 모듈(311c)은 본 발명의 유효 트래픽량 산출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단말 확인 모듈(311b)는 상기 기능 설정 모듈(311a)을 통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각 접속 장치(200)에 연결된 단말(100) 중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카운팅하여 확인하게 된다. 이때, 단말 확인 모듈(311b)은 일정 주기 단위로(예컨대, 3초)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상태의 단말(100)은 외부의 인터넷망(미도시)으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하고 있는 단말, 즉, 다운링크(DOWNLINK) 트래픽이 존재하는 단말(100)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전송 속도 확인 모듈(311c)은 상기 기능 설정 모듈(311a)을 통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연결된 각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송 속도 확인 모듈(311c)은 상기 단말 확인 모듈(311b)을 통해 확인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100)이 연결된 접속 장치(200)를 확인하고, 확인된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를 카운팅할 수 있다. 즉, 외부의 인터넷망(미도시)으로부터 다운링크 트래픽이 존재하는 단말(100)이 연결된 접속 장치(200)와의 전송 속도를 카운팅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접속 장치(200)별로 각각의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활성화 상태의 단말(100)이 접속된 접속 장치(200)가 속해 있는 사이트를 확인하고, 사이트 내의 모든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한 후, 확인된 모든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의 평균 값을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로 확인할 수도 있다.
트래픽 제어 모듈(311d)은 상기 단말 확인 모듈(311b)을 통해 확인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상기 전송 속도 확인 모듈(311c)을 통해 확인된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단말의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단말(100)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트래픽 제어 모듈(311d)은 유효 트래픽량 산출 시 기 설정된 가중치(weight factor)를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중치는 단말(100)로 서비스되는 패킷 서비스 종류, 단말(100)이 접속한 서비스 사이트 종류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100)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패킷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여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00)과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00)에 따라 가중치를 차등 적용하는 등의 실시 예 적용이 가능하다.
트래픽 제어 모듈(311d)은 이러한 과정에 따라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단말(100)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외부의 인터넷망(미도시)로부터 단말(100)로 전달되는 트래픽이 10Mbps라 할 경우, 트래픽 제어 모듈(311d)는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단말(100)로 2Mbps의 트래픽이 전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모듈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311)는 일 실시 예에서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통신 장치(311)는 접속 컨트롤러(330)별로 개별적인 코어를 할당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예컨대, A 접속 컨트롤러에 4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코어를 할당할 수 있으며, B 접속 컨트롤러에 2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코어를 할당하여, 상기 각각의 접속 컨트롤러(330)에 대응하는 접속 장치(200)에 연결된 단말(100)의 트래픽을 해당 코어에서 처리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통신 장치(311)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A 접속 컨트롤러에 A 통신 장치를 할당하고, B 접속 컨트롤러에 B 통신 장치를 할당하여, 상기 각각의 접속 컨트롤러에 대응하는 접속 장치(200)에 연결된 단말(100)의 트래픽을 해당 통신 장치(311)에서 처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접속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설정된 통신 장치'의 의미는 상술한 두 가지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서버 가상화 환경에 적용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 컨트롤러(330)가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접속 컨트롤러(330)의 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가용 자원 환경 내에서 복수 개 생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접속 컨트롤러(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접속 장치(200)로 구성되는 사이트별로 할당되며, 할당된 접속 장치(200) 간의 시그널링 메시지 처리 과정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핑된 사이트의 접속 장치의 수가 50대일 경우, 접속 컨트롤러(330)는 하이퍼바이저(321)에 제어에 따라 50대의 접속 장치와 연동할 수 있는 자원을 할당 받아 생성되고, 해당 사이트를 구성하는 접속 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메시지의 처리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접속 컨트롤러(330)는 하이퍼바이저(321)를 통해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가 전달되면, 상기 메시지의 터널링 헤더를 제거하고,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한 후, 이에 대응하는 동작 수행, 인증 서버와의 연동을 통한 인증 절차 등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 후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터널링하여 해당 접속 장치(200)로 전달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속 컨트롤러(330)는 통합 관리 서버(400)로부터 트래픽량 제한(rate limit)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 전달되면, 이를 해당되는 통신 장치(311)로 전달하여, 통신 장치(311)에서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수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통신 장치(311)로부터 단말(100)이 사용한 트래픽량에 대한 정보가 하이퍼바이저(321)를 거쳐 전달되면, 접속 컨트롤러(330)가 단말(100)의 트래픽 사용량에 대한 과금 처리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 컨트롤러(33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게스트 OS(미도시), 메시지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접속 컨트롤러(330) 내 게스트 OS(미도시)는 서로 다른 종류의 OS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접속 컨트롤러(330)가 보유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의 종류와 수는 해당 접속 컨트롤러(330)에 처리하는 접속 장치(200)의 종류와 수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망 내부 불법 접속 장치 및 단말을 검출하고, 해킹 공격 위협 탐지 및 자동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안 관리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에서의 트래픽 제어 방법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에 탑재되는 메모리는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를 중심으로 트래픽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은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에서 이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S101),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확인하고(S103), 연결된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한다 (S105). 이후, 확인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연결된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한다(S107). 유효 트래픽량은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에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나눈 값에 기 설정된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도 있으나, 그 반대로 또는 동시에 이뤄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되지 않더라도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확인하고,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되면, 확인된 정보를 이용하여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연결된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한 후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확인할 수도 있으며, 동시에 상기 정보들을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단말(100)의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S109).
상술한 본 발명의 트래픽 제어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단말(100)이 접속 장치(200)에 접속된 상태에서 코어망(미도시)을 거쳐 인터넷망(2000)의 어느 하나의 컨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패킷을 수신하고 있는 상태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의 단말(100)이 수신하는 트래픽량은 10Mbps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통합 관리 서버(400)로부터 트래픽량 제한 기능 설정을 위한 명령을 수신한다(S201). 이를 수신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상기 명령에 따라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설정한다(S203).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명령은 관리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가 자신이 관리하는 접속 장치(200)의 상태 등의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통합 관리 서버(400)의 개입 없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본 발명의 유효 트래픽량 산출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한다. 즉, 접속 장치(200)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카운팅하여 확인한다(S205).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일정 주기 단위로(예컨대, 3초)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상태의 단말(100)은 외부의 인터넷망(2000)으로부터 트래픽을 수신하는 단말(100)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다운링크(DOWNLINK) 트래픽이 존재하는 단말(100)을 활성화 상태의 단말(100)로 카운팅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업링크(UPLINK) 트래픽이 존재하는 단말(100)도 활성화 상태의 단말(100)로 카운팅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연결된 접속 장치(200)와의 전송 속도를 체크하여 확인한다(S208 ~ S209). 이때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확인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100)이 연결된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를 카운팅할 수 있으며, 전송 속도를 체크하는 과정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접속 장치(200)별로 각각의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서는 활성화 상태의 단말(100)이 접속된 접속 장치(200)가 속해 있는 사이트를 확인하고, 사이트 내의 모든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한 후, 확인된 모든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의 평균 값을 접속 장치(200) 간 전송 속도로 확인할 수도 있다.
이후,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한다(S211). 유효 트래픽량은 S205 단계 및 S209 단계에서 확인된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와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에 상기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나눈 값에 기 설정된 가중치(weight factor)를 적용하여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가중치(weight factor)는 단말(100)로 서비스되는 패킷 서비스 종류, 단말이 접속한 서비스 사이트의 종류에 따라 차등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00)이 현재 이용하고 있는 패킷 서비스 종류를 확인하여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00)과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100)에 따라 가중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유효 트래픽량에 산출되면,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단말(100)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전술한 예에서, 외부의 인터넷망(2000)로부터 단말(100)로 트래픽(10Mbps)이 전달되더라도, 접속 장치 제어 서버(300)는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단말(100)로 허용 가능한 수준인 2Mbps의 트래픽이 전달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213).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트래픽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래픽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다수의 접속 장치로 구성되는 사이트별로 각각 접속 컨트롤러를 할당하고, 특정 사이트 내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사이트에 기 할당된 접속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속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설정된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어느 하나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확인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을 제어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트래픽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화 기반으로 동작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단말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상화 기반으로 동작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단말로 전달되는 트래픽을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제어할 수 있어, 한정된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단말 200: 접속 장치
300: 접속 장치 제어 서버 310: 주변 장치
311: 통신 장치 312: 저장 장치
320: 호스트 OS 321: 하이퍼바이저
311a: 기능 설정 모듈 311b: 단말 확인 모듈
311c: 전송 속도 확인 모듈 311d: 트래픽 제어 모듈
330: 접속 컨트롤러 400: 통합 관리 서버
1000: 통신망

Claims (8)

  1. 다수의 접속 장치로 구성되는 사이트별로 각각 접속 컨트롤러를 할당하고, 특정 사이트 내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사이트에 기 할당된 접속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속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설정된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어느 하나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확인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에 대한 트래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기 설정된 가중치(weight factor)를 적용하여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에 따라 트래픽량 제한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 중 다운링크(DOWNLINK) 트래픽이 존재하는 단말을 활성화 상태의 단말로 확인하여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접속 장치를 포함하는 사이트 내의 모든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모든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의 평균 값을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가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에 상기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나눈 값에 기 설정된 가중치(weight factor)를 적용하여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단말로 서비스되는 패킷 서비스 종류 또는 단말이 접속한 서비스 사이트에 따라 차등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픽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트래픽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다수의 접속 장치로 구성되는 사이트별로 각각 접속 컨트롤러를 할당하고, 특정 사이트 내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시그널링 메시지를 상기 사이트에 기 할당된 접속 컨트롤러를 통해 처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속 컨트롤러에 대응하여 설정된 통신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접속 장치 제어 서버는
    통합 관리 서버의 명령에 따라 트래픽량 제한(rate limit) 기능을 설정하는 기능 설정 모듈;
    상기 기능 설정 모듈을 통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를 확인하는 단말 확인 모듈;
    상기 기능 설정 모듈을 통해 트래픽량 제한 기능이 설정됨에 따라,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확인하는 전송 속도 확인 모듈; 및
    상기 단말 확인 모듈을 통해 확인된 상기 활성화 상태의 단말 수 및 상기 전송 속도 확인 모듈을 통해 확인된 상기 접속 장치 간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단말의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유효 트래픽량에 따라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활성화 상태의 단말 트래픽을 제어하는 트래픽 제어 모듈;를 포함하되,
    상기 트래픽 제어 모듈은
    기 설정된 가중치(weight factor)를 적용하여 상기 접속 장치에 연결된 단말의 유효 트래픽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장치 제어 서버.
KR1020150000178A 2015-01-02 2015-01-02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 KR10213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178A KR102130499B1 (ko) 2015-01-02 2015-01-02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178A KR102130499B1 (ko) 2015-01-02 2015-01-02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712A KR20160083712A (ko) 2016-07-12
KR102130499B1 true KR102130499B1 (ko) 2020-07-06

Family

ID=56505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178A KR102130499B1 (ko) 2015-01-02 2015-01-02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295B1 (ko) * 2020-08-28 2022-03-18 네이버 주식회사 트래픽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를 재생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130B1 (ko) * 2005-03-14 2006-11-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역방향 트래픽 채널 데이타 전송속도 설정 시스템을 탑재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1397633B1 (ko) * 2007-12-05 2014-05-22 주식회사 케이티 아이엠에스 기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KR20120070488A (ko) 2010-12-21 2012-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세스 포인트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712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2795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US108563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multi-access edge computing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US10375015B2 (en) Methods and system for allocating an IP address for an instance in a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 system
US11240198B2 (en) Session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2140636B1 (ko) Nfv를 통한 풀 기반 m2m 서비스 계층 구축
EP3739851A1 (en) Address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40229622A1 (en) Native cloud computing via network segmentation
US118185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w latency cloud computing for mobile applications
KR20210023194A (ko) Mec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9047708A1 (zh) 资源配置方法及相关产品
WO2024002142A1 (zh) 流量的转发方法
CN109729122B (zh) 确定以太网mac地址的方法及装置
CN103618758B (zh) Web服务器及其系统资源访问控制方法
CN114257439A (zh) 业务调度方法、aaa服务器和业务支撑系统
KR102130499B1 (ko) 트래픽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
WO2019042172A1 (zh) 资源配置方法及相关产品
KR102119160B1 (ko) 가상화 기반 접속 컨트롤러 생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통합 관리 서버
KR101364456B1 (ko) M2m 클라우드 환경에서 통신망 자원 활용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70116016A1 (en) Screen compression service method and virtual network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WO2016192011A1 (zh) 一种拥塞控制的方法及网元设备
KR102123415B1 (ko) 메시지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접속 장치 제어 서버 및 클라우드 접속 장치 제어 시스템
KR20140037521A (ko) 게이트웨이 및 이의 자원 할당 방법
US20230217399A1 (en) Client initiated low-latency network edge spectrum-as-a-service controller
CN111988263B (zh) 容器服务管理方法及容器管理器、虚拟网络功能实例和虚拟网络功能管理器
CN106793115B (zh) 带宽分配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