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68B1 - A drone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rotors - Google Patents

A drone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ro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68B1
KR102129368B1 KR1020180160237A KR20180160237A KR102129368B1 KR 102129368 B1 KR102129368 B1 KR 102129368B1 KR 1020180160237 A KR1020180160237 A KR 1020180160237A KR 20180160237 A KR20180160237 A KR 20180160237A KR 102129368 B1 KR102129368 B1 KR 10212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main body
rotor
drive shaft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6474A (en
Inventor
김주하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울산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20000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4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64U10/14Flying platforms with four distinct rotor axes, e.g. quad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64U30/29Constructional aspects of rotors or rotor support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96Rotors with variable spatial positions relative to the UAV body
    • B64C2201/024
    • B64C2201/1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Toy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진부 사이의 거리는 변화될 수 있다.Th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propulsion portion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propulsion portions The distance between can be varied.

Description

로터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드론 {A DRONE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ROTORS}A drone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rotors {A DRONE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ROTORS}

아래의 실시예들은 로터 사이의 거리 조절이 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mbodiments relate to drones capable of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rotors.

군수산업에서 시작된 드론(drone)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를 말하며, 최근에는 상기 드론을 이용하여 군사적, 상업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The drone started in the military industry refers to an airplane or a helicopter-shaped vehicle that is fly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human being riding. Recently, the drone is widely used in military and commercial use, and research on it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s going on.

특히, 카메라와 센서 등을 이용하여 탁월한 감지능력과 신속한 이동성을 갖춘 드론은 운송, 보안, 감시, 관측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drones with excellent detection capabilities and rapid mobility using cameras and sensor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transportation, security, surveillance, and observation.

상기의 예로 미국의 쇼핑몰 업체에서는 드론을 이용하여 물류 배송 시스템 구축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홍보가 이루어지고 있다.As an example of the above, a US shopping mall company is planning to build a logistics delivery system using a drone, and public relations are being made.

상기 드론은 고정익, 회전익, 복합형 등 사용목적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drone is made of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such as a fixed wing, a rotary wing, and a composite type.

상기 고정익은 일반 항공기와 같이 고정익 날개에서 발생하는 양력을 이용하여 비행을 하는 드론으로서, 이는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061508호(Device for Firing Weapons from an Armed Drone, 2012.03.15.)에 제시되었다.The fixed wing is a drone that uses the lift generated by the wing of a fixed wing like a general aircraft to fly, which was presented 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2-0061508 (Device for Firing Weapons from an Armed Drone, March 15, 2012). .

상기 회전익은, 회전하는 날개에서 발생하는 힘을 이용하여 비행하며, 상기 복합형은 상기 고정익과 회전익의 원리를 이용하는 틸트-로터형(tilt-rotor) 무인기(드론) 등을 말한다.The rotor blades fly using a force generated from a rotating blade, and the complex type refers to a tilt-rotor drone (drone) or the like using the principle of the stator blades and the rotor blades.

그러나 일반적인 드론은 비행 중에 있을 방향의 변경 시, 추진장치의 제어를 통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속도를 높이는 경우에는 몸체 일부를 기울여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 general drone has a problem in that a part of the body is inclined when the speed is increased in order to move in a desired direction through control of a propulsion device when changing a direction to be in flight.

즉, 일반적인 드론은 목적지를 향해 몸체의 방향을 기울이는 롤링(rolling), 피칭(pitching, 종횡동요운동), 요잉(yawing) 등의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드론의 몸체에 탑재된 화물이 기울어져 파손 또는 분실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드론의 무게중심의 변화로 인한 비행제어불가상황이 닥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a general drone performs movements such as rolling, pitching, and yawing, which inclines the direction of the body toward a destination, which inclines the cargo mounted on the body of the drone. In addition to the possibility of damage or loss, there is a problem that a flight control inability situation may occur due to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rone.

아울러, 종래의 드론은 탑재되는 탑재물 및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무게에 따라 그 무게를 감당하여 비행할 수 있는 추진체가 형성된 드론을 따로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 conventional drone has a problem in that a drone having a propellant capable of flying can be form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weight of a mounted load and a cargo to be transported.

즉, 종래의 드론은 사용목적 또는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무게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드론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사용범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어 드론의 활용측면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conventional drones form drones of various types and 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or the weight of the cargo to be transported, which has a problem in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range of use, and thus the efficiency of the drone is poor. .

반면, 드론 수요증가 추세로 인하여 드론의 비행 상공 교통량 증가가 예상되며, 그로 인하여 드론의 비행 중 충돌 및 추돌 가능성 증대되고 있다. 또한, 드론 내에 구비된 카메라, 프로펠러 등 주요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 또는 착륙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drone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amount of traffic flying over the drones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drones,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llisions and collisions during drones' flight.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protection device or a landing device for protecting main devices such as a camera and a propeller provided in the drone.

뿐만 아니라,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착륙대는 지상에 노출될 경우 기상환경(눈, 비 등)에 취약해 질 수 있으며, 드론의 보관 및 이동 시 주요 부품을 분리하여 보관 및 이동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currently commercialized landing lands can be vulnerable to meteorological conditions (snow, rain, etc.) when exposed to the ground, and in many cases, when storing and moving drones, it is often necessary to separate and store major parts.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로터 사이의 거리를 임무 형태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공력성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drone capable of optimizing aerodynamic performance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rotors according to a mission type.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지면효과, 천정효과 또는 벽면효과를 고려하여 주위 환경과 임무 형태에 따라 적절한 양력을 구비할 수 있는 드론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drone capable of providing an appropriate lifting force according to a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mission type in consideration of a ground effect, a ceiling effect, or a wall effect.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추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진부 사이의 거리는 변화될 수 있다.Th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propulsion portion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propulsion portions The distance between can be varied.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지지바 및 상기 복수의 지지바의 내측에는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축의 각각의 일단에는 상기 복수의 추진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bars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drive shafts provided inside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nd mov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e plurality of propulsion units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each of the drive shafts.

이 때, 상기 복수의 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리니어 엑츄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리니어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축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are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linear actuator, and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may be moved back and forth by operation of the linear actuator.

또는, 상기 드론은,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기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축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one further includes a gear member provided inside th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extends inside the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gear member, and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are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ear member. Can be moved back and forth.

상기 복수의 추진부는 각각,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opulsion units includes a motor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and a rotor that rotates with a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motor.

상기 로터의 총 길이가 D인 경우, 제1 로터의 회전 반경으로부터, 상기 제1 로터에 인접한 제2 로터의 회전 반경으로까지의, 최단의 거리는 0.06D ~ 0.6D 사이일 수 있다.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rotor is D,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first rotor to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second rotor adjacent to the first rotor may be between 0.06D and 0.6D.

이 때, 상기 로터의 총 길이 D는 76mm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D of the rotor may be 76 mm.

또한, 상기 드론은, 복수의 로터 사이의 회전 반경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al radii between the plurality of rotors.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로터 사이의 거리를 임무 형태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공력성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Th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optimize aerodynamic performance by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rotors according to a mission type.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지면효과, 천정효과 또는 벽면효과를 고려하여 주위 환경과 임무 형태에 따라 적절한 양력을 구비할 수 있다.Th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have an appropriate lifting forc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ission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effect, ceiling effect, or wall effect.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른의 단면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로터들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로터들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양력을 나타낸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rotor of th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djusted.
Figure 4 shows the lift that varies with the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rotor of the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실시예들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ne of several aspects of the embodiment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ms part of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다만,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owever, in describing one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or lexical sense, and the inventor is the best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a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to explain in a metho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r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do not represent all technical ideas of the dro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us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a variety of equivalents and vari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a point in time.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사시도이며,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른의 단면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로터들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로터들 사이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양력을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rotors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djusted, and FIG. 4 shows a lift force varying according to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rotors of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10)은 본체(100), 본체(10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200) 및 본체(100)의 외측에 구비되고 지지부(200)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추진부(300)를 포함하고, 복수의 추진부(300) 사이의 거리는 변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dron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200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It includes a plurality of propulsion unit 300 supported by (200),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pulsion unit 300 may be changed.

이 때, 본체(100)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육면체 형상, 삼각기둥 형상, 팔면체 형상 등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y shape, such as a hexahedral shape, a triangular prism shape, and an octahedron shape, if necessary.

또한, 추진부(300)는 추력을 발생시켜 상기 드론(10)의 동작(비행, 이/착륙)을 수행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opulsion unit 300 generates thrust to perform the operation (flight, takeoff/landing) of the drone 10.

여기서, 지지부(200)는 본체(100)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지지바(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바(210)는 본체(100)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하는 양 방향으로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본체(100)를 중심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네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바는 필요에 따른 개수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Here, the support part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bars 210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For example, two support bars 210 may be provided in both directions toward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0. Alternatively, four may be provided in a diagonal direction around the main body 1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bvious that the support bar may be provided in a number as necessary.

또한, 지지부(200)는 상기 지지바(210)에 대응하는 수로 각각의 지지바(210)의 내측에 구비되고 본체(100)의 외측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구동축(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구동축(220)의 각각의 일단에는 복수의 추진부(30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20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each support bar 210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bar 210, and a plurality of drive shafts 220 tha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relativ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It may include. At this time, a plurality of propulsion units 30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220.

복수의 추진부(300)는 각각,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10) 및 모터(310)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로터(320)를 포함한다.Each of the plurality of propulsion units 300 includes a motor 310 that provides rotational force and a rotor 320 that rotates with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motor 310.

이 때, 추진부(300)는 드론에 널리 이용되는 프로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추력을 이용하는 프로펠러방식이 권장되지만, 상기 프로펠러방식 외에 제트엔진 등 다양한 추진부의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상기 프로펠러방식에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propulsion unit 300 is a propeller method using thrust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a propeller that is widely used for drones, bu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various propulsion units such as a jet engine in addition to the propeller method, so it is limited to the propeller method I never do that.

아울러, 드론(10)은, 복수의 구동축(220)을 전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로터(320) 사이의 회전 반경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ontrols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al radii between the plurality of rotors 320 by moving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220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상기 드론은 상기 추진부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추진부를 외부 장벽이나 방해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보호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부는 상기 추진부와 연결되어 상기 추진부가 이동될 경우 함께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on unit (not shown)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ropulsion unit to protect the propulsion unit from an external barrier or obstacle, and the prot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propulsion unit to move the propulsion unit If possible, they can be moved together.

도2를 참조하면, 복수의 구동축(220)의 타단은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리니어 엑츄에이터(400)에 연결되고, 리니어 엑츄에이터(400)의 작동에 의하여 복수의 구동축(220)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220 are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linear actuator 400, and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220 ar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operation of the linear actuator 400. Can.

또는, 드론은,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기어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구동축의 타단은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기어부재에 연결되며, 기어부재의 회전력에 의하여 복수의 구동축은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one further includes a gear member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extends inside the main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gear member, and a plurality of drive shafts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ear member. Can be moved.

또는, 드론은, 구동축의 길이가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도록, 각각의 구동축은 복수의 구성요소(축요소)가 겹쳐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축의 길이가 전체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동축은 크기가 서로 다른 중공을 지닌 복수의 중공축들이 서로 겹쳐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복수의 중공축 간의 겹쳐진 부분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구동축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one may have a plurality of components (shaft elements) superimposed on each drive shaft so that the length of the drive shaft may contract or expand, and the length of the drive shaft may be entire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 That is, each drive shaft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hollow shafts having hollows having different sizes overlap each oth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overall length of the drive shaft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hollow shafts.

그리하여, 구동축의 길이가 변화함에 따라, 추진부가 드론의 외측으로 이동되거나 드론의 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귀될 수 있다.Thus, as the length of the drive shaft changes, the propulsion portion may be moved outward of the drone or retur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body of the drone.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드론(10)은, 도3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즉, 도3의 (a)와 같이, 구동축(220)이 지자바(210)의 내측으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 복수의 추진부(300) 간의 최단 거리는 가장 짧아지며, 도3의 (b)와 같이, 구동축(220)이 지지바(210)의 외측으로 완전히 이동된 경우 복수의 추진부(300) 간의 최단 거리는 가장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dron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operated as shown in FIG. 3. That is, as shown in Figure 3 (a), when the drive shaft 2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jizaba 210,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pulsion parts 300 is the shortest, as shown in Figure 3 (b) , When the drive shaft 220 is completely mov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ar 210,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pulsion units 300 may be formed to be the longest.

이와 같은 추진부(300) 간의 최단 거리는 변화는 비행 상황에 적합하게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propulsion units 300 may be adjusted by the control unit to suit the flight situation.

도4의 (a)를 참조하면, 추진부(300)의 로터(320)의 총 길이를 D로 설정한 경우, 제1 로터(321)의 회전 반경으로부터, 제1 로터(321)에 인접한 제2 로터(322)의 회전 반경으로까지의, 최단 거리는 d는 0.06D ~ 0.6D 사이일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4,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rotor 320 of the propulsion unit 300 is set to D, the first rotor 321 is adjacent to the first rotor 321 from the rotation radius of the first rotor 321. 2, the shortest distance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rotor 322 may be between 0.06D and 0.6D.

이 때, 상기 로터(320)의 총 길이 D는 적절하게는 76mm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tal length D of the rotor 320 may be appropriately 76 mm.

도4의 (b)와 같이, 4개의 추진부로 구성된 쿼드로터형 드론의 경우, 공력성능 중 특히 양력은 각각의 로터 간의 거리에 따라 상당히 변화가 크다. 즉, 로터 간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각각의 로터에 의한 후류의 상호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드론에 작용하는 양력을 유의미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비행 상황에 따른 지면효과, 천정효과, 벽면효과 등을 고려하여 드론의 임무 수행 시에 최적의 양력을 갖도록 각각의 로터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비행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b), in the case of a quadrotor-type drone composed of four propulsion units, in particular, the lift force among the aerodynamic performances varies considerably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each rotor. That is, by chang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or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interaction of the wakes of each rotor. Accordingly, the lift force acting on the drone can be significantly changed. Therefore, flight efficiency can be maximiz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ors to have optimal lift when performing the mission of the drone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effect, ceiling effect, and wall effect according to the flight situ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을 지닌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은, 로터 사이의 거리를 임무 형태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공력성능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The dr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optimize the aerodynamic performance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ors according to the mission type.

또한, 상기 드론은 지면효과, 천정효과 또는 벽면효과를 고려하여 주위 환경과 임무 형태에 따라 적절한 양력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 may be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lifting force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mission type in consideration of the ground effect, ceiling effect, or wall effect.

이상과 같이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s,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etc., and wit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which are provided for overall understand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t will be said that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드론
100 : 본체
200 : 지지부
210 : 지지바
220 : 구동축
300 : 추진부
310 : 모터
320 : 로터
400 : 리니어 엑츄에이터
10: drone
100: main body
200: support
210: support bar
220: drive shaft
300: propulsion unit
310: motor
320: rotor
400: linear actuator

Claims (8)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복수의 추진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추진부 사이의 거리는 변화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추진부는 각각,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로터;
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의 총 길이가 D인 경우,
제1 로터의 회전 반경으로부터, 상기 제1 로터에 인접한 제2 로터의 회전 반경으로까지의, 최단의 거리는 0.06D ~ 0.6D 사이인, 드론.
main body;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propulsion units provided outside the main body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unit;
Inclu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pulsion units may be changed,
Each of the plurality of propulsion units,
A motor providing rotational force; And
A rotor rotated with a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motor;
Including,
When the total length of the rotor is D,
The drone is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0.06D and 0.6D, from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first rotor to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second rotor adjacent to the first r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된 복수의 지지바; 및
상기 복수의 지지바의 내측에는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외측을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복수의 구동축;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동축의 각각의 일단에는 상기 복수의 추진부가 각각 배치되는,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bars extending toward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drive shafts provided inside the plurality of support bars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ncluding,
A drone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parts is dispos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리니어 엑츄에이터에 연결되고,
상기 리니어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축은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드론.
According to claim 2,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are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linear actuator,
A drone in which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ar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operation of the linear actua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된 기어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기어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기어부재의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축은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드론.
According to claim 2,
A gear member provided inside the body;
Further comprising,
The other end of the drive shaft is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gear member, the plurality of drive shafts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gear member, the dro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총 길이 D는 76mm인, 드론.
According to claim 1,
The total length D of the rotor is 76 mm, drone.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로터 사이의 회전 반경 사이의 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드론.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urning radii between the plurality of rotors;
Drone, which further includes.
KR1020180160237A 2018-07-10 2018-12-12 A drone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rotors KR1021293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69 2018-07-10
KR20180080169 2018-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74A KR20200006474A (en) 2020-01-20
KR102129368B1 true KR102129368B1 (en) 2020-07-02

Family

ID=6936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237A KR102129368B1 (en) 2018-07-10 2018-12-12 A drone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rot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36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0898B1 (en) * 2024-02-19 2024-08-30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 drone that can maintain a horizontal state by automatically match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center of lift during fligh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9322A1 (en) * 2014-01-20 2015-07-23 Robodub Inc.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5445B1 (en) * 2014-08-07 2016-10-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9322A1 (en) * 2014-01-20 2015-07-23 Robodub Inc.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0898B1 (en) * 2024-02-19 2024-08-30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 drone that can maintain a horizontal state by automatically matching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center of lift during f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74A (en) 2020-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7419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KR101740130B1 (en) Reconfigurable shaped drone
US9561851B2 (en) Vertical short takeoff and landing apparatus
US10696394B2 (en) Shape-reconfigurable drone
US7959104B2 (en) Flying device with improved movement on the ground
EP2193994A2 (en) UAV ducted fan swept and lean stator design
US8256705B2 (en) Torque production vehicle and method
US20150344134A1 (en) High Performance VTOL Aircraft
KR102062726B1 (en) An aircraft and a control system of attutude of the aircraft
US20140103158A1 (en) AirShip Endurance VTOL UAV and Solar Turbine Clean Tech Propulsion
CN112004746A (en) Autonomous flight ambulance
US8348190B2 (en) Ducted fan UAV control alternatives
JP6965433B2 (en) Operating system
WO2017042291A1 (en) Aircraft for transport and delivery of payloads
US10858092B2 (en) Flying object
KR102129368B1 (en) A drone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rotors
EP3162701A1 (en) Air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thereof
US20160376001A1 (en) Vehicle including a tetrahedral body or chassis
US12091149B2 (en) Aerial vehicle for carrying a payload
KR102241710B1 (en) Module type Unmanned Aerial Vehicle Capable of High Speed Movement
KR101150855B1 (en) Flying Control Structure for Duct Type Flying Robot t
EP3368410B1 (en) Air vehic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thereof
KR101827759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High Agile Control Device)
CA3114388A1 (en) Aerial vehicle for carrying a payload
KR20230058986A (en) Drone control system above the water using propulsion m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