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108B1 - A system of making image for merchandise advertisemnet - Google Patents

A system of making image for merchandise advertisem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108B1
KR102129108B1 KR1020200029463A KR20200029463A KR102129108B1 KR 102129108 B1 KR102129108 B1 KR 102129108B1 KR 1020200029463 A KR1020200029463 A KR 1020200029463A KR 20200029463 A KR20200029463 A KR 20200029463A KR 102129108 B1 KR102129108 B1 KR 102129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member
product
center leg
photograph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연서
Original Assignee
유연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서 filed Critical 유연서
Priority to KR102020002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10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1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product promotion video production system that obtains a product video and provides an editing function of the video to an operator to produce a video for the promotion of the product. Disclosed is a product promotion video production system comprising a photographing device for obtain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a product arranged on a background panel.

Description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A SYSTEM OF MAKING IMAGE FOR MERCHANDISE ADVERTISEMNET}Product promotion video production system {A SYSTEM OF MAKING IMAGE FOR MERCHANDISE ADVERTISEMNET}

본 발명은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이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의 영상을 촬영하여 홍보 영상물을 제작하는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promotion video material produ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duct promotional video material production system for taking a video of a product to produce a promotional video material.

온라인 쇼핑몰 시장 대부분은 이미지와 텍스트 위주의 상품정보 제공으로, 판매상품에 대한 동작 유무와 사용법과 같은 내용을 전달하기 힘들뿐 아니라, 직접 제품을 보며, 제품에 대한 리뷰 등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 어려움이 있다.Most of the online shopping mall market is providing image and text-oriented product information, and it is difficult to deliver contents such as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age and usage of sales products,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such as viewing products directly and reviewing products. .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오프라인에서 얻는 상품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온라인에서 제공받을 수 있기를 원하고 있으며, TV 홈쇼핑과 같은 쇼퍼블 비디오(Shoppable Video/Video Shopping)는 신뢰성 있는 양질의 상품정보를 생동감 있게 제공함에 따라 구매 결정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In general, consumers want to be able to receive the same information as product information obtained offline, and shopping video/video shopping, such as TV home shopping, provides reliable and quality product information vividl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high purchasing decision power.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IT기기가 대중화되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을 확인하고 온라인을 통해 구매하게 됨에 따라 온라인 쇼핑시장이 성장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s I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become popular, the online shopping market is growing as products are checked in offline stores and purchased online.

그러나, 현재 오픈마켓, 소셜커머스 등과 같은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텍스트와 이미지만으로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미지 위주의 상품 설명은 고객이 세심하게 읽지 않고는 상품의 중요한 포인트를 그냥 지나칠 수 있고, 상품의 사진만으론 실물과 차이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정보를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online shopping malls such as open markets and social commerce, product information is provided only with text and images. Product-oriented product descriptions can bypass important points of the product without the customer's careful reading.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pictures are different from the real thing, so there is a limit to delivering more accurate and reliable product information.

따라서 복잡한 판매방식이 아닌 정보 전달력이 뛰어난 동영상 제품정보 제공을 통하여, 홈쇼핑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제거하여 기존 웹/ 모바일 기반 쇼핑서비스에 접목해 판매자, 구매자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리밍 커머스(Video Streaming Commerce)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video streaming commerce that can benefit both sellers and buyers by integrating with existing web/mobile-based shopping services by utilizing the advantages of home shopping and eliminating the disadvantages by providing video product information with excellent information delivery power, not a complicated sales method (Video Streaming Commerce)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이에 따라, 판매자는 적은 시간투자로도 제품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동영상을 제공하고, 소비자는 신뢰성이 높고, 보다 간편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판매자와 구매자를 위한 새로운 인터렉티브 동영 플레이어(Interactive-Video Player) 기반의 오픈 마켓 플랫폼 또는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Accordingly, the seller provides a video that can effectively deliver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with little time investment, and a new interactive video player for sellers and buyers so that consumers can trade more reliably and more easily. ) There is a need to provide an open market platform or service.

최근 이동통신단말기 관련 기술의 발달과 각종 부품의 소형화 및 고기능화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활용하여 사진과 같은 정지 영상뿐만 아니라 음성을 포함하는 동영상을 생성하고 재생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이동통신 기술분야에서 각종 멀티미디어 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related technology and miniaturization and high-functionality of various part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fields such a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create, play, and enjoy a video including voice as well as still images such as photographs Various multimedia technologies are generally used.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단순히 생성하거나 그대로 재생하는 것 이외에도,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도록 편집하거나 타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addition to simply generating or reproducing still images and videos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various types of multimedia services such as editing still images and videos according to a user's preference or transmitting them to an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provided. Is required.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에 대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와 비교하여 상당히 제한되어 있으며, 정지 영상에 대해서는 정지 영상의 특정 영역에 타 이미지를 삽입하여 편집하는 기능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으나, 동영상의 경우 단순히 별개의 동영상을 연결하여 하나의 동영상으로 편집하거나 하나의 동영상을 분리하여 별개의 동영상으로 각각 편집하는 등 단순한 기능만이 제공되고 있다.However, multimedia services for still images and videos provided by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significantly limited compared to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such as computers, and for still images, editing by inserting another image in a specific area of the still image In some cases, a function is provided, but in the case of a video, only simple functions are provided such as simply connecting separate videos to edit as one video or separating one video to edit as separate videos.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되어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영상 편집 기능에 따라 지원되는 단순한 기능만으로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게 되었다.Accordingly, the needs of users have been diversified, and it is difficult to satisfy various needs of users with simple functions supported according to the video edit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품 영상물을 획득하고, 작업자에게 영상물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상품의 홍보를 위한 영상물을 제작하는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duct promotional video production system that obtains a product video material, provides a video editing function to a worker to produce a video material for product promo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품 영상물을 다양한 구도에서 쉽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duct promotional video production system including a photographing device to easily photograph a product video in various composi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촬영 장치에서 획득하는 영상에서 상품 영역과 배경 패널 영역의 분리 기능을 제공하는 영상물 제작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물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production system including an image production apparatus that provides a separation function between a product region and a background panel region in an image acquired by an 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은 배경 패널을 배경으로 배치된 상품을 촬영하여 영상물을 획득하는 촬영 장치; 및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여 상기 상품 홍보를 위한 영상물을 제작하는 영상물 제작 장치;를 포함한다.A product promotion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 product arranged on a background panel to obtain a video; And a video production device that receives a video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and produces a video for the product promotion.

한편, 상기 영상물 제작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는 영상 수집부; 상기 영상 수집부에서 획득하는 영상에서 상품 영역과 배경 패널 영역을 분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분리한 상품 영역을 상기 상품의 설명을 안내하는 영사에 합성하여 상기 상품 홍보를 위한 영상물을 제작하는 홍보 영상 제작부;를 포함하고,On the other hand, the video object manufacturing apparatus, an image collecting unit for receiving a video object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An image processing unit separating the product region and the background panel region from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collection unit; It includes; and a promotional image production unit for synthesizing the product area separa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into a projection to guide the description of the product to produce a video for promoting the product.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배경 패널을 배경으로 배치된 상품을 촬영하여 영상물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물을 상기 영상물 제작 장치로 송신하는 촬영 모듈; 상기 촬영 모듈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하는 촬영 모듈 지지대; 및 상기 배경 패널을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하는 배경 패널 지지대;를 포함하고,The photographing apparatus may include: a photographing module for photographing a product arranged in the background panel to acquire an image, and transmitting the acquired image to the image production apparatus; An imaging modu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imaging module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And a background panel support for arranging the background panel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촬영 모듈 지지대는, 상기 촬영 모듈을 장착하는 촬영 모듈 브라켓; 상측에 상기 촬영 모듈 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 다리 부재;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중심 다리 부재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하여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되며, 각각 메인 다리 부재 및 메인 다리 부재에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서브 다리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3 개의 보조 다리 부재;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빈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를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외측에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당김 부재; 및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하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당김 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당김 부재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승하고, 상기 당김 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하고, 바닥면이 주름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판으로 제작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The photographing module support includes: a photographing module bracket that mounts the photographing module; A central leg member on which the photographing module bracket is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It is mounted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leg member, and is configured to rotat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eg member to be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and is composed of a main leg member and a sub leg member inserted to slide on the main leg member, respectively. Three auxiliary leg members to be adjusted up and down length; A pulling member configured to pull the wire disposed inside the hollow of the center leg member from the out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the wire connected to the pulling member is connected when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pulling member rises,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pulling member is lowered And a fixing member made of a rubber plate having a corrugated groove formed in contact with the ground.

상기 당김 부재는, 일정 두께의 벽면을 갖는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서 장변 방향의 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바가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스토퍼가 구비되며,The pulling member is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se having a wall surface of a certain thickness, and includes an operation bar slidably installed along a wall surface in a long side direction therein, and the wall surface so that the operation bar can be fixed at a moved position In the stopper is provided,

상기 중심 다리 부재는,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외경이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수직 이동 기둥;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외경이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 보조 기둥;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수직 이동 기둥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수직 이동 기둥보다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롤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수직 이동 기둥 및 상기 당김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당김 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당김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 바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당겨지는 경우,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을 상승시키고, 상기 작동 바가 원래의 자리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을 하강시키는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수직 이동 기둥 및 상기 승하강 보조 기둥을 연결하여,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보조 기둥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보조 기둥을 상승시키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The center leg member is disposed vertically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is vertically movable to be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er leg member; An elevating auxiliary pillar disposed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moving column, arranged to be able to elevate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er leg member; A first roller installed freely rotatable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disposed above the vertical moving column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 second roller installed freely rotatable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disposed above the vertical moving column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roller; The vertical moving pillar and the pulling member are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and inserted into the pulling member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ulling membe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leg member. A first wire for raising the vertical movement column when the operation bar is sliding and pulling, and lowering the vertical movement column when the operation bar is slid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connecting the vertical moving pillar and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in a state across the second roller, when the vertical moving pillar is raised, lowering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and when the vertical moving pillar is descending, Including; a second wire for raising the elevating auxiliary column;

상기 고정 부재는, 스프링을 통해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하측면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고, The fix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moving pillar through a spring, and is drawn in or out from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moving pillar,

상기 배경 패널 지지대는, 상기 배경 패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설치하고, 각각 메인 다리 부재 및 메인 다리 부재에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서브 다리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 길이를 조절하며, 하부에 삼각 다리 부재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쌍을 이루는 손잡이,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배경 패널을 잡는 쌍을 이루는 누름판 및 탄성력에 의한 누르는 힘을 누름판에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에 상기 배경 패널을 설치하는 파지 수단;을 포함하고,The background panel support includes: a horizontal frame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background panel; The horizontal fram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is composed of a main leg member and a sub leg member inserted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in leg member, respectively, to adjust the vertical length, and a pair of vertical legs provided with a triangular leg member at the bottom frame; It includes; a paired handle, a gripping means for installing the background panel on the horizontal frame, including a pair of handles connected to the handle to hold the background panel, a pair of push plates and a spring to transmit the pressing force due to the elastic force to the push plate;

상기 수평 프레임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배경 패널의 모서리 부분의 삽입을 위한 삽입 홈을 형성하고, The horizontal frame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forms an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a corner portion of the background panel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상품을 올려두고 촬영하기 위한 촬영대;를 더 포함하고,The photograph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hotographing table for photographing the product with the product,

상기 촬영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구현되는 작업 공간; 상기 작업 공간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작업 공간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받침봉; 및 상기 받침봉의 하측에 설치되고, 한 쌍의 바퀴부가 설치되어 상기 받침봉 및 상기 작업 공간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table includes a work space implement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supporting rod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and enabling vertical movement of the working space; And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r, a pair of wheels are installed a movable frame that enables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 bar and the working space; may include.

한편, 상기 촬영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저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받침봉에 설치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상하 방향 이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On the other hand, the photographing table, the mov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to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an operation unit for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받침봉의 내면에 접하면서 하단부가 상기 이동 부재에 연결되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을 관통하며, 양단부가 상기 받침봉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 이동 홀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수직 이동 축;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제1 링크 바 및 제2 링크 바로 나뉘며, 상기 중간부분이 상기 이동 프레임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시소 운동하고, 상기 제1 링크 바의 일단부가 상기 수직 이동 축에 체결되어 시소 운동에 의해 상기 수직 이동 축, 상기 연결관 및 상기 이동 부재를 상하 방향 이동시키는 링크 바; 및 상기 제1 링크 바 및 상기 제2 링크 바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The operation unit, while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member whil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A vertical movement shaft penetrating the connection pipe and protruding to the outside through both ends of the vertical movement hol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upport rod; It is divided into a first link bar and a second link bar based on an intermediate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is hingedly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one end of the first link bar is fastened to the vertical movement axis. A link bar for vertically moving the vertical movement axis, the connector, and the movement member by movement; And a coil spring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link bar and the second link bar.

상기 제2 링크 바는, 외력이 가해져 하강하는 경우, 시소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링크 바에 연결된 상기 수직 이동 축 및 상기 연결관을 상승시켜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외력이 제거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는 경우, 시소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링크 바에 연결된 상기 수직 이동 축 및 상기 연결관을 하강시켜 상기 이동 부재가 지면에 놓여지도록 하고,When the second link bar descends due to an external force, the vertical movement axis and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bar are raised by a seesaw motion so that the mov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and the external force When it is removed and rais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the vertical movement axis and the connectio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bar are lowered by a seesaw movement so that the moving member is placed on the ground,

상기 이동 프레임은, 상측면에서 상기 제2 링크 바의 단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걸림 부재를 구비하고,The moving frame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link bar on the upper side,

상기 이동 프레임은, 바아 형상의 제1 이동 프레임 및 제2 이동 프레임이 십자가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각 단부에 자유 회전이 가능한 바퀴가 설치되고,The moving frame, the bar-shaped first moving frame and the second moving frame are configured to be combined in a cross shape, and the first movable frame and the wheels capable of free rotation are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second moving frame,

상기 바퀴부는, 호 형상으로 내주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 회전날; 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회전날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2 회전날; 상기 제1 회전날 및 상기 제2 회전날의 톱니에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로 회전력을 가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The wheel portion, the first rotational blad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n arc shap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oving frame; A second rotary blade formed in an arc shape,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curvatur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rotary blade, teeth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oving frame; A rotating part coupled to teeth of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blades; And a driving unit for applying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unit.

상기 제1 이동 프레임 및 상기 제2 이동 프레임은,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각각 전방에 설치되는 두 바퀴와 후방에 설치되는 두 바퀴 간의 간격이 증감될 수 있다.In the first moving frame and the second moving frame, the distance between two wheels installed in front and two wheels installed in the rear ma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상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홍보 영상물을 제작함으로써 상품 판매량 증가의 효과를 도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producing a product promotional video material for providing a variety of product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user to promot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ales volume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 영상물을 다양한 구도에서 쉽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별화 된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다양해지고 있는 광고 미디어의 종류에 따른 차별화 된 상품 홍보물 영상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a product image in various compositions, thereby obtaining a differentiated image, thereby enabling production of a differentiated product promotion image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advertising media.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품 영역과 배경 패널 영역의 분리 기능을 제공하여 상품 영역을 이용한 다양한 상품 홍보 영상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eparation function of the product area and the background panel area, it is possible to produce various product promotion images using the product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촬영 모듈 지지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를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경 패널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평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 포함되는 촬영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동 부재 및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도 7에 도시된 바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영상물 제작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oduct promotion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shown in FIG. 1.
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maging module support shown in FIG.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entral leg member shown in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the background panel support shown in FIG. 2.
FIG. 6 is a view showing a horizontal frame shown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table included in a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ing member and the operation unit shown in FIG. 7.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heel portion shown in FIG. 7.
FIG.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mage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a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product promotion video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1000)은 촬영 장치(100) 및 영상물 제작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roduct promotion video produc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a video production apparatus 200.

촬영 장치(100)는 배경 패널(11)을 배경으로 배치된 상품(10)을 촬영하여 영상물을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영상물을 영상물 제작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device 100 may acquire a video object by photographing a product 10 disposed in the background of the background panel 11, and transmit the acquired video object to the video material production device 200.

영상물 제작 장치(20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고, 작업자에게 영상물의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상품(10)의 홍보를 위한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다.The video production device 200 may receive a video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and provide an operator with a video editing function to produce a video for the promotion of the product 10.

예를 들면, 영상물 제작 장치(200)는 영상물에서 배경 패널(11)로부터 상품(10)을 분리하고, 상품(10)을 다른 배경 화면에 합성하는 크로마키 편집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deo production device 200 may provide a chroma key editing function that separates the product 10 from the background panel 11 from the video, and synthesizes the product 10 on another background scree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1000)은 상품(10)을 촬영한 영상을 편집하여 상품(10)의 홍보를 위한 영상물을 제작하는 시스템으로, 다양한 구도에서 상품(10)을 쉽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별화 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영상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해지고 있는 광고 미디어의 종류에 따른 차별화 된 상품 홍보물 영상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The product promotion video material produc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editing a video taken of the product 10 to produce a video material for the promotion of the product 10. It makes it easy to shoot 10) to obtain a differentiated video, and provides a video editing function to enable differentiated product promotional video production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advertising media.

이하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10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product promotion video production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photograph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촬영 장치(100)는 촬영 모듈(110), 촬영 모듈 지지대(120) 및 배경 패널 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imaging device 100 may include an imaging module 110, an imaging module support 120, and a background panel support 130.

촬영 모듈(110)은 배경 패널(11a)을 배경으로 배치된 상품(10)을 촬영하여 영상물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물을 영상물 제작 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The photographing module 110 photographs the product 10 arranged in the background of the background panel 11a to acquire an image, and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to the image production apparatus 200.

이를 위해, 촬영 모듈(110)은 일정 대상을 영상으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탭재된 단말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 캠코더, 웹캠, 네트워크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hotographing module 110 is a terminal in which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predetermined object is a tap,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smartphone, a camcorder, a webcam, a network camera, and a digital camera.

촬영 모듈 지지대(120)는 통상의 삼각대 구조를 채택하여, 촬영 모듈(110)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할 수 있다.The imaging module support 120 may adopt a conventional tripod structure, and support the imaging module 110 by being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촬영 모듈 지지대(120)는 촬영 모듈(11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 모듈(110)은 바닥에 놓여진 배경 패널(11a)을 배경으로 하여 배치된 상품(10)을 촬영하도록 각도가 조절되거나, 벽에 펼쳐진 배경 패널(11b)을 배경으로 하여 배치된 상품(10)을 촬영하도록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The imaging module support 120 may adjust an imaging angle of the imaging module 110.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module 110 is angled so as to photograph the product 10 disposed with the background panel 11a placed on the floor as the background, or disposed with the background panel 11b unfolded on the wall as the background. The angle can be adjusted to photograph the product 10.

배경 패널 지지대(130)는 배경 패널(11b)을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품(10)의 형상에 따라 배경 패널 지지대(130)를 이용하여 배경 패널(11b)을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한 뒤, 이를 배경으로 하여 상품(10)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background panel support 130 may arrange the background panel 11b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operator can acquire the image of the product 10 using the background panel support 13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oduct 10 and vertically arranging the background panel 11b with the ground as the backgroun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촬영 모듈 지지대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imaging module support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촬영 모듈 지지대(120)는 촬영 모듈 브라켓(121), 중심 다리 부재(122), 3 개의 보조 다리 부재(123), 당김 부재(124) 및 고정 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imaging module support 120 includes an imaging module bracket 121, a center leg member 122, three auxiliary leg members 123, a pulling member 124, and a fixing member 125 Can.

촬영 모듈 브라켓(121)은 촬영 모듈(110)을 장착할 수 있다.The imaging module bracket 121 may be equipped with the imaging module 110.

중심 다리 부재(122)는 상측에 촬영 모듈 브라켓(121)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촬영 모듈 브라켓(121)은 중심 다리 부재(122)의 상측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촬영 모듈(1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enter leg member 122 may be installed so that the imaging module bracket 121 can be rotated on the upper side. That is, the imaging module bracket 121 may be rotated relative to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122 to adjust the angle of the imaging module 110.

3 개의 보조 다리 부재(123)는 중심 다리 부재(122)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3 개의 보조 다리 부재(123)는 중심 다리 부재(122)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여 다리를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된다.The three auxiliary leg members 123 may be mounted to be rotatable on top of the central leg member 122. The three auxiliary leg members 123 are hinged to the upper part of the central leg member 122 and rotated up and down to open and close the legs.

3 개의 보조 다리 부재(123)는 각각 메인 다리 부재 및 메인 다리 부재에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서브 다리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Each of the three auxiliary leg members 123 is composed of a main leg member and a sub leg member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in leg member, so that the vertical length can be adjusted.

당김 부재(124)는 중심 다리 부재(122)의 빈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를 중심 다리 부재(122)의 외측에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당김 부재(124)는 작업자에 의해 당기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중심 다리 부재(122)의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를 잡아당겨,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125)를 상승시킬 수 있다.The pulling member 124 may be configured to pull the wire disposed inside the hollow of the center leg member 122 from the out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122. That is, when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by the operator, the pulling member 124 may pull the wire disposed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122 to raise the fixing member 125 connected to the wire.

고정 부재(125)는 중심 다리 부재(122)의 하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5)는 상술한 당김 부재(124)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당김 부재(124)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승하고, 당김 부재(124)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하강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25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122. The fixing member 125 is connected to a wir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pulling member 124, when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pulling member 124, and when the pulling force applied to the pulling member 124 is removed Can descend.

고정 부재(125)는 바닥면에 주름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판 등 마찰력이 큰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125)는 당김 부재(124)의 작동에 따라 지면에 접촉하거나 상승할 수 있으며, 지면에 접촉하였을 때에 마찰력에 의해 중심 다리 부재(122)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 125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friction, such as a rubber plate having a corrugated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 fixing member 125 may contact or rise to the grou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ulling member 124, and may prevent the center leg member 122 from sliding due to frictional force when contacting the groun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를 간략히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central leg member shown in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중심 다리 부재(122)는 내부에 수직 이동 기둥(1222a), 승하강 보조 기둥(1226), 제1 롤러(1227), 제2 롤러(1228) 및 와이어(1229a, 1229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entral leg member 122 has a vertically moving column 1222a, an elevating auxiliary column 1226, a first roller 1227, a second roller 1228, and wires 1229a and 1229b therein. It may include.

수직 이동 기둥(1222a)은 중심 다리 부재(122)의 하부에 배치되며, 중심 다리 부재(122)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is disposed under the center leg member 122 and may be arranged to be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122.

승하강 보조 기둥(1226)은 중심 다리 부재(122)의 내부에서 수직 이동 기둥(1222a)의 상측에 배치되며, 중심 다리 부재(122)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1226 is disposed above the vertically moving pillar 1222a in the interior of the central leg member 122, and may be disposed to be able to elevate in the interior of the central leg member 122.

수직 이동 기둥(1222a) 및 승하강 보조 기둥(1226)의 외경은 중심 다리 부재(122)의 내경에 대응함으로써 중심 다리 부재(12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속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s of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and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1226 may be constrained to move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leg member 122 by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ral leg member 122.

제1 롤러(1227) 및 제2 롤러(1228)는 중심 다리 부재(122)의 내부에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롤러(1227) 및 제2 롤러(1228)는 중심 다리 부재(122)의 내부에서 수직 이동 기둥(1222a) 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이때, 제1 롤러(1227)가 제2 롤러(1228)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oller 1227 and the second roller 1228 may be installed to be freely rotatable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122. The first roller 1227 and the second roller 1228 are disposed above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122, where the first roller 1227 is the second roller 1228. It can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제1 와이어(1229a)는 제1 롤러(1227)에 걸쳐진 상태로 수직 이동 기둥(1222a) 및 당김 부재(124)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중심 다리 부재(122)의 외주면에서 당김 부재(12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1 와이어(1229a)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관통공을 통해 제1 와이어(1229a)는 당김 부재(124)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wire 1229a may connect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and the pulling member 124 in a state across the first roller 1227. At this time, a through hole for penetrating the first wire 1229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ulling member 124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leg member 122, and the first wire 1229a is a pulling member through the through hole. It can be inserted into the 124 and installed.

여기서, 당김 부재(124)는 일정 두께의 벽면을 갖는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서 장변 방향의 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바(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벽면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작동 바(124a)가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당김 부재(124) 및 작동 바(124a)의 내측에는 제1 와이어(1229a)가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pulling member 124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se having a wall surfac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include an operation bar 124a that i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wall surface in the long side direction therein. At this time, the wall surface is provided with a stopper, it can be fixed in a position where the operation bar (124a) is moved. The first wire 1229a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ulling member 124 and the operation bar 124a.

따라서, 작동 바(124a)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와이어(1229a)가 당겨지는 경우, 수직 이동 기둥(1222a)은 상승하고, 작동 바(124a)가 원래의 자리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수직 이동 기둥(1222a)은 하강할 것이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 bar 124a slides and the first wire 1229a is pulled, the vertical movement column 1222a rises, and when the operation bar 124a slide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vertical movement column (1222a) will descend.

제2 와이어(1229b)는 제2 롤러(1228)에 걸쳐진 상태로 수직 이동 기둥(1222a) 및 승하강 보조 기둥(1226)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 이동 기둥(1222a)이 상승하는 경우, 승하강 보조 기둥(1226)이 하강하고, 수직 이동 기둥(1222a)이 하강하는 경우, 승하강 보조 기둥(1226)이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 보조 기둥(1226)은 수직 이동 기둥(1222a)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승하강 보조 기둥(1226)의 무게를 수직 이동 기둥(1222a)과 수직 이동 기둥(1222a)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 부재(125)를 합한 무게와 동일하게 설정하는 경우, 수직 이동 기둥(1222a)을 승하강시키는 데에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econd wire 1229b may connect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and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1226 in a state across the second roller 1228. Therefore, when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rises,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1226 descends, and when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descends,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1226 may rise.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1226 may adjust the force required to raise or lower the vertically moving pillar 1222a. For example, when setting the weight of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1226 to the same weight as the sum of the fixing members 125 connected to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and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force required to move up and down.

수직 이동 기둥(1222a)의 하측에는 스프링(1225a)을 통해 고정 부재(125)가 설치될 수 있다. 중심 다리 부재(122)의 하측면은 고정 부재(125)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25)는 수직 이동 기둥(1222a)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중심 다리 부재(122)의 하측면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A fixing member 125 may be installed at a lower side of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through a spring 1225a.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122 may be formed in an open state for the intake and out of the fixation member 125, and the fixation member 125 is the center leg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moving pillar 1222a. It can be drawn in or out from the lower side of the member 122.

작업자는 이와 같은 촬영 모듈 지지대(120)의 사용에 있어서, 촬영 모듈 지지대(120)를 이동시키는 경우, 작동 바(124a)를 당겨 고정 부재(125)를 중심 다리 부재(122)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으며, 촬영 모듈 지지대(120)를 설치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 작동 바(124a)에 당기는 힘을 제거하여 고정 부재(125)를 중심 다리 부재(122)의 하측으로 인출시켜 지면과 맞닿도록 한다.In the use of the photographing module support 120, the operator moves the photographing module support 120, and pulls the operation bar 124a to pull the fixing member 125 into the center leg member 122. When the shooting module support 120 is moved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the force pulling on the operation bar 124a is removed to draw the fixing member 125 downward from the center leg member 122 to make contact with the ground. .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배경 패널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showing the background panel support shown in FIG. 2.

도 5를 참조하면, 배경 패널 지지대(130)는 수평 프레임(132),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1) 및 파지 수단(13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background panel support 130 may include a horizontal frame 132, a pair of vertical frames 131, and gripping means 133.

수평 프레임(132)은 배경 패널(11b)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horizontal frame 132 may provide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background panel 11b.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1)은 수평 프레임(132)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설치할 수 있다.The pair of vertical frames 131 may install the horizontal frame 132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1)은 각각 메인 다리 부재 및 메인 다리 부재에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서브 다리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Each pair of vertical frames 131 is composed of a main leg member and a sub leg member that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in leg member, so that the vertical length can be adjusted.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1)의 하부에는 삼각 다리 부재가 구비되어 한 쌍의 수직 프레임(13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 triangular leg member is provided below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31 to stably support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31.

파지 수단(133)은 수평 프레임(132)에 배경 패널(11b)을 설치할 수 있다.The gripping means 133 may install the background panel 11b on the horizontal frame 132.

파지 수단(133)은 통상의 집게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파지 수단(133)은 쌍을 이루는 손잡이, 손잡이와 연결되어 배경 패널(11b)을 잡는 쌍을 이루는 누름판 및 탄성력에 의한 누르는 힘을 누름판에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means 133 may be implemented with conventional forceps. For example, the gripping means 133 may include a paired handle, a paired pressing plate connected to the handle to hold the background panel 11b, and a spring that transmits the pressing force due to the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late.

작업자는 배경 패널(11b)의 모서리 부분을 수평 프레임(132)에 배치시킨 뒤 파지 수단(133)을 이용하여 수평 프레임(132)에 배경 패널(11b)을 설치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수평 프레임(132)은 배경 패널(11b)의 모서리 부분이 수평 프레임(132)의 굴곡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배경 패널(11b)의 모서리 부분의 삽입 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operator can install and fix the background panel 11b on the horizontal frame 132 by using the gripping means 133 after plac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background panel 11b on the horizontal frame 132. At this time, the horizontal frame 132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groove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background panel 11b to prevent the corner portion of the background panel 11b from being bent or damaged by bending of the horizontal frame 132. have.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평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horizontal frame shown in FIG. 5.

도 6을 참좀하면, 수평 프레임(132)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경 패널(11b)의 삽입을 위한 삽입 홈(132a)을 형성할 수 있다.6, the horizontal frame 132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may form an insertion groove 132a for insertion of the background panel 11b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배경 패널(11b)의 모서리 부분은 이러한 삽입 홈(132a)에 삽입된 상태로 복수의 파지 수단(133)에 의해 수평 프레임(132)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rner portion of the background panel 11b may b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frame 132 by a plurality of gripping means 133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a.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촬영 대상 상품(10)을 올려두고 촬영하기 위한 촬영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table for photographing the product 10 to be photograph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 포함되는 촬영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photographing table included in a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촬영대(140)는 작업 공간(141), 받침봉(142), 이동 프레임(143), 바퀴부(145), 이동 부재(144) 및 조작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photographing table 140 may include a work space 141, a support rod 142, a moving frame 143, a wheel portion 145, a moving member 144, and an operating portion 146. have.

작업 공간(14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그 상측면에 배경 패널(11a)이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작업 공간(141)의 상측면에 상품(10)이 올려질 수 있다.The working space 141 is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background panel 11a may be unfolded on its upper side. The product 10 may b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working space 141.

받침봉(142)은 작업 공간(141)의 저면에 설치되며, 작업 공간(141)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The support rod 142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ork space 141, and enables vertical movement of the work space 141.

받침봉(142)은 메인 다리 부재 및 메인 다리 부재에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서브 다리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support rod 142 is composed of a main leg member and a sub leg member inserted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in leg member, so that the vertical length can be adjusted.

이동 프레임(143)은 받침봉(142)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바퀴부(145)가 설치되어 받침봉(142) 및 작업 공간(141)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즉, 이동 프레임(143)은 한 쌍의 바퀴부(145)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한 쌍의 바퀴부(145)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9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moving frame 143 may be installed under the supporting rod 142, and a pair of wheel portions 145 may be installed to allow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ing rod 142 and the working space 141. That is, the moving frame 143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by the pair of wheel portions 145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may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ir of wheel portions 145. A detailed description in this regar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and below.

이동 부재(144)는 이동 프레임(143)의 저면에 배치되도록 받침봉(14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이동 프레임(143)의 저면으로부터 지면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144)는 이동 프레임(143)의 저면에 밀착되어 있거나, 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부재(144)는 이동 프레임(143)의 저면으로부터 하방 이동하여 지면에 위치하는 경우, 이동 프레임(143)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moving member 144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bar 142 to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43, and at this time, it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43 to the ground. That is, the moving member 144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43 or may be located on the ground. When the moving member 144 mov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43 and is located on the ground,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43 may be restricted. A detailed description in this regar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조작부(146)는 이동 부재(144)의 상하 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manipulation unit 146 may control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144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와 같은 촬영대(140)는 배경 패널(11a)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나아가 상품(10)의 촬영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품(1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촬영 구도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The photographing table 140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background panel 11a, and is configured to freely change the photographing position of the product 10, thereby providing various photographing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 10. There will be.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동 부재 및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ing member and the operation unit shown in FIG. 7.

도 8을 참조하면, 이동 부재(144)는 조작부(146)를 통해 받침봉(14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moving member 144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support rod 142 through the operation unit 146.

조작부(146)는 연결관(1464), 수직 이동 축(1465) 및 링크 바(1461, 14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46 may include a connector 1464, a vertical movement axis 1465, and a link bar 1461, 1462.

연결관(1464)은 받침봉(142)의 내면에 접하면서 하단부가 이동 부재(14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받침봉(142)의 하측은 이동 프레임(143)을 관통하여 설치됨으로써, 이동 부재(144)가 이동 프레임(143)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or 1464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member 144 while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rod 142. At this time,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r 142 is installed through the moving frame 143, so that the moving member 144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43.

수직 이동 축(1465)은 연결관(1464)을 관통하며, 양단부가 받침봉(142)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 이동 홀(142a)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 이동 축(1465)은 수직 이동 홀(142a)을 따라 연결관(1464) 및 이동 부재(144)와 함께 승하강하게 된다.The vertical movement shaft 1465 penetrates the connecting pipe 1644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rtical movement holes 142a form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rod 14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movement axis 1465 is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connector 1464 and the movement member 144 along the vertical movement hole 142a.

링크 바(1461, 1462)는 중간부분이 이동 프레임(143)의 상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시소 운동이 가능하다. 링크 바(1461, 1462)는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제1 링크 바(1461) 및 제2 링크 바(1462)로 나뉠 수 있다.The link bars 1461 and 1462 are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frame 143, so that the seesaw movement is possible. The link bars 1461 and 1462 may be divided into a first link bar 1461 and a second link bar 1462 based on the middle portion.

제1 링크 바(1461)의 일단부는 체결 홀(1468a)이 형성되며, 체결 홀(1468a)에 수직 이동 축(1465)이 체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link bar 1461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468a, and a vertical moving shaft 1465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468a.

제1 링크 바(1461) 및 제2 링크 바(1462)는 코일 스프링(1468b)이 개재되어, 항시 이동 부재(144)가 이동 프레임(143)의 저면에 접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부재(144) 및 연결관(1464)에 걸리는 하중이 코일 스프링(1468b)의 복원력보다 크게 작용함으로써, 제2 링크 바(1462)가 외력에 의해 하강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이동 부재(144)는 하강하게 된다.The first link bar 1461 and the second link bar 146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coil spring 1468b is interposed so that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oving member 144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43. have. At this time,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moving member 144 and the connector 1464 acts larger than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468b, when the second link bar 1462 is not lowered by external force, the moving member 144 is lowered.

코일 스프링(1468b)은 이동 부재(144) 및 연결관(1464)에 작용하는 힘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제2 링크 바(1462)를 들어올리는데 드는 힘을 경감시킨다.The coil spring 1468b act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ce acting on the moving member 144 and the connector 1464, thereby reducing the force required to lift the second link bar 1462.

제2 링크 바(1462)는 작업자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 하강하거나,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코일 스프링(1468b)의 복원력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링크 바(1462)가 외력이 가해져 하강하는 경우, 시소 운동에 의해 제1 링크 바(1461)에 연결된 수직 이동 축(1465) 및 연결관(1464)이 상승함에 따라 이동 부재(144) 또한 이동 프레임(143)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승한 상태가 된다. 반면, 제2 링크 바(1462)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어 상승하는 경우, 시소 운동에 의해 제1 링크 바(1461)에 연결된 수직 이동 축(1465) 및 연결관(1464)이 하강함에 따라 이동 부재(144)는 지면에 놓여지게 된다.The second link bar 1462 may be lifted down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by an operator, or lif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468b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Here, when the second link bar 1462 is descended due to external force, the vertical movement shaft 1465 and the connector 1464 connected to the first link bar 1461 by the seesaw movement rise to move the member 144 ) Also, it is in an elevated stat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frame 143.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econd link bar 1462 is removed and rises, the vertical movement axis 1465 and the connector 1464 connected to the first link bar 1461 by the seesaw movement move as the descending The member 144 is placed on the ground.

여기에서, 이동 프레임(143)은 상측면에서 제2 링크 바(1462)의 단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걸림 부재(146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링크 바(1462)의 단부 저면에는 걸림 부재(1463)와 대응하는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링크 바(1462)는 하강한 상태에서 걸림 부재(146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Here, the moving frame 143 may include a locking member 1463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link bar 1462 on the upper side. At this time, a lock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member 1463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second link bar 1462, and accordingly, the second link bar 1462 is attached to the locking member 1463 in a lowered state. It can be hung and fixed.

작업자는 촬영대(14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때에는 제2 링크 바(1462)를 걸림 부재(1463)에 걸어둔 뒤, 촬영대(14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2 링크 바(1462)를 걸림 부재(1463)에서 풀어내어 이동 부재(144)를 하강시킴으로써, 그 위치에서 촬영대(140)를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operator moves the photographing table 140 to a desired position, the second link bar 1462 is hung on the locking member 1463, and then the second link bar 1462 is moved after moving the shooting table 140 to a desired position. ) By releasing from the locking member 1463 and lowering the moving member 144, the imaging table 140 can be fixed at that position.

도 9 는 도 7에 도시된 바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heel portion shown in FIG. 7.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143)은 바아 형상의 제1 이동 프레임(143a) 및 제2 이동 프레임(143b)이 십자가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moving frame 143 may include a bar-shaped first moving frame 143a and a second moving frame 143b combined in a cross shape.

바퀴부(145)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바퀴로, 제1 이동 프레임(143a) 및 제2 이동 프레임(143b)의 각 단부에 설치되어 제1 이동 프레임(143a) 및 제2 이동 프레임(143b)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The wheel portion 145 is a wheel that can be rotated freely, and is installed at each end of the first moving frame 143a and the second moving frame 143b, so that the first moving frame 143a and the second moving frame 143b are It makes movement possible.

이때, 제1 이동 프레임(143a) 및 제2 이동 프레임(143b)은 그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퀴부(145)는 제1 회전날(1471), 제2 회전날(1472), 회전부(1473) 및 구동부(1475)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moving frame 143a and the second moving frame 143b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ir angles. To this end, the wheel portion 145 may include a first rotating blade 1471, a second rotating blade 1472, a rotating portion 1473 and a driving portion 1475.

제1 회전날(1471)은 호 형상으로, 내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날(1471)은 제1 이동 프레임(143a)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rotary blade 1471 has an arc shape, and teeth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rotating blade 1471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moving frame 143a.

제2 회전날(1472)은 호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 회전날(1471)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주면에는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rotary blade 1472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having a curvatur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rotary blade 1471, and teeth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회전부(1473)는 제1 회전날(1471) 및 제2 회전날(1472)의 중간에 위치함으로써, 제1 회전날(1471) 및 제2 회전날(1472)의 톱니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47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이동 프레임(143a) 및 제2 이동 프레임(143b)의 각도는 변형될 수 있다. 즉, 회전부(1473)의 회전에 따라, 제1 이동 프레임(143a) 및 제2 이동 프레임(143b)의 전방의 두 바퀴부(145)와 후방의 두 바퀴부(145) 간의 간격이 증감될 수 있다.The rotating portion 1473 may be coupled to the teeth of the first rotating blade 1471 and the second rotating blade 1472 by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otating blade 1471 and the second rotating blade 1472. The angles of the first moving frame 143a and the second moving frame 143b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portion 1473. That i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1473,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ront wheel portions 145 and the rear two wheel portions 145 of the first moving frame 143a and the second moving frame 143b may increase or decrease. have.

구동부(1475)는 회전부(1473)로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475 may apply rotational force to the rotating unit 1473.

이와 같이, 바퀴부(145)는 주행 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놓이는 바퀴부(145)와 후방에 놓이는 바퀴부(145) 간의 간격을 증대시킴으로써 안정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As such, the wheel portion 145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the wheel portion 145 placed in front and the wheel portion 145 placed in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driving direction, thereby enabling stable movement.

예를 들면, 촬영대(140)가 도 9의 (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회전부(1473)의 회전에 의해 제1 이동 프레임(143a) 및 제2 이동 프레임(143b)의 전방의 두 바퀴부(145)와 후방의 두 바퀴부(145) 간의 간격이 증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퀴부(145)는 진행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센서 및 자이로센서의 센서 데이터에 따라 바퀴부(145)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부(1473)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1475)를 제어하는 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hotographing table 140 travel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9B, the first moving frame 143a and the second moving frame 143b are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ortion 1473.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front wheel portions 145 and the rear two wheel portions 145 may be increased. To this end, the wheel part 145 is a driving part (for rotating or rotating the rotating part 1473 forward or backward to adjust the interval between the wheel parts 145 according to the sensor data of the gyro sensor and the gyro sensor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travel) 1475) may be provided.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영상물 제작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FIG. 10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mage shown in FIG. 1.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물 제작 장치(200)는 영상 수집부(210), 영상 처리부(220) 및 홍보 영상 제작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image production apparatus 200 may include an image collection unit 210, an image processing unit 220, and a promotional image production unit 230.

영상 수집부(210)는 촬영 장치(100)로부터 촬영 장치(100)에서 획득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촬영 장치(100)에서 획득하는 영상에는 상품(10) 및 배경 패널(11)이 포함될 수 있다.The image collection unit 210 may receive an image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t this time, the image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a product 10 and a background panel 11.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집부(210)에서 획득하는 영상에서 상품(10) 영역과 배경 패널(11)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may separate the product 10 region and the background panel 11 region from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collection unit 210.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집부(210)에서 획득하는 영상에서 각 프레임의 상품(10) 영역 및 배경 패널(11) 영역에 대한 색상 분포 및 엣지를 이용하여 상품(10) 영역과 배경 패널(11) 영역을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엣지는 인접한 화소 간의 밝기 차이가 상대적으로 큰 부분을 의미한다.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uses the color distribution and edges of the product 10 region and the background panel 11 region of each frame in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collection unit 210 to obtain the product 10 region. And the background panel 11 can be separated. Here, the edge means a portion where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between adjacent pixels is relatively large.

한편, 영상 처리부(220)는 분리한 배경 패널(11) 영역에 기초하여 가상 배경 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may also generate a virtual background area based on the separated background panel 11 area.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220)는 분리한 배경 패널(11) 영역에 기초하여 가상 크로마키 배경의 크로마키 패치를 실시간으로 확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may expand the chroma key patch of the virtual chroma key background in real time based on the separated background panel 11 area.

영상 처리부(220)는 가상 배경 영역에 기초하여 상품(10) 영역을 추출할 수도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may extract the product 10 area based on the virtual background area.

홍보 영상 제작부(230)는 영상 처리부(220)에서 추출한 상품(10) 영역을 특정 영상에 합성하여 홍보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The promotional image production unit 230 may synthesize a region of the product 10 extrac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to a specific image to produce a promotional image.

예를 들면, 홍보 영상 제작부(230)는 상품(10)의 설명을 안내하는 영상에 영상 처리부(220)에서 추출한 상품(10) 영역을 합성하여 홍보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motional image production unit 230 may produce a promotional image by synthesizing the product 10 region extrac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20 with an image guiding the description of the product 10.

이와 같이 영상물 제작 장치(200)는 촬영 장치(100)에서 획득하는 영상에서 상품(10) 영역과 배경 패널(11) 영역을 분리하고, 상품(10) 영역을 이용하여 상품 홍보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image production apparatus 200 may separate the product 10 region and the background panel 11 region from the image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nd use the product 10 region to produce a product promotion image. .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0: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
10: 상품
11: 배경 패널
100: 촬영 장치
200: 영상물 제작 장치
1000: Product promotion video production system
10: Goods
11: Background panel
100: photographing device
200: video production device

Claims (2)

배경 패널을 배경으로 배치된 상품을 촬영하여 영상물을 획득하는 촬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여 상기 상품 홍보를 위한 영상물을 제작하는 영상물 제작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물 제작 장치는,
상기 촬영 장치로부터 영상물을 수신하는 영상 수집부;
상기 영상 수집부에서 획득하는 영상에서 상품 영역과 배경 패널 영역을 분리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분리한 상품 영역을 상기 상품의 설명을 안내하는 영사에 합성하여 상기 상품 홍보를 위한 영상물을 제작하는 홍보 영상 제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배경 패널을 배경으로 배치된 상품을 촬영하여 영상물을 획득하고, 획득한 영상물을 상기 영상물 제작 장치로 송신하는 촬영 모듈;
상기 촬영 모듈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지지하는 촬영 모듈 지지대; 및
상기 배경 패널을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하는 배경 패널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모듈 지지대는,
상기 촬영 모듈을 장착하는 촬영 모듈 브라켓;
상측에 상기 촬영 모듈 브라켓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 다리 부재;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중심 다리 부재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하여 벌렸다 오므렸다 할 수 있게 구성되며, 각각 메인 다리 부재 및 메인 다리 부재에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서브 다리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 길이를 조절하는 3 개의 보조 다리 부재;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빈 내부에 배치되는 와이어를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외측에서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당김 부재; 및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하측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당김 부재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당김 부재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승하고, 상기 당김 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하강하여 지면에 접촉하고, 바닥면이 주름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무판으로 제작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당김 부재는,
일정 두께의 벽면을 갖는 직육면체형 케이스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서 장변 방향의 벽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 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바가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벽면에 스토퍼가 구비되며,
상기 중심 다리 부재는,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외경이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수직 이동 기둥;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승하강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외경이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승하강 보조 기둥;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수직 이동 기둥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자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내부에서 상기 수직 이동 기둥보다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롤러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수직 이동 기둥 및 상기 당김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외주면에서 상기 당김 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당김 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 바가 슬라이딩 이동하여 당겨지는 경우,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을 상승시키고, 상기 작동 바가 원래의 자리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을 하강시키는 제1 와이어; 및
상기 제2 롤러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수직 이동 기둥 및 상기 승하강 보조 기둥을 연결하여,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보조 기둥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승하강 보조 기둥을 상승시키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스프링을 통해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 이동 기둥의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중심 다리 부재의 하측면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기 배경 패널 지지대는,
상기 배경 패널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수평 프레임;
상기 수평 프레임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설치하고, 각각 메인 다리 부재 및 메인 다리 부재에 활주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서브 다리 부재로 구성되어 상하 길이를 조절하며, 하부에 삼각 다리 부재가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쌍을 이루는 손잡이,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배경 패널을 잡는 쌍을 이루는 누름판 및 탄성력에 의한 누르는 힘을 누름판에 전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에 상기 배경 패널을 설치하는 파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은,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배경 패널의 모서리 부분의 삽입을 위한 삽입 홈을 형성하고,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상품을 올려두고 촬영하기 위한 촬영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영대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구현되는 작업 공간;
상기 작업 공간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작업 공간의 상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받침봉; 및
상기 받침봉의 하측에 설치되고, 한 쌍의 바퀴부가 설치되어 상기 받침봉 및 상기 작업 공간의 수평 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품 홍보 영상물 제작 시스템.
Includes a photographing device for acquiring a video object by photographing a product arranged in the background panel background,
Further comprising a video production device for receiving the video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to produce a video for the product promotion,
The video production device,
An image collection unit that receives an image from the photographing device;
An image processing unit separating the product region and the background panel region from the image acquired by the image collection unit; And
Includes a promotional video production unit for synthesizing the product area separa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into a projection to guide the description of the product to produce a video for promoting the product.
The photographing device,
A photographing module for photographing a product arranged in the background panel to obtain an image, and transmitting the obtained image to the image production apparatus;
An imaging module support for supporting the imaging module to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ground; And
Including; a background panel support for arranging the background panel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he shooting module support,
A shooting module bracket for mounting the shooting module;
A central leg member on which the photographing module bracket is rotatab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It is mounted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leg member,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eg member,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respectively, and composed of a main leg member and a sub leg member inserted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in leg member, respectively. Three auxiliary leg members to be adjusted up and down length;
A pulling member configured to pull the wire disposed inside the hollow of the center leg member from the out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And
It is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and a wire connected to the pulling member is connected to rise when a pulling force is applied to the pulling member, and descends when a force applied to the pulling member is removed. Includes; contacting the ground, the bottom surface is made of a rubber plate is formed with a corrugated groove; includes,
The pulling member,
It is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se having a wall surface of a certain thickness, and includes an operation bar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wall surface in the long direction inside, and a stopper is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so that the operation bar can be fixed at a moved position. ,
The center leg member,
A vertical moving colum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enter leg member, being vertically movable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er leg member;
An elevating auxiliary pillar disposed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moving pillar, and arranged to be able to elevate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enter leg member;
A first roller installed freely rotatable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disposed above the vertical moving column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 second roller installed freely rotatable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disposed above the vertical moving column inside the center leg member,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roller;
The vertical moving pillar and the pulling member are connected to the first roller and inserted into the pulling member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ulling member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ral leg member, A first wire for raising the vertical movement column when the operation bar is sliding and pulling, and lowering the vertical movement column when the operation bar is sliding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By connecting the vertical moving pillar and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in a state across the second roller, when the vertical moving pillar rises, the elevating auxiliary pillar descends, and when the vertical movable pillar descends, the The second wir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auxiliary column; includes,
The fixing member,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movement column through a spring, and is drawn in or out from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leg member accor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vertical movement column,
The background panel support,
A horizontal frame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of the background panel;
The horizontal fram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is composed of a main leg member and a sub leg member inserted to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main leg member, respectively, to adjust the vertical length, and a pair of vertical legs provided with a triangular leg member at the bottom. frame;
Includes; a gripping means for installing the background panel on the horizontal frame, including a paired handle, a spring connected to the handle to form a pair of pressing plates to hold the background panel, and a spring to transmit the pressing force due to the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plate;
The horizontal frame,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a corner portion of the background panel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hotographing device,
It further includes a photographing table for placing and photographing the product,
The photographing table,
A work space implemented in a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support rod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working space and enabling vertical movement of the working space; And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bar, a pair of wheels are installed, a moving frame to enable horizontal movement of the support bar and the work space; including, product promotional video production system.
삭제delete
KR1020200029463A 2020-03-10 2020-03-10 A system of making image for merchandise advertisemnet KR1021291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63A KR102129108B1 (en) 2020-03-10 2020-03-10 A system of making image for merchandise advertisem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63A KR102129108B1 (en) 2020-03-10 2020-03-10 A system of making image for merchandise advertisem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108B1 true KR102129108B1 (en) 2020-07-01

Family

ID=7160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63A KR102129108B1 (en) 2020-03-10 2020-03-10 A system of making image for merchandise advertisem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1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22B1 (en) * 2020-09-29 2021-10-12 (주)비주얼리스트 System of market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91B1 (en) * 2008-11-04 2010-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personal advertisement broadcasting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nternet broadcasting
KR20190019559A (en) * 2017-08-18 2019-02-27 김현옥 Portable Photo Studio
KR20190026445A (en) * 2017-09-05 2019-03-13 김인곤 Assembly holding for a portab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691B1 (en) * 2008-11-04 2010-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3d personal advertisement broadcasting and apparatus for receiving internet broadcasting
KR20190019559A (en) * 2017-08-18 2019-02-27 김현옥 Portable Photo Studio
KR20190026445A (en) * 2017-09-05 2019-03-13 김인곤 Assembly holding for a portab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722B1 (en) * 2020-09-29 2021-10-12 (주)비주얼리스트 System of market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443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2019034254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A2981425C (en) Commodity experien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791778B1 (en) Method of Service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ntents to Game Play Video
KR102129108B1 (en) A system of making image for merchandise advertisemnet
US20150142429A1 (en) Recording and Entertainment System
TW201539101A (en) Video processing device, video processing method, and video processing program
CN103945117A (en) Photographing unit, cooperative photograph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CN113473207B (en) Live broadcast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500885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amera docking station
CN113852833A (en) Multi-device collaborative live broadcast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1827258A (en) Real-time image scratching and video monitoring and collection system
CN110005919B (en) Browsing type data visualization device
EP2752610A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350960B2 (en) Prompting device
CN115665346A (en) Self-service shooting and card pun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5007399A (en) Dual-camera mobile terminal
TWI376154B (en)
JP2004229103A (en) Image delivery system and image delivery business method
CN108711091A (en) A kind of fitting purchase system and method based on AR technologies
CN220606022U (en) Electronic commerce platform
CN220569020U (en) Interactive AR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exhibition
CN102811337A (en) Picture and text material remote reading and oper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7058983A (en)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 panorama display device
CN214433376U (en) Body-building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