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026B1 -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026B1
KR102130026B1 KR1020200032047A KR20200032047A KR102130026B1 KR 102130026 B1 KR102130026 B1 KR 102130026B1 KR 1020200032047 A KR1020200032047 A KR 1020200032047A KR 20200032047 A KR20200032047 A KR 20200032047A KR 102130026 B1 KR102130026 B1 KR 10213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oft magnetic
magnetic layer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20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32068A (en
Inventor
염재훈
이상원
배석
김소연
노진미
송지연
이희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2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026B1/en
Publication of KR20200032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0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0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1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metals or alloys
    • H01F1/147Alloy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 H01F1/14708Fe-Ni based alloys
    • H01F1/14733Fe-Ni based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 H01F1/14741Fe-Ni based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pressed, sintered or bonded together
    • H01F1/1475Fe-Ni based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pressed, sintered or bonde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 H01F1/14758Fe-Ni based alloys in the form of particles pressed, sintered or bonded together the particles being insulated by 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 그리고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은 연자성층; 상기 연자성층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자성층의 노출부 보다 연장되는 고분자 물질층; 및 상기 고분자 물질층에 배치되는 코일 패턴;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nd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 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ft magnetic layer; A polymer material layer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oft magnetic layer and extending beyond the exposed portion of the soft magnetic layer; And a coil pattern disposed on the polymer material layer.

Description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 그리고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nd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 그리고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s and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스마트 카드식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며, WPC(Wireless Power Conversion)는 무선 충전 기술로서 근거리에서 전기적 접촉 없이 자기 결합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비접촉식 충전 기술이다.NFC (Near Field Communication) is one of the radio tag (RFID) technology.It is a smart card type contact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uses a 13.56 MHz frequency band.WPC (Wireless Power Conversion) is a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that performs magnetic coupling without electrical contact at a short distance. It is a non-contact charging technology that uses a battery to charge.

NFC는 근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전자 기기 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 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로서, 스마트 카드에 비하여 양방향성을 가지며, 저장 메모리 공간이 크고, 적용 가능한 서비스의 폭이 넓은 장점이 있으며, WPC는 별도의 전기적 접촉 없이 자기 결합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의 배터리 충전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NFC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at low power at a short distance, and is a next-genera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attracting attention due to its relatively high security and low price due to the short communication distance. It has the advantage of a large space, a wide range of applicable services, and the WPC can charge the battery through magnetic coupling without additional electrical contact, so it can be applied to battery charging in various fields.

NFC와 WPC 시스템에서의 안테나는 일정한 면적의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마이크로 칩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리더로부터 제공받는다. 1차 코일에서 발생한 교류 전력 에너지에 의해 자기장이 형성되어 안테나의 코일을 관통하여 전류가 유기되고, 안테나의 인덕턴스에 의해 전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한 전압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력으로 사용되거나 배터리의 충전에 사용된다.The antennas in the NFC and WPC systems are composed of coils of a certain area, and the energ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icrochip is provided from the reader. A magnetic field is formed by AC power energy generated in the primary coil, and a current is induced through the coil of the antenna, and a voltage is generated by the inductance of the antenna. The voltage generated in this way is used as power for data transmission or for charging the battery.

최근에는 스마트 단말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NFC와 WPC를 모두 제공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충전 효율이 높으며 데이터 통신 시의 인식 거리가 충분히 긴 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Recently, as the smart terminals are widely spread, the necessity of a device providing both NFC and WPC is increasing, and accordingly, a demand for a device having a high charging efficiency and a sufficiently long recognition distance during data communication is increasing.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무선 전력 송수신(Wireless Power Conversion, WPC)과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s intended to enable wireless power conversion (WPC)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또한, 본 발명은 연자성층이 대기 중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자성층이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도록 배치하여, 리드 프레임의 배치시에도 충전시의 전송 효율이 떨어지거나 데이터 통신 시의 인식거리가 줄어드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portion where the soft magnetic layer is exposed to the air, foreign matter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 magnetic layer is arranged to surround the lead frame at regular intervals, thereby leading It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transmission efficiency during charging is reduced or the recognition distance during data communication is reduced even when the frame is arranged.

또한, 본 발명은 연자성층의 추가를 통하여 충전시의 전송 효율을 조절하거나 또는 향상시키고, 데이터 통신 시의 인식거리를 조절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or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during charging through the addition of a soft magnetic layer, and to adjust the recognition distance during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은 제1 고분자 필름; 상기 제1 고분자 필름 상에 배치된 연자성층; 상기 연자성층 상에 배치된 제 2고분자 필름; 및 상기 제2 고분자 필름 상에 배치된 코일부;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복수의 턴을 포함하는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턴을 포함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 필름은 제1 홀 및 제2 홀을 포함하는 복수의 홀 및 상기 연자성층의 최외측면 보다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은 제3 홀 및 제4 홀을 포함하는 복수의 홀 및 상기 최외측면 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연결된 연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최외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최외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서로 이격된다.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lymer film; A soft magnet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polymer film; A second polymer film disposed on the soft magnetic layer; And a coil portion disposed on the second polymer film, wherein the coil portion includes a first antenna including a plurality of turns and a second antenna disposed outside the first antenna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urns; Included, the first polymer film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including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and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urther in a first direction than an outermost side of the soft magnetic layer, wherein the second polymer film is It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including a third hole and a fourth hole and a second extension extending further in the first direction than the outermost surface, and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form a connection region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area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most surface, further extending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outermost surface, and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re spaced from each other.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에 상기 제1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 3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4 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 and the third hole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hole and the fourth hole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안테나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may be formed outside the first antenna.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안테나의 최외측 턴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may be formed outside the outermost turn of the first antenna.

상기 제1 홀의 중심 및 상기 제2 홀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 상에 상기 제1 안테나의 최내측 턴이 배치될 수 있다.The innermost turn of the first antenna may be arrang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hole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hole.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최외측 턴과 상기 제1 안테나의 최외측 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most turn of the second antenna and the outermost turn of the first antenna.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l)와 상기 연자성층의 두께(h)는 다음의 수학식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The length 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the thickness h of the soft magnetic layer may have a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equation.

[수학식] [Mathematics]

l = A X h (A는 0.6 내지 10의 상수)l = A X h (A is a constant from 0.6 to 10)

상기 연자성층은 제1 연자성층 및 제2 연자성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soft magnetic layer may include a first soft magnetic layer and a second soft magnetic layer.

상기 제2 연자성층은 상기 제1 연자성층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상기 제2 연자성층은 상기 제1 연자성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상기 연자성층은 Fe, Ni, Co, Mn, Al, Zn, Cu, Ba, Ti, Sn, Sr, P, B, N, C, W, Cr, Bi, Li, Y 및 C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oft magnetic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Fe, Ni, Co, Mn, Al, Zn, Cu, Ba, Ti, Sn, Sr, P, B, N, C, W, Cr, Bi, Li, Y and Cd can do.

상기 제1 고분자 필름 및 상기 제2 고분자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polymer film and the second polymer fil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polyacrylic, polyimide, polyamide, and polyurethane.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적어도 하나는 제조 시의 얼라인을 맞추기 위한 홀일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may be a hole for aligning alignment during manufacturing.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상기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및 상기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bstrate; And a housing accommodating the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수신(Wireless Power Conversion, WPC)과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이 가능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reless Power Conversion, WPC)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자성층이 대기 중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자성층이 리드 프레임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도록 배치하여, 리드 프레임의 배치시에도 충전시의 전송 효율이 떨어지거나 데이터 통신 시의 인식거리가 줄어드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inimizing the portion of the soft magnetic layer exposed in the air, it minimize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 magnetic layer surrounds the lead frame at regular intervals. This arrangement can solve the problem of reduc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during charging or reducing the recognition distance during data communication even when the lead frame is disposed.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자성층의 추가를 통하여 충전시의 전송 효율을 조절하거나 또는 향상시키고, 데이터 통신 시의 인식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ddition of a soft magnetic layer, it is possible to control or improv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at the time of charging, and to adjust the recognition distance during data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패턴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자성층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물질층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효율 및 인식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op view showing a coi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op view showing a soft magnetic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op view showing a polymer material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ransmission efficiency and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the size actually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는 무선 전력 송수신(Wireless Power Conversion, WPC)과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에 포함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luded in wireless power conversion (WPC)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장치는 수신 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titute the receiving device 100.

상기 수신 장치(100)와 송신 장치(500)는 무선 전력 송수신(Wireless Power Conversion, WPC)과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이 가능하다.The receiving device 100 and the transmitting device 500 are capable of wireless power conversion (WPC)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수신 장치(100)는 수신 코일 패턴(120, 130)을 포함하며, 제1 수신 코일 패턴(120)은 무선 전력 송수신(WPC)을 위한 코일 패턴이며, 제2 수신 코일 패턴(130)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위한 코일 패턴이다. The receiving device 100 includes receiving coil patterns 120 and 130, the first receiving coil pattern 120 is a coil patter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PC), and the second receiving coil pattern 130 is short-range wireless Coil pattern for communication (NFC).

또한, 송신 장치(500)는 송신 코일 패턴(520, 530)을 포함하며, 제1 송신 코일 패턴(520)은 무선 전력 송신(WPC)을 위한 코일 패턴이며, 제2 송신 코일 패턴(530)은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위한 코일 패턴이다.In addition, the transmission apparatus 500 includes transmission coil patterns 520 and 530, the first transmission coil pattern 520 is a coil patter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WPC),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pattern 530 is Coil pattern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제1 송신 코일 패턴(520)은 전력 소스(미도시)와 연결되며, 제1 수신 코일 패턴(120)은 회로부(미도시)와 연결된다.The first transmitting coil pattern 520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not shown), and the first receiving coil pattern 120 is connected to a circuit unit (not shown).

전력 소스는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력을 제공하는 교류 전력 소스일 수 있으며, 제1 송신 코일 패턴(520)에는 전력 소스(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에 의해 교류 전류가 흐른다.The power source may be an AC power source that provides AC power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an AC current flows in the first transmission coil pattern 520 by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not shown).

상기 제1 송신 코일 패턴(520)에 교류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 되어 있는 제1 수신 코일 패턴(120)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된다.When an alternating current flows through the first transmitting coil pattern 520, an alternating current is also induced to the first receiving coil pattern 120 that is physically separat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수신 코일 패턴(120)로 유도된 전류는 별도의 회로부(미도시)로 전달된 후 정류된다.The current induced by the receiving coil pattern 120 is transferred to a separate circuit unit (not shown) and then rectified.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500)는 송신 패드(pa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신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수신 기술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 가정용/개인용 전자제품, 운송 수단 등의 일부 구성으로 구성되거나, 무선 전력 송수신 기술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 가정용/개인용 전자제품, 운송 수단 등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만을 포함하거나, 또 달리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tting device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transmitting pad (pad), the receiving device 100 is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technology is applied, household / personal electronic products, transportation A portable terminal, a household/personal electronic product, a transportation means, etc., which is configured as a part of a component, or to which wireless power transmission/reception technology is applied, includes only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or alternatively, both a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a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즉, 송신 장치(500)는 리더(Reader)의 역할을 하고, 상기 수신 장치(100)는 태그(Tag)의 역할도 가능하다.That is, the transmitting device 500 serves as a reader, and the receiving device 100 can also serve as a tag.

수신 장치(100)는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과 상기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을 수납하는 하우징(40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코일 패턴(120, 13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 할 수 있다.The receiving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nd a housing 400 that accommodates 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nd the housing 400 receives heat generated from the coil patterns 120 and 130 to the outside. It can radiate heat.

한편, 상기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은 연자성층(220, 230),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노출부 보다 연장되는 고분자 물질층(310, 312),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312)에 배치되는 코일 패턴(120, 130)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을 관통하는 가공 홀(311)이 형성되어 제조 시의 얼라인(align)을 맞추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substrate is a soft magnetic layer (220, 230), the soft magnetic layer (220, 230) is dispos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the soft magnetic layer (220, 230) of the polymer material layer extending beyond the exposed portion (310, 312), including the coil pattern (120, 130) disposed on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312), the processing hole 311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substrate is formed is frozen during manufacturing It can be used to align the alignment.

또한,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은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제1 고분자 물질층(310) 및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타면에 배치되는 제2 고분자 물질층(31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lymer material layer 310 is a first polymer material layer 310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soft magnetic layer 220, 230 and a second polymer material layer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oft magnetic layer 220, 230 It may include (312).

이때,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312)은 흑색 필름(black film)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312)은 접착층(315)에 의해 상기 연자성층(220, 230)에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312)은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may be formed of a black film, and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are adhered to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by an adhesive layer 315.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may include any one of polyethylene, polyacrylic, polyimide, polyamide, and polyurethane.

한편, 상기 연자성층(220, 230)은 제1 연자성층(220) 및 상기 제1 연자성층(220)이 배치되는 동일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연자성층(2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2 연자성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are disposed to surround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on the same plane where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and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are disposed. It may include (230).

또한, 코일 패턴(120, 130)은 상기 제2 고분자 물질층(312) 상에서 상기 제1 연자성층(22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코일 패턴(120) 및 상기 제2 고분자 물질층(312) 상에서 상기 제2 연자성층(23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코일 패턴(13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il patterns 120 and 130 may include a first coil pattern 120 and a second polymer material layer disposed o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on the second polymer material layer 312 ( 312) may include a second coil pattern 130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230.

상기 송신 장치(500)는 연자성층(550), 접착층(535)에 의해 상기 연자성층(550)에 부착되는 송신 코일 패턴(520, 530) 및 하우징(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nsmitting device 500 includes a soft magnetic layer 550, a transmitting coil pattern 520 and 530 attached to the soft magnetic layer 550 by an adhesive layer 535, and a housing 600.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연자성층(220)과 제1 코일 패턴(120)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수신(WPC)이 가능한 구성과, 제2 연자성층(230)과 제2 코일 패턴(130)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이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무선 전력 송수신(WPC)과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capable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PC) including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and the first coil pattern 120, and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230 and the second coil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including the pattern 130 includes all the configurations, and may provide both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PC)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송신 코일 패턴(520)이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위한 코일 패턴으로 구성되고, 제2 송신 코일 패턴(530)이 무선 전력 송수신(WPC)을 위한 코일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transmission coil pattern 520 is composed of a coil pattern for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FC),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pattern 530 is a coil patter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PC). It can be composed of.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은 연자성층(220, 230),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노출부 보다 연장되는 고분자 물질층(310, 312),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312)에 배치되는 코일 패턴(120, 130)을 포함한다.2, 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substr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oft magnetic layer (220, 230), the soft magnetic layer (220, 230), the soft magnetic layer (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extending from the exposed portions of 220 and 230 include coil patterns 120 and 130 disposed on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또한,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은 제1 고분자 물질층(310) 및 제2 고분자 물질층(3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자성층(220, 230)은 제1 연자성층(220) 및 제2 연자성층(2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코일 패턴(120, 130)은 제1 코일 패턴(120) 및 제2 코일 패턴(130)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olymer material layer 310 is composed of a first polymer material layer 310 and a second polymer material layer 312, and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are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and the second It is composed of a soft magnetic layer 230, and the coil patterns 120 and 130 are composed of a first coil pattern 120 and a second coil pattern 130.

또한, 제1 고분자 물질층(310) 또는 제2 고분자 물질층(312)의 연장된 길이(l)와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두께(h)는 다음의 수학식 1의 관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ded length (l) of the first polymer material layer 310 or the second polymer material layer 312 and the thickness (h) of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have the relationship of Equation 1 below. Can be formed.

[수학식 1][Equation 1]

l = A X hl = A X h

이때, l은 제1 고분자 물질층(310) 또는 제2 고분자 물질층(312)의 연장된 길이이고, h는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두께이고, A는 0.6 내지 10의 상수로서, 상기 A 값이 0.6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312)이 상기 연자성층(220, 230)을 감싸기에 충분하지 못하여 수분이 침투할 수 있으며, 상기 A 값이 1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분자 물질층(310, 312)이 과다하게 연장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꺾여 쉽게 손상되거나 별도의 수납부를 추가하여야 하므로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l is the extended length of the first polymer material layer 310 or the second polymer material layer 312, h is the thickness of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and A is a constant of 0.6 to 10, When the A value is less than 0.6,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may not be sufficient to cover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and moisture may penetrate. If the A value exceeds 10, the polymer Since the material layers 310 and 312 are excessively extended and easily bent from external impacts, they may be easily damaged or a separate storage portion may be added,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an increase in thickness.

또한, 제1 연자성층(220)과 제2 연자성층(230)은 서로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연자성층(220)은 비정질 리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연자성층(230)은 컴포지트(composite), 페라이트(frerrite), Ni-Zn, Mn-Zn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and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230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may be made of an amorphous ribbon, and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The 230 may be made of any one of composite, ferrite, Ni-Zn, and Mn-Zn materials.

상기 제1 연자성층(220)을 비정질 리본으로 구성하면 동작 주파수인 100 내지 200 kHZ에서 고 투자율의 구현이 가능하며, 제2 연자성층(230)을 컴포지트(composite), 페라이트(frerrite), Ni-Zn, Mn-Zn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료로 구성하면 데이터 통신의 손실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When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is formed of an amorphous ribbon, high permeability can be realized at an operating frequency of 100 to 200 kHZ, and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230 is composite, ferrite, and Ni- When the material is made of any one of Zn and Mn-Zn, data communication loss is reduced.

상기 연자성 층(120)이 페라이트(ferrite)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소결체(pellet), 플레이트(plate), 리본, 호일(foil), 필름(film)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Fe, Ni, Co, Mn, Al, Zn, Cu, Ba, Ti, Sn, Sr, P, B, N, C, W, Cr, Bi, Li, Y 및 Cd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When the soft magnetic layer 120 is made of a ferrite material,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intered body, a plate, a ribbon, a foil, a film, Fe, Ni, Co, Mn, Al, Zn, Cu, Ba, Ti, Sn, Sr, P, B, N, C, W, Cr, Bi, Li, Y and Cd. .

상기 코일 패턴(120, 130)은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상에서 상기 제1 연자성층(22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코일 패턴(120) 및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상에서 상기 제2 연자성층(230)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코일 패턴(1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il patterns 120 and 130 may be formed on the first coil pattern 120 and the polymer material layer 310 on the polymer material layer 310 in reg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220. 2 may include a second coil pattern 130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oft magnetic layer 230.

이때, 상기 코일 패턴(120, 130)은 도 2에서와 같이 접착층(135)에 의해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에 접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il patterns 120 and 130 may be configured to adhere to the polymer material layer 310 by an adhesive layer 135 as shown in FIG. 2.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은 연자성층(220, 230),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자성층(220, 230)의 노출부 보다 연장되는 고분자 물질층(310, 312),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312)에 배치되는 코일 패턴(120, 130)을 포함한다.3, 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oft magnetic layer (220, 230), the soft magnetic layer (220, 230), the soft magnetic layer It includes a polymer material layer (310, 312) extending from the exposed portion of (220, 230), the coil pattern 120, 130 disposed on the polymer material layer (310, 312).

그러나,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제1 고분자 물질층(310) 및 제2 고분자 물질층(312)을 연결하며, 상기 연자성층(220)의 노출부를 감싸는 고분자 물질 접속단(3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고분자 물질 접속단(313)은 연장부와 혼용될 수 있으며, 제1 연장부는 제1 고분자 물질층(310)에서 연장되고, 제2 연장부는 제2 고분자 물질층(312)에서 연장될 수 있다.However,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first polymer material layer 310 and the second polymer material layer 312 are connected, and the polymer material connection end 313 surround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soft magnetic layer 220 is further included. It is com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lymer material connection end 313 may be mixed with the extension, the first extension extends from the first polymer material layer 310, and the second extension extends from the second polymer material layer 312. Can be.

따라서,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출부는 가공 홀(311)에 의해 노출되는 단부이고, 상기와 같이 연자성층(220)의 노출부를 감싸는 고분자 물질 접속단(313)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exposed portion is an end exposed by the processing hole 311, and moisture penetrates from the outside by the polymer material connecting end 313 surround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soft magnetic layer 220 as described above. Can block things.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단면도이다.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에 따르면 고분자 물질층(310, 312)을 연자성층(220, 230)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315)의 구성없이, 고분자 물질층(310, 312)이 연자성층(220, 230)에 직접 형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4 and 5, without the configuration of the adhesive layer 315 for bonding the polymer material layer (310, 312) to the soft magnetic layer (220, 230), the polymer material layer (310, 312) is opened It is formed directly on the magnetic layers 220 and 230.

이때, 열압착을 통해 고분자 물질층(310, 312)을 연자성층(220, 230)에 직접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through thermal compression.

도 4 및 도 5에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분자 물질층(310, 312)을 연자성층(220, 230)에 직접 형성하면, 접착층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공정이 단순화되어 제조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보다 얇은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4 and 5, when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are directly formed on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as in the embodiment, since the adhesive layer is not required, the process is simplifi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inner.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substrates can be produced.

한편,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는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에 가공 홀의 단면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리드 프레임을 결합하기 위한 단부의 노출부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of FIGS. 2 to 6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ross section of a processing hole in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substrate, the exposed portion of the end for joining the lead frame may also be configured the sam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일 패턴을 도시한 상면도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 장치에 포함되는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top view showing a coi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specifically, a diagram illustrating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included in a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자성층을 도시한 상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물질층을 도시한 상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7 is a top view showing a soft magnetic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top view showing a polymer material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코일 패턴(120, 130)은 상기 도 2에서와 같이 접착층(135)에 의해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에 접착되도록 구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il patterns 120 and 130 are configured to be adhered to the polymer material layer 310 by an adhesive layer 135 as shown in FIG. 2, or disposed on a separate substrate 110 as shown in FIG. 6. Can b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0) 상에는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제조 시에 얼라인(align)을 맞추기 위한 얼라인 마크(115, 116)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lignment marks 115 and 116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10 to align the alignment during wireless charging and manufacturing of the communication substrate.

또한,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패턴(120, 130)과 연결되는 리드 프레임(140)을 더 포함하며, 제2 연자성층(230)은 상기 리드 프레임(14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substrate further includes a lead frame 140 connected to the coil patterns 120 and 130 as illustrated in FIGS. 7 and 8, and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230 includes the lead frame ( 14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연자성층(230)은 도 4에서와 같이 리드 프레임(140)으로부터 1 mm 내지 3 mm의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2 연자성층(230)이 리드 프레임(140)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둘러싸도록 배치하면, 리드 프레임(140)의 배치시에도 충전시의 전송 효율이 떨어지거나 데이터 통신 시의 인식거리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In more detail,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23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at regular intervals of 1 mm to 3 mm from the lead frame 140 as shown in FIG. 4, and thus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230 ) Is arranged so as to surround the lead frame 140 at regular intervals, even when the lead frame 140 is disposed,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transmission efficiency during charging decreases or the recognition distance during data communication decreases.

또한, 상기 리드 프레임(140)을 접속하기 위한 단부의 노출부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연자성층(220, 230) 보다 연장되는 고분자 물질층(310, 31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물질층(310, 312)의 단부를 감싸는 고분자 물질 접속단(3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posed portion of the end for connecting the lead frame 140 further comprises a polymer material layer 310, 312 extending from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230 as shown in FIG. As shown,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olymer material connecting end 313 surrounding the ends of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도 8의 고분자 물질층(310, 312)은 제1, 2 연자성층(220, 230)의 일면 및 타면에 배치되며, 고분자 물질층(310, 312)은 접착층(315)에 의하여 제1, 2 연자성층(220, 230)에 접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of FIG. 8 are disposed on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and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are first and second by the adhesive layer 315. The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may be adhered and disposed.

또한, 상기 고분자 물질층(310, 312)과 상기 연자성층(220)에는 가공 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processing hole 311 may be formed in the polymer material layers 310 and 312 and the soft magnetic layer 220.

상기 가공 홀(311)은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제조시에 도 6의 얼라인 마크(115, 116)와의 얼라인을 맞출 수 있다.The machining hole 311 may align the alignment with the alignment marks 115 and 116 of FIG. 6 during wireless charging and manufacturing of the communication substrate.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의 단면도이다.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충전 및 통신 기판은 접착층(223)의 일면과 타면에 각각 연자성층(220, 230)이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9 and 10, the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are attach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adhesive layer 223, respectively.

도 9 및 도 10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와 같은 연자성층(220, 230) 복수개로 추가하여 충전시의 전송 효율을 조절 또는 향상시키거나, 데이터 통신 시의 인식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FIGS. 9 and 10, a plurality of such soft magnetic layers 220 and 230 may be added to control or improve transmission efficiency during charging or to adjust a recognition distance during data communication.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효율 및 인식거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1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ransmission efficiency and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송 효율 및 인식 거리의 변화를 비교한 표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공 홀의 직경의 변화에 따른 전송 효율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자성층의 간격에 따른 전송 효율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In more detail, FIG. 11 is a table comparing changes in transmission efficiency and recognition distan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shows a change in the diameter of a machining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ransmission efficiency, and FIG. 13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ransmission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soft magnetic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1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의 주변을 제2 연자성층으로 둘러싸지 않고 가공 홀을 형성하지 않는 A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리드 프레임의 주변을 제2 연자성층으로 둘러싸고 가공 홀을 형성하는 B의 실시예에서도 전송 효율의 차이는 거의 없으며 인식 거리의 차이는 변화가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compared to the embodiment of A which does not surround the lead frame with a second soft magnetic layer and does not form a machining hole, the lead frame is surrounded with a second soft magnetic layer and processed. Even in the embodiment of B forming a hole,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ransmission efficiency and no difference in recognition distance.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홀의 직경(hole radius)을 1 mm 내지 3 mm로 변화 시키는 경우에는 오히려 일부 전송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발생하였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의 주변을 연자성층(제2 연자성층)으로 둘러싸는 경우에 전송 효율이 매우 미미하게 감소하므로 전송 효율에는 큰 차이가 없다.In addition, when the hole diameter of the machining hole is changed to 1 mm to 3 mm, as shown in FIG. 12, rather, an effect of partially increas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ccurs, and as shown in FIG. 13, the periphery of the lead frame When the case is surrounded by a soft magnetic layer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the transmission efficiency is very small, so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nsmission efficiency.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수신 장치
120: 제1 수신 코일 패턴
130: 제2 수신 코일 패턴
220: 제1 연자성층
221: 제1 가공 홀
223: 접착층
230: 제2 연자성층
310: 고분자 물질층
311: 제2 가공 홀
315: 접착층
400: 하우징
500: 송신 장치
520: 제1 송신 코일 패턴
530: 제2 송신 코일 패턴
550: 연자성층
600: 하우징
100: receiving device
120: first receiving coil pattern
130: second receiving coil pattern
220: first soft magnetic layer
221: first machining hole
223: adhesive layer
230: second soft magnetic layer
310: polymer material layer
311: second machining hole
315: adhesive layer
400: housing
500: transmitting device
520: first transmission coil pattern
530: second transmission coil pattern
550: soft magnetic layer
600: housing

Claims (15)

제1 고분자 필름;
상기 제1 고분자 필름 상에 배치된 연자성층;
상기 연자성층 상에 배치된 제 2고분자 필름; 및
상기 제2 고분자 필름 상에 배치된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복수의 턴을 포함하는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1 안테나의 외측에 배치되고 복수의 턴을 포함하는 제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 필름은 제1 홀 및 제2 홀을 포함하는 복수의 홀 및 상기 연자성층의 최외측면 보다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된 제1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분자 필름은 제3 홀 및 제4 홀을 포함하는 복수의 홀 및 상기 최외측면 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연장된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서로 연결된 연결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영역은 상기 최외측면과 이격되고, 상기 최외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서로 이격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A first polymer film;
A soft magnetic layer disposed on the first polymer film;
A second polymer film disposed on the soft magnetic layer; And
Includes; coil portion disposed on the second polymer film;
The coil unit includes a first antenna including a plurality of turns and a second antenna disposed outside the first antenna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urns;
The first polymer film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including a first hole and a second hole, and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urther in a first direction than an outermost side of the soft magnetic layer,
The second polymer film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including a third hole and a fourth hole,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urther in the first direction than the outermost surface,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form a connection region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area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most surface, further extending in an outer direction of the outermost surface,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bstr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사이에 상기 제1 안테나가 배치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According to claim 1,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which the first antenna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 3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홀 및 상기 제4 홀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hole and the third hol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hole and the fourth hole are formed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bstrat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안테나의 외측에 형성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re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bstrat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ntenna.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은 상기 제1 안테나의 최외측 턴의 외측에 형성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are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med outside the outermost turn of the first antenna.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의 중심 및 상기 제2 홀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 상에 상기 제1 안테나의 최내측 턴이 배치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The method of claim 5,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 which an innermost turn of the first antenna is disposed on a virtual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irst hole and the center of the second hol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2 안테나의 최외측 턴과 상기 제1 안테나의 최외측 턴 사이에 형성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According to claim 3,
At least one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is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med between the outermost turn of the second antenna and the outermost turn of the first antenna.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l)와 상기 연자성층의 두께(h)는 다음의 수학식의 관계를 갖는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수학식]
l = A X h (A는 0.6 내지 10의 상수)
According to claim 3,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at least one length (l)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nd the thickness (h) of the soft magnetic layer have a relationship of the following equation.
[Mathematics]
l = AX h (A is a constant from 0.6 to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층은 제1 연자성층 및 제2 연자성층을 포함하는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The method of claim 8,
The soft magnetic layer includes a first soft magnetic layer and a second soft magnetic layer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bstrat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자성층은 상기 제1 연자성층의 측면에 배치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is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자성층은 상기 제1 연자성층 상에 배치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soft magnetic layer is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isposed on the first soft magnetic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자성층은 Fe, Ni, Co, Mn, Al, Zn, Cu, Ba, Ti, Sn, Sr, P, B, N, C, W, Cr, Bi, Li, Y 및 C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According to claim 1,
The soft magnetic layer includes at least one of Fe, Ni, Co, Mn, Al, Zn, Cu, Ba, Ti, Sn, Sr, P, B, N, C, W, Cr, Bi, Li, Y and Cd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분자 필름 및 상기 제2 고분자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The method of claim 12,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polymer film and the second polymer film includes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polyacrylic, polyimide, polyamide, and polyurethan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적어도 하나는 제조 시의 얼라인을 맞추기 위한 홀인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is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ich is a hole for aligning alignment during manufacturing.
제1 항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 및
상기 무선충전 및 근거리무선통신용 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단말.
The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ncluding a mobile terminal.
KR1020200032047A 2020-03-16 2020-03-16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1021300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047A KR102130026B1 (en) 2020-03-16 2020-03-16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2047A KR102130026B1 (en) 2020-03-16 2020-03-16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974A Division KR102092281B1 (en) 2019-12-06 2019-12-06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08A Division KR102164982B1 (en) 2020-06-29 2020-06-29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068A KR20200032068A (en) 2020-03-25
KR102130026B1 true KR102130026B1 (en) 2020-07-03

Family

ID=7000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2047A KR102130026B1 (en) 2020-03-16 2020-03-16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02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518B1 (en) 2006-03-16 2006-09-13 (주) 아모센스 Magnetic sheet for rf identification antenn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rf identification antenna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2439B2 (en) * 2007-08-21 2013-01-09 株式会社東芝 Non-contact type power receiving devic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charging system
EP2797092B1 (en) * 2011-12-21 2017-02-08 Amosense Co., Ltd. Magnetic field shielding sheet for a wireless charger and receiving apparatus for a wireless charger using the sheet
KR101339982B1 (en) * 2012-05-29 2013-12-11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Ferrite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ntena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518B1 (en) 2006-03-16 2006-09-13 (주) 아모센스 Magnetic sheet for rf identification antenn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rf identification antenna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068A (en)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9724B2 (en)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board and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1942149B1 (en) Multi-coil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1280429B1 (en) Antenna device
US949659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50068400A (en) Composite coil module and portable apparatus
KR10206754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il module
US10522911B2 (en) Antenna device, card-type information medium,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10213002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101950375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102092281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10216498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102055802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10201933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102146020B1 (en) Soft magnetic substrat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conversion device
KR20170083983A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101930340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KR20200119757A (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subst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char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